KR101187579B1 -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579B1
KR101187579B1 KR1020060069976A KR20060069976A KR101187579B1 KR 101187579 B1 KR101187579 B1 KR 101187579B1 KR 1020060069976 A KR1020060069976 A KR 1020060069976A KR 20060069976 A KR20060069976 A KR 20060069976A KR 101187579 B1 KR101187579 B1 KR 101187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s
images
display
trajectory
displa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204A (ko
Inventor
소병석
김성운
최창규
박준호
이권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6/00452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052958A1/en
Priority to EP06812359A priority patent/EP1943817A4/en
Priority to US11/590,828 priority patent/US20080186281A1/en
Priority to JP2008538818A priority patent/JP2009514119A/ja
Publication of KR20070047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의 접촉을 감지하고,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감지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버튼 조작을 하는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Terminal having display button and method of displaying using the display butt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펼쳐진 모습의 일 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감지부(110)의 구현 례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의 참고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발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브라우징(browsing)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복수의 버튼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중 선택된 영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 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와 같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와 같은 단말기는 다수의 버튼(button)을 구비함이 일반적이다. 이 때,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그러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그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전화 걸기 기능, 문자 메시지 작성 및 발신 기능, 및 동영상 파일 재생 기능 중 특정 기능을 선택하며, 그 단말기는 그 선택된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결국,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이 많으면 많을 수록, 특정 기능을 선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보다 많은 횟수의 버튼 조작을 수행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한다. 단순히 전화 통화 기능만 가능한 전화기보다는, 전화 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인터넷 서핑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전화기가 보다 시장 경쟁력을 갖는 것이 최근의 실정임을 감안할 때, 현재의 버튼 체계 하에서 그러한 번거로움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이 많으면 많을 수록, 각각의 버튼이 갖는 용도가 많아질 수 밖에 없어, 각각의 버튼마다 그 버튼의 용도를 표현하고자 그 버튼의 표면에 표기되는 문자의 크기가 작아져, 시력이 약한 사람은 각각의 버튼 조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버튼 횟수를 줄이고자 단말기에 많은 수의 버튼을 마련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제품의 소형화를 추구하는 요즘의 추세에 부응한다면, 단말기에 마련된 버튼의 크기가 작아질 수 밖에 없어, 버튼 조작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에 소정 시간 동안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 그 접촉이 어떤 경로를 따라 이루어졌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에 소정 시간 동안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 그 접촉이 어떤 경로를 따라 이루어졌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에 소정 시간 동안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 그 접촉이 어떤 경로를 따라 이루어졌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의 접촉을 감지하는 (a) 단계 및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감지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에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복수의 영상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 및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감지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단말기에의 접촉을 감지하는 (a) 단계 및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감지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b)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그 첨부 도면을 설명하는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 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감지부(110), 제어부(120), 복수의 버튼(130), 저장부(140), 및 메인(main) 디스플레이부(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부(110), 제어부(120), 복수의 버튼(130), 및 메인 디스플레이부(150)는 단말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저장부(140)는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단말기의 외부에 단말기와 네트워크상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감지부(110)는 단말기에의 접촉(touch)을 감지한다. 이러한 접촉은 사용자의 신체 예를 들어, 손가락 끝과 단말기간의 접촉을 의미할 수도 있고, 어떤 물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 중인 펜(pen)과 단말기간의 접촉을 의미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 접촉은 사용자의 손가락 끝과 단말기간의 접촉이라 가정한다.
감지부(110)는 무엇인가가 단말기에 직접적으로 닿은 것을 접촉으로서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감지부(110)는 무엇인가가 단말기의 표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일정 거리 예를 들어, 수 밀리미터(mm) 안에 들어온 것을 접촉으로서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10)는 하나 이상의 접촉 감지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감지센서는 접촉을 감지할 때마다, 접촉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접촉 감지신호는 그 접촉 감지신호를 생성한 접촉 감지센서의 단말기상에서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감지부(110)는 접촉이 이루어진 위치 를 감지한다. 이 때, 위치란 단말기상에서의 위치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신호란,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소정 시간 동안의 감지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즉, 감지부(110)에서 접촉을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감지하면, 제어부(120)는 그 소정 시간 동안의 감지된 결과에 상응하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한다.
이 때, 소정 시간은 어떤 범주(range)내에 속하는 하나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그 범주의 상한(upper limit)과 하한(lower limit)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그 하한은 단말기의 어떤 하나의 버튼에 손가락을 댄 사용자가 그 단말기로부터 순간적으로 손가락을 떼는 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이 때의 그 소요되는 시간은 경험적, 실험적으로 사전에 계산될 수 있다. 또한, 그 상한은 사용자가 단말기에 행렬(matrix) 형태로 배열된 버튼들을 도중에 멈추지 않고 어느 한 방향 예를 들어, 대각선 방향으로 단 한 번 문지르는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이 때의 그 소요되는 시간 역시, 경험적, 실험적으로 사전에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 상에서 '소정 시간'이란 감지부(110)가 접촉을 연속적으로 감지한 시간을 의미한다. 이 때, 소정 시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상한과 하한이 존재한다. 한편, 감지부(110)가 접촉을 연속적으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연속적으로 접촉해야 한다. 여기서, 연속적인 접촉은 사용자가 동일한 위치에 계속 접촉하고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110)는 접촉 감지신호를 연속적으로(continuously) 생성한다. 한편, 연속적인 접촉은 사용자 가 어떤 구간을 문지르며 접촉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부(110)는 접촉 감지신호를 간헐적으로(continually) 생성할 수도 있고(단, 감지부(110)가 복수의 접촉 감지센서로 구현된 경우), 접촉 감지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단, 감지부(110)가 하나의 접촉 감지센서로 구현된 경우). 이 때, 접촉 감지신호가 간헐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연속적인 접촉으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접촉 감지신호의 생성이 중단된 시점과 재개된 시점간의 간격이 어느 일정 시간 미만이어야 한다.
제어부(120)는 궤적 분석부(122), 및 표시 지시부(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궤적 분석부(122)는 감지된 위치의 소정 시간 동안의 궤적(trajectory)을 분석한다. 설명의 편의상, 궤적 분석부(122)는 접촉 방향을 분석한다고 가정한다. 즉, 궤적 분석부(122)는 감지된 위치가 소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가를 분석한다고 가정한다.
표시 지시부(124)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 제어신호는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그 분석된 궤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제어부(120)가 생성하는 제어신호는, "소정 시간 동안의 감지된 결과"에만 상응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소정 시간 동안의 감지된 결과"와 "복수의 버튼(13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영상"에 상응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버튼(130)은 복수의 영상 예를 들어, N개의 영상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버튼(130-1, ..., 130-n, ..., 130-N)은 그 복수의 영상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서브 디스플레이부(미 도시)를 구비한다. 이 때, 서브 디스플레이부(미 도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panel)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앞서 언급한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의 감지된 결과"별로 저장한다.
결국, 제어부(120)는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소정 시간 동안의 감지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40)에서 독출하고,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0)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메인 디스플레이부(150)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출력 장치로서만 동작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이 입출력 장치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폴더형 휴대 전화기의 펼쳐진 모습의 일 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단말기(200)에는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식별번호 205, 210, 215, 220, 225, 230, 235, 240, 245, 250, 255, 260은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제10, 제11, 제12 버튼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12 버튼 모두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식별번호 270은 휴대 전화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창을 의미한다. 그러한 디스플레이 창은 도 1에 도시된 메인 디스플레이부(150)의 가능한 구현 례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감지부(110)의 구현 례를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에서, 빗금친 부분은 접촉 감지센서를 나타낸다. 도 3a의 경우, 접촉 감지센서들(310 내지 332)의 식별번호들을 표기하였으나, 도 3b 내지 도 3d의 경우, 접촉 감지센서의 식별번호는 생략하였다.
도 1에 도시된 감지부(110)는, 도 3a, 도 3b,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접촉 감지센서들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접촉 감지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접촉 감지센서는 도 3a 또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과 일체화될 수도 있고, 도 3b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의 프레임(frame)과 일체화될 수도 있다.
한편, 접촉 감지센서가 도 3a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된다면, 접촉 감지센서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 접촉 감지센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되었다고 가정한다.
도 5a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20) 내지 메인 디스플레이부(150) 의 동작을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다만, 이들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본 뒤로 미루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의 참고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에서, 저장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 모드별로 저장한다. 복수의 버튼(130)이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영상이 속할 수 있는 표시 모드는 다양하며, 그 다양한 표시 모드들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120), 및 저장부(140) 모두에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가 표시 모드별로 저장되어 있다면, 제어부(120)는 "소정 시간 동안의 감지된 결과(예를 들어, 분석된 궤적)"에 상응하는 표시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표시 모드에 속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40)에서 독출한다. 이 때, 그 결정된 표시 모드에 속하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부(140)에 다수 존재한다면, 제어부(120)는 그 다수의 영상 데이터 중 하나의 영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부(120)는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신호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와 그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버튼(130) 각각에 전달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버튼(130)은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제X-Y(단, X, Y는 자연수) 표시 모드는 제X 표시 모드의 하위 표시 모드이다. 따라서,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에서, "제1-1 표시 모 드, 제1-2 표시 모드, 제1-3 표시 모드의 카테고리", "제2-1 표시 모드, 제2-2 표시 모드, 제2-3 표시 모드의 카테고리", "제3-1 표시 모드, 제3-2 표시 모드, 제3-3 표시 모드의 카테고리"는 서로 구별된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모드는 한글 입력 모드이고, 제1-1 표시 모드는 한글 자음 입력 모드이고, 제1-2 표시 모드는 한글 모음 입력 모드이다. 마찬가지로, 제2 표시 모드는 알파벳 입력 모드이고, 제2-1 표시 모드는 알파벳 소문자 입력 모드이고, 제2-2 표시 모드는 알파벳 대문자 입력 모드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의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분석된 궤적이 제1 소정 궤적인가 아니면 제2 소정 궤적인가 판단한다. 이 경우, 분석된 궤적이 제1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버튼(130)은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을 그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에 상응하여 갱신한다. 반면, 분석된 궤적이 제2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버튼(130)은 언제나 일정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분석된 궤적이 제1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분석된 궤적"과 "복수의 버튼(13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분석된 궤적이 제2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분석된 궤적"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분석된 접촉 방향이 "상측(upward)" 또는 "하측(downward)"인 경 우, 복수의 버튼(13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은 그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을 고려하여 갱신된다. 도시된 바에서, 제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30)을 상측으로 문지른다면, 제4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30)을 하측으로 문지른다면, 제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다만, 분석된 접촉 방향이 "좌측(leftward)"인 경우, 복수의 버튼(13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은 그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과 무관하게 갱신된다. 도시된 바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30)을 좌측으로 문지른다면, 복수의 버튼(130)은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이 제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인지, 아니면 제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인지, 아니면 제4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인지에 관계없이, 제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결국, 도시된 바에서, "상측" 접촉 방향과 "하측"접촉 방향 각각은 제1 소정 궤적에 해당하고, "좌측" 접촉 방향은 제2 소정 궤적에 해당한다.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분석된 궤적이 제1 소정 궤적인가 아니면 제2 소정 궤적인가 판단한다. 이 경우, 분석된 궤적이 제1 소정 궤 적이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버튼(130)은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을 그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이 속한 카테고리(category)를 달리하며 갱신한다. 반면, 분석된 궤적이 제2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버튼(130)은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을 그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이 속한 카테고리를 유지하며 갱신한다.
제어부(120)는 분석된 궤적이 제1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는지 아니면 제2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는지에 관계없이, "분석된 궤적"과 "복수의 버튼(13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된 접촉 방향이 "상측"인 경우, 복수의 버튼(13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은 그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이 속한 카테고리와 다른 카테고리의 복수의 영상으로 갱신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30)을 상측으로 문지른다면, 제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제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은 제3-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3-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3-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으므로, 복수의 버튼(130)은 제3-1 표시 모드, 제3-2 표시 모드, 제3-3 표시 모드 중 사전에 대표 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된 표시 모드 예를 들어, 제3-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분석된 접촉 방향이 "하측"인 경우, 복수의 버튼(13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은 그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이 속한 카테고리와 다른 카테고리의 복수의 영상으로 갱신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30)을 하측으로 문지른다면, 제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제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은 제2-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2-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2-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으므로, 복수의 버튼(130)은 제2-1 표시 모드, 제2-2 표시 모드, 제2-3 표시 모드 중 사전에 대표 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된 표시 모드 예를 들어, 제2-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석된 접촉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rightward)"인 경우, 복수의 버튼(13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은 그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이 속한 카테고리를 유지하며 갱신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3-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30)을 좌측으로 문지른다면, 제3-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같은 원리로, 제2-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30)을 우측으로 문지른다면, 제2-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결국, 도시된 바에서, "상측" 접촉 방향과 "하측" 접촉 방향 각각은 제1 소 정 궤적에 해당하고, "좌측" 접촉 방향과 "우측" 접촉 방향 각각은 제2 소정 궤적에 해당한다.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3 실시예의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버튼(130)이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영상이 속한 카테고리는 "분석된 궤적을 이루는 그 감지된 위치들"에 상응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어떤 두 분석된 궤적(즉, 접촉 방향)이 동일할지라도 각각의 분석된 궤적을 이루는 그 감지된 위치들이 상이하다면, 그 두 분석된 궤적에 대해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분석된 궤적이 제1 소정 궤적인가 아니면 제2 소정 궤적인가 판단한다. 이 경우, 분석된 궤적이 제1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버튼(130)은 분석된 궤적을 이루는 그 감지된 위치들에 상응하는 카테고리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분석된 궤적이 제2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복수의 버튼(130)은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을 그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이 속한 카테고리를 유지하며 갱신한다.
제어부(120)는 분석된 궤적이 제1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분석된 궤적을 이루는 그 감지된 위치들"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분석된 궤적이 제2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분석된 궤적"과 "복수의 버튼(13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분석된 접촉 방향이 "상측" 또는 "하측"인 경우, 복수의 버튼(13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은 분석된 접촉 방향을 이루는 그 감지된 위치들에 상응하는 카테고리에 속한 복수의 영상으로 갱신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제2 열에 배치된 접촉 감지센서들(318 내지 324)을 상측으로 문지른다면, 제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제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은 제2-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2-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2-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으므로, 복수의 버튼(130)은 제2-1 표시 모드, 제2-2 표시 모드, 제2-3 표시 모드 중 사전에 대표 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된 표시 모드 예를 들어, 제2-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원리로, 제3-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제1 열에 배치된 접촉 감지센서들(310 내지 316)을 하측으로 문지른다면, 제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제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은 제1-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1-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1-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으므로, 복수의 버튼(130)은 제1-1 표시 모드, 제1-2 표시 모드, 제1-3 표시 모드 중 사전에 대표 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된 표시 모드 예를 들어, 제1-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석된 접촉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인 경우, 복수의 버튼(130)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은 그 현재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이 속한 카테고리를 유지하며 갱신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3-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30)을 좌측으로 문지른다면, 제3-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같은 원리로, 제2-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130)을 우측으로 문지른다면, 제2-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결국, 도시된 바에서, "상측" 접촉 방향과 "하측" 접촉 방향 각각은 제1 소정 궤적에 해당하고, "좌측" 접촉 방향과 "우측" 접촉 방향 각각은 제2 소정 궤적에 해당한다.
도 4d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4 실시예의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버튼(130)이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영상이 속한 카테고리는 "분석된 궤적을 이루는 그 감지된 위치들"에 상응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어떤 두 분석된 궤적(즉, 접촉 방향)이 동일할지라도 각각의 분석된 궤적을 이루는 그 감지된 위치들이 상이하다면, 그 두 분석된 궤적에 대해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제1 열에 배치된 접촉 감지센서들(310 내지 316)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문지른다면, 제1 표시 모드에 속 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제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은 제1-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1-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1-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으므로, 복수의 버튼(130)은 제1-1 표시 모드, 제1-2 표시 모드, 제1-3 표시 모드 중 사전에 대표 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된 표시 모드 예를 들어, 제1-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제1 열에 배치된 접촉 감지센서들(310 내지 316)을 상측(또는 하측)으로 문지른다면, 제1-1 표시 모드(또는 제1-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달리, 제1-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제2 열에 배치된 접촉 감지센서들(318 내지 324)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문지른다면, 제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제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은 제2-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2-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2-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으므로, 복수의 버튼(130)은 제2-1 표시 모드, 제2-2 표시 모드, 제2-3 표시 모드 중 사전에 대표 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된 표시 모드 예를 들어, 제2-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1-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은, 사용자가 제3 열에 배치된 접촉 감지센서들(318 내지 324)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문지른다면, 제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제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은 제3-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3-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고, 제3-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일 수도 있으므로, 복수의 버튼(130)은 제3-1 표시 모드, 제3-2 표시 모드, 제3-3 표시 모드 중 사전에 대표 모드(default mode)로 설정된 표시 모드 예를 들어, 제3-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e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5 실시예의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버튼(130)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이 버튼 개수보다 많을 경우, 복수의 버튼(130)은 그 버튼 개수의 영상을 가변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도시된 바에서, 각각의 직사각형은 버튼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의미한다. 108개의 직사각형들 중 점선으로 선택된 12개의 직사각형들(410, 420, 430, 440)은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12개의 영상의 일 례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모드는 한글 입력 모드이고, 제2 표시 모드는 알파벳 입력 모드이고, 제3 표시 모드는 특수 기호 입력 모드이며, 제1 표시 모드, 제2 표시 모드, 제3 표시 모드 각각의 하위 표시 모드는 존재하지 않으며, 분석된 궤적에 상응하는 표시 모드는 제3 표시 모드이고, 제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은 108개라고 가정하면, 복수의 버튼(130)은 108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게 된다.
하지만,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은 12개의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하나의 버튼을 소정 시간동안 누르면, 그 디스플레이되는 12개의 영상은 "그 버튼의 12개의 버튼상에서의 위치"와 "소정 시간"에 상응하여 갱신된다.
도시된 바에서, 식별번호 410이 지시하는 1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제1 버튼(205)을 소정 시간동안 누르면, 식별번호 420이 지시하는 1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식별번호 410이 지시하는 1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제12 버튼(260)을 소정 시간동안 누르면, 식별번호 430이 지시하는 1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비슷하게, 식별번호 410이 지시하는 1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제8 버튼(240)을 소정 시간동안 누르면, 식별번호 440이 지시하는 1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g는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5시에 Coffee 어때? *^^*"라는 문자 메시지를 발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들을 도 4b 및 도 4e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제5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에서, 제1 표시 모드는 한글 입력 모드이고, 제 1-1 표시 모드는 한글 자음 입력 모드이고, 제1-2 표시 모드는 한글 모음 입력 모드이고, 제2 표시 모드는 알파벳 입력 모드이고, 제2-1 표시 모드는 알파벳 소문자 입력 모드이고, 제2-2 표시 모드는 알파벳 대문자 입력 모드이고, 제3 표시 모드는 기타 문자 입력 모드이고, 제3-1 표시 모드는 기호 입력 모드이고, 제3-2 표시 모드는 이모티콘(emoticon) 입력 모드이고, 제3-3 표시 모드는 숫자 입력 모드라 가정한다.
만일, 복수의 버튼(130)이 제3-3 표시 모드가 속한 카테고리와 다른 카테고리의 영상 예를 들어, 제2-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면(도 5d 참조), 사용자는 복수의 버튼(130)을 하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제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 이 때, 제3-1 표시 모드, 제3-2 표시 모드, 제3-3 표시 모드의 대표 모드가 제3-3 표시 모드 이외의 표시 모드 예를 들어, 제3-1 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기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우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숫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g 참조).
마찬가지로, 만일 복수의 버튼(130)이 제3-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은 아니면서 제3-3 표시 모드가 속한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의 영상 예를 들어, 제3-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면(도 5e 참조), 사용자는 복수의 버튼(130)을 좌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숫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g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숫자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제6 버 튼(230)을 조작하여 5를 입력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숫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하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제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 이 때, 제1-1 표시 모드, 제1-2 표시 모드의 대표 모드가 제1-1 표시 모드 이외의 표시 모드 예를 들어, 제1-2 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한글 모음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우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한글 자음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a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한글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제3 버튼(215)를 조작하여 ㅅ을 입력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한글 자음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좌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한글 모음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b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한글 모음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제1 버튼(205)를 조작하여ㅣ를 입력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한글 모음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우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한글 자음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a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한글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제7 버튼(235)를 조작하여 ㅇ를 입력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한글 자음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좌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한글 모음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b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한글 모음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ㅔ를 입력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도 5b에 ㅔ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도 5b에 도시된 제1 버튼(205) 내지 제12 버튼(260) 중 어느 한 버튼을 계속 눌러, 복수의 버튼(130)가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영상에 ㅔ가 포함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ㅔ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ㅔ를 입력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한글 모음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하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제2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 이 때, 제2-1 표시 모드, 제2-2 표시 모드의 대표 모드가 제2-1 표시 모드 이외의 표시 모드 예를 들어, 제2-1 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알파벳 소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좌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알파벳 대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d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알파벳 대문자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제9 버튼(245)를 조작하여 C를 입력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알파벳 대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우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알파벳 소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c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알파벳 소문자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o를 입력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도 5c에 o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도 5c에 도시된 제1 버튼(205) 내지 제12 버튼(260) 중 어느 한 버튼을 계속 눌러, 복수의 버튼(130)가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영상에 o가 포함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o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o를 입력시킨다.
이와 같은 원리로, 사용자는 ffee도 입력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알파벳 소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상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제1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 이 때, 제1-1 표시 모드, 제1-2 표시 모드의 대표 모드가 제1-1 표시 모드 이외의 표시 모드 예를 들어, 제1-2 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한글 모음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우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한글 자음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a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한글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제7 버튼(235)를 조작하여 ㅇ를 입력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한글 자음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좌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한글 모음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b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한글 모음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제2 버튼(210)을 조작하여 ㅓ를 입력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한글 모음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우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한글 자음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a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한글 자음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ㄸ을 입력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도 5a에 ㄸ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도 5a에 도시된 제1 버튼(205) 내지 제12 버튼(260) 중 어느 한 버튼을 계속 눌러, 복수의 버튼(130)가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영상에 ㄸ가 포함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ㄸ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ㄸ을 입력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한글 자음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좌측으 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한글 모음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b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한글 모음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제10 버튼(250)을 조작하여 ㅐ를 입력시킨다.
이 후, 사용자는 한글 모음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상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제3 표시 모드에 속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 이 때, 제3-1 표시 모드, 제3-2 표시 모드, 제3-3 표시 모드의 대표 모드가 제3-1 표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복수의 버튼(130)은 기호들을 디스플레이한다(도 5e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기호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제6 버튼(230)을 조작하여 ?를 입력시킬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기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130)을 좌측으로 문질러, 복수의 버튼(130)이 이모티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야 한다(도 5f 참조).
이처럼, 복수의 버튼(130)에 이모티콘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제1 버튼(205)를 조작하여 *^^*를 입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된 원리와 같은 원리로, 도 5a 내지 도 5g에 도시된 바들은 도 4a 및 도 4e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제5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될 수도 있고, 도 4c 및 도 4e에 도시된 제3 실시예와 제5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될 수도 있고,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제4 실시예와 제5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될 수도 있다.
다만, 도 5a 내지 도 5g에 도시된 바들을 도 4a 및 도 4e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와 제5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기 위해서는, 한글 입력 모드라는 제1 표시 모드 내에 하위 표시 모드들이 존재하지 않고, 알파벳 입력 모드라는 제2 표시 모드 내에 하위 표시 모드들이 존재하지 않고, 기타 문자 입력 모드라는 제3 표시 모드 내에 하위 표시 모드들이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이 경우, 복수의 버튼(130)에 도 5a에 도시된 바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어느 한 버튼을 계속 눌러, 복수의 버튼(130)이 도 5b에 도시된 바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버튼(130)에 도 5c에 도시된 바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어느 한 버튼을 계속 눌러, 복수의 버튼(130)이 도 5d에 도시된 바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복수의 버튼(130)에 도 5e에 도시된 바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어느 한 버튼을 계속 눌러, 복수의 버튼(130)이 도 5f에 도시된 바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5g에 도시된 바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를 이용하여 브라우징(browsing)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도 1, 및 도 4e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110)는 단말기에 입력 가능한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 예를 들어, 문자를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는 표시 모드별로 저장할 수 있으나, 단말기에 입력 불가능한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 예를 들어, 사진과 같은 정지영상이나 촬영된 동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는 표시 모드별로 저장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에서, 휴대 전화기에는 108개의 사진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은 최대 12개의 사진 이미지를 디스플레 이할 수 있을 뿐이므로, 사용자가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을 통해 108개의 사진 이미지를 모두 브라우징할 수 있기 위해서는,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은 12개의 영상을 가변적으로 디스플레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하나의 버튼을 소정 시간동안 계속 누르거나, 복수의 버튼을 어떤 방향으로 문지를 수 있다.
예컨대, 식별번호 410이 지시하는 12개의 사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제1 버튼(205)을 소정 시간동안 누르거나 제6 버튼(230)에서 제1 버튼(205) 방향으로 버튼들을 문지르면, 식별번호 420이 지시하는 12개의 사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식별번호 410이 지시하는 1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제12 버튼(260)을 소정 시간동안 누르거나 제7 버튼(235)에서 제12 버튼(260) 방향으로 버튼들을 문지르면, 식별번호 430이 지시하는 1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비슷하게, 식별번호 410이 지시하는 1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12개의 버튼(205 내지 260)은, 사용자가 제8버튼(240)을 소정 시간동안 누르거나 제6 버튼(230)에서 제8 버튼(240) 방향으로 버튼들을 문지르면, 식별번호 440이 지시하는 12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의 복수의 버튼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 중 선택된 영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 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에서 어떤 사진 이미지 예를 들어, 제1 버튼(205)에 디스플레이된 사진 이미지를 선택하면, 선택된 사진 이미지는 디스플레 이 창(27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버튼(205 내지 260)에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단말기에 소정 시간 동안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 그 접촉이 어떤 경로를 따라 이루어졌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복수의 영상을 그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들(제810~ 830 단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부(110)는 단말기에의 접촉을 감지한다(제810 단계). 만일, 제810 단계가 소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수행되면, 제어부(120)는 그 소정 시간 동안의 감지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40)에서 독출한다(제820 단계).
제820 단계 후에, 복수의 버튼(130)은 제820 단계에서 독출된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제830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 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이 아무리 많더라도 버튼의 크기가 줄어들 필요가 없어, 버튼 조작을 하는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버튼의 용도가 버튼의 표면에 표기되지 않고 버튼 전체에 가변적으로 디스플레이되므로, 용도가 버튼에 작게 표기되던 종래에 버튼의 용도를 식별함에 곤란을 겪었던 사용자라도 버튼의 용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그 버튼의 용도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사용자가 현재 조작하고자 하는 용도를 예상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버튼 조작을 위해 동일한 버튼을 반복적으로 누르는 번거로움을 감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에 구비되어야 하는 버튼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단말기의 소형화를 통한 시장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1)

  1.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에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및
    (b)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감지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접촉이 이루어진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감지된 위치의 상기 소정 시간 동안의 궤적을 분석하는 단계; 및
    (b2) 상기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분석된 궤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분석된 궤적이 제1 소정 궤적인가 아니면 제2 소정 궤적인가 판단하고,
    상기 (b2) 단계는
    (b21) 상기 분석된 궤적이 상기 제1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영상에 상응하여 갱신 하는 단계; 및
    (b22) 상기 분석된 궤적이 상기 제2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일정한 상기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분석된 궤적이 제1 소정 궤적인가 아니면 제2 소정 궤적인가 판단하고,
    상기 (b2) 단계는
    (b21) 상기 분석된 궤적이 상기 제1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영상이 속한 카테고리를 달리하며 갱신하는 단계; 및
    (b22) 상기 분석된 궤적이 상기 제2 소정 궤적이라고 판단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영상을 현재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영상이 속한 카테고리를 유지하며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분석된 궤적을 이루는 상기 감지된 위치들에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은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선 택된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부;
    복수의 영상을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버튼; 및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감지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접촉이 이루어진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위치의 상기 소정 시간 동안의 궤적을 분석하는 궤적 분석부; 및
    상기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분석된 궤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지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하나 이상의 접촉 감지센서로 구현되고, 상기 접촉 감지센서는 상기 버튼 또는 상기 단말기의 프레임에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튼은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선택된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11.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에의 접촉을 감지하는 단계; 및
    (b) 미리 마련된 영상 데이터 중 소정 시간 동안의 상기 감지된 결과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복수의 영상을 상기 복수의 버튼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69976A 2005-11-01 2006-07-25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0118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4520 WO2007052958A1 (en) 2005-11-01 2006-11-01 Device having display buttons and display method and medium for the device
EP06812359A EP1943817A4 (en) 2005-11-01 2006-11-01 DEVICE WITH DISPLAY BUTTONS AND DISPLAY METHOD AND MEDIUM FOR SETUP
US11/590,828 US20080186281A1 (en) 2005-11-01 2006-11-01 Device having display buttons and display method and medium for the device
JP2008538818A JP2009514119A (ja) 2005-11-01 2006-11-01 ディスプレイ機能を有するボタンを具備した端末機及びこ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822 2005-11-01
KR20050103822 2005-11-01
KR1020050129005 2005-12-23
KR20050129005 2005-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204A KR20070047204A (ko) 2007-05-04
KR101187579B1 true KR101187579B1 (ko) 2012-10-02

Family

ID=3827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976A KR101187579B1 (ko) 2005-11-01 2006-07-25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86281A1 (ko)
JP (1) JP2009514119A (ko)
KR (1) KR101187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145B1 (ko) * 2006-10-02 200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JP2009169451A (ja) * 2008-01-10 2009-07-30 Panasonic Corp 携帯端末および文字入力方法
US20130100043A1 (en) * 2011-10-24 2013-04-2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valid touch screen inputs
KR101315238B1 (ko) * 2012-02-29 2013-10-07 주식회사 마블덱스 센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166A (ja) 2000-05-24 2001-11-30 Toshiba Corp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US20030107500A1 (en) 2001-12-12 2003-06-12 Lee Jae Wook Keypad assembly with supplementary butt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8514A (ja) * 1990-10-31 1992-06-16 Chubu Nippon Denki Software Kk 液晶パネル付キーボード
KR950001730B1 (ko) * 1991-06-08 1995-02-28 주식회사 일진 옵티컬 인텔리젠트 키보드 구조체
JPH05303925A (ja) * 1992-04-28 1993-11-16 Mita Ind Co Ltd 操作装置
JPH1027053A (ja) * 1996-07-10 1998-01-27 Toshiba Eng Co Ltd キーボード装置
EP1016066A4 (en) * 1997-03-31 2001-06-13 G & R Associates Inc COMPUTER / TELEPHONE INTEGRATION WITH INTELLIGENT KEYBOARD, AND ASSOCIATED METHOD
JPH11194883A (ja) * 1998-01-06 1999-07-21 Poseidon Technical Systems:Kk タッチ操作型コンピュータ
US5914676A (en) * 1998-01-22 1999-06-22 Sony Corporation Multi-language display keypad
JP2001076582A (ja) * 1999-09-01 2001-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
US6798359B1 (en) * 2000-10-17 2004-09-28 Swedish Keys Llc Control unit with variable visual indicator
JP4693217B2 (ja) * 2000-09-14 2011-06-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携帯型の電子装置
JP4383683B2 (ja) * 2001-03-12 2009-12-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JP2003162360A (ja) * 2001-11-27 2003-06-06 Toppan Printing Co Ltd 携帯用端末
JP2003271295A (ja) * 2002-03-18 2003-09-26 Nec Commun Syst Ltd 携帯情報端末
JP2003316502A (ja) * 2002-04-25 2003-11-07 Sony Corp 端末装置、文字入力方法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US11275405B2 (en) * 2005-03-04 2022-03-15 Apple Inc.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US7895536B2 (en) * 2003-01-08 2011-02-22 Autodesk, Inc. Layer editor system for a pen-based computer
US6969824B2 (en) * 2003-07-16 2005-11-29 Lincoln Global, Inc. Locking device for latch assembly
JP2005227899A (ja) * 2004-02-10 2005-08-25 Vodafone Kk 情報通信端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166A (ja) 2000-05-24 2001-11-30 Toshiba Corp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US20030107500A1 (en) 2001-12-12 2003-06-12 Lee Jae Wook Keypad assembly with supplementary button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14119A (ja) 2009-04-02
KR20070047204A (ko) 2007-05-04
US20080186281A1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22B1 (ko) 휴대용 전자 장치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925078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xtended user interface
CN101606124B (zh) 多窗口管理装置及信息处理装置
KR101176532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키입력 방법
US8739053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object between two display unit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49781B1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10037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using touch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CN102129311A (zh) 信息处理设备、操作输入方法和操作输入程序
KR1008026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4054589A (ja)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JP2009129443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入力受信方法、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タッチスクリーン付き電子装置と、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タッチスクリーンの入力システム
KR101187579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및 이를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EP345767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uch oper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703289B1 (ko) 문자 효과 아이템 입력 방법 및 장치
US11379107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2011028356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要素の装飾方法
KR101358506B1 (ko) 필기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59010B1 (ko) 필기 인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5089B1 (ko) 이동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WO2007052958A1 (en) Device having display buttons and display method and medium for the device
JP2009141441A (ja) 文字入力・機能操作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CN101300818A (zh) 具有显示按钮的装置以及该装置的显示方法和介质
CN101286102B (zh) 一种用于手写识别的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