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565B1 - 스탠딩 파우치 - Google Patents

스탠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565B1
KR101187565B1 KR1020100034079A KR20100034079A KR101187565B1 KR 101187565 B1 KR101187565 B1 KR 101187565B1 KR 1020100034079 A KR1020100034079 A KR 1020100034079A KR 20100034079 A KR20100034079 A KR 20100034079A KR 101187565 B1 KR101187565 B1 KR 101187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thelial
temperature control
sealed
standing pouch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762A (ko
Inventor
조병철
조병구
조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Priority to KR102010003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565B1/ko
Priority to JP2011015249A priority patent/JP5763930B2/ja
Priority to US13/019,394 priority patent/US9334087B2/en
Priority to CN201110036155.7A priority patent/CN102190111B/zh
Publication of KR2011011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스탠딩 파우치를 개신한다. 개시된 스탠딩 파우치는, 내용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내피 및 제2내피를 포함하는 제1팩과; 제1온도조절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피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외피와;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에 배치된 제1온도조절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온도조절체와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액체를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제1온도조조절공간 내에 수용하지 않으며,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1외피는 밀봉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탠딩 파우치{STANDING POUCH}
본 발명은 스탠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토르트 식품과 같은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스탠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스탠딩 파우치는 별도의 보조기구의 도움 없이도 그 자체의 형상으로 기립 가능한 파우치이다.
스탠딩 파우치는 그 내부에 내용물(가령,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된 상기 내용물을 데우거나 냉각시키기 위한 흡열체 또는 발열체와; 상기 흡열체 또는 상기 발열체를 흡열 또는 발열반응 시키기 위한 반응액체와; 상기 반응액체를 포장하는 반응액체 포장부를 내장한다.
그런데, 상기 반응액체 포장부가 운반 도장 파손되어 반응액체가 누설되는 경우 예상치 못한 발열반응 또는 흡열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반응액체의 무게가 상당하므로 운반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 내에 레토르트 식품을 수용하고자 하는 경우, 살균 또는 멸균처리 과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스탠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상치 못한 발열반응 또는 흡열반응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스탠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토르트 식품을 위생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스탠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탠딩 파우치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내피 및 제2내피를 포함하는 제1팩과; 제1온도조절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피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외피 와;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에 배치된 제1온도조절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온도조절체와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액체를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제1온도조조절공간 내에 수용하지 않으며,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1외피는 밀봉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파우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내피와 상기 제1외피 사이의 밀봉 처리된 밀봉부분의 폭이 횡방향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내피, 상기 제2내피 및 상기 제1외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이 개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내피와 상기 제1외피를 횡방향으로 파단시키는 제1파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내피와 상기 제1외피를 횡방향으로 파단하더라도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가 서로 밀폐되도록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가 밀봉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밀폐된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를 상기 횡방향으로 파단하기 위한 제2파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온도조절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내피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외피와;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에 배치된 제2온도조절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제2내피 및 상기 제2외피는 밀봉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내피와 상기 제2외피 사이의 밀봉 처리된 밀봉부분이 상기 횡방향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외피 및 상기 제2외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및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팩, 상기 제1외피 및 상기 제2외피를 상기 횡방향으로 파단시키는 제1파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파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팩, 상기 제1외피 및 상기 제2외피를 상기 횡방향으로 파단하는 경우,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가 서로 밀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가 밀봉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밀봉된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를 상기 횡방향으로 파단하기 위해 상기 제1외피 및 상기 제2외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제2파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탠딩 파우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게 및 부피를 상대적으로 많이 차지하는 반응액체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둘째, 예상치 못한 발열반응 또는 흡열반응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셋째, 레토르트 식품을 위생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레토르트 식품 포장 전후 상기 스탠딩 파우치를 살균처리 하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파우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탠딩 파우치의 Ⅱ-Ⅱ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탠딩 파우치의 Ⅲ-Ⅲ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스탠딩 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포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4c 및 도 4d는, 내용물이 포장된 도 1의 스탠딩 파우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파우치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스탠딩 파우치의 Ⅵ-Ⅵ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스탠딩 파우치의 Ⅶ-Ⅶ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스탠딩 파우치의 Ⅷ-Ⅷ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5의 스탠딩 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포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9c는, 내용물이 포장된 도 5의 스탠딩 파우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파우치의 개략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스탠딩 파우치에 내용물을 충진하여 포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12는, 내용물이 포장된 도 10의 스탠딩 파우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파우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파우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수용가능한 수용공간(P)을 형성하는 제1내피(111) 및 제2내피(113)를 포함하는 제1팩(110)과; 제1온도조절공간(S1)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피(111)에 대향 배치된 제1외피(131)와;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에 배치된 제1온도조절체(14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내피(113)는 후술할 제2실시예의 스탠딩 파우치(도 5의 100a)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호칭한 것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스탠딩 파우치(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한정해석 해서는 안된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이 밀폐되도록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1외피(131)는 밀봉 처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1외피(131)의 상하부 및 좌우측부가 모두 실링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밀봉처리는 열융착, 초음파융착 및 기타 공지된 다른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1외피(131)간의 밀봉(실링)처리된 부분 중 상부 밀봉 부분(151, 153)은 횡방향을 따라 그 폭(H1, H2)이 달라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의 폭(H1)이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의 폭(H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에서 발열반응이 생성되는 경우 발생하는 증기를 보다 더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 내에 머무르게 하여 발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의 횡방향 길이부분(W)에 해당하는 개구가 후술할 반응액체를 투입 가능한 부분이 되는 동시에 발열반응시 생성되는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의 폭(H1)과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의 폭(H2)을 같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및 PET와 같은 합성수지 일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재질의 가요성 필름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박막이 코팅된 가요성 필름일 수도 있다.
상기 제1외피(131)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및 PET와 같은 합성수지 일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재질의 가요성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조절체(140)는 후술할 반응액체와 발열반응하는 발열체 또는 반응액체와 흡열반응 하는 흡열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 및 상기 흡열체는 상기 수용공간(P)에 투입되는 내용물의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므로 온도조절체로 통칭 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로는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철 및 알루미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액체와 발열반응 하는 것이면 상술한 것 외에도 다른 물질로 치환 또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체로서 발열체가 사용되는 경우 발열반응에 의해 상기 제1외피(131)가 뜨거워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외피(131)의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단열재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흡열체로는 암모늄나이트레이트(N제3밀봉부분NO3), 소듐아세테이트(NaOAc) 및 유레어(ure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조절체(140)는 상기 온도조절체(141)와; 상기 온도조절체(141)를 둘러싸는 부직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143)는 흡습성이 있어 반응액체를 흡수하여 그 내부에 수용된 발열체 또는 흡열체와 반응액체가 화학반응을 용이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부직포(143)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143) 대신에 흡습성을 갖는 다른 재질로 치환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팩(110)은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의 하부에 각각 결합하는 하부내피(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내피(115)는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의 하부를 서로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파우치(100)가 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는 상기 제1내피(111), 상기 제2내피(113) 및 상기 제1외피(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이 개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내피(111)와 상기 제1외피(131)를 횡방향으로 파단시키는 제1파단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파단부(160)는 상기 제1외피(131)에 형성된 제1노치(161)와; 상기 제1노치(16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1외피(131)의 상기 횡방향 파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1파단선(163)을 포함한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노치(161) 및 상기 제1단선(163)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파단선(163)은 상기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미세한 파단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1파단선(163)을 따라서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1외피(131)를 파단함으로써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파단선(163)은 상기 제1노치(161) 부위가 파단될 때 상기 제1파단선(163)에 대응하는 선을 따라 상기 제1외피(131), 상기 제1 및 제2내피(111, 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단홈(미도시)을 통해 이물질이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으로 유입되거나 상기 파단홈(미도시)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P)에 수용될 후술할 내용물(C)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파단부(160)를 이용하여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를 파단하는 경우,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 외에 상기 수용공간(P)도 함께 개방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할, 상기 제1내피(111)와 상기 제2내피(113)의 제3밀봉부분(152)의 밀봉 폭(도 4b의 H3)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제1파단선(163)은 파단대상이 되는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1외피(131)에만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내피(113)에도 상기 제1파단선(16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는 상기 제1내피(111), 상기 제2내피(113) 및 상기 제1외피(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공간(P)이 개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내피(111)와 상기 제2내피(113)를 횡방향으로 파단시키는 제2파단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파단부(16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내피(111)와 상기 제1외피(131)를 횡방향으로 파단하는 경우,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가 서로 밀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가 밀봉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2파단부(170)를 이용하여 상기 스탠딩파우치(100)를 파단시키지 않는 이상,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가 밀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그 내부에 투입된 레토트르 음식물이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제2파단부(170)는 상기 제1외피(131)에 형성된 제2노치(171)와; 상기 제2노치(17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의 상기 횡방향 파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2파단선(17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파단선(173)대로 파단하게 되면 상기 제1외피(131)도 상기 제1 및 제2내피(111, 113)와 함께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파단선(173)은 상기 제1외피(131)에도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2노치(171) 및 상기 제1단선(173)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파단선(173)은 상기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미세한 파단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2파단선(173)을 따라서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를 파단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P)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파단부(170)는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 가령,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단부(160)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를 파단하면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과 함께 상기 수용공간(P)도 개방되게 하는 경우, 상기 제2파단부(170)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이용하여,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를 이용한 레토르트 식품 포장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를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레토르트 식품을 투입하기 전에는 상기 수용공간(P)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의 상부를 실링처리 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S1, S2)은 밀폐 되어 있는 바, 후술할 레트로트 식품(C)을 투입하기 전에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를 운반하는 과정 중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예상치 못한 발열 또는 흡열반응과 같은 온도조절반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의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 사이의 상기 수용공간(P)에 레트로트 식품(C)을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의 예로서 카레, 밥, 국 등을 들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제1내피(111)와 상기 제2내피(113)의 상부를 실링 처리하여 상기 수용공간(P)을 밀폐한다.
여기서, 상기 제1내피(111)와 상기 제2내피(113)의 제3상부 밀봉부분(152)의 폭(H3)이 상기 제1외피(131)와 상기 제1내피(111) 간의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의 폭(H1)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파우치(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3상부 밀봉부분(152)에 의해서 실링되는 하단부의 거리(H3)는, 상기 파우치(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1상부밀봉부분(151)에 의해 실링되는 하단부의 거리(H1)보다는 길고, 상기 파우치(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에 의해 실링되는 하단부의 거리(H2)보다는 짧다. 즉, H1<H3<H2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제1상부밀봉부분(151), 상기 제2상부밀봉부분(153) 및 상기 제3상부 밀봉부분(152)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100) 상단에서 상기 제1파단부(160)의 상기 제1파단선(163)까지의 거리(L1)는, 상기 파우치(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1상부밀봉부분(151)에 의해 실링되는 하단부의 거리(H1)보다는 길고 상기 파우치(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3밀봉부분(152)에 의해서 실링되는 하단부의 거리(H3)보다는 짧다. 즉, H1<L1<H3<H2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제1파단부(160)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100) 상단에서 상기 제2파단부(170)의 상기 제2파단선(173)까지의 거리(L2)는 상기 파우치(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2상부밀봉부분(153)에 의해 실링되는 하단부까지의 거리(H2)보다는 길다. 즉, L2>H2가 되도록 상기 제2파단부(170)를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b와 같이, 스탠딩 파우치(100)로 그 내부에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을 포장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포장된 스탠딩 파우치(100) 전체를 살균처리한다.
여기서, 살균처리는 고온 고압의 증기를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에 분사하거나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를 뜨거운 물에 중탕함으로써 가능하다. 살균 또는 멸균처리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살균처리공정은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을 투입하기 전,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 내의 수용공간(P)을 살균하기 위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4c 및 도 4d를 이용하여, 레토르트 식품(C)이 포장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를 이용하여 레토르트 식품(C) 섭취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의 상기 제1파단부(160)를 절취한다.
이에 따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이 상측을 향해 개방된다. 물론, 개방되는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제1상부 밀봉부분(151)의 횡방향 길이부분(W)에 해당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에 내장된 상기 제1온도조절체(140)와 발열반응 또는 흡열반응이 일어나도록 반응액체(V, 가령, 물)를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에 붓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에서 발생하는 발열반응 또는 흡열반응에 의해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이 가열 또는 냉각된다.
여기서, 상기 제1파단부(160)를 파단하더라도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의 제3상부 밀봉부분(152)의 일부분은 소정폭(H3-L1)만큼 남게 되어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에, 도 1에 도시된 제2파단부(160)를 이용하여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를 절취한다.
이에 따라,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된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의 상부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가열 또는 냉각된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을 섭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P)에 수용되는 내용물로서 레토르트 식품(C)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가열 또는 냉각되면 그 효용성이 증대되는 식품(국, 카레, 밥 등), 미용 마스크팩 등이 상기 내용물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는 반드시 내용물이 상기 수용공간(P)에 투입된 상태로 출시될 필요는 없고,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임의의 내용물을 상기 수용공간(P)에 투입한 후 상기 제1파단부(160)를 절취하여 상기 투입된 내용물을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이 밀폐된 상태로 유통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발열 또는 흡열반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응액체에 의한 무게 및 부피 증가에 따른 유통 곤란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파우치(100a)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P)을 형성하는 제1내피(111) 및 제2내피(113)를 포함하는 제1팩(110)과; 제1온도조절공간(S1)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피(111)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외피(131)와; 제2온도조절공간(S2)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피(111)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외피(133)와;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S1, S2)에 각각 배치된 제1온도조절체(140) 및 제2온도조절체(1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S1, S2)이 모두 밀폐되도록 상기 제1내피(111)와 상기 제1외피(131)사이 및 상기 제2내피(113)와 상기 제2외피(133)사이는 서로 밀봉 처리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경우 온도조절공간(S1, S2)이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P)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배치되므로 보다 빠른 시간에 상기 내용물을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S1, S2)에서 각각 발열반응 및 흡열반응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용물의 전후를 독립적으로 가열 및 냉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에 형성되어,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 및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S2)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공(183)과; 상기 연통공(183) 주위로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를 실링 처리한 연통공 실링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 및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S2)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반응액체를 투입하면 상기 연통공(183)을 통해서 다른 하나로도 상기 반응액체가 유입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 및 제2온도조절공간(S2)에서 거의 동시에 발열반응 또는 흡열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제2실시예의 스탠딩 파우치(100a)도 상술한 제1실시예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외피(131)와 상기 제1내피(111)의 상부는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a)의 횡방향을 따라 밀봉되어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 및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의 폭(H1)이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의 폭(H2)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의 횡방향 길이부분(W)이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의 그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상기 제2외피(133)와 상기 제2내피(113)사이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외피(131)와 상기 제1내피(111) 사이의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과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과 같이 밀봉처리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2외피(133)와 상기 제2내피(113) 사이의 밀봉처리가 상기 제1외피(131)와 상기 제1내피(111) 사이의 그것과는 다르게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파우치(100a)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 후술할 제3상부밀봉부분(157) 및 상기 제1파단부(160)까지의 각각의 거리(H1, H2, H4 및 L1)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면 H1<H4<L1<H2로 간단히 설명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우치(100a)의 상단에서부터 후술할 제3상부 밀봉부분(도 9b의 157)까지의 거리(H4)는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까지의 거리(H1)보다는 길고, 상기 파우치(100a)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까지의 거리(H2)보다는 짧다.
상기 제3상부 밀봉부분(157)은 레토르트 식품(C)과 같은 내용물을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 사이의 수용공간(P)에 투입하고 나서 상기 수용공간(P)을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내피(111, 113) 만을 밀봉처리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및 제2외피(131, 133)도 함께 실링처리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외피(131, 133)도 함께 실링처리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 및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은 도 9a에 도시된 레트르트 식품(C)과 같은 내용물을 상기 수용공간(P)에 투입하기 전에 이미 실링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상부 밀봉부분(157)은 레토르식 식품(C)과 같은 내용물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공간(P)을 밀폐하기 위해 실링처리된다.
또한, 상기 파우치(100a)의 상단에서부터 후술할 제3상부 밀봉부분(도 9b의 157)까지의 거리(H4)는 상기 제1파단부(160)(정확하게는 상기 제1파단선(163))까지의 거리(L1)보다 짧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100a)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1파단부(160)까지의 거리(L1)는 상기 파우치(100a)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까지의 거리(H2)보다는 짧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파단부(160)를 이용하여 상기 파우치(100a)를 파단하면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의 횡방향 부분(W)에 해당하는 상기 제1외피(131) 및 상기 제1내피(111) 사이, 즉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이 개방된다. 물론,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S2)도 동일하게 개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실시예의 스탠딩 파우치(100a)의 경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파단부(170)가 생략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여 레토르트 식품(C)을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a)에 투입하여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을 포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2실시예의 스탠딩 파우치(100a)를 준비한다.
그 다음으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a)의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을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이 투입된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의 상부를 밀봉처리하여 제3상부 밀봉부분(157)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3상부 밀봉부분(157)은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사이에 형성하는 것 외에도 상기 제1내피(111)와 상기 제1외피(131) 사이 및 상기 제2내피(113)와 상기 제2외피(133) 사이에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P)이 밀봉된 스탠딩 파우치(100a)를 얻을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이 수용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a)를 살균처리한다.
한편, 도 5 및 도 9c를 참조하여, 살균처리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a)에 내장된 레토르트 식품(C)을 섭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제1파단부(160)를 절취하여 상기 스탠당 파우치(100a)를 파단한다.
이에 따라,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S1, S2)과 함께 동시에 수용공간(P)도 개방되게 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00a)의 상단에서부터 후술할 제3상부 밀봉부분(도 9b의 157)까지의 거리(H4)가 상기 제1파단선(163))까지의 거리(L1)보다 짧기 때문에 상기 제1파단부(160)를 파단하면 상기 수용공간(P)도 개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S1) 및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S2) 중 어느 한 곳에 반응액체(도 9c의 V, 가령, 물)를 투입한다. 투입된 반응액체는 상기 연통공(183)을 통해 다른 온도조절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S1, S2)에서 발열 또는 흡열반응이 일어나게 한다.
그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발열 또는 흡열반응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상기 레트로트 식품(C)을 섭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체로서 발열체가 사용되는 경우 발열반응에 의해 상기 제1외피(131) 및 상기 제2외피(133)가 뜨거워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및 제2외피(131, 133)의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단열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파우치(100b)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탠딩 파우치(100a)와 비교하여 제2파단부(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파단부(17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파단부(170)는 상기 제1외피(131)에 형성된 제2노치(171)와; 상기 제2노치(17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의 상기 횡방향 파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2파단선(17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파단선(173)대로 파단하게 되면 상기 제1외피(131)도 상기 제1 및 제2내피(111, 113)와 함께 파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파단선(173)은 상기 제1외피(131)에도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2노치(171) 및 상기 제1단선(173)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파단선(173)은 상기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미세한 파단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2파단선(173)을 따라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b)를 파단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P)을 개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파단부(160)는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S1, S2) 중 적어도 어느 한 공간을 개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파단부(170)는 상기 수용공간(P)을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실시예의 스탠딩 파우치(100b)는 제2실시예의 그것(100a)과 비교하여, 상기 수용공간(P)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를 밀봉하는 제3상부 밀봉부분(158)의 실링폭(H5)이 상이하다.
상기 제1 및 제2내피(111, 113)의 제3상부 실링부분(159)의 실링폭(H5)(상기 파우치(100b)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제3상부 실링부분(159) 하단까지의 거리)은, 상기 파우치(100b)의 상단에서 상기 제2파단선(173)까지의 종방향 거리(L2)보다 짧고, 상기 파우치(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2밀봉부분(153)에 의해서 실링되는 하단부의 거리(H2)보다는 길다. 즉, H2<H5<L2의 관계가 성립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3상부 밀봉부분(158)은 상기 제1외피(131)와 상기 제1내피(111) 사이 및 상기 제2내피(113)와 상기 제2외피(133) 사이를 상기 파우치(100b)의 폭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한번 더 실링하기 위한 추가밀봉부분(159)을 더 포함할 있다. 여기서, 상기 파우치(100b)의 상단에서부터 종방향으로 추가밀봉부분(159)까지의 거리(H6)는, 상기 파우치(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1상부밀봉부분(151)에 의해 실링되는 하단부의 거리(H1)보다는 길고 상기 파우치(100)의 상단에서 상기 제2밀봉부분(153)에 의해서 실링되는 하단부의 거리(H2)보다는 짧다. 또한, 상기 파우치(100b)의 상단에서부터 종방향으로 추가밀봉부분(159)까지의 거리(H6)는, 상기 제1파단선(163)까지의 거리(L1)보다 짧다. 즉, H1<H6<L1<H2의 관계가 성립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추가밀봉부분(159)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추가밀봉부분(159) 영역은 상기 제2상부밀봉부분(153)으로 유지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3실시예의 스탠딩 파우치(100b)를 이용하여 레트로트 식품(C)과 같은 내용물을 포장하는 방법을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스탠딩 파우치(100b)를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P)은 상기 내용물이 투입되기 전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내용물을 투입하기 전에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b)의 상기 수용공간(P)을 뜨거운 물로 세척하여 상기 수용공간(P)에 존재하는 이물질 또는 세균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S1, S2)은 밀폐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b)를 세척하더라도 상기 공간(S1, S2)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에 피가열 또는 피냉각 대상이 되는 내용물, 가령, 레토르트 식품(C)을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b)의 상기 수용공간(P)에 투입한다.
그 다음에, 상기 제1내피(111) 및 상기 제2내피(113)의 상부를 실링하여 상기 제3상부 밀봉부분(158)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외피(131) 및 상기 제1내피(111) 사이 및 상기 제2내피(113) 및 상기 제2외피(133) 사이도 실링하여 추가 밀봉부분(159)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P)이 밀폐된다.
그 다음에, 상기 수용공간(P)이 밀페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b)를 살균 처리한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레트르트 식품(C)이 포장된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b)에서 수용된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을 섭취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단부(160)를 이용하여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b)의 상부를 파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S1, 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S1, S2) 중 개방되는 부분은 상기 제1상부 밀봉부분(151)에 해당하는 영역(W)이고, 나머지 상기 제2상부 밀봉부분(153)에 해당하는 영역은 밀봉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레트르트 식품(C)이 수용된 상기 수용공간(P)은, 상기 제3상부 밀봉부분(158)이 잔존하여 여전히 밀폐상태를 유지한다.
그 다음에, 상기 개방된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S1, 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반응액체(도 12의 V, 가령, 물)를 투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통공(183)을 통해 어느 한 온도조절공간으로 투입된 반응액체는 다른 온도조절공간으로도 유입되어 양측 온도조절공간에서 발열 또는 흡열반응이 일어난다.
상기 수용공간(P)에 수용된 상기 레토르트 식품(C)이 가열 또는 냉각될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파단부(170)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상기 스탠딩 파우치(100b)를 파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상부 밀봉부분(158) 중 상기 제1파단부(160)에 의해 파단되고 남은 부분(155)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P)은 상기 제2파단부(170)에 의해 파단되기 전까지는 밀봉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2파단부(170)에 의해 상기 파우치(100b)가 파단됨에 따라 밀봉된 상태의 상기 수용공간(P)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상기 수용공간(P)에 수용된 상기 레로트르 식품(C)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100a, 100b: 레토르트 식품 111: 제1내피
113: 제2내피 131: 제1외피
133: 제2외피 140: 제1온도조절체
151: 제1상부 밀봉부분 153: 제2상부 밀봉부분
152, 157, 158: 제3상부 밀봉부분 160: 제1파단부
161: 제1노치 163: 제1파단선
170: 제2파단부 171: 제2노치
173: 제2파단선 190: 제2온도조절체
S1: 제1온도조절공간 S2: 제2온도조절공간
P: 수용공간 C: 레토르트 식품

Claims (10)

  1. 스탠딩 파우치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내피 및 제2내피를 포함하는 제1팩과;
    제1온도조절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내피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외피와;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에 배치된 제1온도조절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온도조절체와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액체를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제1온도조조절공간 내에 수용하지 않으며,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1외피는 밀봉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피와 상기 제1외피 사이의 밀봉 처리된 밀봉부분의 폭이 횡방향을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피, 상기 제2내피 및 상기 제1외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이 개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내피와 상기 제1외피를 횡방향으로 파단시키는 제1파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파우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내피와 상기 제1외피를 횡방향으로 파단하더라도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가 서로 밀폐되도록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가 밀봉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파우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밀폐된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를 상기 횡방향으로 파단하기 위한 제2파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파우치.
  6. 제2항에 있어서,
    제2온도조절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내피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외피와;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에 배치된 제2온도조절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제2내피 및 상기 제2외피는 밀봉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파우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피와 상기 제2외피 사이의 밀봉 처리된 밀봉부분이 상기 횡방향을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파우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피 및 상기 제2외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및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팩, 상기 제1외피 및 상기 제2외피를 상기 횡방향으로 파단시키는 제1파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파우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단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팩, 상기 제1외피 및 상기 제2외피를 상기 횡방향으로 파단하는 경우,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가 서로 밀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가 밀봉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파우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밀봉된 제1내피 및 상기 제2내피를 상기 횡방향으로 파단하기 위해 상기 제1외피 및 상기 제2외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제2파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 파우치.
KR1020100034079A 2010-02-02 2010-04-14 스탠딩 파우치 KR101187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079A KR101187565B1 (ko) 2010-04-14 2010-04-14 스탠딩 파우치
JP2011015249A JP5763930B2 (ja) 2010-02-02 2011-01-27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US13/019,394 US9334087B2 (en) 2010-02-02 2011-02-02 Standing pouch
CN201110036155.7A CN102190111B (zh) 2010-02-02 2011-02-09 自立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079A KR101187565B1 (ko) 2010-04-14 2010-04-14 스탠딩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762A KR20110114762A (ko) 2011-10-20
KR101187565B1 true KR101187565B1 (ko) 2012-10-11

Family

ID=4502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079A KR101187565B1 (ko) 2010-02-02 2010-04-14 스탠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510B1 (ko) * 2011-10-19 2013-07-16 주식회사 크라우젠 파우치
EP2913282A4 (en) * 2012-10-19 2016-06-29 Harvest Charmfoods Co Ltd VERTICAL POUCH
KR102130809B1 (ko) * 2019-07-26 2020-07-08 주식회사 아르맹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329A (en) 1995-08-04 1997-03-18 Truetech, Inc. Flameless hea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289889B1 (en) 1999-07-12 2001-09-18 Tda Research, Inc. Self-heating flexible package
KR100821169B1 (ko) 2006-11-08 2008-04-14 주식회사 크라우젠 냉각팩유니트
KR100949175B1 (ko) 2009-04-24 2010-03-23 주식회사 크라우젠 가열효율을 향상시킨 발열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329A (en) 1995-08-04 1997-03-18 Truetech, Inc. Flameless hea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289889B1 (en) 1999-07-12 2001-09-18 Tda Research, Inc. Self-heating flexible package
KR100821169B1 (ko) 2006-11-08 2008-04-14 주식회사 크라우젠 냉각팩유니트
KR100949175B1 (ko) 2009-04-24 2010-03-23 주식회사 크라우젠 가열효율을 향상시킨 발열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762A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3930B2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EP2698327B1 (en) Pouch compris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its contents
KR101187565B1 (ko) 스탠딩 파우치
CN106232064A (zh) 带潜热蓄能单元的加热装置
JP2004512868A (ja) 内部温度変化要素を有する製品ディスペンサ
KR101000509B1 (ko) 스탠딩 파우치
ITVR20000029U1 (it) Contenitore riscaldante o raffreddante, particolarmente adatto per salviette disinfettanti, emollienti o cosmetiche.
JP5790150B2 (ja) 熱水処理用ジッパー付き袋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US8240300B1 (en) Hot/cold pack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KR20180001360U (ko) 마스크팩용 파우치
KR20110040597A (ko) 반응기체 배출을 줄일 수 있는 내용물 가열키트
KR100949175B1 (ko) 가열효율을 향상시킨 발열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CN106275645A (zh) 一种在线成型、填充并封装形成产品包装的系统和方法
KR20110056187A (ko)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
KR20120117334A (ko) 파우치
KR200445756Y1 (ko) 탈착형 수용체가 설치된 용기
KR101236901B1 (ko) 파우치
KR101286510B1 (ko) 파우치
CN208054064U (zh) 一种用于加热食品的包装容器
KR20200057496A (ko) 셀 기능성 팩
JP6878893B2 (ja) 細胞容器の保護容器および温度調節方法
KR20140054577A (ko) 순간가열 포장용기
KR102426807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신선식품 포장방법
CN215884686U (zh) 一种自冷面膜包装袋
WO2021157066A1 (ja) 冷却装具及び冷却装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