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901B1 - 파우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901B1
KR101236901B1 KR1020110087150A KR20110087150A KR101236901B1 KR 101236901 B1 KR101236901 B1 KR 101236901B1 KR 1020110087150 A KR1020110087150 A KR 1020110087150A KR 20110087150 A KR20110087150 A KR 20110087150A KR 101236901 B1 KR101236901 B1 KR 10123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emperature control
reaction liquid
sealing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016A (ko
Inventor
조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우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우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우젠
Priority to CN201280029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608269A/zh
Priority to CN201510303254.5A priority patent/CN105000277B/zh
Priority to PCT/KR2012/002781 priority patent/WO2012141508A2/ko
Priority to US14/111,961 priority patent/US20140102436A1/en
Priority to EP12770555.6A priority patent/EP2698327B1/en
Priority to JP2014505081A priority patent/JP6159314B2/ja
Publication of KR20130004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91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attached clos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0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initially folded to form tubes
    • B65D75/12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initially folded to form tubes with the ends of the tube closed by flattening and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파우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파우치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 수용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온도조절체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상단보다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온도조절체와 발열 또는 흡열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반응액체가 투입 가능한 반응액체투입부를 가지며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온도조절체를 수용하는 온도조절공간을 형성하는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온도조절부와; 상기 반응액체투입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에 개재되어 열에 의해 상기 반응액체투입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를 실링하며, 상기 반응액체투입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를 이격시키는 힘이 일정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반응액체투입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마련된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우치{POUCH}
본 발명은,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토르트식품과 같은 가열 또는 냉각이 필요한 피온도조절물의 온도 조절을 위한 온도조절체 수용공간으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조절용 파우치는 레토르트 식품과 같은 피온도조절물을 수용하는 수용부과, 수용부와는 별도의 용기로 포장되어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피온도조절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온도조절체 및 온도조절체와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반응액체을 포함한다.
이러한 파우치 내부에 수용된 피온도조절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반응액체를 수용한 별도의 용기를 파쇄하여 반응액체와 온도조절체를 반응시킨다. 이렇게 반응액체와 온도조절체의 반응에 의해 피온도조절물의 온도가 조절된다.
그런데, 종래의 파우치는 온도조절체와 반응하는 반응액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파우치의 운반 도중 의도되지 않은 반응액체의 수용 용기의 파손 등에 의해 발열 반응 또는 흡열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반응액체의 무게가 상당하므로 파우치 운반 및 보관에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다.
한편, 온도조절체가 수용된 온도조절공간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 파우치 내부에 피온도조절물을 투입한 후, 살균 과정에서 물과 같은 반응액체가 온도조절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도되지 않은 발열 반응 또는 흡열 반응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온도조절물을 투입한 후 살균 과정에서 온도조절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우치 제조 시 실링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파우치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 수용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온도조절체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상단보다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온도조절체와 발열 또는 흡열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반응액체가 투입 가능한 반응액체투입부를 가지며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온도조절체를 수용하는 온도조절공간을 형성하는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온도조절부와; 상기 반응액체투입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에 개재되어 열에 의해 상기 반응액체투입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를 실링하며, 상기 반응액체투입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를 이격시키는 힘이 일정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반응액체투입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마련된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의 접착강도는 200gf/㎠이상 5kgf/㎠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액체투입부는, 상기 실링부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반응액체투입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실링부에 의해 상기 내용물 수용부와 실링되지 않은,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의 상단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에 의한 상기 반응액체투입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간의 접착강도는, 상기 반응액체투입부 이외의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간의 접촉강도보다 더 작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파우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 가능한 내용물 수용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그 상단이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상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실링부를 합지하는 단계; 상기 실링부가 개재된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의 상단영역을 상기 내용물 수용부에 제1온도로 가열된 실링바로 열접착하는 단계;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에 온도조절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조절체가 삽입된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의 좌우측단 및 하측단 영역을 상기 내용물 수용부에 제2온도로 가열된 실링바로 열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온도는 상기 제2온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는 150℃ 이상 220℃ 이하이고, 상기 제2온도는 230℃ 이상 300℃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게 및 부피를 상대적으로 많이 차지하는 반응액체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둘째, 반응액체를 내장하지 않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 중 의도되지 않은 발열 반응 또는 흡열 반응이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레토르트 식품과 같은 피온도조절물의 포장 전후 파우치를 살균처리하는 과정에서 온도조절공간으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넷째, 온도조절체 내의 반응체를 복수로 구획된 공간에 개별 수용하여 자중에 의해 반응체가 쏠리는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개별 수용된 반응체가 반응액체와 각각 반응하여 피온도조절물에 대한 온도 조절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섯째, 파우치 제조 시 실링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섯째, 반응액체투입부와 내용물 수용부간의 131a2강도를 테두리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온도조절공간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특히, 반응액체투입부를 파지할 수 있는 별도의 파지부를 부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더욱 더 쉽게 상기 반응액체투입부를 상기 내용물 수용부로부터 벌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우치에 피온도조절물이 충진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우치의 온도조절공간에 반응액체를 투입하기 위해 실링부를 개방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파우치에 피온도조절물이 충진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도 9의 파우치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도 9의 파우치에 피온도조절물(내용물)을 충진한 상태의 개략단면도 및 도 11의 파우치의 온도조절공간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개략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개략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개략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개략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개략 단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이격된 일측부를 절개한 종단면도
도 18A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개략 사시도,
도 18B는, 도 18A의 파우치의 개략 종단면도,
도 19A, 19B 및 19C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우치에 피온도조절물이 충진된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우치의 온도조절공간에 반응액체를 투입하기 위해 실링부를 개방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00)는 수용부(110), 온도조절체(131)를 구비한 온도조절부(130), 실링부(140), 파지부(150), 지지부(160), 실링바 부착방지부(170) 및 파단부(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00)는 온도조절체(131)와 발열 반응 또는 흡열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액체(W)는 포함되지 않는다. 즉, 반응액체(W)는 피온도조절물(10)의 온도 조절을 위해 외부로부터 파우치(100)로 투입된다.
여기서, 피온도조절물(10)은 레토르트 식품과 같은 다양한 즉석 식품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온도조절물(10)은 쌀밥, 비빔밥, 스프, 국, 분유와 같은 음식물 또는 냉찜질과 온찜질을 위한 약물성분이 함유된 패드 또는 미용성분이 함유된 마스크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열거된 것 이외에도 즉석으로 가열 또는 냉각이 필요한 것이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수용부(110)는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제2수용부 필름(114)을 포함한다.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제2수용부 필름(114) 사이에는 피온도조절물(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제2수용부 필름(114)은 내열성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부(110)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및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종류 이외에도 수용부(110)를 구성하는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제2수용부 필름(114)은 공지된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은 두께 60㎛(마이크로미터)의 CPP필름, 두께 9㎛(마이크로미터)의 알루미늄 필름, 두께 15㎛(마이크로미터)의 나일론필름 및 두께 60㎛(마이크로미터)의 CPP필름을 합지한 필름일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여 여러재질의 합지 필름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단일 재질의 필름일 수도 있다. 제2수용부 필름(114)는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와 그 재질이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수용부 필름(112)과 제2수용부 필름(114)은 일측부가 개구되도록 타측부 및 일측부와 타측부를 연결하는 양측부가 상호 접착 밀봉되어 봉투 형상을 이룬다. 이렇게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제2수용부 필름(114)의 접착에 의해 피온도조절물(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6)이 형성된다. 수용부(110)의 개구 측을 통해 피온도조절물(10)이 수용공간(116)으로 충진되며, 피온도조절물(10)의 충진 완료 후 후술할 실링바 부착방지부(170)에 의해 수용부(110)의 개구 영역은 밀봉된다.
온도조절부(130)는 수용부(110)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온도조절체(131)를 수용하여 상기 온도조절체(131)와 투입될 반응액체(w)와 발열 또는 흡열 반응하여 상기 피온도조절물(10)을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온도조절부(130)는, 상기 수용부(110)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온도조절물(내용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온도조절체(131); 상기 수용부(110)의 상단 보다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반응액체(W)가 투입 가능한 반응액체투입부(136)를 가지며, 상기 발열 또는 흡열반응이 발생하는 온도조절공간(134)을 형성하는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조절체(131)는 반응체(131b) 및 반응체 수용부(131a)를 포함한다. 온도조절체(13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수용부(110)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온도조절체(131)는 일 실시예로서, 제1수용부 필름(112) 측에 배치된다. 온도조절체(131)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물과 같은 반응액체(W)와 반응한다.
반응체(131b)는 수용부(110)에 수용된 피온도조절물(10)을 가열시킬 것인지 냉각시킬 것인지에 따라서 각각 발열체 또는 흡열체를 포함한다. 반응체(131b)는, 발열체로서 산화칼슘(CaO), 수산화칼슘(Ca(OH)2), 염화마그네슘(MgCl2), 철(Fe)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체(131b)는 반응액체(W)와 발열 반응 하는 것이라면 상술한 것 이외에도 다른 물질로 치환 또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반면, 반응체(131b)는 흡열체로서, 암모늄나이트레이트(NH4NO3), 소듐아세테이트(CH3COONa) 및 유레아(ure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반응체(131b)는 반응액체(W)와 흡열 반응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술한 것이 이외에도 다른 물질로 치환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반응체 수용부(131a)는 반응체(131b)를 수용한다. 반응체 수용부(131a)는 몸체(131a1) 및 구획부(131a2)를 포함한다. 반응체 수용부(131a)는 반응액체(W)를 빠르게 흡수하기 위해 흡수포로 마련된다. 경우에 따라서, 반응체 수용부(131a)는 흡수포 이외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몸체(131a1)는 반응체(131b)를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몸체(131a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구획부(131a2)에 의해 4개의 수용 영역으로 구분된다. 이렇게, 반응체(131b)는 구획부(131a2)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수용영역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반응체(131b)가 자중에 의해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응체(131b)는 복수의 구획된 수용 영역에 수용됨으로써, 각각 구획된 반응체(131b)가 반응액체(W)와 개별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온도조절 반응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는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과의 사이에서 상기 온도조절체(131)를 수용하는 온도조절공간(134)을 형성한다.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은 상기 반응액체(W)가 투입되는 경우 발열 또는 흡열반응이 일어나는 공간으로서, 상기 온도조절체(131)외에도 투입될 반응액체(W)를 수용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존재한다.
여기서,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는 투입되는 반응액체(W) 및 온도조절체(131)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일부분만 투명한 투명합성수지 필름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물론, 육안으로 확인 가능여부는 선택사항으로서 필요 시 불투명 필름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온도조절부(130)는 피온도조절물(10)이 투입되는 수용부(110)의 상단측 개구가 노출되도록 수용부(110)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의 높이는 일 실시예로서, 수용부(110) 높이의 8/10 정도의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는 그 상단이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는 12㎛(마이크로미터) 두께의 PET 필름과 60㎛(마이크로미터) 두께의 CPP필름을 합지한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공지된 다양한 재질의 필름을 합지한 것이거나 단일 재질의 필름일 수 있다.
한편, 수용부(110)의 개구 측에 인접한 온도조절부(130)에는 온도조절공간(134)을 개폐할 수 있고 상기 반응액체가 투입 가능한 반응액체 투입부(136)가 마련된다. 반응액체 투입부(136)는 후술할 실링부(140)에 의해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을 밀폐시킨다.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는,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으로 반응액체(W) 투입을 위해,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실링부(140) 또는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의 상측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반응액체(W)가 상기 온도조절공간(134)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40)는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이 밀폐되도록 상기 수용부(110)와 상기 온도조절부(130), 정확하게는,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 사이를 실링한다. 여기서, 실링부(140)는,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를 상기 수용부(110)로부터 이격시키는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용부(110) 및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를 소정의 접착강도로 실링한다. 즉,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를 소정크기 이상의 힘으로 잡아당겨 상기 접착력을 극복한 경우,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이 개방된다. 반대로, 상기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실링이 유지됨으로써 상기 반응액체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상기 온도조절공간(134)로 유입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140)의 접착강도는 200gf/㎠ 이상이고 5kgf/㎠ 이하일 수 있다. 실험결과, 상기 접착강도가 200gf/㎠ 미만인 경우, 상기 피온도조절물(10)이 충전후 가열되어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이 팽창하는 경우 실링상태를 유지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 접착강도가 5kgf/㎠를 초과하는 경우, 일반 성인이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을 개방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상기 실링부(140)의 접착강도는 바람직하게는 500gf/㎠ ~ 3kgf/㎠일 수 있다.
상기 실링부(140)는 일 실시예로서, 제1수용부 필름(112)의 판면에 배치되어, 온도조절부(130)의 반응액체 투입부(136)와 제1수용부 필름(112) 사이를 실링한다. 이렇게 실링부(140)는 제1수용부 필름(112)과 반응액체 투입부(136) 사이를 실링하여 수용부(110)의 수용공간(116)에 피온도조절물(10)의 충진 후 멸균처리하는 과정에서 온도조절공간(134)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멸균처리과정은 파우치(100)에 국, 수프와 같은 액상의 즉석식품의 멸균을 위한 것으로 레토르트식품 파우치를 제조하는 데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실링부(140)는 피온도조절물(10)의 온도 조절 요구 시 온도조절공간(134)으로 반응액체(W)가 투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와의 결합(실링)이 해제될 수 있다. 그러면, 반응액체 투입부(136)의 개방에 의해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이 개방됨으로써, 반응액체(W)는 온도조절공간(134)으로 투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온도조절체(131)와 반응액체(W)는 발열 또는 흡열 반응 된다.
여기서, 실링부(140)는 제1수용부 필름(112)과 반응액체 투입부(136) 사이를 접착하는 액상의 접착제, 고상(固相)의 접착테이프 및 제1수용부 필름(112)과 반응액체 투입부(136) 사이에 배치된 이지필 필름(easy peel fil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상의 접착테이프는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필름 재질의 테이프 일 수 있다.
상기 이지필 필름(easy peel film)은 소정온도범위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정의 열접착력으로 이지필 필름 양측의 필름을 서로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지필 필름에 가해지는 열의 온도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결합력 또는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140)에 의한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와 상기 수용부(110) 간의 접착강도는,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 이외의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와 상기 수용부(110)간의 접촉강도보다 더 작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는 반응액체를 상기 온도조절공간(134)로 투입하기 위해 개봉이 예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와 상기 수용부(110) 간의 실링부분(C2)의 접착강도가,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와 상기 수용부(110)간의 측면 테두리 영역의 실링부분(C1)의 접착강도보다 더 작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링부분(C1, C2)을 실링할 때 사용되는 실링바의 온도범위를 다르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범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파지부(150)는 온도조절부(130)의 반응액체 투입부(136)를 파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파지부(150)는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50)는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50)는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의 중앙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50)는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의 중앙 영역에 돌출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특히, 파지부(150)는, 반응액체 투입부(136)가 상기 수용부(110)로부터 실링해제 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사용자의 힘이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쉽게 파지부(150)를 파지하여 효율적으로 힘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반응액체 투입부(136)의 중앙부에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파지부(150)는 반응액체 투입부(136)의 양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부(160)는 온도조절공간(134)을 형성하는 수용부(110)의 외측면과 온도조절부(130)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다. 지지부(160)는 온도조절공간(134)에서 온도조절체(131)를 지지하여 온도조절체(13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지지부(160)는 파우치(100)의 유통 과정에서 온도조절체(13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0)는 본 발명의 파우치(100)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요소는 아니며 필요 시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160)는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 내측면에 배치되어 온도조절체(131)를 지지한다. 물론, 지지부(160)는 제1수용부 필름(112)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온도조절체(131)를 지지할 수도 있다. 지지부(160)는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에 대해 온도조절체(1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착테이프와 같은 다양한 접착물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는 상기 수용부(110)의 상측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제1수용팩 필름(112) 및 상기 제2수용팩 필름(114)의 상단을 소정 실링온도의 실링바로 131a2하는 경우, 상기 제1수용팩 필름(112)이 상기 실링바에 들러붙어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수용팩 필름(1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CPP필름의 단일 또는 CPP필름이 노출되도록 합지된 필름일 수 있다. CPP필름의 경우 상기 실링바에 달라붙어 잘 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가 상기 실링바와 접촉하는 부위의 상기 수용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와 잘 달라붙지 않는 재질로서 PET(폴리에틸렌 트레프탈레이트)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는 전면으로 노출된 부위에 PET필름이 합지되거나 PET필름 단독의 필름일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는, 상술한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와 같은 재질의, 12㎛(마이크로미터) 두께의 PET필름과 60㎛(마이크로미터) 두께의 CPP필름이 합지된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ET필름이 상기 실링바와 접촉되어야 하므로 상기 PET필름이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의 재질로서 PET를 사용한 것은 일례에 불과하고, 공지된 재질의 플라스틱 필름 중 실링바와 잘 달라붙지 않는 것이라면 다양한 재질의 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파단부(180)는 반응액체 투입부(136)와 실링바 부착방지부(17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파단부(180)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횡방향 힘이 가해지는 경우 수용부(110)를 파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횡방향으로 찢어진 노치(notc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치(notch)에 의해서 파단되는 부위가 잘 찢어질 수 있도록 상기 파단부위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치(notch)가 형성된 파단부위(A)에는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상기 제2수용부 필름(114)이 존재하므로 상기 수용부(110)의 상측에 존재하는 실링바 부착방지부재(170), 제1 및 제2수용부 필름(112, 114)의 3층의 필름보다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다.
또한, 상기 파단부위(A) 하측에는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 상기 실링부(140),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상기 제2수용부 필름(114)의 총 4층의 필름이 존재하므로, 상기 2층의 필름을 갖는 상기 파단부위(A)가 상대적으로 더 얇다. 이에 의해, 상기 파단부위(A)가 보다 용이하게 잘 파단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지지부(160),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 및 상기 파단부(180)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필요 시 열거한 구성요소(160, 170, 180)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수용부(110)의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상기 제2수용부 필름(114)의 측면 테두리(C1)를 바로 실링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파우치(100)의 측면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측면 테두리의 횡단면이 "
Figure 112011067602524-pat00001
"와 같은 주름진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상기 제2수용부 필름(114)의 측면 테두리 사이에 별도의 필름을 개재시켜 양 테두리가 벌어지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파우치에 피온도조절물이 충진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300)는 수용부(110)의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제2수용부 필름(114)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온도조절체(131)를 구비한 온도조절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300)의 구성 중 수용부(110), 온도조절체(131), 지지부(160), 실링바 부착방지부(170) 및 파단부(18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온도조절부(330)는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2), 제1반응액체 투입부(337) 및 제2반응액체 투입부(338)를 포함한다.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 및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2)은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제2수용부 필름(114)을 각각 수용한다.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 및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2)과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제2수용부 필름(114) 사이에는 각각 제1온도조절공간(334) 및 제2온도조절공간(335)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온도조절공간(334) 및 제2온도조절공간(335)에는 각각 온도조절체(131)가 수용된다.
그리고,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 및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2)의 상부 영역에는 각각의 온도조절공간(334, 335)을 개폐하는 제1반응액체 투입부(337) 및 제2반응액체 투입부(338)가 각각 마련된다.
실링부(340)는 제1반응액체 투입부(337) 및 제2반응액체 투입부(338)가 제1온도조절공간(334) 및 제2온도조절공간(335)을 각각 실링하도록 마련된다. 실링부(340)는 제1수용부 필름(112)과 제1반응액체 투입부(337) 사이를 실링하는 제1실링부(342) 및 제2수용부 필름(114)과 제2반응액체 투입부(338)를 실링하는 제2실링부(3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실링부(342) 및 제2실링부(34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실링부(140)와 같이, 액상의 접착제 또는 고상의 접착 테이프 또는 이지필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파지부(350)는 제1반응액체 투입부(337) 및 제2반응액체 투입부(338)가 제1온도조절공간(334) 및 제2온도조절공간(335)을 각각 개봉할 수 있도록 파지되는 제1파지부(352) 및 제2파지부(354)를 포함한다. 제1파지부(352)는 제1반응액체 투입부(337)의 중앙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파지부(354)는 제2반응액체 투입부(338)의 중앙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파지부(352) 및 제2파지부(35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파지부(15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물론, 제1파지부(352) 및 제2파지부(35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파지부(150)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3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달리, 2개의 온도조절공간(334, 335)에 2개의 온도조절체(131)를 수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00)보다 피온도조절물(10)의 온도조절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3실시예>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00, 300)와는 다른 파지부(5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파지부(550)는 파지몸체(552) 및 파단선(554)을 포함한다. 파지몸체(552)는 온도조절공간(134)의 상부 개구 측, 즉 실링부(140)에 의해 실링되는 영역에 도면 상에서 횡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파단선(554)은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파지몸체(552)에 가해질 때 온도조절공간(134)이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즉, 파단선(554)은 파지몸체(552)에 횡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질 때 온도조절부(130)으로부터 제거되어 온도조절공간(134)을 개방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제3실시예의 파우치의 경우 멸균처리과정 중에 상기 파단선(554)을 통해서 이물질이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으로 침투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파우치(500)의 수용부(110)에 피온도조절물(내용물)을 충진한 후 멸균처리과정이 불필요한 경우 본 제3실시예의 파우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피온도조절물(내용물)이 고상의 건조식품이거나 액상 또는 고상의 미용제품의 경우에는 멸균처리과정이 불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몸체(552)의 일부 영역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수용부(110)의 일측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파지부(550)는 온도조절부(130)의 개구 측에 파단선(554)을 가지고 배치됨으로써, 온도조절공간(134)의 밀봉력의 향상 및 온도조절공간(134) 개방 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
마지막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우치(700)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00, 300, 500)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우치(700)는 수용부(110)가 기립할 수 있도록 파우치 기립부(790)를 포함한다.
파우치 기립부(790)는 일 실시예로서, 수용부(110)의 제1수용부 필름(112)과 제2수용부 필름(114)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파우치 기립부(700)는 수용부(110)를 구성하는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제2수용부 필름(114)보다는 두꺼운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파우치 기립부(790)는 수용부(110)과 온도조절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파우치(700)의 스탠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수용부(110)를 구성하는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제2수용부 필름(11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파우치(700)를 스탠딩시킬 수 있는 파우치 기립부(790)가 마련됨으로써, 파우치(700) 내부의 피온도조절물 온도 조절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5실시예>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00a)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 상기 온도조절체(131),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 및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를 포함하는 상기 온도조절부(130); 상기 실링부(140), 상기 파단부(180) 및 상기 파우치 기립부(790)를 포함한다.
본 제5실시예의 파우치(100a)는, 제1실시예의 그것(100)과 비교하여, 상기 지지부(160) 및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가 생략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 필름(112, 114)의 상단부가 서로 실링되지 않아 상기 수용부(11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피온도조절물(10)이 투입방향(B)을 따라 상기 수용부(110)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상기 피온도조절물(10)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파지부(150)를 파지하여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를 F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수용부(110)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때,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를 상기 수용부(110)로부터 이격시키는 힘이 소정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가 개방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150)에 의한 실링영역(C2)의 열접착강도를 상기 수용부(110)의 테두리 부분(C1)의 열접착강도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가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개봉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이 개방된 상태에서, 반응액체를 G방향으로 투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공간(134) 내에서 상기 반응액체와 상기 온도조절체(131)가 서로 발열 또는 흡열반응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6)에 수용된 상기 피온도조절물(10)을 가열 또는 냉각시킨다.
사용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파지부(180)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부(110) 상단을 절개한다. 이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상기 수용부(110)을 통해 상기 가열 또는 냉각된 상기 피온도조절물(10)을 섭취하거나 취출 및 이용한다.
<제6실시예>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파우치(300a)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상기 제2수용부 필름(114)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온도조절체(131)를 구비한 상기 온도조절부(330); 상기 복수의 온도조절체(131)가 수용된 복수의 온도조절공간(334, 335)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140a)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파우치(300)와 비교하여, 본 제6실시예의 파우치(300a)는 제2실시예의 상기 지지부(도 5의 160) 및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도 5의 170)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제6실시예의 파우치(300a)는 제2실시예의 그것(300)과 비교하여, 파우치 기립부(790)를 구비함으로써 스탠딩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실링부(140)는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334)을 실링하는 제1실링부(141) 및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335)을 실링하는 제2실링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실링부(141, 143)는 상술한 실링부(14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실링부(141, 143)는, 상기 제1 및 제2반응액체투입부(337, 338)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 사이를 이격시키는 힘이 일정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반응액체투입부(337, 338)가 상기 개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와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 사이 및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2)와 상기 제2수용부 필름(114) 사이를 실링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파지부(352) 및 제2파지부(354)를 이용하여 각각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334, 335)을 개방시켜 그 내부에 반응액체를 투입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6) 내의 피온도조절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다.
<제7실시예>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파우치(300b)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 필름(112), 제2수용부 필름(114) 및 상기 파우치 기립부(790)로부터 이격된 이격필름(115)을 구비한 수용부(110a);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 및 상기 제2수용부 필름(114)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온도조절체(131)를 구비한 온도조절부(230); 상기 복수의 온도조절체(131)가 수용된 복수의 온도조절공간(234, 235) 중 어느 하나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140); 파지부(150); 및 상기 파단부(도 1의 180)를 포함한다.
본 제7실시예에 따른 파우치(300b)는,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파우치(300)와 비교하여, 제2실시예의 상기 지지부(도 5의 160)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제7실시예의 파우치(300b)는 제2실시예의 그것(300)과 비교하여, 파우치 기립부(790)를 구비함으로써 스탠딩 가능하다는 점, 상기 수용부(110a)의 하부가 상기 파우치 기립부(79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는 점, 실링부(140)가 복수의 온도조절공간(234, 235) 중 일측에만 배치되어 있다는 점, 실링바 부착방지부(170)가 파우치(300b)의 전면 및 배면 중 일측에만 배치되어 있다는 점, 상기 복수의 온도조절공간(234, 235)은 서로 연통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수용부(110a)의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 필름(112, 114) 및 상기 이격필름(115)는 모두 하나의 단일 필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이 별개로 절개된 필름으로 제조된 후 실링됨으로써 마련될 수도 잇다.
상기 온도조절부(230)는,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234, 234)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 필름(112, 114)과 각각 실링되는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231, 232)와;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231, 232)에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온도조절체(1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231)는 그 상단이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의 상단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231)는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231)으로 상기 온도조절체(131)와 발열 또는 흡열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반응액체가 투입 가능한 반응액체투입부(237)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140)는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231)의 상기 반응액체투입부(237)와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반응액체투입부(237), 상기 실링부(140) 및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은 서로 열에 의해 열접착됨으로써 실링될 수 있다.
수용부(110a)가 개방된 상태에서 피온도조절물(내용물)을 충진한 후,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쪽으로 소정 온도로 가열된 실링바가 상기 수용부(1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가면서 열을 가해서 상기 수용부(110)의 상기 상단을 실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110)가 상기 실링바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바 부착장지부(170),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231) 및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232)는 모두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실링바 부착장지부(170),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231) 및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232)는, 각각, 12㎛(마이크로미터) 두께의 PET필름과 60㎛(마이크로미터) 두께의 CPP필름이 합지된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피온도조절물의 가열 또는 냉각을 위해,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150)를 파지하고 상기 반응액체투입부(237)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234)을개방한다. 그리고, 개방된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234)에 반응액체를 투입한다.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234)로 투입된 상기 반응액체는 상기 수용부(110)와 상기 파우치 기립부(790) 사이의 연통공간(H)을 통해서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235)으로도 유입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235)에서도 반응액체와 온도조절체(131)간의 발열 또는 흡열반응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본 제7실시예의 파우치(300b)의 경우, 굳이 사용자가 양측의 온도조절공간(234, 235)를 모두 개방하지 않고 한 쪽만 개방하여 반응액체를 투입하더라도, 투입된 반응액체가 개방되지 않은 공간으로도 전달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8실시예>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00b)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 상기 온도조절부(130), 실링부(240), 상기 파지부(150),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 및 상기 파단부(도 1의 180 참조)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의 파우치(100)와 비교하면, 본 제8실시예의 파우치(100b)는, 지지부(160)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제1실시예의 실링부(140)와 그 형상이 상이하다. 또한, 제1실시예의 파우치(100)에 비해, 파우치 기립부(790)를 더 포함하고 있어 스탠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240)는 상기 수용부(110)의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 전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파우치(100)의 경우, 상기 실링부(14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의 사이즈로 마련된 반면, 본 제8실시예의 상기 실링부(240)는 상기 수용부(110)의 전면(前面) 전부를 커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실링부(240)는 제1수용부 필름(112)과 반응액체 투입부(136) 사이를 접착하는 액상 또는 고상(固相)의 접착테이프 및 제1수용부 필름(112)과 반응액체 투입부(136) 사이에 배치된 이지필 필름(easy peel fil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고상의 접착테이프는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필름 재질의 테이프 일 수 있다.
상기 이지필 필름(easy peel film)은 소정온도범위의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정의 열접착강도로 이지필 필름 양측의 필름을 서로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지필 필름을 실링하는 실링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결합력 또는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제8실시예의 경우 상기 실링부(240)가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 전면을 커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실링부(240)를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와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 사이에 개재시키기 위한 별도의 위치조정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제9실시예>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파우치(300c)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 상기 온도조절부(330);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 상기 파단부(도 1의 180참고); 실링부(240a) 및 파지부(35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파우치(300)와 비교하면, 본 제9실시예의 파우치(300c)는 파우치 기립부(790)를 더 포함하여 스탠딩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본 제9실시예의 실링부(240a)는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실링부(340) 대비 그 형상이 상이하다.
상기 실링부(240a)는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2)의 외면, 전면을 전부 커버하는 제1실링부(241)와; 상기 제2수용부 필름(114)의 외면, 즉 배면을 전부커버하는 제2실링부(243)를 포함한다.
<제10실시예>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파우치(300c)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온도조절물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110b); 온도조절부(430); 실링부(245); 실링바 부착방지부(170); 상기 파단부(도 1의 180); 및 상기 파지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10b)는 상기 피온도조절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6)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제1수용부 필름(115) 및 제2수용부 필름(11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 필름(115, 117)의 재질은 상기 제1실시예의 그것(112, 114)과 동일하다.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 필름(115, 117)은 후술할 상기 온도조절부(430)의 제1온도조절공간(434) 및 제2온도조절공간(436)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 마련된 연통공(115a, 117a)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조절부(430)는, 상기 피온도조절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110b)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온도조절체(131)와; 상기 온도조절체(131)와 발열 또는 흡열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반응액체가 투입 가능한 반응액체투입부(437)와; 상기 복수의 온도조절체(131)를 각각 수용하는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434, 436)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431, 432)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b)의 상단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실링바로 열접착할 때 상기 실링바에 상기 수용부(110b)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431)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45)는 제8실시예의 실링부(24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수용부 필름(115)의 외면, 즉 전면(前面)을 모두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45)도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434)와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436)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10a)에 형성된 연통공(115a, 117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실링부 연통공(245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파지부(150)를 파지하여 상기 반응액체투입부(437)를 상기 수용부(110b)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434)으로 반응액체를 투입하면, 투입된 반응액체가 상기 연통공(245a, 115a, 117a)을 통해서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436)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1실시예>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00c)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온도조절물을 수용하는 상기 수용부(110); 상기 온도조절부(130); 상기 실링부(140); 상기 파지부(150); 상기 파우치 기립부(790) 및 스파우트 캡(170)을 포함한다.
본 제11실시예의 파우치(100c)는, 제1실시예의 파우치(100)와 비교하여, 제1실시예의 상기 파단부(180), 상기 지지부(160) 및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가 생략되어 있다.
본 제11실시예의 파우치(100c)는 상기 파단부(도 1의 180)가 없는 대신에 스파우트 캡(170)을 포함한다.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파단부(도 1의 180)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파단부(도 1의 180)를 절개함으로써 상기 수용부(110)를 개방하여 그 내부에 존재하는 피온도조절물(10a)을 섭취 또는 이용할 수 있다. 반면, 본 제11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상기 파단부(도 1의 180)를 절개하지 않고 대신 상기 스파우트 캡(170)을 열어서 그 속의 피온도조절물(10a)을 섭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파우트 캡(170) 대신에 스트로(straw)를 꽂을 수 있는 스트로 꽂이 구멍(미도시)과 상기 구멍에 부착된 연질의 테이프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테이프를 상기 스트로(straw)로 꽂아서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수용부(110) 내의 상기 피온도조절물(10a)을 섭취할 수 있다.
상기 피온도조절물(10a)은 커피 또는 수프와 같은 액상 음료 또는 음식물일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00a)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16 및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형성부재(331), 상기 제1실링부(241) 및 제1수용부필름(112)을 합지하여 전면(前面) 외피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도 상기 제1실링부(24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형성부재(331) 및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가 서로 동일한 재질의 PET 필름으로 제조된 경우, 상기 PET 필름을 합지하기 전에 커팅하여 소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형성부재(331) 및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기립부(79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면외피에 대향하는 배면외피를 형성한다. 상기 배면외피는 상기 파우치 기립부(79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면 외피에 대칭되는 데, 위에서부터 차례로 제2수용부 필름(114), 제2실링부(243) 및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2)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실링부(241)와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 사이 및 상기 제2실링부(243) 및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2) 사이에는 온도조절체(131)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 332), 상기 온도조절체(131) 및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는 후공정으로 작업될 수도 있다. 즉,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파우치 기립부(790),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 필름(112, 114) 및 상기 제1 및 제2실링부(241, 243)가 그 상부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 부분이 모두 실링된 봉투 형태로 먼저 제작한 후,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 332) 및 상기 실링바 부착방지부(170)를 상기 봉투의 외면에 각각 배치하여 2차로 실링하는 공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9A와 같이 합지된 상태에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 수용공간의 상부 개구가 될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의 테두리(D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테두리(D2, D3, D4)를 실링한다. 이때, 실링은 소정의 제2온도범위 이내로 가열된 실링바로 열접착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 필름(112, 114)에 의한 내용물 수용공간(116)이 형성된다.
이때, 소정의 제2온도범위는 230℃ 이상 300℃이하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의 상단영역(J)을 소정의 제1온도범위 이내로 가열된 실링바로 상기 제1실링부(241) 및 제1수용부 필름(112)에 열접착한다.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상기 실링바에 의해서 실링될 영역은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의 상단(331a)에서 소정폭(K)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부터 상기 온도조절체(331) 방향으로 소정구간(S)이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의 상단(331a)에서 소정폭(W) 만큼의 이격된 구간까지는 상기 실링바에 의해서 실링되지 않는 구간이므로, 이 영역이 상술한 상기 파지부(150)에 해당한다.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의 중앙영역 상단부(331b)를 돌출된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중앙부가 돌출된 형태의 파지부(도 1의 15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범위는 150℃(섭씨) 이상 220℃(섭씨)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온도범위가 상기 제2온도범위보다 더 낮기 때문에,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의 상기 제1온도범위의 실링바로 실링된 실링영역(J)은 상기 제2온도범위의 실링바로 실링된 상기 테두리 영역(도 19B의 D1, D2, D3, D4)에 비해 열접착강도가 더 작다.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의 상기 실링영역(J)은 상술한 상기 반응액체투입부(337)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열접착강도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상기 반응액체투입부(337)를 보다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의 상기 실링영역(J)을 실링한 다음, 상기 테두리(D1)영역은 아직 실링되지 않아서 개방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개방된 개구를 통해 피온도조절물을 투입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피온도조절물 투입이 완료된 후, 상기 개방된 상기 테두리(D1)영역을 상기 제2온도범위 이내로 가열된 실링바로 열접착한다.
이때, 상기 소정의 제2온도범위는 230℃ 이상 300℃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2)를 상기 제2수용부 필름(114) 및 상기 제2실링부(243)에 열접착하는 방식은 상기 제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2)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온도조절체(131)를 상기 제 1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 및 상기 제1실링부(241) 사이에 삽입하고 테두리(D2, D3, D4)를 실링한 후에, 피온도조절물을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 필름(112, 114)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충진한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 필름(112, 114)의 테두리(D2, D3, D4)가 먼저 실링작업 된 후에, 상기 제1 및 제2실링부(241, 243) 및 상기 제1 및 제2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331, 332)가 후공정으로 실링 작업되는 경우에는 이미 내용물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피온도조절물이 먼저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된 후, 상기 온도조절체(131)가 삽입되어 다시 한번 더 테두리(D2, D3, D4) 실링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내용물 충진 및 밀봉공정과 상기 온도조절체 삽입 및 밀봉공정은 서로 선후가 바뀔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피온도조절물(내용물)이 커피음료, 수프와 같은 멸균처리가 필요한 액상의 식품인 경우, 내용물 충진과정에서 보다 안전을 기할 수 있도록 내용물 충진 및 밀봉공정이 상기 온도조절체 삽입 및 밀봉공정보다 더 앞서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우치의 상단 테두리(D1)영역에 대한 실링은 상기 피온도조절물(내용물)이 충진된 다음에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피온도조절물(내용물)이 외부환경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품목이거나 그 속성상 유통기한이 짧아서 굳이 내용물 수용공간을 밀폐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상단 테두리(D1)는 실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제조방법을 도 9 내지 도 12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 가능한 내용물 수용부(110)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그 상단이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상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와,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실링부(140)를 합지한다(S10).
그 다음으로, 상기 실링부(140)가 개재된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의 상단영역을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에 제1온도로 가열된 실링바로 열접착시킨다(S20). 여기서, 상기 상단영역은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의 반응액체투입부(136)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이에 의해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가 실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는 150℃ 이상 22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단영역을 열접착하는 상기 실링바의 가열온도인 상기 제1온도가 150℃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의 열접착강도가 낮아서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1)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 사이의 온도조절공간(134)의 밀폐성이 떨어져서 외부의 이물질(습기 등)이 유입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온도가 22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의 열접착강도가 너무 커서 사용자가 상기 온도조절공간(134)를 개방하기가 어렵다.
그 다음으로,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1)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140)에 온도조절체(131)를 삽입한다(S30).
그 다음에, 상기 온도조절체(131)가 삽입된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의 좌우측단 및 하측단 영역을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에 제2온도로 가열된 실링바로 열접착한다(S40).
여기서, 상기 제2온도는 230℃ 이상 300℃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가 상기 제2온도 보다 더 낮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봉할 것이 예정되어 있는 상기 반응액체투입부(136)의 열접착강도를 다른 부위(좌우측 및 하측 테두리)보다 더 작게 함으로써 상기 온도조절공간(134)의 밀폐성은 유지하되 사용자가 쉽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S10단계의 합지단계는 내용물 수용부(110)와 실링부(140)를 합지하여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의 상단이 개봉되도록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와 상기 실링부(140)의 좌우측 및 하측 테두리를 1차 실링하는 단계(S11)와; 상기 1차 실링된 상기 실링부(140)의 전방측에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를 합지하는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의 상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피온도조절물(1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1차 실링하는 단계(S11)에서 상기 실링부(140) 없이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 만을 합지하여 실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링부(140)는 상기 합지단계(S12)에서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와 함께 상기 내용물 수용부(110)에 순차적으로 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1차 실링하는 단계(S11)와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를 합지하는 단계(S12) 사이에, 상기 1차 실링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116)에 상기 피온도조절물(10)을 투입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피온도조절물(10)을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132)의 좌우측단 및 하측단 영역을 열접착하는 단계(S40) 다음 단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a, 100b, 100c, 300, 300a, 300b, 300c, 500, 700: 파우치
110, 110a, 110b: 수용부
116: 수용공간 131: 온도조절체
131b: 반응체 131a: 반응체 수용부
131a2: 구획부 130, 230, 330, 430: 온도조절부
134: 온도조절공간 140, 240, 240a, 340: 실링부
150, 350, 550: 파지부 160: 지지부
170: 실링바 부착방지부 180: 파단부
554: 파단선 790: 파우치 기립부

Claims (8)

  1. 파우치에 있어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물 수용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용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온도조절체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상단보다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온도조절체와 발열 또는 흡열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반응액체가 투입 가능한 반응액체투입부를 가지며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온도조절체를 수용하는 온도조절공간을 형성하는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를 구비한 온도조절부와;
    상기 반응액체투입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에 개재되어 열에 의해 상기 반응액체투입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를 실링하며, 상기 반응액체투입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를 이격시키는 힘이 일정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반응액체투입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마련된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접착강도는 200gf/㎠이상 5kgf/㎠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액체투입부는, 상기 실링부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반응액체투입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실링부에 의해 상기 내용물 수용부와 실링되지 않은,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의 상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에 의한 상기 반응액체투입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간의 접착강도는, 상기 반응액체투입부 이외의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간의 접촉강도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6. 파우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 가능한 내용물 수용부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그 상단이 상기 내용물 수용부의 상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 사이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실링부를 합지하는 단계;
    상기 실링부가 개재된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의 상단영역을 상기 내용물 수용부에 제1온도로 가열된 실링바로 열접착하는 단계;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내용물 수용부에 온도조절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조절체가 삽입된 상기 온도조절공간 형성부재의 좌우측단 및 하측단 영역을 상기 내용물 수용부에 제2온도로 가열된 실링바로 열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상기 제2온도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는 150℃ 이상 220℃ 이하이고, 상기 제2온도는 230℃ 이상 3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조방법.
KR1020110087150A 2011-04-15 2011-08-30 파우치 KR10123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29636.8A CN103608269A (zh) 2011-04-15 2012-04-13 冷热袋及其制造方法
CN201510303254.5A CN105000277B (zh) 2011-04-15 2012-04-13 冷热袋及其制造方法
PCT/KR2012/002781 WO2012141508A2 (ko) 2011-04-15 2012-04-13 파우치 및 그 제조방법
US14/111,961 US20140102436A1 (en) 2011-04-15 2012-04-13 Pou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12770555.6A EP2698327B1 (en) 2011-04-15 2012-04-13 Pouch compris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its contents
JP2014505081A JP6159314B2 (ja) 2011-04-15 2012-04-13 ポー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41 2011-06-30
KR20110064741 2011-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16A KR20130004016A (ko) 2013-01-09
KR101236901B1 true KR101236901B1 (ko) 2013-03-21

Family

ID=4783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150A KR101236901B1 (ko) 2011-04-15 2011-08-30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188B1 (ko) * 2014-08-07 2016-03-21 주식회사 아워홈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및 그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1642748B1 (ko) * 2015-10-28 2016-08-10 주식회사 아워홈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KR102143547B1 (ko) * 2020-02-12 2020-08-11 서광열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식품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248A (ja) 2000-04-18 2001-10-30 Kyodo:Kk 調理済み再加熱還元食品
KR100821169B1 (ko) 2006-11-08 2008-04-14 주식회사 크라우젠 냉각팩유니트
KR100843270B1 (ko) 2007-09-13 2008-07-03 (주)핫밀테크 가열 봉투
KR101000509B1 (ko) 2010-02-02 2010-12-14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스탠딩 파우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248A (ja) 2000-04-18 2001-10-30 Kyodo:Kk 調理済み再加熱還元食品
KR100821169B1 (ko) 2006-11-08 2008-04-14 주식회사 크라우젠 냉각팩유니트
KR100843270B1 (ko) 2007-09-13 2008-07-03 (주)핫밀테크 가열 봉투
KR101000509B1 (ko) 2010-02-02 2010-12-14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스탠딩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16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9314B2 (ja) ポーチ
CN102190111B (zh) 自立袋
US6935492B1 (en) Flexible mixing pouch with aseptic burstable internal chambers
MXPA02003605A (es) Bolsa de cambio de temperatura con camara de distribucion.
JP4463205B2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36901B1 (ko) 파우치
KR200483226Y1 (ko) 화장용 마스크팩 및 코팩 일체형 포장재
EP315783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ening and closure device and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such opening and closure device
CN105030412A (zh) 一次性冷袋的制造方法及容纳硝磷酸铵的相关一次性冷袋
JP5790150B2 (ja) 熱水処理用ジッパー付き袋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H11263354A (ja) 包装袋
KR20180001360U (ko) 마스크팩용 파우치
KR20130042825A (ko) 반응액체용기를 내장하는 파우치
KR101314292B1 (ko) 파우치
KR20170089759A (ko) 밀착 체결식 사이즈 프리 용기 운반 주머니
JPH11227841A (ja) 多室パウチ
KR20160110420A (ko) 파우치
KR200406725Y1 (ko) 음료용 포장용기
WO2016171118A1 (ja) 袋状容器、金型および曲線帯状弱シール部の形成方法
JP2017007696A (ja) 包装袋
JP5579317B1 (ja) 発熱体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加熱容器
KR101286510B1 (ko) 파우치
JP7371960B2 (ja) 複室容器
JP3160045U (ja) 包装済み医療用複室容器
KR102079769B1 (ko) 용기용 비닐 포장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