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132B1 -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132B1
KR101187132B1 KR1020100072650A KR20100072650A KR101187132B1 KR 101187132 B1 KR101187132 B1 KR 101187132B1 KR 1020100072650 A KR1020100072650 A KR 1020100072650A KR 20100072650 A KR20100072650 A KR 20100072650A KR 101187132 B1 KR101187132 B1 KR 10118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bar
unit
cutting
support
chamf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379A (ko
Inventor
김태화
장인기
Original Assignee
대흥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산업(주) filed Critical 대흥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7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1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5/00Details of workpieces
    • B23C2215/08Automotiv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08Clamping mechanisms or provision for cl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헤드레스트 스테이용 환봉의 단부를 자동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면취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킴은 물론 금속먼지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환경 및 주변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녹색기술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일정 길이로 절단된 환봉이 준비되는 환봉 준비부와; 상기 환봉 준비부로부터 이송된 환봉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삽탈홈에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환봉이 안착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환봉 지지대와; 상기 환봉 지지대의 지지홈에 안착된 환봉을 길이방향의 일측에 위치한 절삭가공부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송부와; 상기 압송부에 의해 절삭가공부 쪽으로 이동된 환봉을 상측에서 압지하여 고정하는 압지부와; 상기 환봉 지지대와 절삭가공부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압지부과 일체 형성되어 압송부에 의해 이동되는 환봉을 일정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하는 면취 거리조절판과; 상기 압지부에 의해 고정된 환봉의 일측 단부를 면취가공하는 절삭가공부; 상기 절삭가공부에 의해 면취완료된 환봉을 탈거하는 탈거부;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An auto chanfering apparatus for end part of a headrest stay}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헤드레스트 스테이용 환봉의 단부를 자동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면취가공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킴은 물론 종래의 브러시를 이용한 면취 마무리작업에서 발생하였던 금속 분진의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환경 및 주변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녹색기술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의 상부에는 운전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가 설치되는데, 상기 헤드레스트가 시트백의 상단에 체결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헤드레스트의 하단에는 막대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는 시트백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움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외면에는 다단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백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의 상단에는 상기 다단홈에 고정체결되는 지지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삽입홈에 삽입하면서 적당한 높이로 고정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는 강봉으로 가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원자재 단가의 국제적 상승에 따라, 비용 절감을 위해 중앙부가 비어 있는 환봉을 가공하여 제조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와 시트백에 끼움체결이 용이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를 테이퍼진 형상은 프레스를 이용한 성형(=포밍)장치를 통해 가공을 하였는데, 헤드레스트 스테이로 사용할 환봉을 상기 프레스 성형장치로써 가공하게 되면, 단부에 성형 찌꺼기가 생기거나 스크래치가 생기므로, 외면이 매끄럽게 성형이 되지 아니하여 제품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부의 성형 찌꺼기(Burr)를 회전하는 브러시를 이용하여 제거해 주었으나, 상기 브러시로써 환봉의 단부를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환봉을 작업자가 직접 잡고 환봉의 성형된 단부를 상기 회전하는 브러시의 외면에 맞대어야 하는데, 이 때, 작업자가 손을 다칠 위험이 매우 크며, 상기 환봉을 하나씩 잡고 면취 마무리작업을 해주어야 하므로 작업효율도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러시로써 성형된 환봉의 단부를 마무리하게 되면, 브러시에 의해 깍여진 금속 분진은 사방으로 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환경이 열악하게 조성됨은 물론 작업자의 건강을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환봉 준비부에 준비된 환봉을 이송부를 통해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환봉 지지대의 지지홈에 안착시켜, 상기 환봉을 절삭가공부 쪽으로 밀어주는 압송부, 상기 지지홈에 안착된 환봉을 압지하여 고정하는 압지부, 상기 환봉의 일측단을 면취가공하는 절삭가공부를 이용하여, 환봉의 단부를 자동으로 면취가공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 길이로 절단된 환봉이 준비되는 환봉 준비부와; 상기 환봉 준비부로부터 이송된 환봉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삽탈홈에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환봉이 안착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환봉 지지대와; 상기 환봉 지지대의 지지홈에 안착된 환봉을 길이방향의 일측에 위치한 절삭가공부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송부와; 상기 압송부에 의해 절삭가공부 쪽으로 이동된 환봉을 상측에서 압지하여 고정하는 압지부와; 상기 환봉 지지대와 절삭가공부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압지부과 일체 형성되어 압송부에 의해 이동되는 환봉을 일정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하는 면취 거리조절판과; 상기 압지부에 의해 고정된 환봉의 일측 단부를 면취가공하는 절삭가공부와; 상기 절삭가공부에 의해 면취완료된 환봉을 탈거하는 탈거부;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환봉 준비부는; 상기 이송부의 일측단이 출입가능한 중앙의 출입공간부와, 상기 출입공간부의 양측에 수평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환봉이 배열되는 한 쌍의 배열부와, 상기 배열부의 일측단에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환봉이 배열부의 일측단에 항상 대기하도록 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환봉 준비부는; 상기 배열부의 타측단 하측에 형성되되 일 내측면은 상기 배열부의 타측단과 수직벽판으로 연결되는 환봉 적치부와, 상기 수직벽판의 하단에 인접하는 환봉 적치부의 저면에서 배열부의 타측단까지 승강 및 하강하되 상단에는 환봉 안착부가 형성되는 환봉 승강부로 이루어진 구성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부는; 환봉이 삽탈되는 삽탈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운반판과, 상기 운반판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운반판을 상하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상하 및 전후 이동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하 및 전후 이동부는; 한 쌍의 나란한 레일로써 전후 이동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실린더와, 상기 이동판의 상부와 운반판의 하부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실린더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환봉 지지대는; 상기 환봉 준비부의 배열부 일측단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되 그 상부에는 상기 이송부의 운반판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삽탈홈에 대응되는 지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압송부는; 피스톤 로드가 일정 길이로 왕복이동하여 상기 환봉을 절삭가공부가 위치한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실린더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삭가공부는; 상기 압지부에 고정된 환봉의 길이방향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환봉의 일측단을 절삭하는 절삭유닛과, 상기 절삭유닛을 회전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절삭유닛이 상기 압지부에 의해 고정된 환봉의 일측단으로 이동되도록 모터부와 함께 이동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삭유닛의 일측단에 체결되는 절삭날은 교체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압송부, 압지부, 절삭가공부는; 상기 이송부와 그 양측의 환봉 지지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또 하나의 압송부, 압지부, 절삭가공부를 더 포함하여 이송부에 의한 한번의 이동으로 환봉의 양측단을 면취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부는; 환봉 준비부의 출입공간부 하측에서 승강하여 배열부 일측단에 대기하고 있는 환봉을 운반판의 일측에 형성된 삽탈홈으로 옮기는 제 1 단계, 상기 운반판을 전측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환봉을 지지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운반판이 하강하면서 삽탈홈에 안착되어 있던 환봉의 양측을 환봉 지지대의 지지홈에 걸쳐지게 안착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운반판이 하강한 상태에서 환봉 준비부의 출입공간부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 4 단계가 반복되는 메커니즘으로 작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송부의 운반판의 제 1 단계동안 압송부를 작동시켜 환봉의 일측단을 면취 거리조절판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제 2 단계동안 압지부로써 환봉의 일측을 고정한 후, 절삭가공부로써 환봉의 일측단을 면취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환봉의 일측단을 면취가공하고자 할 때에 일반 선반과 브러시로써 면취가공작업을 하였던 종래에 비해 이송부를 통해 자동으로 이동되면서 절삭날을 가진 절삭가공부 등에 의해 자동으로 면취가공되도록 하여, 상기 환봉을 작업자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면취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작업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환봉의 단부를 브러시로써 단부 마무리작업을 할 때에 발생하는 금속분진에 의한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녹색기술로써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시킴은 물론 금속분진에 의한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면취가공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면취가공장치의 평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면취가공장치의 절삭가공부 및 압지부의 내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면취가공장치의 이송부의 정면 구조도
도 4a, 4b, 4c, 4d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면취가공장치의 이송부 동작도
도 5, 5a, 5b, 5c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면취가공장치의 환봉 압지 및 절삭단계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면취가공장치에 의한 환봉 면취가공예시도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환봉이 준비되는 환봉 준비부(10)와; 상기 환봉 준비부(10)로부터 이송된 환봉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삽탈홈(21)에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의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된 환봉이 안착되는 지지홈(31)이 형성된 환봉 지지대(30)와; 상기 환봉 지지대(30)의 지지홈(31)에 안착된 환봉을 길이방향의 일측에 위치한 절삭가공부(70)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송부(40)와; 상기 압송부(40)에 의해 절삭가공부(70) 쪽으로 이동된 환봉을 상측에서 압지하여 고정하는 압지부(50)와; 상기 환봉 지지대(30)와 절삭가공부(70)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압지부(50)과 일체 형성되어 압송부(40)에 의해 이동되는 환봉을 일정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하는 면취 거리조절판(60)과; 상기 압지부(50)에 의해 고정된 환봉의 일측 단부를 면취가공하는 절삭가공부(70)와; 상기 절삭가공부(70)에 의해 면취완료된 환봉을 탈거하는 탈거부(80); 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환봉 준비부(10)는 헤드레스트 스테이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일정 길이로 절단된 환봉이 준비되는 공간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환봉이 나란하게 배열되는 한쌍의 배열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열부(12)의 중앙에는 상기 이송부(20)의 일측이 출입가능한 출입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열부(12)의 일측단에는 걸림턱(13)이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배열부(12)는 걸림턱(13)이 형성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열부(12)의 끝단에 환봉이 항상 대기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열부(12)에 배열되는 환봉들은 임의로 하나씩 배열할 수도 있으나, 배열부(12)의 타측단 하측에 다수개의 환봉들이 담긴 환봉 적치부(15)를 형성하고, 상기 환봉 적치부(15)의 내측면에서 상기 배열부(12)의 타측단으로 수직연결되는 수직벽판(14)을 형성하며, 상기 환봉 적치부(15)의 저부에서 상기 수직벽판(14)에 일측면이 밀착되어 승강하는 수직판재형의 환봉 승강부(17)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환봉 적치부(15)에 보관된 환봉을 상기 환봉 승강부(17)를 통해 배열부(12)로 하나씩 이동시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환봉 승강부(17)의 상단에는 환봉이 하나씩 안착되는 안착부(16)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안착부(16)는 상면 뿐 아니라 벽판 쪽으로도 개방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환봉 승강부(17) 상단의 안착부(16)에 환봉을 안착시켜 수직벽판(14)을 따라 승강시키게 되면, 상기 안착부(16)에 안착된 환봉은 상기 안착부(16)와 수직벽판(14)에 의해 지지되어 배열부(12)의 타측단으로 승강하게 되고, 상기 환봉이 배열부(12)의 타측단에 도달하게 되면, 수직벽판(14)은 환봉을 더 이상 지지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안착부(16)에 안착되어 있던 환봉은 배열부(12)로 굴러가게 되어 배열부(12)에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열부(12)에서 나란하게 배열되는 환봉은 이송부(20)에 의해서 절삭가공부(70)가 위치한 전측 방향으로 이송되는데, 상기 이송부(20)는, 환봉이 용이하게 삽탈되는 삽탈홈(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운반판(22)과; 상기 운반판(22)을 상하 및 전후로 이동시키는 상하 및 전후 이동부(23)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상하 및 전후 이동부(23)는, 상기 운반판(22)을 환봉 지지대(30)에 걸쳐진 환봉을 들어올려 이송시킬 수 있는 높이의 상측에서 환봉 준비부(10)의 배열부(12) 하측으로 삽입가능한 높이의 하측까지 상하이동시키는 수직실린더(23b)와, 상기 운반판(22)을 환봉 준비부(10)의 출입공간부(11)에서 압지부(50)까지 왕복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23a) 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20)의 운반판(22)은 상기 배열부(12)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공간부(11)에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진 판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운반판(22)의 상면에는 상기 환봉이 안착되는 삽탈홈(21)이 전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20)는 환봉 준비부(10)로부터 환봉을 공급받아 상기 환봉의 면취가공작업이 용이하도록 절삭가공부(70) 및 압송부(40)가 위치한 전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환봉을 이송하는 구조 및 메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0)는 환봉 준비부(10)에 형성된 한쌍의 배열부(12) 사이의 출입공간부(11)에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 운반판(22)과, 상기 운반판(2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실린더(23b)와 상기 운반판(22)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23a)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운반판(22)의 하부에는 한쌍의 나란한 레일(24)로 이동되는 이동판(25)이 형성되어, 레일(24)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되, 그 하부에는 수평실린더(23a)가 체결되어, 상기 수평실린더(23a)의 전후 신축에 따라 이동판(25)이 레일(24)을 따라 전후왕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운반판(22)의 하부와 이동판(25)의 상부 사이에는 수직실린더(23b)가 체결되어, 상기 수직실린더(23b)의 상하신축에 따라 상기 운반판(22)이 상하왕복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운반판(22)은 이동판(25)에 체결된 수평실린더(23a)에 의해 전후로 왕복이동하면서 그와 동시에 수직실린더(23b)에 의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20)는, 환봉 준비부(10)의 출입공간부(11) 하측에서 승강하여 배열부(12) 일측단에 대기하고 있는 환봉을 운반판(22)의 일측에 형성된 삽탈홈(21)으로 옮기는 제 1 단계, 상기 운반판(22)을 전측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환봉을 지지홈(31)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운반판(22)이 하강하면서 삽탈홈(21)에 안착되어 있던 환봉의 양측을 환봉 지지대(30)의 지지홈(31)에 걸쳐지게 안착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운반판(22)이 하강한 상태에서 환봉 준비부(10)의 출입공간부(11)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 4 단계가 반복되는 메커니즘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따라, 제 1 단계에 의해 환봉 준비부(10)에서 이송부(20)의 운반판(22)으로 옮겨진 환봉은 제 2 단계과 제 3 단계에 의해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지대(30)의 지지홈(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환봉의 길이방향의 타측에 위치하고 있는 압송부(40)에 의해 길이방향의 일측에 위치한 절삭가공부(70) 쪽로 이동된다.
또한, 제 4 단계동안 상기 환봉의 일측단과 절삭가공부(70) 사이에 위치하는 면취 거리조절판(60)에 의해 일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이동되고, 그 후, 지지홈(31)의 상측에 위치한 압지부(50)에 의해 고정되며, 절삭가공부(70)에 의해 일측단이 면취가공된다. 그 후, 상기 환봉을 압지하던 압지부(5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단부의 면취가공이 완료된 환봉은, 승강하는 이송부(20)의 운반판(22)에 의해 상기 지지홈(31)에서 이탈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계는 운반판(22)의 하부에 형성된 수직실린더(23b)를 신장시켜 수행하게 되고, 상기 제 2 단계는 수직실린더(23b)가 신장된 상태에서 수평실린더(23a)를 신장시켜 수행하게 되며, 상기 제 3 단계는 수평실린더(23a)가 신장된 상태에서 수직실린더(23b)를 수축시켜 수행하게 되고, 상기 제 4 단계는 수직실린더(23b)가 수축된 상태에서 수평실린더(23a) 또한 신축시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직실린더(23b)의 신장이 완료되면 수직실린더(23b)의 센서가 작동되어 수평실린더(23a)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수직실린더(23b)가 신장된 상태에서 수평실린더(23a)가 신장되어 제 2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수평실린더(23a)의 신장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실린더(23a)에 내장된 센서가 작동되면서 수직실린더(23b)를 다시 수축시키게 되어 제 3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 3 단계에 의해 상기 수직실린더(23b)의 수축이 완료되면, 수직실린더(23b)의 센서가 다시 작동되어 수평실린더(23a)를 수축시키게 되어 제 4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수평실린더(23a)의 수축이 완료되면 상기 수평실린더(23a)에 내장된 센서가 작동하여 상기 수직실린더(23b)를 다시 신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부(20)의 운반판(22)에 환봉을 옮겨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단계과 제 2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다른 장치들은 아무런 작동을 하지 아니하나, 상기 운반판(22)의 삽탈홈(21)에 안착된 환봉을 환봉 지지대(30)의 지지홈(31)에 안착되는 제 3 단계가 완료되면, 압송부(40)의 실린더(42)를 신장시켜 상기 환봉을 일측의 절삭가공부(70) 측으로 이동시키되, 환봉의 일측단과 절삭가공부(70)의 사이에 위치한 면취 거리조절판(60)의 위치까지만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제 4 단계 동안에는 이송부(20)의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환봉 지지대(30)의 지지홈 중 절삭가공부(70) 측의 지지홈(31)의 상측에 형성된 압지부(50)의 실린더(51)를 신장시켜 면취 거리조절판(60)을 하향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환봉을 상측에서 압지하여 고정시킴과 아울러 절삭가공부(70)의 일측에 형성된 실린더(74)와 모터부(73)를 작동시켜 상기 환봉의 일측 단부를 면취가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20)의 양측에 위치한 한 쌍의 환봉 지지대(30)의 지지홈(31) 중 압송부(40) 측의 지지홈(31)의 상측에도 실린더(53)를 가진 별도의 압지부(52)를 형성하여 상기 환봉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환봉 준비부(10)에 환봉 적치부(15)와 환봉 승강부(17)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운반판(22)이 배열부(12)의 하측에 대기하고 있는 제 4 단계동안에 상기 환봉 승강부(17)를 작동시켜 환봉 적치부(15)에 담긴 환봉을 그 상단의 안착부(16)에 안착시켜 배열부(12)로 이동시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환봉의 면취가공이 끝나는 즉시, 상기 이송부(20)의 운반판(22)은 출입공간부(11)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승강하여 그 다음 환봉이 운반판(22) 상면의 삽탈홈(21)에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면취가공이 끝난 환봉은 운반판(22)의 말단에 형성된 삽탈홈(21)에 안착되면서 압송부(40), 압지부(50), 절삭가공부(70)에 대응되는 지지홈(31)을 벗어나게 되고, 상기 그 다음 환봉이 담긴 삽탈홈(21)이 상기 지지홈(31)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면취가공이 끝난 환봉은 별도의 환봉 탈거부(80)에 의해 상기 탈거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20)의 양측에 형성되어 환봉의 양측이 걸쳐지는 환봉 지지대(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환봉 지지대(30)의 상부에는 환봉의 양측이 안착되는 지지홈(31)이 형성되어 있어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된 환봉은 상기 지지홈(31)에 안착한 동안, 압송부(40), 압지부(50), 절삭가공부(70)에 의해 그 일측단이 면취가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20)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환봉 지지대(30) 중 일측 환봉 지지대(30)의 외측에는 압송부(4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환봉 지지대(30)의 외측에는 절삭가공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 환봉 지지대(30)의 지지홈(31) 상측에는 압지부(50)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압송부(40)는, 피스톤 로드(41)가 일정 길이로 왕복이동하여 상기 환봉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실린더(42); 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환봉을 지지홈(31)에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압송부(40)의 실린더(42)가 작동하여 피스톤 로드(41)를 신장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신장된 피스톤 로드(41)의 끝단부는 환봉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주게 되며, 상기 환봉은 상기 지지홈(31)이 형성된 환봉 지지대(30)와 절삭가공부(70)의 사이에 형성되는 면취 거리조절판(6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환봉은 일측단이 면취 거리조절판(60)에 당접되는 위치까지만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환봉이 이동되면, 상기 환봉의 양측이 안착된 지지홈(31)의 상측에 위치하는 압지부(50)가 하향이동하여 삽탈홈(21)에 안착된 환봉의 상면을 압지하여 고정시키게 됨과 동시에 압지부(50)의 하측에 일체형성된 면취 거리조절판(60) 또한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환봉의 일측단이 절삭가공부(70)로써 면취가공되도록 한다.
상기 환봉의 면취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압지부(5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송부(20)의 운반판(22)이 상승한 후,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강하면서 환봉 탈거부(80)를 통해 상기 환봉을 지지홈(31)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됨에 따라 하나의 환봉 면취가공작업은 완전히 완료되며, 이러한 메커니즘이 반복되어 다수 개의 환봉 면취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상기 이송부(20)와 그 양측의 환봉 지지대(30)를 기준으로, 또 하나의 압송부(40a), 압지부(50a), 면취 거리조절판(60a), 절삭가공부(70a)를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이송부(20)에 의한 한번의 이동으로 상기 환봉의 양측단이 면취가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운반판(22)의 상면에 환봉이 일정 간격으로 안착되는 삽탈홈(21)을 다수 개 형성함으로써 환봉의 일측단과 타측단의 면취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환봉 준비부(10)의 중앙에 형성된 출입공간부(11)의 하측에서 승강하여 배열부(12)의 일측단에 대기하고 있던 환봉을 운반판(22) 일측의 제 1 삽탈홈(21a)에 안착시킨 이송부(20)는, 그 상태로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여 환봉 지지대(30)의 제 1 지지홈(31a)에 안착시키게 되고, 상기 이송부(20)의 운반판(22)이 하강하여 다시 출입공간부(11)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 1 지지홈(31a)에 안착된 환봉은 압송부(40), 면취 거리조절판(60)에 의해 절삭가공부(70) 측의 일정 위치로 이동되고, 그 후, 압지부(50)에 의해 압지 고정되며, 절삭가공부(70)에 의해 일측단이 면취가공된다.
그 후, 상기 이송부(20)의 운반판(22)이 다시 승강하여 환봉 준비부(10)로부터 새로운 환봉을 운반판(22) 일측의 제 1 삽탈홈(21a)으로 옮기게 되면, 그와 동시에 제 1 지지홈(31a)에 안착되어 있던 환봉도 상기 제 1 지지홈(31a)에서 이탈되어 제 2 삽탈홈(21b)에 안착되고, 그 상태로 상기 운반판(22)을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제 1 삽탈홈(21a)에 안착되어 있던 새로운 환봉은 상기 제 1 지지홈(31a)에 안착된 후, 절삭가공부에 의해 일측단이 면취가공되며, 상기 제 2 삽탈홈(21b)에 안착되어 있던 환봉이 제 2 지지홈(31b)에 안착되면 상기 절삭가공부(70)의 반대측에 위치한 또 다른 절삭가공부(70a)에 의해 타측단이 면취가공된다.
이 때, 상기 제 2 지지홈(31a)의 양측에 형성된 압송부(40a)와 면취 거리조절판(60a), 절삭가공부(70a)는 상기 제 1 지지홈(31a)의 양측에 형성된 구성과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하여야 환봉의 일측단의 반대측인 타측단의 면취가공작업도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지지홈(31a)과 제 2 지지홈(31b)의 사이에는 절삭가공부(70)(70a)를 구성하는 모터부(73)(73a)와 절삭유닛(71)(71a)의 크기를 고려하여, 별도의 지지홈(31c)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별도의 지지홈(31c)은 일측단이 면취가공된 환봉이 타측단의 면취가공을 위해 대기하는 공간이 될 것이다.
제 1 지지홈(31a)에 안착되어 있던 환봉의 일측단과 제 2 지지홈(31b)에 안착되어 있던 환봉의 타측단의 면취가공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부(20)의 운반판(22)은 출입공간부(11)의 하측에서 승강하여 제 1 삽탈홈(21a)에 새로운 환봉을 안착시키면서 제 2 삽탈홈(21b)에는 제 1 지지홈(31a)에 안착되어 있던 환봉을 안착시키고, 제 3 삽탈홈(21c)에는 제 2 지지홈(31b)에 안착되어 있던 환봉을 안착시켜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3 삽탈홈(21c)에 안착되어 있던 환봉은 상기 배열부(12)와 대등한 높이로 형성된 한 쌍의 나란한 환봉 탈거부(80)에 걸쳐지도록 하여 하나의 환봉 단부 면취가공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환봉 준비부 11 : 출입공간부
12 : 배열부 13 : 걸림턱
14 : 수직벽판 15 : 환봉 적치부
16 : 환봉 안착부 17 : 환봉 승강부
20 : 이송부 21 : 삽탈홈
21a : 제 1 삽탈홈 21b : 제 2 삽탈홈
21c : 제 3 삽탈홈 22 : 운반판
23 : 상하 및 전후 이동부 23a : 수평실린더
23b : 수직실린더 24 : 레일
25 : 이동판 30 : 환봉 지지대
31 : 지지홈 31a : 제 1 지지홈
31b : 제 2 지지홈 40 : 압송부
41 : 피스톤 로드 42 : 압송부 실린더
50, 52 : 압지부 51, 53 : 압지부 실린더
60 : 면취 거리조절부 70 : 절삭가공부
71 : 절삭유닛 72 : 절삭날
73 : 모터부 74 : 절삭가공부 실린더
80 : 환봉 탈거부

Claims (12)

  1. 일정 길이로 절단된 환봉이 준비되는 환봉 준비부(10)와; 상기 환봉 준비부(10)로부터 이송된 환봉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삽탈홈(21)에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의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된 환봉이 안착되는 지지홈(31)이 형성된 환봉 지지대(30)와; 상기 환봉 지지대(30)의 지지홈(31)에 안착된 환봉을 길이방향의 일측에 위치한 절삭가공부(70)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송부(40)와; 상기 압송부(40)에 의해 절삭가공부(70) 쪽으로 이동된 환봉을 상측에서 압지하여 고정하는 압지부(50)와; 상기 환봉 지지대(30)와 절삭가공부(70)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압지부(50)과 일체 형성되어 압송부(40)에 의해 이동되는 환봉을 일정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하는 면취 거리조절판(60)과; 상기 압지부(50)에 의해 고정된 환봉의 일측 단부를 면취가공하는 절삭가공부(70)와; 상기 절삭가공부(70)에 의해 면취완료된 환봉을 탈거하는 탈거부(80); 로 이루어고,
    상기 환봉 준비부(10)는;
    상기 이송부(20)의 일측단이 출입가능한 중앙의 출입공간부(11)와, 상기 출입공간부(11)의 양측에 수평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환봉이 배열되는 한 쌍의 배열부(12)와, 상기 배열부(12)의 일측단에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환봉이 배열부(12)의 일측단에 항상 대기하도록 하는 걸림턱(13)으로 이루어며, 상기 배열부(12)의 타측단 하측에 형성되되, 일 내측면이 상기 배열부(12)의 타측단과 수직벽판(14)로 연결되는 환봉 적치부(15)와, 상기 수직벽판(14)의 하단에 인접하는 환봉 적치부(15)의 저면에서 배열부(12)의 타측단까지 승강 및 하강하되, 상단에는 환봉 안착부(16)가 형성되는 환봉 승강부(17)로 이루어진 구성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일정 길이로 절단된 환봉이 준비되는 환봉 준비부(10)와; 상기 환봉 준비부(10)로부터 이송된 환봉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삽탈홈(21)에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의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된 환봉이 안착되는 지지홈(31)이 형성된 환봉 지지대(30)와; 상기 환봉 지지대(30)의 지지홈(31)에 안착된 환봉을 길이방향의 일측에 위치한 절삭가공부(70)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송부(40)와; 상기 압송부(40)에 의해 절삭가공부(70) 쪽으로 이동된 환봉을 상측에서 압지하여 고정하는 압지부(50)와; 상기 환봉 지지대(30)와 절삭가공부(70)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압지부(50)과 일체 형성되어 압송부(40)에 의해 이동되는 환봉을 일정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하는 면취 거리조절판(60)과; 상기 압지부(50)에 의해 고정된 환봉의 일측 단부를 면취가공하는 절삭가공부(70)와; 상기 절삭가공부(70)에 의해 면취완료된 환봉을 탈거하는 탈거부(80); 로 이루어고,
    상기 이송부(20)는;
    환봉이 삽탈되는 삽탈홈(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운반판(22)과, 상기 운반판(22)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운반판(22)을 상하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상하 및 전후 이동부(2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및 전후 이동부(23)는;
    한 쌍의 나란한 레일(24)로써 전후 이동하는 이동판(25)과, 상기 이동판(25)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실린더(23a)와, 상기 이동판(25)의 상부와 운반판(22)의 하부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실린더(23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봉 지지대(30)는;
    상기 환봉 준비부(10)의 배열부(12) 일측단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되 그 상부에는 상기 이송부(20)의 운반판(22)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삽탈홈(21)에 대응되는 지지홈(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송부(40)는;
    피스톤 로드(41)가 일정 길이로 왕복이동하여 상기 환봉을 절삭가공부(70)가 위치한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주는 실린더(4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가공부(70)는;
    상기 지지홈(31)에 안착된 환봉의 길이방향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여 상기 환봉의 일측단을 절삭하는 절삭유닛(71)과, 상기 절삭유닛(71)을 회전시키는 모터부(73)와, 상기 절삭유닛(71)이 상기 압지부(50)에 의해 고정된 환봉의 일측단으로 이동되도록 모터부(73)와 함께 이동시키는 실린더(7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유닛(71)의 일측단에 체결되는 절삭날(72)은 교체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송부(40), 압지부(50), 면취 거리조절판(60), 절삭가공부(70)는;
    상기 이송부(20)와 그 양측의 환봉 지지대(3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또 하나의 압송부(40a), 압지부(50a), 면취 거리조절판(60a), 절삭가공부(70a)를 더 포함하여 이송부(20)에 의한 한번의 이동으로 환봉의 양측단을 면취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11. 일정 길이로 절단된 환봉이 준비되는 환봉 준비부(10)와; 상기 환봉 준비부(10)로부터 이송된 환봉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삽탈홈(21)에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의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된 환봉이 안착되는 지지홈(31)이 형성된 환봉 지지대(30)와; 상기 환봉 지지대(30)의 지지홈(31)에 안착된 환봉을 길이방향의 일측에 위치한 절삭가공부(70)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송부(40)와; 상기 압송부(40)에 의해 절삭가공부(70) 쪽으로 이동된 환봉을 상측에서 압지하여 고정하는 압지부(50)와; 상기 환봉 지지대(30)와 절삭가공부(70)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압지부(50)과 일체 형성되어 압송부(40)에 의해 이동되는 환봉을 일정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하는 면취 거리조절판(60)과; 상기 압지부(50)에 의해 고정된 환봉의 일측 단부를 면취가공하는 절삭가공부(70)와; 상기 절삭가공부(70)에 의해 면취완료된 환봉을 탈거하는 탈거부(80); 로 이루어고,
    상기 이송부(20)는;
    환봉 준비부(10)의 출입공간부(11) 하측에서 승강하여 배열부(12) 일측단에 대기하고 있는 환봉을 운반판(22)의 일측에 형성된 삽탈홈(21)으로 옮기는 제 1 단계, 상기 운반판(22)을 이동시키되 상기 환봉을 지지홈(31)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운반판(22)이 하강하면서 삽탈홈(21)에 안착되어 있던 환봉의 양측을 환봉 지지대(30)의 지지홈(31)에 걸쳐지게 안착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운반판(22)이 하강한 상태에서 환봉 준비부(10)의 출입공간부(11)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 4 단계가 반복되는 메커니즘으로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12. 일정 길이로 절단된 환봉이 준비되는 환봉 준비부(10)와; 상기 환봉 준비부(10)로부터 이송된 환봉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삽탈홈(21)에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의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된 환봉이 안착되는 지지홈(31)이 형성된 환봉 지지대(30)와; 상기 환봉 지지대(30)의 지지홈(31)에 안착된 환봉을 길이방향의 일측에 위치한 절삭가공부(70) 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송부(40)와; 상기 압송부(40)에 의해 절삭가공부(70) 쪽으로 이동된 환봉을 상측에서 압지하여 고정하는 압지부(50)와; 상기 환봉 지지대(30)와 절삭가공부(70)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압지부(50)과 일체 형성되어 압송부(40)에 의해 이동되는 환봉을 일정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하는 면취 거리조절판(60)과; 상기 압지부(50)에 의해 고정된 환봉의 일측 단부를 면취가공하는 절삭가공부(70)와; 상기 절삭가공부(70)에 의해 면취완료된 환봉을 탈거하는 탈거부(80); 로 이루어고,
    상기 이송부(20)의 제 1 단계동안 압송부(40)를 작동시켜 환봉의 일측단을 면취 거리조절판(60)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제 2 단계동안 압지부(50)로써 환봉의 일측을 고정한 후 절삭가공부(70)로써 환봉의 일측단을 면취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자동 면취가공장치.
KR1020100072650A 2010-07-28 2010-07-28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KR10118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50A KR101187132B1 (ko) 2010-07-28 2010-07-28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50A KR101187132B1 (ko) 2010-07-28 2010-07-28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379A KR20120015379A (ko) 2012-02-21
KR101187132B1 true KR101187132B1 (ko) 2012-09-28

Family

ID=4583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650A KR101187132B1 (ko) 2010-07-28 2010-07-28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1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794B1 (ko) * 2018-04-16 2019-09-26 (주)신명금속 면취가공기
KR102163472B1 (ko) 2019-12-10 2020-10-08 주식회사 정운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단부 포밍시스템 및 스테이로드
KR102334103B1 (ko) 2021-10-06 2021-12-01 박지호 복합형 면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59Y1 (ko) * 2012-06-29 2013-04-23 신문철 포밍 롤에 의한 헤드레스트 스테이 끝단 부 포밍 방법 및 장치
KR101462555B1 (ko) * 2012-08-27 2014-11-17 한국정밀주식회사 소재 커팅 및 버 제거장치
KR101626886B1 (ko) * 2014-07-15 2016-06-02 에스에프앤티 주식회사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의 버르 제거장치
CN109877372B (zh) * 2018-02-16 2020-06-16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棒状建筑材料的前后两断面自动倒角设备
CN113843680B (zh) * 2021-09-30 2023-08-15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球墨铸铁管水泥内衬倒角装置
CN114161162B (zh) * 2021-10-15 2023-10-13 乐清市嘉韵电器有限公司 一种sc接线端子自动生产系统
KR102485564B1 (ko) * 2022-11-22 2023-01-09 심원중 선루프 레일의 절단면 가공을 위한 면취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794B1 (ko) * 2018-04-16 2019-09-26 (주)신명금속 면취가공기
KR102163472B1 (ko) 2019-12-10 2020-10-08 주식회사 정운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단부 포밍시스템 및 스테이로드
KR102334103B1 (ko) 2021-10-06 2021-12-01 박지호 복합형 면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379A (ko)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132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면취가공장치
CN109562431B (zh) 用于机器的装载和卸载装置、用于加工板状工件的机器、用于这种机器的工件支撑件及装载和卸载这种机器的方法
CN214638680U (zh) 超声波清洗机搬运模组及超声波清洗机
CN115519236B (zh) 一种隧道支护钢拱架用连接板激光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10587162A (zh) 单梁桁架激光切割机全自动上下料工作站及其工作方法
JP5923347B2 (ja) 製品分離方法及び装置並びにスケルトン台車
CN216917358U (zh) 用于倍速链流水线的顶升定位机构
CN211465208U (zh) 单梁桁架激光切割机全自动上下料工作站
JP6264567B2 (ja) 押出プレスのダイス交換装置
CN219988000U (zh) 一种箱梁钢筋绑扎工作台
KR101203336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단부 자동 프레스 성형시스템
JP2000263290A (ja) 熱切断加工機の板材搬入搬出装置
CN215046989U (zh) 一种舟皿叠放托架
CN211109790U (zh) 一种自动下料装置
CN111285191B (zh) 一种纱管夹具及割纱设备
CN211712473U (zh) 一种夹爪位置可调的边模出入库装置
CN210878415U (zh) 一种治具拆分组合装置
CN111846976A (zh) 自动换盘、叠盘装置及自动换盘、叠盘方法
CN218556400U (zh) 一种钢材切断机的钢材上料结构
CN217648919U (zh) 一种吸塑机直推式裁断料斗
CN216462174U (zh) 一种锯床的自动送退料装置
CN214348810U (zh) 一种卷板机用辅助工装
CN220461830U (zh) 一种方便脱料的折弯机活动成型装置
CN217750577U (zh) 一种工件大小可调的全自动集束上料料架
CN218874625U (zh) 一种金属制品锯切用工件上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