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892B1 - 극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 극판을 포함한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극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 극판을 포함한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892B1
KR101182892B1 KR1020110043997A KR20110043997A KR101182892B1 KR 101182892 B1 KR101182892 B1 KR 101182892B1 KR 1020110043997 A KR1020110043997 A KR 1020110043997A KR 20110043997 A KR20110043997 A KR 20110043997A KR 101182892 B1 KR101182892 B1 KR 101182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current collector
plate
electrod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892B1/ko
Priority to US13/412,931 priority patent/US895675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2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laminating of indefinite length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5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coating or impregn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극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활물질 코팅부 및 무지부가 형성된 극판에 있어서, 상기 극판을 단차가 형성된 프레스기로 압착하여 주름의 방향이 한쪽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극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극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 극판을 포함한 이차전지{Electrode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plat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극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 극판을 포함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권취된 전극조립체를 케이스에 삽입한 후 캡조립체로 밀봉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 또는 음극판(이하 ‘극판’ 이라 한다)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박막에 활물질 슬러리가 코팅된 활물질코팅부와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로 형성된다.
상기 활물질코팅부는 전극 집전체와 접착성이 증가되고, 활물질 용량밀도가 증가되도록 압연과정이 포함된다. 상기 압연된 극판은 건조 후 일정한 폭의 커터를 통과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활물질이 코팅된 집전체를 단차 프레스기로 가압하여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 눌림부가 형성된 극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극 집전체의 코팅 면과 무지부에 대응되도록 단차가 형성된 단차 프레스기로 가압되어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한쪽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눌림부가 형성되는 극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한쪽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눌림부가 형성된 극판이 포함된 전극조립체가 제공되어, 성능이 향상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극판은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활물질 코팅부 및 무지부가 형성된 극판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는 상기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한쪽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눌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눌림부는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상기 극판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무지부의 10mm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눌림부는 복수개의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은 전극 집전체가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10° 내지 50°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은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4 내지 10mm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은 1.3mm/EA 내지 1.7mm/EA 주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은 단면에서 두께가 152㎛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전체는 알루미늄 금속 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판의 제조방법은 전극 집전체를 가이드 하는 롤에 의해 공급되는 전극 집전체 공급단계, 상기 전극 집전체에 코팅될 활물질이 형성되도록 도전재가 혼합되는 활물질 혼합단계, 상기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서 활물질이 코팅되는 활물질 코팅단계, 상기 코팅된 전극 집전체는 활물질 코팅 면에 대응되는 활물질 압착부와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에 대응되는 무지부 압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활물질 압착부와 무지부 압착부는 활물질 코팅 두께와 대응되도록 단차가 형성되는 단차 프레스기로 가압하는 압착단계 및 상기 가압된 전극 집전체의 활물질층이 건조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된 전극 집전체의 무지부에는 전극 집전체가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 일정하게 눌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서로 다른 극성의 극판과 세퍼레이터가 형성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전극조립체 수용부 및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밀봉되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극판의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한쪽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눌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판 및 이 극판의 제조방법은 단차 프레스기로 가압되어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 눌림부가 한쪽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어 무지부가 끊어지는 것과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한쪽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눌림부가 형성된 극판이 포함된 전극조립체가 형성되어 전지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판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1의 제조 과정에서 가압단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2의 가압단계에서 극판의 눌림부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4a는 도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눌림부의 각도를 설명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눌림부의 폭을 설명한 평면도이다.
도 4c는 도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눌림부의 주기를 설명한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4c의 C-C’부분의 단면에서 눌림부의 두께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5는 각 극판 설계에 따라 도2의 가압단계에서 형성된 눌림부의 확대사진(D) 및 주름의 단면사진(E)이다.
도 6은 도1의 제조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극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 극판을 포함한 이차전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판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1의 제조 과정에서 가압단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2의 가압단계에서 극판의 눌림부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4a는 도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눌림부의 각도를 설명한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눌림부의 폭을 설명한 평면도이다. 도 4c는 도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눌림부의 주기를 설명한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4c의 C-C’부분의 단면에서 눌림부의 두께를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5는 각 극판 설계에 따라 도2의 가압단계에서 형성된 눌림부의 확대사진(D) 및 주름의 단면사진(E)이다. 도 6은 도1의 제조과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극판은 전극 집전체(10)의 코팅 면과 무지부에 대응되도록 단차가 형성된 단차 프레스기(40)로 가압되어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한쪽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눌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극판은 서로 다른 극성인 양극판 또는 음극판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극판은 알루미늄 금속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은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양극활물질 코팅부와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로 형성된다. 상기 음극판은 음극집전체와 상기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음극활물질 코팅부와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로 형성된다.
상기 눌림부는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극판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무지부의 10mm 영역 내에 형성된다. 상기 눌림부는 복수개의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눌림부의 일실시예인 주름(13)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주름(13)은 하기에 설명되는 전극 집전체(10)가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10°(θmin) 내지 50°(θmax)의 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전극 집전체의 폭을 가로지르는 가상선(미도시)은 90°이다.
또한, 상기 주름(13)은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4(Wmin) 내지 10(Wmax)mm의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름(13)은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데, 각 주름(13)은 1.3mm/EA 내지 1.7mm/EA 주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주름(13)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집전체(10)가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26.5mm의 길이에서 15개 내지 20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속되는 두 개의 주름(13) 사이의 거리는 1.3mm 내지 1.7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13)의 두께는, 도 4c 및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선 C-C’의 단면에서 152㎛이하로 형성된다. 상기 주름(13)은 무지부(12, 14)에 단차 프레스기(40)가 가압되어 눌림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주름(13)은 최대 152㎛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무지부(12, 14) 표면에 눌림이 형성되어 주름(13)의 최소 두께가 0㎛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주름(13)은 0㎛ 내지 152㎛의 두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상기 극판의 제조방법은 전극집전체 공급단계(S100), 활물질 혼합단계(S200), 활물질 코팅단계(S300), 압착단계(S400) 및 건조단계(S5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극판의 제조방법은 전극 집전체(10)의 코팅 면과 무지부에 대응되도록 단차가 형성된 단차 프레스기(40)로 가압되어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한쪽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눌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극 집전체 공급단계(S100)는 도전성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양극집전체 또는 음극집전체(이하 ‘전극 집전체’ 라 한다)가 제공된다. 상기 전극 집전체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금속 박판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집전체는 권취 롤(21)에서 복수 개의 가이드 롤(22, 23, 24, 25)을 통하여 일정한 장력으로 공급된다.
상기 활물질 혼합단계(S200)는 바인더 솔루션(binder solution)에 양극 또는 음극활물질(이하‘전극활물질’이라 한다) 및 도전재가 활물질 저장부(31)에서 혼합되어 저장된다.
상기 활물질에서 양극 활물질로는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이 사용된다. 상기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은 LiCoO2, LiMn2O4, LiNiO2, LiNi1-xCoxO2(0<x<1), LiMnO2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들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에는 NCM계 양극활물질인 Li[NiCoMn]O2 또는 NCA계 양극활물질인 Li[NiAlCo]O2 또는 LFP게 양극활물질인 LiFePO4가 사용된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금속, 리튬과 합금화 가능한 금속물질,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 할 수 있는 물질, 리튬과 가역적으로 반응하여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 또는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튬과 합금화 가능한 금속 물질로는 Na, K, Rb, Cs, Fr, Be, Mg, Ca, Sr, Ba, Ra, Ti, Ag, Zn, Cd, Al, Ga, In, Si, Ge, Sn, Pb, Sb, B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 할 수 있는 물질, 또는 리튬과 가역적으로 반응하여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로는 바나듐 산화물, 리튬 바나듐 산화물, Si, SiOx(0 < x < 2), 실리콘 함유 금속합금, Sn, SnO2, 틴 합금 복합체(composite tin alloys)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극활물질 및 음극활물질의 재질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활물질 코팅단계(S300)는 활물질이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다. 이때, 활물질이 코팅되는 영역(32)은 전극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물질 코팅단계(S300)는 슬롯다이(30)를 통하여 전극 집전체에 수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슬롯다이(30)는 전극 집전체에 활물질(32)이 도포되는 장치에 있어서 일 예이며, 상기 슬롯다이(30)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활물질 코팅단계(S300)에는 전극 집전체의 단위 면적에 도포되는 활물질의 무게를 설정하여 코팅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활물질이 코팅되는 단위 면적 당 무게를 설정할 때, 압축 후 활물질 코팅부(32)의 두께가 설정된다. 이 경우 설정 데이터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압착단계(S400)는 활물질 코팅부(32)와 전극 집전판(10)의 접착력이 증가되도록 단차 프레스기(40)로 압착된다. 상기 압착단계(S400)는 활물질 코팅단계(S300)에서 설정된 압축 후 활물질 코팅부(32)의 두께까지 압착된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단차 프레스기(40)는 활물질이 전극 집전판(10)의 일면에 코팅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활물질이 전극 집전판(10)이 양면에 코팅되면, 상부 및 하부 프레스기(41, 42) 모두 활물질 코팅 면(32)과 대응되도록 단차(44, 45)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활물질이 전극 집전판(10)의 일면에 코팅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차 프레스기(40)는 상부 프레스기(41) 및 하부 프레스기(42)를 포함한다. 상기 단차 프레스기(40)는 롤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프레스기(41)는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두께 차이와 대응되는 단차(44, 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프레스기(41)는 활물질 압착부(43)와 무지부 압착부(46, 47)를 포함한다. 상기 활물질 압착부(43)는 전극 집전체(10)의 활물질 코팅 면(32)에 대응된다. 상기 무지부 압착부(46, 47)는 전극 집전체의 무지부(12, 14)에 각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활물질 압착부(43)와 무지부 압착부(46, 47)의 단차(44, 45) 높이는 압축 후 활물질의 두께와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무지부 압착부(46, 47)는 무지부(12, 14)를 압착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눌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활물질이 코팅된 전극 집전체(10)는 단차 프레스기(40)를 통과한 후 무지부에 눌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눌림부는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눌림부는 복수개의 주름(13)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13)은 전극 집전체(10)가 공급되는 방향(A)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13)은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50°(θmax)이하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13)은 10°(θmin) 내지 50°(θmax) 각도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눌림부는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형성된다. 주름(13)은 최대 10mm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13)은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4(Wmin) 내지 10(Wmax)mm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름(13)은 1.3mm 내지 1.7mm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름(13)의 두께는 단면에서 152㎛이하로 형성된다. 상기 주름(13)은 무지부(12, 14)에 상부 프레스기(41)가 가압되어 눌림이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주름(13)의 두께는 최대 15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최소 0㎛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주름(13)의 두께가 0㎛인 경우는 주름(13)이 없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주름(13)이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0㎛ 이상 152㎛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 압착단계(S400)에서 단차 프레스(40)로 가압된 전극판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각 극판 설계에 따라 도2의 가압단계에서 형성된 눌림부의 확대사진(D) 및 주름의 단면사진(E)이다. 상기 눌림부는 복수개의 주름(13) 형상으로 나타난다. 하기에 설명될 실험 1, 2 및 3은 도2에 도시된 단차 프레스기(40)로 가압된다. 상기 단차프레스기(40)는 상부 프레스기(41) 및 하부 프레스기(42)로 형성된다. 상기 단차프레스기(40)는 11M/min 속도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기(40) 속도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험 1 내지 3에는 전극집전체(10)가 알루미늄 금속 박판이 사용된다. 또한, 본 실험에서 설정된 데이터는 전지의 특성에 따른 것이다. 상기 설정 데이터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1
V3+NCM523을 90: 5: 5의 비율로 형성된 양극활물질을 전극 집전체에 도포하였다. 상기 전극 집전체의 단위 면적당(㎠) 도포되는 활물질의 무게(㎎)를 50.00㎎/㎠ 로 설정, 가압 후 활물질층의 두께를 208㎛로 설정, 합제밀도(g/cc)를 2.65로 설정하였다.
상기 활물질을 전극집전체에 도포한 후 측정된 활물질층의 두께는 280㎛이었다. 상기 활물질은 설정된 두께 및 합제밀도와 일치되도록 가압되었다.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프레스기(40)로 가압되면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 눌림부가 형성되었다.
상기 눌림부는 확대한 사진(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주름(13)이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주름(13)은 전극 집전체(10)가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10.5° 내지 49.6°의 각도로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주름(13)은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4 내지 8mm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무지부(12, 14)의 길이가 26.5mm인 경우, 주름(13)이 16 내지 17개가 형성되었다. 상기 각 주름(13)의 간격은 1.56mm/EA 내지 1.65 mm/EA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주름(13)의 최대 두께(Tmax)는 153.1㎛가 형성되었다.
실험 2
LCO/NCA=6:4을 94: 3: 3의 비율로 형성된 양극활물질을 전극 집전체에 도포하였다. 상기 전극 집전체의 단위 면적당(㎠) 도포되는 활물질의 무게(㎎)를 18.24㎎/㎠ 로 설정, 가압 후 활물질층의 두께를 79㎛로 설정, 합제밀도(g/cc)를 3.09로 설정하였다.
상기 활물질을 전극집전체에 도포한 후 측정된 활물질층의 두께는 107㎛이었다. 상기 활물질은 설정된 두께 및 합제밀도와 일치되도록 가압되었다.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프레스기(40)로 가압되면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 눌림부가 형성되었다.
상기 눌림부는 확대한 사진(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주름(13)이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주름(13)은 전극 집전체(10)가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22.4° 내지 40.7°의 각도로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주름(13)은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5 내지 10mm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무지부(12, 14)의 길이가 26.5mm인 경우, 주름(13)이 18 내지 19개가 형성되었다. 상기 각 주름(13)의 간격은 1.39mm/EA 내지 1.47 mm/EA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름(13)의 최대 두께(Tmax)는 80.7㎛가 형성되었다.
실험 3
LTO(1002)를 89: 6: 6의 비율로 형성된 음극활물질을 전극 집전체에 도포하였다. 상기 전극 집전체의 단위 면적당(㎠) 도포되는 활물질의 무게(㎎)를 17.36㎎/㎠ 로 설정, 가압 후 활물질층의 두께를 111㎛로 설정, 합제밀도(g/cc)를 1.91로 설정하였다.
상기 활물질을 전극집전체에 도포한 후 측정된 활물질층의 두께는 195㎛이다. 상기 활물질은 설정된 두께 및 합제밀도와 일치되도록 가압되었다.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프레스기(40)로 가압되면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 눌림부가 형성되었다.
상기 눌림부는 확대한 사진(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주름(13)이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주름(13)은 전극 집전체가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22.4° 내지 40.7°의 각도로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주름(13)은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4 내지 7mm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무지부(12, 14)의 길이가 24mm인 경우, 주름(13)이 16개가 형성되었다. 상기 각 주름(13)의 간격은 1.5mm/EA로 형성되었다. 상기 주름(13)의 최대 두께(Tmax)는 86.9㎛가 형성되었다.
상기 실험 1 내지 3의 결과에 따르면, 상기 압착단계(S400)에서 단차 프레스(40)에 형성된 단차(44, 45)의 높이가 활물질 코팅부(32)의 코팅된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가압되기 때문에 무지부(12, 14)에 주름(13)이 형성 된다. 그 결과 상기 실험과 같이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는 주름(13)이 형성된다. 상기 주름(13)은 각도, 폭 및 주기가 실험 결과에 나타난 범위에 내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극판 제작 시 무지부(12, 14)에 나타나는 끊김 등의 품질 불량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결과에 따르면 극판 제조 공정에서 생산 효율 및 재료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양질의 극판이 제공되기 때문에 이차전지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S500)는 가입된 전극 집전체(10)가 진공 챔버(VD)(50)에서 건조된다. 상기 진공 챔버(50)에서 활물질(32)의 용매 및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차전지(10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도7은 이차전지의 일 예로 각형 전지를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각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통형 및 파우치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이차전지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110), 캔(120), 전극단자(130) 및 캡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서로 다른 극성의 극판과 세퍼레이터(114)가 형성된다. 상기 극판은 양극판(113) 및 음극판(115)으로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113)은 양극활물질이 코팅되고, 음극판(115)에는 음극활물질이 코팅된다. 상기 양극판(113)은 무지부에 양극탭(117)이 연결되고, 음극판(115)의 무지부에는 음극탭(116)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양극탭(117)은 전극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양극판(113) 또는 음극판(115) 중 어느 하나의 극판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양극판(113) 및 음극판(115)에는 무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무지부는 눌림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눌림부는 양극판(113) 및 음극판(115)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극판(113) 또는 음극판(115)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눌림부의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양극판(113)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양극판(113)은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공정으로 제조된다. 상기 양극판(113)은, 도3을 참조하면, 전극집전체(10)의 어느 일면에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를 포함한다. 상기 활물질 코팅부(32)와 무지부(12, 14)의 경계면에서 한쪽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눌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눌림부는 복수 개의 연속된 주름(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름(13)은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10°(θmin) 내지 50°(θmax)의 각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름(13)은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12,14)의 경계면에서 4(Wmin) 내지 10(Wmax)mm 의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름(13)은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데, 각 주름(13)은 1.3mm/EA 내지 1.7mm/EA 주기로 형성된다. 상기 연속되는 두 개의 주름(13) 사이의 거리는 1.3mm 내지 1.7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13)의 두께는 단면에서 152㎛이하로 형성된다. 상기 주름(13)은 무지부(12, 14)에 단차 프레스기(40)가 가압되어 눌림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주름(13)은 최대(Tmax) 152㎛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무지부 표면에 눌림이 형성되어 주름(13)의 최소 두께가 0㎛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주름(13)은 0㎛ 내지 152㎛의 두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판(113)의 무지부에 주름(13)이 한쪽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눌림부가 형성되어 이차전지(100)의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캔(120)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인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재질로 형성되며, 딥드로잉 방식에 의하여 제작된다. 상기 캔(120)의 하면(120b)은 일반적으로 거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캔(120)은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캔(120)은 상부가 개구되어 상단개구부(120a)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개구부(120a)를 통해 전극조립체(110)가 수용된다.
상기 캡플레이트(140)는 별도의 절연케이스(150)와 결합되어 캔(120)의 상단개구부(120a)에 결합되어 캔(120)을 밀봉하게 된다. 상기 캡플레이트(140)에는 전극단자(130)가 삽입되도록 관통홀(14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41)과 전극단자(130)의 사이에는 가스켓(146)이 형성되어 밀봉된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140)는 전해액 주입구(미도시), 마개(142a) 및 안전벤트(14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플레이트(140)는 하부에 절연플레이트(143) 및 터미널플레이트(145)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플레이트(143)는 캡플레이트(140)의 관통홀(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통공1(144)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플레이트(143)는 가스켓(146)과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145)는 절연플레이트(143) 하면에 장착된다.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145)는 일반적으로 니켈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145)는 단자통공1(144)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통공2(146)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단자(130)는 관통홀(141), 단자통공1(144) 및 단자통공2(146)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145)는 일측에 양극탭(117)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음극탭(115)는 캡플레이트(140)의 하면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되는 방법의 일 예로 용접이 있으며, 용접 방법으로는 저항용접, 레이저 용접 등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저항용접이 사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전극 집전체 12, 14: 무지부
13: 주름
21, 26: 권취 롤 22, 23, 24, 25: 가이드 롤러
30: 슬롯다이 31: 활물질 저장부
32: 활물질 코팅부
40: 단차 프레스기 41: 상부 프레스기
42: 하부 프레스기 43: 활물질 압착부
44, 45: 단차 46, 47: 무지부 압착부
50: 진공챔버(VD) 100: 이차전지
110: 전극조립체 113: 양극판
114: 세퍼레이터 115: 음극판
116: 음극탭 117: 양극탭
120: 캔 130: 전극단자
140: 캡플레이트 141: 관통홀
143: 절연플레이트 145: 터미널 플레이트
150: 절연케이스

Claims (9)

  1.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활물질 코팅부 및 무지부가 형성된 극판에 있어서,
    상기 무지부는
    상기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한쪽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눌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눌림부는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상기 극판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무지부의 10mm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부는 복수개의 주름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전극 집전체가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10° 내지 50°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서 4 내지 10mm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1.3mm/EA 내지 1.7mm/EA 주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은 단면에서 두께가 152㎛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는 알루미늄 금속 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8. 전극 집전체를 가이드 하는 롤에 의해 공급되는 전극 집전체 공급단계와;
    상기 전극 집전체에 코팅될 활물질이 형성되도록 도전재가 혼합되는 활물질 혼합단계;
    상기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서 활물질이 코팅되는 활물질 코팅단계;
    상기 코팅된 전극 집전체는 활물질 코팅 면에 대응되는 활물질 압착부와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무지부에 대응되는 무지부 압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활물질 압착부와 무지부 압착부는 활물질 코팅 두께와 대응되도록 단차가 형성되는 단차 프레스기로 가압하는 압착단계; 및
    상기 가압된 전극 집전체의 활물질층이 건조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된 전극 집전체의 무지부에는 전극 집전체가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활물질 코팅부와 무지부의 경계면에 일정하게 눌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판 제조방법.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으로 형성된 서로 다른 극성의 극판과 세퍼레이터가 형성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전극조립체 수용부 및
    상기 전극조립체 수용부가 밀봉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10043997A 2011-05-11 2011-05-11 극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 극판을 포함한 이차전지 KR101182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997A KR101182892B1 (ko) 2011-05-11 2011-05-11 극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 극판을 포함한 이차전지
US13/412,931 US8956754B2 (en) 2011-05-11 2012-03-06 Electrode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de plat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electrode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997A KR101182892B1 (ko) 2011-05-11 2011-05-11 극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 극판을 포함한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892B1 true KR101182892B1 (ko) 2012-09-13

Family

ID=4711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997A KR101182892B1 (ko) 2011-05-11 2011-05-11 극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 극판을 포함한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56754B2 (ko)
KR (1) KR1011828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230B1 (ko) * 2014-10-02 2017-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차전지의 라미네이팅 방법
JP6539080B2 (ja) * 2015-03-23 2019-07-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DE102019100476A1 (de) * 2019-01-10 2020-07-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llektorfoli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ollektorfolie
KR20200132432A (ko) *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제조장치 및 음극의 제조방법
JP7412394B2 (ja) 2021-08-27 2024-01-12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4539A (ja) 2003-07-23 2005-02-17 Mitsubishi Heavy Ind Ltd 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ロールプレス装置
JP2005277064A (ja) 2004-03-24 2005-10-06 Tdk Corp 電極の製造方法及び電極、並びに、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JP2008226502A (ja) 2007-03-08 2008-09-25 Toyota Motor Corp 電極板のプレス方法、及び、電極板のプレ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990A (ja) 1991-07-19 1993-02-05 Toshiba Corp 圧延装置
US6051338A (en) * 1996-08-22 2000-04-18 Dai Nippon Printing Co., Ltd. Electrode plate for secondary battery with nonaqueous electrolyte
JPH10326609A (ja) * 1997-03-26 1998-12-08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電 池
JP3743781B2 (ja) * 1997-03-27 2006-02-08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264387B1 (ko) 1998-02-11 2000-08-16 정몽용 수소저장합금제 알칼리 2차 전지용 음극판의 제조방법
JP4238630B2 (ja) 2003-05-09 2009-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極の製造方法
JP4954585B2 (ja) 2006-03-31 2012-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US8758928B2 (en) * 2006-07-07 2014-06-24 Donald P. H. Wu Conductive structure for an electrode assembl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JP5180555B2 (ja) 2007-10-04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位置決め装置、露光装置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KR100978311B1 (ko) 2008-01-04 2010-08-26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항산화능과 티로시나제 저해능이증가된 세리신,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4539A (ja) 2003-07-23 2005-02-17 Mitsubishi Heavy Ind Ltd 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ロールプレス装置
JP2005277064A (ja) 2004-03-24 2005-10-06 Tdk Corp 電極の製造方法及び電極、並びに、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JP2008226502A (ja) 2007-03-08 2008-09-25 Toyota Motor Corp 電極板のプレス方法、及び、電極板のプレ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88749A1 (en) 2012-11-15
US8956754B2 (en) 201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3835B1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folded electrode and separator,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9905838B2 (en)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35448B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EP2523242A1 (en) Electrode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plate
KR101471795B1 (ko) 비수 전해액 리튬 2차 전지
US11196031B2 (en) Electrod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nd roller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de
KR101175031B1 (ko) 전극판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판
JP6038813B2 (ja) 電極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KR101182892B1 (ko) 극판과 그 제조방법 및 이 극판을 포함한 이차전지
CN105027347A (zh) 非水电解液二次电池
WO2011155060A1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93976A (ko) 리튬 이차 전지 및 리튬 이차 전지용 집전박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차 전지용 집전박
US20140302367A1 (en) Battery including spiral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022116A (ja) 二次電池用極板及び二次電池用極板の製造方法
JP200003074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5243455A (ja) 電気化学デバイス
JP6959718B2 (ja) 二次電池
US20140308434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JPH10241735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100307452B1 (ko) 이차전지의 전극
JP4779352B2 (ja) 電池の製造方法
WO2013098968A1 (ja) 電極の製造方法及び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JP7385610B2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20230086194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2008226555A (ja) 非水電解質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