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947B1 -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947B1
KR101181947B1 KR1020110147787A KR20110147787A KR101181947B1 KR 101181947 B1 KR101181947 B1 KR 101181947B1 KR 1020110147787 A KR1020110147787 A KR 1020110147787A KR 20110147787 A KR20110147787 A KR 20110147787A KR 101181947 B1 KR101181947 B1 KR 10118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game
user
effect
st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초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1014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947B1/ko
Priority to PCT/KR2012/011510 priority patent/WO20131005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온라인 축구 게임을 포함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온라인 축구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온라인 축구 게임을 실행하고, 팀 관리 화면에서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제공하는 아이템인 유니폼 카드를 장착하여 출전 선수와 후보 선수로 이루어지는 덱을 구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가 세트덱 테이블에 존재하는 정보와 스탯 정보를 이용하여 덱을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유니폼카드의 장착 및 강화 욕구를 촉진하고, 선수의 레벨 상승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 METHOD FOR ON-LINE SOCCER GAME, RECORDING MEDIUM IMPLEMENTING THE SAME AND GAME PROVIDING SERVER }
본 출원은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수집한 유니폼카드와 선수들의 특징을 이용하여 간단히 사용자가 덱을 구성할 수 있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보의 바다라고 일컬어지는 인터넷은 과거 소수 사용자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월드 와이드 웹이 보급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PC의 보급률이 늘어나 1인 1PC의 시대가 열림에 따라 기업체에는 홍보의 수단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의 제공 수단으로 이를 이용한 여러 가지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을 즐기는 네티즌들은 물론 컴퓨터를 잘 다루지 못하는 일반인들도 컴퓨터를 통한 취미생활을 할 수 있도록 스포츠 경기를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스포츠 경기 중에서도 특히 특별한 장비 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축구는 현재 FIFA 가입국이 200여 개국에 이르며, 4년마다 개최되는 올림픽의 경기와 그 중간해 개최되는 월드컵 대회 등에서 현재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단체경기로 각광받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축구에 대한 다양한 컨텐츠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온라인 축구 게임을 실행하는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118516호에는 온라인 월드컵 운영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월드컵 운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온라인 월드컵 운영 방법은 네트워크망으로 연결한 다수의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리그 형태로 스포츠 게임 대회를 진행하는 운영방법에 있어서, 웹사이트 접속 단계(S90, S90')를 통해 웹사이트로의 접속이 진행된 후, 세부과정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가 웹 운영부, 경기결과 데이터 저장부, 온라인 월드컵 서버부, 각 대륙별 게임부, 사이버 월드컵 네트워크부 중 어느 하나에 계통적으로 입력될 때, 국가대표 감독 등록 단계(S100)와, 국가대표 감독 선출 단계(S200)와, 대표팀 등록 단계(S300)와, 대표팀 선발 단계(S400)와, 친선 경기 주최 단계(S500)와, 각 국가별 시드 개수 정의 단계(S600)와, 예선전 진행 단계(S700)와, 본선 진행단계(S800)와, 16강 진출이 확정된 팀들이 토너먼트 진행 단계(S900)를 통해서 결승전을 진행까지 하게 된다.
종래의 온라인 월드컵 운영 방법은 대표팀을 선발하는 단계에서 사용자는 월드컵 서버부에서 제시한 선수들 중에서 각 포지션에 맞게 대표팀을 선발하여 경기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라인 월드컵 운영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컨셉에 따라 팀을 구성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특정 포지션이나 선수들의 다양한 특징, 선수의 능력치를 일정 값 이상의 선수들로 팀을 구성한다 하더라도 팀 전체의 능력치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없었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온라인 월드컵을 위한 팀 경기 진행시, 주로 팀의 승률에 집중하게 되고, 선수의 레벨을 상승시키거나 각종 유니폼카드, 강화쿠폰, 경험치 관련 아이템 등을 활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118516호
본 출원은 사용자가 자신만의 팀의 컨셉을 만들 수 있는 간단한 덱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온라인 축구 게임을 포함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온라인 축구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온라인 축구 게임을 실행하고, 팀 관리 화면에서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제공하는 아이템인 유니폼 카드를 장착하여 출전 선수와 후보 선수로 이루어지는 덱을 구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덱 구성이 완료되면 덱의 활성화를 알리는 슬롯 UI(User Interface)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덱 구성이 완료되면 팀의 이미지 엠블럼(Image Emblem)을 제작하여 팀 스쿼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팀의 이미지 엠블럼은 반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은, 수집 난이도별로 구분된 난이도 등급, 상기 유니폼카드의 종류별로 구분되는 제1 발동 조건, 복수의 선수들이 동일한 특징을 만족하거나 전체 스탯의 합이 설정값이 이상이 되는 제2 발동 조건, 및 상기 제1 발동조건과 제2 발동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발동되는 각각의 스탯 상승치를 나타내는 덱 효과로 이루어진 세트덱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트덱 테이블은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구성한 덱의 타이틀(title)을 제작하여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트덱 테이블은 상기 난이도 등급은 7등급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발동 조건은 전설의 선수 유니폼카드, 시즌 유니폼카드, W(World) 유니폼카드, 일반 유니폼 카드로 설정하며, 상기 제2 발동 조건은 복수의 선수들의 체중, 신장, 주로 쓰는 발, 초기 스탯, 스탯의 총합, 공통 능력치의 합, 공격 능력치의 합, 수비 능력치의 합, 로스터 타입, 강화 등급, 소속팀, 국적을 상기 난이도 등급별 설정값 또는 선수 인원수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상기 세트덱 테이블 내의 세트덱들 중에서 2개 세트덱이 조합된 경우에 각 세트덱의 덱 효과를 중복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2개의 세트덱이 조합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에 장착한 유니폼카드에 1개의 세트덱의 덱 효과에 나타난 스탯 상승치를 더하고, 나머지 1개의 세트덱의 덱 효과를 상기 유니폼카드에 자이언트 포스(Giant force) 효과로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덱 효과가 발생하여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한 경우에, 상기 팀 관리 화면에서 상기 스탯의 수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배경 색상이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온라인 축구 게임을 포함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온라인 축구 게임과 관련된 행위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게임 실행 모듈; 상기 게임 실행 모듈에서 제공하는 팀 관리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제공하는 아이템인 유니폼 카드를 장착하여 출전 선수와 후보 선수로 이루어지는 덱을 구성하도록 하는 덱 구성 모듈; 및 상기 덱 구성 모듈에서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덱 효과를 발동하여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하는 덱 효과 발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덱 효과 발동모듈은 덱 효과가 발동되면 덱의 활성화를 알리는 슬롯 UI(User Interface)를 제작하는 UI 제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덱 효과 발동모듈은 덱 효과가 발동되면 사용자에 의해 구성된 팀의 이미지 엠블럼(Image Emblem)을 제작하여 팀 스쿼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이미지 제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덱 효과 발동모듈은 상기 덱 효과가 발생하여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한 경우에, 상기 팀 관리 화면에서 상기 스탯의 수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배경 색상이 변경되도록 하는 아이콘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덱 효과 발동모듈은, 수집 난이도별로 구분된 난이도 등급, 상기 유니폼카드의 종류별로 구분되는 제1 발동 조건, 복수의 선수들이 동일한 특징을 만족하거나 전체 스탯의 합이 설정값이 이상이 되는 제2 발동 조건, 및 상기 제1 발동조건과 제2 발동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발동되는 각각의 스탯 상승치를 나타내는 덱 효과로 이루어진 세트덱 테이블을 구성하는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는 수집 난이도 등급을 7등급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발동 조건을 전설의 선수 유니폼카드, 시즌 유니폼카드, W(World) 유니폼카드, 일반 유니폼 카드로 설정하며, 상기 제2 발동 조건을 복수의 선수들의 체중, 신장, 주로 쓰는 발, 초기 스탯, 스탯의 총합, 공통 능력치의 합, 공격 능력치의 합, 수비 능력치의 합, 로스터 타입, 강화 등급, 소속팀, 국적을 상기 난이도 등급별 설정값 또는 선수 인원수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는 상기 세트덱 테이블 내의 세트덱들 중에서 2개 세트덱이 조합된 경우에 각 세트덱의 덱 효과를 중복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제1 세트덱과 제2 세트덱이 조합된 경우에, 상기 제1 세트덱에 장착한 유니폼카드에 상기 제1 세트덱의 발동 조건에 부합되는 덱 효과에 나타난 스탯 상승치를 더하고, 상기 제2 세트덱의 발동 조건에 부합되는 덱 효과를 상기 유니폼카드에 자이언트 포스(Giant force) 효과로 추가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온라인 축구 게임을 제공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온라인 축구 게임을 실행하고, 팀 관리 화면에서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제공하는 아이템인 유니폼 카드를 장착하여 출전 선수와 후보 선수로 이루어지는 덱을 구성하는 기능; 및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가 세트덱 테이블에 존재하는 정보와 스탯 정보를 이용하여 덱을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유니폼카드의 장착 및 강화 욕구를 촉진하고, 선수의 레벨 상승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월드컵 운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게임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게임 실행 모듈에서 제공하는 팀 관리 화면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덱 효과 발동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의 덱 효과가 중복 적용되는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유니폼카드를 장착하여 덱 구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덱 효과 발동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임 제공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포함한 게임 및 게임을 실행하기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와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게임 제공 서버(200)에 회원으로 가입한 개인이나 기업의 단말기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PC가 사용되지만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게임 제공 서버(200)는 온라인 축구 게임을 포함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게임 및 서비스를 진행 및 제공하는 제작사, 개발사(Studio) 및 유통사(퍼블리셔)의 인터넷 게임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웹서버 등의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게임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게임 실행 모듈에서 제공하는 팀 관리 화면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게임 제공 서버(200)는 게임 실행 모듈(230), 덱 구성 모듈(240), 덱 효과 발동 모듈(250)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인증모듈(210), 사용자 정보 관리 모듈(220), 데이터베이스(260)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 모듈(210)은 사용자가 게임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해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사용자 식별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60)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ID와 패스워드가 정확히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여 게임의 실행에 대한 허용 여부를 처리한다.
사용자 정보 관리 모듈(220)은 사용자의 정보, 즉 게임의 등급, LP 보유량, 사용자가 소지한 아이템, 아이템의 잔여 기간 등의 게임과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업그레이드하고, 이 업그레이드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한다.
게임 실행 모듈(2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요청한 게임을 제공하는데, 만일 사용자가 온라인 축구 게임을 실행하면 온라인 축구 게임과 관련된 행위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제공한다.
즉, 게임 실행 모듈(230)은 사용자가 온라인 축구 게임을 최초 실행시 온라인 축구 게임의 실행에 필요한 실행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다운로드 하도록 하고, 온라인 축구 게임 실행시 게임에 필요한 유니폼카드, 아이템, 커뮤니티 서비스, 업데이트 정보 등을 수시로 제공한다.
덱 구성 모듈(2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실행 모듈(230)에서 제공하는 팀 관리 화면(300)을 통해 사용자가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제공하는 아이템인 유니폼 카드를 장착하여 11명의 출전 선수 명단(310)과 5명의 후보 선수 명단(320)으로 이루어지는 덱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때, 유니폼카드는 유니폼카드를 열어서 특정한 선수를 자신의 구단으로 데려오는 효과와, 선수의 능력치를 상승(+) 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박지성이 구단에 있는 상태에서 '+1 박지성' 유니폼 카드를 가지게 되면 구단에 있는 박지성은 +1효과를 지니게 되어 +1 박지성이 되는데, +1의 효과는 박지성 선수의 모든 스탯이 +1만큼 증가한다.
하기한 표 1은 유니폼카드의 컨디션 효과, 체력 감소량 효과, 및 재계약비에 대한 내용이 나타나 있다.
Figure 112011105626860-pat00001
덱 효과 발동 모듈(250)은 미리 설계된 세트덱 테이블을 참고하여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덱 효과를 발동하여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하여 상승 적용된 상승(+) 수치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3의 덱 효과 발동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덱 효과 발동 모듈(250)은, UI 제작부(251), 이미지 제작부(152), 아이콘 변경부(253) 및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254)를 포함한다.
UI 제작부(251)는 사용자가 구성한 덱의 덱 효과가 발동되면 덱의 활성화를 알리는 덱 효과 표시를 포함한 슬롯 UI(User Interface)를 제작한다.
이미지 제작부(152)는 사용자가 구성한 덱의 덱 효과가 발동되면 사용자에 의해 구성된 팀의 이미지 엠블럼(Image Emblem)을 제작하여 팀 스쿼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아이콘 변경부(253)는 사용자가 구성한 덱의 덱 효과가 발동되면, 팀 관리 화면에서 스탯의 상승(+) 수치, 예를 들어 유니폼 카드의 배경 색상을 흰색에서 노랑색으로 변경하여 "유니폼 카드+2(
Figure 112011105626860-pat00002
)"로 표시되도록 아이콘의 배경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254)는 수집 난이도별로 구분된 난이도 등급, 덱 타이틀, 유니폼카드의 종류별로 구분되는 제1 발동 조건, 복수의 선수들이 동일한 특징을 만족하거나 전체 스탯의 합이 설정값이 이상이 되는 제2 발동 조건, 및 상기 제1 발동조건과 제2 발동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발동되는 각각의 스탯 상승치를 나타내는 덱 효과로 이루어진 세트덱 테이블을 구성한다.
하기한 표 2에는 세트덱 테이블을 체중, 신장, 약한 발 능력, 초기 스탯, 스탯의 총 합, 생년월일, 로스터 타입(월드컵(W)/시즌/전설 구분), 강화 등급, 소속 팀, 국적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팀의 컨셉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Figure 112011105626860-pat00003
Figure 112011105626860-pat00004
Figure 112011105626860-pat00005
Figure 112011105626860-pat00006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254)는 수집 난이도 등급을 최상위 등급부터 최하위 등급까지 SS, S, A, B, C, D, E의 7등급으로 구분한다.
사용자는 특정 컨셉으로 팀의 컨셉을 만들 수 있고, 자신이 구성한 덱의 타이틀(title)을 제작하여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즌 유니폼 카드를 장착하고, 주로 쓰는 발이 왼발인 선수가 6명 이상으로 덱을 구성한 후에 덱 타이틀을 "왼발의 달인S"로 설정한 경우에 "왼발의 달인S"의 세트덱은 수집 난이도 등급이 S 등급이고, 제1 발동조건과 제2 발동조건을 모두 만족하므로 해당 선수의 모든 스탯을 +6으로 상승 적용할 수 있다.
제1 발동 조건은 고급 유니폼카드인 전설의 선수 유니폼카드, 시즌 유니폼카드, W(World-Cup) 유니폼카드, 일반 유니폼 카드의 장착 유무로 설정한다.
제2 발동 조건은 복수의 선수들의 체중, 신장, 주로 쓰는 발, 초기 스탯, 스탯의 총합, 공통 능력치의 합, 공격 능력치의 합, 수비 능력치의 합, 로스터 타입, 강화 등급, 소속팀, 국적을 수집 난이도 등급별 설정값 또는 선수 인원수로 각각 설정한다.
예를 들어, 수집난이도 등급이 S등급이고, 제1 발동 조건이 시즌 유니폼 카드를 장착한 상태에서 제2 발동 조건이 같은 국적의 선수가 6명 이상이면 덱 효과가 해당 선수의 모든 스탯을 +6으로 상승 적용한다.
또는, 수집난이도 등급이 D등급이고, 제1 발동 조건이 일반 유니폼카드를 장착한 상태에서 제2 발동조건이 몸무게가 75kg 이하인 선수가 6명 이상인 경우에 덱 효과로 해당 선수의 모든 스탯을 +2로 상승 적용한다.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254)는 세트덱 테이블 내의 세트덱들 중에서 수집난이도 등급이 A급 미만의 세트덱이 최대 2개 장착되도록 하고, 2개의 세트덱의 덱 효과가 중복 적용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의 덱 효과가 중복 적용되는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254)는 수집 난이도 등급이 A급 미만의 세트덱으로 사용자가 제1 세트덱과 제2 세트덱을 구성한 경우에, 제1 세트덱과 제2 세트덱의 덱 효과를 중복 적용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일례로, 사용자가 일반 유니폼카드를 장착하며, 주로 쓰는 발이 왼발인 선수가 6명 이상으로 구성한 경우에 제1 세트덱이 D등급에 해당되며, 제1 발동조건과 제2 발동조건을 모두 만족하므로 해당 선수의 모든 스탯을 +2로 상승 적용한다.
또한, 사용자가 일반 유니폼카드를 장착하며, 수비 능력치의 합이 X(설정값) 이상인 선수가 6명 이상으로 구성한 경우에 제2 세트덱이 D등급에 해당되며, 제1 발동조건과 제2 발동조건을 모두 만족하므로 해당 선수의 모든 스탯을 +2로 상승 적용한다.
이때, 제1 세트덱과 제2 세트덱은 등급과 제1 발동 조건은 동일하지만 제2 발동 조건이 다르므로, 덱 효과 발동 모듈(250)은 제1 세트덱과 제2 세트덱이 서로 다르게 덱이 설계되었다고 판단하고, 유니폼카드로 +2, 자이언트 포스(Giant force) 효과로 +2로 덱 효과를 중복 적용한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제공 서버(200)에 접속한 후,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해 ID와 패스워드와 같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10)
게임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ID와 패스워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만일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적어도 1개 이상의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웹 화면을 제공한다.(단계 S20)
만일, 사용자가 온라인 축구 게임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온라인 축구 게임 이외에 게임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게임의 종류 및 각 게임의 정보, 게임 가이드, 커뮤니티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단계 S30 및 S40)
만일 사용자가 온라인 축구 게임을 선택하면, 게임 제공 서버(200) 온라인 축구 게임을 실행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컨셉에 따라 간단한 세트덱을 구성할 경우에 팀 관리 화면에서 유니폼 카드를 장착하여 11명의 출전 선수와 5명의 후보 선수로 이루어지는 덱을 구성한다.(단계 S50 ~ S70)
게임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한 후에 사용자가 구성한 덱을 팀을 하여 온라인 축구 게임을 시작하고, 사용자가 게임 종료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게임의 승패, 게임의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스탯 정보와 같은 게임 정보를 업그레이드한 후에 온라인 축구 게임을 종료한다.(단계 S80 ~ S100)
이때, 게임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발동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에게 덱의 구성이 100% 달성되지 못하였으므로 덱을 재구성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구성한 덱의 수집 달성도를 %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유니폼카드를 강화하거나 고급 유니폼카드를 장착해서 덱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사용자가 덱을 구성하지 않을 경우에, 게임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영입한 선수들만을 이용하거나, 게임 제공 서버(200)에서 임의로 세팅한 복수의 덱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덱을 선택하여 온라인 축구 게임이 실행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의 유니폼카드를 장착하여 덱 구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게임 제공 서버(200)는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미리 유니폼카드 또는 선수, 선수별 스탯 등의 수집난이도 별로 정리하여 사용자가 구성 가능한 모든 세트덱을 테이블로 구성한다.(단계 S71)
세트덱 테이블은 수집난이도 등급, 덱 타이틀, 제1 발동조건, 제2 발동조건, 덱 효과로 각 항목을 설정하고, 덱 타이틀은 사용자가 자신이 구성한 덱의 컨셉에 맞게 타이틀(title)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72)
이때, 덱 타이틀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타이틀을 설정할 수도 있고, 타이틀을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게임 제공 서버(200)에서 임의로 타이틀을 세팅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유니폼카드를 장착하고, 세트덱 테이블에 존재하는 정보와 스탯 정보를 통해 자신이 영입한 선수들을 적절히 이용하여 11명의 출전선수와 5명의 후보선수, 총 16명의 선수들로 덱을 구성한다.(단계 S73)
세트덱 테이블을 참조하면, 덱 효과 발동 조건은 상위로 올라갈수록 고급 유니폼카드를 장착해야 하거나, 특정 포지션의 스탯의 합이 설정값 이상이 되어야만 덱 효과가 발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니폼카드를 강화하거나 고급 유니폼카드를 장착할 수 없을 경우에, 또는 특정 포지션의 스탯의 합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에, A급 미만의 덱을 2개, 즉 제1 세트덱과 제2 세트덱으로 구성하여 제1 세트덱 및 제2 세트덱의 덱 효과가 중복 적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단계 S74~S77)
도 9는 도 7의 덱 효과 발동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게임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구성한 덱에 포함된 선수 16명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 체중, 신장, 약한 발 능력, 초기 스탯, 스탯의 총 합, 생년월일, 로스터 타입, 강화 등급, 소속 팀, 국적 활용 등의 동일한 특징을 보유한 선수들을 추출한다.(단계 S81 및 S82)
게임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구성한 덱에 장착한 유니폼카드의 종류를 확인하고, 세트덱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1 발동 조건과 제2 발동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세트덱을 검색한다.(단계 S83 및 S84)
이렇게 검색된 세트덱의 수집난이도 등급을 확인하고, 수집난이도 등급, 제1 발동 조건 및 제2 발동 조건에 부합하는 덱 효과에 따라 스탯의 상승(+) 수치를 적용한다. 이때, 스탯의 상승(+) 수치를 표시하는 아이콘의 배경 색상을 변경하여 덱 발동 유무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단계 S85 및 S86)
덱 구성이 완료되어 해당 덱이 활성화되면, 슬롯 UI 또는 이미지 엠블럼을 제작하여 팀 스쿼드 화면에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덱 완료됨을 표시한다.(단계 S87 및 S88)
한편,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A급 미만의 제1 세트덱과 제2 세트덱이 조합된 경우에, 게임 제공 서버(200)는 유니폼카드에 제1 세트덱의 덱 효과에 나타난 스탯 상승 수치를 더하고, 제2 세트덱의 덱 효과를 자이언트 포스(Giant force) 효과로 추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100)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게임 제공 서버(2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온라인 축구 게임을 제공하는 기능, 사용자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온라인 축구 게임을 실행하고, 팀 관리 화면에서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제공하는 아이템인 유니폼 카드를 장착하여 출전 선수와 후보 선수로 이루어지는 덱을 구성하는 기능, 및 게임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하는 기능 등을 구현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온라인 클랜 게임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게임 제공 서버
210 : 사용자 인증모듈 220 : 사용자정보 관리모듈
230 : 게임 실행 모듈 240 : 덱 구성 모듈
150 : 덱 효과 발동 모듈 26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9)

  1. 온라인 축구 게임을 포함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온라인 축구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온라인 축구 게임을 실행하고, 팀 관리 화면에서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제공하는 아이템인 유니폼 카드를 장착하여 출전 선수와 후보 선수로 이루어지는 덱을 구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덱 구성이 완료되면 덱의 활성화를 알리는 슬롯 UI(User Interface)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덱 구성이 완료되면 팀의 이미지 엠블럼(Image Emblem)을 제작하여 팀 스쿼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팀의 이미지 엠블럼은 반투명하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은,
    수집 난이도별로 구분된 난이도 등급, 상기 유니폼카드의 종류별로 구분되는 제1 발동 조건, 복수의 선수들이 동일한 특징을 만족하거나 전체 스탯의 합이 설정값이 이상이 되는 제2 발동 조건, 및 상기 제1 발동조건과 제2 발동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발동되는 각각의 스탯 상승치를 나타내는 덱 효과로 이루어진 세트덱 테이블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덱 테이블은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구성한 덱의 타이틀(title)을 제작하여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덱 테이블은,
    상기 난이도 등급은 7등급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발동 조건은 전설의 선수 유니폼카드, 시즌 유니폼카드, W(World) 유니폼카드, 일반 유니폼 카드로 설정하며,
    상기 제2 발동 조건은 복수의 선수들의 체중, 신장, 주로 쓰는 발, 초기 스탯, 스탯의 총합, 공통 능력치의 합, 공격 능력치의 합, 수비 능력치의 합, 로스터 타입, 강화 등급, 소속팀, 국적을 상기 난이도 등급별 설정값 또는 선수 인원수로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상기 세트덱 테이블 내의 세트덱들 중에서 2개 세트덱이 조합된 경우에 각 세트덱의 덱 효과를 중복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2개의 세트덱이 조합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에 장착한 유니폼카드에 1개의 세트덱의 덱 효과에 나타난 스탯 상승치를 더하고, 나머지 1개의 세트덱의 덱 효과를 상기 유니폼카드에 자이언트 포스(Giant force) 효과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덱 효과가 발생하여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한 경우에,
    상기 팀 관리 화면에서 상기 스탯의 수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배경 색상이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11. 온라인 축구 게임을 포함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온라인 축구 게임과 관련된 행위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제공하는 게임 실행 모듈;
    상기 게임 실행 모듈에서 제공하는 팀 관리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제공하는 아이템인 유니폼 카드를 장착하여 출전 선수와 후보 선수로 이루어지는 덱을 구성하도록 하는 덱 구성 모듈; 및
    상기 덱 구성 모듈에서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덱 효과를 발동하여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하는 덱 효과 발동모듈을 포함하는 게임 제공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덱 효과 발동모듈은 덱 효과가 발동되면 덱의 활성화를 알리는 슬롯 UI(User Interface)를 제작하는 UI 제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제공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덱 효과 발동모듈은 덱 효과가 발동되면 사용자에 의해 구성된 팀의 이미지 엠블럼(Image Emblem)을 제작하여 팀 스쿼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이미지 제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제공 서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덱 효과 발동모듈은 상기 덱 효과가 발생하여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한 경우에,
    상기 팀 관리 화면에서 상기 스탯의 수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배경 색상이 변경되도록 하는 아이콘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제공 서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덱 효과 발동모듈은,
    수집 난이도별로 구분된 난이도 등급, 상기 유니폼카드의 종류별로 구분되는 제1 발동 조건, 복수의 선수들이 동일한 특징을 만족하거나 전체 스탯의 합이 설정값이 이상이 되는 제2 발동 조건, 및 상기 제1 발동조건과 제2 발동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발동되는 각각의 스탯 상승치를 나타내는 덱 효과로 이루어진 세트덱 테이블을 구성하는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제공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는
    상기 수집 난이도 등급을 7등급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발동 조건을 전설의 선수 유니폼카드, 시즌 유니폼카드, W(World) 유니폼카드, 일반 유니폼 카드로 설정하며,
    상기 제2 발동 조건을 복수의 선수들의 체중, 신장, 주로 쓰는 발, 초기 스탯, 스탯의 총합, 공통 능력치의 합, 공격 능력치의 합, 수비 능력치의 합, 로스터 타입, 강화 등급, 소속팀, 국적을 상기 난이도 등급별 설정값 또는 선수 인원수로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제공 서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는 상기 세트덱 테이블 내의 세트덱들 중에서 2개 세트덱이 조합된 경우에 각 세트덱의 덱 효과를 중복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게임 제공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덱 테이블 구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제1 세트덱과 제2 세트덱이 조합된 경우에,
    상기 제1 세트덱에 장착한 유니폼카드에 상기 제1 세트덱의 발동 조건에 부합되는 덱 효과에 나타난 스탯 상승치를 더하고, 상기 제2 세트덱의 발동 조건에 부합되는 덱 효과를 상기 유니폼카드에 자이언트 포스(Giant force) 효과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제공 서버.
  19.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온라인 축구 게임을 제공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온라인 축구 게임을 실행하고, 팀 관리 화면에서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제공하는 아이템인 유니폼 카드를 장착하여 출전 선수와 후보 선수로 이루어지는 덱을 구성하는 기능; 및
    상기 게임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구성한 덱이 덱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발동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선수의 스탯을 정해진 수치만큼 상승 적용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147787A 2011-12-30 2011-12-30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KR10118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787A KR101181947B1 (ko) 2011-12-30 2011-12-30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PCT/KR2012/011510 WO2013100597A1 (ko) 2011-12-30 2012-12-26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787A KR101181947B1 (ko) 2011-12-30 2011-12-30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947B1 true KR101181947B1 (ko) 2012-09-26

Family

ID=4711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787A KR101181947B1 (ko) 2011-12-30 2011-12-30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1947B1 (ko)
WO (1) WO201310059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8519B1 (en) 1998-06-03 2001-01-02 Konami Co., Ltd. Image display game system, image display method for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display program for same
US6371855B1 (en) 2000-09-08 2002-04-16 Winamax.Com Limited Fantasy internet sports game
US20090011835A1 (en) 2006-12-13 2009-01-08 Voodoo Gaming, Llc Video games including real-life attributes and/or fanstasy settings
US20090156312A1 (en) 2007-12-18 2009-06-18 Yahoo! Inc. Visual display of fantasy sports team starting roster data tren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997A (ko) * 1999-11-09 2001-06-05 국만중 인터넷 게임 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101199338B1 (ko) * 2010-03-24 2012-11-09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 서버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온라인 축구 게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8519B1 (en) 1998-06-03 2001-01-02 Konami Co., Ltd. Image display game system, image display method for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display program for same
US6371855B1 (en) 2000-09-08 2002-04-16 Winamax.Com Limited Fantasy internet sports game
US20090011835A1 (en) 2006-12-13 2009-01-08 Voodoo Gaming, Llc Video games including real-life attributes and/or fanstasy settings
US20090156312A1 (en) 2007-12-18 2009-06-18 Yahoo! Inc. Visual display of fantasy sports team starting roster data tre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0597A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7655B2 (en) Game control device, game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game system
US9132353B2 (en) Game system with game screen and guidance operation area
KR20090001826A (ko) 카드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JP5274689B1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67174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90283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character of soccer game
JP5395205B2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JP5626921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181947B1 (ko) 온라인 축구 게임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게임 제공 서버
WO2013172424A1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201500652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iered individual player draft for fantasy sports
KR20150017016A (ko) 게임 스킬 구현 방법 및 서버
JP7085047B2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WO2019215926A1 (ja) サーバー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1190358B1 (ko) 온라인 게임의 캐릭터 제공 방법 및 장치
JP6623425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183731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13172425A1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6901617B1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215256B1 (ko)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표시 방법 및 장치
JP6942901B1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285743B1 (ko) 게임 시뮬레이션 관리 방법 및 관리 장치
JP6623402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702922B2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KR20070016045A (ko) 온라인게임의 사용자기록을 이용한 커뮤니티 웹 사이트의진행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