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909B1 -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909B1
KR101181909B1 KR1020120050933A KR20120050933A KR101181909B1 KR 101181909 B1 KR101181909 B1 KR 101181909B1 KR 1020120050933 A KR1020120050933 A KR 1020120050933A KR 20120050933 A KR20120050933 A KR 20120050933A KR 101181909 B1 KR101181909 B1 KR 10118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riving
driver
management serv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용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이상 상태를 생체 신호는 물론이고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나 다양한 예측 정보를 더 참조하여 명확하게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이상 상황 판단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포함하는 운전관리 장치가 운전자가 착용하거나 부착, 혹은 접촉한 생체 신호 측정 단말의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생체적인 이상 여부를 연동된 의료 서버를 통해 파악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상 발생 시 상기 블랙박스의 저장 영상에서 해당 이상 발생 시점을 전후한 일련의 영상을 관리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여 관리자나 의료 서버의 진료자가 더욱 정확하고 신속한 상황 파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상황 판단과 그에 따른 신속한 후속 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DRIVER TELEPATHOLOGY SYSTEM USING DRIVING MANAGEMENT APPARATUS WITH CAR BLACKBOX FUNC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이상 상태를 생체 신호는 물론이고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나 다양한 예측 정보를 더 참조하여 명확하게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이상 상황 판단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 운행의 경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치명적인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음주운전 등과 같이 운전자의 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운행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음주나 운전을 금하는 약물을 섭취한 경우 등과 같이 명확하게 상태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운전 중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지속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고혈압이나 당뇨병 환자와 같은 만성 질환이 있으나 일반적인 생활이 가능하여 일상적으로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 운전 중 신체적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자신은 물론이고 인접 운전자나 보행자에게도 치명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비단 이러한 만성적인 질환이 아니더라도 뇌경색, 심장마비와 같이 그 발병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나 졸음, 피로 등과 같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이상 상황의 경우 돌발적인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자가용 운전의 경우와 달리 업무적으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다소 간의 신체적인 불편함이 있더라도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신체적 이상 발생 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나 택시와 같이 승객의 안전을 책임지는 경우나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과 같이 사고 시 피해 규모가 큰 경우 등은 보다 정밀하고 시스템적인 안전 운전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운행 전반에 대해 통합적으로 안전성을 제공하는 운행 관리 시스템은 등장하고 있지 못한 상태이며, 고작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여 이상 여부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하거나 이상 발생 시 그 결과를 의료기관에 전달하고 구급차를 신속하게 파견하도록 하는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운전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랑(10) 내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소정의 센서를 통해 수집하고 이상 상황을 일부 파악하여 통신망(20)을 통해 원격지의 의료서버(30)에 전달하며 대응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생체 측정 단말기(11)와, 통신망(20)을 통해 상기 생체 측정 단말기(11)가 제공하는 생체 정보나 이상 상황에 따른 알람 정보를 수신하여 자체적인 판단 기준이나 의료진의 검토에 기반한 진단 결과에 따라 운전자에게 전달할 대응 정보를 상기 생체 측정 단말기(11)에 제공하고, 앰블런스나 경찰 등의 출동을 외부 기관에 의뢰하는 의료 서버(3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구성을 통해서 운전자의 생체 정보 이상 시 의료 정보를 제공하고 심각한 이상이 발생 시 해당 위치로 앰블런스 등이 출동시키는 기본적인 운전자 보호가 가능하다. 최근에는 운전 이상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복수의 센서들을 더 추가하여 운전자의 이상 행동이나 핸들의 이상 동작 등을 더 파악하기도 한다.
하지만 도시된 구성을 기반으로 하는 운전자의 이상 상황 판단은 단순히 여러 센서의 출력을 정리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거나 얻어진 생체 정보를 의료기관에 전달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수준에 불과하므로 센서의 오동작이나 사용에 따른 신호 선로의 노이즈 혹은 운전자의 운전 동작에 의한 노이즈 등에 의해 신뢰성이 낮아 잘못된 판단과 잘못된 출동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차량에 대한 설계변경이나 외부 제어가 가능한 경우 이상 발생 시 차량을 갓길에 자동 주차하도록 하거나 비상등을 켜고 속도를 줄이는 기능이 더 부가된 기술도 소개되었으나 기본적으로 단순 센싱 정보의 처리에 따른 이상 판단으로는 신뢰성이 낮기 때문에 오히려 이러한 강제적인 정지 동작에 의해 사고가 유발되는 부작용이 있어 그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낮은 신뢰성과 잘못된 알람에 따른 출동 비용 손실 등에 의해 개인적인 용도로도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므로 잘못된 알람이나 오동작 발생 시 운행 지연, 승객의 불편함, 운송 시간 지연 등과 같은 상당한 영업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업 환경에 이러한 불안정한 시스템을 도입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하지만 영업 차량 운전자의 신체적 이상에 의해 돌발적인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승객이나 인접 운전자에 대한 안전확보를 위해서 영업 차량 운전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단계적이거나 돌발적인 이상 상황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안전 운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고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신속한 대응을 통해 영업적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운행 관리 시스템의 도입은 꼭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3371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3264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1195호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포함하는 운전관리 장치가 운전자가 착용하거나 부착, 혹은 접촉한 생체 신호 측정 단말의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생체적인 이상 여부를 연동된 의료 서버를 통해 파악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상 발생 시 상기 블랙박스의 저장 영상에서 해당 이상 발생 시점을 전후한 일련의 영상을 관리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여 관리자나 의료 서버의 진료자가 더욱 정확하고 신속한 상황 파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 있고 신속한 후속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신체적 이상 정보를 단계적으로 관리 서버가 수신하여 이를 운행 관리 서버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운행자의 차량에 대한 조치와 후속되는 대체 운행 스케줄 마련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무리한 운행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신체적 이상 정보뿐만 아니라 GPS 혹은 부가적인 센서에 의한 비정상적 운행 상황 정보를 블랙박스의 영상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것으로 사고 발생 이전이나 사고 발생 직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운행 준비 단계에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여 이상 상황을 단계적으로 파악하고, 운행 중에도 운전자의 이상 상태를 단계적으로 파악하되, 현재의 교통상황이나 기상 상황은 물론이고 후속 운행 과정에 대한 교통상황이나 기상 상황을 고려하여 운행 중단이나 운행 계속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조치하는 것으로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운전자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영상을 저장하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운전자의 이상 상황을 단계별로 파악하여 기 설정된 이상 발생 시 상기 이상 발생 시점을 전후한 저장 영상과 수집된 생체 신호를 전송하는 운전관리 장치와; 상기 운전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생체 신호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의료 서버를 통한 진단을 실시하고, 상기 진단 결과와 영상 정보를 참조하여 이상 정도 판별이나 사고 상황 판단을 실시한 후 운행의 지속이나 중단 제안 통보, 사고 보고를 포함하는 운전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서버는 기상 정보와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환경에 관련된 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외부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운전자의 운전 이전이나 운전 중에 상기 운전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단계별 이상 상황 발생에 따른 운행 지속과 운행 중단 판단 시 상기 수집된 외부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리 서버는 현재 기상 정보와 운전 중 기상 예측 정보, 현재 위치의 교통 정보와 운행 경로에 대한 예측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해당 정보의 내용에 따라 기 설정된 운전 난이도 정보를 기초로 운행 지속과 운행 중단 판단 기준을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운전 관리 장치는 운전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 신호 측정 단말과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단말이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에 기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복합 통신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통신 단말은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단말의 신호에 대해 노이즈 필터링 및 신호 분석을 실시하여 기 설정된 단계별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생체 신호 분석부와, 운전자를 포함하는 차량 내외부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억세스하는 영상 관리부와, 기 설정된 이상 상황 발생 시 상기 영상 관리부를 통해 이상 상황 발생 전후의 영상을 동영상이나 기 설정된 숫자로 선별된 일련의 이미지들로 추출하여 상기 생체 신호 분석부의 분석 결과 및 생체 신호 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운전 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단계별 이상 상황 정보, 생체 신호 정보,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 영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필요 시 재구성하거나 재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의료 서버에 제공하여 그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진단정보 생성부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기상 정보,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외부 정보중 하나를 수집하는 외부정보 수집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한 수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와 영상 처리부 및 외부 정보 수집부를 통해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이상 상황 판단부와,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운행의 지속이나 중단 제안 통보, 사고 보고를 포함하는 운전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 처리부와 진단정보 생성부 및 제어부의 처리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관리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의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 정보를 더 참조하여 이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운전관리 장치는 GPS 수신기,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충돌 감지 센서, 위급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기 설정된 이상 발생 시 상기 더 포함된 센서나 버튼의 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 환경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더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된 부가 환경 정보를 진단, 이상 정도 판별이나 사고 상황 판단 시 더 참조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운전 관리 수행 결과를 외부 운행 관리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외부 운행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운행 관련 정보를 상기 운전관리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행 관련 정보는 운행 중단 요청, 대체 운행 정보, 운행 관련 안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관리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여 상기 운행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은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포함하는 운전관리 장치가 운전자가 착용하거나 부착, 혹은 접촉한 생체 신호 측정 단말의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생체적인 이상 여부를 연동된 의료 서버를 통해 파악하도록 함과 아울러 이상 발생 시 상기 블랙박스의 저장 영상에서 해당 이상 발생 시점을 전후한 일련의 영상을 관리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여 관리자나 의료 서버의 진료자가 더욱 정확하고 신속한 상황 파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상황 판단과 그에 따른 신속한 후속 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은 운전자의 신체적 이상 정보를 단계적으로 관리 서버가 수신하여 이를 운행 관리 서버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운행자의 차량에 대한 조치와 후속되는 대체 운행 스케줄 마련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무리한 운행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운행 지연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은 운전자의 신체적 이상 정보뿐만 아니라 GPS 혹은 부가적인 센서에 의한 비정상적 운행 상황 정보를 블랙박스의 영상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것으로 사고 발생 이전이나 사고 발생 직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은 운행 준비 단계에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여 이상 상황을 단계적으로 파악하고, 운행 중에도 운전자의 이상 상태를 단계적으로 파악하되, 현재의 교통상황이나 기상 상황은 물론이고 후속 운행 과정에 대한 교통상황이나 기상 상황을 고려하여 운행 중단이나 운행 계속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조치하는 것으로 보다 신뢰성 있는 사고 예방이 가능하여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운전자 생체정보를 통한 운전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 관리 장치의 구성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개념도로서, 도시된 구성은 버스와 같은 영업용 차량(100)에 설치되어 운전자(110)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운전자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영상을 저장하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운전자의 이상 상황을 단계별로 파악하여 기 설정된 이상 발생 시 상기 이상 발생 시점을 전후한 저장 영상과 수집된 생체 신호를 통신망(300)을 통해 전송하는 운전관리 장치(200)와, 상기 운전관리 장치(200)가 제공하는 생체 신호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의료 서버(410)를 통한 진단을 실시하고, 상기 진단 결과와 영상 정보를 참조하여 이상 정도 판별이나 사고 상황 판단을 실시한 후 운행의 지속이나 중단 제안 통보, 사고 보고를 포함하는 운전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310)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서버(310)는 상기 운전 관리 수행 결과를 외부 운행 관리 서버(420)에 전달하며, 상기 외부 운행 관리 서버(420)가 제공하는 운행 관련 정보를 상기 운전관리 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데, 상기 운행 관련 정보는 운행 중단 요청, 대체 운행 정보, 운행 관련 안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러한 운행 관련 정보를 운전자(110) 혹은 승객, 동승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의료 서버(410)는 상기 관리 서버(310)를 통해 제공되는 이상 상황 정보, 운전자의 생체 신호 정보, 영상 정보를 통해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진단하는데 단순한 센싱 정보뿐만 아니라 직관적으로 운전자 및 차량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이상 발생 시점 전후의 영상을 통해서 보다 신뢰성 있는 진단이 가능하게 되며 그 진단 결과 제공도 신속해질 수 있다.
상기 운행 관리 서버(420)는 상기 버스(100)와 운전자(110)에 대한 운행을 관리하는 버스 회사나 조합에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당연히 택시나 트럭, 트레일러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업체나 조합에서 관리하는 서버거나 개인용 차량과 일반 운전자를 가입자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운행 관리 서버(420)는 상기 관리 서버(310)가 제공하는 운전 관리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소정의 차량과 운전자의 이상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그에 따른 대응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운전 관리 수행 결과에는 이상 정도 판별이나 사고 상황 판단에 따른 운행의 지속이나 중단 제안 통보, 사고 보고 외에도 그 판단의 근거가 되는 진단 결과와 영상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운행 지속, 대체 운행 차량 파견, 대체 운전자 파견, 사고 대응을 위한 처리 등이 시스템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대응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전달해 줄 수 있어 신뢰성 있는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운전 관리 장치(200)는 현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차량 내에 기 설치된 GPS 수신기, 네비게이션 장치, 별도의 통신 채널 등과 연동할 수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상황 파악을 위해서 상기 운전관리 장치(200)는 GPS 수신기,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충돌 감지 센서, 위급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기 설정된 이상 발생 시 상기 더 포함된 센서나 버튼의 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 환경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310)에 더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된 부가 환경 정보를 진단, 이상 정도 판별이나 사고 상황 판단 시 더 참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환경 센싱 정보들을 영상 정보와 함께 연동시켜 전달할 경우 직관적인 이상 상황 파악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며, 단계별 이상 상황 판단 과정을 통해서 실질적인 이상이 발생하기 전에 운행을 중단시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전관리 장치(200)는 적어도 이상 상황을 예비 단계와 이상 발생 단계로 구분하여 생체 정보가 이상 발생은 아니지만 위험성이 존재하는 예비 단계 수준인 경우 예비적인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관련 정보들을 관리 서버(31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310)는 이러한 운전자의 예비적 이상 상황에서의 지속적인 운행 여부를 영상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부가 환경 정보 포함)로 판단하여 위험성이 있는 경우 운전자의 자의적 판단에 의한 무리한 운행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예비적 이상 상황은 실질적인 이상 발생에 비해 빈도가 높을 수있으며, 이러한 모든 경우마다 운행을 중단할 경우 영업 손실이 높으며 운전자의 불만이 커질 수 있으므로 이를 상황에 맞추어 적응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예비적 이상 상황에 따른 판단을 단순히 영상이나 환경 정보만을 기반으로 하는 대신 실제 운행 시 운전자가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나 실질적인 운전의 어려움을 고려한 운전 난이도를 더 반영하여 운행 지속이나 운행 중단 여부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 난이도 반영을 위해서, 상기 관리 서버(31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 예측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는데, 상기 외부 예측 정보는 기상 정보와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환경에 관련된 외부 정보 중 하나로, 예를 들어, 현재 기상 정보와 운전 중 기상 예측 정보나 현재 위치의 교통 정보와 운행 경로에 대한 예측 교통 정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정보의 내용에 따라 기 설정된 운전 난이도 정보를 소정의 수식이나 매핑 테이블 등을 통해 얻어 상기 운행 지속이나 운행 중단 판단 시 사용되는 판단 기준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운전자의 생체 정보가 소정의 예비적 이상 상황에 해당할 경우 해당 정보를 수신한 관리 서버는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와 영상 분석에 따른 결과, 현재 및 향후 운행 지역의 기상 상황에 따른 운전 난이도(우천, 우박, 천둥, 안개 등의 운행 방해 내용과 정도에 따른 난이도), 현재 및 향후 운행 지역의 교통 상황에 따른 운전 난이도(교통 혼잡, 사고 다발 지역 경유, 좁거나 고속 주행 필요성 등에 따른 난이도)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운행 중단 판단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판단은 운행 중 뿐만 아니라 운행을 위한 준비 단계에서도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전관리 장치(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110)가 손목에 착용하는 생체 신호 측정 단말(210)과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단말(210)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단말(210)이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에 기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며 운전자를 포함하는 운행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하는 차량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복합 통신 단말(220)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단말(210)은 운전자(110)의 손목에 착용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핸들에 구성되거나 운전자(110)의 다른 신체에 적용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운전자(110)에게 밀착되는 부분과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부분 및 이를 근거리 통신(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유선 통신)을 통해 복합 통신 단말(220)에 전달하는 구성은 모두 포괄한다.
상기 복합 통신 단말(220)은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단말(21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226)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226)를 통해 수신한 생체 신호 측정 단말(210)의 신호에 대해 노이즈 필터링 및 신호 분석을 실시하여 기 설정된 단계별(예를 들어, 예비와 이상 단계)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생체 신호 분석부(224)와, 운전자를 포함하는 차량 내외부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억세스하는 영상 관리부(222)와, 기 설정된 이상 상황 발생 시 상기 영상 관리부를 통해 이상 상황 발생 전후의 영상을 동영상이나 기 설정된 숫자로 선별된 일련의 이미지들로 추출하여 상기 생체 신호 분석부의 분석 결과 및 생체 신호 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225)와, 상기 관리 서버(310)와 통신망(3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원격 통신부(223)와, 운전자에 대한 입력과 출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7)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27)는 운전자에게 분석되는 생체 신호 정보나 이상 발생 정보, 혹은 상기 관리 서버(310)를 통해 수신되는 진단 내용이나 대응 혹은 운행 관리 서버(420)에서 제공되는 운행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운전자(110)에게 제공하거나, 소정의 공지가 필요한 내용의 경우 승객이나 동승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의 시청각 정보 제공 수단과, 이러한 정보의 확인이나 설정 등을 위해 운전자(110)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관리부(222)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해당하는 기능으로 영상의 저장과 저장된 영상을 시간 등을 기준으로 억세스하여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도시된 경우 상기 영상 관리부(222)는 운전자를 향하는 것과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복수의 카메라(221)로부터 영상을 획득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한 경우 운전자를 향하거나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을 향하는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구성에서 상기 생체 신호 분석부(224)는 복합 통신 단말(220)에 구성되었으나 해당 기능은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단말(210)에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한편, 상기 운전관리 장치(200)와 통신하는 상기 관리 서버(310)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관리 서버(310)는 상기 운전 관리 장치(200)가 제공하는 단계별 이상 상황 정보, 생체 신호 정보,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알려져 있는 원격 통신 방식(와이브로, 무선랜, 이동통신(3G/4G) 등)의 통신부(311)와, 상기 수신 영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필요 시 재구성하거나 재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315)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의료 서버(410)에 제공하여 그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진단정보 생성부(312)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기상 (예측)정보, 교통 (예측)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외부 정보를 수집하는 외부정보 수집부(316)와, 상기 통신부(311)를 통한 수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312)와 영상 처리부(315) 및 외부 정보 수집부(316)를 통해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이상 상황 판단부(314)와,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314)의 판단에 따라 운행의 지속이나 중단 제안 통보, 사고 보고를 포함하는 운전 관리를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 상기 각 구성요소들 간의 정보 교환 및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1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17)의 운전 관리 수행 결과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관리 서버의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일반 차량 및 일반 운전자나 영업 차량 및 영업 운전자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만으로도 이상 상황을 영상(및 추가 센서나 버튼이 구성되는 경우 부가 환경 정보 추가)과 함께 단계적으로 파악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며, 외부 예측 정보를 통해 운행 중단이나 운행 지속에 대한 가변적인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만일, 운전 차량과 운전자를 관리하는 운행 관리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보다 효과적인 연동 시스템 구축을 위해, 관리 서버(310)는 도시된 경우와 같이 제어부(317)가 실시한 상기 운전 관리 수행 결과를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314)를 통해 외부 운행 관리 서버(420)에 제공하고 상기 외부 운행 관리 서버(420)가 제공하는 운행 관련 정보(운행 중단 요청, 대체 운행 정보, 운행 관련 안내 등)를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314)를 통해 상기 제어부(317)에 전달하여 상기 운전 관리 장치에 전달되도록 하는 운행 관리 연동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310)는 상기 영상 처리부(315)와 진단정보 생성부(312) 및 제어부(317)의 처리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관리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의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314)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 정보(예를 들어 관리자의 판단 결과 정보: 사고 발생, 위급 상황, 이상 발생, 이상 없음 등)를 더 참조하여 이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의 한 예를 보인 순서도로서, 도시된 경우는 영업 차량 및 운전자에 대해서 외부 예측 정보를 더 활용하여 운행 중단이나 지속을 판단하도록 하는 경우의 예이다.
먼저, 운전자가 생체 신호 측정 단말을 신체에 밀착시키고, 복합 통신 단말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운전 관리 장치는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 서버와의 통신 설정과 인증 등을 수행하는 초기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실제 운행 이전 단계로 운전자에 대한 이상 상황을 단계별로 파악하여 운전 불가능 여부를 파악하며 운전이 불가능할 정도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관리 서버가 이상 상황에 대한 조치(운행 정치)를 취한다. 즉, 이상이 있거나 이상이 예상되는 운전자의 경우 애초에 운행을 허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사전에 예방한다. 이 경우 이상 발생에 의한 운행 중단 여부의 판단을 위해 기상 (예측)정보나 교통 (예측)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운행 이전 단계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운행이 시작되고 상기 운전 관리 장치는 운행 중에 운전자의 생체 정보(및 부가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운전자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영상 정보를 녹화한다. 필요한 경우 정기적으로 정상 상태를 관리 서버에 리포팅할 수도 있다.
만일, 이러한 운전 중 모니터링 과정에서 단계별 이상 상황(본 실시예에서는 예비 이상과 이상의 두가지 단계를 예로 들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은 단계나 가변적인 단계가 구성될 수 있음) 중 예비 이상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운전 관리 장치는 해당 영상 정보와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관리서버에서는 해당 수신 정보를 토대로 얻은 진단 정보와 관리자의 판단 정보 혹은 이러한 정보들을 운행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예비 확인을 수행하여 계속 운행 가능 여부를 파악한다. 필요한 경우 다양한 예측 정보도 활용하여 현재 운전자의 운행 상황이 반영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계속 운행 가능 여부를 파악한 결과 계속 운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라면 운전 중 모니터링 단계로 복귀한다. 필요한 경우 이러한 예비 이상에 관련된 진단 정보나 운행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운전 관리 장치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만일, 상기 운전 중 모니터링 과정에서 예비 이상을 넘어선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운전 관리 장치는 영상 정보와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해당 수신 정보를 토대로 얻은 진단 정보와 관리자의 판단 정보 혹은 이러한 정보들을 운행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상황에 대한 조치를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상 상황에 대한 조치는 운행 중단 및 정차 대기 전달, 대체 운행 스케줄의 전달, 대체 운전자 스케줄의 전달, 사고 발생에 대한 처리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영업용 차량 110: 운전자
200: 운전 관리 장치 210: 생체 신호 측정 단말
220: 복합 통신 단말 300: 통신망
310: 관리 서버 410: 의료 서버
420: 운행 관리 서버

Claims (9)

  1. 차량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운전자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영상을 저장하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운전자의 이상 상황을 단계별로 파악하여 기 설정된 이상 발생 시 상기 이상 발생 시점을 전후한 저장 영상과 수집된 생체 신호를 전송하는 운전관리 장치와;
    상기 운전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생체 신호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의료 서버를 통한 진단을 실시하고, 상기 진단 결과와 영상 정보를 참조하여 이상 정도 판별이나 사고 상황 판단을 실시한 후 운행의 지속이나 중단 제안 통보, 사고 보고를 포함하는 운전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기상 정보와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환경에 관련된 외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외부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운전자의 운전 이전이나 운전 중에 상기 운전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단계별 이상 상황 발생에 따른 운행 지속과 운행 중단 판단 시 상기 수집된 외부 정보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현재 기상 정보와 운전 중 기상 예측 정보, 현재 위치의 교통 정보와 운행 경로에 대한 예측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해당 정보의 내용에 따라 기 설정된 운전 난이도 정보를 기초로 운행 지속과 운행 중단 판단 기준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 관리 장치는
    운전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 신호 측정 단말과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단말이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 서버에 기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복합 통신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통신 단말은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단말의 신호에 대해 노이즈 필터링 및 신호 분석을 실시하여 기 설정된 단계별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생체 신호 분석부와, 운전자를 포함하는 차량 내외부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억세스하는 영상 관리부와, 기 설정된 이상 상황 발생 시 상기 영상 관리부를 통해 이상 상황 발생 전후의 영상을 동영상이나 기 설정된 숫자로 선별된 일련의 이미지들로 추출하여 상기 생체 신호 분석부의 분석 결과 및 생체 신호 정보와 함께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운전 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단계별 이상 상황 정보, 생체 신호 정보,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 영상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필요 시 재구성하거나 재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의료 서버에 제공하여 그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진단정보 생성부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기상 정보,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관련 외부 정보 중 하나를 수집하는 외부정보 수집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한 수신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와 영상 처리부 및 외부 정보 수집부를 통해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이상 상황 판단부와,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운행의 지속이나 중단 제안 통보, 사고 보고를 포함하는 운전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 처리부와 진단정보 생성부 및 제어부의 처리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관리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의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리자의 입력 정보를 더 참조하여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관리 장치는 GPS 수신기,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충돌 감지 센서, 위급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기 설정된 이상 발생 시 상기 더 포함된 센서나 버튼의 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 환경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더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수신된 부가 환경 정보를 진단, 이상 정도 판별이나 사고 상황 판단 시 더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운전 관리 수행 결과를 외부 운행 관리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외부 운행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운행 관련 정보를 상기 운전관리 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운행 관련 정보는 운행 중단 요청, 대체 운행 정보, 운행 관련 안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관리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여 상기 운행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KR1020120050933A 2012-05-14 2012-05-14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KR101181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933A KR101181909B1 (ko) 2012-05-14 2012-05-14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933A KR101181909B1 (ko) 2012-05-14 2012-05-14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909B1 true KR101181909B1 (ko) 2012-09-10

Family

ID=4707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933A KR101181909B1 (ko) 2012-05-14 2012-05-14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90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500A1 (ko) * 2013-12-27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사고 녹화 장치 및 그것의 방법
KR20150135028A (ko) 2014-05-20 2015-12-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케어 및 에코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2362A (ko) * 2014-09-15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탑승자 피로도 기반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620171B1 (ko) * 2014-05-26 2016-05-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케어 및 에코 관리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82613A (ko) * 2014-12-26 2016-07-08 전자부품연구원 Ict 카 컨버전스 시스템
KR101647114B1 (ko) * 2015-04-13 2016-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미등록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맞춤 진단 서비스를 차량 컨텐츠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방법, 컨텐츠 서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170018696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감성 인식 차량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8725A (ko) * 2015-12-04 2018-08-06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내부 감시 기능을 갖춘 자동차 자율 주차 방법,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동차
KR20210029864A (ko) 2019-09-06 2021-03-17 신태지 운전스트레스 예측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19114A (ko) * 2020-08-05 2022-02-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진료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682A (ja) * 2007-05-30 2008-12-11 Katsuya Ikuta 車載危険運転監視装置、危険運転集中監視システム、および、危険運転阻止しシステム
JP2009080718A (ja) * 2007-09-27 2009-04-16 Nec Corp 運転者の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緊急時対応方法
JP2009258878A (ja) * 2008-04-15 2009-11-05 Denso Corp 路上通信機および事故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682A (ja) * 2007-05-30 2008-12-11 Katsuya Ikuta 車載危険運転監視装置、危険運転集中監視システム、および、危険運転阻止しシステム
JP2009080718A (ja) * 2007-09-27 2009-04-16 Nec Corp 運転者の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緊急時対応方法
JP2009258878A (ja) * 2008-04-15 2009-11-05 Denso Corp 路上通信機および事故監視システム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500A1 (ko) * 2013-12-27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사고 녹화 장치 및 그것의 방법
KR20150135028A (ko) 2014-05-20 2015-12-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케어 및 에코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0044B1 (ko) * 2014-05-20 2016-06-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케어 및 에코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0171B1 (ko) * 2014-05-26 2016-05-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케어 및 에코 관리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32362A (ko) * 2014-09-15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탑승자 피로도 기반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628146B1 (ko) 2014-09-15 2016-06-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탑승자 피로도 기반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724334B1 (ko) * 2014-12-26 2017-04-10 전자부품연구원 Ict 카 컨버전스 시스템
KR20160082613A (ko) * 2014-12-26 2016-07-08 전자부품연구원 Ict 카 컨버전스 시스템
KR101647114B1 (ko) * 2015-04-13 2016-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미등록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맞춤 진단 서비스를 차량 컨텐츠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방법, 컨텐츠 서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170018696A (ko) * 2015-08-10 2017-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감성 인식 차량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330385B1 (ko) * 2015-08-10 2021-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감성 인식 차량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8725A (ko) * 2015-12-04 2018-08-06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내부 감시 기능을 갖춘 자동차 자율 주차 방법,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동차
KR102094625B1 (ko) 2015-12-04 2020-03-27 발레오 샬터 운트 센소렌 게엠베아 내부 감시 기능을 갖춘 자동차 자율 주차 방법,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동차
KR20210029864A (ko) 2019-09-06 2021-03-17 신태지 운전스트레스 예측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19114A (ko) * 2020-08-05 2022-02-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진료 시스템
KR102568260B1 (ko) 2020-08-05 2023-08-2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원격 진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909B1 (ko)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CN108032860B (zh) 使用自主驾驶的紧急状况撤离
US93117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apture, user feedback, reporting, adaptive parameters, and remote data access in vehicle safety monitoring
US7647146B2 (en) Vehicular diagnostic method, vehicular diagnostic system, vehicle and center
JP3815893B2 (ja) 生体監視システム
JP7295684B2 (ja) 事故責任特定方法、事故責任特定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055164A1 (en) Physiological statu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020103622A1 (en) Decision-aid system based on wirelessly-transmitted vehicle crash sensor information
US201103071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US201302897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river-customized vehicle service
KR20140106303A (ko)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2303023B1 (ko) 스마트 밴드를 활용한 택시 모니터링 시스템, 스마트 밴드를 활용한 택시 서비스와 연계된 게이트웨이 모듈 및 통합 제어 장치
CN109743531B (zh) 自动驾驶列车的乘客报警系统和方法、车载报警装置
KR20180120901A (ko) 차량에서 탑승자 건강상태 측정을 통한 헬스 케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9069885A (ja) 状態判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98993B1 (ko)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00094701A (ko) 중앙선 침범에 따른 차량 충돌 예방 시스템 및 방법
US11214263B2 (en) Management assistance system
CN107609830A (zh) 商用车车况物流监控系统及方法
CN114496181A (zh) 车辆中的自动分诊护士系统
CN109383516A (zh) 一种基于用户行为分析的异常分析行为检测系统
CN107968837A (zh) 一种基于soc芯片的车联网系统
CN110121731A (zh) 点呼/点检辅助装置、点呼/点检辅助系统以及点呼/点检辅助程序
KR20140106803A (ko) 자동차 주행거리를 적산하는 자동차 충돌사고 알림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057479A (ja) 運行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