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993B1 -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993B1
KR101498993B1 KR1020130068555A KR20130068555A KR101498993B1 KR 101498993 B1 KR101498993 B1 KR 101498993B1 KR 1020130068555 A KR1020130068555 A KR 1020130068555A KR 20130068555 A KR20130068555 A KR 20130068555A KR 101498993 B1 KR101498993 B1 KR 101498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data
damage
sm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859A (ko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993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사고시 차량의 파손 정도를 표준화 양식으로 생성하고 이를 통해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예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교통사고 현장에서 사고 자료를 수집하는 사고조사관이나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구급대원이 차량파손에 대한 정보를 표준양식으로 간단히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스마트 단말기에 구현하고, 그 입력된 표준화 자료가 즉각적으로 119 소방 상황센터의 정보관리 서버에 전송되고 다시 이를 필요로 하는 경찰, 보험회사, 병원 등에 재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사고 차량의 처리 및 탑승자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of Real time transmission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accident vehicle to standardize vehicle damage by accident, to predict occupant's injury from vehicle crash,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교통사고시 차량의 파손 정도를 표준화 양식으로 생성하고 이를 통해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예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교통사고 현장에서 사고 자료를 수집하는 사고조사관이나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구급대원이 차량파손에 대한 정보를 표준양식으로 간단히 입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스마트 단말기에 구현하고, 그 입력된 표준화 자료가 즉각적으로 119 소방 상황센터의 정보관리 서버에 전송되고 다시 이를 필요로 하는 경찰, 보험회사, 병원 등에 재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교통사고 현장에서 사고 자료를 수집하는 사고조사관이나 응급환자를 이송하는 구급대원이 차량파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표준기호는 CDC (collision deformation classification) 코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탑승자나 주변 사람의 신고로 경찰관과 119 구급대원이 현장에 도착하며, 경찰관은 교통사고 현장 조사를 담당하고 119 구급대원은 사고 현장에서 환자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병원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교통사고 조사관은 사고관련 차량정보, 현장상황을 바탕으로 사고유발원인을 파악하고 실황조사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그리고 구급대원은 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하고 사고에 대한 정보를 개략적으로 해당병원 응급실 담당의사에게 전달한 후 내부 보고를 위해 해당 내용을 구급일지에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직까지 국내 경찰에서는 교통사고 차량에 대한 파손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용하는 표준화 양식이 없고, 구급대원도 사고정황에 대한 기록에서 사고차량 파손에 대해 이용하는 표준 양식이 없는 실정이다.
교통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교통사고 자료 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예방, 사고시 환자들의 중증도 감소, 발생 환자의 적절하고 긴급한 처리를 위해 교통사고 자료의 통합관리가 필요하다. 현재는 경찰, 보험회사, 소방방재청, 병원이 제각각 교통사고자료를 관리하고 있다.
자동차의 개발과 진보로 자동차 이용이 일상생활이 된 현대사회에서 자동차 이용으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교통사고 발생시 사고를 처리하는 기관이 여러 군데이고, 자료 관리를 독자적으로 시행하는 현재 시스템으로 인해 자료 수집 및 관리에 있어서 낭비적 요소가 발생하게 되고,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 마련, 탑승자의 중증도 감소, 환자의 원활한 치료, 탑승자 손상 예방을 위한 차량 제작 기술 발전에도 저해가 된다.
교통사고의 예방과 교통안전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교통사고 자료의 통합적 관리와 자료의 과학적 분석을 통한 원인규명이 중요하다.(Jung SJ, Park SK, Go JU, Cho GS.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web service for traffic accid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005 Poster; 정수진, 박성규, 고제웅, 조기성 교통사고정보관리를 위한 웹 서비스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선진국에서는 교통사고자료의 수집, 저장, 공유를 포함한 관리체계의 합리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미국의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운영하고 있는 NASS/CDS (National Automotive Sampling System/Crashworthiness Data System)와 CIREN (Crash Injury Research and Engineering Network)이 대표적인 자동차 충돌사고 심층분석 사례로 들 수 있다. NASS/CDS는 1979년에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작하여 미국의 17개주 24개 지역에서 현장 조사팀이 보고서 형식으로 연간 5000건의 조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NHTSA는 자동차 충돌 사고로부터 발생하는 상해와 사망자수를 줄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실제 자동차 충돌 사고 사례에서 탑승자의 상세한 손상 정보를 분석하고 있다. 독일심층사고연구(German In-Depth Accident Study)에서는 1999년부터 하노버와 드레스덴 지역에서 연각 각각 1000건씩의 교통사고에 대해 정밀 분석 조사를 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교통사고 종합분석센터(Institute for Traffic Accident Research and Data analysis)를 통해 심층 교통사고 조사 분석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교통사고 자료관리 개선을 위한 노력의 결과로 교통사고 분석시스템(TAAS)을 운영하는데, 이는 경찰에서 접수된 교통사고 외에 보험사 및 공제조합 등에서 접수, 처리된 교통사고 정보를 도로안전공단에서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탑승자, 차량, 환경 등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구체적 요소를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 부위, 상해 정도까지 세부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사고와 탑승자 손상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차량의 파손 정도와 탑승자의 손상 양상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심층분석은 아직까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김상철,이강현, 이원준, 최형연, 김호중 국내 자동차 충돌 사고에서 차량파손과 탑승자 손상의 심층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예비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2012;23(3): 315-326.)
다른 한편, 미국자동차 협회(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서는 자동차사고에서 파손된 자동차의 형태를 1970년에 처음 표준화하였고 그 후 여러 차례 개정하여 PDOF(Principle Direction Of Force)와 주요충돌방향과 파손범위 등을 나타내는 7자리 기호로 나타내는 CDC(collision deformation classification) 코드를 사용한다.
CDC 코드는 숫자와 영문으로 이루어진 7자리 코드로 이를 통해 차량 변형의 정도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코드를 사고 조사 실황 자료에 이용한다면 사고 파손을 구체적이고 정량적으로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교통사고에서 부상당한 탑승자의 치료 과정에서 사고기전 파악이 용이하여 환자 치료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따라서, CDC 코드를 이용한 사고 차량 표준화 정보의 입력, 전송, 저장을 통해 교통사고 자료의 표준화하고 환자의 평가 및 치료에 이용하여 교통사고 환자 치료과정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관련기술문헌]
1. 차량용 사고기록 시스템(특허출원 10-2009-0001064호)
2. 차량 사고 정보 기록장치(특허출원 10-2005-008359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통사고 차량의 파손에 대한 표준화 양식을 제공하여 사고 차량의 후처리 문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표준화 양식에 근거하여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미리 예측할 수 있고 이렇게 예측된 기록을 토대로 부상당한 탑승자가 인근 병원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해당 병원의 전문의는 미리 수신한 자료를 토대로 부상당한 탑승자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준비를 할 수 있는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송시스템은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기 위해, 메인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되며 교통사고 차량의 현재 상태를 복수의 카테고리별로 인코딩한 파손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메인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파손 데이터로부터 사고 차량의 현재 파손 상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표준화한 파손 표준데이터를 생성하고, 파손 표준데이터를 미리 마련된 부상예측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함으로써 사고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부상 정도를 예측하는 부상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메인 스마트 단말기는 차량의 가상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가상이미지에 대해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 이벤트가 있는 경우 해당 선택 데이터를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상이미지는 사고 차량의 파손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 3 선택부; 사고 차량의 수평방향 파손 너비를 선택하기 위한 제 4 선택부; 사고 차량의 수직방향 파손 너비를 선택하기 위한 제 5 선택부; 사고 차량의 파손 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제 6 선택부; 사고 차량의 파손 정도를 선택하기 위한 제 7 선택부;를 표시하고, 메인 스마트 단말기는 제 3 선택부 내지 제 7 선택부에 대한 선택 이벤트에 대응하여 개별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 코드를 결합하여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며, 정보관리 서버는 파손 데이터에 포함된 개별 코드에 기초하여 표준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교통사고시 차량의 충돌 방향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센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전용 단말기가 사고 차량에 거치된 경우 메인 스마트 단말기는 전용 단말기와의 통신으로 전용 단말기로부터 사고 차량의 충돌방향 데이터를 수신하여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스마트 단말기는 사고 차량에 대하여 사고 차량의 사고 전후 속도를 입력하는 제 1 입력부, 사고 차량의 에어백 전개 여부를 입력하는 제 2 입력부, 사고 차량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입력하는 제 3 입력부, 사고 차량 탑승자의 나이를 입력하는 제 4 입력부, 사고 차량 탑승자의 성별을 입력하는 제 5 입력부를 구비하는 정보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정보 입력부에 대해 사용자 조작으로 입력 이벤트가 있는 경우 해당 입력 데이터를 결합하여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며, 정보관리 서버는 파손 데이터에 포함된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상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송방법은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것으로, (a) 메인 스마트 단말기가 사고 차량의 현재 상태를 복수의 카테고리에 따른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외부의 정보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정보관리 서버가 메인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파손 데이터로부터 사고 차량의 현재 파손 상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표준화한 파손 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파손 표준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고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부상 정도를 예측하여 부상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단계 (a)는, (a-1) 센서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한 상태로 차량에 탑재된 전용 단말기가 교통사고시 감지한 충돌방향 데이터를 기록매체를 탑재한 메인 스마트 단말기가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 (a-2) 기록매체를 탑재한 메인 스마트 단말기에 차량의 가상이미지(10)와 정보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a-3) 디스플레이된 가상이미지에 대해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 이벤트가 있는 경우 기록매체가 해당 선택 데이터를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 (a-4) 디스플레이된 정보 입력부에 대해 사용자 조작으로 입력 이벤트가 있는 경우 메인 스마트 단말기가 해당 입력 데이터를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 (a-5) 인코딩한 파손 데이터를 정보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단계 (a-3)에서의 선택 이벤트는, 사고 차량의 파손 위치를 선택하는 제 3 단계; 사고 차량의 수평방향 파손 너비를 선택하는 제 4 단계; 사고 차량의 수직방향 파손 너비를 선택하는 제 5 단계; 사고 차량의 파손 형태를 선택하는 제 6 단계; 사고 차량의 파손 정도를 선택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메인 스마트 단말기는 제 3 단계 내지 제 7 단계에 대한 선택 이벤트에 대응하여 개별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 코드를 결합하여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며, 정보관리 서버는 파손 데이터에 포함된 개별 코드에 기초하여 표준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a-4)에서의 입력 이벤트는, 사고 차량의 사고 전후 속도를 입력하는 제 8 단계; 사고 차량의 에어백 전개 여부를 입력하는 제 9 단계; 사고 차량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입력하는 제 10 단계; 사고 차량 탑승자의 나이를 입력하는 제 12 단계; 사고 차량 탑승자의 성별을 입력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메인 스마트 단말기는 사용자 조작으로 제 8 단계 내지 제 13 단계에 대한 입력 이벤트가 있는 경우 해당 입력 데이터를 결합하여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며, 정보관리 서버는 파손 데이터에 포함된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상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은,
(1) 교통사고 차량의 파손에 대한 표준화 양식을 제공하여 사고 차량의 후처리 문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사고 차량의 파손에 대한 표준화 양식에 근거하여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예측할 수 있고, 이렇게 예측된 기록을 토대로 부상당한 탑승자가 인근 병원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해당 병원의 전문의는 미리 수신한 자료를 토대로 부상당한 탑승자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준비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스마트 단말기에 가상이미지를 구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파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자동으로 생성된 CDC 코드를 구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인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외부의 정보관리 서버에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송시스템은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것으로,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와 정보관리 서버(200)로 구성된다.
먼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교통사고 현장에 출동하는 구급대원, 사고조사 경찰관, 보험회사 직원이 휴대할 수 있으며, 교통사고 차량의 현재 상태를 복수의 카테고리별로 인코딩한 파손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한다.
정보관리 서버(200)는 일반적으로 관제 센터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파손 데이터를 디코딩하며, 디코딩한 파손 데이터로부터 사고 차량의 현재 파손 상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표준화한 파손 표준데이터를 생성하고, 파손 표준데이터를 미리 마련된 부상예측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함으로써 사고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부상 정도를 예측하는 부상예측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정보관리 서버(200)는 이렇게 생성된 부상예측 데이터와 파손 표준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부상예측 데이터베이스는 교통사고에 대한 부상 정보의 간접적인 자료나 무수히 거친 실험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차량에는 센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전용 단말기(500)가 거치될 수 있으며, 이 전용 단말기(500)는 자이로센서나 중력센서를 통해 교통사고시 차량의 충돌 방향을 자동으로 감지한다. 이때,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전용 단말기(500)와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 NFC)으로 전용 단말기(500)가 자동으로 감지한 충돌방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FC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전용 단말기(500)는 안드로이드 단말기나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무선통신을 통해 전용 단말기(500)로부터 수신한 충돌방향 데이터를 특별한 사용자 조작 없이 파손 데이터로 자동 인코딩하도록 하고, 이어서 외부의 정보관리 서버(200)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충돌방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차량용 전용 단말기(500)가 사고 차량에 거치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선택하기 위한 제 1 선택부와 제 2 선택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정보관리 서버(200)는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 정보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외부 스마트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스마트 단말기에 재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 1 서브 스마트 단말기(300)는 정보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정보관리 서버(200)가 표준화한 데이터를 출력시켜 사고 차량의 현재 파손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서브 스마트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보험사 직원이나 사고조사 경찰관일 수 있다.
그리고, 정보관리 서버(200)는 외부 단말기인 제 2 서브 스마트 단말기(400)에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재전송할 수 있는데, 제 2 서브 스마트 단말기(400)는 정보관리 서버(200)가 저장한 부상예측 데이터를 출력하여 사고 차량 탑승자의 부상 정도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서브 스마트 단말기(400)의 사용자는 지정병원의 전문의가 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관제 센터에 설치되는 정보관리 서버(200)는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파손 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표준화한 파손 표준데이터와 차량의 파손으로부터 탑승자의 예측된 부상 정도에 대한 부상예측 데이터를 등록된 제 1 서브 스마트 단말기(300)와 제 2 서브 스마트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2 서브 스마트 단말기(400)를 휴대한 지정병원의 전문의는 정보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부상예측 데이터를 확인하고, 구급대원에 의해 해당 지정병원으로 이송중인 부상당한 탑승자의 치료 계획을 미리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가상이미지를 구현하여 표시하는 일련의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차량의 가상이미지(10)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디스플레이된 가상이미지(10)에 대해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 이벤트가 있는 경우 해당 선택 데이터를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한다.
좀더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면,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가상이미지(10)로 구현되는 화면으로, 사고 차량의 파손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 3 선택부(13); 사고 차량의 수평방향 파손 너비를 선택하기 위한 제 4 선택부(14); 사고 차량의 수직방향 파손 너비를 선택하기 위한 제 5 선택부(15); 사고 차량의 파손 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제 6 선택부(16); 사고 차량의 파손 정도를 선택하기 위한 제 7 선택부(17);를 표시한다.
그리고,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제 3 선택부(13) 내지 제 7 선택부(17)에 대한 선택 이벤트에 대응하여 개별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 코드를 결합하여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한다. 이어서 정보관리 서버는 파손 데이터에 포함된 개별 코드에 기초하여 표준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2]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고차량에 거치되는 전용 단말기(500)에 내장된 센서 어플리케이션이 자이로센서나 중력센서를 통해 차량의 충돌 방향을 자동으로 감지한다. 이렇게 감지한 충돌방향 데이터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근접하는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전송되며,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충돌방향 데이터를 파손 데이터로 자동 인코딩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시계법으로 충돌 방향을 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전용 단말기(500)가 감지한 충돌 방향이 "10시" 방향이라는 의미로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는 "1"과 "0"의 숫자가 연이어 인코딩되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차량의 가상이미지(10)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가상이미지(10)에 대해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 이벤트가 있는 경우 해당 선택 데이터를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한다.
상세하게, [도 3]에서는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이미지(10)를 사용자 조작으로 표시할 수 있고, 차량을 여러 각도에서 바라본 가상이미지(10)로 구현되었다. [도 3]의 가상이미지(10)에서 사고 차량의 파손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 조작으로 "터치" 선택을 하면 가상이미지(10)의 소정 위치에 활성화된 제 3 선택부(13)에 미리 설정한 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해당 사고 차량의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된다. 이를 통해, 사고 차량에 대한 파손 위치를 확정할 수 있고, 이어서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표준화된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사용자 조작으로 사고 차량의 수평방향 파손 너비를 확정하기 위한 가상이미지(10)를 표시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 예로서 차량을 상면에서 바라본 가상이미지(10)로 구현되었다. [도 4]의 가상이미지(10)에서 사고 차량의 수평방향 파손 너비에 대응하여 사용자 조작으로 "터치" 선택을 하면 가상이미지(10)의 소정 위치에 활성화된 제 4 선택부(14)에 미리 설정한 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해당 사고 차량의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된다. 이를 통해, 사고 차량에 대한 수평 파손 너비를 확정할 수 있고, 이어서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표준화된다.
이어서, [도 5]에서는 사용자 조작으로 사고 차량의 수직방향 파손 너비를 확정하기 위한 가상이미지(10)를 표시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 예로서 차량을 측면에서 바라본 가상이미지(10)로 구현되었다. [도 5]의 가상이미지(10)에서 사고 차량의 수직방향 파손 너비에 대응하여 사용자 조작으로 "터치" 선택을 하면 가상이미지(10)의 소정 위치에 활성화된 제 5 선택부(15)에 미리 설정한 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해당 사고 차량의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된다. 이를 통해, 사고 차량에 대한 수직 파손 너비를 확정할 수 있고, 이어서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표준화된다.
그리고, [도 6]에서는 사용자 조작으로 사고 차량의 파손 형태를 확정하기 위한 가상이미지(10)를 표시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 예로서 문자와 수치로 가상이미지(10)가 구현되었다. [도 6]의 가상이미지(10)에서 사고 차량의 파손 형태에 대응하여 사용자 조작으로 "터치" 선택을 하면 가상이미지(10)의 소정 위치에 활성화된 제 6 선택부(16)에 미리 설정한 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해당 사고 차량의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된다. 이를 통해, 사고 차량에 대한 파손 형태를 미리 설정한 표준화된 기준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사용자 조작으로 사고 차량의 파손 정도를 확정하기 위한 가상이미지(10)를 표시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일 예로서 차량의 상면에서 바라본 가상이미지(10)가 구현되었다. [도 7]의 가상이미지(10)에서 사고 차량의 파손 정도에 대응하여 사용자 조작으로 가상이미지(10)에 구현된 소정 위치에 대해 "터치" 선택을 하면 가상이미지(10)의 소정 위치에 활성화된 제 7 선택부(17)에 미리 설정한 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해당 사고 차량의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된다. 이를 통해, 사고 차량에 대한 파손 정도를 미리 설정한 표준화된 기준으로 확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에서는 승용차에 대한 가상이미지(10)를 구현하였는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복수 종류의 차량 가상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조작으로 하나의 차량 가상이미지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미리 마련된 여러 차종에 따른 가상이미지(10)를 사용자 조작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사고 차량에 대한 정보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된 정보 입력부에 대해 사용자 조작으로 입력 이벤트가 있는 경우 해당 입력 데이터를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 조작으로 소정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부는 사고 차량의 사고 전후 속도를 입력하는 제 1 입력부; 사고 차량의 에어백 전개 여부를 입력하는 제 2 입력부; 사고 차량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입력하는 제 3 입력부; 사고 차량 탑승자의 나이를 입력하는 제 4 입력부; 사고 차량 탑승자의 성별을 입력하는 제 5 입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스마트 단말기는 사고 차량에 대하여 사고 차량의 사고 전후 속도를 입력하는 제 1 입력부, 사고 차량의 에어백 전개 여부를 입력하는 제 2 입력부, 사고 차량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입력하는 제 3 입력부, 사고 차량 탑승자의 나이를 입력하는 제 4 입력부, 사고 차량 탑승자의 성별을 입력하는 제 5 입력부를 구비하는 정보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정보 입력부에 대해 사용자 조작으로 입력 이벤트가 있는 경우 해당 입력 데이터를 결합하여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한다. 이어서 정보관리 서버는 파손 데이터에 포함된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상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파손 데이터를 기초하여 탑승자의 부상예측 데이터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정보 입력부인 제 1 입력부 내지 제 5 입력부를 통해 사고 차량의 사고 전후 속도, 에어백 전개 여부, 안전벨트 착용 여부, 탑승자의 나이와 성별을 입력하는 항목을 예시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탑승자의 부상 정도를 좀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다른 변수를 입력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입력부를 더 구현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자동으로 생성된 CDC 코드를 구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1번째와 2번째 블록의 숫자 "1"과 "0"은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가 사고 차량에 설치된 전용 단말기(500)와 통신하면서 자동으로 생성된 충돌 방향 코드(시계법에 의한 10시 방향)를 나타내고, 3번째 블록의 제 3 선택부(13)에 표시된 "F"는 사고 차량의 파손 위치가 앞 부분(front)에서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4번째 블록의 제 4 선택부(14)에 표시된 "P"는 사고 차량의 수평방향 파손 너비에 대한 미리 약속된 규격을 의미하고, 5번째 블록의 제 5 선택부(15)에 표시된 "H"는 사고 차량의 수직방향 파손 너비에 대한 미리 약속된 규격을 의미하고, 6번째 블록의 제 6 선택부(16)에 표시된 "W"는 파손 형태가 미리 약속된 규격인 41cm 이상 넓게 발생했다는 의미이고, 7번째 블록의 제 7 선택부(17)에 표시된 숫자 "4"는 사고 차량이 함몰된 파손 정도에 대해 미리 약속한 규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자동 생성된 7자리의 코드는 사고 차량의 파손 상태를 객관적으로 표준화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표준화된 사고 차량의 파손 상태를 누적하여 정보관리 서버(200)에 저장하면, 이후, 사고 차량 탑승자의 부상예측 데이터도 통계적으로 정확하게 표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표준화된 사고 차량의 파손 상태를 누적하여 정보관리 서버(200)에 저장하기 전에도 미리 준비한 자료들을 종합하여 가상의 탑승자에 대한 부상예측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00 : 본 발명에 따른 전송방법은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것으로, 사용자(예: 구급대원, 사고조사 경찰관, 보험사 직원)가 휴대한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S200 :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사고 차량의 현재 상태를 복수의 카테고리에 따른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여 외부의 정보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
한편,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가 동작하기 전,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차량용 전용 단말기(500)에 설치되는 센서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여 차량의 주요 충돌 방향을 자동으로 감지한다. 이렇게 감지된 충돌방향 데이터는 인접하는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조작 없이 자동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되어 외부의 정보관리 서버(200)에 전송된다.
S300, S400 : 이어서 외부의 정보관리 서버(200)가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파손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 디코딩한 파손 데이터로부터 사고 차량의 현재 파손 상태를 미리 설정한 기준에 따라 표준화한다.
S500, S600 : 정보관리 서버(200)는 이렇게 표준화한 데이터를 토대로 사고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부상 정도를 예측하여 부상예측 데이터로서 기록하고, 이어서 부상예측 데이터와 파손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후 외부의 스마트 단말기에 재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외부의 정보관리 서버에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파손 데이터를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로부터 외부의 정보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10, S220 : 차량용 전용 단말기(500)의 센서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여 차량의 교통사고시 차량의 주요 충돌 방향을 감지한다.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이렇게 감지된 충돌방향 데이터를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예: NFC)을 통해 사용자 조작 없이 자동으로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한다.
한편,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충돌방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차량용 전용 단말기(500)가 사고 차량에 거치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구비된 제 1 선택부와 제 2 선택부를 터치하여 수동으로 충돌방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S230 : 사용자가 휴대한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차량의 가상이미지(10)를 표시한다. 물론 여기서 사용자는 차량의 종류에 따른 가상이미지(10)의 종류를 조작으로 선택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면,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가상이미지(10)로 표시되는 화면으로, 사고 차량의 파손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 3 선택부(13); 사고 차량의 수평방향 파손 너비를 선택하기 위한 제 4 선택부(14); 사고 차량의 수직방향 파손 너비를 선택하기 위한 제 5 선택부(15); 사고 차량의 파손 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제 6 선택부(16); 사고 차량의 파손 정도를 선택하기 위한 제 7 선택부(17);를 표시한다.
그리고,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제 3 선택부(13) 내지 제 7 선택부(17)에 대한 선택 이벤트에 대응하여 개별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별 코드를 결합하여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한다. 이어서 정보관리 서버(200)는 파손 데이터에 포함된 개별 코드에 기초하여 표준화를 수행한다.
S240 : 그리고,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정보 입력부도 동시에 표시한다. 정보 입력부는 가상이미지(10) 상의 소정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S250, S260 : 사용자 조작으로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가상이미지(10)에 대해 "터치" 선택을 하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선택 데이터를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도록 한다.
여기서, 선택 이벤트는 [도 3]에서와 같이 사고 차량의 파손 위치를 선택하는 과정과, [도 4]에서와 같이 사고 차량의 수평방향 파손 너비를 선택하는 과정과, [도 5]에서와 같이 사고 차량의 수직방향 파손 너비를 선택하는 과정과, [도 6]에서와 같이 사고 차량의 파손 형태를 선택하는 과정과, [도 7]에서와 같이 사고 차량의 파손 정도를 선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S270, S280, S290 : 이어서, 사용자 조작으로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입력부에 대해 "터치" 선택을 하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입력 데이터를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도록 한다. 이렇게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에서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한 충돌방향 데이터, 선택 데이터, 입력 데이터는 외부의 정보관리 서버(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입력 이벤트는 사고 차량의 사고 전후 속도를 입력하는 과정과, 사고 차량의 에어백 전개 여부를 입력하는 과정과, 사고 차량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입력하는 과정과, 사고 차량 탑승자의 나이를 입력하는 과정과, 사고 차량 탑승자의 성별을 입력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어서 메인 스마트 단말기(100)는 사용자 조작으로 각각의 입력 과정을 거치는 입력 이벤트가 있는 경우 해당 입력 데이터를 결합하여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며, 정보관리 서버(200)는 파손 데이터에 포함된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상예측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로 인해, 사고 차량 탑승자의 부상 정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 가상이미지
13 : 제 3 선택부
14 : 제 4 선택부
15 : 제 5 선택부
16 : 제 6 선택부
17 : 제 7 선택부
100 : 메인 스마트 단말기
200 : 정보관리 서버
300 : 제 1 서브 스마트 단말기
400 : 제 2 서브 스마트 단말기
500 : 전용 단말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메인 스마트 단말기가 차량의 가상이미지와 정보 입력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메인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가상이미지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사고 차량 파손에 관련된 선택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c) 상기 메인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정보 입력부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사고 차량의 사고 전후 속도, 사고 차량의 에어백 전개 여부, 사고 차량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 사고 차량 탑승자의 나이, 사고 차량 탑승자의 성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d) 상기 메인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선택 이벤트 및 상기 입력 이벤트를 차량에 대한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
    (e) 상기 메인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인코딩한 파손 데이터를 정보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정보관리 서버가 상기 메인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파손 데이터로부터 사고 차량의 현재 파손 상태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표준화한 파손 표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g) 상기 정보관리 서버가 상기 파손 표준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고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부상 정도를 예측하여 부상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센서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한 상태로 차량에 탑재된 전용 단말기가 교통사고시 감지한 충돌방향 데이터를 상기 메인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선택 이벤트는 사고 차량의 파손 위치에 대한 제 1 선택, 사고 차량의 수평방향 파손 너비에 대한 제 2 선택, 사고 차량의 수직방향 파손 너비에 대한 제 3 선택, 사고 차량의 파손 형태에 대한 제 4 선택, 사고 차량의 파손 정도에 대한 제 5 선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d)는 상기 메인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제 1 내지 제 5 선택의 각각에 대응하여 개별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별 코드를 결합하여 상기 파손 데이터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f)는 상기 정보관리 서버가 상기 파손 데이터에 포함된 개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9. 삭제
  10. 컴퓨터에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을 수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68555A 2013-06-14 2013-06-14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498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555A KR101498993B1 (ko) 2013-06-14 2013-06-14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555A KR101498993B1 (ko) 2013-06-14 2013-06-14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859A KR20140145859A (ko) 2014-12-24
KR101498993B1 true KR101498993B1 (ko) 2015-03-11

Family

ID=5267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555A KR101498993B1 (ko) 2013-06-14 2013-06-14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9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449A (ko) 2015-03-27 2016-10-0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동차 사고 - 인체 상해 데이터베이스 및 이에 대한 구축 방법
KR20170040166A (ko) 2017-04-03 2017-04-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동차 사고 - 인체 상해 데이터베이스 및 이에 대한 구축 방법
KR20180090237A (ko) 2018-08-03 2018-08-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동차 사고 - 인체 상해 데이터베이스 및 이에 대한 구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310B1 (ko) * 2017-11-15 2022-06-24 사단법인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교통사고차량 탑승자 상해 중증도 추정방법
CN108648439A (zh) * 2018-04-28 2018-10-12 扬州大学 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交通事故处理系统
KR102035135B1 (ko) * 2018-05-03 2019-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사고 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8697A (ja) * 1998-06-11 1999-12-21 Toyota Motor Corp 車両事故解析システム
JP2003186994A (ja) * 2001-12-20 2003-07-04 Mazda Motor Corp 車両事故の対応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30055376A (ko) * 2011-11-18 2013-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고장 및 파손 정보 안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8697A (ja) * 1998-06-11 1999-12-21 Toyota Motor Corp 車両事故解析システム
JP2003186994A (ja) * 2001-12-20 2003-07-04 Mazda Motor Corp 車両事故の対応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30055376A (ko) * 2011-11-18 2013-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고장 및 파손 정보 안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상철 외 4인, ‘국내 자동차 충돌 사고에서 차량 파손과 탑승자 손상의 심층 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예비연구’, 대한응급학회지 제12권제3호, 2012.06, pp.315-326*
김상철 외 4인, '국내 자동차 충돌 사고에서 차량 파손과 탑승자 손상의 심층 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예비연구', 대한응급학회지 제12권제3호, 2012.06, pp.315-326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449A (ko) 2015-03-27 2016-10-0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동차 사고 - 인체 상해 데이터베이스 및 이에 대한 구축 방법
KR20170040166A (ko) 2017-04-03 2017-04-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동차 사고 - 인체 상해 데이터베이스 및 이에 대한 구축 방법
KR20180090237A (ko) 2018-08-03 2018-08-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동차 사고 - 인체 상해 데이터베이스 및 이에 대한 구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859A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993B1 (ko) 교통사고에 의한 차량파손 상태를 표준화하고 차량파손 상태로부터 탑승자의 부상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고차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전송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20020103622A1 (en) Decision-aid system based on wirelessly-transmitted vehicle crash sensor information
US20220351141A1 (en) Secure Method for Health Record Transmission to Emergency Service Personnel
US10127810B2 (en) Vehicle safety and driver condition monitor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road safety systems
US10431097B2 (en) System and method to enhance the utility of vehicle inspection records by including route identification data in each vehicle inspection record
US202302820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ident detection using contextual data
CN103890730B (zh) 用于传感器驱动的车辆遥测应用和服务的开发和部署的计算平台
US11151396B2 (en) Real time vehicle occupant emergency health data systems and methods
WO20170827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on and synthesis of vehicle crash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660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pattern recognition in assessing or monitoring vehicle status or operator driving behavior
US201500060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vheicle accident information
KR101181909B1 (ko)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구비한 운전 관리 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원격 진단 시스템
EP2859414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apture, user feedback, reporting, adaptive parameters, and remote data access in vehicle safety monitoring
US20120010774A1 (en) System and method to enhance the utility of vehicle inspection records by including route identification data in each vehicle inspection record
US11778445B2 (en) Vehicle with automatic reporting function
US1087850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telematics data
US11956695B2 (en) Server for automatic emergency reporting system of vehicle
Keerthi et al. Various accident detection technologies and recovery systems with victim analysis
JP2009003503A (ja) 安全運転教育提供方法、及びこれを利用する自動車保険情報システム
CN112583885A (zh) 用于车辆的紧急系统以及为车辆用户提供救援构件的方法
EP2889818A1 (en) Computer system and related process supporting the acquisition, registration and transmission, by a mobile device, of data related to the motion of a vehicle, to the geolocation and to the driving behaviors
US20230025199A1 (en) Vehicle with emergency reporting function, and server
Almohsen et al. Smart car seat belt: Accident detection and emergency services in smart city environment
US20220103994A1 (en) Inconsistency-determining apparatus for vehicle accident
US12016707B2 (en) Big data 911™—expedited EMT response after vehicle accidents or other emergen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