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584B1 -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 저장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 저장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584B1
KR101180584B1 KR1020050071119A KR20050071119A KR101180584B1 KR 101180584 B1 KR101180584 B1 KR 101180584B1 KR 1020050071119 A KR1020050071119 A KR 1020050071119A KR 20050071119 A KR20050071119 A KR 20050071119A KR 101180584 B1 KR101180584 B1 KR 10118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emory
level
user
importanc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451A (ko
Inventor
송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58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 레벨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저장 공간이 부족할 때 중요도 레벨에 따라 자동으로 삭제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좀 더 용이하게 이미지 정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저장 공간의 여유가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메모리에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공간의 여유가 없다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중요도 레벨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삭제 처리하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에 대한 중요도 레벨을 설정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중요도 레벨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과정을 포함한다.
Digital Camera, Image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 IN MOBILE TERMINAL EQUIPED WITH DIGITAL CAMERA}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 저장 동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 저장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요도 레벨을 이용한 이미지 저장 방법에 관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벨에 따라 이미 저장된 이미지를 삭제 처리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
본 발명은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종래의 필름 카메라들은 디지털 카메라들로 대체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 사용자들은 종래와는 달리 필름을 인화하지 않고, 카메라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카메라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제공받거나 또는 디지털 카메라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컴퓨터 모니터 상으로 이미지를 제공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는 사용자가 이미지 촬영을 하면 촬영한 순서대로 파일을 저장한다. 만약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면 방금 촬영한 이미지는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소정의 메시지를 출력하여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상기 메시지를 확인한 이동 단말 사용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 필요 없는 이미지를 삭제하고, 다시 촬영을 한다. 또한 사용자는 촬영된 순서대로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이미지들을 보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 저장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100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사진 촬영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102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 단말은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고, 104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저장할지 여부에 대한 입력을 받는다. 상기 104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저장 요청을 입력받으면, 106단계로 진행하여 도시되지 않은 상기 쵤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메모리에 저장 공간이 남아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106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 공간이 남아있지 않다면, 108단계로 진행하여 이동 단말은 사용자에게 저장할 수 없다는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반면, 상기 106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 공간이 남아있다면, 110단계로 진행하여 이동 단말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112단계에서 사진 촬영 모드를 종료한다.
종래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는 이미 촬영한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사용자가 이미지 촬영을 하면 촬영한 순서대로 파일을 저장하였다. 만약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면 방금 촬영한 이미지는 저장하지 않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었다. 사용자는 저장된 이미지들 중 필요없는 이미지들을 삭제하고, 다시 촬영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미 저장된 이미지들 중 필요없는 이미지들을 찾기 위해, 촬영한 순서대로 저장된 이미지들을 모두 한 페이지씩 넘기면서 찾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메모리에 효율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촬영된 시간 순서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 레벨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 레벨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들을 관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상기 메모리의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 상기 중요도 레벨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자동 삭제하거나 삭제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받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삭제하게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미지 또는 소정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상기 중요도 레벨을 설정하고 삭제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들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중요도 레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저장 공간의 여유가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메모리에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공간의 여유가 없다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중요도 레벨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삭제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에 대해 중요도 레벨을 설정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중요도 레벨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구체적인 특정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저장 방법 및 장치는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모든 장치 들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의 구조를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 저장을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제어부(200)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라서 키입력부(206)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미지 촬영 모드가 설정될 때에 카메라(202)를 구동시켜 이미지를 촬영하게 제어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202)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메모리(208)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208)에저장할 공간이 존재하는 지를 검사하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레벨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메모리(208)에서 삭제하는 자동 정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입력부(206)로부터 받아서 이에 따라 표시부(204)를 제어하여 키 입력에 따른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카메라(202)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한다. 표시부(204)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202)가 촬영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0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204)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키입력부(206)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202)가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소정 레벨 설정을 위한 키 입력과 상기 이미지의 저장 유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각종 기능 키 및 통화 또는 문자 입력 등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206)의 각 버튼에는 숫자, 영문, 한글, 특수 기호 등이 도시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200)와 매칭(matching)되어 있다.
메모리(208)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8)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202)가 촬영한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에 따른 소정 레벨을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200)의 프로세싱 과정에서 발생된 각종 임시 데이터와 전화번호와 벨 소리 및 화상 정보 등의 사용자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아울러 상기 메모리(208)에는 상기 이동 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입력부(206)의 버튼이 눌러져 발생된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요도 레벨을 이용한 이미지 저장 방법에 관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300단계에서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키입력부(206)를 통해 이미지 촬영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302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카메라(202)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한다. 30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표시부(204)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소정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상기 304단계에서 만약 사용자가 키입력부(206)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지 않기 위한 키 입력을 가한다면, 제어부(20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촬영 모드를 종료한다. 반면, 상기 304단계에서 키입력부(206)를 통해 사용자가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길 원하는 키입력을 입력받으면, 제어부(200)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208)에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공간이 남아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306단계의 검사 결과, 메모리(208)에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공간이 남아있다면, 제어부(200)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중요도 레벨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 레벨은 상기 이미지에 대한 부가 정보이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중요도 레벨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이미지에 따라 다른게 저장할 수도 있고, 한 번 저장된 레벨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중요도 레벨은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암호 입력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는 매우 중요한 이미지로 사용자인 본인 외에는 삭제할 수 없도록 암호 설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 른 자동 정리 기능 사용 시에도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암호 입력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암호를 입력해야만 한다. 단 암호 설정 없이도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는 것은 가능하다.
두 번째로, 선택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는 우선 순위가 암호 입력 삭제 레벨보다는 낮은 이미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정리 기능을 통해 삭제할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표시부(204)를 통해 사용자에게 삭제할 이미지를 선택하길 요구하고, 사용자로부터 키입력부(206)를 통해 이미지 삭제 확인에 대한 입력을 받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삭제한다.
마지막으로, 자동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는 일반 이미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정리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메모리(208)에 저장된 시간이 오래된 이미지부터 자동으로 삭제하며, 잘못 찍은 이미지나 중복된 이미지,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에 이미 백업시켜 놓은 이미지들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에는 임시 저장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임시 저장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해 삭제 처리가 된 이미지들로서, 사용자의 복구 명령에 대비해서 사용되는 레벨이다.
상기 308단계에서 카메라(202)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중요도 레벨이 설정되면 31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중요도 레벨 정보를 메모리(208)에 저장하고, 311단계에서 촬영 모드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중요도 레벨 설정을 이미지 저장 전에 수행하였지만, 상기 300단계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중요도 레벨을 설정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306단계에서 메모리(208)에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할 공간이 없다면, 제어부(200)는 312단계로 진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벨에 따라 메모리(208)에 이미 저장된 이미지들의 삭제 처리를 수행하게 되며, 상기 312단계는 하기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벨에 따라 이미 저장된 이미지를 삭제 처리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로서, 상기 도 3의 312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 것이다.
400단계에서 제어부(200)는 메모리(208)에 자동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지 검사하고, 만일 자동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가 메모리(208)에 존재한다면, 제어부(200)는 402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208)에서 상기 자동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를 삭제한다.
반면, 상기 400 단계에서 자동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부(200)는 404 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208)에 선택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404 단계에서 선택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가 메모리(208)에 존재한다면, 제어부(200)는 406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삭제할 이미지를 선택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부(204)를 통해 출력하게 제어한다. 그러면, 406 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키입력부(206)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이미지를 삭제하기 위한 키입력을 받았는지를 검사하고, 키입력을 받았다면, 402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이미지를 삭제한다. 만일, 상기 408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이미지를 삭제하기 위한 키입력을 받지 못했다면, 제어부(200)는 416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204)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게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404 단계에서 선택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부(200)는 410 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208)에 암호 입력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410 단계에서 암호 입력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부(200)는 416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204)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반면, 메모리(208)에 암호 입력 삭제 레벨로 설정된 이미지가 존재한다면, 제어부는 412 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204)를 통해 암호 입력 삭제 레벨 이미지 중 삭제할 이미지를 선택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41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표시부(204)를 통해 사용자에게 삭제를 위한 암호 입력을 요구한다. 만일, 상기 414단계에서 제어부(200)는 키입력부(206)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암호 입력 삭제 레벨의 이미지를 삭제하기 위한 암호를 입력받으면, 402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암호 삭제 레벨의 이미지를 메모리(208)에서 삭제한다. 반면, 상기 414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암호가 입력되지 않는다면, 제어부(200)는 416 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204)를 통해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메모리(208)에 저장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도 4에 따른 레벨에 따라 이미 저장된 이미지를 삭제 처리하기 위한 과정에서는 메모리(208)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만을 삭제하는 것을 예로들었지만,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208)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삭제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미지 촬영 모들에서 중요도 레벨 정보를 메모리(208)에 저장하고, 이미지 보기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렬하여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기존 방법과 같이 이미지를 촬영한 순서, 즉 시간 순서에 따라 이미지 보기를 프리뷰(Preview)형식으로 표시부(206)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 레벨이 높은 순서에 따라 혹은 낮은 순서에 따라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키입력부(206)를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메모리(208)에 저장된 이미지를 한 개씩 삭제할 수도 있고, 전체 이미지를 한 번에 삭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 레벨에 따라 같은 레벨의 이미지를 함께 삭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 레벨을 통해 저장된 이미지를 손쉽게 관리 할 수 있다. 촬영한 이미지를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에 따라 여러 가지 레벨로 나누어 분류함으로써, 메모리에 저장 공간이 부족하더라도 방금 촬영한 이미지의 손실 없이 자동으로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중요도 레벨이 낮은 이미지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 입력 삭제 레벨의 이미지는 사용자의 암호 설정을 통해 실수로 이미지가 메모리에서 삭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으며, 임시 저장 레벨을 통해 삭제된 파일을 복구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촬영한 순서대로 이미지들을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중요도 레벨에 따라 이미지들을 검색함으로써 이미지 정리 작업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다.

Claims (13)

  1. 단말에서 이미지 저장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중요도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키 입력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중요도 레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관리하며, 상기 메모리에 새로운 이미지의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의 자동 삭제 여부에 따라 상기 중요도 레벨을 고려하여 상기 메모리에 상기 새로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요도 레벨은 삭제 처리가 되었지만, 복구 명령에 대비하여 설정된 임시 저장 레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자동 삭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삭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며, 삭제 확인된 이미지를 삭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레벨은,
    상기 자동 삭제 시, 암호가 입력되는 경우 삭제 가능한 암호 입력 삭제 레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레벨은
    상기 자동 삭제 시,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한 사용자 확인 레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레벨은,
    상기 자동 삭제 시, 사용자의 확인 없이 자동으로 삭제하는 자동 삭제 레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가 탐색되는 경우, 촬영된 시간 순서 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요도 레벨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장치.
  9. 단말에서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이미지의 중요도 레벨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메모리에 상기 새로운 이미지를 저장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의 자동 삭제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자동 삭제 설정 여부에 따라 상기 이미지 각각에 미리 설정된 중요도 레벨을 고려하여 상기 새로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이미지를 자동으로 삭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중요도 레벨은 삭제 처리가 되었지만, 복구 명령에 대비하여 설정된 임시 저장 레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의 자동 삭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미지의 삭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과, 삭제 확인된 이미지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촬영된 순서에 따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중요도 레벨에 따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레벨은 상기 자동 삭제 시, 암호가 입력되는 경우 삭제 가능한 암호 입력 삭제 레벨, 사용자의 확인이 필요한 사용자 확인 레벨, 사용자의 확인 없이 자동으로 삭제하는 자동 삭제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저장 방법.
KR1020050071119A 2005-08-03 2005-08-03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 저장 장치및 방법 KR10118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119A KR101180584B1 (ko) 2005-08-03 2005-08-03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 저장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119A KR101180584B1 (ko) 2005-08-03 2005-08-03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 저장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451A KR20070016451A (ko) 2007-02-08
KR101180584B1 true KR101180584B1 (ko) 2012-09-06

Family

ID=4365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119A KR101180584B1 (ko) 2005-08-03 2005-08-03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 저장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4602B2 (en) 2015-11-16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937B1 (ko) * 2008-04-15 2009-10-14 오위환 감시 시스템에서의 움직임 검출 및 영상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1086699B1 (ko) 2010-02-04 2011-11-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선호도 기반 이미지 관리장치 및 이미지 관리방법
USD922352S1 (en) * 2019-01-04 2021-06-1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peak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978A (ja) 2000-08-08 2002-02-22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978A (ja) 2000-08-08 2002-02-22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4602B2 (en) 2015-11-16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451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5948B (zh) 拍照方法及裝置
CN100393107C (zh) 电子设备和信息处理装置及它们的控制方法
US20020075392A1 (en) Image storage system
JP2000312334A (ja) 画像蓄積装置
CN104732158A (zh) 一种加密拍照方法、系统及装置
KR101180584B1 (ko)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에서 이미지 저장 장치및 방법
JP2008022514A (ja) 画像表示装置
JP4413285B2 (ja) 電子カメラ
US20070027994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terminal
JP2006311568A (ja) 映像記録装置及び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映像記録方法
JP4548989B2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サーバ
CN101686328A (zh) 图像再现装置
JP2005236496A (ja) 画像記録表示システム
JP4420450B2 (ja) 画像記録装置
JP3450759B2 (ja) 画像通信方法、画像通信装置、及び画像通信システム
JP3831472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の消去動作制御装置
JP2009200577A (ja) 画像記録装置
JP2000196983A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および電子スチルカメラの制御方法並びに電子スチルカメラ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227465B2 (ja) 印刷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865202B2 (ja) ファイル転送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260052B2 (ja) プリントシステム、プリントサーバ、並びに撮像装置
KR101143011B1 (ko)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저장 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사이의 이미지 복사 장치 및 방법
JP2001285758A (ja) 電子カメラ及び画像処理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4772145B2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サーバ
JP4688952B2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