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581B1 - 전자 모듈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모듈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581B1
KR101179581B1 KR1020080106253A KR20080106253A KR101179581B1 KR 101179581 B1 KR101179581 B1 KR 101179581B1 KR 1020080106253 A KR1020080106253 A KR 1020080106253A KR 20080106253 A KR20080106253 A KR 20080106253A KR 101179581 B1 KR101179581 B1 KR 101179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odule housing
substrate unit
pane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324A (ko
Inventor
마사히코 니시모토
마사토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turn-bolt or screw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하우징의 꽂거나 뽑는 삽발(揷拔) 작업을 한손 조작으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회로 기판을 실장하는 유닛 본체의 패널부(4)에 핸들(7)이 부착된 기판 유닛(2)과, 기판 유닛이 삽발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듈 하우징(3)을 구비하는 전자 모듈에서, 핸들(7)은 파지부(32)와 한쌍의 다리부(脚部)(33)를 갖고, 당해 다리부(33)는 패널부(4)에 고정된 한쌍의 지지 부재(31)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코부(36a)와 턱부(36b)를 포함하는 계합(係合) 볼록부(36)를 갖고, 모듈 하우징(3)은 기판 출입구의 부분에 계합 오목부(54)를 갖고, 핸들(7)을 닫기 방향으로 회전 조작한 경우에는, 계합 볼록부(36)의 코부(36a)가 계합 오목부(54)의 한 부위(54b)에 접촉하여 지레의 원리로써 밀어 넣는 힘이 발생하고, 핸들(7)을 열기 방향으로 회전 조작한 경우에는, 계합 볼록부(36)의 턱부(36b)가 계합 오목부(54)의 다른 부위(54a)에 접촉하여 지레의 원리로써 뽑아내는 힘이 발생하는 구성이다.
Figure R1020080106253
모듈 하우징, 다리부, 계합 볼록부, 계합 오목부, 파지부, 핸들

Description

전자 모듈 및 전자기기{ELECTRONIC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모듈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에는 복수의 전자 모듈이 실장되어 있다. 각각의 전자 모듈은, 개별적으로 독립한 동작이나 상호 연동한 동작에 의해, 다양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전자 모듈 중에는 기판 유닛을 구비한 것이 있다. 기판 유닛은 각종의 전자부품을 탑재한 회로 기판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 모듈로서는, 모듈 하우징에 대한 기판 유닛의 부착이나 분리 작업을, 기판 유닛의 꽂기나 뽑기에 의해 행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 모듈에서는, 모듈 하우징에 기판 유닛을 꽂아 넣을 경우에, 예를 들면 회로 기판의 커넥터를 다른 기판의 커넥터에 끼워 맞추기 위해서 강하게 밀어 넣는 힘이 필요해진다. 또한,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기판 유닛을 뽑아낼 경우에는, 회로 기판의 커넥터를 다른 기판의 커넥터로부터 뽑아내기 위해서 강하게 잡아당기는 힘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종래에서는, 기판 유닛을 꽂거나 뽑는데 있어서,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추거나 뽑아내기 위한 힘을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기구를 채용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3을 참조)
[특허문헌1] 일본국공개특허 제2006-60190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국공개특허 제1996-264976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국공개특허 제1996-162782호 공보
본 발명은 모듈 하우징의 규정 위치까지 기판 유닛을 꽂아 넣는 작업이나, 모듈 하우징의 규정 위치로부터 기판 유닛을 뽑아내는 작업을, 한손 조작으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은,
회로 기판이 설치된 기판 부착부와 핸들이 부착된 패널부를 갖는 기판 유닛과,
상기 기판 유닛이 삽발(揷拔)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듈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하여 돌출하는 한쌍의 다리부(脚部)를 갖고,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에 따른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패널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한쌍의 다리부는 상기 패널부에 배치되며, 상기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패널부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고정된 한쌍의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패널부에 대하여 상기 파지부를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회전 지점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파지부와 반대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회로 기판이 설치되지 않은 상기 기판 부착부의 일측에서 돌출하는 계합(係合) 볼록부를 갖고,
상기 모듈 하우징은 상기 회로 기판을 출입시키기 위한 기판 출입구 부분에 상기 계합 볼록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계합 오목부를 갖고,
상기 기판 유닛을 상기 모듈 하우징에 꽂아 넣을 경우에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패널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 볼록부가 상기 계합 오목부의 한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기판 유닛을 상기 모듈 하우징에 밀어 넣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고,
상기 기판 유닛을 상기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뽑아낼 경우에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패널부로부터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 볼록부가 상기 계합 오목부의 다른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기판 유닛을 상기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모듈이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패널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모듈이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패널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을 회전 조작했을 때의 종단 위치를, 당해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접근하는 부분과 당해 파지부의 사이에 이간 치수가 확보되는 조건으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모듈이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패널부에 접근시킨 상태로 상기 핸들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모듈이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전자 모듈은 전자기기의 배후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제 1 항 및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모듈 하우징의 규정 위치까지 기판 유닛을 꽂아 넣는 작업이나 모듈 하우징의 규정 위치로부터 기판 유닛을 뽑아내는 작업을, 한손 조작으로써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판 유닛의 삽발을 편안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판 유닛을 꽂거나 뽑는 경우에 핸들이 가압 부재에 의해 열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핸들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핸들을 조작하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모듈 하우징에 기판 유닛을 장착한 상태나 기판 유닛 단체(單體)의 상태에서 핸들을 컴팩트하게 접어 둘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구성요건이나 그 조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특정 효과를 도출시키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개량을 부가한 형태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의 주요한 구성요소가 되는 기판 유닛의 사시도이다.
전자 모듈(1)은, 크게는, 기판 유닛(2)과 모듈 하우징(3)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자 모듈(1)은, 다양한 전자기기,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본체 부분에 갖추어지는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예를 들면 디지털 복사기나 디지털 복합기를 구성하는 것이다. 디지털 복합기는, 스캔 기능, 복사 기능 및 팩시밀리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적어도 2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비하는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장치 전면 측에 서서 각종의 조작을 행하거나, 원고나 용지의 세트 작업을 행하거나 하는 형편상, 조작부나 원고 트레이, 급지 트레이 등을 우선적으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측면에는 용지걸림 해소를 위한 개폐문이나 후처리 장치 등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자 모듈(1)은 화상 형성 장 치(100)의 배면 측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 유닛(2)은 모듈 하우징(3)에 대하여 삽발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기판 유닛(2)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부(4)와 기판 부착부(5)를 일체로 갖는 유닛 본체(6)와, 패널부(4)의 외측면에 부착된 핸들(7)과, 기판 부착부(5)에 부착된 회로 기판(8)과, 한쌍의 보강 부재(9)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모듈 하우징(3)에 대하여 기판 유닛(2)이 삽발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회로 기판(8)의 기판면에 평행하고 또한 X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정의하는 동시에, 회로 기판(8)의 기판면에 수직하고 또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Z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여기에서 정의한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직교 3축 방향은, 전자 모듈(1) 전체에 걸쳐서 각 부의 구조나 위치 관계를 특정하기 위해서 수시로 사용된다. 또한, X축 방향은 그 방향에 따라 X방향과 ―X방향으로 구분한다. 마찬가지로, Y축 방향은 Y방향과 ―Y방향으로 구분하고, Z축 방향은 Z방향과 ―Z방향으로 구분한다.
유닛 본체(6)는 Y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판형상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유닛 본체(6)의 패널부(4)는 Y-Z 좌표평면을 따라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유닛 본체(6)의 기판 부착부(5)는 그와 수직한 X-Y 좌표평면을 따라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닛 본체(6)의 기판 부착부(5)에는 회로 기판(8)이 실장되어 있다. 회로 기판(8)은 복수의 나사(11)를 이용하여 기판 부착부(5)에 부착되어 있다. 기판 부착부(5)의 이면(부품 비탑재측)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11)의 부착 위치에 대응하여 오목부(10)가 설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8)은, 예를 들면 유리 에폭시 기판 등의 단단한 기판을 기초로 구성된 것으로, Z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8)의 외주부는 상기 복수의 나사(11)를 이용하여 유닛 본체(6)의 기판 부착부(5)에 고정되어 있다. 회로 기판(8) 위에는, 메모리 기판(12)이나 다른 전자부품과 함께, 정보 기억 장치로서의 하드디스크(도시 생략)가 전자부품의 일례로서 탑재되어 있다. 하드디스크는 당해 하드디스크를 수용하는 케이스(15)와 이 케이스(15)가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된 브래킷(bracket)(16)으로 이루어진 부착 유닛을 이용하여, 회로 기판(8) 위에 떠 있는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브래킷(16)은 상기 나사(11)를 이용하여, 회로 기판(8)과 함께 유닛 본체(6)의 기판 부착부(5)에 고정되어 있다. 하드디스크에 접속된 케이블(17)의 커넥터(18)는 회로 기판(8) 위에 설치된 소켓(19)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패널부(4)와 반대측의 회로 기판(8)의 단변부(端邊部)에는, 전자부품의 일례로서 2개의 암형 커넥터(21)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암형 커넥터(21)는 회로 기판(8)의 단변부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암형 커넥터(21)의 접속구는 -X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모듈 하우징(3)의 내측(패널부(4)와 반대측)에는 중계 기판(22)이 설치되어 있다. 중계 기판(22)은 복수의 나사(23)를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다. 중계 기판(22) 위에는 2개의 수형 커넥터(24)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 기판(22)은 전자 모듈(1)의 회 로 기판(8)과 다른 모듈의 회로 기판의 전기적인 접속을 중계하는 것이다. 수형 커넥터(24)는 상기의 암형 커넥터(21)와 끼워 맞춰지는 것이다. 암형 커넥터(21)와 수형 커넥터(24)의 끼워 맞춤은, X축 방향으로 커넥터끼리를 꽂아 넣음으로써 행하여진다. 또한, 암형 커넥터(21)와 수형 커넥터(24)의 이탈은, X축 방향으로 커넥터끼리를 뽑아냄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모듈 하우징(3)에 대한 기판 유닛(2)의 삽발 방향은 X축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모듈 하우징(3)은 회로 기판(8)을 수납하는 공간(이하, 「기판 수납 공간」)과, 회로 기판(8)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이하, 「기판 출입구」)를 갖는 박스형의 구조를 하고 있다. 모듈 하우징(3)은, 예를 들면 철을 주재료로 하여, 그 표면에 방수 등을 목적으로 한 도금 처리(예를 들면, 산화크롬 도금)를 실시한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모듈 하우징(3)은 Z축 방향에서 기판 부착부(5)와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된 기부(base portion)(25)와, Y축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안내판(26)과, X축 방향에서 패널부(4)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단부판(端板)(27)과, Z축 방향에서 기판 수납 공간을 통하여 기부(25)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덮개판(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기부(25), 한쌍의 안내판(26) 및 단부판(27)은 금속판의 굽힘가공(bending)이나 펀칭가공(punching), 용접가공 등에 의해 일체화되고, 이 일체화된 구조물에 기판 수납 공간을 막는 형태로써 덮개판(도시 생략)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모듈 하우징(3)의 기판 출입구는 X축 방향의 한쪽 측(X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그것과 반대측의 단부판(27)의 내측면에 상기의 중계 기판(22)이 부착되어 있다.
한쌍의 안내판(26)에는,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가늘고 긴 돌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28)는 기판 출입구를 통하여 꽂히거나 뽑히는 기판 유닛(2)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각각의 돌출부(28)는 기판 출입구의 근방으로부터 단부판(27) 측을 향하여 원호형으로 구부러지고 나서 X축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여 돌출해 있다. 이에 대하여, 기판 유닛(2)은 기판 부착부(5)의 Y축 방향의 양단부를 각각 돌출부(28)에 따르게 함으로써, 모듈 하우징(3) 내에서 Z축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 상태에서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한쪽의 안내판(26)의 외측면에는 팬(29)이 부착되어 있다. 팬(29)은 안내판(26)에 설치된 통기 홀을 통하여 기판 수용 공간 내의 공기(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핸들(7)은 수지의 일체성형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쌍의 지지 부재(31)를 이용하여 패널부(4)에 지지되어 있다. 도 5는 핸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의 (a), (b)는 지지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 도 8 및 도 9는 핸들에 지지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핸들의 구성)
핸들(7)은 파지부(32)와 한쌍의 다리부(33)를 일체로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파지부(32)에는 원호형의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7)을 패널부(4)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기판 유닛(2)의 꽂기나 뽑기를 행하는 작업자의 손이 들어가기 쉽도록, Y축 방향에서의 파지부(32)의 길이(한쌍의 다리부(33)의 이간 거 리)가 적어도 100㎜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핸들(7)은 패널부(4)의 길이 방향으로 되는 Y축 방향에서, 패널부(4)의 중심을 한쌍의 다리부(33)에 걸친 상태로, 한쌍의 지지 부재(31)를 이용하여 패널부(4)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한쌍의 다리부(33)는 파지부(32)의 양단부로부터 서로 같은 방향(파지부(32)와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해 있다. 각각의 다리부(33)의 한쪽 측에는, 회전 지지축(35)과 계합(係合) 볼록부(36)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지지축(35)은 단면 원형의 핀 형상(환형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지지축(35)은 파지부(32)의 길이 방향에서, 다리부(33)의 양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계합 볼록부(36)는 회전 지지축(35)으로부터 파지부(32)와 반대측으로 연장하여 돌출한 상태로 다리부(33)의 연장돌출단에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33)의 길이 방향에서는, 회전 지지축(35)으로부터 파지부(32)까지의 거리가, 회전 지지축(35)으로부터 계합 볼록부(36)의 돌출단까지의 거리보다 몇배(예를 들면, 2배) 정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계합 볼록부(36)는 코(鼻)부(36a)와 턱(顎)부(36b)를 일체로 갖고 있다. 또한, 한쪽의 다리부(33)에는 팔(腕)부(37)가 설치되어 있다. 팔부(37)는 다리부(33)로부터 외측으로 길게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팔부(37)에는 계단형 관통홀(3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32)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팔부(37)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이스케이프 홀(escape hole)(39)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의 구성)
지지 부재(31)는 수지의 일체성형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핸들(7)을 패널 부(4)에 부착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지지 부재(31)는 대략 장방형의 배판부(背板部)(41)와, 이 배판부(41)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설치된 고정용 홀(42)과, 배판부(41)의 양쪽의 장변부(長邊部)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한 한쌍의 축지지부(43)와, 배판부(41)의 배면 측으로 돌출한 걸이부(hook portion)(44) 및 스프링걸이부(45)를 일체로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정용 홀(42)은 지지 부재(31)를 패널부(4)에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쌍의 축지지부(43)는 상기 핸들(7)의 다리부(33)에 설치된 회전 지지축(35)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한쌍의 축지지부(43)에는 동(同)축선 상에 원형의 홀(46)이 설치되고, 또한 이 홀(46)을 향하여 안내 홈(47)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 홈(47)은 홀(46)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홀(46)에는 회전 지지축(35)이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홀(46)의 내경이나 안내 홈(47)의 홈폭은 회전 지지축(35)의 외경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걸이부(44)는 후크(hook)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이부(44)는 지지 부재(31)를 통하여 핸들(7)을 패널부(4)에 부착할 경우에, 패널부(4)에 설치된 사각형의 홀(도시 생략)에 걸리는 것이다. 스프링걸이부(45)는 후술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일 단부를 걸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핸들(7)에 지지 부재(31)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핸들(7)의 다리부(33)에 설치된 회전 지지축(35)을 지지 부재(31)의 홀(46)에 끼워 맞춘다. 그 때, 다리부(33)의 회전 지지축(35)을 축지지부(43)의 안내 홈(47)에 끼워 맞추고, 회전 지지축(35)을 홀(46) 측으로 밀어 넣으면, 그 밀어 넣는 힘을 받아서 한쌍의 축지지부(43)가 외측으로 밀리도록 변형되고, 회전 지지축(35)이 홀(46)에 끼워 넣어지면, 그 순간에 한쌍의 축지지부(43)의 변형이 해제되고, 동시에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 한쪽의 다리부(33)(도면에서는 팔부(37)와 반대측의 다리부(33))에는, 가압 부재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이 장착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은 양쪽의 다리부(33)에 장착해도 된다. 또한, 핸들(7)의 팔부(37)에는 상기 관통홀(38)을 이용하여 픽업(pick up) 나사(49)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0은 가압 부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의 일 단부(48a)는 지지 부재(31)의 스프링걸이부(45)에 걸려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의 다른 단부(48b)는 다리부(33)에 걸려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은 한쌍의 지지 부재(31)를 이용하여 핸들(7)을 패널부(4)에 부착한 경우에, 회전 지지축(35)을 중심으로 한 핸들(7)의 회전 조작 방향에서, 파지부(32)를 패널부(4)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핸들(7)을 가압하는 것이다.
핸들(7)을 패널부(4)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그에 앞서, 핸들(7)의 각 다리부(33)에 지지 부재(31)를 장착(한쪽의 다리부(33)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을 장착)하는 동시에, 핸들(7)의 팔부(37)에 픽업 나사(49)를 장착해 둔다. 그리고, 핸들(7)에 장착한 한쌍의 지지 부재(31)를 패널부(4)의 외면에 대하여 가압한다. 이 때, 지지 부재(31)의 배판부(41)로부터 돌출하는 걸이부(44)를 패널부(4)의 홀(도시 생략)에 걸고, 배판부(41)의 배면을 패널부(4)의 외면에 접촉시킨다. 패널 부(4)에는, 스프링걸이부(45)와의 접촉을 피하는 이스케이프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 부재(31)의 배판부(41)는 틈이 없이 패널부(4)의 외면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지지 부재(31)의 고정용 홀(42)은, 이것에 대응하여 패널부(4)에 설치된 나사 홀(도시 생략)에 동축 형상으로 위치 맞춤시켜서, 이 나사 홀에 고정 나사(51)(도 1 참조)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패널부(4)에 지지 부재(31)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핸들(7)은 양쪽의 다리부(33)에 설치된 회전 지지축(35)과 이것이 끼워 맞춰지는 지지 부재(31)의 홀(46)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파지부(32)가 패널부(4)에 근접하는 방향과, 파지부(32)가 패널부(4)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의 쌍방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본 명세서 중에서는, 파지부(32)가 패널부(4)에 근접하는 방향(이하, 「닫기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핸들(7)을 회전 조작하는 것을 핸들(7)의 닫기 조작으로 기술하고, 파지부(32)가 패널부(4)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이하, 「열기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핸들(7)을 회전 조작하는 것을 핸들(7)의 열기 조작으로 기술한다. 또한, 파지부(32)가 패널부(4)에 가장 근접하는 곳까지 핸들(7)을 회전 조작한 상태를 핸들(7)의 닫힌 상태로 기술하고, 파지부(32)가 패널부(4)로부터 가장 이간되는 곳까지 핸들(7)을 회전 조작한 상태를 핸들(7)의 열린 상태로 기술한다. 덧붙이자면, 도 3 및 도 4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의 가압력에 의해 핸들(7)이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7)을 패널부(4)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핸들(7)의 각 다리부(33)의 연장돌출단에 존재하는 계합 볼록부(36)가 기판 부착부(5)의 이면으 로 돌출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모듈 하우징(3)의 기부(25)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출입구의 부분으로부터 전방(X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하도록 금속제의 연장돌출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연장돌출부(52)는 기부(25)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것이어도 되고, 기부(25)와 일체 구조를 이루는 것이어도 된다. 연장돌출부(52)는 금속판을 굽힘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연장돌출부(52)에는 크랭크(crank) 형상의 굽힘가공에 의해 계합 오목부(54)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 오목부(54)는 상기의 계합 볼록부(36)에 대응하여 기판 출입구 부분에 설치된 것이다. 계합 오목부(54)는 Y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합 오목부(54)는 연장돌출부(52)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 유닛의 부착 작업)
우선, 기판 유닛(2) 단체에서는, 핸들(7)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의 가압력에 의해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핸들(7)의 파지부(32)와 패널부(4)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용이하게 파지부(32)를 손으로 쥘 수 있다. 또한, 핸들(7)과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31)에 소정의 강도(예를 들면, 정적 하중에서 최대 약 70kg 정도의 기계적 강도)를 갖게 함으로써, 작업자는 핸들(7)을 운반용 손잡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판 유닛(2)의 운반이 용이해진다. 또한, 패널부(4)에는, 핸들(7)의 팔부(37)에 설치된 관통홀(38)에 대응하여 나사 홀(53)(도 1 참조)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팔부(37)에 장착한 픽업 나사(49)를 패널부(4)의 나사 홀(53)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핸들(7)을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모듈 하우징(3)에 기판 유닛(2)을 장착한 채로 어떠한 작업을 행할 경우에, 그 작업이 방해되지 않도록 핸들(7)을 컴팩트하게 접어 둘 수 있다. 단, 모듈 하우징(3)에 기판 유닛(2)을 삽입하여 부착한 경우에는, 픽업 나사(49)를 풀어서 핸들(7)을 열린 상태로 해 둔다. 이 경우, 픽업 나사(49)를 풀면, 핸들(7)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의 가압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모듈 하우징(3)에 기판 유닛(2)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핸들(7)의 회전 방향이 닫기 방향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잘못해서 핸들(7)을 역방향으로 조작하는, 소위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실제로 모듈 하우징(3)에 기판 유닛(2)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모듈 하우징(3)의 한쌍의 안내판(26)에 설치된 돌출부(28)에, 기판 유닛(2)의 기판 부착부(5)의 양단부를 따르게 하도록 하여, 모듈 하우징(3)의 기판 출입구로부터 기판 유닛(2)을 꽂아 넣는다. 이 경우, 기판 유닛(2)의 부착을 행하는 작업자는 패널부(4)의 외측면을 직접 손으로 밀어 넣거나, 핸들(7)의 파지부(32)를 한손으로 쥐면서 기판 유닛(2) 전체를 밀어 넣게 된다.
그렇게 하면, 중계 기판(22)의 수형 커넥터(24)에 회로 기판(8)의 암형 커넥터(21)가 끼워 맞춰지기 전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7)의 계합 볼록부(36)의 코부(36a)가 계합 오목부(54)의 일면(54a)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 도 11에서는 핸들(7)이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핸들(7)이 열기 방향의 종단 위치에 배치되고, 이 종단 위치에서 핸들(7)의 파지부(32)와 이것에 접근하는 연장돌출부(52)의 사이에 소정의 이간 치수 L이 확보되어 있다. 이간 치수 L은, 핸들(7)을 열기 방향의 종단 위치까지 회전 조작했을 경우에, 파지부(32)를 쥐고 있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파지부(32)와 연장돌출부(52)의 사이에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치수 조건(예를 들면, 30mm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핸들(7)을 쥐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이간 치수 L의 상한은 다른 부재와의 관계에 의존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은 이간 치수 L은 20㎝ 이하이다.
또한, 상기 도 1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기판 유닛(2)을 ―X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그 밀어 넣는 힘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48)의 가압력에 대항하는 힘으로 되어서 계합 볼록부(36)에 작용한다. 이 때문에, 핸들(7)은 상기 밀어 넣는 힘을 받아서 회전 지지축(35)을 중심으로 닫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패널부(4)를 손으로 밀어 넣거나, 또는 핸들(7)을 한손으로 쥐고, 기판 유닛(2)을 모듈 하우징(3)에 밀어 넣은 작업자는, 핸들(7)의 코부(36a)와 계합 오목부(54)의 일면(54a)과의 접촉에 따른 핸들(7)의 회전 방향으로부터 핸들(7)을 어느 쪽의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이 올바른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기판 유닛(2)을 밀어 넣으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 볼록부(36)의 턱부(36b)가 계합 오목부(54)의 일면(54a)에 근접 또는 접촉함으로써, 회로 기판(8)의 암형 커넥터(21)가 중계 기판(22)의 수형 커넥터(24)에 접촉하고, 그 접촉 저항(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출 때에 발생하는 저항)을 받아서 핸들(7)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 단계에서는 암형 커넥터(21)가 수형 커넥터(24)에 접촉할 뿐이고, 커넥 터끼리는 아직 끼워 맞춰지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그 후, 작업자가 핸들(7)의 파지부(32)를 한손으로 쥐고 핸들(7)을 닫기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계합 볼록부(36)의 코부(36a)가 계합 오목부(54)의 다른 면(54b)에 접촉하고, 작업자가 핸들(7)을 닫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파지부(32)를 쥐는 손에 힘을 더 가하면, 계합 볼록부(36)와 계합 오목부(54)의 접촉부를 지레의 원리의 작용점으로 하여 기판 유닛(2)을 모듈 하우징(3)에 밀어 넣는 방향의 힘이 발생한다. 이 때, 작업자는 핸들(7)을 닫기 위치까지 회전 조작한다.
도 13은 핸들(7)을 닫기 위치까지 회전 조작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렇게 핸들(7)을 도 12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13에 나타낸 닫기 위치까지 회전 조작하는 과정에서는, 계합 볼록부(36)의 코부(36a)와 계합 오목부(54)의 다른 면(54b)의 접촉부가 지레의 원리의 작용점으로 되는 동시에, 회전 지지축(35)이 지레의 원리의 지지점으로 되고, 한편 핸들(7)의 파지부(32)가 지레의 원리의 힘점으로 된다. 이 경우, 지지점으로부터 힘점까지의 거리는, 지지점으로부터 작용점까지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힘점에 비교적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작용점에는 매우 큰 힘이 발생하고, 그 반력(反力)에 의해 기판 유닛(2)이 모듈 하우징(3)의 내측(-X방향)으로 강한 힘으로 밀려 들어간다. 따라서, 모듈 하우징(3)의 규정 위치까지 기판 유닛(2)을 꽂아 넣을 경우에, 핸들(7)을 이용한 한손 조작이더라도, 회로 기판(8)의 암형 커넥터(21)를 중계 기판(22)의 수형 커넥터(24)에 끼워 맞추는데 필요한 강한 밀어 넣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암수의 커넥터끼리가 끼워 맞춰지는 위치를 「규정 위치」로 하고 있다. 도 14는 핸 들을 닫기 조작하여 모듈 하우징에 기판 유닛을 꽂아 넣었을 때의 전자 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5는 핸들을 닫기 조작하여 모듈 하우징에 기판 유닛을 꽂아 넣었을 때의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기판 유닛(2)의 구성상, 핸들(7)의 다리부(33)는 패널부(4)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걸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7)을 닫기 조작한 때에는, 패널부(4)의 길이 방향에서 한쌍의 지지 부재(31)의 부착 위치에 대응하는 2개소를 지레의 원리에 의해 모듈 하우징(3)의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된다. 이 때문에, 핸들(7)의 닫기 조작에 의해 기판 유닛(2)에 양호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밀어 넣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유닛(2)을 X축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암수의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추기가 용이해진다.
(기판 유닛의 분리 작업)
한편, 모듈 하우징(3)으로부터 기판 유닛(2)을 뽑아내 분리시킬 경우에는, 그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핸들(7)의 파지부(32)를 한손으로 쥐고 핸들(7)을 열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때, 작업자가 핸들(7)을 열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파지부(32)를 쥐는 손에 힘을 가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 볼록부(36)의 턱부(36b)가 계합 오목부(54)의 일면(54a)에 접촉한 상태에서, 그 접촉부를 지레의 원리의 작용점으로 하여 기판 유닛(2)을 모듈 하우징(3)으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의 힘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계합 볼록부(36)의 턱부(36b)와 계합 오목부(54)의 일면(54a)의 접촉부가 지레의 원리의 작용점으로 됨과 동시에, 회전 지지축(35)이 지레의 원리의 지지점이 되고, 한편 핸들(7)의 파지부(32)가 지레의 원리의 힘점으 로 된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힘점에 비교적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작용점에는 매우 큰 힘이 발생하고, 그 반력에 의해 기판 유닛(2)이 모듈 하우징(3)의 전방(X방향)으로 강한 힘에 의해 잡아당겨진다. 따라서, 모듈 하우징(3)의 규정 위치에 부착된 기판 유닛(2)을 뽑아낼 경우에, 핸들(7)을 이용한 한손 조작이더라도, 회로 기판(8)의 암형 커넥터(21)를 중계 기판(22)의 수형 커넥터(24)로부터 뽑아내는데 필요한 강한 잡아당기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7은 핸들을 열기 조작하여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기판 유닛의 일부를 끌어냈을 때의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7)의 다리부(33)는 패널부(4)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걸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7)을 열기 조작한 때에는, 패널부(4)의 길이 방향으로 한쌍의 지지 부재(31)의 부착 위치에 대응하는 2개소를 지레의 원리에 의해 모듈 하우징(3)의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 때문에, 핸들(7)의 열기 조작에 의해 기판 유닛(2)에 양호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유닛(2)을 X축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따라서, 암수의 커넥터끼리를 뽑아내기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모듈의 주요한 구성요소가 되는 기판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전자 모듈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기판 유닛을 하면 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핸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지지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핸들에 지지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제 1).
도 8은 핸들에 지지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제 2).
도 9는 핸들에 지지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제 3).
도 10은 가압 부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투시도.
도 11은 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른 제1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른 제2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른 제3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핸들을 닫기 조작하여 모듈 하우징에 기판 유닛을 꽂아 넣었을 때의 전자 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핸들을 닫기 조작하여 모듈 하우징에 기판 유닛을 꽂아 넣었을 때의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핸들의 회전 조작에 따른 제4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핸들을 열기 조작하여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기판 유닛의 일부를 끌어냈을 때의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자 모듈 2···기판 유닛
3···모듈 하우징 4···패널부
5···기판 부착부 6···유닛 본체
7···핸들 8···회로 기판
21···암형 커넥터 22···중계 기판
24···수형 커넥터 25···기부
26···안내판 27···단부판
31···지지 부재 32···파지부
33···다리부 35···회전 지지축
36···계합 볼록부 36a···코부
36b···턱부 37···팔부
38···관통홀 41···배판부
42···고정용 홀 43···축지지부
46···홀 48···비틀림 코일 스프링
49···픽업 나사 51···고정 나사
52···연장돌출부 54 ···계합 오목부

Claims (6)

  1. 회로 기판이 설치된 기판 부착부와 핸들이 부착된 패널부를 갖는 기판 유닛과,
    상기 기판 유닛이 삽발(揷拔)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듈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은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하여 돌출하는 한쌍의 다리부(脚部)를 갖고,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에 따른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패널부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한쌍의 다리부는 상기 패널부에 배치되며, 상기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패널부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고정된 한쌍의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패널부에 대하여 상기 파지부를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회전 지점이 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파지부와 반대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회로 기판이 설치되지 않은 상기 기판 부착부의 일측에서 돌출하는 계합(係合) 볼록부를 갖고,
    상기 모듈 하우징은 상기 회로 기판을 출입시키기 위한 기판 출입구 부분에 상기 계합 볼록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계합 오목부를 갖고,
    상기 기판 유닛을 상기 모듈 하우징에 꽂아 넣을 경우에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패널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 볼록부가 상기 계합 오목부의 한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기판 유닛을 상기 모듈 하우징에 밀어 넣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고,
    상기 기판 유닛을 상기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뽑아낼 경우에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패널부로부터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을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계합 볼록부가 상기 계합 오목부의 다른 부위에 접촉하여 상기 기판 유닛을 상기 모듈 하우징으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패널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패널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을 회전 조작했을 때의 종단 위치를, 당해 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접근하는 부분과 당해 파지부의 사이에 이간 치수가 확보되는 조건으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파지부를 상기 패널부에 접근시킨 상태로 상기 핸들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모듈은 전자기기의 배후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80106253A 2007-11-08 2008-10-29 전자 모듈 및 전자기기 KR101179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90368 2007-11-08
JP2007290368A JP4433036B2 (ja) 2007-11-08 2007-11-08 電子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324A KR20090048324A (ko) 2009-05-13
KR101179581B1 true KR101179581B1 (ko) 2012-09-05

Family

ID=4062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253A KR101179581B1 (ko) 2007-11-08 2008-10-29 전자 모듈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38255B2 (ko)
JP (1) JP4433036B2 (ko)
KR (1) KR101179581B1 (ko)
CN (1) CN1014318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4635B2 (en) * 2008-12-12 2011-11-08 Oracle America Inc. Tool-less modular expansion card carrier
BRPI0901450A2 (pt) * 2009-05-04 2011-01-18 Weg Automacao S A módulo interface de protocolo de comunicação
SG169904A1 (en) * 2009-09-08 2011-04-29 Schneider Electric South East Asia Hq Pte Ltd Mounting device
CN101840256B (zh) 2010-04-12 2013-07-10 华为技术有限公司 单板拉手条、单板及电子装置
CN102262892A (zh) * 2010-05-24 2011-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托盘组合
JP5621403B2 (ja) 2010-08-18 2014-11-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455749A (zh) * 2010-10-18 2012-05-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固定架
US8947878B2 (en) * 2011-09-30 2015-02-03 Mao-Yuan Lo Apparatus with a handle having a release mechanism
TWI482584B (zh) * 2012-05-03 2015-04-21 Wistron Corp 易拆裝的電磁屏蔽裝置
TWI479751B (zh) * 2013-01-08 2015-04-01 Twinhead Int Corp 固定裝置
US9673567B1 (en) * 2015-03-12 2017-06-06 Juniper Network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during maintenance of telecommunication systems
CN205124204U (zh) * 2015-10-16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插箱锁紧机构以及电源机柜
CN109699147B (zh) * 2018-12-14 2020-08-11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航空计算技术研究所 一种电子盘快卸机构
WO2021078386A1 (en) * 2019-10-24 2021-04-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device for coupling and de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18786A (en) 1982-03-16 1983-11-02 Atomic Energy Authority Uk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uplings
US4821145A (en) 1987-11-17 1989-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luggable assembly for printed circuit cards
US4821146A (en) 1987-11-17 1989-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lugable interposer and printed circuit card carrier
US4911647A (en) 1989-01-10 1990-03-27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Insertion/extraction mechanism for blind pluggable modules
US4931907A (en) 1989-03-30 1990-06-05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Electric module latch assembly
JP2687988B2 (ja) 1992-03-02 1997-12-08 富士通電装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の抜止め機構
JP2830634B2 (ja) 1992-08-05 1998-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ッケージ基板
JPH08162782A (ja) 1994-12-09 1996-06-21 Dainippon Screen Mfg Co Ltd 配電盤ユニットにおける基板の着脱機構
JPH08264976A (ja) 1995-03-27 1996-10-11 Nec Eng Ltd 電子回路パッケージ引き抜き機構
US5791753A (en) * 1996-08-29 1998-08-11 Compaq Computer Corp. Computer component handle assembly
US6222736B1 (en) * 1999-01-26 2001-04-24 Dell Usa, L.P. Computer with component installation handle
US6374460B1 (en) * 2000-03-29 2002-04-23 Powerware Corporation Multi-function handle and modular chassis incorporating same
US6560114B2 (en) * 2001-06-29 2003-05-06 Intel Corporation Rack-mounted server and associated methods
JP4766795B2 (ja) 2001-08-13 2011-09-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搬型ディスクモジュールを搭載する磁気ディスクサブシステム
CN2678317Y (zh) * 2003-12-10 2005-02-09 友讯科技股份有限公司 抽取式电路板的固定把手
JP4503465B2 (ja) 2004-07-20 2010-07-14 株式会社ユーバー 基板ユニット
US7354293B2 (en) * 2006-02-14 2008-04-08 Ablecom Technology, Inc. Fastening positioning device for a handle of a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1876B (zh) 2011-06-29
US20090122496A1 (en) 2009-05-14
JP2009117680A (ja) 2009-05-28
JP4433036B2 (ja) 2010-03-17
CN101431876A (zh) 2009-05-13
KR20090048324A (ko) 2009-05-13
US7738255B2 (en)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581B1 (ko) 전자 모듈 및 전자기기
JP4659884B2 (ja) レール連結部材、ユニット支持機構、及び電子機器
KR101354528B1 (ko) 도킹시스템과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KR20080005894A (ko) 정보 처리 장치
US20170242460A1 (en) Cable holder
JP4453744B2 (ja) 情報記憶装置の取り付け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JP2018157073A (ja) ハンドル及びトレイ
JP7098454B2 (ja) コネクタ保持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268380B2 (ja) コネクタ挿脱用装置
CN110024501B (zh) 工业用设备
US6592195B2 (en) Combination computer access cover and component removal tool
WO2023188112A1 (ja) 表示装置
JP4835564B2 (ja) 情報装置
JP6620377B2 (ja) 制御装置
US11962105B2 (en) Coupling method and robot system
JP2017001133A (ja) コネクタ取り外し用プライヤ
JP3190295B2 (ja) コネクタ
JP7413165B2 (ja) 電子部品取付装置及び電子部品取付方法
JP2018072629A (ja) コネクタ保持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107406A (ja) 電子機器、デタッチャブル型電子機器
JP5844773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WO2013161034A1 (ja) 制御装置
JP3579301B2 (ja) 電子機器
JP2007095333A (ja) ケーブルの固定構造
JP2008149466A (ja) 印刷装置のオプション装置固定方法、および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