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332B1 -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 - Google Patents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9332B1 KR101179332B1 KR1020050048582A KR20050048582A KR101179332B1 KR 101179332 B1 KR101179332 B1 KR 101179332B1 KR 1020050048582 A KR1020050048582 A KR 1020050048582A KR 20050048582 A KR20050048582 A KR 20050048582A KR 101179332 B1 KR101179332 B1 KR 1011793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rotary
- switch
- hole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54—Lever switches with blade-type contact co-operating with one or two spring-clip contacts, e.g. knife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외관을 구성하는 전면플레이트(20)의 관통공(22)으로 노출되게 레버조절버튼(30)이 설치된다. 상기 레버조절버튼(30)은 기판(50')에 실장된 스위치(50)의 조그레버(52)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조절버튼(30)은 조그레버(52)를 사면 팔방으로 경사지도록 조작하여 특정한 기능을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 레버조절버튼(30)은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노출된 회전버튼(40)의 버튼통공(41)에 그 연결부(33)와 결합부(35)가 위치된다. 상기 레버조절버튼(30)의 선단에 구비된 버튼머리부(31)는 상기 회전버튼(40)의 버튼통공(41) 입구에 위치된다. 상기 회전버튼(40)은 상기 스위치(50)의 회전링(53)과 연결되어 회전링(53)을 회전시켜 특정한 기능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버튼조립체에 의하면 버튼조립체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보다 다양한 기능을 채용할 수 있고, 다기능 버튼조립체가 사용되는 단말기의 크기를 보다 경박단소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단말기, 다기능 버튼조립체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단말기의 전면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버튼의 구성을 보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조절버튼과 회전버튼이 각각 스위치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스위치와 레버조절버튼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스위치와 회전버튼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전면플레이트 22: 관통공
24: 가이드링 26: 디스플레이부
27: 기능키이 30: 레버조절버튼
31: 버튼머리부 31': 누름홈
33: 연결부 35: 결합부
40: 회전버튼 41: 버튼통공
43: 마찰리브 45: 걸이후크
46: 걸이턱 47: 가이드스컷트
48: 걸이돌기 50: 스위치
51: 스위치본체 52: 조그레버
53: 회전링 54: 후크슬롯
55: 조립가이드슬롯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가지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기능 버튼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많은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차량용 단말기들이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PDA, MP3플레이어,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와 텔레매틱스용의 차량용 단말기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텔레매틱스용의 차량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선택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입력장치가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단말기에서는 그 화면을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으로 눌러 정보를 입력할 수 있 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단말기가 경박단소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여서, 화면 또한 그 크기가 작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키이배열을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으로 눌러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말기가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전면플레이트(1)가 단말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에는 디스플레이부(3)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가 표시되어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으로 눌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의 디스플레이부(3) 양단에 인접한 위치에는 다수개의 기능키이(5)가 배열된다. 상기 기능키이(5)는 각각이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누름에 의해 그 기능이 선택되어 실행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에는 또한 조그버튼조립체(7)와 회전버튼조립체(9)가 구비된다. 상기 조그버튼조립체(7)는 그 눌러지는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기능이 선택되도록 된 것으로, 도면에는 4방향으로 눌러져 각각의 다른 기능선택이 가능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버튼조립체(9)는 회전됨에 의해 예를 들어 볼륨의 조정 등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부(3)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에 표시된 문자를 정확하게 지적하는 것이 어려워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 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그버튼조립체(7)와 회전버튼조립체(9)는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1)에 설치되므로, 이를 사용자가 각각 조작하기가 번거롭고 전면플레이트(1)에 조그버튼조립체(7)와 회전버튼조립체(9)를 각각 설치함으로 인해 전면플레이트(1)의 크기가 커져 단말기의 경박단소화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버튼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위치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스위치본체에 연결된 기저부를 중심으로 선단이 자유롭게 경사지도록 동작되면서 경사방향에 따라 특정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는 조그레버와 상기 스위치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는 회전링을 구비하고 기판에 실장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조그레버와 연결되고 전면플레이트의 관통공을 통해 전면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그레버를 조작하게 하는 레버조절버튼과; 중앙에 상기 레버조절버튼이 설치되는 버튼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의 회전링과 결합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관통공을 통해 전면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회전링을 조작하게 하는 회전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의 회전링에는 후크슬롯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슬롯에는 상기 회전버튼에 형성된 걸이후크의 걸이턱이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스위치의 회전링에는 조립가이드슬롯이 대칭으로 상기 회전버튼의 삽입방향으로 회전링의 선단까지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가이드슬롯에는 상기 회전버튼에 형성된 걸이돌기가 안착된다.
상기 회전버튼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버튼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전링의 외면을 일정 구간 감싸는 가이드스컷트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스컷트를 따라 상기 걸이돌기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버조절버튼은 상기 회전버튼의 버튼통공의 입구에 위치되는 버튼머리부와, 상기 회전버튼의 버튼통공 내부에 위치되고 버튼통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며 버튼머리부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회전버튼의 버튼통공 내부에 위치되고 버튼통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면 연결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그레버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버조절버튼은 원판상이고 상기 버튼통공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버튼머리부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요입된 누름홈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버튼은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버튼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그 외주면을 둘러 마찰리브가 회전버튼의 전후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버튼조립체에 의하면 버튼조립체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보다 다양한 기능을 채용할 수 있고, 다기능 버튼조립체가 사용되는 단말기의 크기를 보다 경박단소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버튼의 구성이 배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조절버튼과 회전버튼이 각각 스위치에 조립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a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스위치와 레버조절버튼이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스위치와 회전버튼이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면플레이트(20)는 단말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예로 들어 전면플레이트(2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전면플레이트(20)를 전후로 관통해서는 원형상의 관통공(2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가이드링(24)이 조립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20)에는 또한 디스플레이부(26)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에는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20)에는 각종 기능키이(27)가 구비된다. 상기 기능키이(27)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6)의 양단에 해당되는 전면플레이트(20)의 전면에 설치된다.
레버조절버튼(30)은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상기 전면플레이트(2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레버조절버튼(30)은 그 선단에 원판형상의 버튼머리부(31)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머리부(31)에는 오목하게 누름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홈(31')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어 레버조절버튼(30)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버튼머리부(31)의 후면 중앙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연결부(33)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33)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버튼(40)의 버튼통공(41)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33)는 그 직경이 상기 버튼머리부(31)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3)의 후단에는 결합부(3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35)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그레버(52)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35)는 상기 연결부(33)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결합부(35)와 버튼머리부(31) 사이를 연결하기만 하면 되고, 상기 결합부(35)에는 조그레버(52)가 삽입되는 삽입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회전버튼(40)은 상기 관통공(22)을 관통하여 전면플레이트(2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버튼(4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중앙을 관통하여 버튼통공(41)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통공(41)은 상기 레버조절버튼(30)의 연결부(33)와 결합부(35)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튼통공(41)의 직경은 상기 연결부(33)와 결합부(35)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버튼머리부(31)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버튼(40)의 측면을 형성하는 외주면을 따라서는 마찰리브(43)가 형성된다. 상기 마찰리브(43)는 상기 회전버튼(40)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길게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리브(43)는 사용자가 회전버튼(40)을 조작할 때, 손가락이 미끌어지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버튼(40)의 후단에는 걸이후크(45)가 대칭으로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45)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통공(41)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45)는 상기 회전버튼(40)의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걸이후크(45)의 선단에는 걸이턱(4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46)은 상기 버튼통공(4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회전버튼(40)의 후단에는 또한 가이드스컷트(47)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스컷트(47)는 상기 걸이후크(45)가 형성되는 원호상, 즉 상기 버튼통공(41)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각각 일정 구간 만큼씩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후크(45)와 가이드스컷트(47)의 중심 부분이 각각 90°간격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스컷트(47)에는 걸이돌기(48)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48)는 상기 버튼통공(4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상기 걸이돌기(48)는 상기 가이드스컷트(47)의 중앙 선단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걸이돌기(48)는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스컷트(47)의 내면보다 약간 돌출된다. 즉, 상기 걸이돌기(48)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스컷트(47)의 기저부에서부터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스컷트(47)에 걸이돌기(48)가 형성됨에 의해 상기 걸이돌기(48)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스위치(50)는 기판(5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기판(50')은 상기 전면플레이트(20)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기판(50')은 상기 전면플레이트(20)의 배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기판(50')이 단지 스위치(50)만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6)나 기능키이(27)등과 관련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스위치(50)의 스위치본체(51) 내부에는 스위치(5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본체(51)는 상기 기판(50')에 실장되어 기판(50')의 회로패턴을 통해 다른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위치본체(51)에는 상기 레버조절버튼(30)과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조그레버(52)가 구비된다. 상기 조그레버(52)는 상기 스위치본체(51)의 상면 중앙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조그레버(52)는 상기 스위치본체(51)에 대해 소정 각도로 사면팔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동작된다. 즉, 상기 스위치본체(51)에 연결된 기저부를 중심으로 선단이 자유롭게 경사지도록 동작되면서 경사방향에 따라 특정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그레버(52)는 상기 스위치본체(51)의 내부에서 탄성부재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스위치본체(51)의 상면에 대해 직립되는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조그레버(52)가 4방향 또는 8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동작됨에 의해 특정한 기능이 선택되는 것과 아울러, 상기 조그레버(52)는 또한 상기 스 위치본체(51)의 내부로 눌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또 다른 특정 기능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그레버(52)를 둘러싸도록 회전링(53)이 상기 스위치본체(51)의 상면에 돌출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링(53)은 링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본체(51)에 대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링(53)의 중심이 되는 위치에 상기 조그레버(52)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링(53)에는 후크슬롯(54)이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크슬롯(54)은 상기 회전링(53)의 외면에 상기 회전링(53)의 회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후크슬롯(54)에는 상기 회전버튼(40)의 걸이후크(45)가 걸어진다. 즉, 상기 걸이후크(45)의 걸이턱(46)이 상기 후크슬롯(54)에 걸어져 상기 회전버튼(40)과 회전링(53)이 함께 연동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링(53)에는 또한 상기 회전버튼(40)의 걸이돌기(48)가 안착되는 조립가이드슬롯(55)이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립가이드슬롯(55)은 상기 회전링(53)에 상기 회전버튼(40)을 조립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조립가이드슬롯(55)은 상기 회전링(53)의 선단까지 개구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돌기(4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버튼(40)은 상기 전면플레이트(20)의 관통공(22)에 위치된다. 상기 회전버튼(40)은 적어도 상기 마찰리브(4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다. 상기 회전버튼(40)의 버튼통공(41)에는 상기 레버조절버튼(30)의 연결부(33)와 결합부(35)가 위치된다. 상기 레버조절버튼(30)의 버튼머리부(31)는 상기 회전버튼(40)의 버튼통공(41)의 입구에 해당되는 회전버튼(40)의 선단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조절버튼(30)은 그 결합부(35)가 상기 조그레버(52)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조그레버(52)와 함께 상기 레버조절버튼(30)은 상기 회전버튼(40)의 버튼통공(41) 내에서 사면 팔방으로 기울어지면서 특정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레버조절버튼(40)이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 특정한 기능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조절버튼(40)은 그 길이방향으로 눌러짐에 의해 특정한 기능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버튼머리부(31)의 누름홈(31')의 중심을 사용자가 눌러주면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레버조절버튼(30)을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디스플레이부(26)상의 특정 위치로 선택영역이 이동되게 한 후, 상기 레버조절버튼(40)을 눌러서 선택영역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회전버튼(40)은 사용자가 그 외주면을 잡고 회전시켜 조작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버튼(40)은 그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특정 기능이 선택되거나, 볼륨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버튼(40)은 상기 걸이돌기(48)가 상기 회전링(53)에 형성된 조립가이드슬롯(55)에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걸이후크(45)의 걸이턱(46)이 상기 후크슬롯(54)에 걸어지도록 하여 회전링(53)과 결합된다. 상기 회전링(53)과 회전버튼(40)의 연동시 상기 회전버튼(40)이 헛돌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조립가이드슬롯(55)의 폭과 상기 걸이돌기(48)의 폭이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버튼(4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회전버튼(40)의 외주면을 잡고 힘을 가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마찰리브(43)는 사용자의 손이 회전버튼(40)의 외주면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레버조절버튼(30)에 의해 조그레버(52)가 사면 팔방으로 이동되어 최대 8개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갯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버튼조립체에 조그레버를 조작할 수 있는 레버조절버튼과 회전에 의해 특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회전버튼을 동시에 구비하므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그레버의 조작을 위한 레버조절버튼과 회전에 의한 기능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회전버튼이 하나의 버튼조립체에 구비되므로, 이와 같은 다기능 버튼조립체가 채용되는 단말기의 크기를 보다 경박단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 스위치본체의 외부로 돌출되고 스위치본체에 연결된 기저부를 중심으로 선단이 자유롭게 경사지도록 동작되면서 경사방향에 따라 특정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본체의 내부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스위치본체의 상면에 대해 직립되는 위치로 복원되는 조그레버와 상기 스위치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는 회전링을 구비하고 기판에 실장되는 스위치와;상기 스위치의 조그레버와 연결되고 전면플레이트의 관통공을 통해 전면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그레버를 조작하게 하는 레버조절버튼과;중앙에 상기 레버조절버튼이 설치되는 버튼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의 회전링과 결합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관통공을 통해 전면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회전링을 조작하게 하는 회전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스위치의 회전링에는 후크슬롯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슬롯에는 상기 회전버튼에 형성된 걸이후크의 걸이턱이 삽입되어 걸어지며,상기 스위치의 회전링에는 조립가이드슬롯이 대칭으로 상기 회전버튼의 삽입방향으로 회전링의 선단까지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가이드슬롯에는 상기 회전버튼에 형성된 걸이돌기가 안착되며,상기 레버조절버튼은,상기 회전버튼의 버튼통공의 입구에 위치되는 버튼머리부와,상기 회전버튼의 버튼통공 내부에 위치되고 버튼통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며 버튼머리부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결부와,상기 회전버튼의 버튼통공 내부에 위치되고 버튼통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며 연결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그레버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버튼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버튼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전링의 외면을 일정 구간 감싸는 가이드스컷트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스컷트를 따라 상기 걸이돌기가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머리부는 원판상이고 상기 버튼통공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머리부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요입된 누름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버튼은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버튼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그 외주면을 둘러 마찰리브가 회전버튼의 전후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8582A KR101179332B1 (ko) | 2005-06-07 | 2005-06-07 |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 |
ES05020574T ES2313175T3 (es) | 2004-11-02 | 2005-09-21 | Boton multifuncional para un sistema de introducion de informacion. |
EP05020574A EP1653316B1 (en) | 2004-11-02 | 2005-09-21 | Multifunctional button for an information input system |
DE602005010363T DE602005010363D1 (de) | 2004-11-02 | 2005-09-21 | Multifunktionaler Knopf für ein Informationseingabesystem |
AT05020574T ATE411552T1 (de) | 2004-11-02 | 2005-09-21 | Multifunktionaler knopf für ein informationseingabesystem |
JP2005276615A JP2006134298A (ja) | 2004-11-02 | 2005-09-22 | 端末用の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多機能ボタン組立体 |
US11/239,361 US7183513B2 (en) | 2004-11-02 | 2005-09-30 | Information input system for terminal and multifunctional button assembly for use in the same |
US11/656,459 US7253367B2 (en) | 2004-11-02 | 2007-01-23 | Information input system for terminal and multifunctional button assembly for use in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8582A KR101179332B1 (ko) | 2005-06-07 | 2005-06-07 |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7535A KR20060127535A (ko) | 2006-12-13 |
KR101179332B1 true KR101179332B1 (ko) | 2012-09-03 |
Family
ID=3773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8582A KR101179332B1 (ko) | 2004-11-02 | 2005-06-07 |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933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49753A (ja) | 1998-03-04 | 1999-09-17 | Nissan Motor Co Ltd | 多機能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
JP2001184158A (ja) | 1999-10-12 | 2001-07-06 | Noobasu:Kk | 情報入力装置 |
JP2001245189A (ja) | 2000-02-29 | 2001-09-07 | Fuji Photo Film Co Ltd | デジタルカメラ |
JP2003256117A (ja) | 2002-03-05 | 2003-09-10 |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 携帯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
-
2005
- 2005-06-07 KR KR1020050048582A patent/KR1011793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49753A (ja) | 1998-03-04 | 1999-09-17 | Nissan Motor Co Ltd | 多機能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
JP2001184158A (ja) | 1999-10-12 | 2001-07-06 | Noobasu:Kk | 情報入力装置 |
JP2001245189A (ja) | 2000-02-29 | 2001-09-07 | Fuji Photo Film Co Ltd | デジタルカメラ |
JP2003256117A (ja) | 2002-03-05 | 2003-09-10 |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 携帯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7535A (ko) | 2006-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88578B2 (en) | Touch display PDA phone with slide keypad | |
US7253367B2 (en) | Information input system for terminal and multifunctional button assembly for use in the same | |
JPH11282608A (ja) | キーボード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えた携帯型情報装置 | |
JP2001517889A (ja) | ハンディ装置を備えたカーラジオ | |
US6642459B2 (en) | Switch | |
TW201610760A (zh) | 用以能夠顯示鍵盤、小型鍵盤或其他使用者輸入裝置之光傳輸的密碼鍵開關機構 | |
JP2010522388A (ja) | 操作装置 | |
JP2003167662A (ja) | コンピュータ | |
KR101179332B1 (ko) | 단말기용 다기능 버튼조립체 | |
US6751312B1 (en) | Knob for covering a top end of a pointing stick of a stick switch, stick switch,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comprising the stick switch | |
US7099702B1 (en) | Portable phone having transformable components | |
JP2000325658A (ja) | ゲーム機などに使用するコントローラ | |
KR200370673Y1 (ko) | 조작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단말기 | |
JP2003256076A (ja) | 情報処理装置 | |
US20020130017A1 (en) | Combination cursor key and enter key for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 |
JP4204144B2 (ja) | キーボード | |
JP2005209442A (ja) | 多方向入力装置 | |
KR100524734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다기능 측면 버튼 조립체 | |
JP4364037B2 (ja) | 電子部品用操作板 | |
JP4214687B2 (ja) | マウス型入力装置及びそのスイッチユニット | |
JP4079162B2 (ja) | 情報処理装置 | |
JP2000173404A (ja) | スイッチ装置 | |
JP2000137538A (ja) | ジョイスティッ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ツマミ操作装置 | |
JP2011187168A (ja) | 操作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 |
JP2001312943A (ja) | キー操作装置と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及び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