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695B1 - 엔진 운전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운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695B1
KR101177695B1 KR1020100012722A KR20100012722A KR101177695B1 KR 101177695 B1 KR101177695 B1 KR 101177695B1 KR 1020100012722 A KR1020100012722 A KR 1020100012722A KR 20100012722 A KR20100012722 A KR 20100012722A KR 101177695 B1 KR101177695 B1 KR 10117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unit
engine
lubricating
lubr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978A (ko
Inventor
박동규
신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6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9/00Lubrication mean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7/00
    • F01M9/04Use of fuel as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64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for engines being fed with multiple fuels or fuels having special properties, e.g. bio-fuels; varying the fuel com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01M2011/031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엔진 운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운전장치는,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되, 연료의 일부를 윤활유로 사용하는 펌프부를 포함하는 엔진부; 및 윤활유로 사용되는 연료인 윤활연료를 엔진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로 재사용하도록 순환시키는 윤활연료 재사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엔진 운전장치{Engine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엔진 운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박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엔진 운전장치는,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연료를 공급받아 연료의 점성을 조절하는 연료 가공부, 가공된 연료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연료 필터부, 연료 필터부 내부의 필터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연료를 백플러싱 방식으로 배출하는 세정연료 배출부, 불순물이 제거된 연료를 사용하여 구동되는 엔진부 및 연료를 전달하기 위한 연료 배송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구동하기 위한 엔진부는 연료를 연소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대형 엔진 및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부로 이루어진다.
펌프부는 가압용 펌프로서 엔진과 펌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을 통하여 엔진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작동된다. 여기서, 펌프부가 최초로 작동하기 위해 엔진을 강제로 1회 구동하는 에어 공급부가 엔진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펌프부에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상하 왕복운동하고 캠이 지속적으로 피스톤과 접촉됨으로써 펌프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온도 상승의 문제해결 및 피스톤과 캠의 윤활작용을 위해 일반적으로 펌프부에는 연료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연료 공급부에 저장된 선박 구동용 연료의 일부를 펌프부로 공급하고, 이 연료를 냉각제 및 윤활제로 사용하였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펌프부의 냉각 및 윤활제로 사용된 윤활연료는 재사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 저장하였다가 폐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엔진부의 펌프부를 냉각 및 윤활하기 위해 사용되는 윤활연료를 재사용할 수 있는 엔진 운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되, 상기 연료의 일부를 윤활유로 사용하는 펌프부를 포함하는 엔진부 및 상기 윤활유로 사용되는 연료인 윤활연료를 상기 엔진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로 재사용하도록 순환시키는 윤활연료 재사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운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연료를 가공하여 엔진부로 공급하는 연료 가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윤활연료 재사용부는 상기 윤활연료를 상기 연료 가공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선박 구동용 연료를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부; 상기 연료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연료의 점성을 가공하기 위한 연료 가공부; 상기 연료 가공부로부터 가공되어 전달된 연료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료 필터부; 엔진과, 상기 연료 필터부로부터 전달된 연료를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되 상기 엔진으로 제공되는 연료의 일부를 윤활유로서 사용하는 펌프부로 이루어진 엔진부; 및 상기 펌프부에서 윤활유로서 사용된 연료인 윤활연료를 상기 연료 가공부로 재공급하는 윤활연료 재사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운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윤활연료 재사용부는, 상기 엔진부의 펌프부에서 윤활유로 사용되고 배출된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윤활연료 보관부; 및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에 저장된 연료를 상기 연료 가공부로 펌핑하여 재공급하는 윤활연료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는, 상기 연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1센서 및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제2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윤활연료 재사용부는, 상기 제1센서의 구동시 상기 윤활연료 공급부를 구동하여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에 저장된 연료를 상기 연료 가공부로 재공급하며, 상기 제2센서의 구동시 상기 윤활연료 공급부를 비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윤활연료 재사용부는, 상기 제1센서의 파손시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에서 초과되는 연료를 보관하는 초과 윤활연료 보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초과 윤활연료 보관부에 보관된 연료는 상기 윤활연료 공급부에 의해 상기 연료 가공부로 재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운전장치를 이용하면 선박의 엔진부 내부에 포함된 펌프부에 윤활유 목적으로 사용되는 윤활연료를 저장하였다가 엔진부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운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구비된 엔진부 및 윤활연료 재사용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활연료 재사용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운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구비된 엔진부 및 윤활연료 재사용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활연료 재사용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 운전장치(100)는 엔진부(140)를 구동하기 위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10), 연료를 가공하는 연료 가공부(120), 연료를 필터링하고 세정연료를 배출하는 연료 필터부(130), 엔진부(140)에서 배출되는 윤활연료를 재공급하는 윤활연료 재사용부(150) 및 윤활연료 재사용부(150)에서 재공급된 윤활연료에 포함된 증기를 배출하는 벤트부(16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진 운전장치(100)의 연료 공급부(110), 연료 가공부(120), 연료 필터부(130), 엔진부(140), 윤활연료 재사용부(150) 및 벤트부(160)는 서로 연료 배송관으로 연통될 수 있다.
연료 공급부(110)는 엔진(141)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를 보관함과 동시에 소정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 탱크부(111), 연료 공급 펌프부(115), 유량 측정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탱크부(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료 보관부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디젤 연료를 보관하는 제1보관부(111a)와 벙커C유를 보관하는 제2보관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가지 연료를 보관하는 제1 및 제2보관부(111a,111b)가 구비되었으나, 이들 연료 외에도 다양한 연료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연료 보관부의 수량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계변경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나 이상의 연료 보관부에 저장된 다양한 연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스위치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스위치부는 연료 보관부의 개폐장치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연료 공급 펌프부(115)는 연료 탱크부(111)에 보관된 연료를 엔진부(14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 공급 펌프부(115)로는 원심 펌프 또는 배수량형(Displacement Type)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유량 측정부(117)는 연료 탱크부(111)로부터 공급된 연료의 양을 계측하고 표시할 수 있다.
연료 가공부(120)는 엔진부(140)에 공급되는 디젤 연료 및 벙커C유 등의 연료를 엔진(141)의 구동에 용이한 성질을 갖도록 가공할 수 있다. 즉, 연료 가공부(120)는 연료 공급부(110)로부터 전달된 연료의 점도를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 가열부(121) 및 연료 점도 제어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 연료 펌프부(123)는 유량 측정부(117)에서 공급된 연료를 연료 가열부(121)에 펌핑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엔진부(140)에 공급된 연료가 엔진(141)의 구동에 사용된 후 남았을 경우, 윤활연료 재사용부(150)를 거쳐 벤트부(160)와 연결된 연료 배송관을 통해 엔진부(140)에서 사용된 후 남은 연료를 연료 가열부(121)에 재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공 연료 펌프부(123)에 사용되는 펌프의 종류는 앞에서 설명한 연료 공급 펌프부(115)에서 사용되는 펌프의 종류와 동일한 원심 펌프 또는 배수량형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연료 가열부(121)는 디젤 연료 또는 벙커C유 등의 연료를 선박의 엔진(141) 구동에 요구되는 점성으로 가공하기 위해 연료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연료 가열부(121)는 150℃의 스팀으로 연료를 가열하여 연료의 점성을 가공할 수 있다.
연료 점도 제어부(125)는 연료의 점성을 측정함과 동시에, 연료가 요구점성을 갖도록 연료 가열부(121)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 가열부(121)의 스팀 배출 밸브의 개방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점도 제어부(125)는 연료의 점성이 엔진(141)에서 요구되는 점성보다 높을 경우 연료 가열부(121)의 스팀 밸브의 개방시간을 증가시켜 연료의 점성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연료 가열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연료 필터부(130)는 가공된 연료를 전달받아 연료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연료 필터부(130)로 구성되며, 필터조립체(131) 및 세정연료 보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조립체(131)는 연료 유입구를 통해 그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연료를 필터링하도록 외주면에 미세 구멍들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세정연료 보관부(132)는 필터조립체(131)의 불순물 및 그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 연료인 세정연료를 보관할 수 있다.
엔진부(140)는 연료 필터부(130)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킴으로써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윤활연료 재사용부(150)는 엔진부(140)에서 윤활유로 사용된 윤활연료를 연료 가공부(120)로 순환 전달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활연료 재사용부(15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벤트부(160)는 윤활연료 재사용부(150)에서 재공급되는 윤활연료에 포함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벤트부(160)는 윤활연료 재사용부(150)와 연료 가공부(120) 사이에 위치하며, 윤활연료 재사용부(150)에서 재공급되는 연료가 연료 가공부(120)에 공급되는 연료 배송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료 배송관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부(140)는 엔진(141), 펌프부(142), 제1밸브(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엔진(141)은 선박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 필터부(130)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된 연료를 연소할 수 있다.
펌프부(142)는 연료 필터부(130)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연료를 공급받아 엔진(141)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142a), 실린더(142c), 윤활유 공급관(142d), 제1배송관(142e), 제2배송관(142g) 및 제3배송관(142f)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캠(142a)은 엔진(141)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엔진(14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실린더(142c)는 캠(142a)과 맞물려 선형운동되는 피스톤(14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배송관(142e)을 통해 연료 필터부(130)로부터 필터링된 연료가 공급되고, 제2배송관(142g)을 통해 제1배송관(142e)에서 공급된 연료의 일부가 엔진(141)으로 공급되며, 제3배송관(142f)를 통해 실린더(142c)에서 윤활유로 사용된 연료의 일부가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배송관(142e)을 통해 엔진(141)으로 공급되는 연료는 캠(142a)과 피스톤(142b)에 의한 선형운동을 통해 소정 압력이 인가되어 엔진(141)으로 펌핑될 수 있다.
또한, 윤활유 공급관(142d)을 통해 제1배송관(142e)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일부가 실린더(142c)의 외주면에 공급되며, 윤활유 공급관(142d)을 통해 실린더(142c)의 외주면에 공급된 연료가 제3배송관(142f)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윤활유 공급관(142d)은 제1배송관(142e) 및 제3배송관(142f)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실린더(142c)의 외주면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캠(142a)의 회동운동 및 피스톤(142b)의 선형운동을 원활하기 위해 엔진부(140)에 공급되는 연료의 일부가 펌프부(142)로 공급되어 윤활유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윤활유로 사용되는 연료는 펌프부(142)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제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부(142)에서 윤활유로 사용되는 연료는 연료 가공부(120)에 의해 150℃의 온도를 가지나, 펌프부(142)의 회동 및 선형운동에 의한 내부 온도가 150℃를 초과하는 경우, 펌프부(142)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펌프부(142)에서 사용하는 펌프의 종류는 기계식 펌프이며, 이들 펌프 외에도 다양한 펌프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펌프의 종류는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계변경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이하, 엔진부(140)에 제공된 연료 중 일부로서, 펌프부(142)에서 윤활유로 사용된 연료를 윤활연료라 칭한다.
제1밸브(143)는 펌프부(142)의 제3배송관(142f)으로부터 윤활연료 재사용부(150)로 윤활연료를 전달하기 위한 배관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밸브(143)는 제3배송관(142f)에 보관된 윤활연료를 윤활연료 재사용부(150)로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 개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제1밸브(143)는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자동 제어를 위해 제1밸브 제어부(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윤활연료 재사용부(150)는 윤활연료 보관부(151), 초과 윤활연료 보관부(152), 제2밸브(155), 밸브 제어부(153) 및 윤활연료 공급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윤활연료 재사용부(150)는 펌프부(142)의 윤활유로 사용된 윤활연료를 연료 가공부(120)로 순환 전달하여 재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윤활연료 보관부(151)는 펌프부(142)에서 윤활유로 사용되고 배출된 윤활연료를 전달받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으로, 제1저장탱크(151a), 제1센서(151b) 및 제2센서(15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저장탱크(151a)는 윤활연료를 저장하며, 상부에는 엔진부(140)의 펌프부(142)와 연결되는 배관이 구비되며, 상부 측면에 위치하는 제1센서(151b) 및/또는 측면 하부에 위치하는 제2센서(151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저장탱크(151a)는 하부에 윤활연료 공급부(154)와 연결되는 배관이 설치되며, 제1센서(151b)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상부 측면에는 초과되는 윤활연료가 공급될 수 있는 초과 윤활연료 보관부(151)와 연결되는 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제1센서(151b)는 윤활연료 보관부(151) 내부의 측면 상부에 위치하며, 제1저장탱크(151a)에 저장되는 윤활연료가 제1센서(151b) 위치까지 저장됨을 인지하면, 밸브 제어부(153)로 제2밸브(155) 개방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제어부(153)가 제1센서(151b)로부터 개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밸브 제어부(153)는 제1저장탱크(151a)와 윤활연료 공급부(154)를 연결하는 배관의 중간에 위치한 제2밸브(155)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센서(151c)는 제1저장탱크(151a) 내부의 측면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밸브(155)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저장탱크(151a)에 저장되는 연료가 제2센서(151c)의 위치까지 줄어든 것을 인지하는 경우, 연결된 밸브 제어부(153)로 제2밸브(155) 폐쇄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 제어부(153)는 수신되는 폐쇄신호에 따라 제1저장탱크(151a)와 윤활연료 공급부(154)를 연결하는 배관의 중간에 위치한 제2밸브(155)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초과 윤활연료 보관부(152)는 윤활연료 보관부(151)에서 초과되는 윤활연료를 보관할 수 있다. 즉, 윤활연료 보관부(151)의 제1센서(151b)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윤활연료 보관부(151) 내부에서 초과되는 윤활연료가 보관되는 것으로, 제2저장탱크(152a) 및 제3센서(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저장탱크(152a)는 제1저장탱크(151a)에서 초과되는 윤활연료가 저장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제1저장탱크(151a)와 연결되는 배관이 위치하며, 측면 하부에는 제3센서(152b)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저장탱크(151a)에서 초과되는 윤활연료는 제1센서(151b)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제2밸브(155)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이럴 경우 제1저장탱크(151a)에 저장되는 연료가 넘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센서(151b)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제1저장탱크(151a)에 넘치는 연료가 제2저장탱크(152a)로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제3센서(152b)는 제2저장탱크(152a) 내부의 측면 하부에 위치하며, 제2저장탱크(152a)에 저장되는 연료가 제3센서(152b) 위치까지 저장되면, 밸브 제어부(153)로 제2밸브(155)의 개방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밸브(155)는 밸브 제어부(153)로부터 개폐가 제어되는 것으로, 제2밸브(155) 개방신호를 받으면 제2밸브(155)를 개방시키고, 제2밸브(155) 폐쇄신호를 받으면 제2밸브(155)를 폐쇄시킨다.
밸브 제어부(153)는 제2밸브(155)의 개폐를 제어하며, 제1센서(151b), 및 제3센서(152b)의 제2밸브(155) 개방신호와 제2센서(151c)의 제2밸브(155) 폐쇄신호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센서(151b) 및 제3센서(152b)의 제2밸브(155) 개방신호가 전송되면 제2밸브(155)를 개방하고, 제2밸브(155)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센서(151c)의 폐쇄신호를 전송받으면 제2밸브(155)를 폐쇄할 수 있다.
윤활연료 공급부(154)는 윤활연료 보관부(151)에서 공급되는 윤활연료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으로, 연료 공급부(110)의 연료 공급 펌프부(142)에서 사용되는 원심 펌프 또는 배수량형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엔진 운전장치 110 : 연료 공급부
111 : 연료 탱크부 111a : 제1보관부
111b : 제2보관부 115 : 연료 공급 펌프부
117 : 유량 측정부 120 : 연료 가공부
121 : 연료 가열부 123 : 가공 연료 펌프부
125 : 연료 점도 제어부 130 : 연료 필터부
131 : 필터조립체 132 : 세정연료 보관부
140 : 엔진부 141 : 엔진
142 : 펌프부 142a : 캠
142b : 피스톤 142c : 실린더
142d : 윤활유 공급관 142e : 제1배송관
142f : 제3배송관 142g : 제2배송관
143 : 제1밸브 150 : 윤활연료 재사용부
151 : 윤활연료 보관부 151a : 제1저장탱크
151b : 제1센서 151c : 제2센서
152 : 초과 윤활연료 보관부 152a : 제2저장탱크
152b : 제3센서 153 : 밸브 제어부
154 : 윤활연료 공급부 155 : 제2밸브
160 : 벤트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선박 구동용 연료를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부;
    상기 연료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연료의 점성을 가공하기 위한 연료 가공부;
    상기 연료 가공부로부터 가공되어 전달된 연료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료 필터부;
    엔진과, 상기 연료 필터부로부터 전달된 연료를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되 상기 엔진으로 제공되는 연료의 일부를 윤활유로서 사용하는 펌프부로 이루어진 엔진부; 및
    상기 펌프부에서 윤활유로서 사용된 연료인 윤활연료를 상기 연료 가공부로 재공급하는 윤활연료 재사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윤활연료 재사용부는,
    상기 엔진부의 펌프부에서 윤활유로 사용되고 배출된 연료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윤활연료 보관부;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에 저장된 연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의 파손시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에서 초과되는 연료를 보관하는 초과 윤활연료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운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윤활연료 재사용부는,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에 저장된 연료를 상기 연료 가공부로 펌핑하여 재공급하는 윤활연료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운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1센서 및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운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윤활연료 재사용부는,
    상기 제1센서의 구동시 상기 윤활연료 공급부를 구동하여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에 저장된 연료를 상기 연료 가공부로 재공급하며, 상기 제2센서의 구동시 상기 윤활연료 공급부를 비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운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초과 윤활연료 보관부는,
    상기 제1센서의 파손시 상기 윤활연료 보관부에서 초과되는 연료를 보관하며, 상기 초과 윤활연료 보관부에 보관된 연료는 상기 윤활연료 공급부에 의해 상기 연료 가공부로 재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운전장치.
KR1020100012722A 2010-02-11 2010-02-11 엔진 운전장치 KR10117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722A KR101177695B1 (ko) 2010-02-11 2010-02-11 엔진 운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722A KR101177695B1 (ko) 2010-02-11 2010-02-11 엔진 운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78A KR20110092978A (ko) 2011-08-18
KR101177695B1 true KR101177695B1 (ko) 2012-08-29

Family

ID=4492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722A KR101177695B1 (ko) 2010-02-11 2010-02-11 엔진 운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5020A1 (de) * 2012-12-20 2014-06-26 Man Diesel & Turbo S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KR102183889B1 (ko) * 2015-03-05 2020-1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 연료유 리사이클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968A (ja) 2001-04-26 2002-11-08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JP2007113499A (ja) * 2005-10-20 2007-05-10 Toyota Motor Corp オイルタンク油量制御装置及び軽油等燃料潤滑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09241903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舶用燃料油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968A (ja) 2001-04-26 2002-11-08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JP2007113499A (ja) * 2005-10-20 2007-05-10 Toyota Motor Corp オイルタンク油量制御装置及び軽油等燃料潤滑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09241903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舶用燃料油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78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695B1 (ko) 엔진 운전장치
TWI677621B (zh) 燃料油的加熱方法及使用其的燃料油移送裝置
JP4787208B2 (ja) 液化ガス燃料供給装置及び液化ガス燃料供給装置の高圧ポンプの駆動方法
KR101745103B1 (ko) 고압펌프 시험장치
CN104454080A (zh) 一种发动机回油结构
CN109072730A (zh) 发动机缸体和具有发动机缸体的发动机
JP6109485B2 (ja) シリンダ注油装置
KR102158647B1 (ko) 엔진 윤활 시스템의 윤활펌프 드라이 런닝 방지장치 및 방법
KR200409648Y1 (ko) 디젤엔진의 연료분사펌프 시험장치
WO2020196361A1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温度制御装置
CN105041406A (zh) 一种船用低速柴油机的液压油独立供油系统
JP2017078377A (ja) オイル供給機構
KR102109213B1 (ko) 디젤 엔진의 연료공급장치
JP5733113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KR102031674B1 (ko) 연료유 이송 시스템
JP2012162996A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US9926820B2 (en) Oil system for a diesel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diesel engine
JP2014070527A (ja) 内燃機関
JP6093979B2 (ja) 燃料噴射装置
CN108331635A (zh) 一种压力润滑机构
JP2013029061A (ja) 警告装置
JP2019019795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9121257A (ja) 内燃機関の潤滑オイル供給装置
JP2022050137A (ja) 内燃機関のオイル供給装置
CN105370340A (zh) 利用空气压缩机的发动机机油预热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