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184B1 -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184B1
KR101175184B1 KR1020110021036A KR20110021036A KR101175184B1 KR 101175184 B1 KR101175184 B1 KR 101175184B1 KR 1020110021036 A KR1020110021036 A KR 1020110021036A KR 20110021036 A KR20110021036 A KR 20110021036A KR 101175184 B1 KR101175184 B1 KR 101175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ehicle
roll drum
housing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김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국 filed Critical 김상국
Priority to KR1020110021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4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at least the roof of the vehicle, e.g. for cover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60J11/025Covers wound on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vehicle parts, e.g. for doors,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이 마련되어 휴대 가능함은 물론 차량의 크기에 구애됨 없이 호환성이 있으며, 별도의 공구 없이 간단한 체결 및 해제 등으로 커버의 수용 및 설치가 용이한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각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롤드럼과, 그 일측이 상기 롤드럼에 고정되어 상기 롤드럼에 권취 또는 상기 개폐부를 통해 유출되고, 상기 롤드럼의 너비와 상응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몸체부를 향하도록 절첩되되 탈, 부착수단을 통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탈, 부착되는 날개부로 구성되는 커버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과 상기 날개부의 각 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A Portable Motor Car Cover}
본 발명은 차량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이 마련되어 휴대 가능함은 물론 차량의 크기에 구애됨 없이 호환성이 있으며, 별도의 공구 없이 간단한 체결 및 해제 등으로 커버의 수용 및 설치가 용이한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커버는 외부에서 차량을 장기간 주차할 경우, 먼지나 비바람으로부터 차량에 흠집이 발생하거나 하절기에 차량을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고, 동절기에 한파로부터 차량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 커버는 통상적으로 비닐 등 방수재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차량의 트렁크에 접어서 보관된다. 그리고 차량커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커버를 펼친 후 차량을 감싸고 하부를 동여매는 형식으로 차량에 고정한다.
그런데 차량 커버를 펼칠 경우 전체적인 크기가 매우 크고, 또한 경량으로 제작되어 약한 바람에도 날리기 때문에, 이러한 차량커버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차량의 크기에 따라 차량커버의 크기를 달리하여야 하므로 그 호환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가 가능하고 커버의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함은 물론 차량 크기에 구애됨 없이 호환성이 우수한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는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둘 이상의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각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롤드럼과; 그 일측이 상기 롤드럼에 고정되어 상기 롤드럼에 권취 또는 상기 개폐부를 통해 유출되고, 상기 롤드럼의 너비와 대응하는 너비를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몸체부를 향하도록 절첩되되 탈, 부착수단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탈, 부착되는 날개부로 구성되는 커버;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과 상기 날개부의 각 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날개부는 상기 롤드럼에 평형하게 복수의 탄성줄이 소정 간격으로 내재된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하우징은 상기 둘 이상의 수용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과 상기 커버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하우징의 어느 일 측면에 장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장착되며 그 외주연을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바퀴가 형성되는 슬라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바는 그 중앙부에 제 2롤드럼 및 상기 제 2롤드럼과 연동하는 당김줄이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탈, 부착수단은 상기 각 날개부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 1고정자석 및 상기 몸체부에 상기 날개부가 절첩되어 각 날개부의 제 1자석이 접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제 2고정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부와 날개부의 경계 부위를 따라 와이어가 내장된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하우징은 차량의 루프에 개폐부가 노출되도록 매입되는 바,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루프 내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구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는 차량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정수단과 손잡이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구성에 의해 휴대 가능함은 물론 탄성줄이 내재된 날개부의 구성에 의해 커버의 측면 너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차량의 크기에 구애됨 없이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는 비 사용시 몸체부에 날개부를 접어서 커버의 너비를 줄인 상태로 롤드럼에 권취하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커버의 너비를 늘린 상태로 차량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하며, 사용 후에는 롤드럼의 회전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복원이 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없이 간단한 체결 및 해제 등으로 커버의 수용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의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의 슬라이드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를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의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의 슬라이드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의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는 휴대가 용이하며 간편한 조작만으로 차량(10)을 커버할 수 있는 차량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220)가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내장되는 롤드럼(30)과, 상기 롤드럼(30)에 감기며 몸체부(400)와 날개부(410)로 구성된 커버(40) 및 상기 커버(40)의 몸체부(400) 및 날개부(410)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차량(10)의 하단 둘레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걸림구(50)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는 상기 하우징(20) 내에 내장된 롤드럼(30)에 권취되어 있는 커버(40)를 차량(10)의 길이에 맞게 잡아당겨 몸체부(400)를 먼저 차량(10)에 고정한 후, 상기 몸체부(400)로부터 날개부(410)를 펼쳐 날개부(410)를 차량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커버(40)가 차량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하며, 커버(40)의 해체시에는 차량(10)에 고정된 각 걸림구(50)를 차량(1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날개부(410)를 상기 몸체부(400)의 너비에 맞게 접고 롤드럼(30)의 작용에 기해 상기 커버(40)가 상기 롤드럼(30)에 권취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20) 내에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20)은 차량(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수단은 차량(10)의 루프(13)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자석(200)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자석(200)의 자력에 의해 상기 차량(10)의 루프(13)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으로 적용되는 자석(200)은 자력이 강력한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함으로써 바람에 의한 풍력 등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은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느 일 측면에 손잡이(7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측면에 형성된 절첩홈(25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며, 하우징(20)의 이동시에는 상기 절첩홈(250)으로부터 상기 손잡이(70)를 회동시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은 이하에서 설명할 커버(40)가 수용되도록 그 내부에 수용공간(210)이 마련되되, 상기 수용공간(210)이 적어도 둘 이상의 수용공간(210)으로 구획되도록 그 내부에 구획벽(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수용공간(210)을 개폐하여 내부에 수용된 상기 커버(40)가 유출될 수 있도록 각기 개폐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220) 또한 상기 하우징(20)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면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0)은 하나의 구획벽(211)에 의해 두 개의 상기 수용공간(210)이 나란히 형성된 것을 예로서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상기 롤드럼(3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자동감김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40)의 일측을 부착시켜 권취된 상태에서,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각 수용공간(210)에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드럼(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감김장치로 구성됨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다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이 발생하는 구성으로 이렇게 회전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은 공지기술로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롤드럼(30)은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한 쌍의 장착프레임(240)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롤드럼(30) 외에도 상기 하우징(20) 내에는 상기 롤드럼(30)으로부터 권취 또는 유출되는 커버(40)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40)와 접하여 커버(40)의 유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230)가 더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버(40)는 차량 커버장치의 비 사용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드럼(30)의 너비와 동일(조금 작은)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그 일측이 상기 롤드럼(30)에 고정되어 상기 롤드럼(30)에 권취되어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롤드럼(30)으로부터 유출되어 차량(10)을 커버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커버(40)는 몸체부(400)와 날개부(4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400)는 상기 롤드럼(30)의 너비와 동일(조금 작은)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은 상기 롤드럼(3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410)는 상기 몸체부(40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몸체부(400)를 향하도록 절첩되되 탈, 부착수단(420)을 통해 상기 몸체부(400)로부터 탈, 부착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41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드럼(30)에 평형하게 복수의 탄성줄(411)이 소정 간격으로 내재됨으로써 차량 커버장치의 사용시 상기 탄성줄(411)을 당김에 의해 차량(10)의 측면을 감싸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탄성 및 복원력을 갖는 상기 탄성줄(411)에 의해 횡방향으로 그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렇게 횡방향으로 날개부(410)의 너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량(10)의 크기에 구애됨 없이 상술한 구조의 커버(40)를 사용하여 차량을 덮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커버(40)는 방수재질의 천으로 구성되는 몸체부(400)와 상기 몸체부(400)로부터 연장되게 구성되며 상기 롤드럼(30)과 평행하게 복수의 탄성줄(411)이 내재된 날개부(410)의 구성으로, 어떠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시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410)가 상기 몸체부(400)의 상부면으로 접혀있는 바, 상기 커버(40)의 횡방향 너비는 상기 롤드럼(30)의 너비보다 동일(조금 작게)하게 되어 상기 롤드럼(30)에 권취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커버(40)의 수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차량 커버장치의 사용에 따라 상기 날개부(410)를 몸체부(400)로부터 펼쳐 날개부(410)의 탄성줄(411)에 인장을 가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41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펴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커버(40)가 차량(10)의 측면을 감싸도록 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커버(40)의 탈, 부착 수단(42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각 날개부(410)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제 1고정자석(421) 및 상기 몸체부(400)에 상기 날개부(410)가 절첩되어 각 날개부(410)의 제 1고정자석(421)이 접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제 2고정자석(422)으로 구성되어 자력에 의해 몸체부(400)에 상기 날개부(4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탈, 부착 수단(420)은 도면에 도시한 바 없으나, 상기 제1 및 제 2고정자석(421, 422)이 부착된 위치에 자석이 아닌 벨크로 테이프가 적용되어 몸체부(400)에 날개부(410)가 탈,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40)는 상기 몸체부(400)와 날개부(410)가 서로 경계하는 부위를 따라 와이어(430)가 내장되어 상기 날개부(410)의 접힘 또는 펼침 동작을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림구(50)는 차량 커버장치의 사용시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40)가 차량(10)의 외부에 걸리도록 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몸체부(400)의 타측과 상기 양 날개부(410)의 각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걸림구(50)에 따라 상기 커버(40)가 차량(10)의 프런트 범퍼(11) 측으로 유출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400)에 부착된 걸림구(50)는 상기 차량(10)의 프런트 범퍼(11) 하단에 걸리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400)로부터 펼쳐진 양 날개부(410)는 상기 탄성줄(411)의 작용에 의해 차량(10)의 사이드 측(차량의 측면)을 감쌈과 더불어 상기 차량(10)의 사이드 하단에 걸리도록 하여 커버(40)가 차량(10) 덮은 상태에서 그 형상이 유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40)에는 슬라이드바(60)가 더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슬라이드바(60)는 상기 걸림구(50)가 장착된 커버(40)의 몸체부(400) 타측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커버(40)가 상기 하우징(20)으로부터 유출되거나 상기 롤드럼(30)의 회전 복원력에 의해 권취되는 경우 차량(10)의 상면에서 슬라이드가 되는 바, 이러한 슬라이드 작동 과정에서 차량(10)의 상면에 흠집을 내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바(60)에는 그 외주연을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바퀴(60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바퀴(600)는 우레탄 소재와 같이 탄성 재질로 구성하여 차량(10)의 상면과의 접촉에서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60)의 중앙에는 제 2롤드럼(610)이 구성되고, 상기 제 2롤드럼(610)과 연동하는 당김줄(620)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당김줄(620)은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드바(60)를 프런트 범퍼(11) 방향으로 잡아당길 시, 상기 슬라이드바(60)를 파지하고 잡아당기는 경우 편심이 작용해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바, 상기 당김줄(620)을 상기 제 2롤드럼(610)으로부터 권취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차량(10)의 프런트 범퍼(11) 방향에서 상기 당김줄(620)을 당김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바(60)와 일체 연동하는 커버(40)를 차량(10)의 프런트 범퍼(11)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슬라이드바(60)를 프런트 범퍼(11) 방향으로 당겨 상기 몸체부(400)에 부착된 걸림구(50)를 통해 슬라이드바(60)와 연동하는 상기 커버(40)를 상기 프런트 범퍼(11)에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당김줄(620)의 파지를 해제하면 상기 제 2롤드럼(610)의 회전 복원력에 의해 상기 당김줄(620)이 원위치로 복원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차량(10)의 루프(13) 상부에 고정수단을 통해 하우징(20)을 부착시킨 뒤,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하나의 개폐부(220)를 개방시키고 상기 당김줄(620)을 파지하여 상기 제 2롤드럼(610)으로부터 감김을 해제시키면서 상기 프런트 범퍼(11)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당김줄(620)을 상기 제 2롤드럼(610)에서 완전히 풀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당김줄(620)을 당김에 의해 상기 커버(40)와 연동되는 슬라이드바(60)를 차량(10)의 프런트 범퍼(11)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고, 상기 커버(40)의 몸체부(400)에 장착된 걸림구(50)를 차량(10)의 프런트 범퍼(11) 하단에 걸어 상기 슬라이드바(60)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커버(40)의 몸체부(400)가 차량(10)의 상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410)를 몸체부(400)로부터 펼치고 난 후, 상기 탄성줄(411)이 내재된 상기 날개부(410)를 차량(10) 사이드(측면)의 크기에 맞도록 하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날개부(410)는 펴지게 되어 상기 커버(40)가 차량의 사이드(측면)을 감싸도록 하고, 상기 날개부(410)에 장착된 걸림구(50)를 상기 차량(10)의 사이드(측면) 하단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커버(40)가 차량(10)의 일부분 즉, 상기 차량(10)의 루프(13)에 부착된 하우징(20)을 기준으로 프런트 범퍼(11) 방향에 해당하는 부분을 덮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개폐부(220-1)를 개방시켜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리어 범퍼(12) 방향으로 상기 커버(40)를 유출시켜 상기 차량(10)의 루프(13)에 부착된 하우징(20)을 기준으로 리어 범퍼(12) 방향에 해당하는 부분을 덮도록 함으로써 커버(40)가 차량(10) 전체를 덮도록 한다.
다시 차량(10)을 덮은 커버(40)를 상기 하우징(20)의 각 수용공간(210)으로 수용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작동 순서와 반대로 작용을 시키면 되는 것이고, 상기 탄성줄(411)의 복원력 및 상기 롤드럼(30)의 회전 복원력에 의해 상기 커버(40)는 원형으로 복원 및 롤드럼(30)에 권취되며, 이러한 복원 후 상기 개폐부(220)를 닫음으로써 원형으로 완전히 복원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는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의 작동 상태는 2개의 수용공간(210)과 개폐부(220, 220-1)가 형성된 하우징(20)을 차량(10)의 루프(13) 중앙에 부착한 예로써 설명한 것인 바, 단일의 수용공간(210)과 개폐부(220)가 형성된 하우징(20)의 경우 그 부착 위치에 따라 작동 상태는 상이해 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루프(13) 내에 매입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차량(10)의 루프(13)는 상기 하우징(20)을 매입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의 개폐부(220)의 개방 시 간섭이 발생하기 않도록 상기 개폐부(220)와 대향하는 부위에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개폐부(220)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루프(13)의 개구부(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폐가능한 구조를 갖는 밀폐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차량 커버장치의 사용 시에만 상기 개구부(13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20)의 고정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0)의 루프(13) 내에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루프(13) 내의 구조물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01) 및 상기 하우징(20)의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201)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구(20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구(202)를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201)에 나사 결합 등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하우징(20)이 루프(13) 내에 매입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커버장치 역시 그 작동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함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차량 20 : 하우징
30 : 롤드럼 40 : 커버
50 : 걸림구 60 : 슬라이드바
70 : 손잡이 210 : 수용공간
220 : 개폐부 230 : 가이드롤러
240 : 장착프레임 400 : 몸체부
410 : 날개부 411 : 탄성줄
420 : 탈부착수단 430 : 와이어
600 : 바퀴 610 : 제 2롤드럼
620 : 당김줄

Claims (11)

  1. 차량에 고정하기 위하여 그 배면에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구획벽에 의해 둘 이상의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각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내장되는 롤드럼과;
    그 일측이 상기 롤드럼에 고정되어 상기 롤드럼으로부터 유출 또는 상기 롤드럼에 권취되고 상기 롤드럼의 너비와 대응하는 너비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몸체부를 향하도록 절첩되되 탈, 부착수단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상기 몸체부로부터 탈, 부착되며 상기 롤드럼에 평행하게 복수의 탄성줄이 소정 간격으로 내재된 날개부 및 상기 몸체부와 날개부의 경계 부위를 따라 내장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커버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과 상기 날개부의 각 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구;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장착되며 그 외주연을 따라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바퀴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제 2롤드럼 및 상기 제 2롤드럼과 연동하는 당김줄이 장착되는 슬라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21036A 2011-03-09 2011-03-09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 KR101175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036A KR101175184B1 (ko) 2011-03-09 2011-03-09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036A KR101175184B1 (ko) 2011-03-09 2011-03-09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184B1 true KR101175184B1 (ko) 2012-08-20

Family

ID=4688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036A KR101175184B1 (ko) 2011-03-09 2011-03-09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248B1 (ko) * 2014-07-03 2015-11-23 박동환 전동식 자동차 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030Y1 (ko) * 2003-02-27 2003-05-22 임경택 차량용 앞유리 덮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030Y1 (ko) * 2003-02-27 2003-05-22 임경택 차량용 앞유리 덮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248B1 (ko) * 2014-07-03 2015-11-23 박동환 전동식 자동차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4982B1 (en) Vehicle protecting cover device
KR102166275B1 (ko) 차량용 차양 장치
CA2776987A1 (en) Screen device
KR101757110B1 (ko) 접철식 구조를 갖는 루프 데크 박스
KR101175184B1 (ko) 휴대용 차량 커버장치
KR101098773B1 (ko) 차량 커버장치
KR101350787B1 (ko) 차량용 자동커버장치
US20180244141A1 (en) Retractable tire awnings and related methods
KR101143317B1 (ko)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휴대용 차량보호커버
KR101296673B1 (ko) 철도차량용 축전지 보관함
CN204915260U (zh) 一种快速安装的防晒车罩
KR101415592B1 (ko) 차량용 커버장치
WO2020095750A1 (ja) 車両の充電部構造
WO2014008560A1 (pt) Capa suspensa para proteção de veículos
CA3012070C (en) Retractable car cover
KR20110094364A (ko) 자동차 보호용 덮개장치
KR200438446Y1 (ko) 자동차 앞유리 커버
KR102311883B1 (ko) 자전거 안장을 이용한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KR101373707B1 (ko) 자동차 유리용 보호 덮개
KR100558987B1 (ko) 트럭 적재함의 커버 설치구조
KR20150110061A (ko) 휴대전화 다이어리 케이스 체결부에 설치되는 유에스비 메모리
KR102498828B1 (ko)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KR200441742Y1 (ko) 간이 가리개
JP3128681U (ja) 新聞配達用の雨避けカバー装置
US20160143261A1 (en)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stowing a flexible line with an attach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