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786B1 -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786B1
KR101174786B1 KR1020100031866A KR20100031866A KR101174786B1 KR 101174786 B1 KR101174786 B1 KR 101174786B1 KR 1020100031866 A KR1020100031866 A KR 1020100031866A KR 20100031866 A KR20100031866 A KR 20100031866A KR 101174786 B1 KR101174786 B1 KR 101174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eight
sensitive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643A (ko
Inventor
이경훈
Original Assignee
한국메카투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메카투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메카투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1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78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패치식으로 부착되어 피부의 수분에 의해 자연용해되면서 피부 보습,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높은 피부 투과성과 피부 안전성을 지닌 피부미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 0.01 ~ 15중량%와,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 0.01 ~ 25중량%와, 점증제 0.01 ~ 25중량%와, 포접복합체 0.01 ~ 20중량%와, 천연미백증진추출물 0.01 ~ 20중량%와, 미백기능향상제 0.01 ~ 20중량%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 0.01 ~ 20중량%와, 주름억제향상제 0.01 ~ 20중량%와, 멸균증류수 10 ~ 96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미용패치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은 어느 한쪽면에 다수개의 미세바늘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미세바늘패치로 형성되어 상기 미세바늘패치가 피부에 부착시 피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자연 용해되면서 피부미용패치조성물에 함유된 각종 유효성분이 피부속에 효과적으로 침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Skin care melting roots mircroneedle patch and the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부에 패치식으로 부착되어 피부의 수분에 의해 자연용해되면서 피부 보습,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높은 피부 투과성과 피부 안전성을 지닌 피부미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 0.01 ~ 15중량%와,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 0.01 ~ 25중량%와, 점증제 0.01 ~ 25중량%와, 포접복합체 0.01 ~ 20중량%와, 천연미백증진추출물 0.01 ~ 20중량%와, 미백기능향상제 0.01 ~ 20중량%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 0.01 ~ 20중량%와, 주름억제향상제 0.01 ~ 20중량%와, 멸균증류수 10 ~ 96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미용패치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은 어느 한쪽면에 다수개의 미세바늘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미세바늘패치로 형성되어 상기 미세바늘패치가 피부에 부착시 피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자연 용해되면서 피부미용패치조성물에 함유된 각종 유효성분이 피부속에 효과적으로 침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피부를 통한 유효성분 전달 방식은 표준 시린지 또는 카테터를 사용하는 주사바늘을 이용한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주사바늘에 대한 공포와 통증 그리고 피부에 국소적인 손상을 일으키며, 또한 지속적인 전달 및 서서히 유효성분들을 전달하는데 이상적이지 않다.
또한, 종래의 다른 약물 전달 기술은 유효성분 확산농도에 의존하는 경피흡수 전달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경피흡수 전달방식을 이용한 기존의 경피 패치는 매트릭스형과 저장층형과 점착형 세가지로 분류되며, 이 중 매트릭스형은 유효성분들을 고분자나 점착제의 매트릭스층에 분산시켜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것이고, 저장층형은 유효성분들을 일정한 막이나 필름안에 담아 방출을 제어하고 점착하는 형태이며, 점착형은 한가지 금속과 플라스틱같은 불용해성 구조물 위에 얇은 코팅으로 유효성분들을 점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들의 가장 큰 단점은 피부를 통한 약물의 흡수율이 낮거나 유효성분들의 농도와 정량에 제한이 크게 있으며, 또한 피부 각질층에 대한 피부 투과성이 낮고 외부 오염및 여러 가지 물리적 손상에 노출이 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또 다른 피부를 통한 전달 기술로서, 화화적 현상을 이용한 이온삼투요법(iontophoresis)와 전기 천공법(electroporation)과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유효성분들을 전달하는데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별도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비전문가가 조작하기 어려우며 피부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키기 쉽고 비실용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용성 천연 및 합성고분자물질과 점증제와 포접복합체와 천연미백증진추출물과 미백기능향상제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과 주름억제향상제 및 멸균증류수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을 어느 한쪽면에 다수개의 미세바늘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미세바늘패치로 형성하여 피부에 부착시 피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자연 용해되면서 피부미용패치조성물에 함유된 각종 유효성분이 피부속에 서서히 침투되어 효과적인 피부 보습과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피부 미백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방부제 등의 성분이 첨가되지 않아 피부 안전성(Safety) 및 안정성(Stability)이 우수한 피부미용 패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 0.01 ~ 15중량%와,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 0.01 ~ 25중량%와, 점증제 0.01 ~ 25중량%와, 포접복합체 0.01 ~ 20중량%와, 천연미백증진추출물 0.01 ~ 20중량%와, 미백기능향상제 0.01 ~ 20중량%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 0.01 ~ 20중량%와, 주름억제향상제 0.01 ~ 20중량%와, 멸균증류수 10 ~ 96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미용패치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은 어느 한쪽면에 다수개의 미세바늘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미세바늘패치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이 수용성 천연 및 합성고분자물질과 점증제와 포접복합체와 천연미백증진추출물과 미백기능향상제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과 주름억제향상제 및 멸균증류수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이 다수개의 미세바늘이 돌출형성된 미세바늘패치형상으로 형성되어 피부에 부착시 피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자연 용해되면서 피부미용패치조성물에 함유된 각종 유효성분이 피부속에 서서히 침투되어 피부 보습과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피부 미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고, 상기 피부미용패치조성물에는 방부제 등의 성분이 첨가되지 않아 피부 안전성(Safety) 및 안정성(Stability)이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는 피부에 패치식으로 부착되어 피부의 수분에 의해 자연용해되면서 피부 보습,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피부 미백 개선, 높은 피부 투과성과 피부 안전성을 지닌 피부미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 0.01 ~ 15중량%와,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 0.01 ~ 25중량%와, 점증제 0.01 ~ 25중량%와, 포접복합체 0.01 ~ 20중량%와, 천연미백증진추출물 0.01 ~ 20중량%와, 미백기능향상제 0.01 ~ 20중량%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 0.01 ~ 20중량%와, 주름억제향상제 0.01 ~ 20중량%와, 멸균증류수 10 ~ 96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미용패치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은 어느 한쪽면에 다수개의 미세바늘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미세바늘패치로 형성되어 상기 미세바늘패치가 피부에 부착시 피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자연 용해되면서 피부미용패치조성물에 함유된 각종 유효성분이 피부속에 효과적으로 침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미세바늘패치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온에서 멸균증류수 5 ~ 38중량%와, 천연미백증진추출물 0.01 ~ 20중량%와, 미백기능향상제 0.01 ~ 20중량%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 0.01 ~ 20중량%와, 주름억제향상제 0.01 ~ 20중량%와, 포접복합체 0.01 ~ 20중량%를 혼합하고 30분 ~ 2시간 동안 마그네틱바 등을 이용하여 300 ~ 800rpm으로 20 ~ 70℃에서 교반 용해하여 1차혼합물을 제조하는데, 상기 1차혼합물은 용액상태로 상온에서 약 500 ~ 5,000 cps의 점성도를 갖는다.
다음으로, 상온에서 멸균증류수 35 ~ 58중량%와,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 0.01 ~ 15중량%와,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 2 ~ 25중량%와, 점증제 2 ~ 25중량%를 혼합하고 마그네틱바 등을 이용하여 4 ~ 8시간 동안 300 ~ 800rpm으로 20 ~ 70℃에서 교반한 다음 균질기(homomixer)로 1 ~ 90,000rpm으로 균질화시켜 2차혼합물을 제조하며, 균질화과정에서는 30 ~ 40℃에서 4,000 ~ 10,000rpm으로 20분 ~ 1시간 동안 균질화시켜 주며, 상기 2차혼합물은 상온에서 용액상태로 1,000 ~ 10,000 cps의 점성도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미세바늘성형홈이 형성된 미세바늘몰드에 상기 2차혼합물을 주입시킨 후 일정압력으로 감압 압착하여 2차혼합물 표면에 코팅막이 형성되면서 미세바늘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2차혼합물에 1차혼합물을 주입 혼합한 다음 상대습도 30%이하, 40 ~ 120℃에서 일정시간 건조처리하여 2차혼합물과 1차혼합물이 단일체가 되도록 하여 미세바늘패치를 완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성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은 패치의 형태를 형성하게 하고 외곽으로 코팅막을 형성하여 몰드의 모양대로 패치가 성형되도록 하는 물질로서, 펙틴, 트래거캔스고무, 아라비아검, 카라야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이 0.01 ~ 15중량% 첨가혼합된다.
상기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은 천연고분자물질과 동일한 기능을 지닌 것으로, 히아루론산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덱스트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이 0.01 ~ 25중량% 첨가혼합된다.
상기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과 합성고분자물질의 첨가량 합계는 전체 피부미용패지조성물 중 3 ~ 20중량%로 첨가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조성물 형성이 어렵거나 패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2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조성물 제조시 용해되지 않아 석출되거나 또는 균일하게 혼합되기 힘들고 피부에 부착시 수분에 민감하지 않아 잘 용해되지 않는다.
상기 점증제는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 및 합성고분자물질과 혼합되면서 상기 2차혼합물의 점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고 건조과정에서 표면이 매끄럽게 되도록 하며 강도를 조절하고 외부에 코팅막을 형성하는 역활을 하며 상기 1차혼합물과 잘 혼합되어 상분리를 방지하여 1차혼합물과 2차혼합물이 상호점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트리할로즈, 슈크로오즈, 말토오스, 락토오스, 프록토오스, 자일리톨, 솔비톨, 콜라겐, 트레오닌, 올리고당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점증제가 0.01 ~ 25중량% 첨가혼합되는데, 상기 점증제의 첨가량이 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패치형성시 깨지기 쉽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0.0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상기 1차혼합물과 2차혼합물이 서로 혼합되기 어렵고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포접복합체는 글루코스 단위가 여러개인 환상의 연결구조로 입체적인 공동(cavity)을 갖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천연미백증진추출물과 미백기능향상제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과 주름억제향상제를 안정화시키며 친유성인 추출물들을 수용액상에서의 용해도를 증대시켜주므로 유효함량을 증대시킬수 있고 구조적으로 피부에서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2차혼합물과 혼합시 1차혼합물이 잘 점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포접복합체가 0.01 ~ 20중량% 첨가혼합되는데, 상기 포접복합체의 첨가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천연미백증진추출물과 미백기능향상제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과 주름억제향상제가 석출되거나 산화되어 변색의 위험이 있어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2차혼합물에 투입시 1차혼합물이 잘 혼합되지 않고 상분리 현상이 발생되며,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제품성형 후 수분에 의한 용해도가 저해되고 패치 형성시 균열이 발생하여 깨지기 쉽고 제품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천연미백증진추출물은 인체내 자외선이나 스트레스등 질병 및 노화시 발생되는 활성 산소를 저해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멜라닌을 억제하는 효소 티로시나제 억제효과 통해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천연성분들로부터 추출한 추출물로서, 은행나무잎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분버들잎추출물, 완두전초추출물, 선인장열매추출물, 산유자나무잎추출물, 닥나무추출물, 서양톱풀전초추출물, 말로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카우슬립추출물, 꼬리풀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천연미백기능증진추출물이 0.01 ~ 20중량% 첨가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 중 은행나무잎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분버들잎추출물, 완두전초추출물, 선인장열매추출물, 산유자나무잎추출물, 닥나무추출물, 서양톱풀전초추출물은 메탄올(Methanol) 99.9%로 추출한 후 건조된 파우더(순도 99.9 이상)로서 한국식물추출물은행(대한민국)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말로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카우슬립추출물, 꼬리풀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 스위스 Pentapharm 사의 Gigawhite(원료명)로 원료업체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미백기능향상제는 천연미백증진추출물과 유사한 기능을 지니고 있어 상기 천연미백증진추출물의 효과를 한층 더 증대시키기 위해 보조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테르,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 비타민E, 비타민 및 유도체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미백기능향상제가 0.01 ~ 20중량% 첨가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주름억제추출물은 항산화효과와 인체내 콜라겐같은 탄력섬유를 합성 촉진시켜 주름억제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천연성분들로부터 추출한 추출물로서, 쇠뜨기전초추출물, 두충열매추출물, 석류나무추출물, 속새추출물, 플랜테인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천연주름억제추출물이 0.01 ~ 20중량% 첨가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 중 쇠뜨기전초추출물, 두충열매추출물, 석류나무추출물, 속새추출물은 메탄올(Methanol) 99.9%로 추출한 후 건조된 파우더(순도 99.9 이상)로서 한국식물추출물은행(대한민국)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플랜테인 추출물은 스위스 Pentapharm 사의 PLANTAGO AO(원료명)로 원료업체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주름억제향상제는 천연주름억제추출물과 유사한 기능을 지니고 있어 상기 천연주름억제추출물의 효과를 한층 더 증대시키기 위해 보조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레티닐팔미테이트,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아데노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주름억제향상제가 0.01 ~ 20중량% 첨가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미백증진추출물과 미백기능향상제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과 주름억제향상제는 피부미용패치조성물에서 미백 및 주름억제에 효과를 수행하며 높은 항산화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각각의 성분이 0.0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비하여 미백증진 및 주름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20중량% 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2차혼합물과 혼합시 상분리가 일어나거나 점착이 어려워 패치가 형성되지 않거나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멸균증류수는 패치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 96중량% 혼합되며,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조성물을 혼합하기 어렵고, 96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시간이 많아지며 조성물들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패치 형성이 되지 않거나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미세바늘패치는 패치몸체의 두께가 0.01 ~ 5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쪽면에는 길이 0.1 ~ 0.5mm, 바닥직경 0.01 ~ 1.0 mm를 가지는 사면체형, 원뿔형, 사각뿔형상 등으로 된 다수개의 미세바늘이 형성되어 있어 미세바늘패치가 피부에 부착시 피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자연 용해되도록 되어 있다. 패치의 두께가 0.01mm 미만인 경우에는 패치 형성이 불가능하며 잘 부서질 가능성이 있으며, 5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접착시 착용감과 수분에 잘 분해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한편, 미세바늘몰드를 통한 미세바늘패치를 성형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미세바늘몰드는 열처리 코팅된 탄소강이나 니켈, 황동 합금 금속재질 등의 금속재질로 된 몰드로서 정밀연삭기, 마이크로 가공기, 방전가공을 통해 제작되며, 원통형으로 다수개의 미세바늘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미세바늘몰드는 바람직하게는 직경 11mm, 높이 3mm를 갖는 원통형으로, 300 ~ 600개의 미세바늘성형홈이 일정간격으로 음각 가공되어 있고, 상기 미세바늘성형홈은 사면체형, 원뿔형, 사각뿔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 0.1 ~ 0.5mm, 상부직경(입구측) 0.01 ~ 1mm로 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1 ~ 100㎛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형태의 미세바늘이 양각으로 형성된 미세바늘몰드를 제작한 후 실리콘(다우코닝사 SILASTIC3481 제품으로 100℃, 30분 경화)을 양각의 미세바늘몰드에 부어 경화시킨 후 분리하여 음각형태의 실리콘재질로 된 미세바늘몰드를 성형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미세바늘몰드에 2차혼합물을 일정량 주입(미세바늘몰드의 직경 11mm, 높이 3mm를 기준으로 50 ~ 100㎕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함)시킨 후 일정압력으로 감압 압착하면 표면에 코팅막이 형성되면서 미세바늘이 형성되는데, 상기 미세바늘몰드에 2차혼합물을 주입시킨 후 감압 압착하여 코팅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1 ~ 1/1000 mmHg 감압상태에서 수행되며 상온 및 상대습도 30 ~ 60%의 조건에서 5 ~ 30분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수분 함량을 낮추기 위해 감압, 건조, 동결, 압력을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감압압착방식 대신 원심분리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통상의 원심분리기에 2차혼합물이 투입된 미세바늘몰드를 넣고 4,000 ~ 8,000 rpm으로 상온 및 상대습도 30 ~ 60%의 조건에서 1 ~ 30분간 원심분리하여 표면에 코팅막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미세바늘몰드에 1차혼합물을 주입하고 2차혼합물과 혼합한 다음 상대습도 30%이하, 40 ~ 120℃에서 6 ~ 20시간 건조시켜 1차혼합물과 2차혼합물이 단일체가 되도록 하는데, 상기 미세바늘몰드에 1차혼합물을 주입하여 건조하는 공정은 2차혼합물이 주입된 미세바늘몰드에 30분 ~ 1시간 후 1차혼합물을 혼합하며 1차혼합물과 2차혼합물의 혼합비율은 1 : 1 ~ 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은 건조처리과정을 거친 후의 부피는 대략 10 ~ 30%로 감소하게 된다.
만일, 상기 1차혼합물과 2차혼합물을 한번에 혼합 후 감압 건조나 원심분리를 하게 되면 수용성 천연 및 합성고분자물질과 각종 유효물질들이 인위적으로 분리되어 건조 후 깨지기 쉽고 상분리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상기 1차혼합물은 각종 기능성 첨가물질이 포함된 상태로 포접복합체에 의해 안정화된 상태이며 2차혼합물은 표면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몰드의 모양 그대로 형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1차혼합물과 점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1차혼합물의 혼합비율이 2차혼합물보다 2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시간이 늘어나고 조성물 혼합시 상분리 현상 등 안정성에 어려움과 건조시 균열현상이 일어나 깨지기 쉽고 외형면이 고르지 못하며 매끄러운 성형을 하지 못하며, 반대로 0.2배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에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양이 너무 적어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효능이 미흡하며 제품의 두께가 늘어나 수분에 민감하지 않고 휘어지기 쉬고 잘 부서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상기 1차혼합물과 2차혼합물이 혼합된 상태에서 그 윗면에는 가공을 용이하기 위해 무독성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건조시키거나 면이나 레이온 소재 등을 붙힐 수 있다.
상기 미세바늘몰드로부터 1차혼합물과 2차혼합물이 단일체로 된 고용체를 분리하여 절단하는 공정에는 프레스 가공기나 컷터가공기를 통해 원형이나 사각형 및 다각형 모양의 패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알맞는 트레이에 넣어 의약품 및 식용 방습제를 넣어 같이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추후 가공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제품을 사용시 적정한 압력을 줄 수 있는 스프링이나 압력방식의 구조물과 합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미용 미세바늘패치는 피부에 부착시 밀착감을 높이고 피부의 수분이나 화장수에 의하여 서서히 용해됨으로써 피부 각질층에 채널을 형성하여 유효성분들을 신속하게 효과적으로 경피속으로 잘 전달되게 하는 특성이 있으며, 상기 피부미용패치조성물에 포함된 천연미백증진추출물과 미백기능향상제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과 주름억제향상제는 일반적으로 화장품 제형에 안정화되기 어렵거나 쉽게 산화되어 변색 및 변취되는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포접복합체와 결합하여 안정한 상태로 코팅처리되므로 외부의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보호되고 안정성을 유지하며 별도의 방부제 성분 등을 첨가할 필요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실시예 1 ~ 5: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의 제조 >
먼저, 상온에서 가열용기에 멸균증류수와, 천연미백증진추출물로서 감나무잎추출물 및 서양톱풀전초추출물과, 미백기능향상제로서 비타민B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로서 쇠뜨기전초추출물 및 플랜테인추출물과, 주름억제향상제로서 아데노신과, 포접복합체로서 덱스트린과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카르복시메틸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는 배합비율에 따라 혼합하고 1시간 동안 마그네틱바를 이용하여 500rpm에서 30℃로 승온하여 교반 용해하여 1차혼합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온에서 멸균증류수와,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로서 펙틴 및 카라야검과,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로서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과, 점증제로서 트리할로즈와 올리고당 및 슈크로오즈를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는 배합비율에 따라 혼합하고 6시간동안 500rpm에서 40℃로 승온하여 교반하여 균질기(homomixer)로 4,000rpm에서 30분동안 균질화시켜 2차혼합물을 제조한다.
그리고, 직경 11mm, 높이 3mm의 원통형으로, 300개의 미세바늘(높이 0.3mm, 상부직경 0.05mm의 사면체형으로 양각된 미세바늘)이 형성된 미세바늘몰드에 실리콘(다우코닝사 SILASTIC3481 제품으로 100℃, 30분 경화)을 부어 경화시킨 다음 분리하여 음각형태의 실리콘재질로 된 미세바늘몰드를 성형한다.
상기 미세바늘몰드에 2차혼합물을 주입하고 상온 및 상대습도 45%의 조건에서 4,0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표면에 코팅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2차혼합물을 상온에서 1시간방치 후 1차혼합물을 미세바늘몰드에 주입하고 상대습도 20%, 온도 45℃에서 12시간 건조시켜 1차혼합물과 2차혼합물이 단일체가 되어 미세바늘패치가 형성되도록 한다. 건조 후 직경 11mm의 원형으로 멸균증류수의 첨가량에 따라 미세바늘패치의 몸체두깨가 0.1 ~ 0.2mm를 지니며 한쪽면에 길이 0.2mm, 바닥직경 0.05mm의 사면체형 미세바늘 300개를 지닌 미세바늘패치를 제조하였다.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의 성분함량표(단위:중량%)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10 10 5 5 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3 3 3 3 1
펙틴 1 1 0.5 0.5 0.5
카라야검 - - 0.1 0.1 0.5
트리할로즈 15 5 5 5 10
올리고당 1 1 0.05 0.05 0.01
슈크로오즈 - 1 5 1 1
사이클로덱스트린 5 5 8 8 8
덱스트린 1 5 3 3 1
카르복시메틸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 0.02 0.02 0.02 0.01
감나무잎추출물 0.01 0.01 3 3 5
서양톱풀전초추출물 0.5 0.5 0.02 0.02 0.02
카우슬립추추물 0.1 0.1 0.1 0.1 0.1
페퍼민트잎추추물 3 3 1 1 0.5
비타민B3 - - 2 2 5
아데노신 0.02 0.02 0.02 0.02 0.02
플랜테인추출물 1 1 2 2 3
쇠뜨기전초추출물 0.5 0.5 1 1 1
멸균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실험예 1 : 용해도 시험 >
100ml 비이커에 정제수를 50ml채운 후 온도를 24℃로 유지한다. 실시예 1 내지 5의 방법으로 제조된 패치를 정제수에 완전히 함침시킨 후 물에 완전히 용해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용해도 시험결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용해시간(초)
170 220 70 120 150
실험결과 1차혼합물과 2차혼합물의 비율이 1:1에 가까우면서 점증제 양이 좀더 많은 실시예3이 다른 실시예들보다 1.7 ~ 3배정도 빠른 용해시간을 나타내었다.
< 실험예 2 : 미생물 시험 >
실시예 중 가장 빠른 용해시간을 나타낸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미세바늘패치를 씨에스랩연구소에 의뢰하여 대한약전 일반시험법중 미생물 한도시험과 화장품 미생물한도 기준 및 시험방법 가이드라인에 의하여 시험하였다.
시험방법은 상기 미세바늘패치를 가지고 멸균수에 용해, 희석(10배)하여 배지에 도말 후 5일 간 배양하면서 미생물 증식을 관찰하였다.
① 사용배지 : Luria-Bertani(Difco LB Broth, Miller)
② 배양조건 : 30℃
생균수측정결과

생균수측정(cfu/g)
0일
1일 3일 5일 7일
실시예 3
0 0 0 0 0
< 실험예 3 : 피부보습효과 시험 >
실시예 3 및 4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미세바늘패치로 피부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정제수 100㎕를 함침시킨 거즈를 사용하였다.
측정방법은 25℃, 상대습도 50%의 항온항습조건의 실내에서 피부질환이 없는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팔의 상박 부위를 3부위(A,B,C)로 나눈 후, 이중맹검법으로 A부위에는 실시예 3을, B부위에는 실시예 4를, C부위에는 대조군을 팔의 상박에 일주일 동안 1일 1회 2시간씩 3M사의 저자극 의료용 테이프로 고정시켜 부착하였다. 측정당일은 항온항습 조건에서 30분간 피부가 안정될 수 있도록 대기한 후, Corneometer(CM825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표피 수분량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로 0에서 150까지 피부의 수분량을 수치화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피부보습실험결과
시험제품
Corneometer Value
실시예3
98
실시예4
87
대조군
65
시험 측정결과를 보면, 피부의 수분량을 측정한 Corneometer value에서 정제수만 바른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3 및 4의 값이 높게 나타나 피부보습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미세바늘패치에 함유된 각종 추출물 및 기능성향상제 등에 의해 높은 피부보습력을 나타내었다.
< 실험예 4 : 피부 안전성 시험 >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미세바늘패치를 세명대학교 임상지원센터에 의뢰하여 피부 안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 22명(평균연령 24.6세, 연령분포 19 ~ 41세)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Hill Top Chamber를 이용하여 상박에 피부 첩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단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실시예1 내지 5의 패치를 각각 20mm의 원형 Chamber에 부착시킨 후 시험 부위인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킨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적용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24시간, 48시간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한다. 판정은 첩포제거 24시간, 48시간 후에 행하며 피부반응은 하기 표 5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의 판정 기준
기호
판 정 기 준 평 가 Mean Score
±

+

++

+++

-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Erythema + Induration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Negative
미소자극

경자극

중자극

강자극

무자극
0 ~ 0.9

1.0 ~ 2.9

3.0 ~ 4.9

5.0 이상

0
스코어 설명 -:0, ±:0.5, +:1, ++:2, +++:3
피부 안전성시험결과
경과시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24시간 0 0 0 0 0
48시간 0 0 0 0 0
피부 안전성 실험결과 실시예 1 내지 5 모두 평균 자극정도가 0으로 피험자 전원에서 자극을 보이지 않아 본 발명의 미세바늘패치는 피부에 자극이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5 :피부투과도 시험 >
실시예 중 가장 빠른 용해시간을 나타낸 실시예3의 미세바늘패치는 지표물질로 나이아신아마이드(비타민B3)를 2중량% 함유된 패치로서, 상기 실시예3의 미세바늘패치를 세명대학교 임상지원센터에 의뢰하여 피부 투과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군은 상기 패치를 Hairless Mouse의 피부에 적용시킨 후 2ml의 완충액(pH7.2)에 용해하였다. 대조군으로 같은 실시예3의 조성을 지니되 미세바늘이 없이 제조된 패치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미세바늘 형태에 따른 지표물질로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투과도(경피흡수량) 정도를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0hr, 4hr, 8hr, 12hr, 24hr 용출 후 sample을 채취하고, 각각의 시간에 따른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양을 형광분석장치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로 비교하여 피부투과도를 분석하는 실험이며, 이용된 Mouse조직을 Hematoxylin & Eosin으로 염색하여 투과된 나이아신아마이드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10㎖의 부피와 0.636㎠를 가진 Franz diffusion cell을 사용하였고, 실험은 항온수조를 이용하여 37℃를 유지 순환시키면서 수행하였으며, 0.1mM PBS(pH7.2) 완충용액을 사용하였다. Franz Cell의 Donor에는 Mouse skin과 상기 패치(시험군과 대조군) 그리고 완충액(pH7.2) 2㎖, Recptor에는 8㎖의 완충액를 넣고, 혈류속도를 110rpm으로 고정시켜 실험하였다. 측정을 위해 시료를 채취한 후에는 즉시 동량의 PBS를 넣어 sink condition을 유지하였다.
KH1-Hairless mouse는 ㈜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한 6주령의 온도 23±3℃, 습도 50±5%, 환기 10~15회/일 조건에서 24시간 적응시킨 후 경추탈골시켜 등쪽 피부를 적출하였다. 피부는 3.0×3.0 ㎝ 크기로 적출하여 -70℃에 보관하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양
나이아신아마이드 농도
PPM(ug/ml)
실시예3 대조군
0hr 0 0
4hr 20 0
8r 250 15
12hr 700 20
24hr 1650 40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0hr ~ 24hr 까지의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양을 측정한 결과, 8hr후의 측정값은 대조군보다 16배 정도 비교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4hr 후에는 약 41배 정도 많이 투과되었으며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민감성 0.2mm 바늘 높이를 가지는 미세바늘패치가 지표물질을 효과적으로 투과시켜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측정결과 일정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 실험예 6 : 피부 탄력 시험 >
실시예 3 및 4에 의해 제조된 미세바늘패치로 피부 탄력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25℃, 상대습도 50%, 항온항습 조건의 실내에서, 피부질환이 없는 건강한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눈꼬리(crow’s feet)부위에서 좌,우로 나눈 후, 피험자 번호순으로 좌측부위에는 실시예 3을, 우측 부위에는 실시예 4를 4주간, 일주일에 3회 2시간씩 적용하였고, 3M사의 저자극 의료용 테이프로 고정시켜 부착하였다. 탄력상태에 대한 피부 탄력도 평균 값을 Cutometer MPA580 (Courage and Khazaka, K?ln, Germany)으로 피부의 탄력정도를 측정하였다.
피부탄력시험결과
R2
0week 2week 4week
AVERAGE STDEV AVERAGE STDEV AVERAGE STDEV
실시예3
0.3715 0.0932 0.4326 0.1496 0.4284 0.1315
실시예4
0.3892 0.0971 0.4399 0.1433 0.4465 0.1146
측정장비에서 R2 값은 피부의 재변형 능력으로 총체적인 탄성(gross elasticity)을 의미한다. 실시예 3은 R2값이 측정결과 15.3% 증가하였고, 실시예 4는 R2값이 측정결과 14.7% 증가하여 피부 탄력 증가에 효과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 실험예 7 : 피부 주름 시험 >
실시예3으로 제조된 미세바늘패치로 피부주름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25℃, 상대습도 50%, 항온항습 조건의 실내에서, 피부질환이 없는 건강한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눈꼬리(crow’s feet) 부위에서 좌,우로 나눈 후, 피험자 번호순으로 좌측부위 5명, 우측부위 5명을 선정하고, 6주간, 일주일에 3회 2시간씩 적용하였고, 3M사의 저자극 의료용 테이프로 고정시켜 부착하였다. 주름상태에 대한 피부 주름 부위에 모사판(Replica)을 제작한 후 Visiometer (Skin-Visiometer SV 600,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주름 모사판(Replica)에 대한 화상분석(Image Analysis)을 시행함으로써 피부주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피부주름시험결과
R3
0week 4week 6week
AVERAGE STDEV AVERAGE STDEV AVERAGE STDEV
실시예3
0.201 0.039 0.184 0.036 0.175 0.024
R3값은 Average Roughness를 의미 한다. 즉 평균적으로 주름의 깊이에 관련된 직접적인 Parameter이므로 R3값의 6주(0.175)와 0주(0.201)의 차이값 -0.026 감소하였으므로 주름개선 효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Claims (17)

  1.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 0.01 ~ 15중량%와,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 0.01 ~ 25중량%와, 점증제 0.01 ~ 25중량%와, 포접복합체 0.01 ~ 20중량%와, 천연미백증진추출물 0.01 ~ 20중량%와, 미백기능향상제 0.01 ~ 20중량%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 0.01 ~ 20중량%와, 주름억제향상제 0.01 ~ 20중량%와, 멸균증류수 10 ~ 96중량%로 이루어진 피부미용패치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피부미용패치조성물은 어느 한쪽면에 다수개의 미세바늘이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된 미세바늘패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은 펙틴, 트래거캔스고무, 아라비아검, 카라야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은 히아루론산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덱스트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트리할로즈, 슈크로오즈, 말토오스, 락토오스, 프록토오스, 자일리톨, 솔비톨, 콜라겐, 트레오닌, 올리고당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접복합체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미백증진추출물은 은행나무잎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분버들잎추출물, 완두전초추출물, 선인장열매추출물, 산유자나무잎추출물, 닥나무추출물, 서양톱풀전초추출물, 말로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카우슬립추출물, 꼬리풀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기능향상제는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테르,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 비타민E, 비타민 및 유도체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주름억제추출물은 쇠뜨기전초추출물, 두충열매추출물, 석류나무추출물, 속새추출물, 플랜테인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억제향상제는 레티닐팔미테이트,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아데노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바늘패치는 패치몸체의 두께가 0.01 ~ 50mm이고, 한쪽면에는 길이 0.1 ~ 0.5mm, 바닥직경 0.01 ~ 1.0 mm를 가지는 사면체형이나 원뿔형 또는 사각뿔형상으로 된 다수개의 미세바늘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11. 상온에서 멸균증류수 5 ~ 38중량%와, 천연미백증진추출물 0.01 ~ 20중량%와, 미백기능향상제 0.01 ~ 20중량%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 0.01 ~ 20중량%와, 주름억제향상제 0.01 ~ 20중량%와, 포접복합체 0.01 ~ 20중량%를 혼합하고 30분 ~ 2시간 동안 300 ~ 800rpm으로 20 ~ 70℃에서 교반 용해하여 1차혼합물을 제조하고, 상온에서 멸균증류수 35 ~ 58중량%와,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 0.01 ~ 15중량%와,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 2 ~ 25중량%와, 점증제 2 ~ 25중량%를 혼합하고 4 ~ 8시간 동안 300 ~ 800rpm으로 20 ~ 70℃에서 교반한 다음 균질기로 1 ~ 90,000rpm으로 균질화시켜 2차혼합물을 제조하며,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미세바늘성형홈이 형성된 미세바늘몰드에 상기 2차혼합물을 주입시킨 후 1 ~ 1/1000 mmHg 감압상태에서 상온 및 상대습도 30 ~ 60%의 조건으로 5 ~ 30분간 감압 압착하여 2차혼합물 표면에 코팅막이 형성되면서 미세바늘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2차혼합물이 주입된 미세바늘몰드에 30분 ~ 1시간 후 1차혼합물을 주입 혼합한 다음 상대습도 30%이하, 40 ~ 120℃에서 6 ~ 20시간 건조시켜 1차혼합물과 2차혼합물이 단일체가 되도록 하여 미세바늘패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의 제조방법.
  12. 상온에서 멸균증류수 5 ~ 38중량%와, 천연미백증진추출물 0.01 ~ 20중량%와, 미백기능향상제 0.01 ~ 20중량%와, 천연주름억제추출물 0.01 ~ 20중량%와, 주름억제향상제 0.01 ~ 20중량%와, 포접복합체 0.01 ~ 20중량%를 혼합하고 30분 ~ 2시간 동안 300 ~ 800rpm으로 20 ~ 70℃에서 교반 용해하여 1차혼합물을 제조하고, 상온에서 멸균증류수 35 ~ 58중량%와,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 0.01 ~ 15중량%와,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 2 ~ 25중량%와, 점증제 2 ~ 25중량%를 혼합하고 4 ~ 8시간 동안 300 ~ 800rpm으로 20 ~ 70℃에서 교반한 다음 균질기로 1 ~ 90,000rpm으로 균질화시켜 2차혼합물을 제조하며,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미세바늘성형홈이 형성된 미세바늘몰드에 상기 2차혼합물을 주입시킨 후 통상의 원심분리기에 2차혼합물이 투입된 미세바늘몰드를 넣고 4,000 ~ 8,000 rpm으로 상온 및 상대습도 30 ~ 60%의 조건에서 1 ~ 30분간 원심분리하여 2차혼합물 표면에 코팅막이 형성되면서 미세바늘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2차혼합물이 주입된 미세바늘몰드에 30분 ~ 1시간 후 1차혼합물을 주입 혼합한 다음 상대습도 30%이하, 40 ~ 120℃에서 6 ~ 20시간 건조시켜 1차혼합물과 2차혼합물이 단일체가 되도록 하여 미세바늘패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의 제조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천연고분자물질은 펙틴, 트래거캔스고무, 아라비아검, 카라야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이고, 상기 수용성 합성고분자물질은 히아루론산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덱스트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의 제조방법.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트리할로즈, 슈크로오즈, 말토오스, 락토오스, 프록토오스, 자일리톨, 솔비톨, 콜라겐, 트레오닌, 올리고당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의 제조방법.
  15.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접복합체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의 제조방법.
  16.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미백증진추출물은 은행나무잎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분버들잎추출물, 완두전초추출물, 선인장열매추출물, 산유자나무잎추출물, 닥나무추출물, 서양톱풀전초추출물, 말로우추출물, 페퍼민트잎추출물, 카우슬립추출물, 꼬리풀추출물, 레몬밤잎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이고, 상기 미백기능향상제는 알부틴, 에칠아스코빌에테르,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비타민A, 비타민B, 비타민C, 비타민E, 비타민 및 유도체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의 제조방법.
  17.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주름억제추출물은 쇠뜨기전초추출물, 두충열매추출물, 석류나무추출물, 속새추출물, 플랜테인추출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이고, 상기 주름억제향상제는 레티닐팔미테이트, 폴리에톡실레이티드레틴아마이드, 아데노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의 제조방법.
KR1020100031866A 2010-04-07 2010-04-07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74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866A KR101174786B1 (ko) 2010-04-07 2010-04-07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866A KR101174786B1 (ko) 2010-04-07 2010-04-07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43A KR20110112643A (ko) 2011-10-13
KR101174786B1 true KR101174786B1 (ko) 2012-08-17

Family

ID=4502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866A KR101174786B1 (ko) 2010-04-07 2010-04-07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7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296A1 (ko) * 2012-12-04 2014-06-12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68656B1 (ko) * 2012-12-04 2015-11-30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049B1 (ko) * 2012-05-08 2014-09-24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09937B1 (ko) * 2013-12-09 2019-08-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이크로니들용 조성물
KR101515415B1 (ko) * 2014-08-07 2015-04-29 김주원 실리카 함유 복합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수분 패치
KR102560153B1 (ko) * 2015-04-17 2023-07-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볼륨 증진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560154B1 (ko) * 2015-05-13 2023-07-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비타민 e 또는 비타민 e 유도체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2594169B1 (ko) * 2015-05-13 2023-10-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알부틴 전달용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1629007B1 (ko) * 2015-07-16 2016-06-13 (주)비엔에스메디븐스 접촉각 조절이 가능한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베이스필름
KR101866312B1 (ko) * 2016-07-15 2018-06-11 주식회사 글랜젠 생체 내 지속성 및 항산화 작용이 향상된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계 진피 충전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29131B (zh) * 2017-12-08 2020-11-10 广州唯我美日用品有限公司 抗衰老组合物及其用途
CN111836582A (zh) * 2018-03-16 2020-10-27 国立大学法人东京大学 检测芯片以及检测装置
KR102277308B1 (ko) * 2019-06-28 2021-07-14 주식회사 유나이티드엑티브 역미셀을 형성하는 발효유화제를 이용한 감잎 추출물 및 비타민 b 포집 조성물
CN115317439A (zh) * 2022-07-18 2022-11-11 合肥博思科创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克立硼罗微针贴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9253A (ja) 2008-09-22 2010-04-02 Fujifilm Corp 経皮吸収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9253A (ja) 2008-09-22 2010-04-02 Fujifilm Corp 経皮吸収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296A1 (ko) * 2012-12-04 2014-06-12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68656B1 (ko) * 2012-12-04 2015-11-30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43A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786B1 (ko) 피부미용 수분민감성 미세바늘패치 및 그 제조방법
CN107375008B (zh) 用于美白的可溶性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KR101134716B1 (ko)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33393B1 (ko) 여드름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6639B1 (ko)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US11285093B2 (en) Cosmetic uses of swertiamarin
TW200526260A (e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s
CN112472660A (zh) 一种含有壬二酸的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KR101895038B1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용해성 필름 및 이의 용도
CN113521306B (zh) 具有透皮增强作用的传递体-外泌体膜融合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124923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KR20150011260A (ko) 패치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키트 및 미용 방법
CN110664646A (zh) 具有美白功效的组合物、高载药量的美白可溶性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KR20140068497A (ko)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내포하는 오스모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aur et al. Formulation strategie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of shikonin and related derivatives
Alam et al. Role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KR100887294B1 (ko) 촉규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5711B1 (ko)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4167B1 (ko) 봉독(벌독)을 포함하는 피부온도 감응성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2137B1 (ko) 보습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Musnaini et al. Effectiveness Of Cream Formulation Of Carrot Seed Oil As Anti-Aging
CN104146878B (zh) 可配伍使用的以磷脂酰胆碱为基质的固态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130125492A (ko) 뱀딸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17587B1 (ko) 미백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