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711B1 -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711B1
KR101605711B1 KR1020140072816A KR20140072816A KR101605711B1 KR 101605711 B1 KR101605711 B1 KR 101605711B1 KR 1020140072816 A KR1020140072816 A KR 1020140072816A KR 20140072816 A KR20140072816 A KR 20140072816A KR 101605711 B1 KR101605711 B1 KR 101605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rbal
herbal composition
coated
microsphe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118A (ko
Inventor
이경훈
조수현
김용민
황동석
Original Assignee
(주)비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비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40072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711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3Bupleu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호, 진피, 당귀, 창출, 길초근, 감초, 갈근, 복령, 박하, 치자, 사향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한방 조성물; 수용성 천연 고분자; 천연 점증제; 및 멸균 증류수;를 포함하는 한방 혼합물이 미세침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상기 미세침을 치료 부위에 부착하면 피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하여 한방 혼합물이 서서히 용해되어 피부 각질 및 진피층에 채널을 형성하여 한방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경피 내로 전달되므로 노화 및 관절염에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Microneedle coated by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을 치료 부위에 부착하면 피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하여 한방 혼합물이 서서히 용해됨으로써 노화 및 관절염에 효과가 우수하다.
종래의 피부를 통한 유효성분 전달 방식은 표준 시린지 또는 카테터를 사용하는 주사바늘을 이용한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주사바늘에 대한 공포와 통증 그리고 피부에 국소적인 손상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전달 및 서서히 유효성분들을 전달하는데 이상적이지 않다.
또한, 종래의 다른 약물 전달 기술은 유효성분 확산농도에 의존하는 경피흡수 전달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경피흡수 전달방식을 이용한 기존의 경피 패치는 매트릭스형, 저장층형 및 점착형 세 가지로 분류되며, 이 중 매트릭스형은 유효성분들을 고분자나 점착제의 매트릭스층에 분산시켜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것이고, 저장층형은 유효성분들을 일정한 막이나 필름안에 담아 방출을 제어하고 점착하는 형태이며, 점착형은 한가지 금속과 플라스틱같은 불용해성 구조물(침 형태 아님) 위에 얇은 코팅으로 유효성분들을 점착하는 방식이다. 이들의 가장 큰 단점은 피부를 통한 약물의 흡수율이 낮거나 유효성분들의 농도와 정량에 제한이 있으며, 피부 각질층에 대한 피부 투과성이 낮고 외부 오염 및 여러 가지 물리적 손상에 노출이 되기 쉽다.
한편, 종래의 또 다른 피부를 통한 전달 기술로서, 화학적 현상을 이용한 이온삼투요법(iontophoresis), 전기 천공법(electroporation)과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유효성분들을 전달하는데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별도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비전문가가 조작하기 어려우며 피부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키기 쉽고 비실용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또 다른 피부를 통한 전달 기술로서,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침이 있다.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침은 크게 전통적인 한방침과 약물을 주입하는 약침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한방침은 침체 상단에 피부 관통을 위한 침예성을 지닌 침첨, 몸체인 침체와 침체의 다른 말단에 굵게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침병으로 구성되어 있다.
약침의 원리는 침으로 중요 경혈 및 경락을 자극하는 동시에 경혈에 한약재의 추출성분을 주입하여 경혈 그 자체의 자극에 의한 치료 효과와 특정 약물의 주입에 의한 치료 효과를 동시에 거두는 것이다. 하지만, 기존 약침의 경우 그 방법이 주사기 바늘과 실린지를 이용한 원시적 시술로 한방침에 비하여 피부 관통시 통증과 외상을 유발하여 거부감을 주고 있으며, 한방침 공급장치와 호환을 이룰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한방침과 같이 통증 없이 피부를 관통하는 외부적 요법과 약물을 전달하는 내부적 요법이 극대화를 이루는 침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060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562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을 치료 부위에 부착하면 피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하여 한방 혼합물이 서서히 용해됨으로써 노화 및 관절염에 효과가 우수한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은 시호, 진피, 당귀, 창출, 길초근, 감초, 갈근, 복령, 박하, 치자, 사향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을 포함하여 열처리된 한방 조성물; 수용성 천연 고분자; 천연 점증제; 및 멸균 증류수;를 포함하는 한방 혼합물이 미세침 표면에 코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한방 혼합물은 한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천연 고분자 1 내지 100 중량부, 천연 점증제 3 내지 100 중량부 및 멸균 증류수 100 내지 7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한방 조성물은 시호 1~10 중량%, 진피 1~15 중량%, 당귀 5~20 중량%, 창출 5~20 중량%, 길초근 1~10 중량%, 감초 1~15 중량%, 갈근 5~20 중량%, 복령 5~20 중량%, 박하 1~10 중량%, 치자 1~10 중량%, 사향 0.01~2 중량%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 5~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은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한방 혼합물이 0.01 내지 0.5 mm의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미세침에는 다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천연 고분자는 옥수수 전분가루, 고구마 전분가루 및 멥쌀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점증제는 올리고당, 과당, 맥아당, 꿀 및 한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미세침은 티타늄, 티타늄합금 또는 아파타이트세라믹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의 제조방법은 (a) 시호, 진피, 당귀, 창출, 길초근, 감초, 갈근, 복령, 박하 및 치자는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가루에 사향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을 첨가하여 한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상기 한방 조성물, 수용성 천연 고분자, 천연 점증제 및 멸균 증류수를 혼합하여 한방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상기 한방 혼합물을 몰드에 투입 후 -400 내지 -600 mmHg 진공압력 하에서 방치한 다음 미세침을 상기 한방 혼합물이 투입된 몰드에 삽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미세침이 삽입된 몰드를 상대습도 20% 이하에서 20 내지 60 ℃로 건조하여 상기 미세침 표면에 한방 혼합물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와 상기 (C)단계 사이에 상기 한방 조성물과 멸균 증류수를 1 : 2~5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내지 120 ℃ 중에서 선택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한방 조성물과 멸균 증류수의 혼합 중량에서 30 내지 90%를 감소시킨 다음 이를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은 한방침의 외과적 경혈자극과 한약의 내과적 약물전달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침을 치료 부위에 부착하면 경혈을 자극함과 동시에 피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하여 한방 혼합물이 서서히 용해되어 피부 각질 및 진피층에 채널을 형성하여 한방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경피 내로 전달되므로 노화 및 관절염에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은 수분에서 수일동안 한방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방출하므로 치료효과가 우수하고, 별도의 방부제 성분을 첨가할 필요가 없으며, 냉장보관을 하지 않아도 되어 운반이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적인 요인으로부터 보호되고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을 치료 부위에 부착하면 피부에 함유된 수분에 의하여 한방 혼합물이 서서히 용해됨으로써 피부 각질 및 진피층에 채널을 형성하여 한방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경피 내로 전달되므로 노화 및 관절염에 효과가 우수한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은 시호, 진피, 당귀, 창출, 길초근, 감초, 갈근, 복령, 박하, 치자, 사향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한방 조성물; 수용성 천연 고분자; 천연 점증제; 및 멸균 증류수;를 포함하는 한방 혼합물이 미세침 표면에 코팅된 것이다.
한방 조성물
상기 한방 조성물은 시호, 진피, 당귀, 창출, 길초근, 감초, 갈근, 복령, 박하, 치자, 사향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분말을 열처리함으로써 포제(匍制)된다. 상기 한방 조성물에 함유된 한약재 중 한 종류라도 제거되는 경우에는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가 높지 않으며 골밀도와 골생체지수인 탄성력이 낮을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생체 내 연골조직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연골조직의 탄력성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하며, 수분 함유량이 높고, 뛰어난 점탄성(viscoelasticity)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골관절염 환자에게서 히알루론산의 분해 촉진이 관찰되고 있다.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 등이 관절연골세포의 세포사를 증가시키고, 연골세포의 대사작용을 감소시켜 연골조직의 퇴행성 변화를 촉진한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따라서, 히알루론산의 분해효소인 히알루로니데이즈를 억제하면 골관절염의 치료효과가 있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각 한약재의 함량에 대한 의의는 포제된 후 한약재의 특징에 대한 의의를 나타낸다.
상기 시호(柴胡; 라틴명 Radix Bupleuri, 학명 Bupleurum falcatum L., 과명 Umbelliferae)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최초로 기록된 한약재로 감기와 발열이 반복되는 증상, 흉부의 불쾌감, 입이 쓴 증상, 두통, 어지러움, 학질, 탈항, 월경부조, 자궁하수, 탈장 등에 사용한다. 시호에는 부플레루몰(bupleurumol), 올릭산(oleic acid), 리놀릭산(linole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사이코 사포닌 A, B, C(saikosaponin A, B, C), 사이코게닌 F, E, G(saikogenin F, E, G)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시호는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중량%로 함유되는데, 시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고 골밀도와 골생체지수인 탄성력이 낮을 수 있다.
상기 진피는 전국에 분포하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귤나무(Citrus unshiu) 및 이의 동속식물들의 과피를 지칭하며, 그 성분으로는 다량의 플라보노이드(flavonid), 비타민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이기, 건비, 조습증 등에 대한 치료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진피는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로 함유되는데, 진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고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가 높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당귀는 전국에 분포하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왜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A) 및 이의 동속식물들의 뿌리를 지칭하며, 그 성분으로는 리구스틸리드(ligustilide), 부틸리덴 프탈리드(Butylidenephthalide), 크니딜리드(Cnidilide), 이소크닐리드(Isocnilide), 세스퀘테르펜(sesquiterpene)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월경불순, 복통 등에 대한 치료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당귀는 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중량%로 함유되는데, 당귀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며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가 높지 않고 골밀도와 골생체지수인 탄성력이 낮을 수 있다.
상기 창출은 국화과 여러해살이 풀인 삽주의 뿌리로 발한, 이뇨, 진통 및 건위 등에 효능이 있어 위장염 및 감기 등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중추신경 흥분을 억제와 진정작용의 역할을 하고 비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창출은 주요 약리성분으로는 아트락티론(Atractylone), 아트락티롤(Atractylol) 및 비타민 A, D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창출은 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데, 창출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팅된 한방 혼합물이 쉽게 부패되지 않으며 통증으로 인한 환자를 진정시켜 약효를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길초근(쥐오줌풀)은 동속근연식물로 좀쥐오줌풀, 넓은잎쥐오줌풀, 광릉쥐오줌풀 등이 있으며 모두 약재로 사용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 길초근은 정신불안으로 인한 가슴 뜀, 불면, 쉽게 놀라는 증상, 신경쇠약, 심근염, 산후 심장병, 심박쇠약, 고산병, 생리불순, 위경련, 관절점, 타박상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진정작용, 진경작용, 혈압강하, 그람양성균 억제작용, 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 길초근은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로 함유되는데, 길초근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증으로 인한 환자를 진정시켜 약효를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감초는 한방에서 모든 약재와 조화를 이루면서 효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완화, 진통약으로 각종 동통 및 급박증상을 완화하는데 내복용 또는 외용으로 사용되고, 그 자체가 독의 중화작용과 같은 약성이 있다. 식물의 뿌리 및 근경에 트리터펜(triterpene)계 사포닌(saponin),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 함유되어 있어 약물 중독, 음식물 중독, 체내대사물의 중독뿐만 아니라 세균독소에 대한 모든 해독작용을 가지며, 항이뇨작용 및 갑상선 피지호르몬양의 조절 작용이 있다.
상기 감초는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로 함유되는데, 감초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고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가 높지 않으며 골밀도와 골생체지수인 탄성력이 낮을 수 있다.
상기 갈근은 칡뿌리의 껍질로서 냄새는 없고 약성은 달며 맵고 평하다. 갈근은 땀을 내며, 열을 내려 고열, 두통을 치료하고 갈증을 멎게 한다. 소화불량, 두통, 빈혈, 이질, 복통, 술독, 감기, 구토와 부인들의 하혈에 쓰이고 소화를 돕는다. 생뿌리를 짓찧어 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 칡의 열매는 갈곡이라 하며 설사에 효과가 있고 칡꽃인 갈화는 독특한 단맛이 있어 술독을 풀어 주고 장을 튼튼하게 한다.
상기 갈근은 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중량%로 함유되는데, 갈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고 골밀도와 골생체지수인 탄성력이 낮을 수 있다.
상기 복령은 혈당하강작용과 위궤양발생예방, 건위, 이뇨, 진정, 심계(心悸)항진 등 광범위에 쓰이며 밝혀진 성분으로는 포도당의 다당체인 파시맨(pachyman)과 이뇨 진정효과가 있는 트리테루페논 계열의 파치민 산(pachymicacid), 폴리포레인산(polyporenic acid) 및 스테로이드로서 이르고스테롤(ergosterol)이 함유되어 있으며 한국산 복령에는 메틸 튜무로세이트(methyltumulosate) 외에 알부민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복령은 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중량%로 함유되는데, 복령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고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가 높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박하는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색물로 외감성 감기로 인한 발열, 두통, 땀이 안 나는 증상에 효과가 있고 눈의 충혈, 인후염, 편도선염, 홍역초기 피부가려움증, 간장질환, 복통, 설사, 구토 등에 효과가 있으며, 약리 작용으로 해열, 소염, 건위, 담즙분비 촉진 및 위장 평활근 억제, 호흡기도의 점액분비 증가, 중추신경 흥분, 자궁수축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박하는 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데, 박하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고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가 높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치자(Gardeniae Fructus)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치자나무(Gardenia jasmoides Ellis)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의 열매로 예로부터 식품의 착색제로 사용되어왔다. 한방에서는 소염, 이뇨, 지혈. 해열, 진정, 항균, 담즙분비, 간장염치료약으로 황달, 토혈 등에 이용하고 있으며, 진정약으로 응용되고 있다. 치자의 약리 작용으로는 담즙분비촉진작용과 약물성 간장해에 대한 보호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상기 치자는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는데, 치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고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가 높지 않으며 골밀도와 골생체지수인 탄성력이 낮을 수 있다.
상기 사향은 천연 동물성 향료로서 무스크(Musk)리고도 한다. 사향은 높은 산지에서 사향노루의 사향선에서 분비되는 향즙을 건조한 것을 포함하며, 사향소, 사향고양이, 사향쥐 등이 주로 사향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사향쥐의 사향이 이물질이 적고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다. 사향의 주성분은 무색의 기름과 같은 액체 무스콘(Muscone)이며, 강심, 흥분 진정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중풍이나 전신마비 등의 상비약으로도 쓰인다.
상기 사향은 0.01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로 함유되는데, 사향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며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가 높지 않고 골밀도와 골생체지수인 탄성력이 낮을 수 있다.
상기 닭흉부연골 추출분말(Chicken Sternum Cartilage)은 콜라겐에 여러 구조 중 2형 타입에 해당하는 물질로 단백질, 콘드로이틴황산, 수분, 인, 회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콜라겐은 생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단백질의 한 종류로서 피부나 관절 연골에 많이 분포하고 그 외에 인대, 뼈, 혈관 등 전신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생체 내에서의 분포나 성질에 따라 1형, 2형, 3형~20형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중 관절에 주성분은 수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2형 구조의 콜라겐이다. 이 성분은 연골의 윤활유 역할을 해주는 물질이며 조직내에서 수분을 끌어당겨 결합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여 골관절염 및 류마티스 염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연골의 퇴행을 늦추는 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상기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은 5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는데,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 탄력성이 떨어지며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가 높지 않고 골밀도와 골생체지수인 탄성력이 낮을 수 있다.
수용성 천연 고분자
상기 수용성 천연 고분자는 외곽으로 코팅막을 형성하여 몰드의 모양대로 한방 혼합물이 코팅되도록 하는 물질로서, 구체적으로 옥수수 전분가루, 고구마 전분가루 및 멥쌀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천연 고분자는 한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이다. 수용성 천연 고분자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점도가 낮아 미세침에 한방 혼합물이 코팅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점도가 나무 높아 한방 혼합물의 흐름성이 좋지 않으므로 몰드에 상기 한방 혼합물을 주입하기 어렵고 한방 혼합물이 균일하게 혼합되기 힘들뿐만 아니라 수분에 잘 용해되지 않는다.
천연 점증제
상기 천연 점증제는 상기 수용성 천연 고분자와 혼합되면서 한방 혼합물이 경화될 때 표면이 미끄럽도록 하며 pH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부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올리고당, 과당, 맥아당, 꿀 및 한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천연 점증제는 한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이다. 천연 점증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한방 혼합물이 고체화되는 건조시간이 2배 이상 늘어나며 미생물 번식이 쉽게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코팅에 크랙이 쉽게 발생하며 코팅두께가 균일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한방 혼합물이 코팅되는 미세침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티타늄, 티타늄합금 또는 아파타이트세라믹스인 것이 상기 한방 혼합물의 점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침은 길이가 1 내지 5 mm, 머리 직경은 5 내지 20 mm을 가지는 원뿔형, 사면체형 또는 사각뿔형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면 또는 레이온 등에 부착되어 패치의 미세침(미세바늘)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패치의 미세침으로 이용시에는 상기 패치의 한쪽면에 상기 미세침이 다수개로 돌출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미세침에 레이저나 연삭기로 다수개의 홈을 구비하여 한방 혼합물이 용이하게 코팅되고 코팅막이 탈락되지 않도록 지지대 역할을 하며 피부를 침습하는데 저항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한방 혼합물은 상기 미세침에 0.01 내지 0.5 mm의 두께로 코팅막을 형성하는데, 상기 한방 혼합물은 수용성 천연 고분자 및 천연 점증제에 의하여 셀프-레벨링 특징을 가져 스스로 균일한 두께로 코팅된다. 따라서 몰드는 코팅막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의 제조방법은 (a) 시호, 진피, 당귀, 창출, 길초근, 감초, 갈근, 복령, 박하 및 치자는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가루에 사향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을 첨가하여 한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상기 한방 조성물, 수용성 천연 고분자, 천연 점증제 및 멸균 증류수를 혼합하여 한방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상기 한방 혼합물을 몰드에 투입 후 -400 내지 -600 mmHg 진공압력 하에서 방치한 다음 미세침을 상기 한방 혼합물이 투입된 몰드에 삽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미세침이 삽입된 몰드를 상대습도 20% 이하에서 20 내지 60 ℃로 건조하여 상기 미세침 표면에 한방 혼합물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a) 및 (b)단계에서는 시호, 진피, 당귀, 창출, 길초근, 감초, 갈근, 복령, 박하 및 치자를 분쇄기로 파쇄하여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 사향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을 첨가하여 한방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사향 및 흉부연골 추출분말을 나중에 첨가하면 사향 및 흉부연골 추출분말의 효능이 더욱 증대되어 피부 탄력성 증대 및 관절염 효과 증대에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한방 조성물은 상기 한방 조성물과 멸균 증류수를 1 : 2~5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내지 120 ℃ 중에서 선택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원래 중량에서 30 내지 90%를 감소시킨 다음 이를 여과하여 한방 조성물을 포제한다. 상기 여과된 한방 조성물은 감압 농축되어 동결 건조함으로 분말로 제조된다.
상기 포제 시 한약재가 모두 혼합된 한방 조성물을 포제하는 경우에 피부 탄력성 증대 및 관절염 효과 증대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한약재를 각각 포제한 후 이를 혼합하면 모두 혼합된 한방 조성물을 포제한 경우에 비하여 효과가 떨어진다.
상기 포제(匍制)는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한약재를 가공처리 함으로써 한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기술이다. 예컨대 동일한 약재라도 색재와 숙재는 성질이 같지 않거나 작용에서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한약재는 사용하기에 앞서 반드시 가공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가공을 역용식물의 포제하고 한다.
한약재를 포제하는 목적은 1. 약물을 청결하고 저장에 용이하게 하며, 2. 약물의 독성과 부작용을 저하시키거나 제거하고, 3. 약성을 변화시켜 약을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며, 4. 약물의 치료 효과를 증강시키고, 5. 한약재의 좋지 않은 냄새와 맛을 제거하여 복용하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한방 조성물과 수용성 천연 고분자, 천연 점증제 및 멸균 증류수를 혼합하여 한방 혼합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d) 및 (e)단계에서는 미세침을 상기 한방 혼합물이 투입된 몰드에 삽입한 후 이를 건조하여 한방 혼합물, 즉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방 혼합물을 홈이 형성된 몰드에 투입한 후 몰드를 폐쇄시키고 상기 폐쇄된 몰드 아래로 -400 내지 -600 mmHg 진공압력 중에서 선택된 압력을 유지하면서 5 내지 10분 동안 처리한 다음 미세침을 상기 한방 혼합물이 투입된 몰드에 삽입하여 상대습도 20% 이하에서 20 내지 60 ℃로 건조함으로써 한방 혼합물이 코팅된 미세침이 제조된다.
상기 미세침의 길이와 몰드의 깊이가 동일하여 미세침의 모든 표면에 한방 혼합물이 코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실시예 1. 한방 조성물의 제조
시호 6 중량%, 진피 5 중량%, 당귀 15 중량%, 창출 5 중량%, 길초근 1.5 중량%, 감초 5 중량%, 갈근 10 중량%, 복령 10 중량%, 박하 2 중량% 및 치자 10 중량%를 혼합하여 분쇄한 후 사향 0.5 중량%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 30 중량%를 첨가하여 한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2. 한방 조성물의 제조
시호 10 중량%, 진피 3 중량%, 당귀 20 중량%, 창출 3 중량%, 길초근 6 중량%, 감초 3 중량%, 갈근 17 중량%, 복령 17 중량%, 박하 5 중량% 및 치자 3 중량%를 혼합하여 분쇄한 후 사향 0.5 중량%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 12.5 중량%를 첨가하여 한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3. 한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사향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을 나중에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한약재와 한 번에 혼합하여 분쇄함으로써 한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4. 한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길초근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을 사용하지 않고 한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방 조성물 100 중량부와 멸균 증류수 25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발효추출기(바이오피드백 DM-3000, 대한메디안)로 108 ℃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최종적으로 50 중량부가 되도록 한 다음 여과장치에서 여과하고 감압농축시켜 10 중량부가 되도록하고 이를 동결건조함으로써 포제 한방 조성물 분말 6 중량부를 얻었다. 상기 6 중량부의 포제 한방 조성물 분말(예컨대, 한방 조성물 100 중량부)에 수용성 천연 고분자로 멥쌀가루 2.5 중량부, 고구마 전분가루 2.5 중량부; 천연 점증제로 한천 0.5 중량부, 꿀 5 중량부, 올리고당 0.5 중량부 및 맥아당 0.5 중량부; 및 멸균 증류수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한방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한방 혼합물을 다수개의 피라미드 형태의 홈이 형성된 몰드에 투입한 후 몰드를 폐쇄시키고 상기 폐쇄된 몰드 아래로 -500 mmHg 진공압력을 유지하면서 5분 동안 처리한 다음 플라스틱에 돌출형태로 부착된 다수개의 미세침들을 한방 혼합물이 투입된 몰드에 삽입하여 상대습도 20% 이하에서 40 ℃로 5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한방 혼합물이 코팅된 미세침이 구비된 패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방 조성물 대신 상기 제조실시예 2에서 제조된 한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한방 혼합물이 코팅된 미세침이 구비된 패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방 조성물 대신 상기 제조실시예 3에서 제조된 한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한방 혼합물이 코팅된 미세침이 구비된 패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포제 한방 조성물 분말의 양을 늘려 24 중량부로 함으로써 한방 혼합물이 코팅된 미세침이 구비된 패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포제 한방 조성물 분말의 양을 늘려 24 중량부로 하고, 수용성 천연 고분자의 양을 늘려 멥쌀가루 5 중량부, 고구마 전분가루 2.5 중량부하며, 천연 점증제의 양을 줄여 한천 0.5 중량부, 꿀 2.5 중량부 및 맥아당 1 중량부로 하여 한방 혼합물이 코팅된 미세침이 구비된 패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방 조성물 대신 상기 제조실시예 4에서 제조된 한방 조성물을 사용하여 한방 혼합물이 코팅된 미세침이 구비된 패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한방조성물을 108 에서 가열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한방 혼합물이 코팅된 미세침이 구비된 패치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용해도 측정
50 ml 비이커에 정제수를 20 ml를 채운 후 온도를 24 ℃로 유지한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패치를 정제수에 완전히 함침시킨 후 물에 완전히 용해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용해시간
(초)
40 50 55 70 84 50 60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의 한방 혼합물은 빠른 용해시간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실시예 1이 가장 빠른 용해시간을 보였다.
반면, 한방 혼합물의 함량이 많은 비교예 1 및 점증제의 양이 적은 비교예 2 는 용해시간이 길어 실제 이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험예 2.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 측정
상기 조성물의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Morgan-Elson Assay 법을 이용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인산완충용액에 녹인 히알루론산과 DMSO에 녹인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추출 혼합물을 각각 넣고 37 ℃에서 2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에 화합물 48/80용액을 넣고 2차 배양하였다. 히알루론산을 넣고 3차 배양 한 후 K3BO3를 넣고 열탕에서 가열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원심분리 후, 히알루론산이 히알루로니데이즈에 의해서 분해되어 생성되는 N-알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을 DMAB(p-dimetylaminobenzaldehyde)를 이용하여 585에서 비색정량하여 활성을 검증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셀레콕시브(celecoxib, Pfizer)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비교예 4 셀레콕시브
활성 억제도
(%)
61.5±0.48 43.2±0.22 33.3±0.41 21.1±0.29 18.5±0.37 63.2±0.52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한방 조성물은 양성대조군인 셀레콕시브와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가 유사하며,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비해서도 우수한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비교예 3 및 비교예 4는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3. 피부 안정성 시험
피검자 22명(평균연령 24.6세, 연령분포 19 ~ 41세)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Hill Top Chamber를 이용하여 상박에 피부 첩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단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패치를 각각 20 mm의 원형 Chamber에 부착시킨 후 시험 부위인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킨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적용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24시간, 48시간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한다. 판정은 첩포제거 24시간, 48시간 후에 행하며 피부반응은 하기 [표 3]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기호 판정기준 평가 Mean Score
- Negative 무자극 0
±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미소자극 0~0.9
+ Erythema + Induration 경자극 1.0~2.9
++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중자극 3.0~4.9
+++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강자극 5.0이상
경과시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비교예 4
24시간 - - - ± ±
48시간 - - - ± +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한방 혼합물은 피시험자 전원에서 자극을 보이지 않아 피부에 자극이 없는 안정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3 및 4는 피부에 자극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피부 투과도 시험
실시예 중 빠른 용해시간 및 우수한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 억제도를 나타낸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미세침패치는 사향 0.5 중량%가 함유된 패치로서 지표물질로 노르무스콘(RT= 23.11)를 크로마토그램으로 분석하여 RT(Retention time)값을 확인하고 세명대학교 임상지원센터에 의뢰하여 피부 투과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군은 상기 패치를 Hairless Mouse의 피부에 적용시킨 후 2 ml의 완충액(pH 7.2)에 용해하였다. 대조군으로 같은 실시예 1의 조성을 지니되 미세침이 없이 제조된 패치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지표물질로 노르무스콘의 피부투과도(경피흡수량) 정도를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0hr, 4hr, 8hr, 12hr, 24hr 용출 후 sample을 채취하고, 각각의 시간에 따른 노르무스콘의 양을 형광분석장치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로 비교하여 피부투과도를 분석하는 실험이며, 이용된 Mouse조직을 Hematoxylin & Eosin으로 염색하여 투과된 나이아신아마이드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10 ㎖의 부피와 0.636 ㎠를 가진 Franz diffusion cell을 사용하였고, 실험은 항온수조를 이용하여 37 ℃를 유지 순환시키면서 수행하였으며, 0.1mM PBS(pH7.2) 완충용액을 사용하였다. Franz Cell의 Donor에는 Mouse skin과 상기 패치(시험군과 대조군) 그리고 완충액(pH 7.2) 2 ㎖, Recptor에는 8 ㎖의 완충액을 넣고, 혈류속도를 110 rpm으로 고정시켜 실험하였다. 측정을 위해 시료를 채취한 후에는 즉시 동량의 PBS를 넣어 sink condition을 유지하였다.
KH1-Hairless mouse는 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한 6주령의 온도 23±3 ℃, 습도 50±5%, 환기 10~15회/일 조건에서 24시간 적응시킨 후 경추탈골시켜 등쪽 피부를 적출하였다. 피부는 3.0×3.0 ㎝ 크기로 적출하여 70 ℃에 보관하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구분 노르무스콘의 농도 PPM(ug/ml)
실시예 1 실시예 2 대조군
0 hr 0 0 0
4 hr 600 300 0
8 hr 1300 900 40
12 hr 2200 1500 80
24 hr 3700 2700 110
위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한방 혼합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수십배 많이 투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피부 접착 시 피부속에 용해가 가능한 한방 혼합물이 지표물질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투과시켰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다른 한약재의 유효성분들도 피부에 투과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피부 탄력 시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미세침패치로 피부 탄력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25 ℃, 상대습도 50%, 항온항습 조건의 실내에서 피부질환이 없는 건강한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눈꼬리(crows feet)부위에서 좌, 우로 나눈 후 피험자 번호순으로 좌측부위에는 실시예 1을 우측 부위에는 실시예 2를 4주간 일주일에 3회 2시간씩 적용하였고, 3M사의 저자극 의료용 테이프로 고정시켜 부착하였다.
탄력상태에 대한 피부 탄력도 평균값을 Cutometer MPA580(Courage and Khazaka, Kiln, Germany)으로 피부의 탄력정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R2
0 주 2 주 4 주
실시예 1 0.4035±0.1094 0.4284±0.0835 0.4612±0.1276
실시예 2 0.4134±0.0421 0.4214±0.1134 0.4387±0.1327
표 6의 R2값은 피부의 재변형 능력으로 총체적인 탄성(gross elasticity)을 의미한다.
위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R2값이 14.3% 증가하고 실시예 2는 R2값이 6.1% 증가하여 피부 탄력 증가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시호, 진피, 당귀, 창출, 길초근, 감초, 갈근, 복령, 박하, 치자, 사향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을 포함하여 열처리된 한방 조성물; 수용성 천연 고분자; 천연 점증제; 및 멸균 증류수;를 포함하는 한방 혼합물이 미세침 표면에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혼합물은 한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천연 고분자 1 내지 100 중량부, 천연 점증제 3 내지 100 중량부 및 멸균 증류수 100 내지 7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조성물은 시호 1~10 중량%, 진피 1~15 중량%, 당귀 5~20 중량%, 창출 5~20 중량%, 길초근 1~10 중량%, 감초 1~15 중량%, 갈근 5~20 중량%, 복령 5~20 중량%, 박하 1~10 중량%, 치자 1~10 중량%, 사향 0.01~2 중량%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 5~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은 히알루로니데이즈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혼합물이 0.01 내지 0.5 mm의 두께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침에는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천연 고분자는 옥수수 전분가루, 고구마 전분가루 및 멥쌀가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점증제는 올리고당, 과당, 맥아당, 꿀 및 한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침의 재질은 티타늄, 티타늄합금 또는 아파타이트세라믹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10. (a) 시호, 진피, 당귀, 창출, 길초근, 감초, 갈근, 복령, 박하 및 치자를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된 가루에 사향 및 닭흉부연골 추출분말을 첨가하여 한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한방 조성물, 수용성 천연 고분자, 천연 점증제 및 멸균 증류수를 혼합하여 한방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한방 혼합물을 몰드에 투입 후 -400 내지 -600 mmHg 진공압력 하에서 방치한 다음 미세침을 상기 한방 혼합물이 투입된 몰드에 삽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미세침이 삽입된 몰드를 상대습도 20% 이하에서 20 내지 60 ℃로 건조하여 상기 미세침 표면에 한방 혼합물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상기 (C)단계 사이에 상기 한방 조성물과 멸균 증류수를 1 : 2~5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내지 120 ℃ 중에서 선택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한방 조성물과 멸균 증류수의 혼합 중량에서 30 내지 90% 감소시킨 다음 이를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의 제조방법.
KR1020140072816A 2014-06-16 2014-06-16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816A KR101605711B1 (ko) 2014-06-16 2014-06-16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816A KR101605711B1 (ko) 2014-06-16 2014-06-16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118A KR20150144118A (ko) 2015-12-24
KR101605711B1 true KR101605711B1 (ko) 2016-03-23

Family

ID=5508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816A KR101605711B1 (ko) 2014-06-16 2014-06-16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979A (ko) * 2019-02-27 2020-09-07 이광석 한방 약침 마이크로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1801B (zh) * 2016-02-27 2019-01-01 浙江理工大学 一种多孔羟基磷灰石/明胶复合微针阵列贴片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9208A (ja) 2010-12-22 2014-04-17 バレリタ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極微針パッチアプリケー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244B1 (ko) 2005-03-24 2006-12-11 김세영 봉독침과 그 봉독의 코팅방법
KR100806026B1 (ko) 2006-12-05 2008-02-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분해성 약침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9208A (ja) 2010-12-22 2014-04-17 バレリタ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極微針パッチアプリケ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979A (ko) * 2019-02-27 2020-09-07 이광석 한방 약침 마이크로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6653B1 (ko) * 2019-02-27 2021-08-03 이광석 한방 약침 마이크로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118A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51663B (zh) 一种治疗肛周湿疹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041173A (zh) 一种治疗皮炎、湿疹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610926A (zh) 中药祛斑组合物、中药祛斑制剂及中药祛斑面膜
CN112190593B (zh) 一种抑制trpv1通路的多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184448A (zh) 一种具有预防痘痕生成的祛痘霜
US20150147415A1 (en) Agent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03041042A (zh) 一种藏药组合物及其在防脱生发产品中的应用
KR101605711B1 (ko) 한방 조성물이 코팅된 미세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497261A (zh) 一种外用贴剂基质及该基质制成的外用贴剂和助眠贴
CN108379350A (zh) 一种湿疹药膏及其制备方法
KR101684871B1 (ko) 캡사이신 성분이 함유된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7968A (ko) 노화 및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311854C (zh) 治疗外伤创面的药物组合物
CN113599498B (zh) 复合抑菌肽及制备方法、快速止痛蜂毒调理膏及制备方法
CN115518127A (zh) 一种抑菌抗炎消肿止痒乳膏及其制备方法
KR20160149064A (ko)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5561365B2 (ja) 持続性鎮痒外皮用剤
Hanafiah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binahong leaves extract gel on wound healing of the palatal mucosa
US11154583B2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skin relief cream useful for eczema, psoriasis, lipoma, burn wounds, scars, keloids, shingles, dry skin disorders, and skin allergies
WO2001064229A1 (fr) Medicament de traitement de l'obesite, sa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KR20210088775A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0123976A (zh) 一种治疗痔疮用傣药涂抹膏及其制备方法
CN107714834A (zh) 一种山茶油外用制剂的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CN113662980A (zh) 一种保健足浴组合物
CN105055622B (zh) 一种治疗浅度溃疡期褥疮的中药成膜凝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