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064A -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064A
KR20160149064A KR1020150086065A KR20150086065A KR20160149064A KR 20160149064 A KR20160149064 A KR 20160149064A KR 1020150086065 A KR1020150086065 A KR 1020150086065A KR 20150086065 A KR20150086065 A KR 20150086065A KR 20160149064 A KR20160149064 A KR 20160149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alo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4131B1 (ko
Inventor
최연매
백진홍
김성아
김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김정문알로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김정문알로에 filed Critical 주식회사김정문알로에
Priority to KR102015008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13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보습, 피부 혈행 개선, 피부 셀룰라이트 분해 또는 슬리밍 효과를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로에 베라 추출물, 알로에 아보레센스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OMPRISING ALOE EXTRACTS AND CAPSAICIN}
본 발명은 피부 보습, 피부 혈행 개선 및 셀룰라이트 억제 효능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외부 환경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특히 피부는 인체가 가지고 있는 약 65~70%의 수분, 즉 인체에 필요한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을 운반하며,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이러한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행(血行)이란 혈액 순환을 말하는 것으로, 혈액이 동물의 체내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혈행은 산소를 체내 각 조직에 공급하고 탄산가스를 방출하며, 영양소를 보급하고 대사 산물을 방출하며, 여러 내분비선에서 호르몬을 운반하여 특정 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며, 그 밖에 병원균 조절작용과 체온 조절, 삼투압 조절, 수분 조절 등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고, 혈액순환 장애로 인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 및 혈행 개선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웰빙에 의한 건강과 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과도한 피하 지방의 제거 및 피부 탄력 증진에 효과적인 슬리밍 및 셀룰라이트 개선용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비만이란 체내 지방이 과도하게 누적되어 있는 상태로서 체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로 정의하며, 남성의 경우 체중의 20~50% 이상, 여성의 경우 30~35% 이상인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하고, 비만의 형태에 따라 단순성 비만과 증후성 비만으로 나눌 수 있다.
셀룰라이트는 여성의 피부 및 피하 지방에서 주로 발생하며, 과도한 지방과 노폐물의 축적으로 인한 순환 장애로 인하여 거친 오렌지 껍질 같이 울퉁불퉁한 피부가 되는 현상이다. 셀룰라이트의 발생 원인은 단순한 비만과는 차이가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지방 세포의 증가나 비대에 그 원인이 있다.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및 혈행 개선에 따른 셀룰라이트 억제를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로에 베라 추출물, 알로에 아보레 센스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아보레 센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캡사이신을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습 및 혈행 개선 조성물은 캐모마일, 네롤리, 제라늄, 캐럿시드, 로만 캐모마일, 라벤더, 쟈스민, 호호바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소맥배아 오일, 코코아버터, 시어버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연고 및 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알로에 베라 추출물, 알로에 아보레 센스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것으로, 캡사이신의 자가 발열작용에 의해 지방세포 증식을 억제하여 바디 셀룰라이트(cellulite)를 예방 및 제거하고, 심부열을 통한 체내의 유해산소를 배출하며, 혈행개선을 통한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사이신의 효능 중 널리 알려진 항통증 작용으로 바디 릴렉싱 효과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알로에 베라 및 알로에 아보레 센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즉각적 및 2주 사용시 피부 혈행 변화를 측정한 피부 혈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알로에는 오늘날 세계적인 약용 식물로 이용되고 있는 다즙(多汁)의 다년생 초본(草本)으로 외형상 선인장과 비슷하나 실제로는 백합과(lily family), 알로에속(aloe genus)에 속하며, 백합과의 약 10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아프리카 온난 건조한 기후지역이 원산지인 알로에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피부의 상처, 화상 및 염증 치료에 사용한 것으로 근대에 이르러 1930년대 초에는 병원에서 가벼운 피부질환 치료와 방사선 피부염에 자주 사용되었다. 의학이 발달되지 않던 그리스 시대부터 상처 치유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 왔으며 피부 미용 재료로 고대부터 오랜 기간 사용되었다.
알로에는 종류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창과 같은 모양에 녹색 잎의 양끝에는 가시가 있고 잎의 끝은 뾰족하다. 알로에의 주요한 성분은 육탄당을 포함하는 고분자 다당체, 알로에틴(aloetin), 알로에울신(aloe ulcin) 및 알로미틴 등이며, 이들 성분들은 대부분 잎의 내부에 있는 겔 속에 존재한다.
알로에의 종류는 약 500여종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그 중에서 알로에 베라(aloe vera)는 "의약의 식물", "기적의 식물" 등으로 불리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왔다. 알로에 베라의 학명은 알로에 발바덴시스 밀러(Aloe barbadensis miller)로서 80가지 이상의 유효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알로에 베라의 "aloe" 는 아랍어로 맛이 쓴 물질, "vera"는 라틴어로 진실을 뜻한다. 알로에 베라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하여 연약한 아기 피부에 수분 보호막을 만들어 준다. 또한, 상처 치유 및 세포 재생에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알로에 베라 추출물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추출 용매로는 초산에틸, 에테르, 클로로포름,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로에 베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알로에 아보레센스(aloe avoresence)는 작은 나무 모양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된 것으로, 일본에서는 목립(木立) 알로에 라고도 불린다. 원산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나 일본 히로시마에서 원자 투하 후의 내·외용으로 사용하여 효과를 본 사례가 있어, 일본에서 민간약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알로에 아보레센스는 피부손상을 예방하며, 살결을 매끄럽게 가꾸는데 도움을 주고, 주성분인 알로에틴은 피부살균에 효과가 있어 피부트러블의 예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알로에 아보레센스 추출물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추출 용매로는 초산에틸, 에테르, 클로로포름,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로에 아보레센스 추출물은 조성물 총중량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캡사이신(capsaicin)은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이와 관련된 화합물은 캡사이노이드(capsaicinoid)로 불리며 매운맛을 내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고추속 식물의 씨앗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향신료, 식품 첨가물 또는 약제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캡사이신이나 디하이드로 캡사이신은 고추에 포함되는 매운맛 성분이다. 이러한 캡사이신은 혈액 순환 촉진, 대사 촉진 및 소염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에너지 연소를 촉발하는 수용체를 자극해 체중 증가 억제 및 지방 연소의 효과를 가진다.
캡사이신은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상기와 같은 알로에 베라 추출물, 알로에 아보레센스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함께 포함하여, 캡사이신이 가지는 혈액 순환 촉진 및 지방 연소 효과를 가지며, 알로에 베라의 피부 보습효과와 알로에 아보레센스의 피부 트러블 억제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알로에 베라 추출물, 알로에 아보레센스 추출물 및 캡사이신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피부 혈행 개선과,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트러블 억제 기능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및 에센스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를 도포하는 경우, 피부 표면상의 온도는 큰 변화가 없을 수 있으나, 캡사이신에 의한 심부열의 발생으로 인해 혈행의 개선과 함께 발열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표피에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높은 열감에 익숙하지 않은 대상에게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알로에 베라 추출물의 제조
3년 이상 생육한 알로에 베라 잎을 채취한 후, 전잎을 열풍 건조하였다.
상기의 열풍 건조물을 분쇄한 후, 반응기에 투입하고, 15배 용량의 에테르로 환류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알로에 아보레센스 추출물의 제조
3년 이상 생육한 알로에 아보레센스는 잎을 채취한 후, 전잎을 열풍 건조하였다.
상기의 열풍 건조물을 분쇄한 후, 반응기에 투입하고, 15배 용량의 에테르로 환류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알로에 아보레센스 추출물과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알로에 베라 추출물 5.0 5.0 5.0 0 5.0
알로에 아보레 센스 추출물 5.0 5.0 0 5.0 5.0
캡사이신 3.0 5.0 3.0 3.0 0
시토 스테롤 4.0 4.0 4.0 4.0 4.0
폴리글리세를 2-올레이트 3.0 3.0 3.0 3.0 3.0
세라마이드 0.8 0.8 0.8 0.8 0.8
세타아레스-4 3.0 3.0 3.0 3.0 3.0
디세틸포스페이트 5.0 5.0 5.0 5.0 5.0
글리세린 5.0 5.0 5.0 5.0 5.0
허브 오일 20.0 20.0 20.0 20.0 2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0.5 0.5 0.5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0.5 0.5
방부제 0.1 0.1 0.1 0.1 0.1
향료 0.1 0.1 0.1 0.1 0.1
정제수 45.0 43.0 50.0 50.0 48.0
합 계(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피실험자 선정 기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선정 기준에 따른 21명의 피실험자를 선정하였다.
시험대상자 선정기준 1. 만 20~55세의 여성
2. 시험의 목적, 내요 등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도의 서명한 자
3. 시험기간 동안 추적관찰이 가능한 자
4. 시험 대상자 제외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자
실험대상자
제외기준
1. 본인이 원하지 않거나 동의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
2. 정신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3. 감염성 피부 질환이 있는 경우
4. 시험 참가 시점 3개월 이내에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은 경우
5. 시험참가 시점 1개월 이내에 전신 스테로이드 또는 광선치료를 받은 경우
6. 시험 부위에 병변이 있어 측정이 곤란한 경우
7. 아토피성 피부를 가진 경우
8.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일상적인 광 노출에 대한 반응이 심하거나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9. 시험참가 시점 3개월 이내에 피부 스켈링 또는 피부 관리를 받은 경우
10. 임신 중이거나 수유중인 경우
11. 기타 위의 사항들 외에 책임연구자 또는 시험담당자 판단으로 인체적용시험 수행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 시험예 1> 피부 혈행 변화 측정
실시예 1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사용에 따른 즉각적 및 2주 사용시 피부 혈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표 2와 같은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21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사용 전, 사용 직후 및 사용 2주 후의 피부 혈행을 레이저 도플러(Laser doppl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부 혈행 측정 값은 표 3 및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사용 전 40.10±11.55A.U, 사용 직후 53.43±13.95A.U 및 사용 2주 후 57.52±12.51A.U 로 측정되었다.
피부 혈행 변화를 더 정확하게 알기 위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유의성 여부를 검정하였으며, 정규성 검정에 따라 모수적 방법인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검정하고 본페로니 보정(Bonferroni correction)으로 사후 검정한 결과, 피부 혈행 측정값이 실시예 1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사용 전에 비해 사용 직후 37.74% 증가 하였으며, 사용 전에 비해 사용 2주후 47.83% 증가하여, 사용 전에 비해 사용 직후 및 사용 2주 후 유의적으로 증가(p<0.05)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 분 실시예 1
사용 전 피부 혈행(A.U) (Mean±SD) 40.10±11.55
사용 직후 피부 혈행(A.U) (Mean±SD) 53.43±13.95
사용 2주 후 피부 혈행(A.U) (Mean±SD) 57.52±12.51

군내 비교
유의 확률
사용 전 피부 혈행 - 사용 직후 피부 혈행 0.000**
사용 전 피부 혈행 - 사용 2주 후 피부 혈행 0.000**
** : p<0.05 by repeated measures ANOVA, post hoc Bonferroni correction
< 시험예 2> 유효성 설문 조사
실시예 1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발열감 및 2주 사용 후 피부 혈행 개선 효과 정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하기 표 4에 설문조사 결과 값과 표준편차 및 답변에 대한 시험 대상자 수의 백분율을 구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시험대상자 수(백분율, %) 평균 표준편차
4* 3* 2* 1* 0*
발열감 6
(28.6)
13
(61.9)
1
(4.8)
1
(4.8)
0 3.14 0.73
2주 사용 후 피부 혈행
개선 효과
2
(9.5)
12
(57.1)
6
(28.6)
1
(4.8)
0 2.71 0.72
* 4: 아주 좋음, 3: 좋음, 2: 보통, 1: 나쁨, 0: 아주 나쁨
설문 조사 결과, 발열감 및 2주 사용 후 피부 혈행 개선 효과 정도에 대하여 시험대상자의 95% 이상이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발열감과 관련하여 실시예 1 조성물의 사용전 후 피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 34.40±0.81℃, 사용 직후 34.23±0.81℃로서 거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실제 피부 온도 상승 없이 발열감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3> 기호도 설문 조사
실시예 1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사용 후 피부 촉촉함, 매끄러움, 온열감, 발림성, 향 및 전반적 사용감 정도에 대하여 시험 대상자가 느끼는 기호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하기 표 5 에 항목별 답변의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시험대상자 수(백분율, %) 평균 표준편차
4* 3* 2* 1* 0*
촉촉함 3
(14.3)
10
(47.6)
8
(38.1)
0 0 2.76 0.70
매끄러움 3
(14.3)
11
(52.4)
5
(23.8)
2
(9.5)
0 2.71 0.85
온열감 5
(23.8)
13
(61.9)
1
(4.8)
2
(9.5)
0 3.00 0.84
발림성 3
(14.3)
8
(38.1)
9
(42.9)
0 1
(4.8)
2.57 0.93
1
(4.8)
6
(28.6)
13
(61.9)
0 1
(4.8)
2.29 0.78
전반적 사용감 2
(9.5)
15
(71.4)
2
(9.5)
2
(9.5)
0 2.81 0.75
* 4: 아주 좋음, 3: 좋음, 2: 좋음, 1: 나쁨, 0: 아주 나쁨
설문 조사 결과, 촉촉함에 대하여 100%, 발림성 및 향에 대하여 95% 이상, 매끄러움, 온열감, 전반적 사용감에 대하여 90% 이상의 시험대상자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슬리밍 효과 측정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슬리밍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표 2와 같은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6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1주일에 3회, 총 2주 동안 복부 부위에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마사지를 하게 하였다. 사용 전 및 2주 동안 총 6회 사용 후의 몸무게, 체지방, 허리둘레 등을 측정하여 표 6에 나타내었고,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횟수 피실험자1 피실험자2 피실험자3 피실험자4 피실험자5 피실험자6
몸무게
(kg)
0 77.5 64.7 56.6 54.4 64.9 54.8
6 75.0 63.7 55.8 53.6 64.5 54.2
체지방
(%)
0 30.8 35.2 27.2 25.7 30.2 27.1
6 28.4 34.8 26 25.3 29.3 24.2
허리둘레
(cm)
0 99.0 90.5 78.0 74.0 88.0 76.0
6 95.0 85.0 77.0 73.0 87.0 73.0
구분 평균 표준편차
전(0회) 후(6회) 전(0회) 후(6회)
몸무게(kg) 62.2 61.1 8.9 8.3
체지방(%) 29.4 28.0 3.5 3.8
허리둘레(cm) 84.3 81.7 9.8 8.8
상기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도포 부위인 복부의 유의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몸무게와 체지방이 평균적으로 감소하였고, 특히 허리둘레가 유효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체지방 또한 감소하였으므로, 지방세포의 증가 및 비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셀룰라이트에 대한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알로에 베라 추출물, 알로에 아보레센스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중량부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아보레센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중량부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사이신을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부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캐모마일, 네롤리, 제라늄, 캐럿시드, 로만캐모마일, 라벤더, 쟈스민, 호호바 오일, 올리브 오일, 아보카도 오일, 소맥배아 오일, 코코아버터, 시어버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연고 및 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 보습, 피부 혈행 개선, 피부 셀룰라이트 억제 및 슬리밍 효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50086065A 2015-06-17 2015-06-17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6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065A KR101764131B1 (ko) 2015-06-17 2015-06-17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065A KR101764131B1 (ko) 2015-06-17 2015-06-17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064A true KR20160149064A (ko) 2016-12-27
KR101764131B1 KR101764131B1 (ko) 2017-08-02

Family

ID=5773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065A KR101764131B1 (ko) 2015-06-17 2015-06-17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278B1 (ko) * 2018-10-04 2019-03-18 주식회사 스킨이데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2636086B1 (ko) 2021-08-24 2024-02-13 주식회사 케이제이엠바이오 알로에 초임계 추출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64827A (ko) 2022-05-26 2023-12-0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심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131B1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9654B (zh) 一种舒敏护肤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3041173B (zh) 一种治疗皮炎、湿疹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074663A (zh) 一种植物提取物及激素依赖性皮炎修复霜
CN109288764B (zh) 一种纯露喷雾及其制备方法
WO2013048235A2 (en) A medicinal herbal ointment
HU202743B (en)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comprising medicinal herb extracts, cosmetics comprising such active ingredi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medicinal and veterinary compositions
Saraf et al. Development of photochemoprotective herbs containing cosmetic formulations for improving skin properties
CN110327438A (zh) 一种舒缓按摩膏
KR100990195B1 (ko)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질환 완화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2026535B1 (ko) 생약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8142A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5646117B2 (ja) 発毛促進剤及び製造方法
KR101764131B1 (ko)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9303724A (zh) 一种新型含艾叶的舒缓修护原液组合物
Lee et al. A Study on the Effect of Eclipta Prostrata Extract and MTS on the Improvement of Scalp Health and Prevention of Hair Loss for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KR20150057334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CN106361875A (zh) 一种止汗除异味的组合物
KR101914969B1 (ko)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Singh et al. Indian medicinal plants: For hair care and cosmetics
CN110179708A (zh) 一种植物赋活精油及制备方法
CN101869616A (zh) 一种育发液及其制造方法
JP5561365B2 (ja) 持続性鎮痒外皮用剤
JP2005272470A (ja) 皮膚に保湿効果を与える漢方生薬材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N113876852A (zh) 一种抑菌抗炎、抗过敏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