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278B1 -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278B1
KR101959278B1 KR1020180118316A KR20180118316A KR101959278B1 KR 101959278 B1 KR101959278 B1 KR 101959278B1 KR 1020180118316 A KR1020180118316 A KR 1020180118316A KR 20180118316 A KR20180118316 A KR 20180118316A KR 101959278 B1 KR101959278 B1 KR 101959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de
skin
weight
bead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킨이데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킨이데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킨이데아
Priority to KR1020180118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에서 채취한 농축 젤에 펩타이드 성분이 포함된 세라마이드코팅비드와 자색당근분말을 포함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자외선에 노출되어 붉게 변한 피부를 진정시키고, 주름 개선의 효과를 지니며, 비타민 A, 비타민 C, 안토시아닌 등, 피부에 충분한 영양을 부여하여 피부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지니며, 피부 재생효과가 뛰어난 피부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용매로서 사용되는 농축젤, 펩타이드 활성비드에 세라마이드 성분이 코팅된 세라마이드코팅비드, 자색당근 분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농축 젤은,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을 6:4의 비율로 혼합하여 에탄올 추출 후, 감압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세라마이드코팅비드는 펩타이드 성분으로 이루어진 활성비드 위에 미생물에서 추출한 천연 세라마이드를 코팅하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A gel-type ski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eptid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이 발명은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에서 채취한 농축 젤에 펩타이드 성분이 포함된 세라마이드코팅비드와 자색당근분말을 포함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자외선에 노출되어 붉게 변한 피부를 진정시키고, 주름 개선의 효과를 지니며, 비타민 A, 비타민 C, 안토시아닌 등, 피부에 충분한 영양을 부여하여 피부를 개선시키며 피부 보습의 효과를 지니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표피층, 진피층, 피부조직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표피 아래의 진피층은 콜라겐과 엘라스틴, 히알루론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콜라겐은 단백질의 일종인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결합조직으로, 인간의 노화가 진행되면서 치밀했던 콜라겐 섬유의 양이 줄고, 느슨해지면서 탄력이 떨어져 피부가 처지거나 팔자 주름이 깊게 패여 얼굴이 울퉁불퉁하고 넓어보이게 된다. 물론, 노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든 인간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미(美)를 중시하는 많은 인간에게 노화란 재앙과도 같다.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은 끊임없이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의 콜라겐을 늘리는 방법 또한 함께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항노화 연구에서 주목받고 있는 성분 또한 다양하다. 특히 두 개 이상의 아미노산 결합으로 인하여 만들어진 물질인 펩타이드의 경우에도 진피층의 콜라겐을 직접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는 성분이다. 펩타이드의 경우 단백질 형태보다 입자가 작아, 진피층에 깊숙이 침투된다는 장점이 있어 보다 나은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참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7-0003903의 경우 비타민과 펩타이드의 상호보완적 작용을 통하여 항노화 또는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에 사용된 나이아신아마이드(비타민 B)의 경우 일정 성분 이상이 포함되었을 때, 조성물 내에서 석출되어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비타민 C)의 경우 비타민 C 유도체로서 그 활성이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7-0003903
이에 이 발명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든 성분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보다 안정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펩타이드 성분이 포함된 세라마이드 비드를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 응축 젤에 포함시켜,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효과와 보습 효과가 뛰어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발명의 구성은, 용매로서 사용되는 농축젤, 펩타이드 활성비드에 세라마이드 성분이 코팅된 세라마이드코팅비드, 자색당근 분말,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농축 젤은,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을 6: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에탄올 추출 후, 감압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세라마이드코팅비드는 펩타이드 성분으로 이루어진 활성비드 위에 미생물에서 추출한 천연 세라마이드를 코팅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구성으로 상기 펩타이드 활성비드의 성분은,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 카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 올리고펩타이드-29, 올리고펩타이드-32,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1을 모두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대나무줄기 추출물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 젤을 제조하는 단계, 펩타이드 활성비드 위에 세라마이드를 코팅하여 세라마이드코팅비드를 제조하는 단계, 자색당근을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분쇄하여 자색당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상기의 세라마이드코팅비드 10~15 중량%, 자색 당근 분말 5~10 중량%,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5 중량%,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 2~5 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상기의 농축젤 75~80 중량%에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의 용해된 젤을 3일 동안 2~3℃의 온도가 유지되는 저온고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으로 상기한 농축젤은,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대나무줄기 3kg과 알로에베라잎 2kg을 2~3cm의 크기로 분쇄하여 에탄올 15L에 넣고 10℃를 유지하며 36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상기의 추출물을 100mesh의 여과포에서 여과하는 단계, 상기의 여과물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30℃를 유지하며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으로 상기한 세라마이드코팅비드는, 부틸렌글라이콜 55~65 중량%와 레시틴 3~7 중량%를 첨가하고 펩타이드 성분 30~40 중량%를 첨가하여 80~90℃로 교반하는 단계, 상기의 교반된 조성물을 분무 건조하여 300~500㎛ 크기의 펩타이드 비드를 제조하는 단계, 올레산 40~45중량%, 레시틴 20~25중량%, 세라마이드 32~35중량%를 80~90℃로 교반하는 단계, 상기의 펩타이드 비드 표면에 세라마이드 교반액을 분사시켜 350~570㎛ 크기의 세라마이드코팅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으로 상기한 자색당근 분말의 제조는, 자색당근을 5~7cm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의 절단된 자색 당근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60℃에서 24시간 동안 동결건조하는 단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기의 자색당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500~7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완성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은 펩타이드와 자색당근 분말 및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에서 추출한 농축 젤을 포함하여 피부에 안정적이며, 자외선 등에 의해 상한 피부의 진정 및 보습, 영양 공급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세라마이드코팅비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펩타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에서 추출한 성분을 포함하는 농축젤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 이다.
도 4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라마이드코팅비드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색당근분말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에 대한 이점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 발명 실시에 따른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은 용매로서 사용되는 농축젤, 펩타이드 활성비드에 세라마이드 성분이 코팅된 세라마이드코팅비드, 자색당근 분말,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농축 젤은,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을 6:4의 비율로 혼합하여 에탄올 추출 후, 감압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세라마이드코팅비드는 펩타이드 성분으로 이루어진 활성비드 위에 미생물에서 추출한 천연 세라마이드를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형 피부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세라마이드코팅비드 입자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라마이드코팅비드(20)의 구조는 펩타이드 성분이 포함된 펩타이드 활성비드(21)를 포함하며, 상기 활성 비드 위에 코팅되는 세라마이드코팅층(22)을 포함한다.
이 때 사용되는 세라마이드코팅비드(20)의 전체 크기는 350~570㎛로, 펩타이드 활성비드(21)의 크기는 300~500㎛가 바람직하다. 비드의 크기가 300㎛ 미만인 경우 성분의 활성이 미약하고, 500㎛를 초과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할 시 활성성분의 잔여물이 남아 피부 발림성 및 흡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라마이드코팅층(12)의 두께는 5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마이드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펩타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활성성분이 화장료 조성물로 혼입될 수 있어 화장료 조성물의 제작에 용이하지 않으며, 70㎛를 초과 할 경우 펩타이드 활성비드가 피부에 충분히 작용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의 구성은,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에서 성분을 채취하여 농축젤을 제조하는 단계(S10), 펩타이드 활성비드에 세라마이드를 코팅한 세라마이드코팅비드를 제조하는 단계(S20), 자색당근을 이용하여 자색당근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30), 상기한 농축젤에 세라마이드코팅비드, 자색 당근 분말,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을 용해시키는 단계(S30), 상기의 용해된 화장료 조성물을 상온에서 교반하는 단계(S40), 상기의 교반된 화장료 조성물을 숙성하는 단계(S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의 세라마이드코팅비드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10.0~15.0 중량% 일 수 있으며, 10.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그 활성이 미약하고 15.0%를 초과하면 화장료 조성물 내에 과다 분포되어 발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때 사용되는 자색 당근 분말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1~30.0 중량%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20.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0~10.0 중량%일 수 있다.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그 활성이 미약하고, 30 중량% 초과로 사용하면 용해성이 떨어져 석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 3은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에서 추출한 성분을 포함하는 농축젤의 제조 방법 흐름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에서 추출한 성분을 포함하는 농축 젤의 제조 방법의 구성은, 2~3cm의 크기로 분쇄한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에 에탄올을 넣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며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S101), 상기의 추출물을 여과포에서 여과하는 단계(S102), 장치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S103)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라마이드코팅비드의 제조 방법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세라마이드코팅비드의 제조 방법 구성은, 부틸렌글라이콜, 레시틴, 펩타이드 성분을 교반하는 단계(S201), 상기의 교반된 조성물을 분무 건조하여 비드 형태로 만드는 단계(S202), 미생물에서 천연 세라마이드 성분을 추출하여 올레산과 레시틴을 교반하는 단계(S203), 상기의 펩타이드 활성비드에 세라마이드 성분을 코팅하는 단계(S2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펩타이드는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 카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 올리고펩타이드-29, 올리고펩타이드-32,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1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도 5는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색당근분말의 제조 방법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색당근분말의 제조 방법 구성은, 자색당근을 5~7cm로 절단하는 단계(S301), 절단된 자색당근을 -60℃에서 24시간 동안 동결건조하는 단계(S302), 동결건조된 당근을 500~700mesh로 분쇄하는 단계(S3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세라마이드코팅비드(15 중량%)와 농축젤을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대나무줄기 3kg과 알로에베라잎 2kg을 2~3cm의 크기로 분쇄하여 에탄올 15L에 넣고 10℃를 유지하며 36시간 동안 추출한 후, 100mesh의 여과포에서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였으며, 30℃를 유지하며 장치 내에서 감압 농축하여 농축젤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부틸렌글라이콜 60.0
레시틴 5.0
펩타이드 35.0
표 1과 같이 부틸렌글라이콜 60.0 중량%에 계면활성제인 레시틴을 5.0 중량% 첨가하고, 펩타이드 35.0 중량%를 첨가하여 80℃에서 교반하였다.
얻어진 조성물을 분무 건조하여 평균 직경 500㎛의 펩타이드 비드를 얻는다.
성분 함량(중량%)
올레산 40.0
레시틴 25.0
세라마이드 35.0
표 2와 같이 올레산 40.0 중량%에 레시틴을 25.0 중량% 첨가하고, 세라마이드 35.0중량%를 첨가하여 80℃에서 교반하였다.
얻어진 세라마이드 교반액을 상기의 펩타이드 비드 표면에 분사시켜 평균 직경 570㎛ 크기의 세라마이드코팅비드를 제조하였다.
상기한 구성으로 자색당근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5~7cm로 자색당근을 절단하고, 자색당근의 품질 변화를 최소화하고 영양성분의 손실을 막기 위하여 표 2와 같이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60℃에서 24시간 동안 동결건조 과정을 거쳤으며,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자색당근편(片)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500~700mesh의 크기로 분쇄하여 자색당근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동결건조 온도(℃) -60
동결건조 시간(시간) 24
상기한 농축젤에 세라마이드코팅비드와 자색당근분말을 포함하여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72시간 동안 2~3℃의 온도가 유지되는 저온고에서 숙성 하였으며, 표 4에 화장수의 성분 비율(중량%)을 나타내었다.
성분 비율(중량%)
세라마이드코팅비드 15.0
자색 당근 분말 5.0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0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 3.0
농축젤 75.0
100
(실시예 2) 세라마이드코팅비드(10 중량%)와 농축젤을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2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표 5에서와 같이 세라마이드코팅비드를 10 중량%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성분 비율(중량%)
세라마이드코팅비드 10.0
자색 당근 분말 5.0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0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 3.0
농축젤 80.0
100
(비교예 1) 세라마이드코팅비드(20 중량%)와 농축젤을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상기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 1로 표 6과 같이 세라마이드코팅비드를 20 중량%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율(중량%)
세라마이드코팅비드 20.0
자색 당근 분말 5.0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0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 3.0
농축젤 70.0
100
(비교예 2) 세라마이드코팅비드(15 중량%)와 정제수를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상기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 2로 표 7과 같이 농축젤 대신 정제수를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율(중량%)
세라마이드코팅비드 15.0
자색 당근 분말 5.0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0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 3.0
정제수 75.0
100
(비교예 3) 농축젤 내에 펩타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상기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 3으로 표 8과 같이 세라마이드코팅비드 대신 펩타이드와 세라마이드 성분을 직접적으로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율(중량%)
펩타이드 3.0
세라마이드 3.0
자색 당근 분말 5.0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0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 3.0
농축젤 84.0
100
(비교예 4, 5, 6)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세라마이드코팅비드의 세라마이드 코팅층에 대하여 비교예 4, 5, 6으로 표 9와 같은 코팅층 두께를 가지는 세라마이드코팅비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 ㎛)
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펩타이드 활성물질의 지름 500 500 500 500
세라마이드코팅층의 두께 70 50 30 90
세라마이드비드의 총 지름 570 550 530 590
그러나 비교예 5의 경우 세라마이드코팅층이 얇아 에센스 내로 내용물이 혼입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실험예로 사용하지 못하였다
(비교예 7, 8, 9)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세라마이드코팅비드의 펩타이드 활성비드의 지름에 대하여 비교예 7, 8, 9로 표 10과 같은 지름을 가지는 펩타이드 활성비드로 만들어진 세라마이드코팅비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 ㎛)
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펩타이드 활성물질의 지름 500 300 100 700
세라마이드코팅층의 두께 70 70 70 70
세라마이드비드의 총 지름 570 370 170 770
(실험예 1) 세라마이드코팅비드의 중량%에 따른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비교예 3에서 제조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예 1을 수행하였다.
건강한 피부를 가지고 있는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에 대한 직관적 관능실험을 행하여 가장 발림성이 좋은 화장료 조성물과 가장 발림성이 좋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을 투표한 결과를 하기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개)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3
가장 발림성이 좋은 화장료 조성물 10 8 2 0
가장 발림성이 좋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 0 1 5 14
표 11과 같이 세라마이드코팅비드의 중량이 15.0 일 때와 10.0 일 때 발림성이 좋았다는 투표 결과가 있었으며, 세라마이드코팅비드의 중량이 20.0 일 때, 발림성이 좋지 않다는 투표 결과가 전체 투표결과의 70%를 차지하였다.
(실험예 2) 농축젤 사용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2에서 제조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예 2를 수행하였다.
건강한 피부를 가지고 있는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효과에 대한 직관적인 관능실험을 행하였다. 이 실험에 참여한 성인 남녀는 선크림을 바른 상태로 25도 이상의 날씨에서 1시간 동안 외부활동을 한 상태였으며, 왼쪽 광대 부분에 실시예 1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였고, 오른쪽 광대 부분에 비교예 2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햇빛에 달아오른 피부의 진정 효과를 판정하고 하기의 표 12에 나타내었다.
이 실험은 피부 화장료 조성물이 피험자의 땀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부활동 후, 물로 세안한 후에 진행되었다. 또한 이 실험을 보다 객관적으로 실천하기 위하여 실험에서 사용된 화장료 조성물은 상온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한 것으로, 온도 차이에 의한 피부 진정효과는 배제하였다.
구분 5분 10분 15분 20분
실시예 1 ×
비교예 2 × ×
<피부 진정 정도>
◎ : 10명 중 9명 이상의 피부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옴.
○ : 10명 중 6명 이상의 피부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옴.
● : 10명 중 3명 이상의 피부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옴.
×: 10명 중 2명 이하의 피부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옴.
표 12와 같이 농축젤을 사용한 경우 피부 진정효과가 뛰어났으며, 농축젤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피부 진정 효과가 거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험예 3) 세라마이드코팅 여부에 따른 경피수분손실 및 피부 보습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3에서 제조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경피수분손실 및 피부 보습 효과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예 3을 수행하였다.
건강한 피부를 가지고 있는 20~40대의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14일간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을 손등에 각각 도포하여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해 실험하였으며, 이후 14일간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을 중단하였을 경우의 경피수분 손실과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해 실험하였다.
피험자는 매일 오전과 오후 2회씩 배포한 시료를 자가 도포하였고, 7일에 한 번 실험실에서 Tewameter를 이용하여 피부로부터 발산하는 수분량을 산정하여 Adolf Fick's Law에 따라 수치화한 값을 하기의 표 13에 나타내었다.
수분함유량측정시간 실시예 1 실험예 3
실험 전 45.73(±7.46) 45.13(±7.12)
외용액 도포 직후 52.51(±3.52) 51.11(±3.66)
30분 후 61.22(±6.22) 60.53(±6.72)
8시간 후 62.78(±6.85) 61.25(±6.32)
1일 후 54.13(±5.54) 50.63(±5.92)
7일 후 51.75(±2.65) 40.02(±6.85)
14일 후 52.85(±3.55) 42.22(±4.95)
21일 후 46.19(±5.78) 38.32(±6.25)
28일 후 44.32(±6.55) 44.11(±5.12)
표 13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의 경우 시료 도포 후 8시간 후의 수분량이 가장 높으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14일 동안 거의 유사한 피부 수분량을 유지하였으며, 화장료 조성물 도포를 중단한 후에는 피부 수분량이 서서히 감소하며 28일 후에는 실험 전의 피부 수분량과 유사해졌음을 볼 수 있다.
실험예 3의 경우 실시예 1과 같이 시료 도포 후 8시간 후의 수분량이 가장 높았으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14일 동안 수분량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화장료 조성물 도포를 중단한 후, 수분량이 가장 낮았고, 28일 후 실험 전의 피부 수분량과 유사해졌음을 볼 수 있다.
실시예 1의 경우 특히 외용액 도포 시간이 지날수록 피험자들간의 피부 수분량 편차가 실험 전과 비교하였을 때, 급격히 낮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실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세라마이드 코팅을 한 실시예 1의 외용액은 세라마이드코팅을 하지 않은 실험예 3의 외용액보다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세라마이드코팅층의 두께에 따른 피부 도포 실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4, 6에서 제조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도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예 4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4, 6에서 제조된 에센스를 건강한 피부를 가진 20~40대의 성인남녀 10명의 피부에 도포하여 총 5번의 관능검사를 실행한 후, 그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횟수 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6
1
2
3
4
5
<피부 도포 정도>
◎ : 10명 중 8명 이상이 도포성이 좋다고 대답함.
○ : 10명 중 5명 이상이 도포성이 좋다고 대답함.
● : 10명 중 4명 이하가 도포성이 좋다고 대답함.
표 14와 같이 세라마이드코팅층의 두께가 커질수록 도포성이 좋지 않았으며, 특히 비교예 6의 경우 세라마이드코팅층이 손 끝에 남은 잔열에 곧바로 녹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실험예 5) 펩타이드 활성성분의 지름에 따른 피부 도포도 및 피부 보습 실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7, 8, 9에서 제조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도포도 및 피부 보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예 5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7, 8, 9에서 제조된 에센스를 건강한 피부를 가진 20~40대의 성인 남녀 10명의 피부에 도포하여 28일간 관능검사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5에 나타내었다.
1주 2주 3주 4주
보습성 흡수성 보습성 흡수성 보습성 흡수성 보습성 흡수성
실시예 1 ++ +++ +++ +++
비교예 7 ++ ++ +++ +++
비교예 8 ± ± ± +
비교예 9 + × × × × × ×
<보습 평가 기준>
+++ : 매우 양호한 개선 효과가 있음.
++ : 상당한 개선효과가 있음.
+ : 약간의 개선효과가 있음.
±: 개선 효과는 없으나 악화되지도 않음.
- : 개선 효과가 없고 오히려 악화됨.
<피부 도포성 정도>
◎ : 10명 중 8명 이상이 도포성이 좋다고 대답함.
○ : 10명 중 5명 이상이 도포성이 좋다고 대답함.
● : 10명 중 4명 이하가 도포성이 좋다고 대답함.
표 15에서와 같이 활성물질의 지름이 커질수록 보습의 효과가 커졌으나, 활성물질의 지름이 가장 큰 비교예 9의 경우 피부 도포성이 좋지 않다는 의견이 많아 2주차 실험을 중단하였다.
(실험예 6) 주름개선 효과 평가.
상기의 실험예 1~5로 가장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실시예 1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은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40~60대 여성 총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의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12주동안 얼굴에 하루에 2번 도포하게 하고, 2주에 한 번씩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6에 나타내었다.
시간 40대 50대 60대
2주 + + ±
4주 + + +
6주 ++ + +
8주 ++ ++ +
10주 +++ ++ ++
12주 +++ +++ ++
<피부 주름 개선의 정도>
+++ : 매우 양호한 개선 효과가 있음.
++ : 상당한 개선효과가 있음.
+ : 약간의 개선효과가 있음.
±: 개선 효과는 없으나 악화되지도 않음.
- : 개선 효과가 없고 오히려 악화됨.
상기의 표 16에서와 같이 나이가 많을 수록 개선의 효과가 느리게 나타났으나, 피부에 도포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주름 개선 효과가 눈에 띄게 발전하였다.

Claims (6)

  1. 용매로서 사용되는 농축젤;
    펩타이드 활성비드에 세라마이드 성분이 코팅된 세라마이드코팅비드;
    자색당근 분말;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농축 젤은,
    대나무줄기와 알로에베라잎을 6: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에탄올 추출 후, 감압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세라마이드코팅비드는 펩타이드 성분으로 이루어진 활성비드 위에 미생물에서 추출한 천연 세라마이드를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활성비드의 성분은,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 카퍼트리펩타이드-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 올리고펩타이드-29, 올리고펩타이드-32,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1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
  3. 대나무줄기 추출물과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 젤을 제조하는 단계;
    펩타이드 활성비드 위에 세라마이드를 코팅하여 세라마이드코팅비드를 제조하는 단계;
    자색당근을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분쇄하여 자색당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상기의 세라마이드코팅비드 10~15 중량%, 자색 당근 분말 5~10 중량%,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5 중량%, 인디안구스베리열매추출물 2~5 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상기의 농축젤 75~80 중량%에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의 용해된 젤을 3일 동안 2~3℃의 온도가 유지되는 저온고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농축젤을 제조하는 단계는,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대나무줄기 3kg과 알로에베라잎 2kg을 2~3cm의 크기로 분쇄하여 에탄올 15L에 넣고 10℃를 유지하며 36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상기의 추출물을 100mesh의 여과포에서 여과하는 단계;
    상기의 여과물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30℃를 유지하며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세라마이드코팅비드를 제조하는 단계는,
    부틸렌글라이콜 55~65 중량%와 레시틴 3~7 중량%를 첨가하고 펩타이드 성분 30~40 중량%를 첨가하여 80~90℃로 교반하는 단계;
    상기의 교반된 조성물을 분무 건조하여 300~500㎛ 크기의 펩타이드 비드를 제조하는 단계;
    올레산 40~45중량%, 레시틴 20~25중량%, 세라마이드 32~35중량%를 80~90℃로 교반하는 단계;
    상기의 펩타이드 비드 표면에 세라마이드 교반액을 분사시켜 350~570㎛ 크기의 세라마이드코팅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자색당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자색당근을 5~7cm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의 절단된 자색 당근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60℃에서 24시간 동안 동결건조하는 단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기의 자색당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500~700mesh의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118316A 2018-10-04 2018-10-04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1959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316A KR101959278B1 (ko) 2018-10-04 2018-10-04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316A KR101959278B1 (ko) 2018-10-04 2018-10-04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278B1 true KR101959278B1 (ko) 2019-03-18

Family

ID=6594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316A KR101959278B1 (ko) 2018-10-04 2018-10-04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2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818B1 (ko) * 2012-12-04 2014-12-11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3903A (ko) 2016-12-30 2017-01-10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7034014A1 (ja) * 2015-08-26 2017-03-02 株式会社明治 コラーゲンペプチド及びセラミドを含有する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KR101764131B1 (ko) * 2015-06-17 2017-08-02 주식회사김정문알로에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818B1 (ko) * 2012-12-04 2014-12-11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4131B1 (ko) * 2015-06-17 2017-08-02 주식회사김정문알로에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7034014A1 (ja) * 2015-08-26 2017-03-02 株式会社明治 コラーゲンペプチド及びセラミドを含有する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KR20170003903A (ko) 2016-12-30 2017-01-10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용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67537A (zh) 一种滋润美颜面膜及其制备方法
CN110200898B (zh) 一种多效面膜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4622710B (zh) 水杨酸和脱乙酰壳多糖复配组合物的制备与应用
CN111686065A (zh) 一种抗衰老补水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908408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9278B1 (ko)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젤 형 피부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N105101984B (zh) 丙氨酸-谷氨酰胺、透明质酸和燕麦提取物的协同组合以及其在用于愈合伤口和修复皮肤损伤的组合物中的用途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6265518B (zh) Fgf脂质体及其制备方法
CN111743787B (zh) 一种天然面膜及其制备方法
CN114469817A (zh) 细致毛孔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022761A (zh) 一种高保湿美白修复凝胶
KR20120043254A (ko) 제주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CN107260592B (zh) 皮肤用的松针提取物、使用其制备的美容霜和应用
CN105662998A (zh) 一种具有防护紫外线的牦牛皮胶原面膜及制备方法
CN110946776A (zh) 一种含有金蝉提取物成分的肌肤保养霜及其制备方法
CN116019733B (zh) 一种超活南珠多肽母液修复抗衰组合物及其应用
CN109125242A (zh) 一种修复痘印的外用剂及其制备方法
CN111991291B (zh) 具有美白功能的天然植物复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2338400B1 (ko) 해양심층수와 표고버섯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85828B1 (ko) 피부강화칵테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37448B1 (ko)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H1171292A (ja) 皮膚外用剤
KR102597011B1 (ko)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발효여과물로 제조되는 전처리 화장품
JPH10287527A (ja) 皮膚保護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