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194B1 -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 Google Patents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194B1
KR101174194B1 KR1020090103073A KR20090103073A KR101174194B1 KR 101174194 B1 KR101174194 B1 KR 101174194B1 KR 1020090103073 A KR1020090103073 A KR 1020090103073A KR 20090103073 A KR20090103073 A KR 20090103073A KR 101174194 B1 KR101174194 B1 KR 101174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panel
plate
flat plate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192A (ko
Inventor
이준표
Original Assignee
이준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표 filed Critical 이준표
Priority to KR102009010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1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평판과, 상기 평판의 전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완충부를 갖는 완충패널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내부에 제1공간부를 갖는 상기 평판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외부완충부, 및 상기 외부완충부의 제1공간부에 위치되되, 그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평판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내부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이중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완충효과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운동하는 사람이 충돌 시, 완충패널이 설치된 벽까지 전달되는 충격이 적어 사람이 다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완충, 패널, 돌출, 이중

Description

이중구조의 완충패널{Double bumper for wall}
본 발명은 완충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에 공간부를 갖는 이중구조의 완충부를 형성하여 충격 완화에 의한 사람을 보호할 수 있으며, 충돌 후, 완충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체육관, 야구장, 아이스 하키장 등 운동시설의 벽면에는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 흡수부재가 부착되어 안전사고를 최소화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 완충용 매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완충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 흡수부재는 주로 스폰지를 비닐시트로 감싸 매트리스 형태로 만든 것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완충용 매트는 비용이 저렴함에 따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나, 벽면에 부착하는 작업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비닐시트가 쉽게 찢어지는 등 내구성이 취약하여 자주 보수하거나 교체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부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높은 고무재질의 완충패널(10)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 완충패널(10)의 구성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평판(12)과, 이 평판(12)의 상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완충부(14)로 구성된다.
완충부(14)는 그 내부가 통공되어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에는 별도의 완충부재가 삽입되어 사용됨에 따라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완충부(14)는 장기간 충돌 후, 그 형상의 변형이 발생되어 완충효과가 저하되고, 이 완충부(14)가 기능을 상실하면 완충패널(10) 전체를 교환해야됨에 따라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완충부를 구비하되,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외부완충부와 이 외부완충부의 공간부에 위치되는 내부공간부를 형성하여 용이한 충격 완화에 따른 충돌자의 보호는 물론, 외부완충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내부공간부의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함에 따라 외부완충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부의 수평 단면을 삼각형상으로 형성하고, 돌출된 꼭지점을 라운딩시킴에 따라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켜 상쇄시키며, 외부완충부와의 충돌 시, 그 내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폭을 가지고 평판과, 상기 평판의 전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완충부를 갖는 완충패널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내부에 제1공간부를 갖는 상기 평판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외부완충부, 및 상기 외부완충부의 제1공간부에 위치되되, 그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평판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내부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완충부는, 수평 단면이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충돌부, 및 상기 충돌부의 양단부를 평판과 연결시키되, 평판의 정면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경사지게 형성되어 충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부완충부는, 상기 평판의 정면과 평행을 이루는 면을 갖는 충돌부, 및 상기 충돌부의 양단부를 평판과 연결시켜 충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완충부는 그 내부에 제2공간부가 통공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완충부는 수평 단면이 상기 평판과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된 꼭지점은 라운딩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평판과 함께 압연에 의해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는 난연재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에 의하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이중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완충효과가 향상되고, 이에 따라 운동하는 사람이 충돌 시, 완충패널이 설치된 벽까지 전달되는 충격이 적어 사람이 다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충격 발생에 의한 외부완충부와 내부완충부의 충돌 시, 상호 파손을 최소화시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에 충격발생 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구조의 완충패널(100)은 평판(110)과 완충부(120)로 구성되며, 평판(110)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완충부(120)는 평판(110)의 전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평판(110)과 일체로 다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완충부(120)는 외부완충부(130)와 내부완충부(150)로 구성되며, 외부완충부(130)는 그 내부에 제1공간부(140)를 갖는 평판(11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 충격을 직접 받게되는 부분이다.
이 외부완충부(130)는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구형상이나 평면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됨이 당연하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외부완충부(130)를 살펴보면, 충돌부(132)와 지지부(134)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충돌부(132)는 수평 단면이 반구형상으로 돌출되고, 지지부(134)는 충돌부(132)의 양단부를 평판(110)과 연결시켜 충돌부(132)는 지지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134)는 평판(110)의 정면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가해진 충격에 의해 충돌부(132)가 변형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키고, 그 형상을 복귀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외부완충부(130')를 살펴보면, 충돌부(132')와 지지부(134')로 구선되되, 충돌부(132')는 평판(110)의 정면과 평행을 이루는 면을 갖는다.
그리고 지지부(134')는 충돌부(132')의 양단부를 평판과 연결시켜 충돌부(132')를 지지하는 것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충돌부(132')의 형상을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도 3 내지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완충부(150)는 외부완충부(130)의 제1공간부(140)에 위치되되, 그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평판(11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완충부(130)의 내측에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며 변형되는 외부완충부(130)를 지지하여 완충효과를 향상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내부완충부(150)는 충격 완화효과의 증대는 물론, 외부완충부(130)의 형상 변화를 최소화시켜 장기사용 시, 외부완충부(130)의 변형을 방지 및 최소화시 킴에 따라 완충패널(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내부완충부(150)는 그 내부에 제2공간부(160)가 통공되는 것으로, 내부완충부(150)로 전달된 충격을 제2공간부(160)를 통해 더욱 완화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내부완충부(150)는 수평 단면이 평판(110)과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된 꼭지점은 라운딩되는 것으로, 내부완충부(150)의 면을 돌출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경사지게 형성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완충부(150)의 라운딩된 돌출된 꼭지점은 충격발생 시, 내측으로 변형되는 외부완충부(130)의 내면과의 충돌 시, 상호 파손을 방지 및 최소화시키기 위함으로, 완충패널(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게된다.
이와 같은 완충패널(100)의 작동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충돌이 발생될 경우, 외부완충부(130)의 형상이 변형되어 그 충격을 1차로 완화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외부완충부(130)의 충돌부(132)가 변형되면서, 일부 충격을 양단부로 전달시키고, 양단부로 전달된 충격은 지지부(134)로 전달되면서 일부가 완화되어 평판으로 전달되면서 그 전달량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충돌부(132)의 중앙부가 변형되면서 1차 완충된 충격은 내부완충부(150)로 전달되어 내부완충부(150)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2차 완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1차 완충된 충격이 내부완충부(150)에 의해 다시 중앙부와 양단 부로 분산되어 전달되면서 상쇄되는 것으로, 수평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양단부로 전달되는 충격과 제2공간부(160)로 전달되는 충격이 상호 충돌하여 상쇄됨에 따라 평판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완충패널(100)에 충돌한 사람은 상쇄되어 최소화된 충격에 의해 안전사고를 방지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어 효과적으로 사람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120)는 평판(110)과 함께 압연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한 번의 압연공정에 의해 외부완충부(130)와 내부완충부(150)가 동시에 제작된다.
또한 완충부(120)는 난연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완충부(130)와 내부완충부(150)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도 1은 종래 완충용 매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완충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완충패널에 충격발생 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완충패널 110 : 평판
120 : 완충부 130, 130' : 외부완충부
132, 132' : 충돌부 134, 134' : 지지부
140 : 제1공간부 150 : 내부완충부
160 : 제2공간부

Claims (7)

  1. 일정한 폭을 가지고 평판과, 상기 평판의 전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완충부를 갖는 완충패널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내부에 제1공간부를 갖는 상기 평판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외부완충부; 및
    상기 외부완충부의 제1공간부에 위치되되, 그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평판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내부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완충부는,
    상기 평판과 함께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제2공간부가 통공되며, 돌출된 꼭지점은 라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완충부는,
    수평 단면이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충돌부; 및
    상기 충돌부의 양단부를 평판과 연결시키되, 평판의 정면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경사지게 형성되어 충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완충부는,
    상기 평판의 정면과 평행을 이루는 면을 갖는 충돌부; 및
    상기 충돌부의 양단부를 평판과 연결시켜 충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평판과 함께 압연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7. 삭제
KR1020090103073A 2009-10-28 2009-10-28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KR101174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073A KR101174194B1 (ko) 2009-10-28 2009-10-28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073A KR101174194B1 (ko) 2009-10-28 2009-10-28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192A KR20110046192A (ko) 2011-05-04
KR101174194B1 true KR101174194B1 (ko) 2012-08-14

Family

ID=4424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073A KR101174194B1 (ko) 2009-10-28 2009-10-28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92Y1 (ko) * 2013-03-14 2013-06-20 이준표 벽체용 완충패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1Y1 (ko) * 2000-05-26 2000-10-16 채완식 체육시설 벽면 부착용 흡음 겸용 완충패널
KR100394511B1 (ko) * 1995-08-26 2003-11-28 이원인 자동차용충격흡수용에어쿠션장치
KR200384743Y1 (ko) 2005-03-02 2005-05-17 서정원 벽면 부착용 완충패널
KR200399801Y1 (ko) 2005-07-28 2005-11-01 서정원 벽면 부착용 조립식 완충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511B1 (ko) * 1995-08-26 2003-11-28 이원인 자동차용충격흡수용에어쿠션장치
KR200200421Y1 (ko) * 2000-05-26 2000-10-16 채완식 체육시설 벽면 부착용 흡음 겸용 완충패널
KR200384743Y1 (ko) 2005-03-02 2005-05-17 서정원 벽면 부착용 완충패널
KR200399801Y1 (ko) 2005-07-28 2005-11-01 서정원 벽면 부착용 조립식 완충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192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538B2 (en) Lateral displacement shock absorbing material
US6314586B1 (en) Supplemental protective pad for a sports helmet
US11690423B2 (en) Helmet with external flexible cage
CN109958079A (zh) 一种可自动报警型公路护栏
KR101278537B1 (ko) 경기장용 안전펜스
US8313129B2 (en) Energy absorber
KR101402021B1 (ko) 차량용 범퍼유닛
CA3109135C (en) Table for a vehicle
ES2388652T3 (es) Articulación de acoplamiento entre un primer coche y un segundo coche de un vehículo, en especial ferroviario
KR20080065897A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1174194B1 (ko)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RU2397083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защиты коленей пассажира и приборная панель с таким защит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CN206805953U (zh) 一种具有多重防护功能的led显示屏
US20200391633A1 (en) Shock-absorbing seat with floor- or ceiling-mounted dampers
CN107444322A (zh) 新型防撞缓冲装置
KR100625955B1 (ko) 보호테두리부를 갖는 마루운동용 에어매트
KR101297584B1 (ko) 충격흡수펜스
KR20180026064A (ko)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가드레일용 완충부재
KR200277445Y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KR200347275Y1 (ko) 스프링 안전 볼라드
CN208235989U (zh) 一种建筑用挂网延伸架
KR200287801Y1 (ko) 가이드레일의 충격흡수 및 간격부재
CN212047268U (zh) 用于车辆的保护装置、前端框架总成和车辆
KR101887619B1 (ko)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KR200456851Y1 (ko) 충격 완충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