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584B1 - 충격흡수펜스 - Google Patents

충격흡수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584B1
KR101297584B1 KR1020130023491A KR20130023491A KR101297584B1 KR 101297584 B1 KR101297584 B1 KR 101297584B1 KR 1020130023491 A KR1020130023491 A KR 1020130023491A KR 20130023491 A KR20130023491 A KR 20130023491A KR 101297584 B1 KR101297584 B1 KR 10129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bar
horizontal bar
front horizontal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석
엄성문
Original Assignee
엄기석
(주)필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석, (주)필드테크 filed Critical 엄기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펜스는 전면이 개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매트(30): 상기 프레임과 상기 매트(30)의 윗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측 스프링(41); 상기 프레임과 상기 매트(30)의 아랫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하측 스프링(42); 상기 상측 스프링(41)을 덮도록 설치되는 상측 안전패드(21); 및 상기 하측 스프링(42)을 덮도록 설치되는 하측 안전패드(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30)에 의해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동 경기장의 필요부분에 설치하여 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펜스로 활용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충격흡수펜스{Impact absorbing fence}
본 발명은 충격흡수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구장, 축구장, 풋살장 등과 같은 체육시설에 설치하여 선수들을 보호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개방형 프레임 걸이식 충격흡수펜스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체육시설에 사용되고 있는 충격흡수펜스는 스펀지에 시트를 본딩으로 부착하는 형태로서, 시공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많으며 사실상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활용성도 떨어진다.
다양한 형태의 운동경기를 함에 있어 선수들은 그 움직임의 탄력성이나 경기에 대한 집중성 때문에 운동경기 영역을 벗어나 그 주위의 공간까지 침투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경기장 둘레에 설치된 안전펜스에 부딪혀 선수가 부상을 당하는 일이 빈번하다. 안전펜스는 경기장 내에서 선수를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시설이지만 매년 안전펜스와의 충돌로 많은 수의 선수들이 부상을 당하고 있다.
종래의 안전펜스의 경우, 내구성은 좋으나 광고에 의한 표면 경화현상과 시트의 두께로 인해 내부 스펀지가 실질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없어 선수들의 부상이 초래되기도 하고, 다른 종래의 안전펜스의 경우에는 완충효과는 좋으나 특성상 외부에 노출되었을 때에 쳐짐현상과 찢어짐으로 인해 내구성이 떨어지고 본딩 시공으로 인한 보수 작업에 어려움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성을 부여하고, 걸이식으로 매트를 설치하기 때문에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골격구조의 개방형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이동설치의 용이성, 제조단가의 절감, 연속이음 설치의 용이성, 뛰어난 안정성 등의 이점을 갖는 충격흡수펜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펜스는,
전면의 개방부에 상측 전면 가로바(12c)와 하측 전면 가로바(13c)가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상측 전면 가로바(12c)와 하측 전면 가로바(13c) 사이에 윗단과 아랫단이 연결 설치되는 매트(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우측 세로바(11a)와 좌측 세로바(11b)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세로바(11a, 11b)는 상측 가로바(12a)와 하측 가로바(13a)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세로바(11a, 11b)에는 두 개의 상측 돌출바(12b, 12d)와 두 개의 하측 돌출바(13b, 13d)가 앞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측 전면 가로바(12c)는 상기 상측 돌출바(12b, 12d)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 전면 가로바(13c)는 상기 하측 돌출바(13b, 13d)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측 돌출바(13b, 13d)에는 앞쪽 다리(15a, 15b)가 밑으로 내려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전면 가로바(12c)와 상기 매트(30)의 윗단이 복수개가 병렬 배치되는 상측 스프링(41)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측 전면 가로바(13c)와 상기 매트(30)의 아랫단이 복수개가 병렬 배치되는 하측 스프링(42)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측 스프링(41)과 하측 스프링(42)을 덮도록 상측 안전패드(21)와 하측 안전패드(22)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안전패드(21)는 상기 상측 전면 가로바(12c)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하측 안전패드(22)는 상기 하측 전면 가로바(13c)에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돌출바(12b, 12d)와 세로바(11a, 11b)는 비스듬한 상측 지지바(14a)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돌출바(13b, 13d)와 세로바(11a, 11b)는 비스듬한 하측 지지바(14b)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30)에 광고물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매트(3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30)는 고무판, 질긴 천, 그물망, 또는 수지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30)에 의해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동 경기장의 필요부분에 설치하여 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펜스로 활용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스프링(41, 42)에 의해 매트(30)에 완충성이 크게 부여되므로 안전성이 뛰어나고 펜스플레이를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이 골격 형태를 하므로 제조단가가 저렴하다. 그리고 프레임이 골격형태로서 개방형으로서 특히 프레임의 전면인 매트(30) 바로 뒤에 선수가 부딪혀 다칠만한 장해물이 없어 안전하다. 또한 프레임이 골격 형태로서 가볍기 때문에 적당한 프레임 고정수단만 마련되면 어디든지 쉽게 이동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매트(30)를 상측 전면 가로바(12c)와 하측 전면 가로바(13c)에 걸이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매트(30)의 교체가 용이하고, 매트(30)의 전면에 인쇄를 통하여 광고물을 개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펜스 자체를 광고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매트(30)의 교체가 용이하므로 다양한 광고물을 필요에 따라 쉽게 전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펜스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펜스를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펜스는 프레임, 안전패드(21, 22), 매트(30), 및 스프링(41, 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은 복수개의 바(bar)에 의해 골격을 이루어 전면이 개방된 형태를 한다. 구체적으로 뒤편에 우측 세로바(11a)와 좌측 세로바(11b)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우측 세로바(11a)와 좌측 세로바(11b)는 그 사이에 설치되는 상측 가로바(12a)와 하측 가로바(13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안정된 틀의 기초를 이룬다.
좌우측 세로바(11a, 11b)에는 두 개의 상측 돌출바(12b, 12d)와 두 개의 하측 돌출바(13b, 13d)가 앞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하측 돌출바(13b, 13d)는 좌우측 세로바(11a, 11b)의 밑단에서 어느 정도 위로 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측 돌출바(12b, 12d)는 상측 전면 가로바(12c)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하측 돌출바(13b, 13d)는 하측 전면 가로바(13c)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측 전면 가로바(12c)와 하측 전면 가로바(13c)는 상측 돌출바(12b, 12d)와 하측 돌출바(13b, 13d)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돌출바(13b, 13d)에는 앞쪽 다리(15a, 15b)가 밑으로 내려오도록 설치된다. 뒤쪽 다리 역할은 좌우측 세로바(11a, 11b)가 하게 된다.
상측 전면 가로바(12c)와 하측 전면 가로바(13c) 사이에는 매트(30)가 설치된다. 매트(30)의 윗단과 상측 전면 가로바(12c)는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되는 상측 스프링(4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매트(30)의 아랫단과 하측 전면 가로바(13c)는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되는 하측 스프링(4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매트(30)는 스프링(41, 42)의 탄력성 때문에 위아래로 잡아당겨져 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매트(30)의 윗단과 아랫단에 각각 고리(52)를 설치하고, 전면 가로바(12c, 13c)에도 고리(51)를 설치하여 이들 고리에 스프링(41, 42)을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매트(30)가 잡아 당겨지면서 좌우로는 슬라이딩되지 못하도록 한다.
스프링(41, 42)이 안보이게 이를 덮도록 상측 전면 가로바(12c)에 상측 안전패드(21)가 부착 설치되고, 하측 전면 가로바(13c)에 하측 안전패드(22)가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관상 뿐만 아니라 선수가 스프링에 부딪혀 찰과상 등의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프레임의 뒤쪽에는 세로바(11a, 11b)가 설치되지만 매트(30)가 설치되는 앞쪽에는 세로바가 설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매트(30)에 선수가 부딪칠 때에 매트(30) 뒤에 바로 있는 세로바에 의해 선수가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프레임의 뒤쪽에는 프레임의 형상 유지를 위해서 좌우측 세로바(11a, 11b)가 설치되어야 하며, 좌우측 세로바(11a, 11b) 사이에는 지지력 보강을 위하여 세로바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좌우측 세로바(11a, 11b) 사이에 세로바가 하나 더 설치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앞쪽에는 세로바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측 돌출바(12b, 12d)와 하측 돌출바(13b, 13d)가 밑으로 허물어져 내려 않을 수 있으므로, 상측 돌출바(12b, 12d)와 하측 돌출바(13b, 13d)가 허물어지지 않도록 상측 돌출바(12b, 12d)와 세로바(11a, 11b)는 비스듬한 상측 지지바(14a)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하측 돌출바(13b, 13d)와 세로바(11a, 11b)는 비스듬한 하측 지지바(14b)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은 스프링(41, 42)의 도움 없이 매트(30)의 위아래가 곧바로 상측 전면 가로바(12c) 및 하측 전면 가로바(13c)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스프링(41, 42)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완충성이 다소 떨어질 수는 있지만 매트(30) 자체가 강체(rigid)가 아니고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그에 따른 완충성을 가진다. 예컨대 매트(30)는 유연성이 있기만 한다면 고무판, 질긴 천, 그물망, 폴리에틸렌이나 폴레우레탄 등과 같은 수지계열의 시트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매트(30)는 전면에 인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매트(30)의 전면에 광고 인쇄를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펜스 자체를 광고판으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오랜시간 동안 햇빛에 노출되면 광고 인쇄가 변색될 우려가 많으므로 매트(30) 및 인쇄도료는 내광성이 뛰어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을 좌우로 덧붙여 연장 설치하는 경우에는 프레임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틈이 안 생기도록 프레임의 연결 부위에는 매트(30)가 중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매트(30)는 고리(51, 52)에 의해 고정되므로 매트(30)에 의해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매트(30)의 중첩 설치되는 프레임의 연결 상태 유지에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30)에 의해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동 경기장의 필요부분에 설치하여 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펜스로 활용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스프링(41, 42)에 의해 매트(30)에 완충성이 크게 부여되므로 안전성이 뛰어나고 펜스플레이를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이 골격 형태를 하므로 제조단가가 저렴하다. 그리고 프레임이 골격형태로서 개방형이기 때문에 매트(30)의 바로 뒤에 선수가 부딪혀 다칠만한 장해물이 없어 안전하다. 또한 프레임이 골격 형태로서 가볍기 때문에 적당한 프레임 고정수단만 마련되면 어디든지 쉽게 이동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매트(30)를 상측 전면 가로바(12c)와 하측 전면 가로바(13c)에 걸이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매트(30)의 교체가 용이하고, 매트(30)의 전면에 인쇄를 통하여 광고물을 개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펜스 자체를 광고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매트(30)의 교체가 용이하므로 다양한 광고물을 필요에 따라 쉽게 전시할 수 있다.
11a, 11b: 세로바
12a, 13a: 가로바
12b, 12d: 상측 돌출바
12c, 13c: 전면 가로바
13b, 13d: 하측 돌출바
14a, 14b: 지지바
15a, 15b: 앞쪽다리
21, 22: 안전패드
30: 매트
41, 42: 스프링

Claims (8)

  1. 전면의 개방부에 상측 전면 가로바(12c)와 하측 전면 가로바(13c)가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상측 전면 가로바(12c)와 하측 전면 가로바(13c) 사이에 윗단과 아랫단이 연결 설치되는 매트(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은 우측 세로바(11a)와 좌측 세로바(11b)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세로바(11a, 11b)는 상측 가로바(12a)와 하측 가로바(13a)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세로바(11a, 11b)에는 두 개의 상측 돌출바(12b, 12d)와 두 개의 하측 돌출바(13b, 13d)가 앞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측 전면 가로바(12c)는 상기 상측 돌출바(12b, 12d)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 전면 가로바(13c)는 상기 하측 돌출바(13b, 13d)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돌출바(13b, 13d)에 앞쪽 다리(15a, 15b)가 밑으로 내려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펜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전면 가로바(12c)와 상기 매트(30)의 윗단이 복수개가 병렬 배치되는 상측 스프링(41)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측 전면 가로바(13c)와 상기 매트(30)의 아랫단이 복수개가 병렬 배치되는 하측 스프링(42)에 의하여 서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측 스프링(41)과 하측 스프링(42)을 덮도록 상측 안전패드(21)와 하측 안전패드(22)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펜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안전패드(21)가 상기 상측 전면 가로바(12c)에 부착 설치되고, 상기 하측 안전패드(22)는 상기 하측 전면 가로바(13c)에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펜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돌출바(12b, 12d)와 세로바(11a, 11b)는 비스듬한 상측 지지바(14a)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돌출바(13b, 13d)와 세로바(11a, 11b)는 비스듬한 하측 지지바(14b)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펜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30)에 광고물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펜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30)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펜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30)가 고무판, 질긴 천, 그물망, 또는 수지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펜스.
KR1020130023491A 2013-02-07 2013-03-05 충격흡수펜스 KR101297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3967 2013-02-07
KR1020130013967 2013-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584B1 true KR101297584B1 (ko) 2013-08-19

Family

ID=4922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491A KR101297584B1 (ko) 2013-02-07 2013-03-05 충격흡수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5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8593A (zh) * 2018-10-16 2019-01-04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幼儿园用生态围栏
KR102245975B1 (ko) * 2021-01-13 2021-04-29 신미옥 체육시설용 펜스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712A (ko) * 2006-02-08 2006-03-31 최광철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KR100637406B1 (ko) 2006-08-03 2006-10-23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안전난간 구조
KR100972453B1 (ko) * 2010-04-05 2010-07-28 (주)종합건축사사무소건원 베란다용 안전난간
KR101211346B1 (ko) 2011-03-25 2012-12-11 신희수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비구방지 펜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712A (ko) * 2006-02-08 2006-03-31 최광철 수직보강대와 배수공이 형성된 조립식 휀스
KR100637406B1 (ko) 2006-08-03 2006-10-23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안전난간 구조
KR100972453B1 (ko) * 2010-04-05 2010-07-28 (주)종합건축사사무소건원 베란다용 안전난간
KR101211346B1 (ko) 2011-03-25 2012-12-11 신희수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비구방지 펜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8593A (zh) * 2018-10-16 2019-01-04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幼儿园用生态围栏
CN109138593B (zh) * 2018-10-16 2023-11-28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幼儿园用生态围栏
KR102245975B1 (ko) * 2021-01-13 2021-04-29 신미옥 체육시설용 펜스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05537A1 (en) Trampoline equipped with a protective circular net
US10258852B1 (en) Garage storage net
KR101297584B1 (ko) 충격흡수펜스
US9039573B2 (en) Waterfall pit trampoline
US20160015180A1 (en) Sports Field Bench Seating Assembly
CN105873476A (zh) 用于门和障碍物的保护组件
CA2871193C (en) Impact absorbing dasherboard
KR20180122394A (ko) 트램펄린 서스펜션 장착 및 연결 시스템
RU2527762C2 (ru) Гибкий деформирующийся стенд с закруглёнными углами для установки рекламы рядом с футбольными воротами
RU130740U1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кламно-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экрана для футбольного поля, расположенное над уровнем земли
CA2953978A1 (en) Ball game goal
KR200483485Y1 (ko) 보호가드가 구성되는 운동시설용 휀스
KR20170003785U (ko) 발 빠짐과 발 걸림을 방지한 트램펄린
FI123294B (fi) Jääkiekkokaukalon laitarakenne
US9070310B2 (en) Safety frame system for an LED signage
KR102555792B1 (ko) 모듈 조립식 자석부착형 스크린 골프용 부스
RU199146U1 (ru) Рекламный стенд
WO2014162028A1 (es) Soporte publicitario para porterías de fútbol y similares
KR200366324Y1 (ko) 골프 연습용 스크린 부스
CN201546188U (zh) 预防攀登与翻越的交通防护栏
KR101174194B1 (ko) 이중구조의 완충패널
KR20160059787A (ko) 트램펄린
ITUB201565150U1 (it) Palo di sostegno, per reti di protezione di una pista da sci, con mezzi indicatori della profondita' di piantaggio del palo di sostegno nella neve, e corrispondente rete di protezione di piste da sci
TH13417C3 (th) ห้องซ้อมกอล์ฟสำเร็จรูปที่สามารถเคลื่อนย้ายได้
TH13417A3 (th) ห้องซ้อมกอล์ฟสำเร็จรูปที่สามารถเคลื่อนย้ายไ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