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170B1 - 예초기 - Google Patents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170B1
KR101170170B1 KR1020050053285A KR20050053285A KR101170170B1 KR 101170170 B1 KR101170170 B1 KR 101170170B1 KR 1020050053285 A KR1020050053285 A KR 1020050053285A KR 20050053285 A KR20050053285 A KR 20050053285A KR 101170170 B1 KR101170170 B1 KR 10117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wn
air
passage
mowed
exhaus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448A (ko
Inventor
테츠오 이이다
켄조 시마다
쇼지 하세이
요시오 요시하라
아이 아마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825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029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82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062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83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605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817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43781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01D43/063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in or into a container carried by the mower; Containers therefor

Abstract

예초기는 잔디를 깎는 커터 칼날(14)을 덮는 커터 하우징(12), 그 안에 깎인 잔디(49)를 수집하기 위해 커터 하우징의 뒷부분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잔디자루(24, 124, 224)로 구성된다.
커터 하우징은 커터 칼날의 회전으로 생성된 운반공기와 함께 깎인 잔디를 잔디자루로 향하게 하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32), 잔디자루로부터 커터 하우징으로 운반공기만을 배출공기로서 반환하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구성되어 있다. 배출공기는 잔디자루의 상부표면 위에 제공되는 그물 부재(43, 143)를 통해서, 깎인 잔디 운반통로에 근접하여 제공되고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확장된 배출공기 환류 통로에 의해 커터 하우징으로 되돌아 흐르게 된다.

Description

예초기{Lawn Mow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으로 자른 예초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으로 자른 예초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4방향으로 본 예초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터 하우징, 디스챠지 가드, 잔디자루를 분해한 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예초기에서 제공되는 깎인 잔디 통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 도시된 배출공기 환류 통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8은 잔디 깎기 작동 동안 예초기 내의 운반공기, 깎인 잔디, 배출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이 측단면도이다.
도 9a와 9b는 잔디 깎기 작동 동안 운반공기, 깎인 잔디, 배출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잔디 깎기 작동 초기의 운반공기, 깎인 잔디, 배출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1a와 11b는 기계 본체에 잔디자루가 부착된 전형적인 잔디 깎기 작동 동안과 기계 본체로부터 잔디자루가 분리된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 동안의 운반공기, 깎인 잔디, 배출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커터 하우징, 디스챠지 가드, 잔디자루를 분해한 투시도이다.
도 14a와 14b는 예초기의 제2 실시예에서 잔디 깎기 작동 동안 운반공기, 깎인 잔디, 배출공기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예초기의 제3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17-17선으로 자른 예초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예초기의 제3 실시예에서 잔디자루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9a와 19b는 잔디 깎기 작동 시작 전 예초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a와 20b는 예초기의 제3 실시예에서 잔디 깎기 작동 동안 운반공기, 깎인 잔디, 배출공기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21은 종래 예초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종래 예초기의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예초기 11, 111, 211: 기계 본체
12: 커터 하우징(cutter housing; cutter deck) 13: 엔진
14: 커터 칼날 15: 앞바퀴
17: 뒷바퀴 21: 뒤쪽 상부면
22: 뒤쪽 하부 말단 24, 124, 224: 잔디자루
23: 디스챠지 가드(discharge guard; grass over) 25: 커터 레버
26: 변속 레버 27: 헤드 덮개
28: 회전 샤프트 31: 스크롤부
32: 깎인 잔디 운반통로 33: 배출공기 환류 통로
34: 공동구획(cavity section) 35, 279: 후벽
36: 보조 배출환류통로 38: 절단날
41: 프레임부재 42: 깎인 잔디 수집부
43, 143: 그물 부재 44, 144: 덮개 부재
45, 145, 245: 개방부 46: 상부 개구부
47: 본체 부재 48, 148, 248: 바닥부재
49: 깎인 잔디 51, 151: 배출공기전달통로
52: 연결통로 61: 배출공기입구
65: 배출공기출구 67: 배출 가드(exhaust guard)
68: 리턴스프링 77, 177: 좌측벽
78, 178: 우측벽 242: 내부부재
243: 외부부재 245: 내부 개방부
252: 외부 개방부 276: 상부벽
277: 좌측벽 278: 우측벽
본 발명은 깎인 잔디가 운반공기와 함께 커터 하우징으로부터 그 안에 수집하기 위해 잔디자루로 운반되고, 그 후 운반공기는 배출공기가 되어 잔디자루로부터 커터 하우징으로 반환되는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예초기는 잔디를 깎고, 커터 칼날의 회전에 의해서 생성된 운반공기와 함께 깎인 잔디를 깎인 잔디 운반통로로부터 잔디자루로 운반하고, 배출공기 환류 통로를 통해 잔디자루로부터 커터 하우징으로 배출공기만을 반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개번호(SHO-61-125223)에는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잔디자루의 상부 뒷부분으로부터 커터 하우징의 중앙부분까지 배출공기를 반환하도록 설계된 예초기가 공개되어 있다. 공개된 예초기는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예초기(300)는 커터 하우징(cutter deck, 301)보다 위에 위치한 구동력공급원(302), 구동력공급원(302)의 샤프트(303)에 설치된 커터 칼날(304), 깎인 잔디 운반을 위해 커터 하우징(301) 안에 제공되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305)로 구성된 배출공기반환 형태이다. 그 안에 깎인 잔디를 수집하기 위한 잔디자루(307)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305)의 출구(306)에 부착되어 있고, 잔디자루(307)로부터 커터 하우징(301)으로 배출공기를 반환하기 위한 환류파이프(308)는 잔디자루(307)의 뒤쪽 상부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환류파이프(308)의 말단부는 커터 하우징(301)의 중앙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환류파이프(308)로부터 공기를 끌어 내기 위한 팬(309, fan)은 구동력공급원(302)의 샤프트(303)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공개된 예초기(300)는 배출공기를 커터 하우징(301)으로 반환하기 위한 환류파이프(308)가 매우 얇기(따라서, 매우 작은 개방 직경 또는 크기를 갖게 됨) 때문에, 운반공기 전부가 배출공기로서 반환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예초기(300)는 운반공기를 반환공기로서 잔디자루(307)로부터 커터 하우징(301)으로 반환하는 동안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없다. 만일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감소시키기 위해 배출공기를 커터 하우징(301)으로 반환하기 위한 환류파이프(308)를 좀 더 두껍게(더 큰 직경 또는 크기를 갖기 위해) 만든다면, 예초기(300)의 전체적인 무게가 증가할 것이다. 그러므로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고, 배출공기순환 유형 고유의 무게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배출공기반환(순환) 형태의 예초기로의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예를 들어 미국특허(번호 4,631,909)에서는, 배출공기를 잔디자루로부터 커터 하우징의 상부부분으로 반환하는 동안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감소시키도록 설계된 공개된 다른 예초기가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서 공개된 예초기에 대해 아래에서 기술하겠다.
도 22에 도시된 예초기(320)는 배출공기반환(순환) 유형으로 커터 칼날(322)이 커터 하우징(321) 안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깎인 잔디를 운반하기 위한 깎인 잔디 운반통로(323)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24)와 함께 커터 하우징(321) 안에서 제공된다. 잔디자루(327)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323)의 출구(325) 및 배출공기 환류 통로(324)의 입구(326)와 이어져 제공된다. 이 예초기(320)에서는, 깎 인 잔디와 운반공기를 각각 분리하기 위해 잔디자루(327)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운반공기가 커터 하우징(321)으로 반환되는 동안 운반공기 일부는 잔디자루(327) 밖으로 배출된다. 그러한 설계 때문에, 예초기(320)는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개선된 작업 환경을 위해 좀 더 효과적으로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어떤 경우에서는, 잔디 깎기 작동이 깎인 잔디를 잔디자루 안으로 수집할 필요 없이 지표면 위에 남기도록 수행한다. 그러한 잔디 깎기 작동을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이라 부르겠다. 그러나 도 22에서 도시하듯, 예초기(320)의 커터 하우징(321)으로부터 잔디자루(327)가 분리된 작동상태에서는, 작동 동안 배출공기 환류 통로(324)는 개방된 채로 남게 되어 운반공기의 필요한 흐름을 확보하는 것을 어렵고 불리하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강화시킨 예초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 안에 깎인 잔디를 수집하기 위해 예초기의 기계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된 잔디자루를 포함하는 개량된 예초기가 제공되고, 잔디를 깎을 뿐 아니라 그 반대편 말단 부분에서 제공되는 공기상승구획으로 운반공기를 생성하는 구동력공급원에 의해 회전 가능한 커터 칼날과 커터 칼날을 덮는 커터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커터 하우징은 운반공기와 함께 깎인 잔디를 잔디자루로 향하게 하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 및 잔디자루로부터 커터 하우징으로 운반공기만을 배출공기로 반환하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를 갖는다. 깎인 잔디 운반통로는 커터 하우징의 앞뒤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되고, 배출공기 환류 통로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와 인접하고, 깎인 잔디 운반통로에 대체적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배출공기 환류 통로는 커터 하우징의 뒤쪽 상부면 부분에 제공되는 배출공기입구 및 커터 하우징의 뒤쪽 하부 말단을 향하는 배출공기출구를 갖는다.
예를 들어, 만일 배출공기가 잔디자루 밖으로 직접 배출된다면,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가 기계 본체의 뒷부분으로부터 발생할 것이다. 어떤 방법으로 그러한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좋은 작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만일 예초기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기계 본체의 전체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어 예초기를 더욱 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매우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서 배출공기 환류 통로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대체적으로 깎인 잔디 운반통로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배출공기 환류 통로의 배출공기입구는 커터 하우징의 뒤쪽 상부면에 제공되고, 배출공기 환류 통로의 배출공기출구는 커터 하우징의 뒤쪽 하부 말단을 향하여 위치한다. 즉, 깎인 잔디 운반통로에 인접하고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배출공기 환류 통로 때문에, 배출공기 환류 통로가 기계 본체의 뒷부분이나 옆부분에 제공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통로의 단면부분이 확장될 수 있다.
커터 하우징의 뒤쪽 상부면에 제공되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의 배출공기입구 때문에, 배출공기는 잔디자루의 상부면으로부터 배출공기 환류 통로로 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잔디자루의 상부면 위로 제공되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배출공기가 배출공기 환류 통로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잔디자루로부터 배출공기를 배출해야 할 필요를 방지함으로써, 커터 하우징으로부터 잔디자루로 흐르는 운반공기 전부를 배출공기로 환류(還流)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커터 칼날에 의하여 막 깎인 잔디가 있는 커터 하우징의 뒷부분에 위치한 잔디표면은 커터 칼날에 의하여 아직 깎이지 않은 커터 하우징의 앞 부분 왼쪽과 오른쪽에 위치한 다른 잔디표면보다 낮다. 또 커터 하우징의 내부는 커터 칼날의 공기상승구획에 의한 운반공기의 생성으로 인해 음(陰)압력 하에 놓이게 된다. 그러므로 커터 하우징의 뒤쪽 하부 말단을 향한 배출공기 환류 통로의 배출공기출구 때문에, 배출공기 환류 통로로부터 배출된 배출공기는 쉽게 커터 하우징 안으로 빨려들어 갈 수 있다. 이런 방법에서는, 본 발명은 배출공기 환류 통로의 필요한 길이와 예초기의 전체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휴대기능과 같은 예초기의 편리함을 강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터 하우징이 잔디자루로부터 커터 하우징 안으로 배출공기를 반환하기 위해 커터 하우징의 후벽에 형성된 다수의 보조배출공기 환류 통로를 갖는다. 그러므로 배출공기가 주된 배출공기 환류 통로에 의해 쉽게 반환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배출공기는 주된 배출공기 환류 통로에 더하거나 대신하여 보조배출공기 환류 통로를 통해 커터 하우징으로 반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초기의 배출공기 환류는 강화된 확실성을 갖도록 증진될 수 있다.
잔디자루는 대체적으로 육면체 형이고, 잔디자루의 앞 부분에 형성되고 깎인 잔디 운반통로에 이어지는 개방부, 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된 좌우측 벽과 바닥부재, 통기성 재료로 형성되고 잔디자루의 상부부분에 위치한 그물 부재, 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되고 그물 부재의 상부표면부분을 덮는 덮개 부재 및 배출공기 환류 통로와 이어져 그물 부재와 덮개 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폐쇄될 수 있는 뒷부분을 갖는 배출공기 전달통로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좌우측 벽, 후벽과 바닥부재를 통한 배출공기의 누설 없이 깎인 잔디는 잔디자루 안으로 적절하게 수집될 수 있다. 이런 방법에서는, 깎인 잔디와 운반공기는 잔디자루의 상부부분에 위치한 그물 부재를 통하여 각각 분리되고, 이렇게 분리된 운반공기 또는 배출공기는 그물 부재와 그물 부재 바로 위에 위치한 비통기성 덮개 부재 사이의 배출공기 전달통로로 배출되어, 배출공기 전달통로를 통해 배출공기 환류 통로로 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잔디자루는 일반적으로 육면체형의 내부부재, 내부부재의 외부 주위표면을 덮는 신장 가능한 외부부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부재는 통기성 재료로 형성된 상부부분, 좌우측 벽, 후벽과; 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된 바닥부재과; 깎인 잔디 운반통로와 이어져 잔디자루의 앞 부분에 형성된 내부 개방부를 갖는다. 외부부재는 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되고, 외부부재와 외부 주위표면 사이에 삽입된 공간과 함께 상부부분, 좌우측벽, 후벽인 외부 주위표면을 덮고, 배출공기 환류 통로와 이어져 내부부재 근처에 형성된 외부 개방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내부부재의 바닥부재는 내부부재의 상부부분, 좌우측벽, 후벽과 같이 통기성 재료로 형성되고, 바닥부재는 잔디자루의 비통기성 바닥을 제공하기 위해 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된 외부부재로 덮여있다. 그러므로 내부부재는 천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잔디자루의 무게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예초기는 1) 잔디자루를 기계 본체에 부착하는 전형적인 잔디 깎기 작동 동안에는, 배출공기를 잔디자루로부터 배출공기반환입구로 향하게 하기 위해 잔디자루의 한 부분을 덮고, 2) 잔디자루를 기계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 동안에는, 깎인 잔디는 지표면에 그대로 배출되고, 깎인 잔디를 지표면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배출공기입구를 폐쇄하는, 배출공기입구에 피봇하게(Pivotable) 설치된 디스챠지 가드(discharge guard)를 더 포함한다.
배출공기가 잔디자루로부터 커터 하우징으로 반환되는 전형적인 잔디 깎기 작동 동안에는 디스챠지 가드는 배출공기를 잔디자루로부터 배출공기 환류 통로로 향하게 하는 통로부재로서 기능한다. 기계 본체로부터 잔디자루가 분리되어 깎인 잔디가 지표면으로 배출되는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 동안에는, 디스챠지 가드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의 배출공기입구를 폐쇄하는 뚜껑으로 기능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예초기는 배출공기를 잔디자루로부터 커터 하우징으로 반환하는 배출공기순환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잔디자루 안에 수집하지 않고 깎인 잔디를 지표면에 배출하는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으로도 또한 적절 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다른 잔디 깎기 작동을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을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고, 예초기의 편리함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의 예를 드는 방법으로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는 도 1~11b를 참조한다. 예초기(10)의 제1 실시예는 깎인 잔디를 운반공기와 함께 커터 하우징(cutter deck, 12)으로부터 그 안에 깎인 잔디를 모으는 잔디자루(24)로 운반하고, 그 후 운반공기는 배출공기로서 잔디자루(24)로부터 커터 하우징(12)으로 반환되는 소위 배출공기반환(또는 순환) 형태(exhaust air return type)이다.
또한, 예초기(10)는 커터 칼날(14)이 구동력공급원인 엔진(13)에 의해 회전하여 잔디를 깎고, 동시에 엔진(13)의 회전이 뒷바퀴(17)에 전달되어 뒷바퀴(17)를 구동시키는 자가추진형(self-propelled type)이다. 예초기(10)의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기술하겠다.
도 1에서, 도면번호 11은 기계 본체, 15는 앞바퀴(예로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앞바퀴), 23은 디스챠지 가드(discharge guard; grass over), 25는 커터 레버, 26은 변속 레버, 27은 헤드 덮개, 28은 커터 칼날(14)의 회전 샤프트를 가리킨다.
도 2는, 도 1의 2-2선 방향으로 자른 예초기(10)의 단면이다. 도 2에서는 커터 레버(25)와 변속 레버(26)가 생략되었다.
커터 하우징(12)은 커터 칼날(14)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커터 칼 날(14)을 둘러싼 스크롤부(31), 운반공기와 함께 깎인 잔디를 잔디자루(24)로 운반하기 위한 스크롤부(31)로부터 뒤쪽으로 연장된 깎인 잔디 운반통로(32), 잔디자루(24) 안에는 깎인 잔디만 남긴 채 배출공기만을 커터 하우징(12)으로 환류하기 위한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를 포함한다. 스크롤부(31)는 커터 칼날(14)로 깎인 잔디를 잔디자루(24)로 운반하기 위한 닫힌 공간이다. 또한, 커터 하우징(12)은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와 이어져 있는 공동구획(cavity section, 34)과 보조적으로 배출공기를 커터 하우징(12)으로 반환하기 위해 형성된 커터 하우징(12)의 후벽(35)에 있는 보조배출공기통로인 다수의 관통공(36)을 포함한다.
도면번호 21은 커터 하우징(12)의 뒤쪽 상부면, 22는 커터 하우징(12)의 뒤쪽 하부 말단, 37은 스크롤부(31)의 뒤쪽가장자리를 가리킨다.
깎인 잔디 운반통로(32)는 커터 하우징(12)의 한 측면에 형성되고, 스크롤부(31)로부터 기계 본체(11)의 뒤쪽을 향해 연장된 통로이다.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에 인접하고,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와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통로이다.
도면번호 42는 잔디자루(24)의 깎인 잔디 수집부, 51은 덮개 부재(44)와 잔디자루(24) 그물 부재(43)의 상부 뒷부분에 형성되는 배출공기전달통로를 가리킨다. 그리고 도면번호 52는 디스챠지 가드(23)와 잔디자루(24) 그물 부재(43)의 상부 앞 부분에 형성되는 연결통로를 가리키고, 이 연결통로(52)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를 연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예초기(10)는 후벽(35) 바로 밑인 커터 하우징(12)의 뒤쪽 하부 말단 (22)에 있는 배출 가드(exhaust guard; partition member, 67)를 포함하고, 배출 가드(67)는 배출공기의 이탈을 막고 배출공기가 커터 하우징(12)으로 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커터 하우징(12)의 뒤쪽 하부 말단(22)에 있는 배출 가드(67) 설비는 배출공기순환(예를 들어 배출공기 환류) 효율을 증진시킨다. 결과적으로, 예초기(10)는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그 때문에 좋은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화살표 A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커터 칼날(14)은 회전을 일으키는 그 가장자리 부분에 한 쌍의 절단날(38)과 절단날(38)로부터 회전 방향을 따라 다른 가장자리 부분인 위쪽으로 아치형으로 굽은 한 쌍의 공기상승구획(39)을 갖는다.
즉, 지표면의 잔디는 커터 칼날(14)의 회전을 통해 공기상승구획(39) 아래 생성된 음압력(negative pressure)으로 세워진다. 절단날(38)로 깎인 잔디는 공기상승구획(39)의 상부표면을 치고, 커터 칼날(14)의 회전으로 생성된 소용돌이 흐름 위를 타게 된다. 따라서, 깎인 잔디는 운반공기의 소용돌이 흐름과 함께 화살표 B가 지시하는 방향에 따라 잔디자루(24)로 운반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예초기(10)는 배출-공기-순환 유형의 예초기이다. 여기서, 커터 하우징(12)으로 덮여진 커터 칼날(14)은 구동력공급원인 엔진(13)에 의해 회전된다. 깎인 잔디를 잔디자루(24)로 운반하기 위한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와 배출공기를 커터 하우징(12)으로 반환하기 위한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는 커터 하우징(12)에서 제공된다. 깎인 잔디를 수집하기 위한 잔디자루(24)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와 배출공기 환류 통로(33) 모두와 이어져서 제공된다. 깎인 잔디는 커터 칼날(14)의 공기상승구획(39)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와 함께 깎인 잔디 운반통로(32)를 통해 잔디자루(24)로 운반된다. 그리고 오직 배출공기만이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를 통해 잔디자루(24)로부터 커터 하우징(12)으로 반환된다.
도면번호 29는 엔진(13)으로부터 뒷바퀴(17)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전달부재를 가리킨다.
다음에 디스챠지 가드(23, 도 2 참조)와 잔디자루(24) 및 깎인 잔디 운반통로(32),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구성을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도 5는 예초기의 제1 실시예에서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와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주요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된 투시도이다.
디스챠지 가드(23)는 뒤쪽 상부면(21)에 위치하고(도 2 참조), 샤프트(60)에 의하여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입구(6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대로 개폐가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디스챠지 가드(23)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입구(61) 위에 위치한 "U" 자 단면 형상 덮개이다. 잔디자루(24)를 커터 하우징(12)에 부착할 때, 디스챠지 가드(23)는 배출공기를 잔디자루(24)로부터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향하게 하는 연결통로(예를 들어, 후에 기술할 연결통로(52))로 기능한다. 반면에, 잔디자루(24)를 커터 하우징(12)에 부착하지 않을 때는, 디스챠지 가드(23)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입구(61)를 폐쇄하는 뚜껑으로 기능한다.
리턴스프링(68)은 디스챠지 가드(23)를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 입구(61) 근처 방향으로 정상적으로 휘게 하기 위해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와 디스챠지 가드(23) 사이에 있는 샤프트(66)에 부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리턴스프링(68)은 디스챠지 가드(23)의 진동을 방지한다.
잔디자루(24)는 커터 하우징(12)의 뒤쪽 말단표면에 간단하게 걸리기 때문에, 리턴스프링(68)은 예를 들면, 잔디자루(24)의 덜컥거리는 진동과 우연한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커터 하우징(12)에 잔디자루(24)의 연결을 좀 더 확실하게 하는 기능도 한다.
후에 상세히 기술하듯이, 예초기(10)에 부착된 잔디자루(24)가 없다면 잔디 깎는 작동을 하는 동안 깎인 잔디는 지표면 위에 남게 되고, 운반공기는 직접 디스챠지 가드(23)를 치게 된다(도 11b 참조). 즉, 리턴스프링(68)이 없다면, 디스챠지 가드(23)는 운반공기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게 들려지거나 진동할 것이다. 그러므로 리턴스프링(68)은 디스챠지 가드(23)를 커터 하우징(12)쪽으로 누르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스프링이라 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인 잔디자루(24)는 커터 하우징(12)의 후벽(35)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잔디자루(24)는 커터 하우징(12)에 부착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부재(41), 공기가 통할 수 없는(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되고 깎인 잔디를 그 안에 수집하기 위해 프레임부재(41)에 부착된 상기 깎인 잔디 수집부(42), 공기가 통할 수 있는(통기성) 재료로 형성되고 깎인 잔디 수집부(42)의 상부표면 위에 위치한 상기 그물 부재(43), 그물 부재(43) 바로 위에 공간을 형성하여 개방 앞쪽 말단을 갖고 뒤는 닫힌 뒤쪽 말단을 가지고 공기가 통할 수 없는 재료로 되는 상기 덮개 부재(44)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커터 하우징(12)은 잔디자루(24)의 훅 부분과 맞물리는 부분(engaging portion)을 가질 수 있고, 그로 인해 잔디자루(24)를 커터 하우징(12)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할 수 있다.
깎인 잔디 수집부(42)는 상면부(76), 좌우 측면부(77, 78), 후면부(79)와 함께 본체 부재(47)를 갖고, 이것들은 레진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료로 된 시트나 필름으로 주형(mold)을 형성한다. 또한, 깎인 잔디 수집부(42)는 레진으로 주형된 바닥부재(48), 커터 하우징(12)의 후벽(35)에 맞닿아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와 이어져 있는 개구부(45), 그물 부재(43) 위에 설치하기 위한 상부 개구부(46)로 구성된다.
즉, 깎인 잔디 수집부(42)는 깎인 잔디를 바닥부재(48) 위에 축적시키면서 운반공기는 그물 부재(43)를 통해 위쪽으로 배출공기로서 이탈하게 하는 것으로 깎인 잔디와 운반공기를 분리한다.
덮개 부재(44)는 그물 부재(43), 배출공기를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향하게 하는 배출공기전달통로(51)와 함께, 깎인 잔디 수집부(42)의 상부 개구부(46)의 뒤쪽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다. 디스챠지 가드(23)는 그물 부재(43), 배출공기를 배출공기 전달통로(51)로부터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향하게 하는 연결통로(52)와 함께, 상부 개구부(46)의 앞쪽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다.
깎인 잔디 수집부(42)의 좌우측면부(77, 78), 후면부(79) 및 바닥부재(48)는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출공기가 육면체의 좌우측면부(77, 78), 후면부(79) 및 바닥부재(48)를 통해 상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출공기가 잔디자루(24)로부터 방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출공기와 함께 발생하는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공기가 통하지 않는 덮개 부재(44)가 그물 부재(43)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출공기전달통로(51)는 배출공기 전부를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향하게 하기에 충분한 통로 구역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대로, 기계 본체(11)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형성되고, 스크롤부(31)로부터 기계 본체(11)의 뒤쪽으로 연장된 깎인 잔디 운반통로(32)는(도 2 참조) 스크롤부(31)에 형성된 운반공기입구(53)와 후벽(35)에 형성된 운반공기출구(54)를 갖는다.
게다가,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와 인접하여 형성되고,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에 대체로 수직으로 확장되고, 커터 하우징(12)의 공동구획(cavity section, 34)과 길이 이어져 있는 통로이다.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는 좌우측 브래킷(55, 56)을 통해 커터 하우징(12)의 뒤쪽 상부표면에 부착된 통로 본체부(57)와 원통형의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 본체부(57)에 접합된 보조부재(58)를 포함한다.
통로 본체부(57)는 배출공기를 끌어내는 배출공기입구(61), 샤프트(66)에 의하여 디스챠지 가드(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62), 보조부재(58)를 고정하는 지지벽(63)으로 이루어진다.
보조부재(58)는 배출공기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배출공기입구(61)를 좁히 는 구멍(64)과 배출공기를 공동구획(cavity section, 34)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기출구(65)로 구성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는 통로 본체부(57)와 원통형의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 본체부(57)에 접합된 보조부재(58)로 구성되기 때문에, 배출공기통로(33)의 형상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희망하는 형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깎인 잔디 운반통로(32)는 예초기의 앞과 뒤 방향으로 연장된 커터 하우징(12)에서 제공된다.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에 인접하여 형성하여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에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확장되고, 깎인 잔디 운반통로(32)는 커터 하우징(12)의 오른쪽 뒷부분에 형성된다. 게다가, 다수의 관통공(36)이 커터 하우징(12)의 후벽(35)에 형성된다.
도 7에서 보이듯이, 디스챠지 가드(23)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입구(61)가 스윙이 되도록(Pivotably) 설치된다. 배출공기입구(61)를 축으로 위쪽으로 회전하는 디스챠지 가드(23) 때문에, 그물 부재(43)와 잔디자루(24)의 깎인 잔디 수집부(42)의 상부 개구부(46)가 노출되고(도 2 참조),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입구(61)와 보조부재(58)의 배출공기제한구멍(64) 또한 노출되게 된다. 깎인 잔디 수집부(42)의 상부 개구부(46)의 앞 부분에 설치된 디스챠지 가드(23)는 그물 부재(43)와 함께, 배출공기를 배출공기전달통로(51)로부터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향하게 하는 연결통로(52)를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2 참조)
도 8은 전형적인 잔디 깎기 동작 동안 예초기(10)의 깎인 잔디와 배출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커터 칼날(14)에 의해 깎인 잔디{예를 들어, 깎인 잔디(49)}는 운반공기와 함께 깎인 잔디 운반통로(32)로부터 잔디자루(24)로 운반되어 쌓인다. 그 후, 운반공기는 배출공기가 되어 그물 부재(43)를 통하여 배출공기전달통로(51)로 향한다. 또, 배출공기는 배출공기전달통로(51)로부터 연결통로(52)를 통해서,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흐르고,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부터 커터 하우징(cutter deck, 12)의 공동구획(cavity section, 34)으로 방출된다. 그리고 공동구획(cavity section, 34)에서 방출된 배출공기는 스크롤부(31)에서 발생된 음압력(negative pressure)에 의해 커터 하우징(12)의 스크롤부(31) 안으로 흡수되어, 그 뒤쪽으로 흐른다.
즉, 깎인 잔디 운반통로(32)는 커터 하우징(12) 안에서 앞과 뒤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에 인접하고,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에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확장된다. 게다가,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입구(61)는 커터 하우징(12)의 뒤쪽 상부면(21)에 위치하고,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출구(65)는 커터 하우징(12)의 뒤쪽 하부 말단(22)을 향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는 커터 하우징(12)의 스크롤부(31)의 뒤쪽가장자리(37)를 향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배출공기 환류 통로(33)가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에 인접하고,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에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확장되는 본 발명의 제1 실 시예에서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가 기계 본체(11)의 뒷부분이나 측면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단면 부분은 기계 본체(11)의 전체 부피를 늘이지 않고도 확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계 본체(11)의 부피를 늘이지 않고도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커터 하우징(12)의 뒤쪽 상부면 (21)보다 위에 위치한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입구(61) 때문에, 배출공기를 잔디자루(24)의 상부면으로부터 배출공기 환류 통로(33) 안으로 적절하게 흐르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잔디자루(24)의 상부면 보다 위에 직접 제공되는 공간 때문에, 많은 양의 배출공기가 그 공간을 통해서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환류될 수 있다. 즉, 커터 하우징(12)으로부터 잔디자루(24)로 흐르는 운반공기 전부는 배출공기로 환류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출공기가 잔디자루(24)로부터 배출될 필요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에서는 불필요한 소음과 먼지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그 때문에 좋은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커터 하우징 뒤쪽의 잔디표면, 커터 칼날(14)에 의해 이미 잔디가 잘린 부분은 커터 하우징의 앞 부분과 뒷부분의 왼쪽 오른쪽에 위치한 다른 잔디표면보다 낮다. 또, 커터 하우징의 내부는 커터 칼날(14)의 공기상승구획에 의해 생성된 운반공기로 인한 음압력 아래 위치한다. 따라서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출구(65)는 커터 하우징(12)의 뒤쪽 하부 말단(22)의 앞에 놓이기 때문에,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공기는 커터 하우징(12)의 스크롤부(31) 안으로 즉시 흡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에서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필요한 길이와 전체적인 예초기(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그 때문에 휴대기능과 같은 예초기(10)의 편리함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초기(10)의 실시예는 운반공기와 깎인 잔디(49)는 스크롤부(31)로부터 뒤쪽과 위쪽으로 연장된 깎인 잔디 운반통로(32)를 통해서 예초기(10)의 뒤쪽으로 위로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잔디자루(24)로 운반되는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설계된다. 깎인 잔디(49)가 운반공기보다 더 무겁기 때문에, 깎인 잔디 수집부(42)의 바닥부(48)로 깎인 잔디(49)를 떨어뜨리고 운반공기만이 위로 흐를 수 있게 된다. (도 5 참조)
게다가, 깎인 잔디 수집부(42)의 상부 표면에 위치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그물 부재 (43) 때문에, 실시예에서는 운반공기와 깎인 잔디(49)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깎인 잔디(49)가 운반공기 때문에 그물 부재(43)에 달라붙더라도 커터 칼날(14)이 회전을 멈추면, 그 자체의 무게로 인해 깎인 잔디 수집부(42) 안으로 즉시 떨어진다.
즉, 깎인 잔디 수집부(42)의 좌우측면부(77, 78)와 후면부(79)는 레진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공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로 된 시트나 필름으로 주형(mold)을 형성하기 때문에, 깎인 잔디(49)는 깎인 잔디 수집부(42)의 좌우측면부(77, 78)와 후면부(79)에 달라붙지 않고 만일 그 부분에 달라붙더라도 즉시 떨어질 수 있다.
도 9a와 도 9b는 예초기(10)의 제1 실시예에서의 운반공기, 깎인 잔디 및 배출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에서, 잔디가 커터 칼날(14)에 의하여 처음으로 잘리고, 그 깎인 잔디가 운반공기와 함께 그 안에 수집하기 위해 잔디자루(24)의 깎인 잔디 수집부(42)로 운반된다. 운반공기는 배출공기로 그물 부재(43)를 통하여 배출공기전달통로(51)로 향하게 되고(도 8 참조), 그로부터 배출공기는 연결통로(52)를 통해서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향하게 된다. 그 후, 배출공기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부터 공동구획(cavity section, 34)으로 향하게 되고, 그로부터 배출공기는 음압력(negative pressure)이 생성된 스크롤부(31) 안으로 흡수된다.
도 9b에서, 점이 찍히지 않은 흰색 구역 C는 커터 칼날(14)에 의하여 깎인 잔디표면을 나타내는 반면, 점이 찍힌 구역 D는 커터 칼날(14)에 의하여 깎이지 않은 잔디표면을 나타낸다. 점이 찍힌 구역 D가 가리키는 잔디표면(아직 깎이지 않은 잔디표면)은 점이 찍히지 않은 구역 C가 가리키는 이미 깎인 잔디표면보다 높다. 그 결과, 예초기가 작동하는 동안, 도 9a의 커터 하우징(12)의 앞쪽 및 왼쪽, 오른쪽 표면은 점이 찍힌 구역 D의 벽으로 둘러싸이고, 점이 찍히지 않은 구역 C가 가리키는 개방된 구역은 커터 하우징(12) 후면의 뒷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커터 하우징(12)의 뒤쪽 하부 말단(22)을 향하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출구(65) 때문에, 스크롤부(31)의 음압력에 의한 배출공기 흡수 작용이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출구(65)가 다른 부분(예를 들어 커터 하우징의 앞쪽 또는 왼쪽이나 오른쪽 표면)을 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훨씬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출공기순환이 증가된 효율로 실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 예초기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형적인 잔디 깎기 작동 초기의 운반공기, 깎인 잔디, 배출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잔디 깎기 작동 초기에는 깎인 잔디가 수집부(42)에 아직 축적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운반공기는 깎인 잔디 수집부(42)의 뒤쪽 내부표면을 직접치고 커터 하우징(12)의 후벽(35) 쪽으로 되돌아 흐르는 것이 실험적으로 관찰된다. 이것은 배출공기를 커터 하우징(12)의 하부 말단(35)으로 반환하기 위해, 다수의 관통공(예를 들어, 보조배출공기 환류 통로, 36)을 커터 하우징(12)의 후벽(35)에 형성하는 이유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깎인 잔디가 깎인 잔디 수집부(42)에 아직 축적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배출공기가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를 통해서 쉽게 반환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배출공기가 보조배출공기 환류 통로(36)를 통해서 커터 하우징(12)으로 되돌아 흐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배출공기 환류 순환이 증가된 확실성과 함께 진행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예초기의 깎인 잔디 배출 작동 동안 운반공기, 깎인 잔디, 배출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1a는 잔디자루(24)가 부착된 예초기(10)를 보여주는 반면, 도 11b는 잔디자루(24)가 분리된 예초기(10)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잔디밭이나 벌판과 같이 깎인 잔디를 잔디자루(24, 도 2 참조)에 수집할 필요가 없는 곳에서는 잔디자루 안에 수집하지 않고 깎인 잔디를 잔디 표면에 남겨둔 채 종종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이 실행된다.
그러므로 여러 종류의 잔디 깎기 작동을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예초기의 편리함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배출공기반환 유형의 예초기를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으로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잔디자루(24)가 커터 하우징(12)에 부착되고 배출공기가 부착된 잔디자루(24)로부터 커터 하우징(12)으로 반환되는 전형적인 잔디 깎기 작동에서는, 도 11A에 도시되어 있듯이, 잔디자루(24)로부터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배출공기를 적절하게 반환하기 위해 잔디자루(24)의 부분이 덮어져 있다. 즉, 부착된 잔디자루(24)로부터 커터 하우징(12)으로 배출공기가 반환되는 전형적인 잔디 깎기 작동 동안, 디스챠지 가드(23)는 배출공기의 반환을 위한 통로부재로서 기능한다.
잔디자루(24)와 덮개 부재(44)를 분리하여 깎인 잔디가 땅으로 배출되는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에서는, 도 11B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디스챠지 가드(23)가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입구(61)를 폐쇄하기 위해 아래쪽으로 회전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 아래쪽으로 회전된 디스챠지 가드(23)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의 배출공기입구(61)를 폐쇄하는 뚜껑 부재(lid member)와 깎인 잔디를 지표면으로 향하게 하는 가이드 부재(guide member)로서 기능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예초기(10)는 배출공기순환형임에도 불구하고, 잔디자루(24)를 사용하지 않는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잔디 깎기 작동을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을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고, 예초기의 편리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기술하였듯이,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와 디스챠지 가드(23) 사이에 리턴스프링(68)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잔디자루(24)를 사용하지 않는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 동안에도 디스챠지 가드(23)의 바람직하지 않은 들려짐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는 단지 깎기만 하는 잔디 깎기 작동을 적절한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100)를 도시하는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도 2와 도 3 참조)은 동일한 도면번호로 나타내고,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겠다. 제2 실시예(100)는 제1 실시예(10)와 잔디자루의 설계에서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서의 대략 육면체 상으로 된 잔디자루(124)는 그 앞 부분에 형성되고 깎인 잔디 운반통로(32)를 향하는 개방부(145, 도 13)를 갖고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잔디자루(124)의 좌우측벽(177, 178), 후벽(179), 바닥부재(148)는 모두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고, 모두 그 안에 깎인 잔디를 수집하기 위한 깎인 잔디 수집부(142)의 구성요소가 된다.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그물 부재(143)는 잔디자루(124)의 상부표면에 제공되고, 후부 개방부(157)는 잔디자루(124)의 후벽(179)에 형성된다. 후부 개방부(157)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후부 그물 부재(158)가 제공된다.
"L" 형태의 단면을 갖는 덮개 부재(144)는 잔디자루(124)를 그물 부재(143)의 대체로 상부 중간 부분에서부터 후벽(179)의 하부 말단부분까지 덮는다. 배출공기 환류 통로(33)와 이어져 있는 배출공기전달통로(151)는 그물 부재(143)의 상부표면과 덮개 부재(144) 사이에 형성된다. 또 배출공기전달통로(151)와 이어져 있는 후부 전달통로(159)는 덮개 부재(144)와 잔디자루(124)의 후벽(179) 사이에 형성되고, 후부개방부(157)는 덮개 부재(144)로 덮여있다.
도면 번호 111은 예초기(100)의 기계 본체를 가리킨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잔디자루(124)는 커터 하우징(12)의 후벽(35)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잔디자루(124)는 커터 하우징(12)에 부착 가능한 프레임부재(141), 공기가 통할 수 없는(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되고 그 안에 깎인 잔디를 수집하기 위해 프레임부재(141)에 부착된 깎인 잔디 수집부(142), 공기가 통할 수 있는(통기성) 재료로 형성하고 깎인 잔디 수집부(142)의 상부표면에 위치한 그물 부재(143), 그물 부재(143)의 상부부분을 덮는 상기 기술한 덮개 부재(144), 깎인 잔디 수집부(142)의 후벽(179) 및 깎인 잔디 수집부(142)를 형성하는 후벽(179)에 설치된 후부 그물 부재(158)를 포함된다.
깎인 잔디 수집부(142)는 공기가 통할 수 없는 재료로 형성된 상부벽(176), 좌우측벽(177, 178) 및 후벽(179)으로 된 본체 부재(147)를 포함한다. 깎인 잔디 수집부(142)는 또한 레진으로 주형된 바닥부재(148), 커터 하우징(12)의 후벽(35)에 기대어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와 이어진 상기에서 기술한 앞쪽 개방부재(145), 그물 부재(143) 위에 설치된 상부 개방부(146), 후부 그물 부재(158) 위에 설치된 후부 개방부(157)를 포함한다. 그물 부재(143)는 깎인 잔디와 운반공기를 분리한다.
덮개 부재(144)는 그물 부재(143)와의 결합과 함께 깎인 잔디 수집부(142)의 상부 개방부(146)의 뒷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상부본체(161), 배출공기를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향하게 하는 배출공기전달통로(151) 및 깎인 잔디 수집부(142)의 후벽(179)에 설치되고 배출공기전달통로(151)와 이어지는 후부 전달통로(159)를 형성하는 후부 확장부분(162)을 포함한다.
도 14a와 도 14b는 예초기(100)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전형적인 잔디 깎기 작동 동안 운반공기, 깎인 잔디 및 배출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4a에서, 잔디가 커터 칼날(14)에 의하여 처음으로 잘리고, 그 깎인 잔디는 운반공기와 함께 그 안에 수집하기 위해 잔디자루(124)의 깎인 잔디 수집부(142)로 운반된다. 운반공기의 일부는 배출공기가 되어 그물 부재(143)를 통하여 배출공기전달통로(151)로 향하게 되는 반면, 운반공기의 남은 부분은 후부 그물 부재(158)를 통과하여 후부 전달통로(159)의 길을 통해 배출공기전달통로(151)로 흐른다. 그 후, 배출공기는 연결통로(52)를 통해서 배출공기전달통로(151)로부터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향하게 된다. 그 후 배출공기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부터 공동구획(cavity section, 34)으로 향하게 되고, 그로부터 배출공기는 음압력(negative pressure)이 생성된 스크롤부(31) 안으로 흡수된다.
깎인 잔디(49)가 깎인 잔디 수집부(142)에 축적된 후, 운반공기는 축적된 깎인 잔디(49)에 맞닿아 위쪽으로 향하게 되어, 그물 부재(143)를 통해 배출공기전달통로(151) 안으로 흐르게 된다. 깎인 잔디(49)가 깎인 잔디 수집부(142)에 축적되기 전에는 운반공기는 깎인 잔디 수집부(142)의 후벽(179)으로 직접 흐르게 되어, 후부 그물 부재(158)를 통과하여 후부 전달통로(159)의 길을 통해 배출공기전달통 로(151)로 흐르게 된다.
즉, 도 14a에 도시되어 있는 배출공기전달통로(151)와 이어져 있는 후부 전달통로(159)를 형성하기 위해, 도 14b에 도시되어 있듯이, 후부 개방부(157)는 덮개부재의 상부 본체(161)로부터 연장된 후부 확장부분(162)으로 덮여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배출공기는 잔디자루의 후벽(179)으로부터 또한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환류될 수 있다.
도 15~2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200)를 도시하는 것이다. 예초기(10)의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들(도 2 참조)은 동일한 도면번호로 나타내고,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겠다. 예초기(200)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10)와 잔디자루의 설계에서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듯이, 예초기(200)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잔디자루(224)는 깎인 잔디를 수집하는 기능을 갖는 내부부재(242), 내부부재(242)의 부분을 덮고 있는 신축 가능한 외부부재(243), 내부와 외부부재(242, 243)를 받치고 커터 하우징(12)의 후벽(35)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프레임부재(241)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듯이, 대략 육면체 형상의 내부부재(242)는 그 앞 부분에 형성된 내부 개방부(245), 앞 부분에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천으로 형성된 상부벽(276), 좌우측벽(277, 278), 후벽(279)을 갖는 내부 본체부(247) 및 공기가 통할 수 없는 재료로 형성된 바닥부재(248)를 갖는다. 내부부재(242)는 바닥부재(248)를 포함하는 하부구획에 의하여 그 안으로 깎인 잔디를 수집하는 기능과 상부벽, 좌우측벽, 후벽(276, 277, 278, 279)으로 구성된 외부 주변구획에 의하여 배출공기를 반환하는 배출공기순환기능을 갖는다.
잔디자루(224)가 커터 하우징(12)의 후벽(35)에 부착될 때 내부 개방부(245)는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와 연결된다.
공기가 통할 수 없는 재료로 형성된 외부부재(243)는 외부부재(243)와 주위 표면들 사이에 삽입된 적절한 공간과 함께 상부벽, 좌우측벽, 후벽(276, 277, 278, 279)의 상부의 주위 표면을 덮는다. 외부부재(243)는 프레임부재(241)와 바닥부재(248)에 의해 지지되고, 깎인 잔디와 분리된 배출공기가 향하게 하는 배출공기전달통로(251)와 배출공기전달통로(251)를 연결통로(52)에 의하여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이어지게 하는 상부 개방부(252)를 포함한다. (도 15 참조)
프레임부재(241)는 내부 본체부(247)를 지지하는 내부 지지부(253), 내부 개방부(245)를 형성하는 내부 개방프레임(254), 외부 개방부(252)를 형성하는 외부개방프레임(255)을 포함한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듯이, 내부부재(242)의 상부벽(276), 좌우측벽(277, 278), 후벽(279)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천으로 형성된 반면, 바닥부재(248)는 레진이나 금속과 같이 공기가 통할 수 없는 재료로 된 시트 형상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사용하는 잔디자루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한다. 변형된 잔디자루(284)는 도 17에서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잔디자루(224)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변형된 잔디자루(284)는 그 안에 깎인 잔디 수집을 위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천 재료로 형성된 내부부재(282), 외부부재(283)와 주위 표면 사이에 삽입된 적절한 공간과 함께 내부부재(282) 외부 주위 표면을 덮기 위해 공기가 통할 수 없는 재료로 형성된 신축 가능한 외부부재(283), 내부 및 외부부재(282, 283)의 위에서 지지하는 프레임부재(241)를 포함한다. 즉, 잔디자루(284)는 내부 및 외부부재(282, 283)로 구성된 대체적으로 2층 구조이다.
도 18에서, 도면번호 285는 내부 개방부, 292는 외부 개방부, 291은 내부 및 외부부재(282, 283)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공기전달통로를 가리킨다. 배출공기전달통로(291)는 외부 개방부(292)에 의하여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이어진다.
변형된 잔디자루(284)는 내부 개방부(285)와는 달리 그 안에 깎인 잔디 수집을 위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 내부부재(282)와 내부부재(282) 외부의 주위 표면을 덮기 위해 공기가 통할 수 없는 재료로 형성된 신축 가능한 외부부재(283)로 구성된 2층 구조이기 때문에, 변형된 잔디자루(284)는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그것으로부터 깎인 잔디를 버릴 때와 같은 경우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9a와 19b는 전형적인 잔디 깎기 작동 시작 전의 예초기(20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9a에서는 내부부재(242)가 내부 개방부(245)를 통하여 깎인 잔디 운반통로(32)와 연결되어 있어, 깎인 잔디는 내부부재(242)로 운반된다. 배출공기전달통로(251)의 앞 부분을 덮고 있는 디스챠지 가드(23) 때문에 외부 개방부(252)를 통해서 빠져나가는 배출공기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b에서, 내부부재(242)의 바닥부재(248)는 공기가 통할 수 없는 재료로 형성되고, 내부부재(242)의 상부벽(276), 좌우측벽(277, 278), 후벽(279)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깎인 잔디를 운반한 운반공기는 깎인 잔디를 내부부재(242) 안에 남긴 채 배출공기로서 상부벽(276), 좌우측벽(277, 278), 후벽(279)을 통해서 외부부재(243)로 배출될 수 있다.
또, 신축 가능한 외부부재(243)는 작동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는 수축된 상태로 접어놓을 수 있어서, 작동핸들(19, 도 1)과 잔디자루(224)와의 사이에 충분한 거리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잔디자루(224)의 부착과 분리가 아주 용이해진다. 또 작동핸들(19, 도 1)과 잔디자루(224)와의 사이의 충분한 공간에 의하여, 기계 본체(211)는 쉽게 작동될 수 있고, 예초기(200)는 필요한 운송수단으로 쉽게 작동할 수 있다.
도 20a와 20b는 예초기(200)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전형적인 잔디 깎기 작동 동안의 운반공기, 깎인 잔디 및 배출공기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20a에서, 잔디가 커터 칼날(14)에 의하여 처음으로 잘리고, 그 깎인 잔디는 운반공기와 함께 그 안에 수집하기 위해 내부부재(242)로 운반된다. 운반공기는 배출공기가 되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내부부재(242)로부터 공기가 통할 수 없는 외부부재(243)로 흐른다. 외부부재(243)로 흐르는 배출공기에 의해, 외부부재(243)는 배출공기전달통로(251)로부터 팽창된다. 그 후 배출공기전달통로(251)를 통해서 배출공기는 연결통로(52)에 의해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반환된다. 그러므로 배출공기가 잔디자루(224)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소음과 함께 배출되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게다가, 신축 가능한 외부부재(243)는 배출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디스챠지 가드(23)에 밀접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도 20b에 도시되어 있듯이, 작동 중에 공기가 통할 수 없는 외부부재(243)는 내부부재(242)로부터 팽창되어, 내부부재(242)와 외부부재(243)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배출공기 전부는 그 충분한 공간에 의해 배출공기 환류 통로(33)로 반환될 수 있다.
외부부재(243)는 신축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직 외부부재(243)만이 작동 중에 효율적으로 배출공기를 반환하기 위해서 배출공기 환류 통로의 충분한 구획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확장된다.
또한, 내부부재(242)와 외부부재(243) 사이를 형성하는 상부공간부분은 배출공기의 흐름을 환류하기 위해 압력이 증가하는 곳이다. 내부부재(242)는 그 상부부분이 프레임부재(241)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내부부재(242)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예를 들어 배출공기전달통로(251)와 같은 상부공간부분의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게다가, 깎인 잔디가 잔디자루(224) 안에 축적될 때, 내부부재(242)는 깎인 잔디로 채워져, 배출공기의 압력이 약해진다. 그러므로 잔디자루(224)가 깎인 잔디로 축적되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하여 외부부재(243)는 약간 수축된 상태가 된다. 즉, 신축 가능한 외부부재(243)는 잔디자루(224)가 깎인 잔디로 축적된 때를 감지하는 센서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구동력공급원으로서 엔진(13) 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력공급원은 배터리 등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기모터일 수도 있다.
또, 제3 실시예는 잔디자루(224)가 내부 및 외부부재(242, 243), 내부부재(242)의 상부벽(276), 좌우측벽(277, 278), 후벽(279)의 바깥쪽으로 형성된 배출공기전달통로(251)로 구성된 경우에 관하여 상기에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출공기전달통로(251)는 내부부재(242)의 상부벽 위쪽이나, 상부벽(276)과 좌우측벽(277, 278)의 바깥쪽이거나, 상부벽(276)과 후벽(279)의 바깥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초기는 커터 하우징의 뒤쪽 하부 말단을 향한 배출공기 환류 통로의 배출공기출구 때문에, 배출공기 환류 통로의 길이와 단면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충분한 소음감소와 먼지 저감 및 기계 자체의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휴대기능과 같은 예초기의 편리함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잔디자루가 예초기에서 분리될 수 있어서 여러 종류의 잔디 깎기 작동모드에 효과적으로 적응된다.

Claims (6)

  1. 예초기의 기계 본체(11, 111, 211)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내부에 깎인 잔디(49)를 수집하기 위한 잔디 자루(24, 124, 224)를 포함하는 예초기로서,
    잔디를 깎을 뿐 아니라 그 반대쪽 말단부분에서 제공되는 공기 상승 구획(39)에 의해 운반 공기를 생성하기 위해 구동력 공급원에 의해 회전 가능한 커터 칼날(14)과;
    깎인 잔디를 운반공기와 함께 상기 잔디 자루(24, 124, 224)로 안내하기 위한 깎인 잔디 운반 통로(32) 및 운반 공기만을 배출 공기로서 상기 잔디 자루로부터 상기 커터 하우징(12)까지 환류(還流)시키기 위한 배출 공기 환류 통로(33)를 구비하고, 상기 커터 칼날(14)을 덮는 커터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상기 깎인 잔디 운반통로는 상기 커터 하우징의 앞뒤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배출 공기 환류 통로는 상기 깎인 잔디 운반 통로의 측방에 제공되고, 상기 깎인 잔디 운반 통로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깎인 잔디 운반 통로는 상기 커터 하우징의 뒤쪽 상부면(21)에 제공되는 배출 공기 입구(61)와 상기 커터 하우징의 뒤쪽 하부 말단(22)을 향하는 배출 공기 출구(65)를 갖는 것인 예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하우징은 잔디 자루로부터 커터 하우징으로 배출공기를 환류하기 위해 후벽(35)에 형성된 다수의 보조 배출 공기 환류 통로(36)를 갖는 것인 예초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자루는 육면체형상이고,
    상기 잔디 자루의 앞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깎인 잔디 운반 통로와 이어져 있는 개방부(45, 145, 245);
    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된 좌측벽, 우측벽(77, 78, 177, 178)과 바닥부재(48, 148);
    통기성 재료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위치한 그물 부재(43, 143);
    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되고 그물 부재의 상면부를 덮는 덮개 부재44, 144); 및
    상기 배출 공기 환류 통로와 이어지고 상기 그물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폐쇄될 수 있는 뒷 부분을 갖는 배출 공기 전달 통로(51, 151)를 갖는 것인 예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자루(224)는 육면체 형상의 내부 부재(242) 및 상기 내부 부재의 외주면을 덮는 신장 가능한 외부 부재(243)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부재는:
    통기성 재료로 형성된 상부벽(276), 좌우측벽(277, 278), 후벽(279);
    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된 바닥 부재(248);
    상기 깎인 잔디 운반 통로와 이어지고 내부 부재 앞 부분에 형성된 내부 개방부(245)를 가지고,
    상기 외부 부재는, 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부재와 상기 외주면 사이에 공간을 두고 상부벽, 좌우측벽, 후벽의 외주면을 덮고, 상기 배출 공기 환류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내부 부재의 윗쪽에 형성된 외부 개방부(252)를 갖는 것인 예초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의 바닥 부재는 상기 내부 부재의 상부벽, 좌우측벽, 후벽과 같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 부재는 비통기성 재료로 형성된 상기 외부 부재로 덮여 상기 잔디 자루의 비통기성 바닥을 제공하는 것인 예초기.
  6. 제1항에 있어서, 1) 잔디 자루를 기계 본체에 부착하여 작동하는 동안에는, 배출 공기를 잔디 자루로부터 배출 공기 환류 통로로 향하게 하기 위해 잔디 자루의 한 부분을 덮고,
    2) 잔디 자루를 기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깍인 잔디가 지표면에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동안에는, 깎인 잔디를 지표면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배출 공기 입구(61)를 폐쇄하도록,
    배출 공기 입구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된 디스챠지 가드(23)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예초기.
KR1020050053285A 2004-06-25 2005-06-21 예초기 KR101170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8173 2004-06-25
JPJP-P-2004-00188310 2004-06-25
JPJP-P-2004-00188251 2004-06-25
JPJP-P-2004-00188216 2004-06-25
JP2004188251A JP4202973B2 (ja) 2004-06-25 2004-06-25 芝刈機
JP2004188216A JP2006006203A (ja) 2004-06-25 2004-06-25 芝刈機
JP2004188310A JP4160538B2 (ja) 2004-06-25 2004-06-25 芝刈機
JP2004188173A JP4343781B2 (ja) 2004-06-25 2004-06-25 芝刈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448A KR20060048448A (ko) 2006-05-18
KR101170170B1 true KR101170170B1 (ko) 2012-07-31

Family

ID=3493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285A KR101170170B1 (ko) 2004-06-25 2005-06-21 예초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43727B2 (ko)
EP (1) EP1609350B1 (ko)
KR (1) KR101170170B1 (ko)
CA (1) CA2509556C (ko)
DE (1) DE602005027518D1 (ko)
TW (1) TWI3338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5920B2 (en) * 2008-11-13 2010-10-05 The Toro Company Lawn mower having steeply inclined exit tunnel and battery access through rear face of mower cutting deck
AU2009338110B2 (en) 2009-01-26 2016-02-11 Husqvarna Ab Door prop in a lawn mower
US7849665B2 (en) * 2009-03-23 2010-12-14 Honda Motor Co., Ltd. Recirculating grass bagging apparatuses and methods
JP5124005B2 (ja) * 2010-10-26 2013-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型芝刈機
CN103402351B (zh) 2011-02-21 2016-07-13 胡斯华纳有限公司 手扶式割草机的把手控制设备
EP2499894B1 (en) * 2011-03-14 2014-07-02 Robert Bosch GmbH Lawnmowers
US20130312382A1 (en) * 2012-05-25 2013-11-28 Makita Corporation Lawn mower
JP6066860B2 (ja) * 2013-08-05 2017-01-25 株式会社クボタ 草刈機
US9706710B2 (en) * 2015-02-27 2017-07-18 Kubota Korporation Grass collector preventing clippings discharged to the outside
CN108901309A (zh) * 2018-07-18 2018-11-30 白徽强 一种吸尘降噪的柴油型割草机
JP2021023186A (ja) * 2019-08-02 2021-02-22 株式会社マキタ 芝刈機
TWI795777B (zh) * 2021-05-13 2023-03-11 林世軒 氣導式清除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8968A (en) * 1971-11-01 1973-01-09 Gilson Brothers Co Combined lawn mower, lawn vacuum and debris collector
IT8223164V0 (it) * 1982-10-13 1982-10-13 Siag Spa Macchina rasaerba perfezionata.
US4566257A (en) * 1984-06-29 1986-01-28 Mohammad Akrabawi Lawn mower disposable grass collection bag attachment
JPS61125223A (ja) 1984-11-20 1986-06-12 Fujitsu Ltd 論理回路
US4631909A (en) 1985-07-23 1986-12-30 Mclane Frank E Lawn mower vacuum apparatus
US4848070A (en) * 1987-07-14 1989-07-18 Berglund Andrew L Grass catching apparatus for mower
US5010716A (en) * 1989-08-18 1991-04-30 Fassauer Arthur L Air-floated cutting apparatus with overhead grass catcher
US4989400A (en) * 1989-09-01 1991-02-05 Snapper Power Equipment, Division Of Fuqua Industries, Inc. Disposable bag and mounting apparatus for a lawn mower
JPH06169624A (ja) * 1992-12-04 1994-06-21 Iseki & Co Ltd 芝刈機における可変コレクタ
GB9304952D0 (en) * 1993-03-11 1993-04-28 Electrolux Norther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rass cutting machines
US5678399A (en) * 1995-12-26 1997-10-21 Baron; Kyle L. Lawn mower housing
US6105350A (en) * 1998-08-28 2000-08-22 The Toro Company Multi-port hopper exhaust apparatus
GB2378374A (en) * 2001-08-08 2003-02-12 Miles Roland William Bozeat Grass cutting and collecting machine
JP3703752B2 (ja) * 2001-10-04 2005-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GB2392076A (en) * 2002-08-20 2004-02-25 Miles Roland William Bozeat Cut grass collection means - shared 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09556C (en) 2012-09-18
TWI333831B (en) 2010-12-01
DE602005027518D1 (de) 2011-06-01
KR20060048448A (ko) 2006-05-18
US7343727B2 (en) 2008-03-18
TW200614910A (en) 2006-05-16
US20050284121A1 (en) 2005-12-29
CA2509556A1 (en) 2005-12-25
EP1609350A1 (en) 2005-12-28
EP1609350B1 (en)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170B1 (ko) 예초기
US6705068B2 (en) Lawn mower
CA2024140C (en) Disposable bag and mounting apparatus for a lawn mower
US4848070A (en) Grass catching apparatus for mower
CN100396171C (zh) 割草机
JP4528068B2 (ja) 芝刈機
US9320396B2 (en) Pet waste vacuum system and disposable liners therefor, and a method of collecting pet waste using disposable liners
EP1712119B1 (en) Grass collection container and grass mowing machine
AU2006202964A1 (en) Sump for cooling package air intake housing of an agricultural machine
EP0610062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llection devices
EP0821869B1 (en) Lawnmower
EP0511766A2 (en) Lawn mower
WO2007017658A1 (en) Lawn mower
JP4202973B2 (ja) 芝刈機
JP2006006203A (ja) 芝刈機
JP4160538B2 (ja) 芝刈機
JP4695038B2 (ja) 排風循環式芝刈機
GB2429623A (en) Lawnmower having grass collection box
WO2022118426A1 (ja) 吸引分離用複合管、及びそれを用いた吸引清掃作業機並びに収穫作業機
JP2017158504A (ja) コンバイン
JPH0628981Y2 (ja) 乗用芝刈機
JPH08322355A (ja) ブロア
JP2572903B2 (ja) モーア
GB2394158A (en) Lawnmower
JP5097478B2 (ja) 芝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