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524B1 - 동축 커넥터 및 동축 다극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및 동축 다극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524B1
KR101167524B1 KR1020117010364A KR20117010364A KR101167524B1 KR 101167524 B1 KR101167524 B1 KR 101167524B1 KR 1020117010364 A KR1020117010364 A KR 1020117010364A KR 20117010364 A KR20117010364 A KR 20117010364A KR 101167524 B1 KR101167524 B1 KR 10116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round
contact
termin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766A (ko
Inventor
교꼬 오니야마
신 사끼야마
Original Assignee
어드밴테스트 코포레이션
몰렉스 재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테스트 코포레이션, 몰렉스 재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드밴테스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9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동축 커넥터가 개시된다.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신호 라인에 연결되는 신호 단자와, 동축 케이블의 접지 라인에 연결되는 접지 단자가 제공되는, 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 유닛은 원통부와, 원통부 전방에 배열되는 반원통부와, 반원통부 전방에 배열되는 텅-형태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신호 단자에는 신호 테일부와, 신호 접촉부가 제공된다. 각각의 접지 단자는 접지 테일부와, 접지 보디부와, 접지 접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및 동축 다극 커넥터 {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MULTI-POLE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 및 동축 다극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전기 장치, 전자 장치, 등으로, 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동축 케이블이 인쇄 회로 보드와 같은 보드에 연결될 때, 동축 케이블이 동축 다극 커넥터에 연결되고, 동축 다극 커넥터에는 동축 케이블의 신호 라인에 연결되는 신호 단자와, 신호 단자를 둘러싸서 동축 케이블의 차폐부에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차폐 단자가 제공되며, 상기 동축 다극 커넥터는 보드 상에 장착된다(일본 특허 출원 공보(코카이) 제 8-021446 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축 다극 커넥터의 차폐 단자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축 다극 커넥터의 차폐 단자(851)는 도시되지 않는 보드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핀에 연결되는 하부 단부와, 도시되지 않는 동축 케이블의 차폐부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 상부 단부를 갖고, 동축 케이블의 차폐부가 보드의 접지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더욱이, 보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도시되지 않는 신호 핀이, 중공 형태의 차폐 단자(851)의 중심에 삽입되어, 동축 케이블의 도시되지 않은 신호 라인에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차폐 단자(851)는 동축 케이블의 차폐부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는 원통부(852)와, 상기 원통부(852)의 하부 단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동축 반-원통부(853)를 포함한다. 더욱이, 반-원통부(853)는 반-원통부의 양 단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접지 연결부(854)와, 접지 연결부(854)의 하부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중간에 대향하는 V-형태의 리지(ridges)들을 형성하도록 내향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는 핀 접촉부(855)를 포함한다. 더욱이, 원통부(852)에는 내향으로 잘려 움푹 들어가는 한 쌍의 차폐-접촉부(856)가 제공된다.
보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접지 핀은 샌드위치 방식으로 한 쌍의 핀 접촉부(855)에 의해 클램핑되어, 차폐 단자(851)가 보드의 접지 라인에 연결되게 된다. 다른 한편, 동축 케이블의 차폐부의 단부 부분이 한 쌍의 차폐-접촉부(856) 사이에 핀치(pinch)되어, 차폐 단자(851)가 동축 케이블의 차폐부에 연결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동축 다극 커넥터에서는 신호 핀 및 신호 핀을 둘러싸는 차폐 단자(851)에 의해 고주파수 신호 전송 라인을 형성하는 구조가, 동축 케이블의 차폐부가 차폐-접촉부(856)와 접촉하는 위치와, 접지핀이 핀 접촉부(855)와 접촉하는 또 다른 위치 사이에서 급격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전송 라인의 송신 모드가 전송 라인의 구조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하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반사, 감쇠, 공진, 또는 복사와 같은 손실의 발생이 주파수 대역과 관련하여 발생하고, 따라서, 고주파수 신호 송신 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더욱이, 동축 다극 커넥터의 수와, 보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신호 및 접지 핀의 수가 동축 케이블을 통한 전송을 위한 신호 채널들의 수 증가와 부합하도록 증가할 때, 각 커넥터의 전체 크기가 이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드를 장착한 전자 장치등의 가장자리에 치수적인 여유가 없을 때, 그리고, 각 커넥터의 폭 치수에 제한이 있을 때, 신호 송신을 위한 채널을 멀티플라잉(즉, 신호 극성의 멀티플라잉)하는 요청에 충분히 대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동축 다극 커넥터에서 나타나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완화시키고, 신호 라인에 연결되는 평판-형 신호 도선과, 반-원통형 접지부에 연결되는 평판-형 접지 도선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윗면을 가진 스트립-형 릴레이 베이스와, 동축 케이블의 일 단부로부터 벗어남으로써 노출되는 신호 라인의 반-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반-원통형 접지부가, 축방향으로 서로 직렬로 배열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 동축 커넥터 및 동축 다극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이때, 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에 의해 제공되는 고주파수 신호 전송 라인에서 반사, 감쇠, 공진, 또는 복사와 같은 손실의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커넥터의 폭 및 두께 방향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카운터파트 보드에 다수의 동축 케이블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축 커넥터 및 동축 다극 커넥터는 신호 극성의 멀티플라잉에 적절히 부합할 수 있고, 높은 내구성 및 높은 신뢰도를 실현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 및 단순한 구조로 작은 크기로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 유닛으로서, 동축 케이블의 신호 라인에 연결되는 신호 단자와, 동축 케이블의 접지 라인에 연결되는 접지 단자가 제공되는, 상기 단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 유닛은 원통부와, 원통부 전방에 배열되는 반원통부와, 반원통부 전방에 배열되는 텅-형태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신호 단자에는 반원통부의 신호 라인에 연결되는 신호 테일부와, 텅-형태부의 카운터파트 커넥터의 카운터파트 신호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접촉부가 제공되며, 각각의 접지 단자는 원통부의 접지 라인에 연결되는 접지 테일부와, 반원통부의 신호 테일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보디부와, 텅-형태부의 카운터파트 커넥터의 카운터파트 접지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구성에서는, 상기 신호 테일부는 평판 형태를 갖고, 상기 신호 접촉부에는 카운터파트 신호 단자와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평판형 접촉 표면부가 제공되며, 상기 접지 보디부에는 신호 테일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열되는 반-실린더부가 제공되고, 상기 접지 접촉부에는 카운터파트 접지 단자와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평판형 접촉 표면부가 제공되며, 상기 신호 접촉부의 상기 접촉 표면부와, 상기 접지 접촉부의 접촉 표면부는, 서로 동높이에 위치하고 서로 평행하게 동일한 간격으로 단자 유닛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구성에서는, 각각의 신호 단자에는 신호 테일부 및 신호 접촉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연결부가 제공되고, 각각의 접지 단자에는 접지 테일부 및 접지 접촉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연결부가 제공되며, 신호 테일부와 접지 테일부 간의 거리는, 신호 연결부와 접지 연결부 간의 거리와, 신호 접촉부와 접지 접촉부 간의 거리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구성에서는 원통부 및 반-원통부 각각의 외경과, 텅-형태부의 폭이 각각 동축 케이블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구성에서는 상기 텅-형태부는 동축 케이블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다극 커넥터는, 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 유닛으로서, 동축 케이블의 신호 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신호 단자들이 제공되고, 동축 케이블의 접지 라인에 각각 연결되는 접지 단자들이 제공되는, 상기 단자 유닛과, 단자 유닛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단자 지지 부재가 제공되고, 카운터파트 커넥터의 카운터파트 하우징과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 유닛에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 전방에 배열되는 반-원통부, 그리고, 상기 반-원통부 전방에 배열되는 텅-형태부가 제공되고, 각각의 신호 단자에는 상기 반-원통부의 신호 라인에 연결되는 신호 테일부와, 텅-형태부의 카운터파트 커넥터의 카운터파트 신호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접촉부가 제공되며, 각각의 접지 단자에는 원통부의 접지 라인에 연결되는 접지 테일부와, 반-원통부의 신호 테일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보디부와, 텅-형태부의 카운터파트 커넥터의 카운터파트 접지 단자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접촉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축 다극 커넥터의 구성에서는 상기 반-원통부는 서로 면하도록 배치되는 오픈된 단부들을 가지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일 구성에서는 상부 표면을 가진 스트립-형 릴레이 베이스와 동축 케이블의 일 단부로부터 빠져나옴으로써 노출되는 신호 라인의 반-둘레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반-원통형 접지부가 축방향으로 서로 직렬로 배열되고, 그 위에서 신호 라인에 연결되는 평판형 신호 라인과 반-원통형 접지부에 연결되는 평판형 접지 라인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에 의해 제공되는 고주파수 신호 전송 라인에 반사, 감쇠, 공진, 또는 복사와 같은 손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폭 및 두께 방향으로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카운터파트 보드에 다수의 동축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 및 간단한 구조로 소형화되어 제작될 수 있는, 높은 내구성 및 신뢰도를 가진, 신호 극성들의 멀티플라잉 수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 및 동축 다극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임의의 카운터파트 커넥터가 아직 케이블 커넥터에 밀착-끼워맞추어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함.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동축 케이블들이 보드 커넥터에 밀착-끼워맞추어진 상태를 도시함.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유닛들과 카운터파트 단자들 간의 네개의 입면도 및 단면도.
도 4a-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는 네개의 입면도 및 단면도로서, 도 4a는 평면도, 도 4b는 전면도, 도 4c는 후면도, 도 4d는 측면도, 도 4e는 도 4a의 화살표 Z-Z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f는 도 4a의 화살표 Y-Y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g는 도 4a의 화살표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a-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전개도로서, 도 5a는 사시도, 도 5b는 접지 단자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전개도, 도 5c는 릴레이 베이스의 전개도, 도 5d는 릴레이 베이스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축 다극 커넥터의 차폐 단자의 도면.
본 발명의 선호 실시예들의 설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제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가 임의의 카운터파트 커넥터에 아직 끼워맞추어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가 보드 커넥터에 끼워맞추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일례인 동축 다극 커넥터로서의 케이블 커넥터(1)는, 도선들을 구성하는 복수의 케이블(91)의 전면 단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1)는 보드(191)의 일 측부 표면(도 2의 우측 측부 표면)에 연결되는 카운터파트 커넥터로 보드 커넥터(101)와 밀착-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된다.
보드(191)는 컴퓨터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 또는 장치에, 또는, 컴퓨터 전자 기기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 또는 장치에 사용되는 인쇄 회로 보드, 가요성 인쇄 회로(FPC), 가요성 플랫 케이블(FFC)와 같은 편평형 케이블로서, 평판형 케이블로 구성된다면 임의의 타입의 보드일 수 있다.
더욱이, 보드(191)의 폭 방향(도 2의 도면 시트에 수직인 방향)으로 지정 피치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연결 전극들이 보드(191)의 표면에 노출된다. 각 연결 전극들은 보드(191)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도시되지 않은 전도 트레이스들의 복수의 라인에 연결되고, 보드(191)의 폭 방향으로 지정 피치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피치와, 연결 전극 및 연결 트레이스들의 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91)이 임의의 타입의 케이블일 수 있으나, 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에 적절한, 얇은 동축 케이블인 것으로 설명될 것이다. 나중에 설명되겠지만, 케이블(91)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진 선형 물체로서, 코어 라인(9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열되고 금속성 메시로 형성되는 접지 라인으로 전도성 차폐 부재(94)와, 중심에 배열되는 신호 라인으로 전도성 코어 라인(92)이 제공된다. 더욱이, 케이블(91)은 케이블 커넥터(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행들을 형성한다. 더욱이, 피치와, 케이블(91)들의 수가 적절히 구성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케이블(91)이 케이블 커넥터(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고 두개의 행을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 커넥터(1), 보드 커넥터(101), 그리고 그외 다른 구성요소들의 각 부분의 구조 및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향, 하향, 좌측, 우측, 전방, 후방과 같은 방향들의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다. 이 표현들은 케이블 커넥터(1), 보드 커넥터(101), 및 그외 다른 구성요소들의 각 부분이 도면에 도시되는 위치에 놓일 때 적절하다. 케이블 커넥터(1), 보드 커넥터(101), 또는, 그외 다른 구성요소들의 각 부분의 위치가 변화할 경우, 이 표현들이 케이블 커넥터(1), 보드 커넥터(101), 또는, 그외 다른 구성요소들의 각 부분의 위치 변화에 따라 변화할 것이라 가정한다.
여기서, 케이블 커넥터(1)에는,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으로 제 1 하우징(11)과, 상기 제 1 하우징(11) 내에 배열되는 단자 지지 부재(17)가 제공된다. 단자 지지 부재(17)는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판형 부재이고, 케이블(9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는 단자 유닛(50)들이 그 전방 및 후방 표면에 부착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자 지지 부재(17)의 전방 및 후방 표면 상에는, 복수의 단자 유닛(50)이 단자 지지 부재(17)의 폭 방향(즉, 케이블 커넥터(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더욱이, 제 1 하우징(11)에는 단자 지지 부재(17)를 내측에 수용하는 단자 수용 개구부(13)가 제공된다. 단자 수용 개구부(13)는, 상부 및 하부 상판부(12)와, 좌측 및 우측 측판부(14)에 의해 구획되는 가장자리를 가지면서 끼워맞춤 표면 측부에 대해 오픈되는 개구부다. 더욱이, 단자 수용 개구부(13)의 내부는 단자 지지 부재(17)에 의해 상부 및 하부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서, 단자 유닛(50)이 각각의 부분 내에 수용되게 된다. 더욱이, 단자 유닛(50)의 래칭부(73d)를 래칭(latching)하도록 상판부(12)의 외부 표면 상에 래칭 개구부(latching openings)(11a)들이 형성된다.
각 케이블(9)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는 단자 유닛(50)이 제 1 하우징(11)의 후방 표면 (끼워맞춤 표면에 대향하는 표면) 측부로부터 단자 지지 부재(17)의 상부 및 하부 내로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단자 유닛(50)은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차후 설명되는 릴레이 베이스(31)와, 릴레이 베이스(31)에 의해 고정되고 땜납, 등을 이용하여 케이블(91)의 차폐 부재(94)에 연결되는 금속성 접지 단자(71)를 포함한다. 더욱이, 릴레이 베이스(31)의 스트립 판형 텅 부분(tongue part)(32)의 상부면에는 접지 단자(71)의 전방 단부 부분인 판형 접지 접촉부(72)와 케이블(91)의 코어 라인(92)에 연결되는 판형 신호 접촉부(52)가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자 지지 부재(17)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상에는 케이블 커넥터(1)의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기다란 판형 신호 접촉부(52)와, 복수의 접지 접촉부(72)가 서로 평행하게 교대로 배열된다. 더욱이, 단자 지지 부재(17)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상의 단자 유닛(50)들의 수와 피치는, 요구되는 바와 같이 적절히 구성될 수 있다.
보드 커넥터(101)는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카운터파트 하우징으로 제 2 하우징(111)과, 제 2 하우징(111)에 끼워맞춰지는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카운터파트 단자(161)들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111)에는 끼워맞춤면 측부 상에서 오픈되는 카운터파트 측부 개구부(113)가 제공되어, 단자 지지 부재(17)의 극단부로부터 지정 범위의 부분이, 보드 커넥터(101) 및 케이블 커넥터(1)가 서로 끼워맞춰지도록 결합되는 상태 하에서, 카운터파트 개구부(113) 내로 들어오게 된다.
카운터파트 단자(161)들은 제 2 하우징(11)의 상부 및 하부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 수용 그루브(114)들에 수용된다. 단자 수용 그루브(114)는 카운터파트-측부 개구부(113) 내부에서 또한 연장된다. 더욱이, 카운터파트 단자(161)들은 접지 단자(71)들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카운터파트 접지 단자들과, 나중에 설명되는 신호 단자(51)들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카운터파트 신호 단자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카운터파트 신호 단자 및 카운터파트 접지 단자들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이 요소들이 개별적인 특징없이 카운터파트 단자(161)로 설명될 것이다.
카운터파트 단자(161)에는, 단자 수용 그루브(114)에 장착되는 보디 부분(162)과, 보디 부분(162)으로부터 전방으로, 즉, 접합된 커넥터들의 끼워맞춤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캔틸레버-형 접촉 암부(163)와, 제 2 하우징(111)의 두께 방향(도 2의 상-하향 방향)으로 중심을 향해 돌출하도록 접촉 암부(contacting arm portion)(163)의 전방 단부 인근에 배치되는 접촉 벌징부(contacting bulging portion)(164)와, 보디 부분(162)으로부터 후방으로, 즉, 접합된 커넥터들의 상술한 끼워맞춤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중간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되고, 제 2 하우징(111)의 두께 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접촉 레그부(165)가 제공된다. 더욱이, 접촉 레그부(165)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하우징(11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 2 하우징(111)의 후방 단부 너머로 연장된다.
보드 커넥터(101) 및 케이블 커넥터(1)가 서로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상태에서, 접촉 벌징부(164)는 단자 지지 부재(17)의 대향하는 표면들 상에 각각 배열되는 신호 접촉부(52) 및 접지 접촉부(72)들과 접촉한다. 이러한 경우에, 탄성 특성을 가진 접촉 암부(163)가 판 스프링으로 기능하여, 접촉 암부(163)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따라, 접촉 벌징부(164)가 신호 접촉부(52) 및 접지 접촉부(72)의 표면에 대해 작용하여, 신호 접촉부(52) 및 접지 접촉부(72) 간의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보드(191) 및 보드 커넥터(101)가 납땜과 같은 전도성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접촉 레그부(165)들은 보드(191)의 양 표면에 노출되도록 배열되는, 도시되지 않은 연결 전극들과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커넥터(1)가 끼워맞춤에 의해, 보드(191)에 부착된 보드 커넥터와 결합할 때, 각 케이블(91)에 연결되는 단자 유닛(50)의 신호 접촉부(52) 및 접지 접촉부(72)가 카운터파트 단자(161)를 통해 보드(191)의 대응하는 연결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각 케이블(91)의 신호 라인 및 접지 라인이 보드(191)의 대응하는 전도성 트레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카운터파트 단자(161)들의 수 및 피치가 신호 접촉부(52) 및 접지 접촉부(72)의 수 및 피치와, 연결 전극들의 수 및 피치에 적합하게 적절히 구성될 수 있다.
그후, 단자 유닛(5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제부터 아래에서 제공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유닛과 카운터파트 단자 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4A-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는 네개의 입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5A-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다. 도 4A-4G에서, 도 4A는 평면도, 도 4B는 전면도, 도 4C는 후면도, 도 4D는 측면도, 도 4E는 도 4A의 화살표 Z-Z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F는 도 4A의 화살표 Y-Y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G는 도 4A의 화살표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다. 도 5A-5D에서, 도 5A는 사시도, 도 5B는 접지 단자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전개도, 도 5C는 릴레이 베이스의 전개도, 도 5D는 릴레이 베이스의 사시도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유닛(50)은 각 케이블(91)의 전방 단부에 연결된다.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91)은 대략 원형의 단면 형태를 가진 선형 물체이고, 케이블에는 중앙에 배열되는 신호 라인으로 전도성 코어 라인(92)과, 코어 라인(92)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절연 내부 클래딩(93)과, 내부 클래딩(93)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열되며 금속성 메시로 형성될 수 있는 접지 라인으로 전도성 차폐 부재(94)와, 차폐 부재(94)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되는 절연 외부 클래딩(95)이 제공된다. 더욱이, 케이블(91)의 전방 단부에는, 외부 클래딩(95), 차폐 부재(94), 내부 클래딩(93)이 제거되어 차폐 부재(94), 내부 클래딩(93), 그리고 코어 라인(92)이 순서대로 노출된다.
더욱이, 단자 유닛(50)은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물질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기다란 릴레이 베이스(31)와, 릴레이 베이스(31)에 연결되고 납땜 등을 이용하여 케이블(91)의 차폐 부재(94)에 연결되는 금속성 접지 단자(71)와, 일체형 몰딩에 의해 릴레이 베이스(31)에 연결되는 금속성 스트립 판형 신호 단자(51)를 포함한다. 더욱이, 단자 유닛(50)은 원통부(50a)와, 반-원통부(50b)와, 축방향으로부터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텅-형태부(50c)로 나누어진다.
도 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베이스(31)에는 반-원통부(50b)에 배치되는 중앙부(33)와, 텅-형태부(50c)에 배치되고 중앙부(33)로부터 전방으로(도면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판형 텅부(32)와, 텅부(32)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고 텅-형태부(50c)에 배치되는 전방 단부(37)와, 반원통부(50b)에 배치되고 중앙부(33)로부터 후방으로(도면에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수용부(34)와, 반원통부(50b)에 배치되고 중앙부(33) 및 케이블 수용부(34)의 연결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위치 설정 돌출부(35)가 제공된다.
더욱이, 클래딩-수용 오목부(34a)가 케이블 수용부(34)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어, 내부 클래딩(93)을 노출시키는 케이블(91)의 일부분을 수용하게 된다. 더욱이, 노출되는 코어 라인(92)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그루브부(35a)가 위치 설정 돌출부(35)에 형성된다. 더욱이, 테일-수용 오목부(33a)가 중앙부(33)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어, 신호 단자(51)의 신호 테일부(53)를 수용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테일 수용 오목부(33a)의 양 측벽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브리지(33b)가, 테일 수용 오목부(33a)의 전방 단부 위에 형성되어, 도 4F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테일 수용 오목부(33a)에 수용되는 신호 테일부(53)의 상향 변위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테일-수용 오목부(33a)로부터 신호 테일부(53)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C에서 신호 단자(51) 및 릴레이 베이스(31)가 릴레이 베이스(31)의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서로 이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신호 단자(51)는 수지, 등을 이용하여 오버몰딩과 같은 몰딩법에 의해 도 5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베이스(3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신호 단자(51)는 릴레이 베이스(31)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 부재다. 더욱이, 래칭 돌출부(36)가 중앙부(33) 및 케이블 수용부(34)의 양면 상에 형성되어, 접지 단자(71)를 래칭하게 된다.
더욱이, 텅부(32)의 상부 표면에서는, 신호 단자(51)의 신호 접촉부(52)의 접촉 표면부(52a)가 수용되는 신호 접촉 수용 오목부(32c)와, 접지 단자(71)의 접지 접촉부(72)의 접촉 표면부(72a)가 수용되는 접촉 수용 오목부(32b)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더욱이, 신호 접촉 수용 오목부(32c)와 접지 접촉 수용 오목부(32b)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은, 케이블(91)의 축방향으로, 즉, 단자 유닛(5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선형 볼록 경계부(32a)가 된다. 볼록 경계부(32a)는 거의 일정한 폭을 가져서, 신호 접촉부(52)와 접지 접촉부(72) 간에 일정한 갭이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신호 접촉 수용 오목부(32c)의 상부 표면과 접지 접촉 수용 오목부(32b)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볼록 접촉부(32a)의 상부 표면까지 측정되는 길이에 해당하는, 볼록 경계부(32a)의 높이는, 신호 접촉부(52)의 접촉 표면부(52a)의 두께와, 접지 접촉부(72)의 접촉 표면부(72a)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신호 단자(51) 및 접지 단자(71)가 릴레이 베이스(31)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볼록 경계부(32a)의 상부 표면은, 도 4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호 접촉부(52)의 접촉 표면부(52a)와, 접지 접촉부(72)의 접촉 표면부(72a)와 동일 높이에 있다.
더욱이, 전방 측부를 향해 하향으로 기울어진 경사 표면(37a)이 전방 단부(37)의 전방 단부 상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경사 표면(37a)은 카운터파트 단자(161)의 접촉 벌징부(164)를 안내하는 가이드 표면으로 기능하여, 케이블 커넥터(1) 및 보드 커넥터(101)가 서로 밀착-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될 때, 접촉 벌징부(164)가 경사 표면(37a)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신호 접촉부(52)의 접촉 표면부(52a)와 매끄럽게 접촉하게 되고, 접지 접촉부(72)의 접촉 표면부(72a)와 매끄럽게 접촉하게 된다. 더욱이, 볼록부(37b, 37c)들이 전방 단부(37)와, 접지 접촉 수용 오목부(32b) 및 신호 접촉 수용 오목부(32c)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된다. 접지 접촉부(72)의 전방 단부(72c)와, 신호 접촉부(52)의 전방 단부(52c)가 오목부(37b, 37c)에 각각 수용된다. 따라서, 전당 단부(37)의 상부 표면과 접지 접촉부(72)의 접촉 표면부(72a)와 신호 접촉부(52)의 접촉 표면부(52a) 사이에 어떤 계단도 형성되지 않는다. 그 결과, 케이블 커넥터(1)와 보드 커넥터(101)가 서로 밀착-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될 때, 카운터파트 단자(161)의 접촉 벌징부(164)를 매끄럽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지 단자(71)는 금속판을 처리(가령, 펀칭 및 구부림)함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부재다. 접지 단자(71)에는, 릴레이 베이스(31)의 중앙부(33) 및 케이블 수용부(34)의 상부 표면 및 측부 표면들을 커버하도록 반-원통부(50b)에 배치되는 접지 보디부(73)와, 접지 보디부(7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텅-형태부(50c)에 배치되는 스트립 판형 접지 접촉부(72)와, 접지 보디부(7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원통부(50a)에 배치되는 스트립 판형 접지 테일부(74)와, 접지 보디부(73) 및 접지 접촉부(7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연결부(75)가 제공된다.
도 4G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지 보디부(73)에는, 릴레이 베이스(31)의 중앙부(33) 및 케이블 수용부(34)의 상부 표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반-원통 형태를 가진 반-실린더부(73a)와, 반-실린더부(73a)의 양면 상의 하부 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케이블 수용부(34)의 중앙부(33) 및 측부 표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측부 표면부(73b)와, 릴레이 베이스(31)의 래칭부(36)에 래칭하도록 측부 표면부(73b)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구성되는 래칭 구멍(73c)과, 반-실린더부(73a)의 상부 표면을 절단 및 상승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절단 및 상승 피스로 구성되는 래칭 피스(73d)가 제공되며, 단자 유닛(50)이 제 1 하우징(11)의 단자 지지 부재(17)의 상부 및 하부 내로 삽입될 때, 제 1 하우징(11)의 래칭 개구부(11a)로 래칭되고, 따라서, 단자 유닛(50)의 제거 방지 부재로 기능하게 된다.
접지 테일부(74)는 케이블(91)의 노출된 차폐 부재(94)의 가장자리 주위로 감기는 권선부(74a)와, 권선부(74a)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로 구성되는 연결 개구부(74b)를 포함하며, 접지 테일부(74)와 차폐 부재(94)는 납땜 등과 같은 전도성 고정제를 제공함으로써 물리적으로 고정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도 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권선부(74a)는 180도보다 크거나 같고 360도보다 작은 범위의 각도 내에서 차폐 부재(94)의 가장자리를 덮고 가장자리와 접한는 것이 선호된다.
접지 접촉부(72)에는, 텅부(32)의 상부 표면에 평행한 접촉 표면부(72a)와 텅부(32)의 측부 표면과 평행한 측부 표면부(72b)가 제공되어, 도 4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L 형태의 단면을 나타내게 된다. 더욱이, 측부 표면부(72b)들은 접지 보디부(73)의 하나의 측부 표면부(73b)와 접지 연결부(75)와 동높이가 되도록 텅부(32)의 측부 표면들을 커버한다. 더욱이, 전방 단부(37)의 오목부(37b)에 수용되도록 전방 단부에서 형성되는 전방 단부(72c)가 접지 접촉부(72)에 제공된다.
신호 단자(51)는 금속판을 처리(가령, 펀칭, 구부림, 등)함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부재다. 신호 단자(51)에는 반-원통부(50b)에 배치되는 신호 테일부(53)가 제공되어, 케이블(91)의 노출된 코어 라인(92)과 접촉하게 하고, 텅-형태부(50c)에 배치되는 스트립 판형 신호 접촉부(52)가 제공되어 신호 테일부(5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하며, 신호 테일부(53) 및 신호 접촉부(5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연결부(55)가 또한 제공된다.
신호 테일부(53)는 장방형 평판형 부재로서, 릴레이 베이스(31)의 테일 수용 오목부(33a)에 수용된다. 더욱이, 도 4G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어 라인(92)은 신호 테일부(53)의 상부 표면과 접촉한다. 납땜과 같은 전도성 고정제를 제공함으로써 신호 테일부(53)와 코어 라인(2)이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접촉부(52)에는, 텅부(32)의 상부 표면과 평행한 접촉 표면부(52a)와, 텅부(32)의 측부 표면에 평행한 측부 표면부(52b)가 제공되어, 도 4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L 형태의 단면을 나타낸다. 접촉 표면부(52a)가 신호 테일부(53)와 유사하게 단자 유닛(5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지만, 상부 표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단자 유닛(50)의 폭 방향으로 접촉 표면부(52a)가 신호 테일부(53)와 이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신호 연결부(55)가 단자 유닛(50)의 축방향에 비스듬하게 연장된다. 더욱이, 측부 표면부(52b)는 텅부(32)의 측부 표면들을 커버한다. 더욱이, 신호 접촉부(52)에는, 전방 단부(37)의 오목부(37c)에 수용되도록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전방 단부(52c)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단자(51)는 수지를 이용한 오버몰딩과 같은 몰딩법에 의해 도 5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릴레이 베이스(31)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폐 부재(94), 내부 클래딩(93), 그리고 코어 라인(92)이 순서대로 노출되는 케이블(91)의 전방 단부가 릴레이 베이스(31)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내부 클래딩(93)이 클래딩 수용 오목부(34a)에 수용되고, 코어 라인(92)은 위치 설정 돌출부(35)의 그루브부(35a)에 끼워맞춰지는 일 부분과, 테일 수용 오목부(33a)에 수용되는 신호 테일부(53) 상에 배치되는 나머지 부분을 갖는다. 더욱이, 릴레이 베이스(31)에 대한 케이블(91)의 축방향의 위치 설정은, 내부 클래딩(93)의 자유 단부를 위치 설정 돌출부(35)와 접하게 함으로써 수행된다. 더욱이, 신호 테일부(53) 및 코어 라인(92)이 납땜과 같은 전도성 고정제를 제공함으로써 물리적으로 고정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91)의 전방 단부가 연결되는 릴레이 베이스(31)의 상부 측부로부터 접지 단자(71)가 부착된다. 이 경우에, 접지 보디부(73)가 릴레이 베이스(31)의 중앙부(33), 케이블 수용부(34)의 상부 표면, 그리고 코어 라인(92)의 상부 표면를 커버하도록, 그리고, 접지 테일부(74)가 케이블(91)의 차폐 부재(94)의 상부표면을 커버하도록, 그리고, 접지 접촉부(72)의 접촉 표면부(72a)가 릴레이 베이스(31)의 접지 접촉 수용 오목부(32b)에 수용되도록, 위치 설정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릴레이 베이스(31)의 래칭 돌출부(36)가 접지 보디부(73)의 래칭 구멍(73c)에 래칭된다. 더욱이, 180도보다 크거나 같고 360도보다 작은 범위의 각도 내에서 차폐 부재(94)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접지 테일부(74)가 변형된다. 추가적으로, 접지 테일부(74)와 차폐 부재(94)가 연결 개구부(74b)에 납땜과 같은 전도성 교정제를 제공함으로써 물리적으로 고정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91)의 전방 단부가 연결되는 단자 유닛(50)을 얻을 수 있다.
단자 유닛(50)에서, 신호 단자(51)는 동축 케이블인 케이블(91)의 코어 라인(92)에 연결되어, 고주파수 신호 전송 라인의 신호 라인으로 기능하게 된다. 더욱이, 접지 단자(71)가 케이블(91)의 차폐 부재(94)에 연결되어, 잡음 구성요소들을 차단할 수 있는 차폐물로, 그리고, 고주파수 신호 전송 라인의 접지 라인으로 기능하게 된다. 여기서, 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라인의 송신 모드가 전송 라인의 구조에 따라, 특히, 신호 라인 및 접지 라인의 형태, 크기, 배열, 등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신호 라인 및 접지 라인의 형태, 크기, 배열, 등이 급격하게 변할 때, 전송 라인의 전송 모드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따라서, 반사, 감쇠, 공진, 또는 복사와 같은 손실이 주파수 대역에 따라 발생하고 따라서, 고주파수 신호 전송 특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단자 유닛(50)에서 신호 라인으로 기능하는 신호 단자(51) 및 접지 라인으로 기능하는 접지 단자(71)의 형태, 크기, 배열, 등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고주파수 신호의 전송 라인에 해당하는 신호 단자(51) 및 접지 단자(71)의 송신 모드가 점진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180도다 크거나 같은 범위의 각도 내에서 신호 테일부(53)의 상부를 덮는 측부 표면부(73b)와 반-실린더부(73a)와 폭좁은 원형 열-형태의 코어 라인(92)의 하부 단부에 연결되는 기다란 스트립형 신호 테일부(53)에 의해 형성되는 신호 라인 및 접지 라인의 배열은, 신호 연결부(55)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단면 형태를 가진 기다란 스트립형 접지 연결부(75)와 기다란 스트립형 신호 연결부(55)에 의해 형성되는 접지 라인 및 신호 라인의 배열로 변화하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L 형태의 단면을 가진 신호 접촉부(52) 및 접지 접촉부(72)에 의해 형성되는 신호 라인 및 접지 라인으로 변화하여, 송신되는 고주파수 신호의 전송 모드가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도 4F 내지 4G 간의 비교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겠지만, 신호 연결부(55)와 접지 연결부(75) 간의 가장 가까운 거리는, 신호 테일부(53)와 접지 보디부(73) 간의 가장 가까운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 즉, 신호 테일부(53) 및 접지 보디부(73)로부터 신호 연결부(55) 및 접지 연결부(75)까지 범위의 영역 내에서, 신호 라인과 접지 라인 간의 갭은 거의 일정하다.
더욱이,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지 연결부(75) 및 접지 접촉부(72)의 접촉 표면부(72a)와, 신호 연결부(55) 및 신호 접촉부(52)의 접촉 표면부(52a) 간의 갭은, 텅부(32)의 대략 전체 범위에 걸쳐, 접지 보디부(73)보다 전방 단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부분에서 거의 일정하다. 즉, 텅부(32)의 대략 전체 범위에 걸쳐, 동일 표면 상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신호 라인 및 접지 라인 간의 갭이 거의 일정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유닛(50)에서, 신호 라인 및 접지 라인 간의 갭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전송 라인의 전송 모드가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고, 반사, 감쇠, 공진, 또는 복사와 같은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서, 고주파수 신호의 우수한 전송 특성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인 케이블(91)에 단자 유닛(50)을 연결함으로써, 중심에 배치되는 신호 라인과 동심 원 상에 신호 라인을 둘러싸는 접지 라인 간의 배열을, 동일 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배열되는 신호 라인 및 접지 라인 간의 배열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전송 모드를 급격히 변화시키지 않고 반사, 감쇠, 공진, 또는 복사와 같은 손실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고주파수 신호의 우수한 전송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케이블(91)의 외경이 단자 유닛(50)의 원통부(50a) 및 반-원통부(50b)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고, 텅-형태부(50c)의 폭이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즉,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자 유닛(50)의 폭이 케이블(9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더욱이, 텅-형태부(50c)의 신호 접촉부(52) 및 접지 접촉부(72)가 상기 폭에 수용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호 접촉부(52) 및 접지 접촉부(72)와 접촉하는 한 쌍의 카운터파트 단자(161)들이 상기 폭 내에 수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도 4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지 보디부(73)의 래칭 피스(73d)를제외한, 단자 유닛(50)의 원통부(50a)와 반-원통부(50b)의 높이는, 케이블(9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텅부(32)의 상부 표면 상에서 신호 접촉부(52)의 접촉 표면부(52a)와, 접지 접촉부(72)의 접촉 표면부(72a)의 높이에 해당하는, 텅-형태부(50c)의 두께는, 케이블(91)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에 해당하는, 케이블(91)의 중심보다 작거나 같은 높이에 대응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호 접촉부(52)의 접촉 표면부(52a) 및 접지 접촉부(72)의 접촉 표면부(72a)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접촉 암부(contacting arm portion)(163)의 보디부(162)로부터 카운터파트 단자(161)의 돌출 정도는 단자 유닛(50)의 높이 내에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칭 피스(73d)를 제외한, 각 케이블(91)에 연결되는 단자 유닛(50)의 외부 치수는, 케이블(91)의 단면 방향과 관련하여 케이블(91)의 외부 치수를 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보드(191)에 가까운 부분을 제외한, 단자 유닛(50)에 대응하는 한 쌍의 카운터파트 단자(161)의 외부 치수는 케이블(91)의 단면 방향과 관련하여 케이블(91)의 외부 치수를 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케이블 커넥터(1) 및 보드 커넥터(101)의 폭 및 두께 방향으로 치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카운터파트 보드(191)에 다수의 케이블(91)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1)는, 고주파수 신호 송신을 위해, 케이블(91)의 코어 라인(92)에 연결되는 신호 단자(51)와, 케이블(91)의 차폐 부재(92)에 연결되는 접지 단자(71)가 제공되는 단자 유닛(50)과, 단자 유닛(5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자 지지 부재(17)가 제공되고 보드 커넥터(101)의 제 2 하우징(111)과 밀착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제 1 하우징(11)을 포함한다. 단자 유닛(50)에는 원통부(50a)와, 원통부(50a) 전방에 배열되는 반-원통부(50b)와, 반-원통부(50b) 전방에 배치되는 텅-형태부(50c)가 제공된다. 신호 단자(51)에는, 반-원통부(50b)에 배치되고 코어 라인(92)에 연결되는 신호 테일부(53)와, 텅-형태부(50c)에 배치되고 보드 컨텍터(101)의 카운터파트 단자(161)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접촉부(52)가 제공된다. 접지 단자(71)에는, 원통부(50a)에 배치되고 차폐 부재(94)에 연결되는 접지 테일부(74)와, 반-원통부(94)에 배치되고 신호 테일부(53)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보디부(73)와, 텅-형태부(50c)에 배치되고 보드 커넥터(101)의 카운터파트 단자(161)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접촉부(72)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단자 유닛(50)의 고주파수 신호 전송 라인에서 반사, 감쇠, 공진, 또는 복사와 같은 손실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신호 테일부(53)는 평판 형태를 가지며, 신호 접촉부(52)에는 카운터 단자(161)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평판형 접촉 표면부(52a)가 제공된다. 접지 보디부(73)에는 신호 테일부(53)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반-실린더부(73a)가 제공되고, 접지 접촉부(72)에는 카운터파트 단자(161)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평판형 접촉 표면부(72a)가 제공된다. 신호 접촉부(52)의 접촉 표면부(52a)와, 접지 접촉부(72)의 접촉 표면부(72a)는 서로 동높이를 이루고, 서로 평행하게 규칙적 간격으로 단자 유닛(50)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중앙에 배치되는 신호 라인과 동심 원 상에서 신호 라인을 둘러싸는 접지 라인 간의 배열을, 동일 표면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신호 라인 및 접지 라인 간의 배열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전송 모드를 급격하게 변환시키지 않고 반사, 감쇠, 공진, 또는 복사와 같은 손실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고주파수 신호의 우수한 전송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신호 단자(51)에는 신호 테일부(53) 및 신호 접촉부(5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연결부(55)가 제공되고, 접지 단자(71)에는 접지 테일부(74) 및 접지 접촉부(7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연결부(75)가 제공된다. 신호 테일부(53)와 접지 테일부(74) 간의 거리는, 신호 연결부(55) 및 접지 연결부(75) 간의 거리와, 신호 접촉부(52)와 접지 접촉부(72) 간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신호 라인과 접지 라인 간의 갭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전송 라인의 전송 모드가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고, 반사, 감쇠, 공진,또는 복사와 같은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서, 고주파수 신호의 우수한 전송 특성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원통부(50a) 및 반원통부(50b)의 외경과 텅-형태부(50c)의 폭은 케이블(91)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신호 접촉부(52) 및 접지 접촉부(72)와 접촉하는 한 쌍의 카운터파트 단자(161)들이 지정 폭 내에 수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1) 및 보드 커넥터(101)의 폭 방향의 치수 증가없이 카운터 파트(191)에 다수의 케이블(91)을 연결할 수 있다.
더욱이, 텅-형태부(50c)의 두께는 케이블(91)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접촉 암부(163)의 보디부(162)로부터 카운터 단자(161)의 돌출 정도는 단자 유닛(50)의 높이 범위 내에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1) 및 보드 커넥터(101)의 두께 방향으로 치수 증가없이 카운터 보드(191)에 다수의 케이블(91)을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에 근거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 및 수정은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18)

  1. 동축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동축 커넥터(1)는,
    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 유닛(50)으로서, 동축 케이블(91)의 신호 라인(92)에 연결되는 신호 단자(51)와, 동축 케이블(91)의 접지 라인(94)에 연결되는 접지 단자(71)가 제공되는, 상기 단자 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 유닛(50)은 원통부(50a)와, 원통부(50a) 전방에 배열되는 반원통부(50b)와, 반원통부(50b) 전방에 배열되는 텅-형태부(50c)를 포함하고,
    각각의 신호 단자(51)에는 반원통부(50b)의 신호 라인(92)에 연결되는 신호 테일부(53)와, 텅-형태부(50c)의 카운터파트 커넥터(101)의 카운터파트 신호 단자(161)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접촉부(52)가 제공되며,
    각각의 접지 단자(71)는 원통부(50a)의 접지 라인(94)에 연결되는 접지 테일부(74)와, 반원통부(50b)의 신호 테일부(53)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보디부(73)와, 텅-형태부(50c)의 카운터파트 커넥터(101)의 카운터파트 접지 단자(161)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접촉부(72)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테일부(53)는 평판 형태를 갖고, 상기 신호 접촉부(52)에는 카운터파트 신호 단자(161)과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평판형 접촉 표면부(52a)가 제공되며,
    상기 접지 보디부(73)에는 신호 테일부(53)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열되는 반-실린더부(73a)가 제공되고, 상기 접지 접촉부(72)에는 카운터파트 접지 단자(161)와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평판형 접촉 표면부(72a)가 제공되며,
    상기 신호 접촉부(52)의 상기 접촉 표면부(52a)와, 상기 접지 접촉부(72)의 접촉 표면부(72a)는, 서로 동높이에 위치하고 서로 평행하게 동일한 간격으로 단자 유닛(5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 단자(51)에는 신호 테일부(53) 및 신호 접촉부(5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연결부(55)가 제공되고,
    각각의 접지 단자(71)에는 접지 테일부(74) 및 접지 접촉부(7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연결부(75)가 제공되며,
    신호 테일부(53)와 접지 테일부(74) 간의 거리는, 신호 연결부(55)와 접지 연결부(75) 간의 거리와, 신호 접촉부(52)와 접지 접촉부(72) 간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4. 제3항에 있어서, 원통부(50a) 및 반-원통부(50b) 각각의 외경과, 텅-형태부(50c)의 폭이 각각 동축 케이블(9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텅-형태부(50c)는 동축 케이블(91)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텅-형태부(50c)는 동축 케이블(91)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7. 제2항에 있어서, 원통부(50a) 및 반-원통부(50b) 각각의 외경과, 텅-형태부(50c)의 폭이 각각, 동축 케이블(9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텅-형태부(50c)는 동축 케이블(91)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텅-형태부(50c)는 동축 케이블(91)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 단자(51)에는 신호 테일부(53) 및 신호 접촉부(5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연결부(55)가 제공되고,
    각각의 접지 단자(71)에는 접지 테일부(74) 및 접지 접촉부(7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연결부(75)가 제공되며,
    신호 테일부(53)와 접지 테일부(74) 간의 거리는, 신호 연결부(55)와 접지 연결부(75) 간의 거리와, 신호 접촉부(52)와 접지 접촉부(72) 간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11. 제10항에 있어서, 원통부(50a) 및 반-원통부(50b) 각각의 외경과, 텅-형태부(50c)의 폭이 각각, 동축 케이블(9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텅-형태부(50c)는 동축 케이블(91)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텅-형태부(50c)는 동축 케이블(91)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14. 제1항에 있어서, 원통부(50a) 및 반-원통부(50b) 각각의 외경과, 텅-형태부(50c)의 폭이 각각, 동축 케이블(9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텅-형태부(50c)는 동축 케이블(91)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형태부(50c)는 동축 케이블(91)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1).
  17. 동축 다극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동축 다극 커넥터(1)는,
    고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 유닛(50)으로서, 동축 케이블(91)의 신호 라인(92)에 각각 연결되는 신호 단자(51)들이 제공되고, 동축 케이블(91)의 접지 라인(94)에 각각 연결되는 접지 단자(71)들이 제공되는, 상기 단자 유닛(50)과,
    단자 유닛(5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단자 지지 부재(17)가 제공되고, 카운터파트 커넥터(101)의 카운터파트 하우징(111)과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11)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 유닛(50)에는 원통부(50a), 상기 원통부(50a) 전방에 배열되는 반-원통부(50b), 그리고, 상기 반-원통부(50b) 전방에 배열되는 텅-형태부(50c)가 제공되고,
    각각의 신호 단자(51)에는 상기 반-원통부(50b)의 신호 라인(92)에 연결되는 신호 테일부(53)와, 텅-형태부(50c)의 카운터파트 커넥터(101)의 카운터파트 신호 단자(161)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접촉부(52)가 제공되며,
    각각의 접지 단자(71)에는 원통부(50a)의 접지 라인(94)에 연결되는 접지 테일부(74)와, 반-원통부(50b)의 신호 테일부(53)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보디부(73)와, 텅-형태부(50c)의 카운터파트 커넥터(101)의 카운터파트 접지 단자(161)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지 접촉부(7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다극 커넥터(1).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통부(50b)는 서로 면하도록 배치되는 오픈된 단부들을 가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다극 커넥터(1).
KR1020117010364A 2008-10-07 2009-10-07 동축 커넥터 및 동축 다극 커넥터 KR101167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0403 2008-10-07
JP2008260403A JP5186330B2 (ja) 2008-10-07 2008-10-07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多極コネクタ
PCT/US2009/059786 WO2010042579A2 (en) 2008-10-07 2009-10-07 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multi-pol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766A KR20110097766A (ko) 2011-08-31
KR101167524B1 true KR101167524B1 (ko) 2012-07-23

Family

ID=4210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364A KR101167524B1 (ko) 2008-10-07 2009-10-07 동축 커넥터 및 동축 다극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86330B2 (ko)
KR (1) KR101167524B1 (ko)
TW (1) TWI440265B (ko)
WO (1) WO201004257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652A (ko)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멀티동축케이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7567B2 (ja) 2011-07-14 2015-05-13 日本モレックス合同会社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コネクタ及び半導体試験装置
JP5868140B2 (ja) * 2011-11-21 2016-02-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接続モジュール、同軸ケーブル用多極コネクタ及び多極複合コネクタ
US10027042B2 (en) 2014-10-28 2018-07-17 Afl Telecommunications Llc Swage high voltage cable terminal
JP6444775B2 (ja) * 2015-03-03 2018-12-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EP3420614A4 (en) 2016-02-25 2019-10-16 Molex, LLC ELECTRICAL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5863A (en) 1991-05-17 1992-11-18 Minnesota Mining & Mfg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US6203370B1 (en) 1999-02-03 2001-03-20 Noel Lee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o-r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46B2 (ja) * 1991-08-05 1996-03-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多心同軸コネクタ
JP3470667B2 (ja) * 1999-12-28 2003-1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機器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JP2003249315A (ja) * 2002-02-25 2003-09-05 Advantest Corp コネクタ及び半導体部品取付装置
JP2004152717A (ja) * 2002-11-01 2004-05-2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4314589B2 (ja) * 2007-03-14 2009-08-1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多極同軸コネクタ
KR100968327B1 (ko) * 2007-03-14 2010-07-08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다극동축커넥터
JP4807312B2 (ja) * 2007-04-24 2011-11-0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多極同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5863A (en) 1991-05-17 1992-11-18 Minnesota Mining & Mfg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US6203370B1 (en) 1999-02-03 2001-03-20 Noel Lee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o-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652A (ko)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멀티동축케이블 커넥터
WO2021034028A1 (ko) 2019-08-16 2021-02-25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멀티동축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86330B2 (ja) 2013-04-17
TWI440265B (zh) 2014-06-01
WO2010042579A2 (en) 2010-04-15
KR20110097766A (ko) 2011-08-31
WO2010042579A3 (en) 2010-07-15
TW201027865A (en) 2010-07-16
JP2010092677A (ja)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946B2 (en) Contact organiz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9166320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9190750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475208B2 (en)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to shield cable-termination regions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KR101167524B1 (ko) 동축 커넥터 및 동축 다극 커넥터
JP5286190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KR102580253B1 (ko) 커넥터
US78788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KR20060050339A (ko) 커넥터
JP2020107579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US20080176435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2019192656A (ja) 電気コネクタ
JP2006049211A (ja) 同軸ケーブル接地構造並びに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JP2006331711A (ja) コネクタ
JP7176659B2 (ja) 電気コネクタ
TWI813204B (zh) 連接器
JP7148009B2 (ja) 電気コネクタ
US20230006376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30008789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EP4084232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9244734B (zh) 高速连接器
JP5988029B2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