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954B1 - 흑돈의 고품질화 및 브랜드 돈육 생산을 위해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 - Google Patents

흑돈의 고품질화 및 브랜드 돈육 생산을 위해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954B1
KR101165954B1 KR1020100054050A KR20100054050A KR101165954B1 KR 101165954 B1 KR101165954 B1 KR 101165954B1 KR 1020100054050 A KR1020100054050 A KR 1020100054050A KR 20100054050 A KR20100054050 A KR 20100054050A KR 101165954 B1 KR101165954 B1 KR 101165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s
feed
vitamin
herbs
p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194A (ko
Inventor
나종삼
심관섭
정상운
박화춘
Original Assignee
(유) 친환경 흑돈클러스터사업단
나종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친환경 흑돈클러스터사업단, 나종삼 filed Critical (유) 친환경 흑돈클러스터사업단
Priority to KR1020100054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95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대두박, 동물성 지방, 당밀, 쌀겨, 석회석, 삼인산칼슘, 소금, 미네랄 프리믹스, 염화콜린으로 구성된 사료 혼합물에 일정량의 허브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강화된 양돈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흑돈의 고품질화 및 브랜드 돈육 생산을 위해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는 일반적인 사료를 급여하는 것은 보다 돼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돼지에 포화지방산이 아닌 불포화지방산을 향상시켜 돼지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돼지의 근육의 산도 수치를 저하시킴에 따라 도살된 후 시간이 경과를 하더라도 돼지 조직의 변화 속도를 느리게 하여 소비자에게 우수한 돼지를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흑돈의 고품질화 및 브랜드 돈육 생산을 위해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 {Functional enhanced feed to produce the black pig meat by using herbs}
본 발명은 흑돈의 고품질화 및 브랜드 돈육을 생산하기 위한 사료에 관한 것으로, 대두박, 동물성 지방, 당밀, 쌀겨, 석회석, 삼인산칼슘, 소금, 미네랄 프리믹스 및 염화콜린으로 구성된 사료 혼합물에 일정량의 허브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양돈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과 동시에 식생활 문화의 발달로 육류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농가 개념의 소규모 사육 방식에서 동물사육공장(Animal factory) 개념의 대규모 사육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축산물에 대한 수입자유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국내 생산의 자급자족 방식에서 축산물 국내 소비가 수입을 혼용하는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축산물을 사육하기 위해 급여하는 사료는 주로 쌀겨, 옥수수가루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인데, 이러한 식물성 사료는 각종 농약이 잔류할 수 있어 사육되는 가축뿐만 아니라 이들 육류를 섭취하는 소비자들의 건강에 위협이 되고 있다.
그리고 축산 영농 규모가 소규모에서 동물사육공장 개념의 대규모로 전환되면서 감염성 질환의 발병 확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양축시 감염성 질환이 발병할 경우에는 빠른 전염속도로 인해 사육장을 폐쇄하여야 하는 등의 많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제적 손실을 예방하고자,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가 남용되고 있으며, 가축에 사용되는 항생제가 전 세계 전체 항생제 생산량의 60~70%에 이르고 있다.
특히, 상기 축산용 항생제 중에서 양돈(돼지)에 사용되는 항생제는 55~58%를 육박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양돈축산업계에서는 돼지가 태어난 후부터 도축되기 전까지 항생제를 투여하고 있다.
또한, 상기 투여하는 항생제의 종류로는 Amoxicillin, Ampicillin, Amikacin, Apramycin, Ceftiofur, Chlortetracyclin, Colistin, Enrofloxacin, Ciprofloxacin, Gentamicin, Kanamycin, Neomycin, Oxytetracyclin, Penicillin, Streptomycin, Spectinomycin, Sulphonamides Tiamulin 등이 있으며,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주사방식 또는 사료에 첨가하는 방식으로 하고 있다.
이처럼, 양돈축산업계에서는 항생제가 과도하게 남용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돼지의 면역력이 저하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는 식품의 안정성을 제공하지 못하여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항생제의 남용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축산물의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최근에 들어 정부에서는 가축의 사료에 혼합하거나 첨가할 수 있는 항생제 및 합성항균물질의 종류를 기존 53종에서 25종으로 감축하였다.
또한 가축에 사용되는 항생제의 사용량을 줄이고 고급육의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대체물질의 연구개발과 그 대체물질을 이용한 사료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맞추어, 항생제를 대체한 사료로는 황토를 이용하는 사료, 죽초액을 이용하는 사료, 녹차를 이용하는 사료, 현미를 이용하는 사료 등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52041호(돼지사육용 배합사료 조성물)에는 옥수수, 대두박, 미강, 우지 및 당밀을 포함하는 배합사료 조성물에 당귀, 하수오, 작약, 천궁의 한약재를 혼합함으로써 일당증체량의 향상, 영양소 소화율 향상 및 혈청 내의 콜레스테롤을 개선할 수 있는 사료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52041호는 기존의 배합사료에 당귀, 하수오, 작약, 청궁 등과 같은 고가의 한약재를 다량 사용함에 따라 기존에 생산 판매되는 사료에 비해 가격이 비싸 돼지를 생산하는 농가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며 그 비용이 소비자에게 그대로 전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옥수수, 대두박, 동물성 지방, 당밀, 쌀겨, 석회석, 삼인산칼슘, 소금, 미네랄 프리믹스, 염화콜린으로 구성된 사료 혼합물에 일정량의 허브를 첨가하여 흑돈의 고기 품질을 높이고 이러한 고품질 흑돈의 돈육을 브랜드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고품질 및 브랜드 돈육 생산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는 60~75중량%의 옥수수, 17~25중량%의 대두박, 2~4.4중량%의 동물성 지방, 2~4.4중량%의 당밀, 2.2~3.3중량%의 쌀겨, 1.1~2중량%의 석회석, 0.26~0.33중량%의 삼인산칼슘, 0.26~0.33중량%의 소금, 0.17~0.22중량%의 미네랄 프리믹스, 0.01~0.02중량%의 염화콜린으로 구성된 사료 혼합물에 허브를 중량대비 1 : 0.002 ~ 0.004 비율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옥수수, 대두박, 동물성 지방, 당밀, 쌀겨, 석회석, 삼인산칼슘, 소금, 미네랄 프리믹스, 염화콜린으로 구성된 사료 혼합물에 허브를 첨가함으로써, 일반적인 사료를 급여하는 것은 보다 돼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를 이용하여 키운 돼지는 체내에 포화지방산이 아닌 불포화지방산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상된 불포화지방산으로 인해 돼지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를 이용하여 키운 돼지는 돼지 근육의 산도 수치를 저하시킴에 따라 도살된 후 시간이 경과를 하더라도 돼지 조직의 변화 속도를 느리게 하여 소비자에게 우수한 돼지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를 이용하여 키운 돼지는 돼지의 육질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돼지의 육질 색상을 밝은 선홍빛으로 나타낼 수 있게 하여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는 옥수수, 대두박, 동물성 지방, 당밀, 쌀겨, 석회석(Limestone), 삼인산칼슘(Tricalcium phosphate, TCP), 소금, 미네랄 프리믹스(Premix), 염화콜린(Choline chloride)으로 구성된 사료 혼합물에 허브를 첨가한 사료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사료 혼합물은 60~75중량%의 옥수수, 17~25중량%의 대두박, 2~4.4중량%의 동물성 지방, 2~4.4중량%의 당밀, 2.2~3.3중량%의 쌀겨, 1.1~2중량%의 석회석, 0.26~0.33중량%의 삼인산칼슘, 0.26~0.33중량%의 소금, 0.17~0.22중량%의 미네랄 프리믹스, 0.01~0.02중량%의 염화콜린으로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료 혼합물은 68.12중량%의 옥수수, 21.08중량%의 대두박, 3중량%의 동물성 지방, 3중량%의 당밀, 2.42중량%의 쌀겨, 1.57중량%의 석회석, 0.3중량%의 삼인산칼슘, 0.3중량%의 소금, 0.2중량%의 미네랄 프리믹스, 0.01중량%의 염화콜린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미네랄 프리믹스는 철, 구리, 아연, 망간, 셀레늄, 요오드, 비타민 A, 비타민 D(Cholecalciferol), 비타민 E(α-tocopheryl acetate), 비타민 K3, 비타민 B1(Thiamin), 비타민 B2(Riboflavin), 비타민 B5(Pantothenic acid), 비타민 B3(Niacin), 비타민 B6(Pyridoxine), 비타민 B7(Biotin), 비타민 B9(folic acid), 비타민 B12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미네랄 프리믹스의 구성비는 1㎏ 당 100㎎의 철, 15㎎의 구리, 100㎎의 아연, 25㎎의 망간, 0.1㎎의 셀레늄, 1㎎의 요오드, 10,000IU의 비타민 A, 1,000IU의 비타민 D(Cholecalciferol), 30IU의 비타민 E(α-tocopheryl acetate), 2.0㎎의 비타민 K3, 2.0㎎의 비타민 B1(Thiamin), 3.0㎎의 비타민 B2(Riboflavin), 15㎎의 비타민 B5(Pantothenic acid), 25㎎의 비타민 B3(Niacin), 6.0㎎의 비타민 B6(Pyridoxine), 0.1㎎의 비타민 B7(Biotin), 1.0㎎의 비타민 B9(folic acid), 0.02㎎의 비타민 B12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료 혼합물에 허브를 중량대비 1 : 0.002 ~ 0.004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료 혼합물에 허브를 중량대비 1 : 0.002 ~ 0.004로 첨가하는 것은 다량의 허브를 첨가하지 않고도 허브의 기능성을 사료에 구현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사료 혼합물에 허브를 중량대비 1 : 0.002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에는 이를 급여한 돼지의 체내에 포화지방산이 많아지고, 산도수치가 높아지는 등 허브의 기능성이 충분히 구현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사료 혼합물에 허브를 중량대비 1 : 0.004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에는 이를 급여한 돼지의 육질특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사료 혼합물에 첨가되는 허브는 페퍼민트(Peppermint), 로즈마리(Rosemary), 라벤더(Lavender), 레몬밤(Lemon Balm), 오레가노(Oregano)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료 혼합물에 첨가되는 허브는 페퍼민트이다.
여기서, 상기 페퍼민트(Peppermint)는 주요성분은 멘톨(menthol)이며, 상쾌한 향기와 청량감이 있으며, 방부효과, 항염증효과, 항균효과, 항바이러스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기계통에 작용하여 소화불량을 해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 :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
하기 표 1에 나타낸 비율과 동일하게, 옥수수 68.12㎏, 대두박 21.08㎏, 동물성 지방 3㎏, 당밀 3㎏, 쌀겨 2.42㎏, 석회석 1.57㎏, 삼인산칼슘 0.3㎏, 소금 0.3㎏, 미네랄 프리믹스 0.2㎏, 염화콜린 0.01㎏을 혼합하여 사료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사료 혼합물(100㎏)에 페퍼민트 0.2㎏을 첨가한다.
사료 혼합물 성분표
성분 함량(%)
옥수수(Corn) 68.12
대두박(soybean meal) 21.08
동물성 지방(Animal fat) 3
당밀(Molasses) 3
쌀겨(Rice bran) 2.42
석회암(Limestone) 1.57
삼인산칼슘(Tricalcium phosphate (TCP)) 0.3
소금(Salt) 0.3
미네날프리믹스(Premix) 0.2
염화콜린(Choline chloride (25%)) 0.01
합계(Total) 100
Premix contained er kg: Fe, 100 mg; Cu, 15 mg; Zn, 100 mg; Mn, 25 mg; Se, 0.1 mg; I, 1 mg; vitamin A (retinyl acetate), 10,000 IU; cholecalciferol, 1,000 IU; vitamin E (α-tocopheryl acetate), 30 IU; vitamin K3, 2.0 mg; thiamin, 2.0 mg; riboflavin, 3.0 mg; pantothenic acid, 15 mg; niacin, 25 mg; pyridoxine, 6.0 mg; biotin, 0.1 mg; folic acid, 1.0 mg; vitamin B12, 0.02 mg.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
상기 표 1에 나타낸 비율과 동일하게, 옥수수 68.12㎏, 대두박 21.08㎏, 동물성 지방 3㎏, 당밀 3㎏, 쌀겨 2.42㎏, 석회석 1.57㎏, 삼인산칼슘 0.3㎏, 소금 0.3㎏, 미네랄 프리믹스 0.2㎏, 염화콜린 0.01㎏을 혼합하여 사료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사료 혼합물(100㎏)에 페퍼민트 0.4㎏을 첨가한다.
비교예 : 당업계에서 판매하고 있는 사료(농협사료-'양돈명품 플러스(비육돈)'
하기의 실험 1 내지 실험 6을 수행하기 전, 양돈농장에서 90마리의 돼지(평균 체중 : 77±5㎏)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30마리), 실시예 2(30마리), 비교예(30마리)를 6주간에 걸쳐 급여하였다. 또한, 상기 돼지에게는 급여된 사료뿐만 아니라 물을 무제한 자유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실험 1 : 각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생산성 비교 실험
각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생산성 비교 실험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30마리)의 초기체중과 최종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최종체중에서 초기체중을 제하여 증체량을 구하였다. 각 주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의 섭취량을 측정하여 총 사료섭취량을 구하였다.
그리고, 상기 총 사료섭취량에 증체량을 나누어 사료요구율을 구하였다.
그에 대한 실험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생산성 비교
측정항목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초기체중(Initial body weight (kg)) 79.7±2.22 78.1±2.72 73.3±1.50
최종중량(Final body weight (kg)) 119.3±3.47 120.1±2.36 115.3±2.90
증체량(Weight gain (kg)) 39.7±2.16 42.1±2.32 42.0±2.68
사료섭취량(Feed intake (kg)) 116.2±7.45 121.6±7.61 121.8±9.15
사료요구율(Feed conversion (feed/gain)) 2.93±0.09 2.90±0.09 2.90±0.08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의 증체량에 비해 실시예1 및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의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료요구율에서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판매하고 잇는 비교예를 돼지에게 급여하는 것보다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실시예 2를 돼지에게 급여하는 것이 돼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험 2 : 각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혈액분석 실험
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혈액분석 실험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30마리)의 경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액을 EDTA가 함유된 진공시험관을 이용하여 채취하였고, 혈액분석기를 이용하여 백혈구와 적혈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채혈한 혈액을 응고시킨 후 시험관을 원심분리기에서 25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분리된 혈청은 혈청분석기를 이용하여 혈청의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그에 대한 실험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Level of significance
WBC (103/mm3) 17.6±1.33 15.3±2.31 16.7±2.75 NS
RBC (103/mm3) 6.97±0.14 6.57±0.43 5.92±0.69 NS
HgB (g/dl) 13.0±0.33 11.7±0.94 11.0±1.36 NS
HCT (%) 39.3±0.95 37.9±2.32 33.8±4.08 NS
PLT (103/mm3) 130.5±17.05 149.3±28.76 116.0±23.06 NS
MCV (μm3) 56.5±0.56 57.9±0.63 57.2±1.25 NS
MCH (pg) 18.7±0.27 17.7±0.40 18.6±0.47 NS
MCHC (g/dl) 32.9±0.37 30.6±0.81 32.5±0.24 NS
ALB (g/dl) 3.58±0.11 3.80±0.10 3.62±0.06 NS
ALP (U/L) 113.7±11.68 124.1±8.50 111.8±6.92 NS
GOT (IU/L) 36.5±2.26 39.7±2.01 38.8±3.07 NS
GPT (IU/L) 26.7±1.89 30.6±2.32 33.8±3.50 NS
T-CHO (mg/dl) 35.2±4.44 33.4±6.07 21.5±2.14 NS
T-PRO (g/dl) 5.17b±0.29 6.64a±0.13 6.75a±0.13 **
Level of significance: NS, not significant; *, P<0.05; **, P<0.01.
a- bLeast square 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Abbreviations: WBC, white blood cell; RBC, red blood cell; HgB, hemoglobin; HCT, hematocrit; PLT, platelet count; MCV, mean cell volume; MCH, mean cell hemoglobin; MCHC, mean cell hemoglobin concentration; ALB, albumin; ALP, akaline phosphatase; GOT,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P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T-CHO, total cholesterol); T-PRO, total protein.
상기 표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일반혈액 검사 항목으로는 백혈구(WBC, White blood cell), 적혈구(RBC, Red blood cell), 헤모글로빈(HgB, Hemoglobin), 헤마토크릿트(HCT, Hematocrit), 혈소판(PLT, Platelet count), 평균적혈구용적(MCV, Mean cell volume), 평균적혈구색소(MCH, Mean cell hemoglobin),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CHC, Mean cell hemoglobin concentration)가 있다.
그리고 혈청 생화학분석 검사 항목으로는 알부민(ALB, albumin), ALP(Akaline phosphatase), GOT(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PT(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총콜레스테롤(T-CHO, Total cholesterol), 총단백(T-PRO, Total protein)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혈액 검사의 항목과 혈청 생화학분석 검사의 항목을 나누어 실험하는 것은 우선 일반혈액 검사일 경우에는 검사대상의 수화상태, 빈혈, 감염, 혈액응고력, 면역계의 반응능력에 대해 알기 위함이다.
또한, 혈청 생화학분석 검사일 경우에는 간 또는 신장과 같은 장기의 기능, 전해질 상태, 호르몬 농도 등에 대해 알기 위함이다.
그리하여, 상기 표 3의 실험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일반혈액 검사의 항목인 WBC, RBC, HgB HCT MCV, MCH, MCHC의 항목을 비롯하여 혈청 생화학분석 검사의 항목인 ALB, ALP, GOT, GPT, 총단백의 항목에서도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와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돼지에게 급여하더라도 돼지의 체내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아서 안전한 돼지를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혈액감사 항목 중 T-CHO 항목에서는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에 비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에서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는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에 비해 약 39%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T-CHO 항목의 실험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돼지의 혈액에 있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험 3 : 각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도체등급 판정실험
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도체등급 판정실험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30마리)를 도축장에서 도살한다. 도살된 돼지를 축산물(돼지)등급 판정사가 도체등급 판정기준에 준하여 판정하였다.
또한, 도체등급의 최종등급은 A, B, C, D, E로 나누어지며, A등급은 4.01~5점이고, B등급은 3.01~4점이고, C등급은 2.01~3점이고, D등급은 1.01~2점이고, E등급은 0.01~1점이다.
그에 대한 판정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Level of significance
도체중
(Slaughter weight(㎏)
87.3±1.47 89.5±1.12 86.2±1.12 NS
등지방두께
(Back fat(mm))
26.3±1.01 26.1±1.03 25.3±0.93 NS
등급판정
(Carcass grade)
3.54b±0.22 3.75b±0.20 4.36a±0.18 *
Level of significance: NS, not significant; *, P<0.05.
a- bLeast square 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상기 표 4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도체등급 판정실험의 항목 중 도체중의 항목 및 등지방두께의 항목에서는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와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등급판정의 항목에서는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와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에서 확연한 수치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상기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와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의 등급판정 수치를 최종등급으로 나타내면,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의 등급은 B등급이며,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의 등급은 A등급이다.
즉,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사료인 비교예를 돼지에게 급여하는 것보다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돼지를 생산할 수 있다.
실험 4 : 각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근육조직 pH측정 실험
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근육조직 pH측정 실험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30마리)를 도축장에서 도살한다. 도살된 돼지의 근육조직의 산도(pH)를 측정하였다.
상기, 돼지의 근육조직의 산도(pH) 측정은 도살하고 45분 경과한 후 측정하였으며, 24시간 경과한 후 측정을 하였다.
그에 대한 pH측정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Level of
significance
Muscle pH(45min) 6.45±0.20 6.34±0.21 6.42±0.18 NS
Muscle pH(24hr) 5.77b±0.10 5.85b±0.06 6.00a±0.21 **
Level of significance: NS, not significant; ** P<0.01.
a- bLeast square 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우선, 상기 실험 4는 도살된 돼지의 사후대사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돼지를 도살시 방혈이 이루어지면서 근육조직 내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호기적 대사보다는 협기적 대사가 일어나 ATP를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협기적 대사는 최종 대사산물인 젓산(lactate acid)을 생산하고, 생산된 젖산은 사후 근육강직으로 인해 근육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한 젖산으로 인해 근육 내의 산도가 높아지게 되며, 이러한 산도의 측정만으로 사후대사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후대사의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살된 돼지의 근육의 산도는 약 pH 7.4이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산도의 수치는 저하되면서 약 pH 5.3~5.7에서 종결된다.
또한, 도살되고 45분 경과한 후 돼지의 근육의 산도 수치가 pH 5.8~6.0 보다 낮을 경우에는 비정상적으로 대사가 빨리 진행되어 이상육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상기 표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비교예를 비롯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를 도살하고 45분 경과한 후 산도를 측정한 수치는 pH 5.8~6.0 보다 높게 측정되어 있어, 이상육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를 도살하고 45분 경과한 후 산도를 측정한 수치와 24시간 경과한 후 산도를 측정한 수치의 변화를 비교하면,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의 산도 수치의 변화정도와 실시예 1을 급여한 돼지의 산도 수치의 변화정도는 거의 차이가 없다.
그러나,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의 산도 수치의 변화정도와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의 산도 수치의 변화정도는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보다는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에서 느리게 사후 진행이 이루어진다.
즉,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사료인 비교예를 돼지에게 급여하는 것보다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함으로써, 돼지를 도살한 후 시간이 경과를 하더라도 돼지 조직의 변화가 느려져서 소비자에게 우수한 돼지를 공급할 수 있다.
실험 5 : 각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육질특성 변이 분석실험
각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육질특성 변이 분석실험은 육색, 보수력, 연도를 분석하였다.
상기 육색의 분석실험은 색도계(CR-300, Minolta Camera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국제조명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의 명도(lightness), 적색도(redness), 황색도(yellowness)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보수력의 분석실험은 육즙손실량(drip loss) 여과지흡수량(filter-paper fluid uptake; Kauffman 등, 1986), 및 가열감량(cooking loss; Honikel, 1998)을 측정하였으며, 특히 육즙손실량은 1992년 Helsinki에서 열린 돈육질에 관한 OECD workshop 및 1995년 OECD Research Project Management of Biological Resources 회의를 거쳐 1997년 New Zeland의 MIRINZ에서 표준화시킨 돈육질 분석방법으로 하였으며, 가열감량은 식육을 심부온도 약 71℃로 가열하였을 때 유리되는 육즙의 양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연도의 분석실험은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1011, Instron Co., USA)으로 전단력을 측정하여 연도를 예측하였다.
그에 대한 분석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Control Treatment 1 Treatment 2 Level of
significance
Lightness 44.2a±1.46 43.56a±1.19 42.38b±1.58 **
Redness 7.43±0.94 7.16±0.97 6.98±0.06 NS
Yellowness 2.37a±0.63 1.99ab±0.48 1.76b±0.63 *
Drip loss (%) 1.64±0.62 1.58±0.63 1.74±0.97 NS
FFU (mg) 24.12±12.22 26.40±11.84 30.48±14.95 NS
Cooking loss (%) 27.88±3.92 27.78±2.71 27.10±4.64 NS
WBS (N) 51.78±12.39 49.50±10.04 50.75±9.68 NS
NPPC color 2.97±0.61 3.22±0.35 3.28±0.45 NS
NPPC marbling 2.17±0.71 2.11±0.48 1.97±0.39 NS
Level of significance: NS, not significant; * P<0.05; ** P<0.01.
a- bLeast square 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Abbreviations: FFU, filter paper fluid uptake; WBS, Warner Bratzler shear force; NPPC, National Pork Product Council.
상기 표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육질특성 변이 분석실험 항목 중 육색 항목을 제외한 보수력 항목(육즙손실량, 여과지흡수량,가열감량), 연도 항목에서는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와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를 비교하면 유의적인 차이는 없다.
그러나 상기 돼지의 육질특성 변이 분석실험 항목 중에서도 육색 항목(명도(lightness), 적도(redness), 황색도(yellowness))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상기 육색 항목중에서도 황색도 항목에서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의 육색보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의 육색이 밝은 선홍빛을 나타낸다.
즉,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사료인 비교예를 돼지에게 급여하는 것보다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함으로써, 돼지의 육색을 더욱 밝은 선홍빛으로 나타낼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험 6 : 각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실험
각각의 사료를 급여한 돼지의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실험은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의 등심에서 지방산의 조성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분석하였다.
상기 돼지의 등심에서 지방산의 조성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은 돼지의 등심을 염화아세틸(acetyl chloride)에 넣어 반응시킨 후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로 중화시키고 핵산(hexane)으로 추출하고,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GC에 사용되는 칼럼은 FFAP이다.
그에 대한 분석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Control Treatment 1 Treatment 2 Level of
significance
C12:0 0.12±0.06 0.14±0.03 0.14±0.01 NS
C14:0 1.93±0.63 1.880±0.33 1.96±0.29 NS
C16:0 19.93±6.66 18.20±5.45 19.81±3.25 NS
C16:1 cis 3.60±0.97 3.39±0.91 4.59±0.71 NS
C17:0 0.08±0.07 0.11±0.01 0.12±0.03 NS
C18:0 27.62±9.99 21.97±7.00 24.48±5.19 NS
C18:1 ω9 31.68±5.09 35.18±4.02 34.27±1.17 NS
C18:2 ω6 11.23±2.26 14.85±2.96 11.80±3.31 NS
C18:3 ω3 0.74±0.30 0.69±0.35 0.33±0.10 NS
C18:3 ω6 0.13±0.11 0.15±0.07 0.06±0.05 NS
C20:4 ω6 2.52±1.17 3.01±1.38 2.37±1.05 NS
C20:5 ω3 0.28±0.16 0.28±0.14 0.13±0.03 NS
C22:6 ω3 0.15±0.05 0.14±0.07 0.08±0.01 NS
Level of significance: NS, not significant.
Control Treatment 1 Treatment 2 Level of
significance
SFA (%) 49.67a±5.04 42.30b±1.47 46.51ab±1.98
MUFA (%) 35.28±5.69 38.57±4.81 38.73±1.29 NS
PUFA (%) 15.04±2.77 19.13±3.67 14.75±2.78 NS
UFA (%) 50.32b±5.04 57.70a±1.47 53.49ab±1.98
ω3 1.17±0.50 1.12±0.50 0.54±0.14 NS
ω6 13.87±3.29 18.01±4.20 14.22±2.68 NS
P:S 0.30b±0.06 0.45a±0.08 0.32ab±0.07
ω6:ω3 15.83±8.16 19.38±8.67 26.99±5.18 NS
Hyper-
cholesterolemic
21.86±7.19 20.09±5.78 21.77±5.43 NS
Hypo-
cholesterolemic
46.73b±4.92 54.30a±1.31 49.03ab±1.62 *
H:h 0.47±0.14 0.37±0.10 0.44±0.06 NS
Cholesterol
(mg/g)
1.20±0.15 1.09±0.10 1.17±0.13 NS
Level of significance: NS, not significant; † P<0.10; * P<0.05.
a- bLeast square 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10).
상기 표 7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에 함유되어 있는 포화지방산의 함량과 실시예 1,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에 함유되어 있는 포화지방산의 함량을 비교하면 유의적인 차이는 없다.
그러나,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에 함유되어 있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과 실시예 1,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에 함유되어 있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비교하면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에 비해 실시예 1,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에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으며, 그에 대한 차이도 확연히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표 8의 Hypo-cholesterolemic 항목에서도 비교예를 급여한 돼지의 Hypo-cholesterolemic 수치에 비해 실시예 1, 실시예 2를 급여한 돼지의 Hypo-cholesterolemic 수치가 높게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Hypo-cholesterolemic 수치는 콜레스테롤의 감소 가능성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Hypo-cholesterolemic 수치가 높아지면 콜레스테롤의 감소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사료인 비교예를 돼지에게 급여하는 것보다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함으로써, 돼지에 불포화지방산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상된 불포화지방산으로 인해 돼지의 콜레스테롤의 함량도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60~75중량%의 옥수수, 17~25중량%의 대두박, 2~4.4중량%의 동물성 지방, 2~4.4중량%의 당밀, 2.2~3.3중량%의 쌀겨, 1.1~2중량%의 석회석, 0.26~0.33중량%의 삼인산칼슘, 0.26~0.33중량%의 소금, 0.17~0.22중량%의 미네랄 프리믹스, 0.01~0.02중량%의 염화콜린으로 구성된 사료 혼합물에 페퍼민트(Peppermint), 로즈마리(Rosemary), 라벤더(Lavender), 레몬밤(Lemon Balm), 오레가노(Oregano)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 혼합한 허브를 중량대비 1(사료혼합물) : 0.002 ~ 0.004(허브)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강화된 양돈용 사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프리믹스는 철, 구리, 아연, 망간, 셀레늄, 요오드,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3,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5, 비타민 B3, 비타민 B6, 비타민 B7, 비타민 B9, 비타민 B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기능성이 강화된 양돈용 사료.


  4. 삭제
  5. 삭제
KR1020100054050A 2010-06-08 2010-06-08 흑돈의 고품질화 및 브랜드 돈육 생산을 위해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 KR10116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050A KR101165954B1 (ko) 2010-06-08 2010-06-08 흑돈의 고품질화 및 브랜드 돈육 생산을 위해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050A KR101165954B1 (ko) 2010-06-08 2010-06-08 흑돈의 고품질화 및 브랜드 돈육 생산을 위해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194A KR20110134194A (ko) 2011-12-14
KR101165954B1 true KR101165954B1 (ko) 2012-07-18

Family

ID=4550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050A KR101165954B1 (ko) 2010-06-08 2010-06-08 흑돈의 고품질화 및 브랜드 돈육 생산을 위해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5025A (zh) * 2013-09-11 2013-12-18 周庆华 一种无抗生素无氧化锌的乳猪料
KR101595158B1 (ko) * 2013-11-22 2016-02-17 박재형 위축돈 방지, 폐사율 저하 및 육질 개선을 위한 양돈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사육방법
CN104171655B (zh) * 2014-07-28 2017-03-15 四川傲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能减少粪便重金属排放和防腹泻的乳猪预混料
KR101693926B1 (ko) * 2014-10-08 2017-01-18 윤상용 저콜레스테롤 고칼슘 돼지 사육 방법 및 사육용 사료
CN104222695A (zh) * 2014-10-11 2014-12-24 湖南赛诺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dpf医用供体猪用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909002B1 (ko) * 2016-05-23 2018-10-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피그뱅크 도토리를 포함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돈육
CN108835419A (zh) * 2018-07-19 2018-11-20 正安县黔安农牧发展有限公司 一种黑猪养殖专用饲料及其生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249A (ja) 1996-07-17 1998-03-31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養豚飼料
JP2004049174A (ja) 2002-07-24 2004-02-19 Nisshin Shiryo Kk 豚用飼料添加剤およびその豚用飼料添加剤を用いた哺乳期子豚の飼育方法
KR100730291B1 (ko) 2005-10-26 2007-06-19 이철경 양파와 생약제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249A (ja) 1996-07-17 1998-03-31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養豚飼料
JP2004049174A (ja) 2002-07-24 2004-02-19 Nisshin Shiryo Kk 豚用飼料添加剤およびその豚用飼料添加剤を用いた哺乳期子豚の飼育方法
KR100730291B1 (ko) 2005-10-26 2007-06-19 이철경 양파와 생약제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194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954B1 (ko) 흑돈의 고품질화 및 브랜드 돈육 생산을 위해 허브를 활용한 기능성이 강화된 사료
CA2362953C (en) Animal feed supplement for the nutritional enrichment of animal produce
CN103053865B (zh) 含有猫薄荷草的宠物饼干及其制作方法
CN105146120A (zh) 一种鲤鱼饲料及其制备方法
CN102845339A (zh) 一种富硒黄河红鲤鱼养殖方法
WO2014187196A1 (zh) 一种含沼渣的奶牛饲料添加剂
CN101491296A (zh) 一种天然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6798124A (zh) 一种用以改善猪肉品质和风味的饲料
CN106234797B (zh) 一种生产高亚麻酸、亚油酸猪肉的牧草饲粮
KR20100104540A (ko) 옻이 함유된 발효사료 제조방법
CN104824371A (zh) 一种新型液体抗氧化剂及其制备方法
CN102845361A (zh) 富硒美龄羊的饲养方法
CN108208458A (zh) 一种黑斑蛙蝌蚪开口饵料及其制备方法
CN104757254A (zh) 一种新型泥鳅饲料用绿色健康处理剂
KR101358036B1 (ko) 옻을 함유하는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CN111165683A (zh) 一种虾蟹类中药保健配合饲料及其制备工艺
CN115024400A (zh) 一种添加有茶粉的家畜饲料、制备方法及其应用
CN102845360A (zh) 一种富硒黑天鹅养殖方法
CN102972806A (zh) 金枪鱼肌肉的脱腥方法及其专用试剂
CN110623218A (zh) 一种牛肝午餐肉及其制备方法
CN104814293A (zh) 一种防霉型抗病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321162B1 (ko)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화아연 저감 사료용 보조제 조성물
KR102149705B1 (ko) 마늘분말 및 시금치 분말을 이용한 돼지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721230A (zh) 一种仔猪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RU2385660C2 (ru) Концентрат растительный дл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напитка &#34;казан-бионан-2&#3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