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211B1 -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211B1
KR101165211B1 KR1020090113339A KR20090113339A KR101165211B1 KR 101165211 B1 KR101165211 B1 KR 101165211B1 KR 1020090113339 A KR1020090113339 A KR 1020090113339A KR 20090113339 A KR20090113339 A KR 20090113339A KR 101165211 B1 KR101165211 B1 KR 10116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bracket
protrusion
mount
inn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851A (ko
Inventor
박용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211B1/ko
Priority to CN201010185100.8A priority patent/CN102069707B/zh
Priority to US12/784,974 priority patent/US20110121157A1/en
Publication of KR20110056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6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the rigid sleeves or pin, e.g. of non-circular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28End stop features or buffering

Abstract

본 발명은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브라켓(110)에 인슐레이터(120)가 압입된 티엠마운트에서, 상기 브라켓(110)은 원통형의 파이프 브라켓(112) 및 상기 파이프 브라켓(112)의 일측면에 리브(113)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113)는 소정 형상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인슐레이터(120)는 상기 홀 외부로 연장되는 이너코어(121)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코어(121)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인슐레이터(120)가 상기 브라켓(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전방부를 향하는 제1돌출부(123) 및 차량후방부를 향하는 제2돌출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3)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더 돌출된다.

Description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TM MOUNT INSULATOR FROM GETTING OFF}
본 발명은 티엠마운트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소음진동(NVH)을 향상시키기 위한 티엠마운트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엠마운트란, 파워트레인과 차체를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파워트레인의 하중을 지지하고, 변위를 제어하며, 파워트레인의 진동 및 소음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통, 수백 kg에 달하는 파워트레인이 3~4개의 마운트에 의해 지지되므로, 각 마운트들은 내구 및 충돌성능에서의 강건성이 요구된다. 특히 차량의 정면충돌시, 파워트레인은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렇게 큰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마운트의 브라켓이나 인슐레이터는 파손되지 않고 파워트레인을 지지하여야 한다. 파워트레인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대쉬패널(dash panel) 및 페달(pedal) 류들의 변형으로 이어지므로, 승객의 무릎 및 발목 상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a는 종래의 티엠마운트의 구조도이며, 도 1b는 종래의 티엠마운트에 압입되는 인슐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연결되는 브라켓(11)에는 인슐레이터가 압입되고, 인슐레이터 중앙부에 있는 이너코어(inner core)(13)는 티엠마운트로 연결된다. 정면충돌시, 인슐레이터의 브릿지부(12)가 파손되면서 티엠마운트와 연결되는 이너코어(13)가 이탈된다. 따라서, 티엠마운트에 대한 구속장치가 없어져서, 파워트레인의 후방밀림량이 늘어나게 되고, 충돌성능은 악화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의 티엠마운트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티엠마운트 이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로써, 별도의 이탈방지용 브라켓(21)을 장착하여, 충돌시 티엠마운트 브라켓(22)에 별도의 브라켓(21)이 걸려서 인슐레이터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은 구조는, 별도의 브라켓으로 인한 공간상의 제약과 과도한 코스트/중량 상승 문제로 인해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조의 티엠마운트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티엠마운트 이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인슐레이터의 단면도로써, 인슐레이터의 이탈방향이 막히도록 브라켓 형상을 바꾼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탈구조는, 인슐레이터의 내부의 이너코어(33)에 돌출부(34)를 만들고, 인슐레이터의 이탈방향이 막히도록 브라켓(31)을 변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충돌시 인슐레이터가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너코어(33)의 돌출부(34)로 인해 진동/소음 절연율이 저하되어 NVH 성 능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티엠마운트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NVH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티엠마운트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110)에 인슐레이터(120)가 압입된 티엠마운트에서, 상기 브라켓(110)은 원통형의 파이프 브라켓(112) 및 상기 파이프 브라켓(112)의 일측면에 리브(113)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113)는 소정 형상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인슐레이터(120)는 상기 홀 외부로 연장되는 이너코어(121)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코어(121)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인슐레이터(120)가 상기 브라켓(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전방부를 향하는 제1돌출부(123) 및 차량후방부를 향하는 제2돌출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3)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슐레이터(120)의 이너코어(121)와 상기 파이프 브라켓(112) 사이에 상기 파리프 브라켓(112)의 내주를 따라 스토퍼(124, 125)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24, 125)는 상기 제1돌출부(123) 및 제2돌출부(122)가 형성되는 곳을 제외하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홀은 일측으로 연장된 원형이며, 상기 파이프 브 라켓(112)의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쉬프트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110)에 인슐레이터(120)가 압입된 티엠마운트에서, 상기 브라켓(110)은 원통형의 파이프 브라켓(112) 및 상기 파이프 브라켓(112)의 일측면에 리브(113)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113)는 소정 형상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은 일측으로 연장된 원형이며, 상기 파이프 브라켓(112)의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쉬프트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너코어의 후방 돌출부보다 전방 돌출부가 더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파이프 브라켓의 홀을 차량 후방으로 쉬프트함으로써, 충돌시 인슐레이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너코어의 돌출부 상부에 스토퍼를 형성하여, NVH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돌시 인슐레이터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파워트레인의 후방 밀림량을 억제해 승객의 무릎 및 발목 상해치를 줄이는데 기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엠마운트(100)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티엠마운트(100)는, 브라켓(110)에 인슐레이터(120)가 압입 된 구조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0)은, 원통형의 파이프 브라켓(112)에 러그(111)가 부착된 구조이고, 파이프 브라켓(112)은 충돌시 인슐레이터(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리브(113)가 형성되며, 리브(113)에는 소정의 형상의 홀(hol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은 일측으로 연장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슐레이터(120)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이너코어, 차량후방으로 쉬프트(shift)된 파이프 브라켓의 비대칭 구조, 및 최적화된 스토퍼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티엠마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이너코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써, 도 6a는 종래의 이너코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너코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로 하면, 종래의 이너코어의 돌출부(34)는, 티엠마운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탈방지 구조물로서, 기존 이탈방지용 브라켓을 별도로 장착하던 구조(도 2에서 설명함)에 비해, 공간상의 제약없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돌출부(34)를 가지는 구조로 인해, 인슐레이터의 러버(rubber)(32)의 양이 줄어들어 진동절연률이 저하되고, 주행부밍이 악화되는 등 NVH 성능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충돌 성능을 위해서는 돌출부는 크게, NVH 성능을 위해서는 돌출부를 작게 만들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반된 요구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6b와 같은 구조를 제안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너코어(121)는, 차량전방부의 돌출부(이를 '전방 돌출부'라 하자)(123)는 크고, 차량후방부의 돌출부(이를 '후방 돌출부'라 하자)(122)는 작게 하여,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너코어(121)의 중심에서 후방 돌출부(122)까지의 길이를 'a'라 하고, 전방 돌출부(123)까지의 길이를 'b'라 하면, 종래기술에 의하면 'a=b'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a<b'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돌시 파워트레인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이탈되므로, 전방 돌출부(123)는 최대한 크게 만들어 이탈방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하고, D단 주행시 차량 NVH에 영향을 미치는 후방 돌출부(122)는 최대한 작게 만들어 D단 주행시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브라켓의 비대칭 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써, 도 7a는 종래의 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홀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의 정면충돌시, 파워트레인은 후방으로 밀리므로, 파워트레인과 연결되어 있는 티엠마운트 인슐레이터는 후방으로 밀리면서 이탈이 발생하게 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브라켓의 리브로 인해 형성된 홀(A)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면, 이러한 후방 밀림으로 인해, 이너코어(33)의 돌출부(34) 중 전방 돌출부는 이탈방지 역할을 하지 못하므로, 인슐레이터는 쉽게 이탈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충돌시 후방밀림을 고려하여, 도 7b와 같이 중앙에서 후방으로 쉬프트하여 홀(B)을 형성함으로써, 충돌시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너코어(121)의 중심에서 차량후방부의 홀까지의 길이를 'c'라 하고, 차량전방부의 홀까지의 길이를 'd'라 하면, 종래기술에 의하면 'c=d'이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c>d'가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써, 도 8a는 종래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슐레이터에서는, 이너코어(33)의 돌출부(34)로 인해, 이너코어(33)와 차량 전후방부 스토퍼(stopper)(35)와의 간극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D단 또는 R단 주행시 NVH 성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너코어의 돌출부의 전후 방향을 제외하고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토퍼(124, 125)는 이너코어(121)의 전방 돌출부(123) 및 후방 돌출부(122)가 돌출되어 있는 부분의 상부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124, 125)는 파이프 브라켓(112)의 내주를 따라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편의를 위하여 도면부호를 따로 표현하였으나 연결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너코어(121)의 전방 및 후방 돌출부(123, 122)가 없는 부분에서, 즉 러버양이 많은 부분에서 스토핑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D단 또는 R단 주행시 NVH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티엠마운트의 일실시예 단면도로써, 도 6 내지 도 8의 특징을 모두 구현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티엠마운트 구조는, 이너코어(121)의 후방 돌출부(122)보다 전방 돌출부(123)가 더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충돌시 인슐레이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D단 주행시 차량의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이프 브라켓(11)의 일측으로 연장된 원형인 홀(도 4 또는 도 5 참조)은 차량 후방으로 쉬프트한 비대칭 구조로, 이로 인해 충돌시 인슐레이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티엠마운트는, 이너코어(121)의 돌출부(123, 122)의 상부에서 전방 스토퍼(125) 및 후방 스토퍼(124)가 형성되게 하여, 즉, 돌출부(123, 122)가 없는 부위에만 스토퍼(125, 124)가 형성되도록 하여, D단 또는 R단 주행시 NVH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티엠마운트의 구조도,
도 1b는 종래의 티엠마운트에 압입되는 인슐레이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티엠마운트 이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
도 3은 종래의 티엠마운트 이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인슐레이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엠마운트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비대칭 이너코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파이프 브라켓의 비대칭 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티엠마운트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티엠마운트
110: 브라켓
120: 인슐레이터
111: 러그
112: 파이프 브라켓
113: 리브
121: 이너코어
122, 123: 돌출부
124, 125: 스토퍼

Claims (4)

  1. 브라켓(110)에 인슐레이터(120)가 압입된 티엠마운트에서,
    상기 브라켓(110)은 원통형의 파이프 브라켓(112) 및 상기 파이프 브라켓(112)의 일측면에 리브(113)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113)는 소정 형상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인슐레이터(120)는 상기 홀 외부로 연장되는 이너코어(121)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코어(121)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인슐레이터(120)가 상기 브라켓(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전방부를 향하는 제1돌출부(123) 및 차량후방부를 향하는 제2돌출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3)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120)의 이너코어(121)와 상기 파이프 브라켓(112) 사이에 상기 파이프 브라켓(112)의 내주를 따라 스토퍼(124, 125)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23) 및 제2돌출부(122)의 상부에 상기 스토퍼(124, 12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일측으로 연장된 원형이며, 상기 파이프 브라켓(112)의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쉬프트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4. 브라켓(110)에 인슐레이터(120)가 압입된 티엠마운트에서,
    상기 브라켓(110)은 원통형의 파이프 브라켓(112) 및 상기 파이프 브라켓(112)의 일측면에 리브(113)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113)는 소정 형상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은 일측으로 연장된 원형이며, 상기 파이프 브라켓(112)의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쉬프트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KR1020090113339A 2009-11-23 2009-11-23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KR101165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39A KR101165211B1 (ko) 2009-11-23 2009-11-23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CN201010185100.8A CN102069707B (zh) 2009-11-23 2010-05-21 具有用于防止隔离装置与支架分离结构的车辆的支座设备
US12/784,974 US20110121157A1 (en) 2009-11-23 2010-05-21 Structur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insulator in tm mou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39A KR101165211B1 (ko) 2009-11-23 2009-11-23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51A KR20110056851A (ko) 2011-05-31
KR101165211B1 true KR101165211B1 (ko) 2012-07-11

Family

ID=4402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339A KR101165211B1 (ko) 2009-11-23 2009-11-23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21157A1 (ko)
KR (1) KR101165211B1 (ko)
CN (1) CN102069707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61B1 (ko) * 2012-07-12 2014-02-12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자동차용 마운트
KR101390684B1 (ko) * 2012-10-05 201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랜스미션마운트의 구조
US10208847B1 (en) 2017-08-21 2019-02-19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of transmission mount
KR20190056766A (ko) 2017-11-17 2019-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m마운트의 스토퍼
KR20190069898A (ko)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티엠 마운트
KR20230099860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KR102666342B1 (ko) * 2021-12-28 2024-05-17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58502C (en) 2010-11-16 2018-09-25 Magna International Inc. Bracket - active grille and actuator
KR101738018B1 (ko) * 2011-08-19 2017-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프레임용 롤로드의 구조
KR101724745B1 (ko) * 2011-11-18 2017-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KR101256860B1 (ko) * 2011-12-15 2013-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KR101382899B1 (ko) * 2012-02-17 201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마운트 장치
JP5975212B2 (ja) * 2012-09-24 2016-08-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パワーユニットのマウント装置
DE102014215641B4 (de) * 2014-08-07 2018-09-06 Joma-Polytec Gmbh Motorträger
KR101640554B1 (ko) * 2015-08-25 2016-07-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개선된 변속기 마운트 코어
DE102016015384A1 (de) * 2016-12-22 2018-06-28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Kabinenhubgestell für ein Materialumschlaggerät
FR3069494B1 (fr) * 2017-07-28 2019-08-02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obturation d'entree d'air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d'obturation
KR102496191B1 (ko) * 2017-12-01 2023-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변속기 마운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382A (ja) 1997-12-26 1999-07-13 Tokai Rubber Ind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4156714A (ja) 2002-11-07 2004-06-03 Daiwarashi Co Ltd 物品支持脚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5516A (en) * 1992-11-26 1995-07-25 Toyoda Gosei Co., Ltd. Cylindrical vibration insulator having bracket
US5718407A (en) * 1995-09-14 1998-02-17 Hyundai Motor Company Power unit mounting system
JP3393078B2 (ja) * 1998-12-16 2003-04-07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液体封入式防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01589B1 (ko) * 2001-05-21 2003-10-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 트레인 마운트
KR100957287B1 (ko) * 2008-05-14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마찰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382A (ja) 1997-12-26 1999-07-13 Tokai Rubber Ind Ltd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2004156714A (ja) 2002-11-07 2004-06-03 Daiwarashi Co Ltd 物品支持脚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61B1 (ko) * 2012-07-12 2014-02-12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자동차용 마운트
KR101390684B1 (ko) * 2012-10-05 201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랜스미션마운트의 구조
US10208847B1 (en) 2017-08-21 2019-02-19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of transmission mount
KR20190020456A (ko) 2017-08-21 2019-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m마운트의 스토퍼
KR20190056766A (ko) 2017-11-17 2019-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m마운트의 스토퍼
US10648526B2 (en) 2017-11-17 2020-05-12 Hyundai Motor Company Stopper for transmission mount
KR20190069898A (ko)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티엠 마운트
KR20230099860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KR102666342B1 (ko) * 2021-12-28 2024-05-17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69707A (zh) 2011-05-25
CN102069707B (zh) 2015-06-03
KR20110056851A (ko) 2011-05-31
US20110121157A1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211B1 (ko)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JP5487194B2 (ja) 車両用ドア
US7306208B2 (en) Vehicle roll-rod
KR102479485B1 (ko) 분산된 스토퍼들을 가지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트
JP5691369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2012153185A (ja) 車両用フロア構造
US10082821B1 (en) Impact separation type pedal
JP2010023692A (ja) 自動車のルーフ構造
JP2013169856A (ja) ブラケット付きエンジンマウント
JP4554500B2 (ja) バンパ構造
KR20120126711A (ko) 자동차용 파워트레인 마운트
KR20130000874A (ko)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파단형 티엠 마운트 브라켓
US9133895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5954109B2 (ja) 車両側部構造
JP6256759B2 (ja) メータークラスターの取り付け構造
JP6515948B2 (ja) パワートレインのマウント装置
JP4064844B2 (ja) シフトレバーの取付構造
KR101382899B1 (ko) 자동차의 마운트 장치
JP7081893B2 (ja) 車両構造
US20230398954A1 (en) Column cover
KR20240055251A (ko) 차량용 티엠 마운트
KR100993974B1 (ko) 차량 변속기용 마운트 장치
JP2006290214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部atデバイスの衝撃吸収取付構造
KR20070024898A (ko) 자동차의 플로어 구조
JP2006062587A (ja) 車両の安全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プルダウン用連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