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342B1 -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 Google Patents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342B1
KR102666342B1 KR1020210189257A KR20210189257A KR102666342B1 KR 102666342 B1 KR102666342 B1 KR 102666342B1 KR 1020210189257 A KR1020210189257 A KR 1020210189257A KR 20210189257 A KR20210189257 A KR 20210189257A KR 102666342 B1 KR102666342 B1 KR 102666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re
external pipe
bracket
rubber insula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9860A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to KR102021018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342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부싱 유닛들을 준비한 후 이를 마운트 브라켓에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차량에 쉽게 응용할 수 있는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의 브라켓 몸체와 상기 브라켓 몸체의 일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브라켓 단턱을 포함하는 마운트 브라켓 ; 상기 브라켓 단턱과 인접하여 상기 브라켓 몸체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제1외파이프와, 상기 제1외파이프의 내부에 상기 제1외파이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볼트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이너 코어 몸체와 상기 제1이너 코어 몸체에서 상기 관통공보다 큰 직경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코어용 스토퍼를 포함하는 제1이너 코어와, 상기 제1외파이프와 상기 제1이너 코어 사이에 가류 접착되는 제1고무절연체를 포함하는 제1부싱 유닛 ; 상기 브라켓 몸체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상기 제1외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브라켓 단턱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2외파이프와, 상기 제2외파이프의 내부에 상기 제2외파이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볼트 결합공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제2볼트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이너 코어 몸체와 면접촉되는 제2이너 코어 몸체를 포함하는 제2이너 코어와, 상기 제2외파이프와 상기 제2이너 코어 사이에 가류 접착되는 제2고무절연체를 포함하는 제2부싱 유닛 ; 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싱 유닛의 제1고무절연체와 상기 제2부싱 유닛의 제2고무절연체는 서로 독립된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Modular type mou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등을 차체에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량용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마운트 브라켓에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복수의 부싱 유닛이 압입되는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등을 차체에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량용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마운트는, 이너 코어와 외파이프 사이에 고무절연체가 가류 접착되어 부싱을 구성하며, 부싱의 외파이프가 브라켓 내부로 압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와 같은 차량용 마운트는 고무절연체의 구조, 특히 고무절연체의 브릿지 구조, 고무절연체의 스토퍼 구조, 고무절연체의 클리어런스의 구조 등이 고정되어 차량용 마운트의 상하/전후 방향 특성이 고정되며, 따라서 오직 특정 차량만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며 다른 차량을 위한 차량용 마운트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전혀 별개의 고무절연체의 구조를 설계 및 제조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5211호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2012. 7. 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리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부싱 유닛들을 준비한 후 이를 마운트 브라켓에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차량에 쉽게 응용할 수 있는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의 브라켓 몸체와 상기 브라켓 몸체의 일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브라켓 단턱을 포함하는 마운트 브라켓 ; 상기 브라켓 단턱과 인접하여 상기 브라켓 몸체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제1외파이프와, 상기 제1외파이프의 내부에 상기 제1외파이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볼트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이너 코어 몸체와 상기 제1이너 코어 몸체에서 상기 관통공보다 큰 직경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코어용 스토퍼를 포함하는 제1이너 코어와, 상기 제1외파이프와 상기 제1이너 코어 사이에 가류 접착되는 제1고무절연체를 포함하는 제1부싱 유닛 ; 상기 브라켓 몸체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상기 제1외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브라켓 단턱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2외파이프와, 상기 제2외파이프의 내부에 상기 제2외파이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볼트 결합공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제2볼트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이너 코어 몸체와 면접촉되는 제2이너 코어 몸체를 포함하는 제2이너 코어와, 상기 제2외파이프와 상기 제2이너 코어 사이에 가류 접착되는 제2고무절연체를 포함하는 제2부싱 유닛 ; 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싱 유닛의 제1고무절연체와 상기 제2부싱 유닛의 제2고무절연체는 서로 독립된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브라켓 몸체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상기 제2외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브라켓 단턱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3외파이프와, 상기 제3외파이프의 내부에 상기 제3외파이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볼트 결합공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제3볼트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이너 코어 몸체와 면접촉되는 제3이너 코어 몸체를 포함하는 제3이너 코어와, 상기 제3외파이프와 상기 제3이너 코어 사이에 가류 접착되는 제3고무절연체를 포함하는 제3부싱 유닛 ;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고무절연체와 상기 제2고무절연체와 상기 제3고무절연체 각각의 브릿지 구조와 스토퍼 구조와 클리어런스 구조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3이너 코어 몸체의 상기 제2이너 코어 몸체를 향하는 면에 제3회전 방지용 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제2이너 코어 몸체의 상기 제3이너 코어 몸체를 향하는 면에 상기 제3회전 방지용 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2회전 방지용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부싱 유닛들을 준비한 후 이를 마운트 브라켓에 압입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차량에 쉽게 응용하여 승차감 개선 등의 효과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2의 A-A 기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 기준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분리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제1부싱 유닛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배면도,
도 11은 도 6의 제2부싱 유닛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
도 13은 도 11의 배면도,
도 14는 도 6의 제3부싱 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
도 16은 도 14의 배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B-B 기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제1부싱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배면도이며, 도 11은 도 6의 제2부싱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배면도이며, 도 14는 도 6의 제3부싱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배면도이다.
본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100)는 크게 제1부싱 유닛(110), 제2부싱 유닛(120), 제3부싱 유닛(130), 마운트 브라켓(140) 등으로 이루어진다.
마운트 브라켓(140)은, 원통형의 브라켓 몸체(141)와, 브라켓 몸체(141)의 일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중앙에 관통공(142a)을 형성하는 브라켓 단턱(14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마운트 브라켓(140)의 후방에서 제1부싱 유닛(110), 제2부싱 유닛(120), 제3부싱 유닛(130)이 순차적으로 브라켓 몸체(141)에 압입되어 조립된다.
제1부싱 유닛(110)은 기본적으로 이탈 방지를 위한 구조를 가진 부싱 유닛이다.
제1부싱 유닛(110)은, 제1외파이프(111)와, 제1이너 코어(112)와, 제1고무절연체(113)로 이루어진다.
제1외파이프(111)는 브라켓 몸체(141)의 내주면에 압입되기 위한 부위로서, 브라켓 단턱(142)과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이너 코어(112)는 제1이너 코어 몸체(112a)와 코어용 스토퍼(112b)와 코어용 전방 돌출부(113)를 포함한다.
제1이너 코어 몸체(112a)는, 제1외파이프(111)의 내부에서 제1외파이프(111)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관통공(142a)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이너 코어 몸체(112a)의 내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제1볼트 결합공(112a-1)이 형성되어 있다.
제1볼트 결합공(112a-1)은 후술하는 제2볼트 결합공(122a-1), 제3볼트 결합공(132a-1)과 함께 결합 볼트(미도시)가 관통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1이너 코어 몸체(112a)의 제2이너 코어 몸체(122a)를 향하는 면에는 한 쌍의 제1회전 방지용 홈(112a-2)이 형성되어 있다.
제1이너 코어 몸체(112a)에 형성된 코어용 스토퍼(112b)는 마운트 브라켓(140)의 관통공(142a)보다 큰 직경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운트 브라켓(140)의 브라켓 단턱(142)에 간섭되어, 제1부싱 유닛(110)의 축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는 구조를 가진다.
제1이너 코어 몸체(112a)의 전방에는 마운트 브라켓(140)의 관통공(142a)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코어용 전방 돌출부(112c)가 형성되며, 제1볼트 결합공(112a-1)은 코어용 전방 돌출부(112c)의 내부를 따라 연장된다.
제1고무절연체(113)는 제1외파이프(111)와 제1이너 코어(112) 사이에 가류 접착된다.
이와 같이 제1외파이프(111)와 제1이너 코어(112)가 제1고무절연체(113)에 의하여 가류 접착된 제1부싱 유닛(110)을 제작한 후, 제1부싱 유닛(110)을 브라켓 몸체(141)에 압입한다.
제2부싱 유닛(120)은 제1방향(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의 특성을 가지기 위한 것이다.
제2부싱 유닛(120)은, 제2외파이프(121)와, 제2이너 코어(122a)와, 제2고무절연체(123)로 이루어진다.
제2외파이프(121)는 브라켓 몸체(141)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제1외파이프(111)에 대하여 브라켓 단턱(142)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제2이너 코어(122a)는 제2이너 코어 몸체(122a)를 포함한다.
제2이너 코어 몸체(122a)는, 제2외파이프(121)의 내부에 제2외파이프(121)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관통공(142a)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이너 코어 몸체(122a)의 내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제2볼트 결합공(122a-1)이 형성되어 있다.
제2볼트 결합공(122a-1)은 제1볼트 결합공(112a-1)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2이너 코어 몸체(122a)는 일측면이 제1이너 코어 몸체(112a)와 면접촉된다.
제2이너 코어 몸체(122a)의 제1이너 코어 몸체(112a)를 향하는 면에는 제1이너 코어 몸체(112a)의 한 쌍의 제1회전 방지용 홈(112a-2)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2회전 방지용 돌기(122a-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이너 코어 몸체(122a)의 제3이너 코어 몸체(132a)를 향하는 면에는 한 쌍의 제2회전 방지용 홈(122a-2)이 형성되어 있다.
제2고무절연체(123)는 제2외파이프(121)와 제1이너 코어(122) 사이에 가류 접착된다.
이와 같이 제2외파이프(121)와 제2이너 코어(122a)가 제2고무절연체(123)에 의하여 가류 접착된 제2부싱 유닛(120)을 제작한 후, 제1부싱 유닛(110)이 먼저 압입된 브라켓 몸체(141)에 제2부싱 유닛(120)을 압입한다.
제3부싱 유닛(130)은 제2방향(예를 들면 전후방향)으로의 특성을 가지기 위한 것이다.
제3부싱 유닛(130)은, 제3외파이프(131)와, 제3이너 코어(132a)와, 제3고무절연체(133)로 이루어진다.
제3외파이프(131)는 브라켓 몸체(141)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제2외파이프(121)에 대하여 브라켓 단턱(142)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제3이너 코어(132a)는 제3이너 코어 몸체(132a)를 포함한다.
제3이너 코어 몸체(132a)는, 제3외파이프(131)의 내부에 제3외파이프(131)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관통공(142a)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이너 코어 몸체(132a)의 내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제3볼트 결합공(132a-1)이 형성되어 있다.
제3볼트 결합공(132a-1)은 제2볼트 결합공(122a-1)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3이너 코어 몸체(132a)는 일측면이 제2이너 코어 몸체(122a)와 면접촉된다.
제3이너 코어 몸체(132a)의 제2이너 코어 몸체(112a)를 향하는 면에는 제2이너 코어 몸체(122a)의 한 쌍의 제2회전 방지용 홈(112a-2)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3회전 방지용 돌기(132a-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3고무절연체(133)는 제3외파이프(131)와 제3이너 코어(132a) 사이에 가류 접착된다.
이와 같이 제3외파이프(131)와 제3이너 코어(132a)가 제3고무절연체(133)에 의하여 가류 접착된 제3부싱 유닛(130)을 제작한 후, 제1부싱 유닛(110) 및 제2부싱 유닛(120)이 먼저 압입된 브라켓 몸체(141)에 제3부싱 유닛(130)을 압입한다.
한편 제1외파이프(111), 제2외파이프(121), 제3외파이프(131)는 모두 브라켓 몸체(141)에 압입되기 위한 부위이므로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반면, 제1고무절연체(113), 제2고무절연체(123), 제3고무절연체(133)의 구조는 서로 상이하다.
즉 각각의 고무절연체(113, 123, 133)의 브릿지 구조(113a, 123a, 133a) 및 각각의 고무절연체(113, 123, 133)의 스토퍼 구조(113b, 123b, 133b), 각각의 고무절연체(113, 123, 133)의 클리어런스 구조(113c, 123c, 133c) 등이 모두 상이하다.
또한 각각의 고무절연체(113, 123, 133)는 접착 등에 의하여 결합되지 않으므로 그 독립된 특성이 유지된다.
즉 각각의 부싱 유닛(110, 120, 130)은 모두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는, 미리 특정 방향의 특성을 가진 부싱 유닛들을 미리 준비한 후 이를 튜닝하여 새로운 차량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제1부싱 유닛
111 : 제1외파이프
112 : 제1이너 코어 112a : 제1이너 코어 몸체
112a-1 : 제1볼트 결합공 112a-2 : 제1회전 방지용 홈
112b : 코어용 스토퍼 112c : 코어용 전방 돌출부
113 : 제1고무절연체
120 : 제2부싱 유닛
121 : 제2외파이프
122a : 제2이너 코어 122a : 제2이너 코어 몸체
122a-1 : 제2볼트 결합공 122a-2 : 제2회전 방지용 홈
122a-3 : 제2회전 방지용 돌기
123 : 제2고무절연체
130 : 제3부싱 유닛
131 : 제3외파이프
132a : 제3이너 코어 132a : 제3이너 코어 몸체
132a-1 : 제3볼트 결합공 132a-3 : 제3회전 방지용 돌기
133 : 제3고무절연체
140 : 마운트 브라켓
141 : 브라켓 몸체
142 : 브라켓 단턱 142a : 관통공

Claims (4)

  1. 원통형의 브라켓 몸체와 상기 브라켓 몸체의 일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브라켓 단턱을 포함하는 마운트 브라켓 ;
    상기 브라켓 단턱과 인접하여 상기 브라켓 몸체의 내주면에 압입되는 제1외파이프와, 상기 제1외파이프의 내부에 상기 제1외파이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볼트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이너 코어 몸체와 상기 제1이너 코어 몸체에서 상기 관통공보다 큰 직경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코어용 스토퍼를 포함하는 제1이너 코어와, 상기 제1외파이프와 상기 제1이너 코어 사이에 가류 접착되는 제1고무절연체를 포함하는 제1부싱 유닛 ;
    상기 브라켓 몸체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상기 제1외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브라켓 단턱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2외파이프와, 상기 제2외파이프의 내부에 상기 제2외파이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볼트 결합공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제2볼트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이너 코어 몸체와 면접촉되는 제2이너 코어 몸체를 포함하는 제2이너 코어와, 상기 제2외파이프와 상기 제2이너 코어 사이에 가류 접착되는 제2고무절연체를 포함하는 제2부싱 유닛 ;
    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싱 유닛의 제1고무절연체와 상기 제2부싱 유닛의 제2고무절연체는 서로 독립된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브라켓 몸체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상기 제2외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브라켓 단턱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제3외파이프와, 상기 제3외파이프의 내부에 상기 제3외파이프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볼트 결합공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제3볼트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이너 코어 몸체와 면접촉되는 제3이너 코어 몸체를 포함하는 제3이너 코어와, 상기 제3외파이프와 상기 제3이너 코어 사이에 가류 접착되는 제3고무절연체를 포함하는 제3부싱 유닛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무절연체와 상기 제2고무절연체와 상기 제3고무절연체 각각의 브릿지 구조와 스토퍼 구조와 클리어런스 구조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너 코어 몸체의 상기 제2이너 코어 몸체를 향하는 면에 제3회전 방지용 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제2이너 코어 몸체의 상기 제3이너 코어 몸체를 향하는 면에 상기 제3회전 방지용 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제2회전 방지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KR1020210189257A 2021-12-28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KR102666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257A KR102666342B1 (ko) 2021-12-28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257A KR102666342B1 (ko) 2021-12-28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860A KR20230099860A (ko) 2023-07-05
KR102666342B1 true KR102666342B1 (ko) 2024-05-17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383A (ja) 2005-04-28 2006-11-09 Illinois Tool Works Inc <Itw> 車両用ボディマウント組立体
JP2009293796A (ja) * 2008-06-02 2009-12-17 Hyundai Motor Co Ltd ブッシュ用インシュレータ
KR101165211B1 (ko) * 2009-11-23 2012-07-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US9765845B2 (en) 2008-02-05 2017-09-19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Axially damped hydraulic mount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383A (ja) 2005-04-28 2006-11-09 Illinois Tool Works Inc <Itw> 車両用ボディマウント組立体
US9765845B2 (en) 2008-02-05 2017-09-19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Axially damped hydraulic mount assembly
JP2009293796A (ja) * 2008-06-02 2009-12-17 Hyundai Motor Co Ltd ブッシュ用インシュレータ
KR101165211B1 (ko) * 2009-11-23 2012-07-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티엠마운트의 인슐레이터 이탈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6898B2 (ja) 弾性ブッシング、特に複合操舵ブッシング
EP2284408A1 (en) Ball joint assembly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50254888A1 (en) Torque ro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060145405A1 (en) Bushing with anti-walkout feature
JP7140767B2 (ja) ブッシュ配置構造
US11028894B2 (en) Tubular vibration-damping device
JP2008223920A (ja) 防振ブッシュ及び防振ブッシュ組付体
US6394436B1 (en) Suspension-strut bearing
EP2242660A2 (en) Hydraulic bushing
JP6851538B2 (ja) 接続スリーブを有するキャリアハブおよび軸受アセンブリ
KR102666342B1 (ko)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JP4716387B2 (ja) 防振ブッシュ
CN100455836C (zh) 用于万向节中的轴承衬的轴向固定布置
KR20230099860A (ko) 모듈러 타입 차량용 부시형 마운트
JP6148897B2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JP2002213482A (ja) 軸線方向弾性アイソレーター
US20050029723A1 (en) Non-slip rate-plated sta-bar bushing
JP2008019928A (ja) 防振ブッシュ、及び、この防振ブッシュを備えたマルチリンク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1047433A (ja) サスペンション用ブッシュ
KR102224010B1 (ko) 차량의 서스펜션용 미끄럼 부시
JP2007092912A (ja) スタビライザーブッシュ及びスタビライザーブッシュの取付構造
WO2006077622A1 (ja) 防振装置
JP4833908B2 (ja) 防振ブッシュ
JP4028165B2 (ja) マウントインシュレータ
JP4358874B2 (ja) 防振ブッシ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