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505B1 -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505B1
KR101164505B1 KR1020100038651A KR20100038651A KR101164505B1 KR 101164505 B1 KR101164505 B1 KR 101164505B1 KR 1020100038651 A KR1020100038651 A KR 1020100038651A KR 20100038651 A KR20100038651 A KR 20100038651A KR 101164505 B1 KR101164505 B1 KR 10116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glass panel
edge
wheel
corner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133A (ko
Inventor
최세종
Original Assignee
(주)미래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컴퍼니 filed Critical (주)미래컴퍼니
Priority to KR102010003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50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plate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1/00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in grinding a work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가 개시된다. 주행 방향을 따라 글래스(glass) 패널을 이동시키면서 글래스 패널의 코너(corner) 및 에지(edge)를 연마하는 방법으로서, (a) 로더(loader)에 의해 픽업(pick-up)된 글래스 패널을, 소정 위치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연마 테이블(table)에 안착시키는 단계, (b) 글래스 패널을 정렬시키고, 글래스 패널의 전방 코너를 연마하는 단계, (c) 글래스 패널의 제1 에지를 연마하는 단계, (d) 글래스 패널의 후방 코너를 연마하는 단계, (e) 연마 테이블을 회전시키고 에지 연마휠을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의 제2 에지를 연마하는 단계, (f) 글래스 패널을 언로더(unloader)로 픽업(pick-up)하여 반출하는 단계, 및 (g) 소정 분량의 글래스 패널이 연마되도록 단계 (a) 내지 단계 (f)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은, 연마 테이블이 이동하는 대신 로더와 언로더를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을 반송하도록 함으로써, 연마 테이블이 새로운 패널의 로딩을 위해 로딩 포지션으로 이동하거나, 연마가 완료된 패널을 언로딩하기 위해 언로딩 포지션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 작업 택타임이 단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glass panel}
본 발명은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디스플레이(LCD) 패널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에는 평판 형태의 글래스 패널이 사용되고 있으며, 솔라셀(solar cell)의 경우에도 유리 재질 등 투명 패널을 가공하여 기재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LCD 패널이나 솔라셀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글래스 패널을 절단하고, 절단된 에지(edge) 및 코너(corner) 부위를 연마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글래스 패널의 에지 및 코너를 연마하기 위해, 종래에는 글래스 패널을 연마 테이블 상에 로딩(loading)하고 이송라인을 따라 연마 테이블을 이동시켜 패널이 에지/코너 연마용 휠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에지/코너를 연마한 후, 연마 테이블에 적재된 패널을 언로딩하는 공정을 수행하였다.
종래의 에지 연마의 경우, 글래스 기판의 에지를 연마하기 위해 글래스 기판을 로딩한 테이블이 연마휠을 통과하도록 이동하므로, 테이블이 이동하는 시간만큼 택타임(tag-time)이 소요되며, 연마 대상 패널의 로딩 및 언로딩이 테이블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어느 하나의 패널을 로딩하여 연마한 후 언로딩할 때까지 다른 패널을 추가로 로딩하지 못하여 작업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코너 연마의 경우, 상하 2열로 배치된 연마휠 중 하부 휠(또는 상부 휠)이 코너컷을 위해 상승(또는 하강)하여 대기하고 있다가 전방 코너컷을 수행하고, 하강(또는 상승)하여 에지 연마를 완료한 후, 다시 상승(또는 하강)하여 후방 코너컷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작동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마휠의 상승, 하강 작동에도 불필요한 택타임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연마 테이블에 로딩된 글래스 패널을 1차로 얼라인 카메라로 촬영, 얼라인 데이터를 획득하여 패널을 정렬시킨 후, 2차로 더 전진하여 전방 코너컷을 수행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얼라인을 위한 작업 시간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전/후방 코너컷 유닛과 에지 연마 유닛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하되, 에지 연마 공정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코너컷 유닛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글래스 패널 연마의 택타임을 줄이고, 로더 및 언로더가 연마 테이블에 패널을 반송하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반송에 소요되는 타임 로스를 줄여, 복합적으로 택타임을 대폭 단축시키고 이에 따라 패널 가공의 원가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행 방향을 따라 글래스(glass) 패널을 이동시키면서 글래스 패널의 코너(corner) 및 에지(edge)를 연마하는 방법으로서, (a) 로더(loader)에 의해 픽업(pick-up)된 글래스 패널을, 소정 위치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연마 테이블(table)에 안착시키는 단계, (b)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마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된 얼라인 카메라(align camera) 및 프론트 코너컷(front corner cut) 연마휠 조합체를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을 정렬시키고, 글래스 패널의 전방 코너를 연마하는 단계, (c) 조합체에 후행하여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마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된 에지 연마휠을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의 제1 에지를 연마하는 단계, (d) 에지 연마휠에 후행하여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마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된 백 코너컷(back corner cut) 연마휠을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의 후방 코너를 연마하는 단계, (e) 연마 테이블을 회전시키고 에지 연마휠을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의 제2 에지를 연마하는 단계, (f) 글래스 패널을 언로더(unloader)로 픽업(pick-up)하여 반출하는 단계, 및 (g) 소정 분량의 글래스 패널이 연마되도록 단계 (a) 내지 단계 (f)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이 제공된다.
단계 (a)는, 연마 테이블의 표면에 진공을 형성하여 글래스 패널을 흡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 테이블의 주변에는 주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니어 모터가 설치되며, 조합체, 에지 연마휠 및 백 코너컷 연마휠은 리니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단계 (b)는, (b1) 얼라인 카메라로 글래스 패널에 표시되어 있는 얼라인 마크(align mark)를 촬영하여 글래스 패널의 정렬에 필요한 얼라인 데이터(align data)를 획득하는 단계, 및 (b2) 얼라인 데이터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연마 테이블을 회전시켜 안착된 글래스 패널을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은 안착된 글래스 패널에 상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단계 (b)는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을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없이 글래스 패널에 접근시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백 코너컷 연마휠은 안착된 글래스 패널에 상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단계 (d)는 백 코너컷 연마휠을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없이 글래스 패널에 접근시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에지 연마휠은 주행 방향과 교차하는 거더(girder)에 결합되며, 거더의 중앙부는 로더 및 언로더의 주행 방향으로의 이동과 간섭되지 않도록 함입될 수 있다.
단계 (a)는, 로더로 글래스 패널을 픽업하여 연마 테이블의 상방에서 대기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계 (f)는, 언로더가 연마 테이블의 상방에서 대기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계 (e)는 연마 테이블을 90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b)의 전방 코너 연마 단계가 수행되는 도중에 단계 (c)가 착수될 수 있다. 또한, 단계 (c)가 수행되는 도중에 단계 (d)가 착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가공 지점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그 표면에 진공 흡착홀이 형성되는 연마 테이블과, 글래스 패널을 픽업하여 연마 테이블에 안착시키는 로더와,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마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되며, 안착되는 글래스 패널의 얼라인 마크를 촬영하여 얼라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얼라인 카메라와, 얼라인 카메라와 함께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안착된 글래스 패널에 상응하는 높이에 위치하여 글래스 패널의 전방 코너를 연마하는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과,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에 후행하여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마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되며, 그 이동에 의해 글래스 패널의 에지를 연마하는 에지 연마휠과, 에지 연마휠에 후행하여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마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되며, 안착된 글래스 패널에 상응하는 높이에 위치하여 글래스 패널의 후방 코너를 연마하는 백 코너컷 연마휠과, 연마가 완료된 글래스 패널을 픽업하여 반출하는 언로더를 포함하되, 에지 연마휠은, 주행 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며 로더 및 언로더의 주행 방향으로의 이동과 간섭되지 않도록 그 중앙부가 함입되는 거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마 테이블이 이동하는 대신 로더와 언로더를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을 반송하도록 함으로써, 연마 테이블이 새로운 패널의 로딩을 위해 로딩 포지션으로 이동하거나, 연마가 완료된 패널을 언로딩하기 위해 언로딩 포지션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 작업 택타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에지 연마휠과 별도로 코너컷용 연마휠을 구비함으로써, 연마휠의 상하 이동 없이 코너컷 유닛을 패널에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코너컷 공정이 수행될 수 있어 작업 택타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코너컷 유닛에 얼라인 카메라를 통합시킴으로써, 패널의 로딩 직후 곧바로 정렬(align) 작업(얼라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마 테이블의 회전축 보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전방 코너컷 작업이 수행될 수 있어 얼라인 데이터만 획득되면 곧바로 연마 공정을 시작할 수 있어 추가적인 택타임 단축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로 분리된 전방 코너컷 유닛이 전방 코너컷을 수행하는 도중에 후방에 대기하고 있던 에지 연마휠이 전방 코너컷 유닛에 간섭되지 않고 에지 연마 공정에 착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택타임 단축을 위해 각각 개선된 연마 공정은 초대형 글래스 패널의 연마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글래스 패널이 대형화될수록 택타임 단축 및 원가절감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연마공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연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연마공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면, 글래스 패널(1), 로더(6), 언로더(8), 연마 테이블(10), 진공 흡착홀(12), 리니어 모터(20), 조합체(22), 얼라인 카메라(24),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 백 코너컷 연마휠(28), 에지 연마휠(30), 거더(32)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글래스 패널의 에지 및 코너를 연마하는 장치 및 공정을 개선함으로써 작업의 택타임을 단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직사각형 형태의 글래스 패널을 연마하는 장치(grinder)에 있어서, 전/후방 챔퍼링 유닛(chamfering unit), 즉 코너컷 연마휠을 에지 연마휠(30)로부터 별도로 분리시키되, 전/후방 코너컷 연마휠 및 에지 연마휠(30)이 모두 리니어 모터(linear motor)(20)에 의해 주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통합하고, 패널의 로딩/언로딩을 담당하는 반송 트랜스퍼(transfer), 즉 로더(6) 및 언로더(8)의 구조 및 작동방식을 개선하여, 택타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지 연마휠(30)로부터 별도로 분리된 전/후방 챔퍼링 유닛은 에지 연마 행정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패널의 전/후방 코너컷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택타임을 개선할 수 있으며, 아울러 로더(6)/언로더(8)가 연마 공정 중에 이동하여 대기하고 있다가 필요한 시점에 곧바로 패널을 로딩/언로딩하도록 반송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타임 로스를 줄여, 복합적으로 택타임 단축을 실현하고 원가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은, 소정의 주행 방향(도 2a의 'Y' 참조) 따라 글래스(glass) 패널을 이동시키면서 글래스 패널의 코너(corner) 및 에지(edge)를 연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로더(loader)(6)로 글래스 패널(1)을 픽업(pick-up)하여 연마 테이블(table)(10)에 안착시킨다(S10).
본 실시예에 따른 로더(6)는 연마 테이블(10)의 상방에서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픽업 유닛으로서, 연마 공정의 시작 시점에 글래스 패널을 가져오는 대신, 로더(6)로 미리 글래스 패널을 픽업하여 연마 테이블(10)의 상방까지 이동시켜 대기하도록 한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던 로더(6)가 글래스 패널을 테이블에 안착시켜 연마 공정이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택타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마 테이블(10)은 패널의 로딩, 연마, 언로딩을 위해 주행 방향으로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가공 지점(도 2a의 'W' 참조)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고 로더(6), 언로더(8), 연마휠 등이 이동하여 각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이로 인해 연마 테이블(10)의 이동에 따른 타임 로스를 줄일 수 있다.
연마 테이블(10)이 '고정'되어 있다는 것은, 반드시 특정 위치에서 절대로 움직이지 않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글래스 패널의 회전을 위해 고정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및 글래스 패널의 정렬을 위해 얼라인 데이터에 따른 회전 및 약간의 이동(유격 조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연마 테이블(10)의 표면에는 진공라인에 연결되는 진공 흡착홀(12)이 형성되어 있어, 연마 테이블(10)에 글래스 패널(1)이 안착되면 진공 라인을 작동시켜 표면에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안착된 글래스 패널(1)이 연마 테이블(10)에 흡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글래스 패널(1)을 연마 테이블(10)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연마 과정에서 글래스 패널(1)이 움직이거나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글래스 패널을 흡착, 고정하는 연마 테이블(10)이 주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작업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90도 턴만 실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이동 방식' 연마 테이블 구조에 비해 방수의 우월성을 보장할 수 있다.
즉, 연마 테이블(10)이 글래스 패널을 흡착한 상태에서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회전축뿐만 아니라 이동축의 방수를 위한 부가장치(예를 들면, 벨로우즈(bellows)나 커버(cover) 등)가 추가되어야 하나, 이동 거리 전체에 걸쳐 이동축을 커버링(covering)하는 것은 곤란하며, 방수 장치를 설치하여 연마수가 이동축에 직접 닿지 않도록 처리하더라도 수분에 의한 영향까지 차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방수 성능을 크게 기대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이동축의 LM(linear motor)이나 볼스크류(ball-screw)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방식' 연마 테이블(10)은 이동축이 없으므로 이동축의 방수를 위한 부가장치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연마 테이블(10)의 지지축을 갠트리(gantry) 형태로 하여 가공 지점 외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연마수의 비산에 의한 영향까지도 차단할 수 있어 방수 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연마 테이블(1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에는 방수형 모터를 사용할 수 있어 방수와 관련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얼라인 카메라(align camera)(24) 및 프론트 코너컷(front corner cut) 연마휠(26)의 조합체(22)를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1)을 정렬하고 글래스 패널(1)의 전방 코너를 연마한다(S20).
본 실시예에서는 얼라인 카메라(24)와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을 하나로 통합하여 조합체(22)로 구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널의 정렬에 소요되는 타임 로스를 줄일 수 있다.
조합체(22)는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마 테이블(10)의 주변에 배치되는데, 예를 들면, 연마 테이블(10)의 양측으로 리니어 모터(20) 2식을 배치하고, 각 리니어 베이스(linear base)에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조합체(22)), 에지 연마휠(30), 백 코너컷 연마휠(28)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각 연마휠이 독립적으로 이동하면서 담당 공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글래스 패널을 정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패널이 테이블 상에 안착되면 곧바로 조합체(22)가 패널 쪽으로 이동하여, 얼라인 카메라(24)는 글래스 패널에 표시되어 있는 얼라인 마크(align mark)를 촬영하여 글래스 패널의 정렬에 필요한 얼라인 데이터(align data), 즉 패널이 안착된 상태와 정렬된 상태와의 차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S22), 획득된 얼라인 데이터에 따라 연마 테이블(10)을 회전(및/또는 이동)시킴으로써 안착된 글래스 패널(1)이 제 위치에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S24).
패널이 '정렬된 상태'에 관한 정보는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으며, 얼라인 데이터는 정렬을 위해 패널이 회전되어야 하는 각도 및/또는 패널이 움직여야 하는 거리에 해당하는 값으로 획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마 테이블(10)은 주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나, 패널의 정렬을 위해 얼라인 데이터에 따라 회전 및/또는 이동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만, 패널(1)의 정렬을 위해 반드시 연마 테이블(10)을 회전시켜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정렬된 상태를 확인만 하거나, 획득된 얼라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마휠(코너컷 연마휠(26, 28), 에지 연마휠(30))의 이동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패널 정렬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조합체(22)에는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과 얼라인 카메라(24)가 함께 통합되어 있어, 기존의 연마 방식과는 달리, 패널의 로딩과 동시에 곧바로 얼라인이 가능하여 택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즉, 기존의 연마 공정에서는 패널이 로딩되면 1차적으로 얼라인 카메라가 진입하여 얼라인 데이터를 획득하고, 패널이 정렬되면 2차적으로 연마 테이블이 전진하여 전방 코너컷 등 이후의 연마 공정이 진행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마 테이블(10)의 상방에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 없이 대기하고 있는 얼라인 카메라(24)의 아래쪽으로 글래스 패널이 진입, 안착되면 연마 테이블(10)이 글래스 패널을 흡착(vacuum on)하는 상황에서 곧바로 얼라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얼라인 공정에서는 카메라와 패널이 서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패널이 테이블 상에 안착되면 흡착, 고정되기 전이라도 얼라인 카메라(24)를 작동시켜 얼라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얼라인 카메라(24)와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이 통합되어 있으므로, 패널의 흡착, 정렬 작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이 패널의 전방 코너에 접근하여 전방 코너컷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택타임 단축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을 글래스 패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여, 종래와 같이 코너컷 연마휠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연마휠을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의 전방 코너에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전방 코너컷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정렬 후 코너컷 연마휠의 상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택타임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종래에는 상하로 2열 배치된 연마휠의 구성상, 예를 들어 하부휠을 사용하여 코너컷을 하기 위해서는 패널의 높이까지 하부휠을 상승시켜 대기하고 있다가, 전방 코너컷을 수행한 후 하부휠을 다시 하강시켜 에지 연마를 하고, 다시 상승시켜 후방 코너컷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택타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코너컷 유닛(연마휠)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코너컷 연마휠의 상하 이동 없이, (획득한 얼라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마 테이블(10)의 회전축을 보정하여 패널을 정렬시킴과 동시에)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한번에 전방 코너컷을 완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에지 연마휠(30)을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1)의 장변(또는 단변) 에지를 연마한다(S30). 에지 연마휠(30)은, 전술한 조합체(22)와 마찬가지로,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마 테이블(1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리니어 모터(20)를 배치하는 경우 조합체(22)에 후행하여 이동하도록 리니어 베이스에 에지 연마휠(3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에지 연마 단계는 전방 코너컷이 도중에도 착수될 수 있다. 즉, 전방 코너컷이 진행되는 동안 조합체(22)의 후방에 대기 중이던 에지 연마휠(30)이 (얼라인 데이터를 함께 받아)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패널의 에지 연마를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 코너컷을 완료한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조합체(22))은 전방으로 빠져 에지 연마휠(30)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연마 공정에서는, 분리된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조합체(22))이 전방 코너컷을 수행하는 도중에 후방에 대기하고 있던 에지 연마휠(30)이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과의 간섭 없이 동시에 에지 연마에 착수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얼라인 데이터만 획득되면 곧바로 (전방 코너컷과 함께) 에지 연마에 착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에지 연마휠(30)은, 연마 과정에서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쳐 있는 거더(girder)(32)에 설치될 수 있는데, 거더(32)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그 중앙부가 일정 정도 하방으로 함입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거더(32)의 중앙부를 아래쪽으로 함입시킴으로써, 거더(32)의 상방에서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로더(6)나 언로더(8)가 그 이동 과정에서 거더(32)에 충돌하거나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거더(32)가 함입된 깊이만큼 연마 테이블(10) 상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반송 트랜스퍼(로더(6), 언로더(8))가 거더(32)에 간섭되는 것을 피하면서 각각 연마 테이블(10)의 상부 공간에서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거더(32)의 중앙부를 함입시킴으로써, 거더(32)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로더(6)와 언로더(8)를 거더(32)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거더(32)의 함입된 깊이만큼 로더(6)와 언로더(8)의 설치 위치가 낮아짐으로써 패널의 로딩, 언로딩 공정(픽업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d에 도시된 것처럼 연마 테이블(10)을 90도 회전시키고 장변(또는 단변) 연마를 위해 일방향으로 이동한 에지 연마휠(3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면서 글래스 패널(1)의 단변(또는 장변) 에지를 연마한다(S50). 또는 연마 테이블(10)이 90도 회전하는 동안 에지 연마휠(3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 후, 연마 테이블(10)의 회전이 완료됨과 동시에 에지 연마휠(30)을 다시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1)의 단변(또는 장변) 에지를 연마할 수도 있다.
글래스 패널(1)의 형태가 도 2d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일 경우 연마 테이블(10)을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연마가 완료된 장변(또는 단변)은 주행 방향에 면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연마가 이루어져야 할 단변(또는 장변)이 에지 연마휠(30)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에지 연마가 진행되는 동안에, 백 코너컷(back corner cut) 연마휠(28)을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1)의 후방 코너를 연마할 수 있다(S40). 즉, 도 1에서 단계 S30이 수행되는 동안에 단계 S40이 착수되도록 할 수 있다.
백 코너컷 연마휠(28)은, 전술한 에지 연마휠(30)과 마찬가지로,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마 테이블(1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리니어 모터(20)를 배치하는 경우 에지 연마휠(30)에 후행하여 이동하도록 리니어 베이스에 백 코너컷 연마휠(28)이 설치될 수 있다.
후방 코너 연마 공정은 글래스 패널(1)의 후방 코너에 백 코너컷 연마휠(28)을 접촉시키는 작업으로서, 에지 연마가 완료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고, 에지 연마(장변 연마 또는 단변 연마)가 수행되는 동안 에지 연마휠(30)이 글래스 패널(1)의 전방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백 코너컷 연마휠(28)을 글래스 패널(1)의 후방 코너에 접촉시켜 수행될 수도 있다.
연마 테이블(10)의 주변에 주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니어 모터(20)를 설치할 경우, 조합체(22), 에지 연마휠(30) 및 백 코너컷 연마휠(28)은 리니어 모터(20)의 작동에 의해 주행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면서 각각 담당하는 연마 공정을 수행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백 코너컷 연마휠(28)은 글래스 패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코너컷 연마휠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없이, 연마휠을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의 후방 코너에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후방 코너컷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코너컷 연마휠의 상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 택타임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도 2e에 도시된 것처럼 연마휠 및 연마 테이블이 초기 상태로 복원되고 언로더는 테이블의 상방에서 연마가 완료되기를 대기하고 있다가, 도 2f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 코너컷, 에지 연마 및 후방 코너컷이 완료된 글래스 패널(1)을 언로더(unloader)(8)로 픽업(pick-up)하여 반출한다(S60).
본 실시예는 연마 테이블(10)의 이동 없이 패널의 로딩, 연마, 언로딩이 수행되도록 하여 택타임을 절감한 것으로서, 연마 공정이 모두 완료된 글래스 패널(1)을 언로딩하기 위해 연마 테이블(10)이 언로딩 포지션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고, 연마 테이블(10)의 상방에서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 없이 (최소 높이에서) 대기 중이던 언로더(8)가 연마 공정 완료 후 곧바로 패널을 집어내어 반출할 수 있으며, 연마 테이블(10)이 이동하지 않으므로 연마 테이블이 다음 패널의 연마를 위해 다시 초기 위치로 되돌아오는 행정 또한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에지 연마휠(30)이 설치되는 거더(32)의 중앙부를 함입시킴으로써, 언로더(8)가 연마 테이블(10)의 상방에서 대기하는 높이를 최소한으로 최적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널의 언로딩을 위한 픽업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으로 1장의 글래스 패널을 로딩하여 연마한 후 언로딩하는 공정까지 설명하였으며, 여러 장의 글래스 패널을 연속하여 연마하기 위하여 전술한 단계 S10 내지 단계 S60이 연속되도록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최근 LCD 패널 등이 대형화되면서 이에 사용되는 글래스 패널 또한 대형화되는 추세인바, 전술한 글래스 기판 연마방법은 초대형 글래스 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글래스 패널이 대형화될수록 각 연마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각 공정마다의 택타임을 절감하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서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마방법을 대형 글래스 패널에 적용할 경우 택타임 단축 및 원가절감 효과는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연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글래스 패널(1), 로더(6), 언로더(8), 연마 테이블(10), 리니어 모터(20), 조합체(22), 얼라인 카메라(24),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 백 코너컷 연마휠(28), 에지 연마휠(30), 거더(32)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패널 연마장치는 전술한 연마방법이 수행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소정의 가공 지점(도 3의 'W' 참조)에 고정된 연마 테이블(10), 글래스 패널(1)을 픽업하여 연마 테이블(10)에 안착시키는 로더(6), 연마가 완료된 글래스 패널(1)을 픽업하여 반출하는 언로더(8), 및 주행 방향(도 3의 'Y' 참조)을 따라 이동하면서 글래스 패널(1)을 연마하는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 에지 연마휠(30), 및 백 코너컷 연마휠(28)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테이블의 이동에 따른 타임 로스를 줄이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마 테이블(10)은 가공 지점에 고정되며, 글래스 패널(1)의 정렬 및 회전을 위해 그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연마 테이블(10)의 표면에는 진공 흡착홀(12)이 형성되는 로딩된 글래스 패널(1)을 흡착, 고정시킬 수 있다.
연마 테이블(10)의 주변에는 주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LM(linear motor)(20)이 설치될 수 있으며, LM(20)의 작동에 의해 주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얼라인 카메라(24),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 에지 연마휠(30), 및 백 코너컷 연마휠(28)이 설치될 수 있다.
얼라인 카메라(24)는, 안착되는 글래스 패널(1)에 표시되어 있는 얼라인 마크를 촬영하여 얼라인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로딩된 기판을 정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 카메라(24)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좌우)으로 분리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얼라인 카메라(24)는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로딩된 패널의 틀어짐을 자동(또는 수동)으로 찾아 기판의 정렬 상태를 보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얼라인 카메라(24)에 함께 이동하도록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을 통합 설치함으로써, 패널 연마의 택타임을 절감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얼라인 카메라(24)와 통합된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은 글래스 패널(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여, 코너컷 연마휠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연마휠을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1)의 전방 코너에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전방 코너컷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에지 연마휠(30)은,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에 후행하여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에지 연마휠(30)이 글래스 패널(1)을 통과하도록 이동함으로써 글래스 패널(1)의 에지(장변, 단변)가 연마될 수 있다.
백 코너컷 연마휠(28)은, 에지 연마휠(30)에 후행하여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백 코너컷 연마휠(28)을 글래스 패널(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여, 코너컷 연마휠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연마휠을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1)의 후방 코너에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후방 코너컷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음은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지 연마휠(30)은, 연마 과정에서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쳐 있는 거더(32)에 설치될 수 있는데, 거더(32)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그 중앙부(도 3의 'C' 참조)가 일정 정도 하방으로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거더(32)의 중앙부를 아래쪽으로 함입시킴으로써, 거더(32)의 상방에서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로더(6)나 언로더(8)가 그 이동 과정에서 거더(32)에 충돌하거나 간섭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글래스 패널을 연마하기 위해 전술한 패널 연마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연마장치의 초기 상태, 즉 패널이 로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조합체(22)(얼라인 카메라(24)와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이 통합 설치된 부분)는 연마 테이블(10)의 전방의 미리 지정(teaching)된 얼라인 위치에 대기하고 있고, 에지 연마휠(30)(거더(32) 부분)은 연마 테이블(10)의 후방의 미리 지정(teaching)된 에지 연마 시작 위치에 대기하고 있으며, 백 코너컷 연마휠(28)은 에지 연마휠(30)의 후방에 대기하고 있다.
연마 공정이 시작되면, 반송 로더(6)는 글래스 패널(1)을 수취하여 연마 테이블(10)의 상방에 대기하고 있다가 글래스 패널(1)을 연마 테이블(10) 상에 안착시키며, 이 때 반송 언로더(8)는 로더(6)와 부딪히지 않는 대기 위치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연마 테이블(10)에 패널의 로딩을 완료한 반송 로더(6)가 새로운 글래스 패널(1) 수취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연마 테이블(10)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연마 완료를 기다리게 된다.
또한, 새로운 글래스 패널(1)을 수취한 반송 로더(6)는, 연마 완료를 기다리는 반송 언로더(8)와 부딪히지 않는 대기 위치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연마가 완료된 글래스 패널(1)을 수취한 반송 언로더(8)가 언로딩 포지션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마 테이블(10)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글래스 패널(1)을 곧바로 연마 테이블(10) 상에 로딩하게 된다.
종래에는 연마 테이블이 이동하여 연마가 완료된 글래스 패널을 언로딩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언로더가 이를 집어내고, 연마 테이블은 다시 로딩 위치로 이동하여 새로운 글래스 패널을 로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연마장치는 로더(6) 및 언로더(8)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하면서 글래스 패널(1)을 연속적으로 로딩/언로딩하므로, 글래스 패널(1)을 로딩/언로딩하기 위해 연마 테이블(10)이 이동하는 시간 손실 및 글래스 패널(1)의 로딩과 언로딩 사이의 시간 공백을 단축하여 전체적으로 택타임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26)은 얼라인 카메라(24)와 통합되어 함께 이동하므로, 로딩된 패널의 정렬이 완료됨과 동시에 전방 코너컷 연마가 수행될 수 있으며, 얼라인 데이터를 함께 받은 에지 연마휠(30) 또한 전방 코너컷이 수행되는 도중에 장변(또는 단변) 에지에 착수할 수 있다.
또한, 에지 연마가 진행되는 동안 백 코너컷 연마휠(28)은 에지 연마휠(30)과 함께 이동하여 후방 코너컷을 완료한 후, 다시 초기 위치로 이동하여 에지 연마휠(30)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장변(또는 단변) 연마가 완료되면 연마 테이블(10)이 90도 회전하고, 연마 테이블(10)이 회전하는 동안 에지 연마휠(30)은 단변(또는 장변) 연마를 위한 초기 위치로 이동하며, 테이블의 회전이 완료됨과 동시에 다시 에지 연마휠(30)을 이동시켜 단변(또는 장변) 에지를 수행한다.
에지 연마가 완료된 후 에지 연마휠(30) 및 연마 테이블(10)은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연마 공정의 1 사이클(cycle)이 완료되며, 이로써 다시 새로운 글래스 패널(1)을 로딩하여 연마를 시작할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딩, 연마, 언로딩 공정의 사이클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여러 장의 글래스 패널(1)을 연속적으로 연마할 수 있으며, 연마 공정의 전체적인 택타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므로 원가절감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글래스 패널 6 : 로더
8 : 언로더 10 :연마 테이블
12 : 진공 흡착홀 20 : 리니어 모터
22 : 조합체 24 : 얼라인 카메라
26 :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 28 : 백 코너컷 연마휠
30 : 에지 연마휠 32 : 거더

Claims (13)

  1. 주행 방향을 따라 글래스(glass) 패널을 이동시키면서 글래스 패널의 코너(corner) 및 에지(edge)를 연마하는 방법으로서,
    (a) 로더(loader)에 의해 픽업(pick-up)된 글래스 패널을, 소정 위치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연마 테이블(table)에 안착시키는 단계;
    (b) 상기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연마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된 얼라인 카메라(align camera) 및 프론트 코너컷(front corner cut) 연마휠 조합체를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을 정렬시키고, 글래스 패널의 전방 코너를 연마하는 단계;
    (c) 상기 조합체에 후행하여 상기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연마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된 에지 연마휠을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의 제1 에지를 연마하는 단계;
    (d) 상기 에지 연마휠에 후행하여 상기 주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연마 테이블의 주변에 배치된 백 코너컷(back corner cut) 연마휠을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의 후방 코너를 연마하는 단계;
    (e) 상기 연마 테이블을 회전시키고 상기 에지 연마휠을 이동시켜, 글래스 패널의 제2 에지를 연마하는 단계;
    (f) 글래스 패널을 언로더(unloader)로 픽업(pick-up)하여 반출하는 단계; 및
    (g) 소정 분량의 글래스 패널이 연마되도록 상기 단계 (a) 내지 상기 단계 (f)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에지 연마휠은 상기 주행 방향과 교차하는 거더(girder)에 결합되며, 상기 거더의 중앙부는 상기 로더 및 상기 언로더의 상기 주행 방향으로의 이동과 간섭되지 않도록 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연마 테이블의 표면에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글래스 패널을 흡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테이블의 주변에는 상기 주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니어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조합체, 상기 에지 연마휠 및 상기 백 코너컷 연마휠은 상기 리니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얼라인 카메라로 글래스 패널에 표시되어 있는 얼라인 마크(align mark)를 촬영하여 글래스 패널의 정렬에 필요한 얼라인 데이터(align data)를 획득하는 단계; 및
    (b2) 상기 얼라인 데이터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상기 연마 테이블을 회전시켜 안착된 글래스 패널을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은 안착된 글래스 패널에 상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프론트 코너컷 연마휠을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없이 글래스 패널에 접근시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코너컷 연마휠은 안착된 글래스 패널에 상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단계 (d)는 상기 백 코너컷 연마휠을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없이 글래스 패널에 접근시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로더로 글래스 패널을 픽업하여 상기 연마 테이블의 상방에서 대기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패널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계 (e)는 상기 연마 테이블을 90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전방 코너 연마 단계가 수행되는 도중에 상기 단계 (c)가 착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가 수행되는 도중에 상기 단계 (d)가 착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상기 언로더가 상기 연마 테이블의 상방에서 대기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13. 삭제
KR1020100038651A 2010-04-26 2010-04-26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KR101164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51A KR101164505B1 (ko) 2010-04-26 2010-04-26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51A KR101164505B1 (ko) 2010-04-26 2010-04-26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133A KR20110119133A (ko) 2011-11-02
KR101164505B1 true KR101164505B1 (ko) 2012-07-10

Family

ID=4539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651A KR101164505B1 (ko) 2010-04-26 2010-04-26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173B1 (ko) 2020-12-03 2022-05-09 엘피티 주식회사 접힘 효율 향상을 위한 박판글라스 정밀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379B1 (ko) 2012-05-22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연마 장치 및 기판 연마 방법
KR101472294B1 (ko) * 2013-06-12 2014-12-24 (주)미래컴퍼니 패널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102397387B1 (ko) 2015-08-10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조립방법
CN106926084A (zh) * 2017-04-28 2017-07-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玻璃边缘研磨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8907A (ja) 1996-10-15 1998-05-12 Hitachi Electron Eng Co Ltd ガラス基板の外周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8907A (ja) 1996-10-15 1998-05-12 Hitachi Electron Eng Co Ltd ガラス基板の外周加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173B1 (ko) 2020-12-03 2022-05-09 엘피티 주식회사 접힘 효율 향상을 위한 박판글라스 정밀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133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505B1 (ko) 글래스 패널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KR101213017B1 (ko)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TWI463576B (zh) 用於將半導體晶片置放在基板之設備
CN110582171B (zh) 自动贴片装置及自动贴片方法
KR101974379B1 (ko) 기판 연마 장치 및 기판 연마 방법
CN111480216B (zh) 基板处理系统、基板处理方法以及计算机存储介质
TWI466755B (zh) Automatic lens grinding device
JPH05185360A (ja) ガラス研磨装置
KR20060135481A (ko) 인라인 자동 cog 본딩장치
KR100640257B1 (ko) 글라스 연마장치
CN115863238A (zh) 一种硅片上料系统及硅片上料定位方法
KR20060095920A (ko) 연마장치
JP5326129B2 (ja) 平板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研磨方法
KR101720302B1 (ko) 패널의 에지 폴리싱 장치 및 방법
KR20200038694A (ko) Fpcb 밴딩 부착 장치
JP5999544B2 (ja) 実装装置、実装位置の補正方法、プログラム及び基板の製造方法
WO2019097675A1 (ja) 部品実装機、部品検査方法、部品検査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90132226A (ko) 기판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1141931B1 (ko) 에지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JP7339858B2 (ja) 加工装置及び板状ワークの搬入出方法
KR101472294B1 (ko) 패널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JPH11221744A (ja) 半導体ウェーハの面取り面研磨装置
CN106068553B (zh) 基板处理装置
KR101326169B1 (ko) 에지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JP5454856B2 (ja) ワーク収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