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285B1 -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285B1
KR101164285B1 KR1020070111353A KR20070111353A KR101164285B1 KR 101164285 B1 KR101164285 B1 KR 101164285B1 KR 1020070111353 A KR1020070111353 A KR 1020070111353A KR 20070111353 A KR20070111353 A KR 20070111353A KR 101164285 B1 KR101164285 B1 KR 10116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pture
groove
easy rupture
safety valve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996A (ko
Inventor
아키라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선전 케다리 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케다리 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전 케다리 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4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개방압력(작동압)을 작게 (고감도화)하고, 개방면적을 크게 하는 한편, 낙하 강도를 높게 하여, 비용을 내린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를 제공한다.
대략 직교하는 래디얼 방향에 용이하게 파열홈을 형성한, 파열 용이부 강도 조절의 용이한 밸브체 루프 형상과, 각종 용이 파열홈 단면 구조를 조합하여 금속판으로 가공하는 밀봉형 전지의 안전밸브. 제조법은 왕복 운동하는 분할형 프레스를 이용한다. 용이 파열홈 단면 구조에는, 적어도 V노치, 일방향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 왕복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의 3개가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SAFETY VALVE FOR SEALED CELLS}
본 발명은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한 것은 파열 용이부 강도 조절이 용이한 연속 또는 반연속의 밸브체 루프형상 및 각종 파열 용이부 단면 형상을 조합한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Li이온전지 등에 있어서, 전지 내부에서 어떠한 원인에 의해 이상반응이 발생하여, 전지 내부 압력이 상승한 경우, 밀폐형 전지에서는, 전지 자체의 폭발에 의해 인적, 물적 손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 대책으로서, 폭발에 이르기 전에 전지 내부의 가스를 방출할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전지 외장부에 안전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안전밸브는, 미리 설계 준비된 내압으로 파열 개방되는 밸브체를 갖지만, 이 밸브체에 요구되는 특성상, 개방압력은 통상의 전지 내부 압력보다는 높은 것은 당연하지만, 가능한 한 낮은 개방압력인 것이 안전상 바람직하다(이 임계 개방압력을 작동압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지 내부에서의 가스 발생량이 많으면, 이 가스를 방출하는 밸브체의 면적이 작은 경우, 일시적으로 전지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더 폭발에 이르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파열 용이홈의 파열에 의해서 생기는 가스 방출부의 면적은 발생 가 스량을 방출하기에 충분한 면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우리의 경험에서는 7㎟ 이상이 필요). 또한, 이 Li이온전지는, 휴대전화나 디지털카메라 등에 사용되기 때문에, 취급에 따라서는 이것을 사용자가 지상 또는 마루 위에 떨어뜨려 밸브체부가 파손되어, 전해액이 누설되는 등의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이런 사고 낙하에 대해서, 밸브체가 손상하기 어려운 것이 중요하다(이것을 낙하강도라고 부른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위해서, Li이온 전지는 안전 기구로서 안전밸브를 갖는다. 이 안전밸브에는, 전지 측면이나 바닥부분에 직선 또는 곡선 또는 그러한 조합에 의해 폭 2mm 이하의 프레스나 에칭에 의해 얇은 밸브체를 구성하는 경우(각인 (刻印)타입 또는 프레스 밸브라고 부른다)와, 봉구판(封口板)상에 개방구를 설치하여 거기에 얇은 밸브체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밸브체의 평면형상은 타원, 타원 혹은 음료 캔의 이지 오픈 캔(Easy open can) 뚜껑 혹은 그 집합체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전지케이스의 뚜껑에 부여하는 단면 V노치 각인타입의 안전밸브는, 작동압을 20kgf/㎠ 이하로는 하지 못하고, 또한, 가스 방출시 충분한 개구면적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낙하에 대해서 약하기 때문에,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어 오고 있다.
봉구판에 개방구를 설치하여 거기에 얇은 밸브체를 형성하는 수단으로서는, 최초로 봉구판면내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방구멍을 열어 주고, 그 개방구멍에 두께 20~60μ의 얇은 박막을 밸브체로서 클래드(Clad) 혹은 용접에 의해 붙이는 수단이 있다(이것은 일반적으로 클래드 밸브라 불린다). 또한, 봉구판면내에 프레스 또는 에칭 등에 의해 소정의 크기를 갖는 박막을 갖는 안전밸브를 형성하는 수단도 있다(이것은 일반적으로 프레스 밸브라 불린다).
전자의 클래드 밸브는, 안전밸브의 요구 특성인 낮은 작동압, 넓은 방출면적 및 강한 낙하 강도를 유지한다고 하는 장점을 갖지만, 프레스 3회와 클래드 공정을 필요로 하는 등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또한 제조기술이 어렵고 생산수율이 나쁘기 때문에, 비용이 높다고 하는 마이너스면이 있다.
이것에 대해, 프레스 밸브는 프레스(분할형 프레스를 포함한다)만으로 봉구판 내면에 밸브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방출에 충분한 소정 크기 이상의 안전밸브 면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지만, 클래드 밸브에 비교하여, 안정된 낮은 작동압을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 때문에 프레스 밸브의 개발은, 프레스 장치의 정밀한 하사점(下死點) 제어나 적응 소재의 개량 개발에 따라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상기 2가지는 프레스장치 메이커와 밸브체 재료 메이커에서 개발중이다. 그리고 밸브체인 봉구판을 생산하는 프레스 메이커나 이것을 사용하는 전지 메이커에 대해서는, 프레스 밸브의 형상을 궁리하는 일에 의해서 바람직한 저작동압의 프레스 밸브를 얻는 노력이 이루어져, 적지않게 특허도 출원되고 있지만, 아직도 안정되어 충분히 낮은 작동압을 얻기까지는 도달하지 않았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27364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봉구판(2)의 개방구 (21)에 돔형상을 이루는 얇은 두께의 밸브체(23)가 형성되고, 이 밸브체(3)의 주변 근방에 용이한 파열홈을 형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구판에 평면 연속 혹은 불연속 루프로 이루어지는 얇은 부분을 설치하고, 그 얇은 부분에 파열홈을 형성하는 타입의 안전밸브에 대해서는, 전지 내부 압력이 상승했을 때에, 얇은 두께의 밸브체가 전지 내부의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안전밸브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비교적 저압에서 안전밸브가 작동하여, 본래의 목적을 달성한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2005-135873호 도 2(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봉구판(6)에 얇은 두께의 밸브체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밸브체에는 전지 안쪽을 향하여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돔부(2)가 형성되고, 상기 돔부의 적어도 하나의 둘레가장자리 산(山)에는 밸브체의 파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열홈(4)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변형이 큰 개소는, 종래에는 밸브체 중앙부 부근이며, 밸브체 둘레가장자리부로 감에 따라서 변형량은 작아진다. 통상 파열홈은 밸브체의 둘레가장자리에 있기 때문에 전지 내부 압력이 상승했을 때에 밸브체 내부에서 가장 변형이 작은 개소에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공고공보 소58-23165에는 일방향 전단가공 및 왕복방향 전단가공에 의한 분리 용이한 금속편 연속체의 제조법(종래기술)(특허문헌 3 참조)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273640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135873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고공보 소58-23165
종래, 밀폐형 전지, 특히 리튬이온형 전지 등의 안전밸브에 대해서는, 산요 전기, 미야마쓰루 등에서 개발·개량되어 일부에서는 실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은 낙하 등의 비교적 가벼운 쇼크나 가상적인 저내압에서는 안정되어 있어 용이하게 개구하지 않고, 한편으로 갑자기 내압 상승이 생겼을 때는 확실히 개구하여 파괴를 막을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는 아직도 충분히 상품화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 이변에 수반하여 이상(異常) 가스를 일으켜, 조(槽)내 가스압의 급상승을 초래하는 일이 있는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에 있어서, 평면 연속 또는 불연속 루프형의 안둘레 용이 파열홈에 대략 직교하여 바깥둘레를 향하여 연장되는 대략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을 구비하고, 조(槽) 전체의 사고 낙하 등에 대해서는, 용이하게 파열하지 않고, 한편으로 조내 이상 가스의 발생에 의한 내압 상승에 대해서는, 설계 그대로의 비교적 저내압으로 파열하여 내압을 해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청구항 1),
대략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 단면이, V노치형, 일방향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 혹은 왕복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의 어느 하나인 제 1 항에 기재의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청구항 2),
용이 파열홈의 교점이 이하의 조합인 제 2 항에 기재의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
(1) V노치형 용이 파열홈끼리의 조합,
(2) V노치형 용이 파열홈과 일방향 전단가공형 또는 왕복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의 조합,
(3) 일방향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끼리의 조합,
(4) 왕복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끼리의 조합,
(5) 일방향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과 왕복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의 조합, (청구항 3) 및
개구 중앙부 윤곽을 이루는 안둘레 용이 파열홈의 남은 두께를 t1,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의 남은 두께를 t2로 할 때, 안전밸브부 판두께 T가, 1.2(t1,t2)≤T≤2.0(t1,t2)인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기재의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청구항 4)가 제공된다.
[발명의 작용 효과]
이상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전지를 봉구하는 판형상의 봉구판의 개방구멍에 얇은 두께의 밸브체가 형성되어 있고, 전지 내부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 상기 밸브체가 둘레가장자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파열하여 전지의 가스를 전지 밖으로 방출하는 전지의 안전밸브가 제공되고, 밸브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 형상은 임의의 닫혀진 형상(연속 또는 불연속 루프형상 혹은 가운데가 빈 방사상)으로 파열홈은 밸브체의 둘레가장자리보다 멀어진 장소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변형이 일어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앙 파열홈보다 대략 직각 방향으로 밸브체 둘레가장자리부를 향하여, 예를 들면 4개 이상의 거의 방사상의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을 갖기 때문에, 파열홈과의 교점(용이 파열홈끼리의 교점)에서 응력이 집중하므로 낮은 압력에서도 파단이 시작되고, 또한 일단 파열이 시작되면 전지의 바깥쪽 방향으로의 압력과는 별도로 파열홈은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에 의해서 전지 측면방향으로의 압력도 받는다. 즉 파열전파 (Crack propagation)는 비교적 작은 압력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상술과 같이 종래의 프레스 밸브에 비교하여, 훨씬 낮은 작동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스 밸브는 일부에 V노치형 용이 파열홈끼리 또는 일방향 또는 왕복 전단가공 용이 파열홈 또는 이러한 조합으로, 대략 직각인 교점을 크랙의 출발점으로 하는 파열전파(Crack propagation)를 이용한 파열 용이홈끼리의 교점을 파열 개시점으로 하는 용이 파열홈에서 연속하는 파열편 연속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체가 포함된다.
이 중에서 일방향 전단가공 용이 파열홈(1 way shearing easy open ditch; 1 WAY SEOD) 또는 왕복 전단가공 용이 파열홈(2 way shearing easy open ditch; 2 WAY SEOD)은, 각각 도 2, 도 3과 도 4, 도 5에 기재되어 있는 분할형 주름누름형을 이용한 프로세스에서 만들어지며, 중심부의 가공 경화한 잔존 접속부만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 각각 나타나는 잔존 접속부분은 특히 전위밀도가 높고, 가공 경화하고 있으므로 약해서 크랙이 생기기 쉽고, 파열하기 쉽다. 어느 것이나 바우싱거(Bauschinger) 효과에 의해서 용이하게 파열하여 파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파열이라 함은, 용이 파열부, 예를 들면 소성가공 밀도가 높고, 파괴시에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파열홈의 교점 내지 그 부근에서 먼저 내 압에 의해서 크랙이 생겨 크랙이 파열홈을 따라서 전파되어 밸브체의 파열이 생겨, 내부의 고압 가스를 공기 중에 놓아주는 현상을 말하고, 실제로는 파열편(밸브체)의 일부는 감아 오르지만, 파열홈의 일부(주로 연성 변형부)는 파단하지 않고 잔존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특성에 의해, 파열시 분리 밸브체의 비산에 의한 위험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파열의 개시에 있어서는, 파열홈과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의 교점으로부터 크랙이 시작되며, 2개의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과 이것들과 대략 직교하는 파열홈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전지의 바깥쪽 방향으로 굴곡하고, 그 때문에 밸브체 작동시에는 충분한 가스 방출을 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종래예 1, 2, 본 발명 실시예 1, 2의 순서로 동일 두께, 동일 소재(연강판 또는 내식 Al 합금판)와 비교했을 때, 그 작동압 YA, YB, YC, YD를 비교하면 YA>YB>YC>YD가 된다.
상기와 같이, 밸브체는 전지 바깥쪽 방향과 측면방향의 2방향의 힘에 의해서 파열하기 때문에, 통상의 프레스 밸브와 비교한 경우, 용이 파열홈 및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의 두께를, 설계 작동압이 같은 경우는 두껍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낙하강도도 강해진다. 또한, 낙하강도를 같게 하면 작동압을 낮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임의의 작동압, 낙하강도의 품질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대략 직교하는 용이 파열홈의 교점 부근에는 극단적인 응력 집중이 생기지 않도록, 응력 완화를 고려한 형상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이것은 금속 소재의 가공 경화 계수와 개첨강도(開尖强度)의 연구에 의해서 정밀한 적정 해법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내부 압력 상승시, 신속하게 작동하여, 전지 내부의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음과 함께, 낙하강도가 뛰어나고, 또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이룬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파열 용이홈의 교점에서 생긴 크랙이 전파하고, 즉 파열이 진행하고, 일부는 연결상태를 남기면서, 보다 큰 면적의 가스빼기 개구부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고, 한편으로는 취급자가 손에서 미끄러져 밀폐형 전지 등의 금속제 캔용기를 마루 위에 떨어뜨려도, 낙하 충격에 견디어 쉽게 개구(파열)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작용 효과는, 실제로 사용해 보면 분명하지만, 이론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더욱 미해결의 부분도 없다고 보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종래예와 대비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은 종래예 1, 2와 본 발명 실시예 1, 2의 평면도, 단면도, 및 변형/작동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도 3은 각각 일방향 전단가공 용이 파열홈(11)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단면 현미경사진이며, 도 4, 도 5는 각각 왕복방향 전단가공 용이 파열홈(12)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단면 현미경사진이다. 도 1에 있어서, A는 종래예 1, B는 종래예 2, C는 본 발명 실시예 1, D는 본 발명 실시예 2를 나타내고, 각각의 작동압은 YA, YB, YC, YD로서 나타내면, YA>YB>YC>YD이다. 한편, YA는 종래예 1의 작동압, YB는 종래예 2의 작동압, YC는 본 발명 실시예 1, YD는 본 발명 실시예 2의 작동압이다. EOD는 용이 파열홈, EODR은 대략 래디얼 방향의 용이 파괴홈, EOP는 파열 개시점(교점)이다. 도 2, 3, 4에 있어서, A는 압하 압력, L은 전단가공 스트로크, t1은 일방향 전단가공 남은 두께, t2는 왕복 전단가공 남은 두께, 10은 소재 강판, 11은 일방향 전단가공 용이 파괴홈, 12는 왕복 전단가공 용이 파괴홈, 20은 프레스 압형(혹은 전단날), 30은 주름누름이다.
종래예 1은 평면도상을 단순한 V노치단면에서, 타원형상으로 연속 루프로 하여 윤곽을 드러낸 안전밸브이고, 이 연속루프는 점선형상의 반연속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압이 걸려도 전체가 부풀어 오르는 것만으로 바깥둘레 용이 개방홈이 파열하지만, 개구 장소는 특정되지 않고, 변형(내지 응력)이 크고, 용이 개방되기 어렵다. 종래예 2는 종래예 1의 평면 타원형상의 용이 개방뚜껑의 중앙부에 세로홈을 넣고, 상하 2개소에 용이 파열 개시점을 설치한 것이다. 이것은 종래예 1보다 본 발명에 가까워, 세로선과 바깥고리부와의 교점부는 낮은 작동압으로 파열이 시작된다. 그러나, 종래예 2에서는 아직 임계변형 내지 작동압은 여전히 크다.
[실시예 1]
이것에 대해, 본 발명 실시예 1에서는 대략 원형의 평면형상을 하고 있지만, 안쪽 고리와 바깥고리를 대략 래디얼 방향으로 연결하는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과 안쪽 고리, 바깥고리 용이 파열홈과의 교점(용이 파열 개시점 EOP)으로부터, 낮 은 압력으로 파열이 생겨 크랙이 전파한다.
[실시예 2]
본 발명 실시예 2에서는 래디얼 방향으로 4개의 용이 파열홈이 스포크 (Spoke) 형상으로 안쪽 고리와 바깥고리를 연결하고 있지만, 8개의 용이 파열점이 기점이 되어 파열이 생겨서, 각 점 3방향으로 크랙이 전파하여, 낮은 내압(작동압)으로 저변형인 채 저압으로 파열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2단 고리형상일 뿐만 아니라, 긴 원형, 타원형, 선형, 다각형 등 특별히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요점은, 대략 직교하는 EODR를 포함하는 것이다. 개구 중앙부 윤곽을 이루는 안쪽 고리 용이 파열홈과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의 남은 두께를 각각 t1,t2로 하고, 종래의 용이 파열홈 최소 판두께를 T로 할 때, 1.2≤T/t1≤2.0, 1.2≤T/t2≤2.0 이다. 이 식의 한정이유는 다음과 같다.
T가 t1,t2의 1.2배보다 작으면 안전밸브부 판두께 T와 파괴홈 남은 두께 t1,t2의 판두께가 거의 같아진다. T 및 t1,t2가 작으면 낙하강도가 약하고 또 너무 크면 작동압이 높아진다. 또한 T가 t1,t2의 2.0배보다 커지면 안전밸브의 두께 T가 커져 작동압이 현저하게 높아진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1.2≤T/t1≤2.0, 1.2≤T/t2≤2.0 으로 하였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바로 옆의 연강선(철사)을 손으로 계속 접어 구부리 면 가공 경화가 생겨(이 때 약간 발열하지만) 점차 딱딱해져, 마침내는 접혀 버리는 연질 금속 특유의 성질을, 응력 집중과 함께 유지하여, 전단 응력으로부터 취성 파괴에 이르는 파열특성을 전지 안전밸브의 바람직한 성질과 연결한 것에 있으며, 단면형상이 다른 복수의 용이 파열홈을, 예를 들면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것 등에 의해, 크랙발생 용이성과 크랙 전파특성을 변화시키는 곳에 특징이 있다. 또한 이것에 (낮은 온도나 중간 온도의) 열처리를 가하여 회복, 재결정 프로세스에 의해서 미묘하게 요구 특성을 제어 가능한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종래는 생각할 수도 없었던 각종의 분리 용이한 금속편 연속체에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분리 용이한 반도체 전자부품 연속체나 그 외 의료용 샘플이나 약제단위 등의 각종 정밀부품의 중간 프로세스용 분리 용이한 연속체 등, 용도에는 한정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도 1은 종래예와 본 발명 실시예
도 2는 일방향 전단가공
도 3은 일방향 전단가공 용이 파열홈
도 4는 왕복 전단가공
도 5는 왕복 전단가공 용이 파열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종래예 1 B : 종래예 2
C : 본 발명 실시예 1 D : 본 발명 실시예 2
YA : 종래예 1의 작동압 YB : 종래예 2의 작동압
YC : 본 발명 실시예 1의 작동압 YD : 본 발명 실시예 2의 작동압
EOD : 용이 파열홈
EODR : 대략 래디얼 방향의 용이 파괴홈
EOP : 파열 개시점(교점)
A : 압하 압력 L : 전단가공 스트로크
t1 : 일방향 전단가공 남은 두께 t2 : 왕복 전단가공 남은 두께
10 : 소재 강판 11 : 일방향 전단가공 용이 파열홈
12 : 왕복 전단가공 용이 파열홈 20 : 프레스 압형(혹은 전단날)
30 : 주름누름

Claims (4)

  1. 환경이변에 수반하여 이상 가스를 일으켜, 조(槽)내 가스압의 급상승을 초래하는 일이 있는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에 있어서, 평면 연속 또는 불연속 루프형의 안쪽 고리 용이 파열홈에 직교하고, 안전밸브 표면 중심부에서 바깥고리 용이 파열홈과 래디얼 방향으로 연결하는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을 구비하고, 조 전체의 사고 낙하에 대해서는, 용이하게 파열하지 않고, 조내 이상 가스의 발생에 의한 내압 상승에 대해서는, 설계 그대로의 저내압으로 탄성 변형이 가장 큰 상기 안쪽 고리 용이 파열홈과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의 교점부에서 파열이 개시되어 내압을 해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 단면이, V노치형, 일방향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 혹은 왕복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의 어느 하나인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안쪽 고리 용이 파열홈과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의 교점이 이하의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인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
    (1) V노치형 용이 파열홈끼리의 조합,
    (2) V노치형 용이 파열홈과 일방향 전단가공형 또는 왕복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의 조합,
    (3) 일방향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끼리의 조합,
    (4) 왕복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끼리의 조합,
    (5) 일방향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과 왕복 전단가공형 용이 파열홈의 조합,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 중앙부 윤곽을 이루는 안쪽 고리 용이 파열홈의 남은 두께를 t1, 래디얼 방향 용이 파열홈의 남은 두께를 t2, 안전밸브부 판두께를 T로 할 때, 1.2≤T/t1≤2.0 및 1.2≤T/t2≤2.0 인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
KR1020070111353A 2006-11-08 2007-11-02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 KR101164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03362 2006-11-08
JP2006303362A JP4676947B2 (ja) 2006-11-08 2006-11-08 密閉型電池の安全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996A KR20080041996A (ko) 2008-05-14
KR101164285B1 true KR101164285B1 (ko) 2012-07-09

Family

ID=3940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353A KR101164285B1 (ko) 2006-11-08 2007-11-02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76947B2 (ko)
KR (1) KR101164285B1 (ko)
CN (1) CN101179119B (ko)
TW (1) TWI4133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2089A (ja) 2009-03-27 2010-10-14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電池
JP4605823B1 (ja) * 2010-03-29 2011-01-05 章 池田 密閉型電池の安全弁及びそれを用いた密閉型電池
JP5538509B2 (ja) * 2012-11-01 2014-07-02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
JP5928434B2 (ja) * 2013-10-31 2016-06-01 Smk株式会社 薄肉部の冷間鍛造方法と防爆弁
EP4120458A4 (en) * 2020-03-09 2023-11-22 SANYO Electric Co., Ltd. GAS DISCHARGE VALVE FOR BATTERY AND BATT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4033A (ja) 1997-04-07 1998-10-23 Mikuni Kogyo:Kk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安全弁の製造方法
JP2003297323A (ja) * 2002-04-04 2003-10-17 Alps Electric Co Ltd 二次電池の安全装置
JP2005071836A (ja) * 2003-08-26 2005-03-17 Toshiba Shomei Precision Kk 封口板及び密閉型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0713A (ja) * 1997-04-09 1998-12-22 Mikuni Kogyo:Kk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安全弁
JP4233671B2 (ja) * 1999-03-01 2009-03-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4033A (ja) 1997-04-07 1998-10-23 Mikuni Kogyo:Kk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安全弁の製造方法
JP2003297323A (ja) * 2002-04-04 2003-10-17 Alps Electric Co Ltd 二次電池の安全装置
JP2005071836A (ja) * 2003-08-26 2005-03-17 Toshiba Shomei Precision Kk 封口板及び密閉型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9119B (zh) 2013-11-06
CN101179119A (zh) 2008-05-14
TWI413328B (zh) 2013-10-21
KR20080041996A (ko) 2008-05-14
JP2008123726A (ja) 2008-05-29
TW200836444A (en) 2008-09-01
JP4676947B2 (ja)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5823B1 (ja) 密閉型電池の安全弁及びそれを用いた密閉型電池
KR101490592B1 (ko) 전지 케이스 덮개 및 전지 케이스 덮개의 방폭 밸브의 형성 방법
KR101164285B1 (ko) 밀폐형 전지의 안전밸브
KR101881627B1 (ko) 전지 케이스용의 덮개체
TWI690109B (zh) 封口板
JP2007141518A (ja) 二次電池の防爆構造
JP5198723B2 (ja) 密閉型電池用封口板
US6265097B1 (en) Breakable safety valve for metal-made container
JP5503101B2 (ja) 電池ケース
US20060292437A1 (en) Sealed prismatic battery
TWI619291B (zh) Battery case
JP4247831B2 (ja) 密閉角形電池
KR101616621B1 (ko) 전지 케이스 및 전지 케이스의 안전 밸브의 형성 방법
US20070243462A1 (en) Generally Oval Battery
JP2004111155A (ja) 電池の安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876794B2 (ja) 二次電池用ケース及び二次電池
WO2014091773A1 (ja) 電池ケース用の蓋体
JP2002008615A (ja) 密閉型電池
EP4037084A1 (en) Method for preparing pouch-type battery case having venting guide part and pouch-type battery case prepared by method
JP2005235531A (ja) 密閉型電池
JP6275621B2 (ja) 容器の防爆弁の構造
JP3662175B2 (ja) 角型電池の防爆構造
JP2014234857A (ja) 密閉容器の安全弁
JP5990064B2 (ja) 二次電池用ケース及び二次電池
JP2002075314A (ja) 電池用安全機構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