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067B1 -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067B1
KR101164067B1 KR1020110017052A KR20110017052A KR101164067B1 KR 101164067 B1 KR101164067 B1 KR 101164067B1 KR 1020110017052 A KR1020110017052 A KR 1020110017052A KR 20110017052 A KR20110017052 A KR 20110017052A KR 101164067 B1 KR101164067 B1 KR 101164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rojector
unit
postur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9642A (ko
Inventor
?지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9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03B3/12Power-operated focusing adapted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렌즈 시프트(lens shift)에 있어서의 방향 변환을 조작성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프로젝터(1)는, 투사 렌즈(13)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의 투사 위치를 조정하는 렌즈 위치 조정부(렌즈 시프트 기구(15))와, 리모컨(50)으로부터, 렌즈 위치 조정을 개시하게 하는 위치 조정 개시 신호와, 이동 방향을 지정하여 투사 렌즈(13)를 이동시키는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22)와, 렌즈 이동 신호에 기초하는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방향 변환 정보를 기억하는 방향 변환 기억부(방향 반전 기억부(26))와, 방향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방향을 변환하는 이동 방향 변환부와, 방향 변환 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메뉴 표시부(OSD 처리부(32))와,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 경우에,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메뉴 표시부가 표시하게 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PROJECTOR AND CONTROL METHOD OF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는 회사, 이벤트 장소, 학교, 가정 등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한 장소에 있어서의 프로젝터의 설치 자세로서는, 책상 위 등에 설치하여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자세(이하, 정치(正置) 자세라고 함)와, 프로젝터의 상하를 역방향으로 하여 천장 등의 높은 곳에 고정용의 지그를 이용하여 매달아 고정 설치하여 투사시키는 자세(이하, 천장 걸이 자세라고 함)가 있다.
또한, 프로젝터에는, 투사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의 투사 위치를 조정하는 렌즈 시프트(lens shift; 렌즈 위치 조정) 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 이 렌즈 시프트 기능은, 프로젝터에 부속하는 리모컨(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렌즈 시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로젝터의 설치 자세를, 정치 자세로부터 천장 걸이 자세로 변경하면, 리모컨에 의해 조작되는 렌즈 시프트 기능의 버튼의 누름 방향과, 투사 렌즈가 이동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역방향으로 이동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리모컨의 누름 버튼의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방향 설정 메뉴 화면을 구비한 프로젝터가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영상 투사 장치(프로젝터)의 설치 방향이 상하 역전된 경우에서, 그리고 투사 영상 내의 메뉴와 증가감(增加減)을 행하는 키 조작의 방향이 조작자의 조작 감각상 좌우 역전된 상태가 된 경우에, 조작자의 키 입력 방향과 화면상의 증감 방향을 일치시키는 영상 투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295310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영상 투사 장치에서는, 설치 방향이 상하 역전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비용이 증대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센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리모컨의 누름 버튼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수단으로서, 유저가 방향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시켜 설정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유저는, 스스로 프로젝터의 메뉴 화면을 열고, 각종 버튼을 눌러서, 메뉴 내를 검색하여 방향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때문에, 유저에게는 조작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의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본 적용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리모컨에 의한 원격 조작이 가능한 프로젝터로서, 투사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의 투사 위치를 조정하는 렌즈 위치 조정부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렌즈 위치 조정부가 위치 조정을 개시하게 하는 위치 조정 개시 신호와, 이동 방향을 지정하여 상기 투사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렌즈 이동 신호에 기초하는, 상기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방향 변환 정보를 기억하는 방향 변환 기억부와, 상기 방향 변환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방향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을 변환하는 이동 방향 변환부와, 상기 방향 변환 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메뉴 표시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가 상기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상기 메뉴 표시부가 표시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프로젝터에 의하면, 렌즈 위치 조정부는 투사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의 투사 위치를 조정한다. 신호 수신부는 리모컨으로부터 위치 조정 개시 신호 및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한다. 방향 변환 기억부는, 렌즈 이동 신호에 기초하는,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방향 변환 정보를 기억한다. 이동 방향 변환부는 방향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을 변환한다. 메뉴 표시부는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 경우에,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 이에 따라,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으면,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방향 변환 메뉴 화면에 의해,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의 변환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위치 조정에 있어서, 리모컨으로부터의 렌즈 이동 신호에 대하여 투사 렌즈가 이동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스스로 의도하여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적용예 2] 상기 적용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환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소정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상기 방향 변환 정보는, 상기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킬지 말지 중 어느 쪽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프로젝터에 의하면, 방향 변환 정보는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킬지 말지 중 어느 쪽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 본체가 소정의 기본 자세로 설치된 정치 자세 또는 상하를 반전시킨 천장 걸이 자세로 설치되었을 때에, 렌즈 위치 조정에 있어서, 리모컨으로부터의 렌즈 이동 신호에 대하여 투사 렌즈가 이동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적용예 3] 상기 적용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있어서, 프로젝터 본체의 설치 자세 정보로서, 소정의 기본 자세로 설치한 정치 자세, 또는 상하를 반전시킨 천장 걸이 자세 중 어느 쪽이 기억되는 설치 자세 기억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전회(前回), 상기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상기 설치 자세 기억부의 상기 설치 자세 정보와, 현재의 상기 설치 자세 기억부의 상기 설치 자세 정보가 상이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프로젝터에 의하면, 설치 자세 기억부에는, 설치 자세 정보로서 정치자세 또는 천장 걸이 자세 중 어느 쪽이 기억된다. 그리고,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소정의 조건으로서, 전회,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설치 자세 정보와 현재의 설치 자세 정보가 상이하면,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즉,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전회와 이번에 설치 자세 정보에 변화가 있던 경우에는, 렌즈 위치 조정에 있어서의 투사 렌즈가 이동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회피하기 위한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스스로 의도하여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설치 자세 정보에 변화가 없으면,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렌즈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적용예 4] 상기 적용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있어서, 프로젝터 본체의 설치 자세 정보로서, 소정의 기본 자세로 설치한 정치 자세, 또는 상하를 반전시킨 천장 걸이 자세 중 어느 쪽이 기억되는 설치 자세 기억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설치 자세 기억부의 상기 설치 자세 정보가 정치 자세이고, 그리고 상기 방향 변환 기억부의 상기 방향 변환 정보가 반전시키는 설정의 경우인 것, 또는, 상기 설치 자세 기억부의 상기 설치 자세 정보가 천장 걸이 자세이고, 그리고 상기 방향 변환 기억부의 상기 방향 변환 정보가 반전시키지 않는 설정의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프로젝터에 의하면, 설치 자세 기억부에는, 설치 자세 정보로서 정치 자세 또는 천장 걸이 자세 중 어느 쪽이 기억된다. 그리고, 소정의 조건은, 설치 자세 정보가 정치 자세이고 그리고 방향 변환 기억부의 방향 변환 정보가 반전하는 설정의 경우인 것 또는, 설치 자세 정보가 천장 걸이 자세이고 그리고 방향 변환 기억부의 방향 변환 정보가 반전하지 않는 설정의 경우인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이러한 조건이 되어 있으면, 렌즈 위치 조정에 있어서의 투사 렌즈가 이동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회피하기 위한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스스로 의도하여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러한 조건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렌즈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적용예 5]본 적용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은, 리모컨에 의한 원격 조작이 가능하고, 투사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의 투사 위치를 조정하는 렌즈 위치 조정부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렌즈 위치 조정부가 위치 조정을 개시하게 하는 위치 조정 개시 신호와, 이동 방향을 지정하여 상기 투사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렌즈 이동 신호에 기초하는, 상기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방향 변환 정보를 기억하는 방향 변환 기억부와, 상기 방향 변환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방향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을 변환하는 이동 방향 변환부와, 상기 방향 변환 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방향 변환 메뉴 화면를 표시하는 메뉴 표시부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신호 수신부에 의해, 상기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스텝과, 상기 신호 수신 스텝에 의해 상기 위치 조정 개시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과, 상기 판단 스텝에 의해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상기 메뉴 표시부가 표시하게 하는 제어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으면,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방향 변환 메뉴 화면에 의해,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의 변환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위치 조정에 있어서, 리모컨으로부터의 렌즈 이동 신호에 대하여 투사 렌즈가 이동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스스로 의도하여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술한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이 프로젝터에 구비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형태 및 상기 적용예는, 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혹은 당해 프로그램을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한 기록 매체 등의 실시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 매체로서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광자기 디스크,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 프로젝터의 내부 기억 장치(RAM(Random Access Memory)나 ROM(Read Only Memory) 등의 반도체 메모리) 및, 외부 기억 장치(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 등,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여러 가지의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는 장치 본체의 전면(前面) 및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그 배면(背面) 및 저면(底面)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프로젝터가 화상을 투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로, 장치 본체가 책상 위 등에 올려 놓여진 상태(정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프로젝터가 화상을 투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로, 장치 본체가 천장 등에 고정된 상태(천장 걸이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프로젝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리모컨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설치 모드 설정 메뉴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리모컨의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8은 프로젝터가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프로젝터가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가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 때의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프로젝터는, 프로젝터의 설치 자세(설치 모드)의 변화에 따라, 리모컨에 의한 렌즈 시프트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방향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동(同) 도(a)는 장치 본체의 전면 및 상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동 도(b)는 그 배면 및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프로젝터가 화상을 투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로, 도 2는 장치 본체가 책상 위 등에 올려 놓여진 상태(정치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장치 본체가 천장 등에 고정된 상태(천장 걸이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는, 장치 본체(프로젝터 본체(2))와 이것을 원격 조작하기 위한 리모컨(50)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프로젝터 본체(2)는 케이스체(3)로 둘러싸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3)의 전면(3f)에는, 외부의 스크린 등에 화상(화상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13)가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젝터(1)에는 렌즈 시프트 기구(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있어, 이 렌즈 시프트 기구가 투사 렌즈(13)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의 투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체(3)의 상면(3t)에는, 유저에 의해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조작 접수부(2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3)의 저면(3b)에는, 전방측의 대략 중앙에 전방 다리부(4a), 후방측의 좌우 양측에 후방 다리부(4b, 4c)를 각각 구비하고 있고, 케이스체(3)의 상면(3t)을 상방을 향한 기본 자세로 프로젝터 본체(2)를 책상 위 등에 올려놓는 경우에는, 프로젝터 본체(2)는 이들 3개의 다리부(전방 다리부(4a) 및 후방 다리부(4b, 4c))로 지지된다(도 2 참조). 또한, 케이스체(3)의 저면(3b)에는, 4개의 나사 구멍(5)이 형성되어 있어, 프로젝터 본체(2)를 천장 등에 고정할 때에 이용되는 천장 걸이 쇠장식(6)(도 3 참조)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천장 걸이 쇠장식(6)을 이용함으로써, 케이스체(3)를 상하 반전시킨 자세(천장 걸이 자세)로 프로젝터 본체(2)를 천장 등에 고정할 수 있다(도 3 참조).
케이스체(3)의 배면(3r)에는, 화상 신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단자를 구비한 화상 신호 입력부(30)나, 상용(商用) 전원을 입력하기 위한 전원 단자(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리모컨(50)으로부터 송신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22)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프로젝터(1)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사용하여, 프로젝터(1)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로젝터(1)는, 화상 투사부(10), 제어부(20), 조작 접수부(21), 신호 수신부(22), 광원 제어부(23), 설치 자세 기억부로서의 설치 모드 기억부(24), 전회(前回) 설치 모드 기억부(25), 방향 변환 기억부로서의 방향 반전 기억부(26), 렌즈 시프트 제어부(27), 화상 신호 입력부(30), 화상 처리부(31), OSD 처리부(32), 화상 반전부(33), 리모컨(50) 등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 투사부(10)는, 초고압 수은 램프나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 등의 방전형 광원이나, LED(Light Emitting Diode)나 레이저 등의 고체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광원(11)과, 광변조 장치로서의 액정 라이트 밸브(liquid crystal light valve; 12)와, 투사 렌즈(13)와, 액정 라이트 밸브(12)를 구동하는 라이트 밸브 구동부(14)와 렌즈 시프트 기구(15)를 구비하고 있다.
액정 라이트 밸브(12)는, 한 쌍의 투명 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封入)된 투과형 액정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된다. 라이트 밸브 구동부(14)의 구동에 의해, 액정 라이트 밸브(12)의 각 화소에 화상 신호에 따른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각 화소는, 화상 신호에 따른 광투과율로 광원광(光源光)을 투과시킨다.
광원(11)으로부터 사출된 빛은, 이 액정 라이트 밸브(12)를 투과함으로써 변조되고, 변조 후의 빛이 투사 렌즈(13)에 의해 투사됨으로써, 스크린(SC) 등에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이 표시된다.
렌즈 시프트 기구(15)는, 투사 렌즈(13)를 이동시키는 모터 및 기어 등에 의해 구성되고, 렌즈 시프트 제어부(27)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투사 렌즈(13)를 이동시켜, 이에 따라 투사 화상의 투사 위치를 변경한다.
제어부(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각종 데이터의 일시 기억 등에 이용되는 RAM 및, 마스크 ROM이나 플래시 메모리, Fe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컴퓨터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제어부(20)는, CPU가 불휘발성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프로젝터(1)의 동작을 통괄 제어한다.
조작 접수부(21)는 프로젝터(1)에 대하여 각종 지시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 접수부(21)가 구비하는 키로서는,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기 위한 「전원 키」나, 입력된 화상 신호를 전환하기 위한 「입력 전환 키」,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의 표시/비표시를 전환하는 「메뉴 키」, 메뉴 화면에 있어서의 커서의 이동 등에 이용되는 「커서 키」, 각종 설정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키」등이 있다. 유저가 조작 접수부(21)를 조작하면, 조작 접수부(21)는, 유저의 조작 내용에 따른 제어 정보를 제어부(20)에 출력한다.
리모컨(50)은 유저의 조작 내용에 따른 적외선 등의 조작 신호를 발하여, 프로젝터 본체(2)에 대하여 각종 지시를 행한다. 도 5는 리모컨(50)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모컨(50)은 케이스체(50a)로 덮인 구성을 갖고 있고, 그 표면에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다. 리모컨(50)이 구비하는 키로서는,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기 위한 「전원 키(51)」나, 입력된 화상 신호를 전환하기 위한 「입력 전환 키(52)」,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의 표시/비표시를 전환하는 「메뉴 키(53)」, 메뉴 화면에 있어서의 커서의 이동 등에 이용되는 「커서 키(54)」, 렌즈 시프트 기능을 개시하기 위한 「렌즈 시프트 개시 키(55)」, 렌즈 시프트 기능에 있어서 투사 렌즈(13)를 이동시키기 위한 「렌즈 이동 키(56)」, 각종 설정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키(57)」등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서 키(54)가 렌즈 이동 키(56)을 겸하고 있다. 또한, 렌즈 이동 키(56)는,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상방향 키」,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하방향 키」,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우방향 키」 및,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방향 키」를 갖는다. 리모컨(50)이 발한 조작 신호는, 프로젝터 본체(2)의 신호 수신부(22)가 수신한다.
도 4로 되돌아와, 신호 수신부(22)는, 적외선 수신 모듈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리모컨(50)으로부터 발해진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정보로서 제어부(20)에 출력한다.
광원 제어부(23)는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광원(11)에 대한 전력의 공급과 정지를 제어하여, 광원(11)의 점등 및 소등을 전환한다.
설치 모드 기억부(24)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프로젝터 본체(2)의 설치 자세 정보를 설치 모드로서 기억한다. 설치 모드로서는, 기본 자세로 설치한 「정치 자세」(도 2 참조), 또는, 상하를 반전시킨 「천장 걸이 자세」(도 3 참조)중 어느 쪽이 기억된다. 설치 모드 기억부(24)에 대한 기입 및 읽어내기는 제어부(20)가 행한다. 설치 모드 기억부(24)에 기억된 설치 모드에 기초하여, 제어부(20)는, 화상 반전부(33)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 반전의 지시를 행한다.
여기에서, 설치 모드는, 유저가 조작 접수부(21)를 조작하여 메뉴 화면으로부터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설치 모드 설정 메뉴 화면의 설명도이다.
설치 모드 설정 메뉴 화면(M1)은, 프로젝터 본체(2)의 설치 모드를 유저가 설정하게 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모드 설정 메뉴 화면(M1)은, OSD(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표시로서, 제어부(20)가 후술하는 OSD 처리부(32)에 지시를 행하여 표시하게 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 모드 설정 메뉴 화면(M1)의 최상부에는, 설치 모드 설정 메뉴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설치 모드 설정」의 문자열이 표시되어 있다. 그 아래에는, 설치 모드의 설정을 재촉하는 「프로젝터의 설치 자세를 설정해 주세요」의 문자열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면 중앙에는, 「정치」와「천장 걸이」의 선택지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화면 하부에는, 키 입력 순서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조작 접수부(21) 또는 리모컨(50)을 조작하여, 화면상에서 「정치」또는「천장 걸이」를 선택하여, 결정 키에 의해 결정하면, 제어부(20)는 선택된 설치 모드를 설치 모드 기억부(24)에 기입하여 기억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모드의 디폴트(default)는 「정치」로 한다.
도 4로 되돌아와, 전회 설치 모드 기억부(25)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렌즈 시프트 개시 키(55)가 눌러졌을 때에 설치 모드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설치 모드를 기억한다. 그리고, 다음번, 렌즈 시프트 개시 키(55)가 눌러졌을 때에, 제어부(20)가, 전회 설치 모드 기억부(25)와 설치 모드 기억부(24)를 비교하여, 설치 모드에 변화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단한다. 전회 설치 모드 기억부(25)에 대한 기입 및 읽어내기는 제어부(20)가 행한다.
방향 반전 기억부(26)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방향 변환 정보로서 방향 반전 정보를 기억한다. 방향 반전 정보란, 리모컨(50)으로부터 수신한 렌즈 이동 키(56)의 조작 신호의 이동 방향을, 반전할지 말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방향 반전 기억부(26)에 대한 기입 및 읽어내기는 제어부(20)가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방향 반전 기억부(26)에 기억된 방향 반전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 렌즈(13)의 이동 방향을 변환하여, 렌즈 시프트 제어부(27)에 렌즈 시프트의 지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한다」로 되어 있던 경우에는, 렌즈 이동 키(56)의 조작 신호의 이동 방향이 「상방향」이면 「하방향」으로 변환하고, 「하방향」이면 「상방향」으로 변환한다. 또한, 「우방향」이면 「좌방향」으로 변환하고, 「좌방향」이면 「우방향」으로 변환한다.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하지 않는다」로 되어 있던 경우에는, 이동 방향의 반전은 행하지 않는다.
방향 반전 정보는, 유저가 조작 접수부(21)를 조작하여 메뉴 화면으로부터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 7은 리모컨의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의 설명도이다.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은, 방향 반전 정보를 유저가 설정하게 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은, OSD 표시로서, 제어부(20)가 OSD 처리부(32)에 지시를 행하여 표시하게 한다. 이때의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이 방향 변환 메뉴 화면에 상당하고, OSD 처리부(32)가 메뉴 표시부에 상당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의 최상부에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리모컨의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의 문자열이 표시되어 있다. 그 아래에는, 방향 반전 정보의 설정을 재촉하는 「리모컨에 의한 렌즈 시프트를 행할 때, 이동 방향의 반전을 행하겠습니까?」의 문자열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면 중앙에는, 「반전하지 않는다(정치용)」와「반전한다(천장 걸이용)」의 선택지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화면 하부에는, 키 입력 순서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조작 접수부(21) 또는 리모컨(50)을 조작하여, 화면상에서 「반전하지 않는다(정치용)」또는 「반전한다(천장 걸이용)」를 선택하고, 결정 키에 의해 결정하면, 제어부(20)는 선택된 방향 반전 정보를 방향 반전 기억부(26)에 기입하여 기억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향 반전 정보의 디폴트는 「반전하지 않는다(정치용)」로 한다.
도 4로 되돌아와, 렌즈 시프트 제어부(27)는, 제어부(2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렌즈 시프트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의 렌즈 시프트 기구(15)에 대한 투사 렌즈(13)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의 지시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시프트 제어부(27) 및 렌즈 시프트 기구(15)가 렌즈 위치 조정부에 상당한다.
화상 신호 입력부(30)에는, 퍼스널 컴퓨터나 비디오 재생 장치, 메모리 카드, USB 스토리지, 디지털 카메라 등, 외부의 화상 공급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케이블을 통한 접속을 행하기 위한 각종의 화상 입력 단자가 구비되어 있어,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화상 신호가 입력된다. 화상 신호 입력부(30)는,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부(31)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화상 처리부(31)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31)는,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화상 신호 입력부(3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밝기, 콘트라스트(contrast), 샤프니스(sharpness), 색조 등의 조정이나, 감마 보정 등의 각종 화질 조정을 행한다. 화상 처리부(31)는, 이러한 조정 및 처리를 행한 화상 데이터를 OSD 처리부(32)에 출력한다.
OSD 처리부(32)는,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메뉴 화면이나 메세지 화면 등의 OSD 화상을, 화상 처리부(3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는 처리를 행한다. OSD처리부(32)는, 도시하지 않은 OSD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어, OSD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도형이나 폰트 등을 나타내는 OSD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20)가 OSD 화상의 중첩을 지시하면, OSD 처리부(32)는 필요한 OSD 화상 데이터를 OSD 메모리로부터 읽어내어, 입력 화상의 소정의 위치에 OSD 화상이 중첩되도록, 화상 처리부(3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이 OSD 화상 데이터를 합성한다. OSD 화상 데이터가 합성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반전부(33)에 출력된다. 또한, 제어부(20)로부터 OSD 화상을 중첩하라는 취지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OSD 처리부(32)는, 화상 처리부(3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화상 반전부(33)에 출력한다.
화상 반전부(33)는,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부(3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180도 회전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180도 회전」을 「반전」이라고 부른다. 제어부(20)는, 설치 모드 기억부(24)에 기억된 설치 모드가 「천장 걸이 자세」의 설정으로 되어 있으면, 화상 반전부(33)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반전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또한, 설치 모드가 「정치 자세」의 설정으로 되어 있으면, 화상 반전부(33)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반전하지 않도록 지시를 내린다. 프로젝터 본체(2)가 천장 걸이 자세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화상 처리부(31)가 화상 데이터를 반전시키면, 스크린(SC)에 투사되는 화상은 상하 방향 및 좌우방향이 정상(正常)으로 표시된다. 화상 반전부(33)에서 반전된 화상 데이터는, 라이트 밸브 구동부(14)에 출력된다. 또한, 제어부(2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반전시키라는 취지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화상 반전부(33)는 OSD 처리부(3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라이트 밸브 구동부(14)에 출력한다.
라이트 밸브 구동부(14)가, 화상 반전부(3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 액정 라이트 밸브(12)를 구동하면, 액정 라이트 밸브(12)는 광원(11)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상광으로 변조하고, 이 화상광이 투사 렌즈(13)로부터 투사된다.
다음으로, 프로젝터 본체(2)가 리모컨(50)으로부터 위치 조정 개시 신호로서의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란, 리모컨(50)의 렌즈 시프트 개시 키(55)가 눌러졌을 때에 송신되는 조작 신호이다.
도 8은 프로젝터(1)가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리모컨(50)으로부터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스텝 S101), 제어부(20)는, 설치 모드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현재의 설치 모드와, 전회 설치 모드 기억부(25)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설치 모드와 비교하여, 상이하게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02).
현재의 설치 모드가 전회의 설치 모드와 상이해진 경우(스텝 S102:YES), 제어부(20)는 현재의 설치 모드의 설정값을 전회 설치 모드 기억부(25)에 기억시킨다(스텝 S103). 그리고, 제어부(20)는 OSD 처리부(32)에 지시를 내려,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게 한다(스텝 S104). 제어부(20)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렌즈 시프트 방향의 설정이 행해지는 것을 기다린다(스텝 S105). 여기에서, 렌즈 시프트 방향의 설정이 행해지면, 제어부(20)는 설정된 값을 방향 반전 정보로서 방향 반전 기억부(26)에 기억한다.
렌즈 시프트 방향의 설정이 이루어지면(스텝 S105:YES), 제어부(20)는, 프로젝터(1)를, 렌즈 이동 키(56)를 접수하여 투사 렌즈(13)를 이동시키는 렌즈 시프트 상태로 이행시킨다(스텝 S106). 그리고, 프로젝터(1)가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를 종료한다.
현재의 설치 모드가 전회의 설치 모드와 일치하고 있던 경우(스텝 S102:NO), 스텝 S106으로 이행하여, 프로젝터(1)를 렌즈 시프트 상태로 이행시킨다. 그리고, 프로젝터(1)가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1)는, 현재의 설치 모드가 전회의 설치 모드와 상이해진 경우에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여, 유저가 렌즈 시프트의 방향 반전 정보를 변경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젝터(1)가, 렌즈 시프트 상태에 있어서, 리모컨(50)으로부터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프로젝터(1)가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리모컨(50)으로부터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하면(스텝 S201), 제어부(20)는,방향 반전 기억부(26)에 기억되어 있는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한다」 설정으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202).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한다」 설정으로 되어 있던 경우(스텝 S202: YES), 제어부(20)는 렌즈 이동 신호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킨다(스텝 S203). 이때의 제어부(20)가 이동 방향 변환부에 상당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대해서 렌즈 시프트 제어부(27)에 지시를 내려, 렌즈 시프트 기구(15)를 제어하여 투사 렌즈(13)를 이동시킨다(스텝 S204). 그리고, 프로젝터(1)가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를 종료한다.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하지 않는다」 설정으로 되어 있던 경우(스텝 S202: NO), 렌즈 이동 신호의 이동 방향의 반전은 행하지 않고, 스텝 S204로 이행한다. 그리고,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대해서 렌즈 시프트 제어부(27)에 지시를 내려, 투사 렌즈(13)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프로젝터(1)가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1)는,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한다」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하면, 투사 렌즈(13)의 렌즈 시프트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프로젝터 본체(2)는, 리모컨(50)으로부터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현재의 설치 모드가 전회의 설치 모드와 상이해진 경우에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한다. 즉, 설치 모드에 변화가 있던 경우에는, 유저가 프로젝터 본체(2)를 반전시켜 설치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렌즈 시프트의 이동 방향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스스로 의도하여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렌즈 시프트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는 설정(즉 방향 반전 정보의 변경)을 잊고 있는 유저나, 모르는 유저라도, 렌즈 시프트 개시시에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이 표시되기 때문에, 렌즈 시프트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는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편리성이 향상된다.
(2) 프로젝터(1)에서는, 유저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에 의해, 투사 렌즈(13)의 이동 방향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 시프트를 행했을 때에, 리모컨(50)으로부터의 렌즈 이동 신호에 대하여 투사 렌즈(13)가 이동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3) 프로젝터 본체(2)는, 리모컨(50)으로부터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현재의 설치 모드가 전회의 설치 모드와 일치하고 있던 경우에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지 않는다. 즉, 설치 모드에 변화가 없으면,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렌즈 시프트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0)는, 프로젝터의 설치 모드 및 방향 반전 정보에 기초하여,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0)의 외관의 장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와 동일하다. 따라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와 동일하다. 따라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블록도에 있어서의 전회 설치 모드 기억부(25)는 없어도 좋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프로젝터 본체(2)가 리모컨(50)으로부터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00)가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리모컨(50)으로부터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스텝 S301), 제어부(20)는 설치 모드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설치 모드가 「정치 자세」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302). 설치 모드가 「정치 자세」로 되어 있으면(스텝 S302: YES), 제어부(20)는 방향 반전 기억부(26)에 기억되어 있는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한다」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303).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한다」로 되어 있던 경우(스텝 S303: YES), 제어부(20)는 OSD 처리부(32)에 지시를 내려,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시킨다(스텝 S304). 그리고, 제어부(20)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렌즈 시프트 방향의 설정이 행해지는 것을 기다린다(스텝 S305). 여기에서, 렌즈 시프트 방향의 설정이 행해지면, 제어부(20)는 설정된 값을 방향 반전 정보로서 방향 반전 기억부(26)에 기억한다.
렌즈 시프트 방향의 설정이 이루어지면(스텝 S305: YES), 제어부(20)는, 프로젝터(100)를, 렌즈 이동 키(56)를 접수하여 투사 렌즈(13)를 이동시키는 렌즈 시프트 상태로 이행시킨다(스텝 S306). 그리고, 프로젝터(100)가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를 종료한다.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한다」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03: NO), 스텝 S306으로 이행하여, 프로젝터(100)를 렌즈 시프트 상태로 이행시킨다. 그리고, 프로젝터(100)가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를 종료한다.
설치 모드가 「정치 자세」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천장 걸이 자세」로 되어 있는 경우(스텝 S302: NO), 제어부(20)는 방향 반전 기억부(26)에 기억되어 있는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하지 않는다」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307).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하지 않는다」로 되어 있던 경우(스텝 S307: YES), 스텝 S304로 이행하여,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여, 유저에게 렌즈 시프트 방향의 설정을 행하게 하고, 렌즈 시프트 상태로 천이(遷移)한다. 그리고, 프로젝터(100)가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를 종료한다.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하지 않는다」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반전한다」로 되어 있는 경우(스텝 S307: NO), 스텝 S306으로 이행하여, 렌즈 시프트 상태로 천이한다. 그리고, 프로젝터(100)가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100)는, 설치 모드가 「정치 자세」이고 그리고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한다」로 되어 있는 경우 및, 설치 모드가 「천장 걸이 자세」이고 그리고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하지 않는다」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여, 유저가 렌즈 시프트의 방향 반전 정보를 변경하게 할 수 있다.
프로젝터(100)가, 렌즈 시프트 상태에 있어서, 리모컨(50)으로부터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와 동일하다. 따라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효과(2)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 밖에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프로젝터 본체(2)는 리모컨(50)으로부터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설치 모드가 「정치 자세」이고 그리고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한다」로 되어 있는 경우 또는, 설치 모드가 「천장 걸이 자세」이고 그리고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하지 않는다」경우에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한다. 즉, 프로젝터 본체(2)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 대하여, 렌즈 시프트의 이동 방향의 설정이 반대로 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렌즈 시프트의 이동 방향의 변경을 유저에게 재촉하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스스로 의도하여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렌즈 시프트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는 설정(즉 방향 반전 정보의 변경)을 잊고 있는 유저나, 모르는 유저라도, 렌즈 시프트 개시시에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이 표시되기 때문에, 렌즈 시프트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키는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2) 프로젝터 본체(2)는 리모컨(50)으로부터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설치 모드가 「정치 자세」이고 그리고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하지 않는다」로 되어 있는 경우 또는, 설치 모드가 「천장 걸이 자세」이고 그리고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한다」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조건의 경우에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렌즈 시프트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나 개량 등을 더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를 이하에 서술한다.
(변형예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젝터(1, 100)는 반사형의 스크린(SC)에 정면으로부터 투사를 행하는(이후, 「프런트 투사」(front projection)라고 부름) 것으로 했지만, 투과형의 스크린에 배면으로부터 투사를 행하는(이후, 「리어 투사」(rear projection)라고 부름) 것도 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 경우, 설치 모드 기억부(24)는, 프로젝터 본체(2)의 설치 모드로서, 「프런트 투사·정치 자세」, 「프런트 투사·천장 걸이 자세」, 「리어 투사·정치 자세」 및, 「리어 투사·천장 걸이 자세」 중 어느 쪽을 기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의 프로젝터(1)에서는, 현재의 설치 모드가 전회의 설치 모드와 상이해진 경우에는,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프런트 투사」 및 「리어 투사」에 관계없이, 「정치 자세」와「천장 걸이 자세」가 변경된 경우에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렌즈 시프트 개시 조작시에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이 표시되는 장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프로젝터(100)에서는, 설치 모드가 「프런트 투사·정치 자세」 또는 「리어 투사·정치 자세」이고, 그리고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한다」로 되어 있는 경우 또는, 설치 모드가「프런트 투사·천장 걸이 자세」 또는 「리어 투사·천장 걸이 자세」이고, 그리고 방향 반전 정보가 「반전하지 않는다」로 되어 있는 경우에, 리모컨 렌즈 시프트 방향 설정 메뉴 화면(M2)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리모컨(50)에는 렌즈 시프트 개시 키(55)와 렌즈 이동 키(56)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렌즈 이동 키(56)에 렌즈 시프트 개시 키(55)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리모컨(50)의 렌즈 이동 키(56)의 누름에 의해, 렌즈 시프트 개시의 정보를 포함한 렌즈 이동 신호가 프로젝터 본체(2)에 송신된다. 프로젝터 본체(2)는, 수신한 렌즈 이동 신호에 의해, 렌즈 시프트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도 실행한다. 이렇게 하면, 리모컨(50)에 렌즈 시프트 개시 키(55)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리모컨(5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렌즈 이동 키(56)는 커서 키(54)와 겸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리모컨(50)에 렌즈 시프트 개시 키(55)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프로젝터(1, 100)의 OSD 처리부(32) 등에 의해 렌즈 시프트 개시용의 메뉴 화면을 표시하게 하여, 유저는, 그 메뉴 화면에 의해 렌즈 시프트를 개시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리모컨(50)에 렌즈 시프트 개시 키(55)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리모컨(5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변형예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리모컨(50)과 프로젝터 본체(2)와의 통신 수단은 적외선 통신에 의한 통신 수단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용 전파를 이용하는 통신 수단으로 해도 좋다.
(변형예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변조 장치로서, 투과형의 액정 라이트 밸브(12)를 이용하고 있지만, 반사형의 액정 라이트 밸브 등, 반사형의 광변조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입사한 빛의 사출 방향을 화소로서의 마이크로 미러마다 제어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사출한 빛을 변조하는 미소 미러 어레이 디바이스(micromirror array device)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1, 100 : 프로젝터
2 : 프로젝터 본체
3 : 케이스체
3b : 저면
3f : 전면
3r : 배면
3t : 상면
4a : 전방 다리부
4b : 후방 다리부
5 : 나사 구멍
6 : 천장 걸이 쇠장식
7 : 전원 단자
10 : 화상 투사부
11 : 광원
12 : 액정 라이트 밸브
13 : 투사 렌즈
14 : 라이트 밸브 구동부
15 : 렌즈 시프트 기구
20 : 제어부
21 : 조작 접수부
22 : 신호 수신부
23 : 광원 제어부
24 : 설치 모드 기억부
25 : 전회 설치 모드 기억부
26 : 방향 반전 기억부
27 : 렌즈 시프트 제어부
30 : 화상 신호 입력부
31 : 화상 처리부
32 : OSD 처리부
33 : 화상 반전부
50 : 리모컨
51 : 전원 키
52 : 입력 전환 키
53 : 메뉴 키
54 : 커서 키
55 : 렌즈 시프트 개시 키
56 : 렌즈 이동 키
57 : 결정 키

Claims (5)

  1. 리모컨에 의한 원격 조작이 가능한 프로젝터로서,
    투사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의 투사 위치를 조정하는 렌즈 위치 조정부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렌즈 위치 조정부가 위치 조정을 개시하게 하는 위치 조정 개시 신호와, 이동 방향을 지정하여 상기 투사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렌즈 이동 신호에 기초하는, 상기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방향 변환 정보를 기억하는 방향 변환 기억부와, 
    상기 방향 변환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방향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을 변환하는 이동 방향 변환부와, 
    상기 방향 변환 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메뉴 표시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가 상기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상기 메뉴 표시부가 표시하게 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환 기억부가 기억하는, 상기 소정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상기 방향 변환 정보는, 상기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을 반전시킬지 말지 중 어느쪽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프로젝터 본체의 설치 자세 정보로서, 소정의 기본 자세로 설치한 정치(正置) 자세, 또는 상하를 반전시킨 천장 걸이 자세 중 어느 쪽이 기억되는 설치 자세 기억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전회(前回), 상기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상기 설치 자세 기억부의 상기 설치 자세 정보와, 현재의 상기 설치 자세 기억부의 상기 설치 자세 정보가 상이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2항에 있어서, 
    프로젝터 본체의 설치 자세 정보로서, 소정의 기본 자세로 설치한 정치 자세, 또는 상하를 반전시킨 천장 걸이 자세 중 어느 쪽이 기억되는 설치 자세 기억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설치 자세 기억부의 상기 설치 자세 정보가 정치 자세이고, 그리고 상기 방향 변환 기억부의 상기 방향 변환 정보가 반전시키는 설정의 경우인 것, 또는,
    상기 설치 자세 기억부의 상기 설치 자세 정보가 천장 걸이 자세이고, 그리고 상기 방향 변환 기억부의 상기 방향 변환 정보가 반전시키지 않는 설정의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리모컨에 의한 원격 조작이 가능하고, 투사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의 투사 위치를 조정하는 렌즈 위치 조정부와,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렌즈 위치 조정부가 위치 조정을 개시하게 하는 위치 조정 개시 신호와, 이동 방향을 지정하여 상기 투사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이동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렌즈 이동 신호에 기초하는, 상기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방향 변환 정보를 기억하는 방향 변환 기억부와, 상기 방향 변환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방향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 렌즈의 이동 방향을 변환하는 이동 방향 변환부와, 상기 방향 변환 정보를 입력하게 하는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메뉴 표시부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상기 신호 수신부에 의해, 상기 위치 조정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스텝과,
    상기 신호 수신 스텝에 의해 상기 위치 조정 개시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스텝과,
    상기 판단 스텝에 의해 상기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방향 변환 메뉴 화면을 상기 메뉴 표시부가 표시하게 하는 제어 스텝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KR1020110017052A 2010-03-02 2011-02-25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KR101164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4998A JP5504976B2 (ja) 2010-03-02 2010-03-02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JP-P-2010-044998 2010-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642A KR20110099642A (ko) 2011-09-08
KR101164067B1 true KR101164067B1 (ko) 2012-07-13

Family

ID=4453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052A KR101164067B1 (ko) 2010-03-02 2011-02-25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40378B2 (ko)
JP (1) JP5504976B2 (ko)
KR (1) KR101164067B1 (ko)
CN (1) CN102193289B (ko)
TW (1) TWI4252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8398A (ja) * 2011-03-22 2012-10-18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CN103091947A (zh) * 2011-11-02 2013-05-08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及其操作方法
WO2013132658A1 (ja) * 2012-03-09 2013-09-12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TWI443438B (zh) * 2012-05-04 2014-07-01 Young Optics Inc 投影系統
JP6094109B2 (ja) * 2012-09-18 2017-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6180117B2 (ja) * 2013-01-16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KR20150058660A (ko) * 2013-11-19 2015-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04375646B (zh) * 2014-11-24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穿戴式电子设备
CN106324954B (zh) * 2015-07-06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JP6631181B2 (ja) * 2015-11-13 2020-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投射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投射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062584B1 (ja) * 2016-01-26 2017-01-18 Ckd株式会社 Ptp包装機
JP6437056B1 (ja) 2017-07-21 2018-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射装置
US10349025B2 (en) * 2017-07-27 2019-07-09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projector
JP2019174601A (ja) * 2018-03-28 2019-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JP2019035979A (ja) * 2018-11-12 2019-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射装置
CN112328195B (zh) * 2020-10-10 2023-10-24 当趣网络科技(杭州)有限公司 投屏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4578A (en) * 1988-07-21 1990-07-31 Telex Communications Color graphic imager utilizing a liquid crystal display
JPH10301200A (ja) * 1997-04-23 1998-11-13 Hitachi Ltd 車載用液晶プロジェクタ
JP3646580B2 (ja) * 1999-08-31 2005-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並びに、投写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表示方法
WO2001048551A1 (en) * 1999-12-24 2001-07-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jector
JP3870791B2 (ja) * 2002-01-23 2007-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3755479B2 (ja) 2002-04-01 2006-03-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投射装置
TWM247863U (en) * 2003-08-01 2004-10-21 Meiloon Ind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projector
JP4281593B2 (ja) * 2004-03-24 2009-06-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の制御
JP2007225859A (ja) * 2006-02-23 2007-09-06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08275709A (ja) * 2007-04-26 2008-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投影型映像表示装置
JP2009151064A (ja) * 2007-12-20 2009-07-09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09168977A (ja) * 2008-01-15 2009-07-30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09182435A (ja) * 2008-01-29 2009-08-13 Seiko Epson Corp 投影システム、リモコン、プロジェクタ、投影システムの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98640A (ja) * 2008-02-20 2009-09-03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10060806A (ja) 2008-09-03 2010-03-18 Sony Corp 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80407A (ja) 2011-09-15
KR20110099642A (ko) 2011-09-08
US8540378B2 (en) 2013-09-24
TWI425296B (zh) 2014-02-01
CN102193289A (zh) 2011-09-21
CN102193289B (zh) 2014-06-25
JP5504976B2 (ja) 2014-05-28
TW201144923A (en) 2011-12-16
US20110216290A1 (en) 201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067B1 (ko)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US8641204B2 (en) Projector and method for registration adjustment
JP5644600B2 (ja) プロジェクター
CN103034030A (zh) 投影仪以及投影仪的控制方法
US8894220B2 (en)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and image quality adjustment and focus adjustment control methods for the same
JP2011248078A (ja) 投影システム
JP2011090038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4114669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ジェクタ
JP2011065025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09237021A (ja) プロジェクタ
JPWO2015133105A1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022648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ーおよび遠隔制御システム
US1084712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image with superimposed mask
JP6853647B2 (ja) 投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08058574A (ja)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1081994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rogram
JP2008098693A (ja) プロジェクタ、そ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9198543A (ja) プロジェクタ
JP2012242487A (ja) プロジェクタ
JP2010243870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4018186A (ja) 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ー
JP2009118036A (ja) プロジェク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41460A (ja) プロジェクタ
JP2023047474A (ja) 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JP5386787B2 (ja) 投影装置、投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