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977B1 - 코드 펠릿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코드 펠릿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977B1
KR101163977B1 KR20067025804A KR20067025804A KR101163977B1 KR 101163977 B1 KR101163977 B1 KR 101163977B1 KR 20067025804 A KR20067025804 A KR 20067025804A KR 20067025804 A KR20067025804 A KR 20067025804A KR 101163977 B1 KR101163977 B1 KR 10116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shaped
compression
long continuous
foc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702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568A (ko
Inventor
마사히로 오카모토
마사토시 나카가와
가즈노리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야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야스
Publication of KR2007002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2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for shaping parts, e.g. multilayered parts with at least one layer containing regenerated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7Cables, i.e. two or more filaments combined together, e.g. ropes, cords, strings, ya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1Filamentary material, i.e. comprised of a single element, e.g. filaments, strands, threads, fib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12Indefinite or running length work
    • Y10T156/1737Discontinuous, spaced area, and/or patterned pr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12Indefinite or running length work
    • Y10T156/1741Progressive continuous bonding press [e.g., roll cou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품질 열화가 없고, 겉보기 비중이 높은 펠릿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하기 위해,
(a) 하나 또는 복수의 띠형상 장척 연속재(R) 및/또는 복수의 실형상 장척 연속재(R)를 가는 폭으로 집속시켜 코드 형상 집속재(R')를 형성하는 집속부(16)와, (b)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점 압축하여 코드(S)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압축용 롤러를 갖는 압축부(22)와, (c) 상기 집속부(16) 또는 상기 압축부(2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코드 형상 집속재(R')를 꼬아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형성하는 회전부(14), 및 상기 압축부(22)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점 압축되어 형성된 코드(S)를 소정 간격으로 펠릿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부(10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의 제조 장치(100)를 제공한다.
장척 연속재, 집속부,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코드, 압축부, 코드 형상 집속재, 회전부, 펠릿, 절단부

Description

코드 펠릿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Cord pellet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rd pellet}
본 발명은 띠형상(band-like) 또는 실형상(yarn-like)의 장척 연속재를 이용한 코드 펠릿 및 상기 코드 펠릿의 제조 방법 및 그것들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의식 향상이나 비용 삭감 등의 관점에서, 수지 제품의 성형 현장에서는 성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불량품(예를 들면, 시운전시의 적정한 규격 제품을 성형할 수 있기까지의 생산 준비 단계에서의 성형품이나, 성형시의 트러블에 의한 불량품) 등을 원료로서 재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진다.
이 일례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성형 불량품(또는 손실 원료)인 장척의 수지재로부터 재생 원료로서의 수지 펠릿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49-9560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종래 기술(특허문헌 1)에서는 테이프형상의 수지재를 코드 형상(cord-like)으로 한 것을 전극롤로써 가열 용융함으로써 그 형상을 유지시키고, 그 후, 상기 코드 형상의 수지재를 절단기로써 소정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수지 펠릿을 성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수지재의 가열 용융시에 열을 지나치게 가함으로써 품질이 열화(수지재의 변질 또는 타서 눌어붙음의 발생 등)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테이프형상의 수지재를 코드 형상으로 할 때는 공기 빼기 등의 처리를 특별하게 행하지 않으므로, 가열 용융 후 수지 내부에는 다량의 공기가 포함되어 버린다. 즉, 얻어지는 수지 펠릿은 공기를 함유한 분량만큼 중실(속이 꽉 찬)의 버진(virgin) 펠릿과 비교하여 그 겉보기 비중이 작게 된다. 그 때문에, 성형기의 호퍼에 재생 수지 펠릿과 중실제의 버진 펠릿을 섞어 투입한 경우, 겉보기 비중이 작은 재생 수지 펠릿은 비중이 큰 중실체에 눌려서 들떠버리고, 버진 펠릿과 비교하여 성형기로 공급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나, 공기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혼련되어 있는 용융 수지의 공기의 함유량이 많아져서 재생 수지 펠릿을 원료로서 이용하는 경우 정확한 계량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품질 열화가 없고, 겉보기 비중이 높고 또한 균일한 펠릿과, 상기 펠릿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펠릿의 전단계로 또한 그 자체 체결력이 우수한 코드와, 상기 코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띠형상 장척 연속재(R)가 가는 폭으로 집속되는 동시에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twist paper-like)으로 꼬이고, 또한, 그 표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압흔(壓痕; Y)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S)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실형상 장척 연속재(R)가 1개로 집속되는 동시에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으로 꼬이고, 또한, 그 표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압흔(Y)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S)에 관한 것이다.
이들의 발명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띠형상 장척 연속재(R), 또는 복수의 실형상 장척 연속재(R)가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으로 꼬이기 때문에, 얻어진 코드(S)의 내부에는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코드(S)의 표면에는 압흔(Y)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S)를 구성하고 있는 층형의 장척 연속재(R)끼리 압착되어 코드(S)가 부풀거나 풀리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코드(S)를 묶을 때는 압흔(Y)이 미끄러짐 방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매듭이 풀리기 어렵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띠형상 장척 연속재(R) 또는 실형상 장척 연속재(R)가 폐기 처분품인」 경우에는, 폐기 처분품인 띠형상 또는 실형상 장척 연속재(R)를 코드(S)로 함으로써 새로운 용도가 생성되고, 또한, 폐기 처분한다고 해도 폐기 처분품인 장척 연속재(R)를 꼬아서 압축하고 있기 때문에 폐기 처분품 전체의 부피가 작아져서, 폐기 처분품 폐기시의 부피감소(減容) 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드(S)를 소정 길이로 펠릿 형상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P)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코드(S)를 절단함으로써 겉보기 비중이 큰 펠릿(P)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코드(S)의 꼬임 정도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다면, 이것을 절단하여 얻어지는 펠릿(P)의 겉보기 비중은 일정하고, 고품질의 재생 펠릿(P)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띠형상 장척 연속재(R)를 가는 폭으로 집속하는 동시에 이것을 꼬아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형성하고,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한 쌍의 압축용 롤러(50a, 50b)로써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S)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코드형 장척 연속재(R)를 1개에 집속하는 동시에 이것을 꼬아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형성하고,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한 쌍의 압축용 롤러(50a, 50b)로써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S)의 제조 방법이다.
이들의 발명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띠형상 장척 연속재(R)를 가는 폭으로 집속하거나, 또는, 복수의 실형상 장척 연속재(R)를 1개에 집속하는 동시에 이것을 꼬고 있기 때문에, 장척 연속재(R)의 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압출되어 얻어진 코드(S)의 내부에는 거의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이로써 얻어진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는 굵고 덩어리가 있는 1개의 코드재로서 구성되기 때문에, 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압축용 롤러(50a, 50b)로써 압축함으로써 압축비가 높은 매우 튼튼한 코드(S)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코드(S)의 외주면에는 압축용 롤러(50a, 50b)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형상에 따라서 압흔(Y)이 형성되게 되지만, 코드(S)를 구성하는 층형 장척 연속재(R)끼리가 이 압흔(Y)에 의해서 서로 압착되기 때문에, 코드(S)가 부풀거나 풀리는 일은 없다. 또한, 코드(S)의 표면에 형성된 압흔(Y)은 미끄러짐 방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코드(S)를 묶었을 때 매듭이 풀리기 어렵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코드(S)를 소정 길이로 펠릿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P)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코드(S)를 절단함으로써 겉보기 비중이 큰 펠릿(P)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코드(S)를 형성할 때, 그 꼬임 정도를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되도록 해 두면 펠릿(P)의 겉보기 비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꼬임 공정과 압축 공정에 의해서 얻어진 코드(S)를 절단하는 것만으로 펠릿(P)이 얻어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가열 공정을 필요로는 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열에 따른 펠릿(P)의 품질 열화가 생기는 일은 없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a)하나 또는 복수의 띠형상 장척 연속재(R 및/또는 복수의 실형상 장척 연속재(R)를 가는 폭으로 집속시켜 코드 형상 집속재(R')를 형성하는 집속부(16, 16')와, (b)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점 압축하여 코드(S)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압축용 롤러(50a, 50b)를 갖는 압축부(22, 22')와, (c)집속부(16, 16') 또는 압축부(22, 2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코드 형상 집속재(R')를 꼬아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형성하는 회전부(14, 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의 제조 장치(10A, 10B)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a)띠형상 장척 연속재(R) 및/또는 실형상 장척 연속재(R)를 통축(X)에 감아올린 하나 또는 복수의 장척 연속재 권상체(W)와, (b)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점 압축하여 코드(S)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압축용 롤러(50a, 50b)를 갖는 압축부(22')와, (c)장척 연속재 권상체(W) 또는 압축부(2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끌려나온 장척 연속재(R)를 꼬아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형성하는 회전부(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의 제조 장치(10C)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O에 기재된 발명은 「(a)하나 또는 복수의 띠형상 장척 연속재(R) 및/또는 복수의 실형상 장척 연속재(R)를 가는 폭으로 집속시켜 코드 형상 집속재(R')를 형성하는 집속부(16)와, (b)외주면이 코드 형상 집속재(R')와 접촉하도록 코드 형상 집속재(R')의 주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선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꼬임용 롤러(158)를 갖고, 각 꼬임용 롤러(158)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코드 형상 집속재(R')를 꼬아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형성하는 꼬임 형성부(152)와, (c)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점 압축하여 코드(S)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압축용 롤러(50a, 50b)를 갖는 압축부(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의 제조 장치(10D)에 관한 것이다.
이들의 발명에 있어서, 코드 형상 집속재(R')를 꼬면 층형으로 된 코드 형상 집속재(R') 사이에 존재하고 있던 공기가 외부로 밀려나온다. 그리고, 굵고 덩어리가 있는 1개의 띠재로서 구성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가 압축부(22, 22')에서 압축된다. 따라서, 압축비가 높고 매우 튼튼한 코드(S)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압축시에는 코드(S)의 외주면에 압흔(Y)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압흔(Y)이 코드(S)를 구성하고 있는 층형 장척 연속재(R)끼리를 압착한다. 따라서, 코드(S)가 부풀거나 풀리는 일은 없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한 바와 같이 「(a)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통축(X)에 감아올린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W')를 보유하는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 보유부(190)」와, 「(b)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W')로부터 끌려나온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점 압축하여 코드(S)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압축용 롤러(50a, 50b)를 갖는 압축부(22')」에서 코드의 제조 장치(10E)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튼튼한 상부의 코드(S)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a)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드의 제조 장치(10A 내지 10E)와, (b)각 코드의 제조 장치(10A 내지 10E)를 구성하고 있는 압축부(22, 22')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점 압축되어 형성된 코드(S)를 소정 간격으로 펠릿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부(102, 2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의 제조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 내부에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고, 또한, 압축비가 높은 코드(S)를 절단함으로써, 겉보기 밀도가 큰 펠릿(P)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코드 형상 집속재(R')의 꼬임 정도를 일정하게 하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의 굵기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펠릿(P)의 겉보기 비중의 값이 균일하게 된다.
또한, 펠릿(P)의 외주면에는 압흔(Y)이 형성되고, 이 압흔(Y)이 펠릿(P)을 구성하고 있는 층형의 장척 연속재(R)끼리를 압착할 수 있다. 따라서, 펠릿(P)이 부풀거나 풀리는 일은 없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a)하나 또는 복수의 띠형상 장척 연속재(R) 및/또는 복수의 실형상 장척 연속재(R)를 가는 폭으로 집속시켜 코드 형상 집속재(R')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이송 방향을 도중에서 반전시킨 후 압축부(220)로 가이드하는 회전 프레임(218)과, (b)회전 프레임(218)을, 그 회전축이 코드 형상 집속재(R')의 이송 방향과 대략 병행(竝行)이 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코드 형상 집속재(R')를 꼬아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형성하는 회전부(204)와, (c)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점 압축하여 코드(S)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압축용 롤러(50a, 50b)를 갖는 압축부(220)와, (d)압축부(220)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점 압축되어 형성된 코드(S)를 소정 간격으로 펠릿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부(2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의 제조 장치(2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그 내부에 공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고, 또한, 압축비가 높은 코드(S)를 절단함으로써, 겉보기 밀도가 큰 펠릿(P)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드 형상 집속재(R')의 이송 방향을 도중에서 반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회전 프레임(218)이 1회전하면 코드 형상 집속재(R')는 2회 꼬이게 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6 및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압축비가 높고 매우 튼튼한 코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코드의 표면에 형성된 압흔의 존재에 의해 코드가 부풀거나 풀리지 않으며, 그 형상을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압흔은 미끄럼 방지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코드를 묶었을 때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7, 청구항 12 및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겉보기 비중이 큰 펠릿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코드 형상 집속재의 꼬임 정도를 일정하게 해두면 펠릿의 겉보기 비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코드의 표면에는 압흔이 형성되고 코드를 구성하고 있는 층형의 장척 연속재의 구성재끼리가 압착되기 때문에, 펠릿이 부풀거나 풀리지 않고 그 형상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가열 공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품질 열화가 없는 고품질의 펠릿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압축부를 도시한 정면도(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 4는 코드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압축용 롤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장척 연속재 권상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코드를 도시한 사시도(일부 생략).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절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일부 생략).
도 10은 펠릿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절단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도 14 실시예에 있어서의 꼬임 형성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일부 생략).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제 6 실시예의 펠릿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0은 장치 본체를 도시된 도면.
도 21은 절단부의 변형예를 도시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펠릿 R: 장척 연속재
R': 코드 형상 집속재 R":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S: 코드 Y: 오목부
10: 코드의 제조 장치 12: 장치 본체
14: 회전부 16: 집속부
18: 코드 회수부 22: 압축부
100: 펠릿의 제조 장치 102: 절단부
104: 펠릿 회수부 108: 절단부
이하, 본 발명을 나타낸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의 제조 장치(10)는 제 1 내지 제 5 실시예(10A 내지 10E)가 있고, 이하 이들을 도면에 따라서 순차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은 제 1 실시예(10A)를 대표예로 하고, 제 2 실시예 이후(10B, 10C…)는 설명이 번거로워 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공통 부분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제 1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물론,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의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장척 연속재(R)를 끌어내고, 이 장척 연속재(R)를 재료로서 코드(S)를 제조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장척 연속재 권상체(W)의 일 예를 나타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척 연속재(R)를 통축(X)에 감아올린 것이다. 장척 연속재(R)의 재질은 꼴(twist) 수가 있고, 그 표면에 점 형상으로 압흔(Y)을 형성하고, 이 압흔(Y) 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이 서로 융착 또는 접착되어 꼬임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1O 내지 100㎛, 폭 1O 내지 1OOmm의 합성 수지필름{저밀도(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이나, 자동방직기로 짜여진 천의 양 측단의 절단 부분{통상, 이단(耳端)(edge end)이라고 불리는 부분에서, 복수개의 종사(縱絲)에 짧은 횡사(橫絲)가 얽힌 것}이 사용된다. 물론,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조건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종이(paper)라도 좋다. 여기에서, 합성 수지 필름과 같은 것을 띠형상 장척 연속재(band-like long continuous material)라고 하고, 이단과 같은 것을 실형상 장척 연속재(yarn-like long continuous material)라고 부른다.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간단히 장척 연속재라고 부른다.
또한, 코드(S)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으로 꼰 장척 연속재(R)의 외주면에 오목형상 압흔(Y)을 형성한 것이다. 또, 상기 오목형상은 대략 U 형상, 대략 V 형상이나 대략 ㄷ형상 등의 형상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코드의 제조 장치(1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2), 회전 부(14), 집속부(16) 및 코드 회수부(18)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2)는 프레임(20)과 압축부(22)로 구성된다. 프레임(20)은 장치 본체(12)의 골격이 되는 부분이고, 가늘고 긴 막대형 부재(예를 들면, L자형 강)로 형성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주(20a)와, 이 지주(20a)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20b)와, 지주(20a)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간 부위에 설치된 중간 플레이트(20c)를 구비하고, 상부 플레이트(20b)에는 상측 베어링 부재(26)가 고정되고, 중간 플레이트(20c)에는 하측 베어링 부재(28)가 고정된다.
압축부(22)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테이블(30), 상부 테이블(32) 및 롤러 장착 플레이트(34)를 갖는다.
하부 테이블(30)은 원반형상의 부재이고, 그 중심에는 구멍(36)이 형성된다. 하부 테이블(30)의 하면측에는 구멍(36)의 내부 직경과 거의 같은 내부 직경을 갖는 통형상의 축(38)이 구멍(36)의 위치에 맞추어서 장착되고, 이 축(38)의 하단부가 하측 베어링 부재(2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축(38)의 중단 부분에는 종동 풀리(40)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하부 테이블(30)의 상면에는 롤러 장착 플레이트(34) 및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지주(42)가 세워지고, 이 지주(42)의 상단부에 상부 테이블(32)이 장착된다.
상부 테이블(32)은 하부 테이블(30)과 거의 같은 크기로 형성된 원반형상의 부재이고, 그 중심에는 구멍(44)이 형성된다. 상부 테이블(32)의 상면측에는 구멍(44)의 내부 직경과 거의 같은 내부 직경을 갖는 통형상의 축(46)이 구멍(44)의 위치에 맞추어서 장착되고, 이 축(46)의 상단부가 상측 베어링 부재(2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축(46)의 중단 부분에는 후술하는 모터(5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슬립 링(48)이 장착되고, 프레임(20)측의 고정측에 설치된 급전 브러쉬(48a)가 상기 슬립 링(48)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또, 축(38, 46)은 동축적으로 장착된다.
롤러 장착 플레이트(34)는 대략 L자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된 판형상의 부재이고, 그 전면측에는 2쌍의 롤러가 상하에 나란히 장착된다(도 2 참조). 여기에서, 상측의 한 쌍의 롤러가 압축용 롤러(50a, 50b)이고, 하측의 한 쌍의 롤러가 인출용 롤러(52a, 52b)이다.
도 2에 있어서, 한쪽(도 2에 있어서의 좌측)의 압축용 롤러(50a; 가동측)는 롤러 장착 플레이트(34)에 고정된 토글 클램프(toggle clamp; 54)의 선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쪽의 압축용 롤러(50b; 고정측)는 롤러 장착 플레이트(34)에 고정된 모터(56)의 회전축의 선단에 고착된다. 또, 회전축의 중단 부분에는 기어(62)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토글 클램프(54)를 고정측의 압축용 롤러(50b)측으로 향하여 쓰러뜨리면, 압축용 롤러(50a)와 압축용 롤러(50b)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각 압축용 롤러(50a, 50b)는 그 외주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원판형상의 부재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6장)의 원반형상 부재(58a)를 나사 등의 체결 부재(58b)에 의해 일체화함으로써 구성된다{각 원반형상 부재(58a)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의 압축용 롤러(50b)에는 그 축방향 양단에 원반형상 부재(58a)보다도 큰 외부 직경을 갖는 스토퍼 부재(58c)가 장착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한쪽(도 2에 있어서의 좌측)의 인출용 롤러(52a; 가동측)는 롤러 장착 플레이트(34)에 고정된 토글 클램프(60)의 선단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쪽의 인출용 롤러(52b; 고정측)는 롤러 장착 플레이트(34)의 전면측에 장착된 기어(64)를 개재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기어(62)와 기어(64)는 연결 기어(66)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용 롤러(50b)와 인출용 롤러(52b)는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토글 클램프(60)를 고정측의 인출용 롤러(52b)측으로 향하여 쓰러뜨리면, 가동측의 인출용 롤러(52a)가 고정측의 인출용 롤러(52b)에 근접한다. 또, 인출용 롤러(52a, 52b)간의 거리는 압축용 롤러(50a, 50b)로부터 보내진 코드(S)를 풀어짐없이 하방으로 보낼 수 있고, 또한, 압축용 롤러(50a, 50b)와 인출용 롤러(52a, 52b) 사이에서 코드(S)에 지나친 장력(tension)이 걸린 경우에는, 인출용 롤러(52a, 52b)와 코드(S)가 슬립하여 코드(S)가 상기 장력에 의해서 절단되는 일이 없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각 인출용 롤러(52a, 52b)는 압축용 롤러(50a, 50b)로써 형성된 코드(S)를 압축용 롤러(50a, 50b)에 부착한 채의 상태가 되지 않고서, 후술하는 코드 회수부(18)에 확실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 설치된다. 따라서, 그 재질로서는 그 송출시에 미끄러지는 일이 없도록 코드(S)와의 마찰계수가 큰 것이 좋고, 우레탄고무 등의 탄성 재료가 적합하게 채용된다. 또, 인출용 롤러(52a, 52b)의 외 부 직경은 압축용 롤러(50a, 50b)의 외부 직경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고, 각 인출용 롤러(52a, 52b)의 외주면은 평활면으로 구성된다.
회전부(14)는 압축부(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며, 프레임(20)의 측방에 고정된 프레임(70)과, 이 프레임(70)에 장착된 모터(72)를 갖는다.
모터(72)의 회전축(72a)에는 원동 풀리(74)가 장착되고, 원동 풀리(74)와 종동 풀리(40)의 사이에는 벨트(76)가 가설된다.
회전부(14)에서 모터(72)를 구동시키면, 모터(72)의 회전력이 원동 풀리(74), 벨트(76), 종동 풀리(40), 및 축(38)을 통하여 장치 본체(12)의 압축부(22)에 전달되고, 압축부(22)와 슬립 링(48)이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이 때, 외부로부터 슬립 링(48)에 급전된 전기가 도선(49)을 통하여 모터(56)에 급전되게 된다. 또, 모터(72)의 회전 속도는 장척 연속재(R)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고, 본 실시예에서는 장척 연속재(R)를 1m당 70회 꼬도록 설정된다.
집속부(16)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끌려나온 장척 연속재(R)를 1개에(또는 가는 폭으로) 집속하여 코드 형상 집속재(R')를 형성하는 동시에, 코드 형상 집속재(R')를 꼴 때의 기점이 되는 부분이고, 도 1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장치 본체(12)의 프레임(20)상에 장착된 직사각형상의 베이스(78)를 갖는다. 베이스(78)의 중앙에는 구멍(78a)이 형성되고, 이 구멍(78a)에 프레임(20)의 상방에 돌출한 축(46)의 선단이 끼워진다.
베이스(78) 상면에는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꺾인 2개의 지주(80a, 80b)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고, 그 전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구멍(82)이 각각 뚫려 있다. 지주(80a, 80b)의 전면{긴 구멍(82)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는, 집속용 롤러 고정용 판(84)이 장착된다. 집속용 롤러 고정용 판(84)은 금속 등의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부재이고, 그 네 모서리에는 둥근 구멍(도시생략)이 뚫려 있다. 그리고, 상술한 둥근 구멍 및 긴 구멍(82)에 삽입되어 통과한 볼트(86a)의 단부에 너트(86b)를 돌려 결합함으로써, 집속용 롤러 고정용 판(84)을 지주(22a, 22b)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집속용 롤러 고정용 판(84)의 전면측에는 한 쌍의 집속용 롤러(88a, 88b)가 장착된다.
도 1에 있어서, 한쪽(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의 집속용 롤러(88a; 가동측)는 집속용 롤러고정용 판(84)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장착된 위치 조정용 플레이트(90)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다른쪽(도 1에 있어서의 우측)의 집속용 롤러(88b; 고정측)는 집속용 롤러 고정용 판(84)에 장착된 모터(92)의 회전축에 장착된다. 또, 모터(92)의 회전 속도는 집속용 롤러(88a, 88a)의 회전 속도가 압축용 롤러(50a, 50b)의 회전 속도보다도 약간 빨라지도록 설정된다.
여기에서, 각 집속용 롤러(88a, 88b)는 장척 연속재(R)를 하방으로 송출할 때 슬립하는 일이 없도록, 그 재질로서는 장척 연속재(R)와의 마찰계수가 높은 것이 선택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 재료가 사용된다. 또, 집속 용 롤러(88a, 88b)의 외주면은 평활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집속용 롤러(88a, 88b)의 상방에는 2개의 장척 연속재 권상체(W)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 장척 연속재 권상체(W)의 수는 목적으로 하는 코드(S)의 굵기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고,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장척 연속재 권상체((7)의 배치 위치도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장척 연속재 권상체(W)를 집속용 롤러(88a, 88b)의 바로 위나 측방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코드 회수부(18)는 장치 본체(12)로써 형성된 코드(S)를 회수하는 부분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축(38)의 하방에 코드(S)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상자(96)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따른 코드의 제조 장치(10A)를 사용하여 코드(S)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코드의 제조 장치(10A)를 사용하여 코드(S)를 제조할 때는, 우선,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장척 연속재(R)의 선단을 꺼낸다. 그리고, 이 장척 연속재(R)를 소정의 이송 경로에 세트하고, 그 선단부를 인출용 롤러(52a, 52b) 사이에 끼운다.
계속해서, 집속부(16)의 모터(92) 및 회전부(14)의 모터(72)를 구동시킨다. 여기에서, 모터(72)가 회전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72)의 회전력이 원동 풀리(74), 벨트(76), 종동 풀리(40), 및 축(38)을 통하여 압축부(22)에 전달되고, 압축부(22)와 슬립 링(48)이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슬립 링(48)에는 급전 브러쉬(48a)를 통하여 전력이 급전되고, 슬립 링(48)으로부터 도출된 도선(49)을 통하 여 모터(56)에 급전된다. 이렇게 하여 모든 모터(92, 72, 56)가 구동하면,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끌려나온 장척 연속재(R)가 집속용 롤러(88a, 88b)에 보내진다.
집속용 롤러(88a, 88b)에서는 여기에서 2개의 장척 연속재(R)가 1개로 합쳐져서 코드 형상 집속재(R')가 된다. 그리고, 코드 형상 집속재(R')는 집속용 롤러(88a, 88b)가 이격된 순간으로부터 압축부(22)의 회전에 의해서 꼬여져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으로 감기는 상태로 되고, 집속용 롤러(88a, 88b)와 압축용 롤러(50a, 50b) 사이에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의 형성이 개시된다.
또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의 꼬임 정도는 압축부(22)의 회전수 및 집속용 롤러(88a, 88b)와 압축용 롤러(50a, 50b) 사이에서의 코드 형상 집속재(R')의 풀림 정도에 의해서 정해진다. 그리고, 압축부(22)의 회전수는 모터(72)의 회전 속도에 의해서 정해지고, 코드 형상 집속재(R')의 풀림 정도는 집속용 롤러(88a, 88b)의 회전 속도와 압축용 롤러(50a, 50b)의 회전 속도의 속도차에 의해서 정해진다.
소정의 꼬임 정도로 꼬여지고, 압축부(22)에 보내진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는 압축용 롤러(50a, 50b)를 통과함으로써 점 압축된다.
여기에서, 압축용 롤러(50a, 50b)의 외주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가 압축용 롤러(50a, 50b)로 점 압축되면, 코드(S)의 표면에는 압축용 롤러(50a, 50b)의 외주면의 요철 형상에 따라서 압흔(Y)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 압흔(Y)에 의해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구성하는 장척 연속재(R)의 층이 그 재질에 따라서 서로 압착 또는 융착 또는 접착되게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용 롤러(50a, 50b)를 구성하고 있는 원반형상 부재(58a)의 외주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또한, 각 원반형상 부재(58a) 사이에는 약간의 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코드(S)의 표면에 그 긴변 방향을 따라 형성된 압흔(Y)군은 마치 등뼈 같은 의장을 주게 된다.
그리고, 압축용 롤러(50a, 50b)를 통과하여 형성된 코드(S)가 인출용 롤러(52a, 52b)에 의해서 하방으로 보내지고, 코드 회수부(18) 내에 회수된다.
또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가 압축용 롤러(50a, 50b)로써 압축되면, 압축용 롤러(50a, 50b) 통과후의 코드(S)의 길이는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와 비교하여 약간 길어진다. 따라서, 인출용 롤러(52b)의 회전 속도를 압축용 롤러(50b)의 회전 속도보다도 약간 빨라지도록 설정하여 두면, 코드(S)가 압축용 롤러(50a, 50b)와 인출용 롤러(52a, 52b) 사이에서 풀리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용 롤러(50b)와 인출용 롤러(52b)의 각속도가 같기 때문에, 인출용 롤러(52b)의 외부 직경을 압축용 롤러(50b)의 외부 직경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함으로써 이것에 대응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또는 복수의 장척 연속재(R)가 가는 폭(또는 1개)으로 집속한 코드 형상 집속재(R')를 꼼으로써, 코드 형상 집속재(R')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던 공기를 확실하게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는 굵고 덩어리가 있는 1개의 띠재로서 구성되기 때문에, 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점 압축함으로써 압축비가 매우 높고 튼튼한 코드(S)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코드(S)의 외주면에는 압축용 롤러(50a, 50b)로 점 압축함으로써 압흔(Y)이 형성되기 때문에, 코드(S)를 구성하고 있는 장척 연속재(R)의 층끼리가 서로 압착된다. 따라서, 코드(S)가 부풀거나 풀리는 일은 없다. 또한, 코드(S)의 표면에 형성된 압흔(Y)이 미끄럼 방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코드(S)를 묶었을 때에 매듭이 풀어지는 일도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장척 연속재(R)를 통축(X)에 일단 감아 올려 장척 연속재 권상체(W)를 형성하고, 이 장척 연속재 권상체(W)를 코드의 제조 장치(10)에 세팅함으로써 제조 장치(10A)에 장척 연속재(R)를 공급하도록 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1의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성형기로부터 순차 보내지는 장척 연속재(R)를 상기 제조 장치(10A)에 직접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 이 경우에는 집속용 롤러(88a, 88b), 압축용 롤러(50a, 50b) 및 인출용 롤러(52a, 52b)의 회전 속도가 도시하지 않는 성형기에서의 장척 연속재(R)의 공급 속도에 맞추어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집속부(16)가 한 쌍의 집속용 롤러(88a, 88b)와 집속용 롤러(88a, 88b)의 상방에 배치된 장척 연속재 권상체(W)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예를 들면, 압축부(22)의 상방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롤러의 측방에 장척 연속재 권상체(W)를 배치한 것을 집속부(16)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측방으로 끌려나온 장척 연속재(R)가 상기 롤러로써 진로 변경되어 하방의 압축부(22)에 보내지기 때문에, 장척 연속재(R)와 상기 롤러의 접촉 면적이 매우 커져 상기 접촉 부분에서 상술한 집속 기능과 감김의 기점으로서의 기능 양쪽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인출용 롤러(52a, 52b)로부터 하방으로 보내진 코드(S)를 수용 상자(96)에 회수하도록 하였지만, 압축용 롤러(50a, 50b)로부터 보내진 코드(S)를 권취 롤러 등의 권취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서 직접 권취하면서 회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압축용 롤러(50a, 50b)를 통과한 코드(S)가 권취 수단에 의해서 직접 권취되기 때문에, 압축된 코드(S)가 압축용 롤러(50a, 50b)에 부착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인출용 롤러(52a, 52b)의 사용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단, 코드(S)의 꼬임이 원래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권취 수단은 압축부(22)와 동기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척 연속재(R)의 재질로서는 합성 수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이{일본종이 또는 양지(洋紙) 등}, 또는 천(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편직한 것) 등이라도 좋다. 이들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장척 연속재(R)는, 종래에는 폐기 처분할 수밖에 수단이 없었지만, 코드(S)로서 재생함으로써 그 이용 가치를 새롭게 찾아낼 수 있다.
또, 코드의 제조 장치(10A)에서 제조된 코드(S)를 소정 간격으로 절단하면 펠릿(P)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펠릿의 제조 장치(100)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펠릿(P)은 도 10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장척 연속재(R)를 나선형상으로 밀착 상태에서 권취한 장척 연속재(R)의 적층체의 외주면에 오목형상 압흔(Y)을 형성한 것이다
펠릿의 제조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2), 회전부(14), 집속부(16), 절단부(102), 및 펠릿 회수부(104)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펠릿의 제조 장치(100)는 코드의 제조 장치(10A)에 있어서의 코드 회수부(18) 대신에 절단부(102) 및 펠릿 회수부(104)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는, 그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하고, 일치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기재를 원용한다.
절단부(102)는 프레임(106)과 절단부(108)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06)은 절단부(102)의 골격이 되는 부분이고, 가늘고 긴 막대형상 부재(예를 들면, L자형 강)로 형성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주(106a)와, 이 지주(106a)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106b)를 구비한다. 상부 플레이트(106b)의 중앙부에는 코드(S)가 보내지는 위치에 맞추어서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상부 플레이트(106b)의 상면에 있는 상기 구멍의 주위에는 코드(S)를 절단부(108)로 유도하는 통형상의 가이드 부재(106c)가 형성된다.
절단부(108)는, 도 9로부터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지주(106a)에 고정된 모터(110)와, 이 모터(110)의 회전축에 권취된 커터(112)와, 이 커터(112)로 절단된 펠릿(P)을 펠릿 회수부(104)로 유도하는 가이드(114)로 대략 구성된다.
커터(112)는 금속 등의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반형상 부재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는 복수의 칼날(112a)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 되어 있다. 또, 칼날(112a)의 수나 칼날(112a)끼리의 간격은 목적으로 하는 펠릿(P)의 크기에 맞추어서 코드(S)의 이송 속도나 커터(112)의 회전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모터(110)의 측방에는 가이드(114)가 장착된다. 가이드(114)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이고, 그 상단부에는 노치(notch)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노치 부분을 커터(112)의 칼날(112a)이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위치나 크기 등이 적절하게 설정된다.
또한, 가이드(U4)의 상단부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고정부재(115)를 설치하여도 좋다. 코드 고정 부재(115)는 금속 등의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상 부재이고, 그 단부에는 코드(S)가 통과 가능한 크기의 가늘고 긴 노치(115a)가 형성되어 있다{노치(115a)는 커터(112)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펠릿 회수부(104)는 가이드(114)로부터 유도된 펠릿(P)을 회수하는 부분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절단부(102)의 하방에 설치된 프레임(116) 내에 회수 상자(118)가 설치된다.
다음에, 본원 발명에 따른 펠릿의 제조 장치(100)를 사용하여 펠릿(P)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펠릿의 제조 장치(100)에서는 집속부(16)의 모터(92) 및 회전부(14)의 모터(72)에 더하여 절단부(108)의 모터(10)가 구동된다. 이로써, 소정의 회전수로 커터(112)가 회전하게 된다.
인출용 롤러(52a, 52b)로부터 보내진 코드(S)가 가이드 부재(106c)를 통과하여 커터(112)의 근방으로 인도되어 나오면, 커터(112)의 회전에 의해서 코드(S)가 소정 길이로 연속적으로 절단되고, 이것에 의해 펠릿(P)이 형성된다{가이드(114)의 상단부에 코드 고정 부재(115)를 설치한 경우에는, 코드(S)가 커터(112)의 칼날(112a)과 코드 고정 부재(115)의 노치(115a)와 끼워지고 그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코드(S)를 보다 확실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펠릿(P)의 축방향의 길이는 커터(112)의 회전 속도나 코드(S)의 이송 속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절단된 펠릿(P)은 가이드(114)를 통과하여 회수 상자(118)로 회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척 연속재(R)를 1개로 묶은 코드 형상 집속재(R')를 꼼으로써, 코드 형상 집속재(R')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던 공기를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이로써 얻어진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는 굵고 덩어리가 있는 1개의 띠재로서 구성되기 때문에, 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압축하면, 압축비가 매우 높고 겉보기 비중이 큰 펠릿(P)을 얻을 수 있다. 또, 코드 형상 집속재(R')의 꼬임 회수를 일정하게 하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의 굵기가 어느 정도 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펠릿(P)의 겉보기 비중의 값은 균일하게 된다.
또한, 펠릿(P)의 외주면에는 압축용 롤러(50a, 50b)로 압축함으로써 압흔(Y)이 형성되게 되지만, 이 압흔(Y)이 펠릿(P)을 구성하고 있는 장척 연속재(R) 층끼리를 서로 압착할 수 있기 때문에, 펠릿(P)이 부풀거나 풀리는 일은 없으며, 그 형 상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얻어진 펠릿(P)은, 그 압흔(Y) 부분에서 압축되어 조밀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기재(base material) 강도는 매우 높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펠릿(P)을 형성하기 위해서 종래와 같은 가열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가열에 따른 펠릿(P)의 품질 열화가 생기는 일도 없다.
또한, 장척 연속재(R)가 폐기 처분품인 경우, 종래에는 부피가 큰 장척 연속재(R)의 폐기에 극히 곤란하였지만, 이것을 코드화 또는 펠릿화함으로써 폐기 처분품 전체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고, 폐기 처분시의 부피감소 및 절전화에 이바지하게 된다.
또, 이것은 코드의 제조 장치(10) 및 펠릿의 제조 장치(100)에 공통하여 말할 수 있는 것이지만, 압축부(22)를 집속부(16)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대신에, 압축부(22)를 고정하고 집속부(16)를 압축부(22)에 대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고(후술), 또한, 집속부(16)와 압축부(22)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즉, 집속부(16)와 압축부(2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면 좋다}.
실시예 2
제 2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B)는 압축부을 고정하여 집속부를 압축부에 대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코드의 제조 장치(10B)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2'), 회전 부(14'), 집속부(16') 및 코드 회수부(18)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2')는 프레임(130)과 압축부(22')로 구성된다.
프레임(130)은 6개의 지주(130a)와, 이 지주(130a)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130b)를 가지며, 상부 플레이트(130b)의 상면에는 베어링 부재(134)가 고정된다.
압축부(22')는 프레임(130)의 중단(中段) 부분에 장착된 고정 플레이트(132)와 고정 플레이트(132)의 상면에 세워진 롤러 장착 플레이트(34)를 갖는다. 또, 롤러 장착 플레이트(3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용 롤러(50a, 50b), 인출용 롤러(52a, 52b), 모터(56) 등이 설치된다(도 3 참조).
회전부(14')는 프레임(130)의 상단부 측방에 고정된 프레임(140)과 프레임(140)에 장착된 모터(72)를 갖는다.
집속부(16')는 그 구성이 제 1 실시예의 집속부(16)와 대략 같지만, 베이스(78)의 하면에 축(136)이 설치되고, 또한, 지주(80a, 80b)의 상단부에 장척 연속재 권상체 보유부(142)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베이스(78)의 하면측에는 베이스(78)의 중심에 설치된 구멍(78a)의 내부 직경과 거의 같은 내부 직경을 갖는 통형상의 축(136)이 구멍(78a)의 위치에 맞추어서 장착되고, 이 축(136)의 하단부가 베어링 부재(134)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축(136)의 중단 부분에는 종동 풀리(138)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종동 풀리(138)와 원동 풀리(74)의 사이에는 벨트(76)가 걸쳐져 있다.
장척 연속재 권상체 보유부(142)는 장척 연속재 권상체(W)를 보유하기 위한 것이며, 지주(80a, 80b)의 상단부에 장착된 베이스(144)와 베이스(144)의 상면에 세워진 복수 세트(본 실시예에서는 2세트이지만, 3조 이상이라도 좋고 1세트라도 좋다)의 설치 부재(146)를 구비한다.
또, 압축부(22')의 하방에는 코드 회수부(18)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B)를 사용하여 코드(S)를 제조할 때, 장척 연속재 권상체 보유부(142)에 보유되어 있는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장척 연속재(R)의 선단을 끌어낸다. 그리고, 이 장척 연속재(R)를 소정의 이송 경로에 세트하고, 그 선단부를 인출용 롤러(52a, 52b) 사이에 끼우고, 그 후, 제 1 실시예와 같이 모든 모터(92, 72, 56)를 작동시킨다.
여기에서, 회전부(14')의 모터(72)가 작동하면, 모터(72)의 회전력이 원동 풀리(74), 벨트(76), 종동 풀리(138) 및 축(136)을 통하여 집속부(16')에 전달되고, 집속부(16')가 장치 본체{12';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부(22')}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끌려나온 2개의 장척 연속재(R)는 집속용 롤러(88a, 88b)로써 1개로 합쳐져서 코드 형상 집속재(R')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코드 형상 집속재(R')는 집속용 롤러(88a, 88b)를 이격한 순간부터 집속부(16')의 회전에 의해서 꼬여져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으로 감기는 상태로 되고, 집속용 롤러(88a, 88b)와 압축용 롤러(50a, 50b) 사이에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의 형성이 개시된다.
그리고, 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가 압축용 롤러(50a, 50b)로써 점 압축되어 코드(S)가 형성되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꼼(twisting) 공정과 압축 공정에 의해서 코드(S)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압축비가 매우 높고 튼튼한 코드(S)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제 3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C)는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집속용 롤러를 설치하지 않은 예)이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2'), 회전부(14'), 장척 연속재 권상체 보유부(143) 및 코드 회수부(18)를 구비한다.
장척 연속재 권상체 보유부(143)는 장척 연속재 권상체(W)를 보유하기 위한 것이며, 베이스(145)와, 베이스(145)의 상면에 세워진 복수 세트(본 실시예에서는 2세트이지만, 3세트 이상이라도 좋고 1세트라도 좋다)의 설치 부재(147)를 구비한다. 베이스(145)의 하면측에는 원통형상의 축(149)이 장착되고, 이 축(149)의 하단부가 프레임(130)의 베어링 부재(134)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축(149)의 중단 부분에는 종동 풀리(14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종동 풀리(141)와 원동 풀리(74)의 사이에는 벨트(76)가 걸쳐져 있다.
본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C)를 사용하여 코드(S)를 제조할 때, 장척 연속재 권상체 보유부(143)에 보유되어 있는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장척 연속재(R)의 선단을 끌어낸다. 그리고, 이 장척 연속재(R)를 소정의 이송 경로에 세트하고, 그 선단부를 인출용 롤러(52a, 52b) 사이에 끼운 후, 모터(72, 56)를 작동 시킨다.
여기에서, 회전부(14')의 모터(72)가 작동하면, 모터(72)의 회전력이 원동 풀리(74), 벨트(76), 종동 풀리(141) 및 축(149)을 통하여 장척 연속재 권상체 보유부(143)에 전달되고, 장척 연속재 권상체 보유부(143)에 보유되어 있는 장척 연속재 권상체(W)가 장치 본체(12'){보다 상세하게는, 압축부(22')}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장척 연속재 권상체(R")로부터 끌려나온 2개의 장척 연속재(R)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압축용 롤러(50a, 50b)에 의해서 1개로 합쳐져서 코드 형상 집속재(R')가 형성되는 동시에, 코드 형상 집속재(R')의 회전에 의해서 꼬여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으로 감기는 상태로 되고, 장척 연속재 권상체(W)와 압축용 롤러(50a, 50b) 사이에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의 형성이 개시된다.
그리고, 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가 압축용 롤러(50a, 50b)로써 점 압축되어 코드(S)가 형성되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꼬임 정도와 압축 공정에 의해서 코드(S)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압축비가 매우 높고 튼튼한 코드(S)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제 4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D)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집속부나 압축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장척 연속재(R)를 꼬도록 구성한 것이다.
코드의 제조 장치(10D)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2"), 집속부(16) 및 코드 회수부(18)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2")는 프레임(150)과 압축부(22')와 꼬임 형성부(152)로 구성된다. 프레임(150)은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주(150a)와, 이 지주(150a)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150b)를 구비하고 있다.
꼬임 형성부(152)는 하부 테이블(154), 상부 테이블(156) 및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9개)의 꼬임용 롤러(158)를 갖는다.
하부 테이블(154)은 프레임(150)에 장착된 직사각형상의 부재이고, 그 중심에는 꼬여진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구멍(154a)이 형성되고, 구멍(154a)의 주위에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베어링 부재(160)가 등각도 간격으로 고정된다.
상부 테이블(156)은 하부 테이블(154)과 거의 같은 크기로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부재이고, 그 중심에는 구멍(156a)이 형성되고, 구멍(156a)의 주위에는 상기 베어링 부재(160)의 위치에 맞추어서 3개의 베어링 부재(162)가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 테이블(154)의 각 베어링 부재(160)에는 축(164a 내지 164c)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축(164a 내지 164c)의 상단부가 상부 테이블(156)의 베어링 부재(162)에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축(164a 내지 164c)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꼬임용 롤러(158)가 장착된다. 각 꼬임용 롤러(158)는 원반형상의 부재이고, 그 외주면에는 장척 연속재(R)와의 마찰계수가 높은 부재(예를 들면, 우레탄고무 등의 탄성 부재)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착된다.
또, 꼬임 형성부(152) 전체로서 본 경우, 꼬임용 롤러(158)는 도 15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코드 형상 집속재(R')와 접촉하도록 코드 형상 집속재(R')의 주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선형상으로 배열된다.
각 축(164a 내지 164c)의 하단부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166a 내지 166c)가 각각 장착된다. 여기에서, 기어(166a)와 기어(166b)는 중간 기어(168a)에 각각 맞물리고, 이 중간 기어(168a)에 모터(169)의 회전축에 설치된 기어(169a)가 맞물린다. 한편, 기어(166b)와 기어(166c)는 중간 기어(168b)에 각각 맞물려 있다.
꼬임 형성부(152)에서 모터(169)를 구동시키면 모터(169)의 회전력이 중간 기어(168a 및 168b)를 통하여 기어(166a 내지 166c)에 전달되고, 각 축(164a 내지 164c)에 장착된 모든 꼬임용 롤러(158)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장치 본체(12")를 구성하는 프레임(150)의 상부에는 집속부(16)가 배치되고, 압축부(22')의 하방에는 코드 회수부(18)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D)를 사용하여 코드(S)를 제조할 때,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장척 연속재(R)의 선단을 끌어내고, 장척 연속재(R)를 소정의 이송 경로에 세트한다. 그리고, 장척 연속재(R)의 선단부를 인출용 롤러(52a, 52b) 사이에 끼운 후 모터(92, 56, 169)를 작동시킨다.
여기에서, 모터(169)가 작동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169)의 회전력이 중간 기어(168a 및 168b)를 통하여 기어(166a 내지 166c)에 전달되고, 각 축(164a 내지 164c)에 장착된 모든 꼬임용 롤러(158)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끌려나온 장척 연속재(R)가 집속부(16)에 있어서 1개로 집속되어 코드 형상 집속재(R')가 형성되고, 이 코드 형상 집속재(R')가 꼬임 형성부(152)를 통과하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9개의 꼬임용 롤러(158)에 의해서 코드 형상 집속재(R')가 꼬여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가 형성된다.
또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의 꼬임 정도는 꼬임용 롤러(158)의 설치 수나 그 회전 속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해진다.
소정의 꼬임 정도로 꼬여져서 압축부(22')에 보내진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는 압축용 롤러(50a, 50b)를 통과함으로써 점 압축되어 코드(S)가 형성되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대로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꼬임 형성부(152)에 의한 꼼 공정과 압축부(22')에 의한 압축 공정에 의해서 코드(S)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압축비가 매우 높고 튼튼한 코드(S)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도 17에 도시된 제 5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E)는 장척 연속재(R)를 원료로서 사용하고 있는 상술한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A 내지 10D)와는 달리, 미리 꼬여진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원료로서 사용하고 이것을 점 압축함으로써 코드(S)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E)를 사용하여 코드(S)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원료가 되는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미리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는 우선,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의 제조 장치(170)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 코드의 제조 장치(10E)의 설명을 하기로 한다.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의 제조 장치(174)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72), 회전부(14) 및 집속부(16)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72)는 프레임(174)과 권취부(176)를 구비한다. 프레임(174)은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주(174a)와, 지주(174a)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174b)와, 지주(174a)의 중단 부분에 설치된 하부 플레이트(174c)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74b)의 중심 부분에는 코드 형상 집속재(R')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구멍(174d)이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174c)의 중심 부분에는 베어링 부재(178)가 고정된다.
권취부(176)는 테이블(180), 권취 롤러(182) 및 가이드(184)를 갖는다.
테이블(180)은 원반형상의 부재이고, 그 하면측 중심부분에는 축(186)이 장착되고, 이 축(186)의 하단부가 베어링 부재(17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축(186)의 중단 부분에는 종동 풀리(188)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테이블(180)의 상면에는 권취 롤러(182) 및 가이드(184)가 설치된다. 가이드(184)는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권취 롤러(182)에 다열 다단으로 권취하기 위한 것이며, 테이블(180)의 상면에 세워진 지주(180a)와 지주(180a)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권취 롤러(182)의 권취축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동작하는 가이드부재(184b)로 구성된다. 또,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권취 롤러(182)에 일렬 다단으로 권취하는 경우에는 가이드(184)의 설치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치 본체(172)의 측방에는 회전부(14)가 설치되고, 장치 본체(172)의 상부에는 집속부(16)가 설치된다. 또, 회전부(14)의 원동 풀리(74)와 상기 종동 풀리(188) 사이에는 벨트(76)가 걸쳐져 있다.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의 제조 장치(170)를 사용하여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제조할 때는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장척 연속재(R)의 선단을 끌어낸다. 그리고, 이 장척 연속재(R)를 소정의 경로에 세트하여 장척 연속재(R)의 선단을 권취 롤러(182)에 결합하고, 권취 롤러(182)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회전부(14)의 모터(72) 및 집속부(16)의 모터(92)를 회전시킨다.
회전부(14)의 모터(72)가 회전하면, 모터(72)의 회전력이 원동 풀리(74), 벨트(76), 종동 풀리(188) 및 축(186)을 통하여 권취부(176)에 전달되고, 권취부(176)가 집속부(16)에 대하여 회전한다.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끌려나온(또는,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성형기로부터 직접 인도된) 2개의 장척 연속재(R)는 집속용 롤러(88a, 88b)로써 1개에 합쳐져서 코드 형상 집속재(R')가 형성되고, 집속용 롤러(88a, 88b)를 이격한 순간으로부터 권취부(176)의 회전에 의해서 꼬여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가 권취 롤러(182)의 통축(X)에 권취됨으로써,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W')가 형성되고, 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W')가 후술하는 코드의 제조 장치(10E)에 세팅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E)에 대해서 설명한다. 코드의 제조 장치(10E)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2"'),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 보유부(190) 및 코드 회수부(18)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2"')는 프레임(192)과, 이 프레임(192)의 중단 부분에 설치된 압축부(22')로 구성된다.
장치 본체(12"')의 상부에는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 보유부(190)가 설치된다.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 보유부(190)는 플레이트(194)와, 이 플레이트(194)의 상면에 세워진 한 쌍의 지지판(196)을 갖는다. 플레이트(194)의 중심에는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194a)이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판(196)에는 지지 구멍(196a)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지지 구멍(196a)에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W')의 통축(X)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E)를 사용하여 코드(S)를 제조할 때는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W')로부터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의 선단을 끌어낸다. 그리고, 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소정의 이송 경로에 세트하고, 그 선단부를 인출용 롤러(52a, 52b) 사이에 끼운다.
계속해서, 압축부(22')의 모터(56)를 구동시키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가 압축용 롤러(50a, 50b)에 보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가 압축용 롤러(50a, 50b)에 의해서 점 압축되어 코드(S)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미리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으로 꼬여 있는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를 압축함으로써 코드(S)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와 비교하면, 장치 전체의 구성을 대단히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A)와 마찬가지로 제 2 내지 제 5 실시예의 코드의 제조 장치(10B 내지 10E)에 있어서도 코드 회수부(18) 대신에 절단부(102) 및 펠릿 회수부(104)를 설치하면, 펠릿의 제조 장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6
마지막으로, 도 19 내지 도 20에 도시된 펠릿의 제조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펠릿의 제조 장치(200)는, 도 19로부터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지지판(202), 회전부(204) 및 장치 본체(206)를 구비한다.
지지판(202)은 회전부(204) 및 장치 본체(206) 등을 지지하기 위한 판형상 부재이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 부분에는 2개의 베어링 부재(210a 및 210b)가 상하에 나란히 고정된다.
회전부(204)는 후술하는 장치 본체(206)의 회전 프레임(218)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며, 지지판(202)의 측방에 고정된 프레임(212)과, 이 프레임(212)에 장착된 모터(214)를 갖는다.
모터(214)의 회전축(214a)은 베어링 부재(210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원동 풀리(216)가 장착된다.
장치 본체(206)는 회전 프레임(218)과, 압축부(220)와, 절단부(222)로 구성된다. 회전 프레임(218)은 상류측 플레이트(218a), 하류측 플레이트(218b), 및 상기 상류측 플레이트(218a)와 하류측 플레이트(218b)를 접속하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접속 부재(218c)를 갖는다{물론, 접속 부재(218c)는 2개라도 좋고, 3개 또는 5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류측 플레이트(218a), 하류측 플레이트(218b) 및 접속 부재(218c)가 각각 별개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상류측 플레이트(218a)와 접속 부재(218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모든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회전 프레임(218)의 바닥부에는 장척 연속재(R)를 가는 폭으로 집속시켜 코드 형상 집속재(R')를 형성하는 2개의 코드 형상 집속재용 가이드(219)가 장착된다.
상류측 플레이트(218a)는 장척 연속재(R)의 공급측(상류측; 도 20에서의 좌측)에 배치되는 원반형상의 부재이고, 그 중심에는 베어링 부재(224)가 고정된다.
하류측 플레이트(218b)는 상류측 플레이트(218a)와 거의 같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류측 플레이트(218a)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원반형상의 부재이다.
하류측 플레이트(218b)의 중심에는 구멍(226)이 형성되고, 하류측 플레이트(218b)의 반경 방향에는 구멍(226)과 외주면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227)이 형성된다.
또한, 구멍(226)에는 통형상의 축(228)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 축(228)의 하류측 선단 부분이 지지판(202)에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 부재(210a)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축(228)의 하류측 단부에는 슬립 링(230)이 장착되고, 지지판(202)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반(203)에 장착되어 있는 급전 브러쉬(230a)가 상기 슬립 링(230)에 슬라이딩 접촉된다.
또한, 축(228)에서의 지지판(202)과 하류측 플레이트(218b) 사이의 부분에는 종동 풀리(232)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종동 풀리(232)와 원동 풀리(216) 사이에는 벨트(234)가 걸쳐져 있다.
압축부(220)는 하류측 테이블(236), 상류측 테이블(238) 및 롤러 설치 플레이트(34')를 갖는다. 하류측 테이블(236)은 원반형상의 부재이고, 그 중심으로는 베어링 부재(240)가 고정된다. 그리고, 이 베어링 부재(240)에 상술한 축(228)의 상류측 단부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류측 테이블(236)의 반면(盤面; 상류측)에는 롤러 설치 플레이트(34') 및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지주(242)가 설치되고, 이 지주(242)의 상류측 단부에는 상류측 테이블(238)이 장착된다.
상류측 테이블(238)은 하류측 테이블(236)과 거의 같은 크기로 형성된 원반형상의 부재이고, 그 중심에는 구멍(238a)이 형성된다. 상류측 테이블(238)의 반면(상류측)에는 후술하는 절단부(222)가 설치되고, 절단부(222)의 상류측에 장착되어 있는 축(246)의 선단 부분이 베어링 부재(2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축(228, 246)은 동축적으로 장착된다.
축(246)의 중단 부분에는 슬립 링(248)이 장착되고, 회전 프레임{218; 상류측 플레이트(218a)}에 설치된 급전 브러쉬(248a)가 상기 슬립 링(248)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롤러 설치 플레이트(34')는 압축용 롤러(50a, 50b)와 인출용 롤러(52a, 52b)의 배치 위치가 반대로 되어 있는 것 이외는 그 구성이 제 1 실시예의 롤러 장착 플레이트(34)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상술한 기재를 원용한다.
절단부(222)는 프레임(223)과, 상류측 테이블(238)에 고정된 모터(110)와, 모터(110)의 회전축에 장착된 커터(112)와, 프레임(223)에 장착된 코드 고정부재(115)로 대략 구성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펠릿의 제조 장치(200)를 사용하여 펠릿(P)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펠릿의 제조 장치(200)를 사용하여 펠릿(P)을 제조할 때는, 우선, 펠릿의 제조 장치(200)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장척 연속재(R)의 선단을 끌어낸다. 그리고, 소정의 이송 경로, 즉, 회전 프레임(218)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집속용 롤러(260a, 260b), 코드 형상 집속재용 가이드(219), 하류측 플레이트(218b)의 연통 구멍(227) 및 축(228)에 세트하고, 그 선단부를 인출용 롤러(52a, 52b) 사이에 끼운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장척 연속재(R)의 이송 방향이 회전 프레임(218)을 통과하는 도중에서 반전하고 있는 점이다.
계속해서, 회전부(204)의 모터(214)를 구동시킨다. 여기에서, 모터(214)가 회전하면, 모터(214)의 회전력이 원동 풀리(216), 벨트(234), 종동 풀리(232) 및 축(228)을 통하여 회전 프레임(218)에 전달되고, 회전 프레임(218)이 지지판(202)에 대하여 회전한다. 또, 이 때, 축(228) 및 축(246)은 각각 베어링 부재(240) 및 베어링 부재(224)에 의해서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프레임(218) 내의 압축부(220), 절단부(222) 및 슬립링(248)은 회전하지 않고서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에서, 급전 블러쉬(230a)에 전력이 급전되면, 슬립 링(230), 슬립링(230)으로부터 도출된 도선(231), 회전 프레임(218)에 설치된 급전 브러쉬(248a), 슬립 링(248) 및, 이 슬립 링(248)으로부터 도출된 도선(249)을 통하여 모터(110, 56)에 급전된다. 이렇게 하여 모든 모터(214, 110, 56)가 구동하면, 회전 프레임(218)이 지지판(202)에 대하여 회전하고,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끌려나온 장척 연속재(R)가 압축용 롤러(50a, 50b)에 보내지는 동시에, 절단부(222)의 커터(112)가 회전을 시작한다.
장척 연속재 권상체(W)로부터 끌려나온 장척 연속재(R)가 집속용 롤러(260a, 260b)를 통하여 회전 프레임(218)에 보내면, 장척 연속재(R)는 가는 폭으로 집속되고 코드 형상 집속재(R')로 된다. 그리고, 코드 형상 집속재(R')는 회전 프레임(218)의 회전에 의해서 꼬여져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으로 감기는 상태로 되고,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의 형성이 개시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회전 프레임(218)이 1회전하면 코드 형상 집속재(R')는 2회 꼬이는 점이다. 즉, 코드 형상 집속재(R')는 회전 프레임(218)상을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보내질 때에 1회 꼬여지고, 이송 방향이 반전하여, 코드 형상 집속재(R')가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보내질 때 2번째의 꼬임이 가해지는 것이다.
또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의 꼬임 정도는 회전 프레임(218)의 회전 수{즉, 모터(214)의 회전 속도}와 장척 연속재(R)의 공급 속도{즉, 모터(56)의 회전 속도}의 관계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해진다.
소정의 꼬임 정도로 꼬여지고, 압축부(220)에 보내진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R")는 압축용 롤러(50a, 50b)를 통과함으로써 점 압축되어 코드(S)가 형성되지만, 이 점에 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에 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를 원용한다.
인출용 롤러(52a, 52b)로부터 보내진 코드(S)가 절단부(222)에 도출하면, 코드(S)는 커터(112)의 회전에 의해서 소정 길이로 연속적으로 절단되고, 이것에 의해 펠릿(P)이 형성된다. 또, 펠릿(P)의 축 방향의 길이는 커터(112)의 회전 속도나 코드(S)의 이송 속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자유롭게 조정할 때마다 가능하다.
그리고, 절단된 펠릿(P)은 커터(112)의 원심력에 의해서 커터(112)의 원주 방향으로 튀어나가고, 그 후, 자체 무게에 의해서 지면으로 낙하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 장치(200)의 전체가 커버(262)에 의해서 덮여 있고, 튀어나간 펠릿(P)은 커버(262)에 부딪쳐서 낙하하고, 장치 본체(206)의 하방에 모인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척 연속재(R)가 회전 프레임(218)상을 그 회전축을 따라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하고, 그 후, 반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회전 프레임(218)이 1회전하면, 장척 연속재{R; 코드 형상 집속재(R')}는 2번 꼬인다. 즉, 보다 적은 회수로 많은 꼬임 회수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고밀도의 펠릿(P)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장치 본체(206)의 회전축{즉, 축(228, 246)}이 가로 방향(도 20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회전축을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여도 좋고, 사선 방향이라도 좋다.
또한, 절단부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264)를 구성하고 있는 커터(266)의 회전축을 코드(S)의 공급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절단부(264)가 롤러 장착 플레이트(34')상에 설치되어 있다.
절단부(264)는, 도 21로부터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롤러 장착 플레이트(34')상으로서 압축부(220)의 출구측에 고정된 모터(도시생략)와,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커터(266)와, 커터(266)와 압축부(220)의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268)로 대략 구성된다.
커터(266)는 금속 등의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반형상 부재이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상의 홈(266a)이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8개) 새겨져 있고, 각 홈(266a, 266a) 사이의 산부분에는 칼날(266b)이 각각 장착된다.
가이드(268)는 블록형상의 부재이고, 커터(266)와 대향하는 측의 면에는 커터(266)의 외주면을 따라서 만곡면(268a)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268)의 중심에는 만곡면(268a)과, 이 만곡면(268a)의 반대측의 면을 연통하도록 코드 삽입 구멍(268b)이 형성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압축부(220)로부터 송출된 코드(S)가 가이드(268)의 중심에 형성된 코드 삽입 구멍(268b)을 통하여 가이드(268)와 커터(266) 사이의 틈에 보내진다. 그리고, 코드(S)의 만곡면(268a)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이 커터(266)에 의해서 절단되고, 펠릿(P)이 형성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설명한 절단부(264)의 구성을 상술한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의 펠릿의 제조 장치에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수지 제품의 성형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불량품이나 절단 부스러기 등을 원료로 하여 코드 펠릿, 코드 펠릿 등을 재이용하는 제조 방법 또는 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로써 자원의 낭비를 없앨 수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 하나 또는 복수의 띠형상 장척 연속재 또는 복수의 실형상 장척 연속재를 가는 폭으로 집속시켜 코드 형상 집속재를 형성하는 집속부와,
    (b)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를 점 압축하여 코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압축용 롤러를 갖는 압축부와,
    (c) 상기 집속부 또는 상기 압축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코드 형상 집속재를 꼬아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를 형성하는 회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의 제조 장치.
  8. (a) 띠형상 장척 연속재 또는 실형상 장척 연속재를 통축으로 감아올린 하나 또는 복수의 장척 연속재 권상체와,
    (b)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를 점 압축하여 코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압축용 롤러를 갖는 압축부와,
    (c) 상기 장척 연속재 권상체 또는 상기 압축부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장척 연속재 권상체로부터 끌여나온 장척 연속재를 꼬아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를 형성하는 회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의 제조 장치.
  9. 삭제
  10. (a)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를 통축으로 감아올려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를 보유하는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 보유부와,
    (b)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 권상체로부터 끌려나온 상기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를 점 압축하여 코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압축용 롤러를 갖는 압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의 제조 장치.
  11. (a) 제 7 항, 제 8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드의 제조 장치와,
    (b) 상기 각 코드의 제조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압축부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점 압축되어 형성된 코드를 소정 간격으로 펠릿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의 제조 장치.
  12. (a) 하나 또는 복수의 띠형상 장척 연속재 또는 복수의 실형상 장척 연속재를 가는 폭으로 집속시켜 코드 형상 집속재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이송 방향을 도중에서 반전시킨 후 압축부로 가이드하는 회전 프레임과,
    (b) 상기 회전 프레임을 그 회전축이 상기 코드 형상 집속재의 이송 방향과 병행이 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코드 형상 집속재를 꼬아서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를 형성하는 회전부와,
    (c)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트위스트 페이퍼 형상 코드재를 점 압축하여 코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압축용 롤러를 갖는 압축부와,
    (d) 상기 압축부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점 압축되어 형성된 상기 코드를 소정 간격으로 펠릿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의 제조 장치.
  13. 삭제
KR20067025804A 2004-06-11 2005-03-03 코드 펠릿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 KR101163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74408 2004-06-11
JPJP-P-2004-00174408 2004-06-11
JPJP-P-2004-00371756 2004-12-22
JP2004371756A JP4403064B2 (ja) 2004-06-11 2004-12-22 ペレットおよび紐・ペレット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の製造装置
PCT/JP2005/003619 WO2005121441A1 (ja) 2004-06-11 2005-03-03 紐・ペレットおよび紐・ペレット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568A KR20070024568A (ko) 2007-03-02
KR101163977B1 true KR101163977B1 (ko) 2012-07-09

Family

ID=3550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25804A KR101163977B1 (ko) 2004-06-11 2005-03-03 코드 펠릿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26373B2 (ko)
EP (1) EP1754819A4 (ko)
JP (1) JP4403064B2 (ko)
KR (1) KR101163977B1 (ko)
CN (1) CN1946899B (ko)
TW (1) TWI277499B (ko)
WO (1) WO2005121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1605A (ja) * 2010-10-07 2012-04-26 Maruyasu:Kk 再生樹脂ペレット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JP2016123367A (ja) * 2015-01-05 2016-07-11 協伸化成株式会社 温室用合成樹脂シート、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温室用合成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温室用合成樹脂シートを用いた温室
CN108789914A (zh) * 2018-08-29 2018-11-13 嘉兴正野新材料有限公司 一种热熔胶多功能生产设备
WO2022138963A1 (ja) 2020-12-25 2022-06-30 旭化成株式会社 成形用樹脂原料組成物、微多孔膜用樹脂原料組成物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20230152081A (ko) 2021-03-30 2023-11-02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펠릿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미다공막의 제조 방법
KR102605401B1 (ko) * 2022-08-03 2023-11-23 주식회사 유신에코 생분해성 봉투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관팩 및 그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1833A (en) * 1976-09-03 1978-03-25 Hitachi Ltd Throwing apparatus
JP2002115173A (ja) * 2000-10-11 2002-04-19 Kobe Steel Ltd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線材および同ペレット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2350A (en) * 1954-05-26 1958-12-02 British Celanese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ellets from thermoplastic sheet material
GB1087041A (en) * 1963-11-18 1967-10-11 Eastman Kodak Co Forming thermoplastic film into pellets
JPS60221068A (ja) * 1984-04-19 1985-11-05 Ikegai Corp 食品用成形装置
US5447793A (en) * 1989-10-20 1995-09-05 Montsinger; Lawrence V.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iber fill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s
JPH0631368A (ja) 1992-07-21 1994-02-08 Tokyo Seiko Co Ltd 線状材のインデント加工法及び圧痕付き線条材
JPH0639987U (ja) * 1992-11-09 1994-05-27 株式会社青山 造花形成用帯体
JP3151999B2 (ja) 1993-03-25 2001-04-03 凸版印刷株式会社 版下の校正方法
JPH07324245A (ja) 1994-05-30 1995-12-12 Toray Ind Inc 嵩高ループヤ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187358B1 (en) * 1998-04-09 2001-02-13 Nisshi Food Products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xtruded elongate pasta of substantially even length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1833A (en) * 1976-09-03 1978-03-25 Hitachi Ltd Throwing apparatus
JP2002115173A (ja) * 2000-10-11 2002-04-19 Kobe Steel Ltd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線材および同ペレット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9999A (en) 2005-12-16
EP1754819A1 (en) 2007-02-21
WO2005121441A1 (ja) 2005-12-22
JP4403064B2 (ja) 2010-01-20
KR20070024568A (ko) 2007-03-02
EP1754819A4 (en) 2010-06-02
CN1946899B (zh) 2011-12-14
US20080038397A1 (en) 2008-02-14
TWI277499B (en) 2007-04-01
JP2006021519A (ja) 2006-01-26
US7726373B2 (en) 2010-06-01
CN1946899A (zh)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977B1 (ko) 코드 펠릿 및 그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
US5697560A (en) Fiberglass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CN1217778C (zh) 用于制造纤维增强塑性材料的方法和设备
EP0497212A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utting fibers
US5954278A (en) Fiberglass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524872B (zh) 一种石墨碳刷成型机填料装置及其使用方法
CN208400993U (zh) 废旧干电池拆分处理系统
KR20030089074A (ko) 폐수지 재생용 압출 성형장치
CN210942471U (zh) 一种三极管分选机的传输机构
CN213315452U (zh) 一种纺织用纺织碎料回收装置
CN212655895U (zh) 短纤维成品后道生产线
CN209797021U (zh) 一种聚乙烯丙纶生产用自动收卷设备
CN1076056C (zh) 纤维切断装置
CN211532769U (zh) 一种自动化卷烟设备
CN210417246U (zh) 一种生产用硬盒卷烟剥离装置
CN208245972U (zh) 干电池切割装置
CN208522029U (zh) 干电池整理装置
CN219505190U (zh) 一种塑料加工用热熔装置
CN213976198U (zh) 一种纺织机械用余料回收装置
CN218007120U (zh) 一种苜蓿草粉加工装置
CN217708290U (zh) 一种全自动通丝裁切机
KR102722592B1 (ko) 폐그물의 파쇄 장치
CN219381153U (zh) 一种橡胶生产用连续炼胶机
CN218804159U (zh) 一种利用废布生产打包带的生产线
CN217535014U (zh) 一种用于针织机的橡筋导向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