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348B1 -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 Google Patents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348B1
KR101163348B1 KR1020117013571A KR20117013571A KR101163348B1 KR 101163348 B1 KR101163348 B1 KR 101163348B1 KR 1020117013571 A KR1020117013571 A KR 1020117013571A KR 20117013571 A KR20117013571 A KR 20117013571A KR 101163348 B1 KR101163348 B1 KR 101163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weld joint
crack
brittl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335A (ko
Inventor
다다시 이시까와
다께히로 이노우에
유우지 하시바
쥰 오오따니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3/00Specially-profiled edge portions of workpieces for making soldering or welding connections; Filling the seams formed thereby
    • B23K33/004Filling of continuous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03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8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 B23K9/028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for welding tub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3Arc welding or cut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welded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2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인 강판을, 서로 맞댐 용접함으로써 강판 용접 조인트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용접 구조체에 있어서, 강판 용접 조인트의 적어도 1개소에, 강판 용접 조인트에 발생한 취성 균열을 강판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하는 내균열 제어부를 설치하여, 내균열 제어부를 구성하는 인서트 부재의 외측 테두리부를, 강판 용접 조인트의 용접 금속부로부터,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15° 이상 50° 이하의 범위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인서트 부재의 횡폭 방향 단부가, 상기 강판의 Kca가 4000N/㎜1.5 이상인 영역에 마주보도록 하여, 용접 조인트에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취성 균열이 용접 조인트나 모재를 전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WELDING STRUCTURE WITH EXCELLENT RESISTANCE TO BRITTLE CRACK PROPAGATION}
본 발명은 용접 조인트에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에, 취성 균열의 전파를 제어, 억제하는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후강판을 사용하여 용접을 적용한 용접 구조물의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그 전파를 제어, 억제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 컨테이너선이나 벌크 캐리어 등의 선박용 용접 구조체, 건축 구조물, 토목 강 구조물로 대표되는 용접 구조체에 있어서는, 취성 균열 등의 파괴에 대한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컨테이너선은 대형화가 현저하여, 예를 들어 6000 TEU 이상의 대형 컨테이너선이 제조되게 되고, 선각 외판의 강판이 후육화 및 고강도화되어, 판 두께 70㎜ 이상이고 항복 강도 390N/㎟급 이상의 강판이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TEU(Twenty feet Equivalent Unit)라 함은, 길이 20피트의 컨테이너로 환산한 개수를 나타내고, 컨테이너선의 적재 능력의 지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대형 컨테이너선은 적재 능력이나 하역 효율의 향상을 위해, 구획벽을 없애고 상부 개구부를 크게 확보한 구조로 되어 있고, 특히 선각 외판이나 내판의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고강도 강판이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용접 구조물을 건조할 때, 건조 비용의 저감이나 건조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대입열 용접(예를 들어,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강판의 판 두께가 증가할수록 용접 공정수가 현저하게 증가하므로, 극한까지 대입열로 용접을 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강판의 용접에 대입열 용접을 적용한 경우, 용접 열영향부(HAZ:Heat Affected Zone)의 인성이 저하되고, HAZ의 폭도 증대되기 때문에, 취성 파괴에 대한 파괴 인성값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 취성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취성 균열의 전파 정지(어레스트)를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내취성 파괴 특성이 우수한 TMCP 강판(Thermo Mechanical Control Process : 열 가공 제어)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TMCP 강판을 사용함으로써, 취성 파괴 발생에 대한 저항값인 파괴 인성값이 향상되므로, 통상의 사용 환경에서는, 구조물이 취성 파괴될 가능성은 극히 낮아진다. 그러나, 지진이나 구조물끼리의 충돌의 사고나 재해 시 등에, 만일, 취성 파괴가 발생하면, 취성 균열이 HAZ를 계속해서 전파하여, 용접 구조물에 큰 파괴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선 등으로 대표되는 용접 구조체에서는, 판 두께 50㎜ 정도의 TMCP 강판 등이 사용되고, 가령, 용접 조인트에서 취성 균열이 발생해도, 용접 잔류 응력에 의해 취성 균열이 용접부로부터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되므로, 모재의 어레스트 성능을 확보하면, 취성 균열을 모재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또한, 6000 TEU를 초과하는 대형 컨테이너선 등, 대형의 용접 구조체에 있어서는, 보다 큰 판 두께의 강판이 더욱 필요해지고, 구조를 더욱 간소화하기 위해 강판의 후육화가 유효하므로, 설계 응력이 높은 고장력강의 후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후강판을 사용한 경우, HAZ의 파괴 인성의 정도에 따라서는, 취성 균열이 모재로 빗나가게 되는 일 없이 HAZ를 따라서 전파될 우려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맞댐 용접 조인트의 일부에 보수 용접[결함 제거, 뒷채움(back-filling) 용접]을 실시하여, HAZ를 따라서 전파되는 취성 균열을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하는 구성으로 된 용접 구조체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용접 구조체에서는, 모재의 파괴 인성이 매우 우수한 경우에는 유효하지만, 모재의 파괴 인성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된 취성 균열이 길게 전파되어, 구조물로서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뒷채움 용접부의 볼륨이 커져, 공정 시간이 길어지는 동시에, 제조 비용도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접 조인트에 발생하는 취성 균열의 전파를 정지시키고 싶은 영역에, 판 형상의 인서트재가 용접선과 교차하도록 관통하여 용접되고, 인서트재로서, 표면이나 이면의 판 두께비 2% 이상의 두께의 표층 영역에 있어서의 집합 조직이 적정화된 것을 사용하는 용접 구조체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용접 구조체를 대형 건조물에 적용한 경우, 예를 들어 용접 조인트를 전파한 취성 균열이, 인서트재를 강판에 용접하는 용접 조인트를 전파하여 인서트재에 돌입하여, 그대로 인서트재의 내부를 전파한 후, 다시 용접 조인트를 전파할 우려가 있다. 한편, 용접 조인트를 전파한 취성 균열이, 인서트재 및 상기 인서트재를 강판에 용접하는 용접 조인트의 위치에서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된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모재의 파괴 인성이 불충분하면 취성 균열이 길게 전파되어, 용접 구조물로서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도 우려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3170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98441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진이나, 충돌 시 등에, 가령 용접 조인트에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취성 균열이 용접 조인트를 전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용접 구조체의 파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용접 조인트에 발생하는 취성 균열의 전파를 정지시키고 싶은 영역에, 별도의 부재로 되는 인서트 부재를 용접선에 교차하도록 관통하여 설치하여, 취성 균열이 용접 조인트나 모재를 전파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있어서, 또한 대형의 용접 구조체의 경우라도 보다 확실하게 균열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해 예의 연구하였다.
이 결과, 인서트 부재의 형상 및 강판 특성을 적정화함으로써, 용접 조인트 및 모재에 있어서의 취성 균열의 전파를 억제하여, 용접 구조체에 대규모의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이하의 내용에 관한 것이다.
[1]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인 강판을, 서로 맞댐 용접함으로써 강판 용접 조인트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용접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적어도 1개소에, 강판 용접 조인트에 발생한 취성 균열을 강판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하는 내균열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균열 제어부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로부터 상기 강판에 걸쳐서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취성 균열의 전파 방향을 강판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하기 위한 인서트 부재 및,
상기 인서트 부재의 외측 테두리부와, 그것에 대향하는 강판 모재가 맞댐 용접되어 형성된 인서트 용접 조인트를 갖고 있고,
상기 인서트 부재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횡폭(W)(㎜) 및 판 두께(t)(㎜)의 각각의 치수가, 하기 수학식 1, 수학식 2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인서트 부재의 취성 균열 주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용접 금속부로부터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양측에,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15° 이상 50° 이하의 각도로 경사져서 연신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취성 균열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는 70° 이상 110° 이하의 각도로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와 교차하고 있고,
상기 인서트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의 용접 금속부의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3(℃)과, 상기 강판의 모재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1(℃)의 관계가, 다음 식, vTrs3≤vTrs1-20으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고,
적어도, 상기 인서트 부재의 횡폭 방향 단부가, 상기 강판의 Kca가 4000N/㎜1.5 이상인 영역에 마주보도록, 상기 내균열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수학식 1]
Figure 112011044647955-pc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11044647955-pct00002
단,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 중에 있어서, T(㎜)는 상기 강판의 판 두께를 나타내고, d(㎜)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의 용접 금속부의 폭을 나타낸다.
[2] 상기 강판의 판 두께가 25㎜ 이상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3] 상기 강판은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6000N/㎜1.5 이상이고, 상기 내균열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인서트 부재의 횡폭 방향 단부가, 상기 강판의 Kca가 6000N/㎜1.5 이상인 영역에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4] 상기 강판은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소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소강판을 서로 맞댐 용접함으로써 소강판 용접 조인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균열 제어부는 상기 인서트 부재의 횡폭 방향 단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인서트 용접 조인트가 상기 소강판 용접 조인트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5] 상기 강판은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소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소강판을 서로 맞댐 용접함으로써 소강판 용접 조인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균열 제어부는 상기 인서트 부재의 횡폭 방향 단부측에 형성되는 상기 인서트 용접 조인트가 상기 소강판 용접 조인트를 포함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소강판 용접 조인트를 이루는 용접 금속부의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4(℃)와, 상기 강판의 모재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1(℃)의 관계가, 다음 식, vTrs4≤vTrs1-20으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접 금속부와 용접 열영향부를 포함하는 부분을 용접 조인트라고 정의한다. 또한,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은 당해 용접 구조체가 사용되는 온도, 혹은 설계 온도에 있어서의 수치이다.
본 발명의 용접 구조체에 따르면, 용접 조인트의 적어도 1개소에, 인서트 부재와 그것과 모재 강판 사이에 형성되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를 갖는 내균열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령 용접 조인트에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용접 조인트를 전파하는 취성 균열을, 내균열 제어부에 의해 강판 모재의 어레스트 성능이 높은 부위로 빗나가게 하거나, 혹은 내균열 제어부에서 저지할 수 있어, 취성 균열이 용접 조인트나 모재를 전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대규모의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용접 구조체를, 높은 생산 효율 및 저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관한 용접 구조체가, 대형 선박을 비롯하여, 건축 구조물이나 토목 강 구조물 등의 각종 용접 구조물에 사용됨으로써, 용접 구조물의 대형화, 파괴에 대한 높은 안전성, 건조에 있어서의 용접의 고능률화, 강재의 경제성 등이 동시에 만족되므로, 그 산업상의 효과는 헤아릴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모식도로, 강판끼리가 용접되어 형성된 강판 용접 조인트의 일부에, 인서트 부재 및 인서트 용접 조인트로 이루어지는 내균열 제어부가 설치된 상태 및 취성 균열의 진전 상황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용접 구조체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로, 강판 용접 조인트의 일부에, 인서트 부재 및 인서트 용접 조인트로 이루어지는 내균열 제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인서트 부재의 형상, 특히 취성 균열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용접 구조체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로, 본 발명에 관한 용접 구조체를 선박용 용접 구조체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용접 구조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 3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용접 구조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 3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용접 구조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 3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접 조인트 시험체의 제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취성 균열 전파성을 평가하기 위한 인장 시험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발명의 취지를 보다 잘 이해시키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이므로, 특별히 지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강판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 발생한 취성 균열은, 주로,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을 전파한다. 이로 인해, 강판 용접 조인트에 발생한 취성 균열이 기점으로 되어, 용접 구조체 전체에 큰 파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취성 균열의 전파 방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용접 구조체에 있어서 균열이 전파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인서트 부재의 형상 및 강재 특성을 더욱 적정화하는 것이 중요한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에 대해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강판(1, 1)을 맞댐 용접하여 형성된 강판 용접 조인트(2)의 도중에, 내균열 제어부(4)를 설치하여 강판 용접 조인트(2)를 분단한다. 내균열 제어부(4)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로부터 상기 강판에 걸쳐서 형성된 관통 구멍(3)에 삽입된 인서트 부재(5)와, 상기 인서트 부재(5)가 강판(1)에 대해 맞댐 용접됨으로써 형성되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6)로 이루어진다. 인서트 부재(5)는 취성 균열의 전파가 예상되는 주대항측을, 강판 용접 조인트(2)에 대해 경사진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한다. 이 내균열 제어부(4)를 설치함으로써, 강판 용접 조인트(2)에 발생한 취성 균열의 전파를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강판 용접 조인트(2)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서 발생한 취성 균열(CR)은 강판(1)과 강판 용접 조인트(2)의 경계(혹은, 강판 모재의 열영향부)를 따라서 전파한다. 균열(CR)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6)에 도달했을 때, 이 조인트의 강판 용접 조인트(2)에 대한 경사 각도가 적절한 경우에는, 균열(CR)은 인서트 용접 조인트(6)에 돌입하지 않고,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1)과 인서트 용접 조인트(6)의 경계(혹은, 강판 모재의 열영향부)를 따라서 전파하고, 인서트 용접 조인트의 횡폭 방향 단부에 있어서 강판(1)의 모재부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모재부에 진입해도 강판(1)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높으면, 거기서 균열(CR)의 진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강판 용접 조인트(2)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인 부대항측으로부터 취성 균열(CR)이 전파되어 온 경우라도, 인서트 부재(5)의 높이, 폭, 두께를 충분히 큰 것으로 해 두면, 도 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 부재(5) 내부에서 균열(CR)의 진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는 반대로, 인서트 부재(5)의 형상에 따라서는, 도 1의 (c)와 같이, 취성 균열이 인서트 부재(5)를 관통하거나, 혹은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따라서 전파해도, 모재측으로 빗나가지 않고 다시 강판 용접 조인트를 전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강판 용접 조인트(2)에 대해 경사진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강판 용접 조인트(2)에 연속해서 형성함으로써, 취성 균열의 진전을 강판 용접 조인트(2)로부터 인서트 용접 조인트(6)로 유도한다고 하는 기본 원리 하에서, 취성 균열의 진전을 저지하는 모재 강판의 조건, 취성 균열의 진전을 제어하는 인서트 부재의 조건 등에 대해 더욱 검토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전체의 구성>
제1 실시 형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재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1A, 1A)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인 강판(1, 1)을 맞댐 용접함으로써 강판 용접 조인트(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예이고, 이하, 이 조인트에 적용한 형태를 용접 구조체(A)라고 호칭하여 설명한다.
용접 구조체(A)에 있어서는, 강판 용접 조인트(2)의 적어도 1개소에, 내균열 제어부(4)가 상기 영역(1A)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내균열 제어부(4)가 설치되는 위치는 충돌이나 지진 등에 의한 큰 파괴 에너지에 노출되었을 때에, 균열의 발생ㆍ전파가 예상되는 강판 용접 조인트의 도중이 바람직하다.
내균열 제어부(4)는 강판(1)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3)에 배치되는 인서트 부재(5)와, 상기 인서트 부재(5)가 강판(1)에 대해 맞댐 용접됨으로써 형성되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6)로 이루어져 있다.
인서트 용접 조인트(6)는 취성 균열의 전파가 예상되는 주대항측을, 강판 용접 조인트(2)에 연속해서 형성하고, 또한 강판 용접 조인트(2)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함으로써, 취성 균열의 진전을 강판 용접 조인트(2)로부터 인서트 용접 조인트로 유도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인서트 부재(5)는 강판 용접 조인트(2)의 용접선(L) 상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테두리부(51, 52)가, 강판 용접 조인트(2)의 길이 방향에 대해 15° 이상 50° 이하의 범위의 각도에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용접 구조체(A)에서는, 인서트 부재(5)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정삼각형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강판>
강판(1)은 모재의 적어도 일부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으로 되는 강재로 이루어진다.
대형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용접 구조체에 있어서는, 전체 영역이 Kca 4000N/㎜1.5 이상의 높은 영역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을 갖는 강재를 사용하여 구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의 열처리에 의해 강판의 일부 영역에서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을 높인 강판이나, 전체 영역이 Kca 4000N/㎜1.5 이상의 강판이라도, 도중의 굽힘 가공 등으로 가열 처리를 받아 일부 영역의 Kca가 저하된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용접 구조체(A)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6)보다도 외측의 부위인 영역(1A)(도 2에 있어서 세로 방향 하측)에 있어서, 모재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으로 되어 있고, 강판 용접 조인트(2)의 용접선(L) 상으로부터 연신되는 인서트 부재(5)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의 후단부(51a, 52a)측에 형성되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6)가 상기 영역(A)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강판(1)의 화학 성분 조성이나 금속 조직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선박용 용접 구조체, 건축 구조물 및 토목 강 구조물 등의 분야에 있어서, 종래 공지의 강판 특성을 구비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량%로, C:0.01 내지 0.18%, Si:0.01 내지 0.5%, Mn:0.3 내지 2.5%, P:0.01% 이하, S:0.001 내지 0.02%를 함유하는 조성을 기본으로 하고, 이 조성에,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서, N:0.001 내지 0.008%, B:0.0001 내지 0.005%, Mo:0.01 내지 1.0%, Al:0.002 내지 0.1%, Ti:0.003 내지 0.05%, Ca:0.0001 내지 0.003%, Mg:0.001 내지 0.005%, V:0.001 내지 0.18%, Ni:0.01 내지 5.5%, Nb:0.005 내지 0.05%, Cu:0.01 내지 3.0%, Cr:0.01 내지 1.0%, REM::0.0005 내지 0.005%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시키고, 잔량부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에 의해 구성되는 강을 들 수 있다.
특히,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6000N/㎜1.5 이상인 강판으로서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302993호 공보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48382호 공보 등에 개시되는 조성의 후강판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 구조체(A)에서는, 상기와 같은 강판(1, 1)이 맞댐 용접됨으로써, 강판 용접 조인트(2)가 형성된다. 또한, 이 강판 용접 조인트(2)에 의해 접합되는 강판(1)의 각각에는 상세를 후술하는 인서트 부재(5)를 배치하기 위한 관통 구멍(3)이, 강판 용접 조인트(2)의 용접선(L)을 중심으로 하여, 강판(1)의 각각에 있어서 대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강판(1)의 판 두께는 25㎜ 이상 15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1)의 판 두께가 이 범위이면, 용접 구조체로서의 강판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상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수한 내취성 균열 전파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40㎜ 이상의 강판을 사용한 용접 구조체에서는, 취성 균열의 전파를 멈추기 위한 유효한 방법이 없고, 판 두께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100㎜ 이하의 강판을 사용한 용접 구조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강판(1)을 이루는 모재의 적어도 일부,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영역(1A)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으로 되어 있지만, 6000N/㎜1.5 이상인 것이,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보다 향상되는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인서트 부재>
인서트 부재(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 용접 조인트(2)에 의해 접합되는 강판(1)의 각각에 걸쳐서 형성된 관통 구멍(3)에, 강판 용접 조인트(2)의 용접선(L)을 중심으로 하여 강판(1)의 각각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대칭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인서트 부재(5)는 강판(1)에 형성된 관통 구멍(3) 내에 노출되는 용접 단부에 대해 맞댐 용접됨으로써 형성되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6)와 함께 내균열 제어부(4)를 구성한다.
인서트 부재(5)는 상술한 바와 같은 내균열 제어부(4)를 구성함으로써, 가령, 강판 용접 조인트(2)에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그 균열의 전파 경로를, 강판 용접 조인트(2)로부터 인서트 용접 조인트(6)로 제어하고, 강판 용접 조인트(2)를 관통하도록 균열이 전파되어 서로 용접된 강판(1, 1)이 분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인서트 용접 조인트(6)는 취성 균열의 전파가 예상되는 주대항측을 강판 용접 조인트(2)로부터 연속해서 형성하고, 또한 강판 용접 조인트(2)에 대해 15° 이상 50° 이하의 범위의 경사 각도(θ1)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의 인서트 부재(5)에서는, 주대항측의 정상부(5a)로부터 연장되는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가, 강판 용접 조인트(2)의 길이 방향에 대해 15° 이상 50° 이하의 범위의 각도(θ1)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서트 부재(5)는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의 후단부(51a, 52a)에, 취성 균열에 대한 부대항측으로 되는 외측 테두리부(53)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정삼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사 각도(θ1)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강판 용접 조인트(2)를 전파하는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이 균열을, 강판 용접 조인트로부터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따라서 진전되도록 유도하여, 강판(1)의 모재측으로 안정적으로 빗나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취성 균열을 효과적으로 정지시켜, 용접 구조체(A)에 대규모의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인서트 부재(5)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의 각도가 50°를 초과하면,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과 외측 테두리부가 직교하는 각도, 즉 90°에 근접해 가므로, 강판 용접 조인트(2)를 전파한 취성 균열을, 강판 용접 조인트로부터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따라서 전파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곤란해져, 강판 용접 조인트를 전파한 취성 균열이 그대로 인서트 부재(5)에 돌입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인서트 부재(5)에 직접 균열이 돌입한 경우에는, 균열이 인서트 부재 내부에서 정지하지 않고, 인서트 부재를 통과하고, 다시 강판 용접 조인트에 돌입하여 전파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인서트 부재(5)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의 각도가 15° 미만이면,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따라서 균열을 전파시켜도, 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를 통과한 균열의 위치가, 원래의 균열 전파 경로인 강판 용접 조인트의 위치와 가까워지므로, 균열이 다시 강판 용접 조인트에 돌입하여 전파될 우려가 있다.
취성 균열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따라서 전파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경사 각도(θ1)의 바람직한 범위는 25° 이상 40° 이하이다.
도 2의 용접 구조체(A)에서는, 인서트 부재(5)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정삼각형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인서트 부재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등변 삼각형이나,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용접선(L)에 대해 비대칭인 3각형,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의 후단부(51a, 52a)를 연결하는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53)가 직선이 아닌 경우도 포함된다.
어떤 경우라도, 인서트 부재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의 후단부(51a, 52a)를 연결하는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53)와 용접선(L)이 이루는 각도(θ2)가 70° 이상 11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이 각도가 상기 범위에 없는 경우에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따라서 전파해 온 취성 균열이, 강판의 모재측으로 빗나가지 않고,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53)를 전파하여, 다시 강판 용접 조인트에 돌입할 우려가 있다. 각도(θ2)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80° 이상 100° 이하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용접선(L)에 대해 한쪽에 θ2를 도시하였지만, 다른 쪽도 마찬가지이다.
용접 구조체(A)에 사용되는 인서트 부재(5)는 강판 용접 조인트(2)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횡폭(W) 및 판 두께(t)의 각각의 치수가, 하기 수학식 1, 수학식 2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44647955-pct00003
[수학식 2]
Figure 112011044647955-pct00004
단,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 중에 있어서, T는 상기 강판의 판 두께를 나타내고, d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의 용접 금속부의 폭을 나타낸다.
또한, 인서트 부재의 횡폭(W)은 인서트 용접 조인트의 용접 금속부의 중점을 기준으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의 인서트 부재의 횡폭(W)은 강판 용접 조인트에 직각인 방향의 최대 폭이다. 또한, 용접 금속부의 폭(d)은 강의 양면에 용접 금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넓은 쪽의 폭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서트 부재의 형상, 치수를 다양하게 바꾸어 용접 구조체의 파괴 시험을 반복해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취성 균열이 강판 용접 조인트나 강판 모재를 장거리에 걸쳐서 전파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는 상기 관계를 얻었다.
수학식 1은 균열을 빗나가게 하는 효과에 대해, 인서트 부재(5)의 폭(W)과 강판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의 용접 금속부의 폭(d)에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강판 용접 조인트(2)를 진전해 온 균열은 인서트 부재(5)에 의해 진전 방향을 변화시켜,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또는 52)를 따라서 진전된다. 그때, 인서트 부재(5)의 횡폭 치수가, 용접 금속부의 폭(d)의 3.2배에 비해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에는, 어레스트 부재의 후단부(51a 또는 52a)에 도달한 균열은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53) 중 좌우 어느 한쪽을 전파하고, 다시, 강판 용접 조인트(2)로 복귀되어, 그대로 진전되어, 정지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외측 테두리부(51, 52)의 후단부(51a, 52a)에 도달한 균열을, 강판(1)을 향하여, 강판 용접 조인트의 용접 금속부에 대략 평행하게 진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은, 시험 시에 인서트 부재(5)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다고 생각되고 있지만, 이 응력은 용접 조인트(2)의 중심을 지나는 용접선(L)과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53)의 교점으로부터, 후단부(51a 혹은 52a)까지의 거리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상관 관계에 의해, 인서트 부재의 폭 치수(W)의 하한값으로서, 상기 수학식 2를 규정하였다. W의 상한값은 설정하고 있지 않지만, 실시 시에는 용접 조인트(2)의 치수에 들어가는 범위로 저절로 규정된다.
또한, 인서트 부재의 높이(H)에 대해서는 규정되지 않지만, W의 하한과 어레스트 부재의 경사 각도의 제한으로부터 그 범위는 규제된다.
수학식 2는 균열을 빗나가게 하는 효과에 대해, 인서트 부재(5)의 판 두께(t)와 강판(1)의 판 두께(T)에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진전되는 균열의 에너지는 강판의 판 두께(T)에 비례하고 있지만, 인서트 부재(5)의 판 두께(t)가, 강판(1)의 판 두께의 0.95배에 비해, 보다 작은 경우에는, 진전되어 온 균열은 빗나가지 않고, 인서트 부재(5)에 돌입할 우려가 커, 균열이 그대로 인서트 부재를 관통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인서트 부재(5)의 각 치수값을 상기 관계로 함으로써, 강판 용접 조인트(2)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균열의 전파 방향을 강판(1)의 모재측으로 효과적으로 빗나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서트 부재의 각 치수값의 관계가,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강판 용접 조인트에 발생한 균열의 상태에 따라서는, 이 균열이 인서트 부재에 진입하여, 강판의 모재측으로 빗나가지 않고 강판 용접 조인트를 전파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인서트 부재의 높이(H)는 균열(CR)을 용접 조인트(2)로부터 충분히 이격할 수 있도록, 250㎜ 이상, 또는 300㎜ 이상, 또한 4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횡폭(W)에 대해서도, 200㎜ 이상, 또는 250㎜ 이상, 또한 3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A)에 있어서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이루는 용접 금속부의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3(℃)과, 강판(1)의 모재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1(℃)의 관계가, 다음의 수학식 3
[수학식 3]
Figure 112011044647955-pct00005
으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이루는 용접 금속부의 인성과 강판(1)의 모재 인성의 관계가 수학식 3을 만족시킴으로써, 가령, 강판 용접 조인트(2)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균열의 전파 방향을, 강판 용접 조인트로부터 인서트 용접 조인트(6)로 유도하여, 강판(1)의 모재측으로 효과적으로 빗나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서트 용접 조인트를 이루는 용접 금속부의 인성과 강판의 모재 인성의 관계가 상기 수학식 3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강판 용접 조인트에 발생한 균열의 상태에 따라서는, 이 균열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에 진입하고, 또한 인서트 부재에 진입할 우려가 있어, 강판의 모재측으로 빗나가지 않고 강판 용접 조인트를 전파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인서트 부재(5)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화학 성분이나 강 특성을 갖는 강판을 전혀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접 구조체는 인서트 부재에 취성 균열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성이므로, 인서트 부재(5)의 재질이나 특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강도나 인성은, 적어도 강판 용접 조인트(2)의 모재 정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서트 부재(5)를 1매만 사용하여 강판(1)에 용접한 구성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매 이상의 인서트 부재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적절하게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취성 균열의 전파 경로의 제어>
상기 구성으로 된 용접 구조체(1A)에 있어서, 강판 용접 조인트(2)에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의, 균열 전파 경로의 제어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 용접 조인트(2)의 길이 방향의 일측(도 2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상측)에서 발생한 취성 균열(CR)은 강판 용접 조인트(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타측(도 2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하측)을 향해 전파를 개시하고(도 2 중 2점 쇄선 화살표를 참조), 계속해서 인서트 용접 조인트(6)에 도달한다.
인서트 용접 조인트(6)는 강판 용접 조인트에 연속해서 경사져서 균열의 전파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으므로, 인서트 용접 조인트(6)의 경사 각도가 적절하면, 균열은, 도시예와 같이, 인서트 부재(5)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51)[또는 외측 테두리부(52)]에 형성된 인서트 용접 조인트(6)로 유도되도록 하여, 인서트 용접 조인트(6)와 강판(1)의 경계를 따라서 전파한다. 그리고, 균열은 인서트 용접 조인트(6)의 횡폭 방향 단부로부터 강판(1)의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되고, 상기 횡폭 방향 단부에 마주보고 위치하고 있는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으로 된 영역(1A)의 내부에서 정지된다.
그 경우, 인서트 용접 조인트(6)의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3(℃)가, 강판(1)의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1(℃)에 대해, 상기 수학식 3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취성 균열(CR)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6)에 진입할 우려가 적어져, 취성 균열의 전파를 보다 확실하게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할 수 있다.
용접 금속의 천이 온도 vTrs3이 모재 강판의 천이 온도 vTrs1보다도 높으면, 강판 용접 조인트(2)를 길이 방향으로 전파한 취성 균열(CR)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6)에 진입하고, 계속해서 인서트 부재(5)에 진입하는 경우도 상정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내균열 제어부(4)가 상기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용접 구조체가 파괴 에너지에 노출되었을 때에 균열의 발생의 가능성이 있는 강판 용접 조인트를 예상하여, 그 용접 조인트의 1개소 혹은 복수 개소에, 균열이 전파되어 오는 방향으로 주대항측을 향하게 하여 내균열 제어부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양 방향으로부터의 진전이 예상되는 강판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는, 인서트 부재의 방향을 바꾸어 2개소의 내균열 제어부를 거리를 두고 설치할 수도 있다.
그때, 내균열 제어부를 따라서 빗나가게 한 균열을 모재부에서 정지시키는 데 충분한 거리를 둘 필요가 있지만, 예를 들어 인서트재의 높이(H)만큼 이격하면 충분하다.
<내균열 제어부의 제작 방법>
이하에, 상술한 바와 같은 용접 구조체(A)에 있어서, 내균열 제어부(4)를 제작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A)는 강판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인 강판을 맞댐 용접하여 형성한 용접 구조체에, 내균열 제어부(4)를 설치하는 예이다.
내균열 제어부는 충돌이나 지진 등에 의한 큰 파괴 에너지에 노출되었을 때에, 균열의 발생ㆍ전파가 예상되는 강판 용접 조인트의 도중에, 적어도 1개소 설치된다. 그때, 강판 용접 조인트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의 횡폭 방향 단부가, 강판의 Kca 4000N/㎜1.5 이상의 영역에 적어도 인접하도록 내균열 제어부(4)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내균열 제어부(4)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서트 부재(5)를 배치하기 위한 관통 구멍(3)을 형성한다. 관통 구멍의 형성에는 강판의 단계에서 관통 구멍으로 되는 부분을 미리 절결하는 방법, 강판을 용접을 위해 임시 조립한 상태에서 절결하는 방법, 혹은 강판을 용접한 후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어떤 방법이라도 좋다. 기존의 용접 구조체에 관통 구멍(3)을 형성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강판의 용접 전에 관통 구멍(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1)의 용접 단부(11, 12)로 개방되도록, 강판을 절결하여 관통 구멍[3(3a, 3b)]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관통 구멍(3a, 3b)으로 되는 부분을 남기고, 각각의 강판(1)의 용접 단부(11, 12)를 맞댐 용접함으로써, 강판 용접 조인트(2)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인서트 부재(5)를, 형성된 관통 구멍(3)에 삽입한다. 계속해서, 인서트 부재(5)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 및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53)를, 그것과 대향하는 강판의 노출된 용접 단부에 대해 각각 맞댐 용접함으로써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수순에 의해, 강판 용접 조인트(2)의 용접선(L)을 중심으로 하여 강판(1)의 각각에 있어서 대칭으로 되도록, 인서트 부재(5)와 인서트 용접 조인트(6)로 이루어지는 내균열 제어부(4)를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균열 제어부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인서트 부재(5)를, 강판 용접 조인트(2)의 용접선(L) 상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테두리부(51, 52)가 강판 용접 조인트(2)의 길이 방향에 대해 15° 이상 50° 이하의 범위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강판(1)에 관통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인서트 부재(5)의 형상은,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를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으로 하고, 인서트 부재(5)의 정상부(5a)가, 강판 용접 조인트(2)의 용접선(L)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인서트 부재(5)의 정상부(5a)로부터 연장되는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를, 강판 용접 조인트(2)의 길이 방향에 대해 15° 이상 50° 이하의 범위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각각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의 후단부(51a, 52a)를 연결하는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53)는 용접선(L)과 70° 이상 110° 이하의 범위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강판(1)끼리 및 강판(1)과 인서트 부재(5)를 맞댐 용접할 때의 용접 방법 및 용접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서트 용접 조인트(6) 자체의 내파괴 인성을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용접 방법으로서, 피복 아크 용접(SMAW)이나 탄산 가스 아크 용접(CO2 용접)을 채용하고, 또한 용접 재료로 되는 와이어의 성분을 고Ni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취성 균열 전파를 가능한 한 억제하고, 또한 강판 용접 조인트(2) 및 인서트 용접 조인트(6)에 있어서 새로운 피로 균열이나 취성 균열의 기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용접 조인트를, 용접 결함이 없도록 용접 금속으로 완전하게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순에 의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 형태의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A)를 제조할 수 있다.
<용접 구조체를 적용한 선박 구조체의 일례>
상술한 용접 구조체(A)를 적용한 선박 구조체의 일례를 도 4의 개략도에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 구조체(70)는 골재(보강재)(71), 데크 플레이트(수평 부재)(72), 선각 내판(수직 부재)(73), 선각 외판(74)을 구비하여 개략 구성된다. 또한, 도시예의 선박 구조체(70)는 선각 내판(73)을 이루는 복수의 강판(1)끼리를 맞댐 용접함으로써 형성되는 강판 용접 조인트(도 3 중에서는 도시 생략)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내균열 제어부(4)가 설치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A)를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선박 구조체(70)에 따르면,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A)의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강판 용접 조인트를 전파하는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내균열 제어부(4)에 의해, 균열의 전파 방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강판 용접 조인트에 발생한 취성 균열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고, 선각 내판(73), 나아가서는 선박 구조체(70)에 대규모의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용접 구조체(B)에 대해, 주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A)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3, 제4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B)는, 도 5에 있어서는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강판(10)의 모재 전체가,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A)와는 다르다.
용접 구조체(B)에 따르면, 강판 용접 조인트(20)에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 강판 용접 조인트(20)를 전파해 온 균열을, 인서트 용접 조인트(6)와 강판 모재의 경계(혹은, 인접하는 모재의 열영향부)를 따라서 전파시켜, 강판(10)의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할 수 있다(도 5 중 2점 쇄선 화살표를 참조).
그리고, 용접 구조체(A)와 마찬가지로, 강판(10)의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된 균열은, 강판(10)에 있어서 즉시 정지하므로, 강판 용접 조인트(20)가 파단되지 않고, 또한 용접 구조체(B)에 대규모의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B)는 강판(10)을 이루는 모재 전체가,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6000N/㎜1.5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용접 구조체(C)에 대해, 주로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용접 구조체(C)는 맞댐 용접되는 강판이, 복수의 소강판을 맞댐 용접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예이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10A)이, 강판 용접 조인트(20A)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소강판(도 6 중 부호 21 내지 부호 24를 참조)을 맞댐 용접하여 형성되고, 이 강판(10A, 10A)을 맞댐 용접하여 형성된 강판 용접 조인트(20A)에, 내균열 제어부(4)가 설치된다.
소강판(21 내지 24) 사이에는 소강판 용접 조인트(25, 26)가 형성되어 있고, 인서트 부재(5)의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53)측에 형성되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6)는 이 소강판 용접 조인트(25, 26)에 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용접 구조체(C)에서는 인서트 부재(5)의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인서트 부재의 횡폭 방향 단부측의 외측 테두리부)(53)는 소강판 용접 조인트(25, 26)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된다.
이와 같이, 용접 구조체(C)는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A, B)와는 다르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도시의 사정상, 소강판으로서 4매의 소강판(21 내지 24)을 도시하고, 소강판(21)과 소강판(22)이 소강판 용접 조인트(25)로 접합되고, 소강판(23)과 소강판(24)이 소강판 용접 조인트(26)로 접합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C)는 소강판(22) 및 소강판(24)을 이루는 모재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으로 되어 있는 한편, 소강판(21) 및 소강판(23)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접 구조체(C)에 따르면, 상술한 용접 구조체(A, B)와 마찬가지로, 강판 용접 조인트(20A)에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이 취성 균열을, 인서트 부재(5)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51(52)] 또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6)에 의해 강판(10A)의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할 수 있다(도 6 중 2점 쇄선 화살표를 참조).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강판 용접 조인트(20A)에 발생한 취성 균열(CR)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6)의 횡폭 방향 단부로부터, 소강판 용접 조인트(25)에 도달하고, 계속해서 상기 횡폭 방향 단부에 마주보고 위치하고 있는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으로 된 소강판(22)에 돌입하고, 그 강판의 내부에서 정지된다.
이와 같이, 강판(10A)의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된 균열은,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높은 소강판(22)에 있어서 즉시 정지하므로, 강판 용접 조인트(20A)가 파단되지 않고, 또한 용접 구조체(C)에 대규모의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C)는 강판(10A)을 이루는 소강판(22, 24)의 모재가,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6000N/㎜1.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용접 구조체(D)에 대해, 주로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용접 구조체(D)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10B)이, 강판 용접 조인트(20B)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소강판(도 7 중 부호 31 내지 부호 34를 참조)을 맞댐 용접하여 형성되고, 이 강판(10B, 10B)을 맞댐 용접하여 형성된 강판 용접 조인트(20B)에, 내균열 제어부(4)가 설치되는 점에서, 제3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C)와 구성이 일부 공통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D)는, 도시예와 같이, 소강판을 맞댐 용접하여 형성된 소강판 용접 조인트(35, 36)가, 인서트 부재(5)의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인서트 부재의 횡폭 방향 단부측의 외측 테두리부)(53)측에 형성되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제3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C)와는 다르다.
또한, 용접 구조체(D)는 소강판 용접 조인트(35, 36)를 이루는 용접 금속부의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4(℃)와, 강판(10B)의 모재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1(℃)의 관계가, 다음의 수학식 4
[수학식 4]
Figure 112011044647955-pct00006
를 만족시키는 관계로 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도, 제3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C)와는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용접 구조체(D)는 강판(10B)을 이루는 모든 소강판(31 내지 34)의 모재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의 용접 구조체(D)는 소강판 용접 조인트(35, 36)가 연결되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접 구조체(D)에 따르면, 상술한 용접 구조체(A 내지 C)와 마찬가지로, 강판 용접 조인트(20B)에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인서트 부재(5)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51(52)], 또는 경사 외측 테두리부[51(52)]를 따라서 형성되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60)에 의해, 취성 균열(CR)을, 강판(10B)의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할 수 있다(도 7 중 2점 쇄선 화살표를 참조).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강판 용접 조인트(20A)에 발생한 취성 균열(CR)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60)의 횡폭 방향 단부로부터, 소강판 용접 조인트(35)에 도달하고, 계속해서, 상기 횡폭 방향 단부에 마주보고 위치하고 있는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으로 된 소강판(32)에 돌입하고, 그 강판의 내부에서 정지된다.
이와 같이, 강판(10B)의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된 균열은,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높은 소강판(32)에 있어서 즉시 정지하므로, 강판 용접 조인트(20B)가 파단되지 않고, 또한 용접 구조체(D)에 대규모의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D)는 강판(10B)을 이루는 모든 소강판(31 내지 34)의 모재가,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6000N/㎜1.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의 실시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원래부터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 후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을 추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용접 구조체의 제조]
우선, 제강 공정에 있어서 용강의 탈산ㆍ탈황과 화학 성분을 제어하여, 연속 주조에 의해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성분의 주괴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일본해사 협회(NK) 규격 선체용 압연 강재 KA32, KA36, KA40의 규격에 준한 제조 조건으로, 상기 주괴를 재가열하여 후판 압연함으로써, 판 두께가 25㎜ 내지 150㎜인 범위의 강판을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이들 강판에 대해 각종 열처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이때의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모재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N/㎜1.5)이 다양한 값으로 되도록 적절하게 조정하였다. 제조한 강판으로부터, 시험편을 적절하게 채취하여, -10℃에 있어서의 Kca 특성을 평가ㆍ확인하는 동시에, 강판의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1(℃)을 측정하였다. 표 1에 Kca 특성 및vTrs1을 더불어 나타냈다.
다음에,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1)의 용접 단부(11, 12)로 개방되도록, 관통 구멍(3a, 3b)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관통 구멍(3a, 3b)의 각각이 용접선(L)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의 관통 구멍(3)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강판(1)의 용접 단부(11, 12)를 맞댐 용접하여, 강판 용접 조인트(2)를 형성함으로써, 강판(1)끼리를 접합하였다.
다음에,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강판을 사용하여, 표 2에 나타내는 형상의 인서트 부재(5)를 제작하고, 이것을,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1)에 형성된 관통 구멍(3)에 삽입하였다. 그리고, 인서트 부재(5)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 및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53)를 각각 대향하는 관통 구멍(3)에 의해 노출한 강판의 용접 단부에 대해 맞댐 용접하고, 인서트 부재(5)와 강판(1)을 접합하였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강판 용접 조인트(2)의 용접선(L)을 중심으로 하여 강판(1)의 각각에 있어서 대칭으로 되도록, 인서트 부재(5)와 인서트 용접 조인트(6)로 이루어지는 내균열 제어부(4)를 형성하였다.
또한, 인서트 부재(5)는, 도 9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53)의 위치가, 강판(1)의 상단부로부터 1000㎜로 되는 장소에 배치하였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 부재(5)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51, 52) 및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53) 및 강판(1)의 관통 구멍(3) 내에 노출되는 용접 단부에는, 판 두께 방향 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130°(수평 라인에 대해 25°)로 되도록 개선 가공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서트 부재(5)의 각 테두리부와, 강판(1)의 관통 구멍(3) 내에 노출되는 용접 단부 사이는, 상기 정점에 있어서 약 3㎜의 루트 간격을 갖게 한 상태로 하여 용접 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상기 수순에 있어서의 강판(1)끼리의 맞댐 용접 및 강판(1)과 인서트 부재(5)의 맞댐 용접은 탄산 가스 아크 용접(CO2 용접)에 의해 행하는 동시에, 이때의 용접 재료로서, 고Ni 성분으로 된 용접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 용접 조인트의 형성 개소에 있어서는, 새로운 균열의 기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용접 조인트를 용접 금속으로 완전히 충전하도록 용접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각 용접 조인트를 냉각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용접 구조체(본 발명예,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각 강판 및 인서트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용접 구조체(본 발명예,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평가 시험]
상기 수순에 의해 제조한 용접 구조체에 대해, 이하와 같은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우선,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험 장치(90)를 준비하는 동시에, 상기 수순으로 제작한 용접 구조체의 샘플의 각각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시험 장치(90)에 설치하였다. 여기서, 도 9의 (b), (c) 중에 도시하는 강판 용접 조인트(2)에 설치한 균열 발생부인 창틀(81)은, 웨지를 갖다대고 소정의 응력을 인가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취성 균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고, 절결 형상의 선단부는 0.2㎜ 폭의 슬릿 가공을 실시한 것이다.
계속해서, 강판 용접 조인트(2)의 용접선(L)과 수직 방향으로 262N/㎟ 혹은 300N/㎟의 인장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강판 용접 조인트(2)에 취성 균열을 발생시켰다. 그리고, 이 취성 균열을, 강판 용접 조인트(2)의 용접선(L) 상에서 전파시킴으로써, 용접 구조체의 내취성 균열 전파성을 평가하였다. 이때의 분위기 온도는 -10℃로 하였다.
그리고, 강판 용접 조인트(2)를 전파한 취성 균열이, 내균열 제어부(4)를 이루는 인서트 용접 조인트(6)에 도달한 후, 그 취성 균열이 전파하는 방향 및 정지 위치를 확인하고, 균열의 전파, 정지의 형태를 도 1의 (b), (c)에 대응하는, 이하에 나타내는 2단계(b, c)로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b] … 취성 균열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에 도달하고, 계속해서 강판 모재와 인서트 용접 조인트의 경계를 따라서 전파한 후, 강판의 모재측으로 빗나가, 강판에 있어서 즉시 정지하였다[도 1의 (b)의 형태].
[c] … 취성 균열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에 도달한 후, 이 인서트 용접 조인트에 진입하고, 또한 인서트 부재를 관통한 후, 그대로 강판 용접 조인트를 전파하였다[도 1의 (c)의 형태].
또한, [b]의 경우에 대해, 균열의 전파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한 점수(최고값 10)에 의해 내균열 전파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강판의 화학 성분 조성, 모재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N/㎜1.5) 및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1(℃)의 일람을 표 1에 나타내는 동시에, 인서트 부재(5)의 강판 특성 및 형상, 인서트 용접 조인트(6)를 형성할 때의 용접 조건, 강판(1)을 맞댐 용접하여 강판 용접 조인트(2)를 형성할 때의 용접 조건 및 취성 균열의 전파의 평가 결과의 일람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44647955-pct00007
Figure 112011044647955-pct00008
Figure 112011044647955-pct00009
Figure 112011044647955-pct00010
Figure 112011044647955-pct00011
또한, 표 2, 표 4에 있어서, 주1 내지 주4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1 : 강판(1) 내의 영역(1A) 이외의 영역을 의미한다.
주2 : 도면에 기초한, 2종류의 강판의 조합을 나타낸다.
주3 : 판 두께를 4:1로 분할한 X 개선에 대해, 강판의 양면으로부터,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에 의해 맞댐 용접하였다. 이때의 큰 쪽의 적용 입열량을 나타낸다.
주4 : 판 두께의 절반씩, 강판의 양면으로부터 일렉트로 가스 아크 용접에 의해 맞댐 용접하였다. 이때의 입열량을 나타낸다.
[평가 결과]
표 2 내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제1 발명예 내지 제29 발명예는 도 5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B)에 관한 예이고, 본 제30 발명예 내지 제32 발명예는 도 6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C)에, 본 제33 발명예, 제34 발명예는 도 7에 도시하는 제4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D)에, 본 제35 발명예는 도 2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용접 구조체(A)에 각각 관한 예이다.
또한, 표 4, 표 5에 나타내는 제1 비교예 내지 제8 비교예는 용접 구조체(B)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비교예이고, 제9 비교예 내지 제11 비교예는 용접 구조체(C)와, 제12 비교예는 용접 구조체(D)와, 제13 비교예는 용접 구조체(A)와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갖는 비교예이다.
표 2,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용접 구조체(본 제1 발명예 내지 제29 발명예)는 취성 균열의 전파의 결과가, 모두 [b]의 형태로 되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용접 구조체가, 용접 조인트에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균열이 용접 조인트나 모재를 전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용접 구조체의 파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제1 비교예 내지 제13 비교예의 용접 구조체는 강판의 모재 특성, 인서트 부재의 형상, 인서트 용접 조인트의 특성 중 어느 하나가 본 발명의 규정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으므로, 내취성 균열 전파의 결과가 모두 [c]의 형태로 되어, 취성 균열의 진전을 멈출 수 없었던 예이다.
제1 비교예의 용접 구조체는 인서트 부재의 횡폭(W)이 불충분하고, 또한 인서트 부재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의 각도(θ1)가 부적절한 예이다.
제2 비교예, 제3 비교예는 각도(θ1)가 부적절한 예이고, 제4 비교예, 제5 비교예는 인서트 부재의 취성 균열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의 각도(θ2)가 부적절한 예이다.
제6 비교예는 인서트 부재의 판 두께(t)가 불충분한 동시에,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의 각도(θ2)가 부적절한 예이다.
제7 비교예는 강판 용접 조인트의 모재부(강판 모재)의 Kca값이 불충분한 것과 함께 또한 인서트 부재의 판 두께가 불충분하고, 또한 경사 외측 테두리부의 각도(θ1)가 부적절한 예이다.
제8 비교예, 제9 비교예는 강판 용접 조인트의 모재부(강판 모재)의 Kca값이 불충분한 예이고, 제10 비교예, 제11 비교예는 경사 외측 테두리부의 각도(θ1)가 부적절한 예이다.
제12 비교예는 용접 금속부의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4가 부적절한 예이고, 제13 비교예는 영역(1A)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부적절한 예이다.
이상의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용접 구조체가, 용접 조인트에 취성 균열이 발생한 경우라도, 균열이 용접 조인트나 모재를 전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용접 구조체의 파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것이 명백하다.
A, B, C, D : 용접 구조체
1, 10, 10A, 10B : 강판
1A : 영역(적어도 인서트 부재 및 인서트 용접 조인트의 횡폭 방향 단부에 마주보고 위치하는 강판의 부위)
2, 20, 20A, 20B : 강판 용접 조인트
3, 3a, 3b : 관통 구멍
4 : 내균열 제어부
5 : 인서트 부재
51, 52 : 인서트 부재의 취성 균열 주대항측으로부터 연신되는 경사 외측 테두리부
51a, 51b : 인서트 부재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의 후단부(인서트 부재의 횡폭 방향 단부)
53 : 취성 균열에 대한 부대항측으로 되는 인서트 부재의 외측 테두리부
6, 60 : 인서트 용접 조인트
25, 26, 35, 36 : 소강판 용접 조인트
21, 22, 23, 24, 31, 32, 33, 34 : 소강판
70 : 선박 구조체
L : 용접선
θ1 : 인서트 부재의 경사 외측 테두리부의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2 : 인서트 부재의 취성 균열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가 강판 용접 조인트와 교차하는 각도

Claims (5)

  1.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인 강판을, 서로 맞댐 용접함으로써 강판 용접 조인트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용접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적어도 1개소에, 강판 용접 조인트에 발생한 취성 균열을 강판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하는 내균열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균열 제어부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로부터 상기 강판에 걸쳐서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취성 균열의 전파 방향을 강판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하기 위한 인서트 부재 및,
    상기 인서트 부재의 외측 테두리부와, 거기에 대향하는 강판 모재가 맞댐 용접되어 형성된 인서트 용접 조인트를 갖고 있고,
    상기 인서트 부재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횡폭(W)(㎜) 및 판 두께(t)(㎜)의 각각의 치수가, 하기 수학식 1, 수학식 2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인서트 부재의 취성 균열 주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용접 금속부로부터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양측에,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15° 이상 50° 이하의 각도로 경사져서 연신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취성 균열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는 70° 이상 110° 이하의 각도로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와 교차하고 있고,
    상기 인서트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의 용접 금속부의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3(℃)과, 상기 강판의 모재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1(℃)의 관계가, 다음 수학식,
    vTrs3≤vTrs1-20
    으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고,
    적어도, 상기 인서트 부재의 횡폭 방향 단부가, 상기 강판의 Kca가 4000N/㎜1.5 이상인 영역에 마주보도록, 상기 내균열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강판은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2 이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강판을 서로 맞댐 용접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용접 조인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균열 제어부는 상기 인서트 부재의 취성 균열 부대항측에 형성되는 상기 인서트 용접 조인트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용접 조인트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수학식 1]
    Figure 112012010088318-pct00012

    [수학식 2]
    Figure 112012010088318-pct00013

    단,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 중에 있어서, T(㎜)는 상기 강판의 판 두께를 나타내고, d(㎜)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의 용접 금속부의 폭을 나타낸다.
  2.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4000N/㎜1.5 이상인 강판을, 서로 맞댐 용접함으로써 강판 용접 조인트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용접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적어도 1개소에, 강판 용접 조인트에 발생한 취성 균열을 강판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하는 내균열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균열 제어부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로부터 상기 강판에 걸쳐서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취성 균열의 전파 방향을 강판 모재측으로 빗나가게 하기 위한 인서트 부재 및,
    상기 인서트 부재의 외측 테두리부와, 거기에 대향하는 강판 모재가 맞댐 용접되어 형성된 인서트 용접 조인트를 갖고 있고,
    상기 인서트 부재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횡폭(W)(㎜) 및 판 두께(t)(㎜)의 각각의 치수가, 하기 수학식 1, 수학식 2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인서트 부재의 취성 균열 주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용접 금속부로부터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양측에,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15° 이상 50° 이하의 각도로 경사져서 연신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취성 균열 부대항측의 외측 테두리부는 70° 이상 110° 이하의 각도로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와 교차하고 있고,
    상기 인서트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의 용접 금속부의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3(℃)과, 상기 강판의 모재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1(℃)의 관계가, 다음 수학식,
    vTrs3≤vTrs1-20
    으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고,
    적어도, 상기 인서트 부재의 횡폭 방향 단부가, 상기 강판의 Kca가 4000N/㎜1.5 이상인 영역에 마주보도록, 상기 내균열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강판은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2 이상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강판을 서로 맞댐 용접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용접 조인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균열 제어부는 상기 인서트 부재의 취성 균열 부대항측에 형성되는 상기 인서트 용접 조인트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용접 조인트를 포함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용접 조인트를 이루는 용접 금속부의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4(℃)와, 상기 강판의 모재 인성을 나타내는 취성-연성 파면 천이 온도 vTrs1(℃)의 관계가, 다음 식,
    vTrs4≤vTrs1-20
    으로 나타내는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수학식 1]
    Figure 112012010088318-pct00023

    [수학식 2]
    Figure 112012010088318-pct00024

    단,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 중에 있어서, T(㎜)는 상기 강판의 판 두께를 나타내고, d(㎜)는 상기 강판 용접 조인트에 있어서의 용접 금속부의 폭을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판 두께가 25㎜ 이상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Kca)이 6000N/㎜1.5 이상이고, 상기 내균열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인서트 부재의 횡폭 방향 단부가, 상기 강판의 Kca가 6000N/㎜1.5 이상인 영역에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5. 삭제
KR1020117013571A 2009-01-14 2010-01-14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KR101163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06037 2009-01-14
JP2009006037 2009-01-14
PCT/JP2010/050654 WO2010082676A1 (ja) 2009-01-14 2010-01-14 耐脆性き裂伝播性に優れた溶接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335A KR20110095335A (ko) 2011-08-24
KR101163348B1 true KR101163348B1 (ko) 2012-07-05

Family

ID=4233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571A KR101163348B1 (ko) 2009-01-14 2010-01-14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390048B1 (ko)
JP (1) JP4772922B2 (ko)
KR (1) KR101163348B1 (ko)
CN (1) CN102209607B (ko)
DK (1) DK2390048T3 (ko)
TW (1) TW201036747A (ko)
WO (1) WO2010082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979B1 (ko) * 2010-07-14 2012-09-26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이음부 및 용접 구조체
JP5600654B2 (ja) * 2011-04-26 2014-10-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発泡性レゾール型フェノール樹脂成形材料
JP5365761B2 (ja) * 2011-09-13 2013-12-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接構造体
BR112014005504A2 (pt) * 2011-09-13 2017-03-21 Japan Marine United Corp estrutura soldada
CN107558618B (zh) * 2017-10-12 2023-07-21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钢板连接装置及其偏差调整方法
WO2019102912A1 (ja) * 2017-11-22 2019-05-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厚鋼板の脆性き裂伝播停止性能の評価方法
CN112894260B (zh) * 2021-01-22 2022-09-09 西部超导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阀块裂纹修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2155A (en) * 1974-11-29 1976-05-29 Kobe Steel Ltd Sentaino sensokugaihanno yosetsuhoshuhoho
JPH08248382A (ja) 1995-03-13 1996-09-27 Sony Corp 面順次カラー表示装置
JP4733955B2 (ja) * 2003-10-08 2011-07-2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脆性き裂伝播性に優れた溶接構造体の溶接方法
JP4410715B2 (ja) * 2004-04-09 2010-02-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脆性き裂伝播性に優れた溶接構造体の溶接方法および溶接構造体
JP4790364B2 (ja) 2005-10-05 2011-10-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脆性き裂伝播性に優れた溶接構造体
JP4058097B2 (ja) * 2006-04-13 2008-03-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アレスト性に優れた高強度厚鋼板
JP4309946B2 (ja) * 2007-03-05 2009-08-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脆性き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厚手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82676A1 (ja) 2012-07-12
CN102209607B (zh) 2014-04-30
CN102209607A (zh) 2011-10-05
WO2010082676A1 (ja) 2010-07-22
DK2390048T3 (da) 2014-08-25
JP4772922B2 (ja) 2011-09-14
KR20110095335A (ko) 2011-08-24
EP2390048A1 (en) 2011-11-30
EP2390048B1 (en) 2014-07-16
TW201036747A (en) 2010-10-16
EP2390048A4 (en) 2012-11-07
TWI372673B (ko) 201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0B1 (ko)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KR101163348B1 (ko)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체
KR101177254B1 (ko) 용접 구조체의 맞댐 용접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772729B1 (ko) 내취성 파괴 발생 특성이 우수한 대입열 맞대기 용접이음부
KR102001923B1 (ko) 용접 구조체
JP2014508646A (ja) 優れた延性引き裂き強度を持つ高靱性溶接金属
WO2014018206A1 (en) High strength steel weld metal for demanding structural applications
JPWO2013157557A1 (ja) 隅肉アーク溶接継手及びその形成方法
KR101179033B1 (ko) 내취성 균열 전파성을 갖는 용접 구조체
JP2005329461A (ja) 脆性き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溶接鋼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40007762A (ko) 용접 구조체
KR101185979B1 (ko) 내취성 균열 전파성이 우수한 용접 이음부 및 용접 구조체
JP5052976B2 (ja) 耐脆性き裂伝播特性に優れた多層盛突合せ溶接継手及び溶接構造体
JP5935395B2 (ja) 溶接組立四面箱形断面部材の角溶接用開先部
KR20200021548A (ko) 용접 구조체
JP2010162570A (ja) 耐脆性き裂伝播性を有する溶接構造体
JP2010162571A (ja) 耐脆性き裂伝播性に優れた鋼板溶接継手及び溶接構造体
JP2007275922A (ja) 耐脆性き裂発生特性に優れた大入熱溶接継手
Verma et al. Double Jointing Technology for Strain-Based Design (SBD) Pipe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