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119B1 -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 Google Patents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119B1
KR101161119B1 KR1020110091572A KR20110091572A KR101161119B1 KR 101161119 B1 KR101161119 B1 KR 101161119B1 KR 1020110091572 A KR1020110091572 A KR 1020110091572A KR 20110091572 A KR20110091572 A KR 20110091572A KR 101161119 B1 KR101161119 B1 KR 10116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eet
pvc
fvc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폴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폴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폴이앤지
Priority to KR102011009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02Provisions for preventing vegetational growth, e.g. fungi, algae or mo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5 중량% ~ 60 중량%의 PVC, 30 중량% ~ 60 중량%의 재생PVC, 5 중량% ~ 20 중량%의 노화방지제, 5 중량% ~ 20 중량%의 산화방지제로 조성된 PVC방근필름층과; 상기 PVC방근필름층 하부에 마련되며, 30 중량% ~ 64 중량%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 중량% ~ 10 중량%의 불론아스팔트, 5 중량% ~ 15중량%의 SBS고무, 5 중량% ~ 20 중량%의 석유화학수지, 5 중량% ~ 20 중량%의 송진, 5 중량% ~ 13 중량%의 나프텐오일, 2 중량% ~ 10 중량%의 파라핀오일, 2 중량% ~ 5 중량%의 아로마틱오일, 1 중량% ~ 4 중량%의 DOP, 2 중량% ~ 5 중량%의 폴리부텐, 5 중량% ~ 10 중량%의 중탄, 1 중량% ~ 3 중량%의 방향족 아민류 노화방지제로 조성된 점착방수층과; 상기 점착방수층 하부면에 탈부착가능토록 부착되는 박리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PVC방근필름층은 탄성력, 인장력이 뛰어나 방근성능이 향상되며, 점착방수층은 고온 시 흘러내림이 없으며, 저온 시 깨지는 문제점이 극복되어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내한성, 신장율이 우수한 점착방수층은 점착력이 강해서 울퉁불퉁한 바탕면 등에 프라이머의 도포와 같은 선시공 없이도 신속, 편리하게 부착되는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SELF-ADHESION TYPE ROOT ISOLATION SHEET FOR AND ROOT ISO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브이씨방근시트의 탄성력과 인장력을 향상시켜 방근성능을 향상시키고, 점착방수층의 내한성과 신장률을 향상시켜 고온 시 흘러내림의 문제와 저온 시 깨지는 문제를 해소시켜 시공기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울퉁불퉁한 바탕면 등에 선시공 없이도 강력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점착방수층이 구비되도록 한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 방수재 및 방근재는 지하 구조물,교량, 터널,공동구 및 상,하수 처리시설과 같은 토목 구조물 그리고 아파트 및 지하시설을 두는 건물 등에 적용된다
그리고, 해마다 도심권에는 많은 건축물들이 세워지는 데, 이로 인해 자연녹지는 사라지고 자연환경도 파괴되어 점차 사람에게 유익한 산소 등의 공급이 부족해짐은 물론 도시의 미관도 악화되어 간다.
녹화시스템은 단층이나 고층건물의 옥상에 조경하는 녹화시설을 말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표면 또는 지표면 상부에 시설된 인공 구조물상의 조경시설 구조물로서 자연지반에서 분리된 부분에 인공적인 지형지질로서의 지반을 새로이 조성하여 조경공간으로 이용하는 터전(Community Space Arrangement)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녹화시스템은 건물의 옥상 또는 지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도시의 부족한 녹지공간을 충족시켜 줄 뿐만 아니라 각종 식재물을 설치하고 휴식공간을 조성하여 곤충이나 식물을 위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고 또한 사람들에게는 휴식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서는 이러한 구조체 정원의 증가로 도시는 인공적인 도시보다는 자연환경적인 도시로 변해갈 것이고 이렇게 된다면 자연적으로 대기오염도 줄어들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또는 옥상을 녹화하는 주된 이유는 최상층에서의 차열이나 단열에 대해 큰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고, 녹화를 통해 경관의 개선, 기온의 조정, 공기의 정화 등을 실현할 수 있으며, 작은 새나 곤충, 물고기 등과의 공생을 꾀하여 자연생태계를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3가지 이유 이외에도 녹화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는 방재, 빗물에 대한 대책, 프라이버시의 확보, 취미생활(원예, 텃밭 가꾸기)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그러나, 현재 방근시트의 개발 년도가 적어 뿌리의 침투가 불가능한 재질 정도만 검토되고 있는 수준이다. 따라서, 방근시트를 시공할 때 발생하는 이음부(2)를 통하여 뿌리(3)가 점차 방수층(1)으로 침투하게 되고, 결국, 뿌리(3)가 방수층(1)을 손상시켜 물 또는 습기가 방수층(1) 하부로 침투하여 구조체에 누수현상이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의 옥상녹화 방법에서는 식물의 뿌리성장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발생으로 인한 누수발생 및 토양층(4)의 상시 습윤으로 인한 방수층의 열화가속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식물뿌리에 의한 콘크리트 슬라브층(5) 및 슬라브층 위에 도포된 방수층(1)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과 필요에 의하여 식물의 뿌리가 방수층까지 도달하지 못하도록 방수재 또는 방수층의 상부에 부착되는 방수층보호필름 또는 방근층을 열가소성이 우수한 PVC로 시트화하고 시트와 시트의 접합부를 PVC끼리 상호 열융착되게 하여 방근시트가 완전히 일체화되게 함으로써, 접합부를 통하여 식물뿌리가 나오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25 중량% ~ 60 중량%의 PVC, 30 중량% ~ 60 중량%의 재생PVC, 5 중량% ~ 20 중량%의 노화방지제, 5 중량% ~ 20 중량%의 산화방지제로 조성된 PVC방근필름층과; 상기 PVC방근필름층 하부에 마련되며, 30 중량% ~ 64 중량%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 중량% ~ 10 중량%의 불론아스팔트, 5 중량% ~ 15중량%의 SBS고무, 5 중량% ~ 20 중량%의 석유화학수지, 5 중량% ~ 20 중량%의 송진, 5 중량% ~ 13 중량%의 나프텐오일, 2 중량% ~ 10 중량%의 파라핀오일, 2 중량% ~ 5 중량%의 아로마틱오일, 1 중량% ~ 4 중량%의 DOP, 2 중량% ~ 5 중량%의 폴리부텐, 5 중량% ~ 10 중량%의 중탄, 1 중량% ~ 3 중량%의 방향족 아민류 노화방지제로 조성된 점착방수층과; 상기 점착방수층 하부면에 탈부착가능토록 부착되는 박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PVC방근필름층의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테두리 소정 폭에는 점착방수층이 부착되지 않는 시트이음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PVC방근필름층은, 160℃ ~ 170℃로 예열된 인텐시브 믹서에 25 중량% ~ 60 중량%의 PVC와 15 중량% ~ 30 중량%의 재생PVC를 투입하여 30분 ~ 40분 중합시킨 후, 15 중량% ~ 30 중량%의 재생PVC와 5 중량% ~ 20 중량%의 노화방지제, 5 중량% ~ 20 중량%의 산화방지제를 투입하여 40분 ~ 50분 동안 중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점착방수층은, 170℃ ~ 185℃ 예열된 자켓탱크에 21 중량% ~ 46 중량%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3 중량% ~ 10 중량%의 불론아스팔트, 5 중량% ~ 15중량%의 SBS고무를 투입하여 30분 ~ 40분 동안 교반 및 중합한 후, 자켓탱크를 160℃ ~ 170℃로 냉각하여 투입된 SBS고무 중 잘 녹지 않은 부타다이엔(Butadiene)은 트리고널 믹서를 40분 ~ 50분 동안 가동하여 미세하게 분쇄되면서 용융되게 하여 1차 화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자켓탱크에 1차 화합물과 9 중량% ~ 19 중량%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 중량% ~ 20 중량%의 석유화학수지, 5 중량% ~ 20 중량%의 송진을 투입하여 30분 ~ 40분 동안 중합시켜 2차 화합물을 조성한 후, 상기 2차 화합물을 다른 자켓탱크에 투입하고, 5 중량% ~ 13 중량%의 나프텐오일, 2 중량% ~ 10 중량%의 파라핀오일, 2 중량% ~ 5 중량%의 아로마틱오일, 2 중량% ~ 5 중량%의 폴리부텐을 투입하여 40분 ~ 50분 동안 혼합하면서 130℃ ~ 140℃까지 냉각되면, 상기 자켓탱크에 5 중량% ~ 10 중량%의 중탄, 1 중량% ~ 3 중량%의 방향족 아민류 노화방지제를 투입하여 30분 ~ 40분 동안 혼합하면서 130℃ 이하로 냉각시킨 후, 1 중량% ~ 4 중량%의 DOP를 투입하여 20분 ~ 30분 동안 혼합하면서 115℃ ~ 120℃까지 냉각시켜 조성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제1항에 의한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박리지를 제거한 후 이물질이 제거된 바탕면에 점착방수층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일측에 노출된 바탕면에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박리지를 제거한 후 점착방수층을 부착시키되,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PVC방근필름층 일측 상부에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시트이음부 하부에 인접한 점착방수층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PVC방근필름층에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점착방수층이 일부 부착되면,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시트이음부를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PVC방근필름층 상부면에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 및 방수방근공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일측 PVC방근필름층에는 적어도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점착방수층이 30mm 이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PVC방근필름층에 열융착되는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시트이음부는 적어도 3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는 PVC수지에 재생PVC 및 첨가제가 첨가되어 조성된 PVC방근필름층이 필름의 형태로 점착방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PVC방근필름층을 개질시키지 않아도 탄성력, 인장력이 뛰어나 나무뿌리, 식물뿌리나 기타 열악한 환경에서도 표면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점착방수층은 불론 아스팔트를 첨가하여 고온 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온에서 깨지는 문제점이 극복됨에 따라, 기후에 관계없이 부착력이 보장되므로 시공이 간편해져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방수층의 내한성이 뛰어나고, 신장율이 우수하며 점착력이 강해서 거친 콘크리트, 울퉁불퉁한 바탕면 등에 프라이머의 도포 등 다양한 선시공 없이도 신속, 편리하게 부착할 수 있어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방근시트가 옥상녹화시스템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시공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가 옥상녹화시스템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100)는 PVC방근필름층(101)과 점착방수층(102) 및 박리지(103)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PVC방근필름층(101)은 25 중량% ~ 60 중량%의 PVC(Polyvinyl chloride), 30 중량% ~ 60 중량%의 재생PVC(Polyvinyl chloride), 5 중량% ~ 20 중량%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중합되어 조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필름형태이다.
즉, PVC수지에 재생 PVC와 첨가제를 더 첨가시켜 탄성력과 인장력을 향상시킨 PVC필름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VC방근필름층(101)은 160℃ ~ 170℃로 예열된 인텐시브 믹서에 25 중량% ~ 60 중량%의 PVC와 15 중량% ~ 30 중량%의 재생PVC를 투입하여 30분 ~ 40분 중합시킨다.
상기 PVC와 재생PVC의 수치를 한정하는 이유는, 상기한 비율로 중합시켰을 때 탄성력과 인장력이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재생PVC를 활용함에 있어서도 PVC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PVC와 재생PVC가 중합되면, 여기에, 다시 15 중량% ~ 30 중량%의 재생PVC와 5 중량% ~ 20 중량%의 노화방지제, 5 중량% ~ 20 중량%의 산화방지제를 투입하여 40분 ~ 50분 동안 중합하여 이루어진 폴리머를 150℃ ~ 160℃로 예열된 압출기에 투입하여 일정한 규격의 칩형태로 PVC수지를 생산 후, 물로 냉각시킨 후 건조시킨다.
여기서, 상기 노화방지제는, 노화현상의 주요 인자(因子)인 산소에 의해서 자동산화되는 연쇄반응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노화가 시작되기 전에 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본 발명과 같이 고온에서 중합할 때 연쇄반응이 특히 활발히 일어나므로, 반드시 첨가되어야 하는 것이고, 상기한 PVC와 재생PVC의 함량에 따라 5 중량% ~ 20 중량%를 투입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아울러,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소의 작용에 의한 자동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서, PVC와 재생PVC의 함량에 따라 5 중량% ~ 20 중량%를 투입할 때 가장 효율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산된 칩은, 압출기에 티다이(T-Die)가 부착된 시트기계에 투입하되, 이때, 압출기의 온도는 160℃ ~ 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따라서, 상기 시트기계의 압출기와 T-Die를 거치면서 칩형태로 이루어진 PVC수지는 용융되고, 두 개의 냉각롤러를 통과 하면서 일정한 규격의 시트가 형성됨과 더불어 후속으로 연계된 다수 개의 냉각롤러를 거치면서 필름형태의 시트로 생산되는 것이다.
상기한 PVC방근필름층(101)은 하술하게 될 점착방수층(102)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절연 및 방근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건축물 내,외에 식재 등을 통한 옥상녹화시공 시 식물뿌리에 대한 구조물 침투 문제, 침투로인한 누수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점착방수층(102)은 상기한 PVC방근필름층(101) 하부에 부착 또는 접착되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PVC방근필름층(101)과는 접착력이 우수하여 박리 또는 탈리현상으로부터 안정성이 보장된다.
상기한 점착방수층(102)은 30 중량% ~ 64 중량%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 중량% ~ 10 중량%의 불론아스팔트, 5 중량% ~ 15중량%의 SBS고무, 5 중량% ~ 20 중량%의 석유화학수지, 5 중량% ~ 20 중량%의 송진, 5 중량% ~ 13 중량%의 나프텐오일, 2 중량% ~ 10 중량%의 파라핀오일, 2 중량% ~ 5 중량%의 아로마틱오일, 1 중량% ~ 4 중량%의 DOP, 2 중량% ~ 5 중량%의 폴리부텐, 5 중량% ~ 10 중량%의 중탄, 1 중량% ~ 3 중량%의 방향족 아민류 노화방지제를 중합하여 조성된 후 일정한 두께로 재가공되어 상기한 PVC방근필름층(101)의 하부면에 접착된다.
상기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30 중량% ~ 64 중량%의 함량비를 갖는 이유는 불론아스팔트와 SBS고무 및 석유화학수지와 중합되었을 때, 도막 자체의 강도 및 신율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점착 및 접착성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여기서, 불론아스팔트는 석유 아스팔트에 공기를 불어넣어 탄성력을 크게 만든 아스팔트로서, 신장성?방수성?점착성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약하지만,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3 중량% ~ 10 중량%의 불론아스팔트를 중합하면, 탄성이 크고 충격에 대한 저항력과 방수성이 우수하며, 탄성 및 신장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3 중량% ~ 10 중량%의 불론아스팔트, 5 중량% ~ 15중량%의 SBS고무, 5 중량% ~ 20 중량%의 석유화학수지의 구성비는 상기한 스틀이트 아스팔트와 중합되었을 때 가장 이상적인 구성비라 할 수 있다.
아울러, 5 중량% ~ 20 중량%의 송진은 접착력과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비보다 적은 양을 사용하게되면, 그 효과가 미비하고, 그 이상을 사용하면 오히려 너무 무르게 되어 인장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점착방수층(102)는, 자켓탱크를 170℃ ~ 185℃로 예열시키고, 이 자켓탱크에 21 중량% ~ 46 중량%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3 중량% ~ 10 중량%의 불론아스팔트, 5 중량% ~ 15중량%의 SBS고무를 투입하여 30분 ~ 40분 동안 교반 및 중합한다.
그리고, 상기한 자켓탱크를 160℃ ~ 170℃로 냉각하여 투입된 SBS고무 중 잘 녹지 않은 부타다이엔(Butadiene)은 트리고널 믹서를 40 ~ 50분 동안 가동하여 미세하게 분쇄하면서 용융되게 하여 1차 화합물이 조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된 1차 화합물이 완전히 용융되면 9 중량% ~ 19 중량%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 중량% ~ 20 중량%의 석유화학수지, 5 중량% ~ 20 중량%의 송진을 투입하여 30분 ~ 40분 동안 혼합하여 2차 화합물을 조성한다.
또한, 상기 2차 화합물을 다른 자켓탱크에 투입하고, 5 중량% ~ 13 중량%의 나프텐오일, 2 중량% ~ 10 중량%의 파라핀오일, 2 중량% ~ 5 중량%의 아로마틱오일, 2 중량% ~ 5 중량%의 폴리부텐을 투입하여 40분 ~ 50분 동안 혼합하면서 130℃ ~ 140℃까지 냉각시킨다.
상기한 나프텐오일, 파라핀오일, 아로마틱오일은 분산성을 개선시키고 무비산 특성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고, 그 혼합량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 혼합량이 각각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비산 효과와 분산성이 개선되지만 상대적으로 물성이 떨어지게 될 우려가 있고, 그 혼합량이 각각 상기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얻어진 조성물의 비산 양이 증가하여 본 발명에서 얻고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힘들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2 중량% ~ 5 중량%의 폴리부텐은 유화된 액상 점착제로서, 그 혼합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얻어진 조성물이 가공기기에서 비산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지만 물성을 조절하기기가 어려울 우려가 있고, 그 혼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얻어진 조성물의 물성을 조절하기가 용이하지만 가공기기 내에서 실리카의 비산 양이 증가하게 되어 작업환경을 개선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자켓탱크에 5 중량% ~ 10 중량%의 중탄, 1 중량% ~ 3 중량%의 방향족 아민류 노화방지제를 투입하여 30분 ~ 40분 동안 혼합하면서 130℃ 이하로 냉각시킨다.
삭제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130℃로 냉각시킨 자켓탱크에 1 중량% ~ 4 중량%의 DOP를 투입하여 20분 ~ 30분 동안 혼합하면서 115℃ ~ 120℃까지 냉각시킨다.
여기서, DOP는 조성물의 성질을 더욱 부드럽고 연질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조성수치 한정 이유는 상기의 수치 구간일때 가장 좋은 효과를 볼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상태를 시트 생산 시까지 유지시켜 점착방수층(102)이 제조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PVC방근필름층(101) 하부에 점착방수층(102)이 부착되면, 점착방수층(102)의 하부에는 탈부착이 자유로운 박리지(103)가 부착되며, 적재, 운반, 운송 시에는 박리지(103)를 부착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고, 방수방근시공 작업 시에는 상기 박리지(103)를 점착방수층(102)으로부터 탈리시켜 곧바로 점착방수층(102)이 바탕면(104)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점착방수층(102)은 PVC방근필름층(101)의 양측 또는 일측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부터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PVC방근필름층(101)의 일측 또는 양측 테두리에는 도 2와 도 3과 같이 점착방수층(102)이 접착되지 않은 시트이음부(101a)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100)를 본 발명에 따른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100)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의 작용설명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수방근시공을 하고자 하는 영역의 콘크리트 등과 같은 피착면 또는 바탕면(104)에 방수시공을 하기 위하여 바탕면(104)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바탕면(104)의 정리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바탕면(104)에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100a)의 박리지(103)를 탈착하여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100a)의 점착방수층(102)을 바탕면(104)에 도 3과 같이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100a)에 연접한 바탕면(104)에 부착되도록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100b)의 박리지(103)를 탈착하여 바탕면(104)에 부착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100b)의 PVC방근필름층(101)에 형성된 시트이음부(101a)가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100a)의 PVC방근필름층(101) 상부의 일측에 겹쳐지게 함과 동시에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100b)의 점착방수층(102)의 일부가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100a)의 PVC방근필름층(101)에 부착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이음부(101a)의 폭은 3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100a)의 PVC방근필름층(101)에 부착될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100b)의 점착방수층(102)의 폭(102a)도 3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100a)에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100b)의 점착방수층(102)이 부착되면, 상기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100b)의 PVC방근필름층(101)과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100a)의 PVC방근필름층(101)을 고주파 또는 산소 토오치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열융착시켜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100a)의 PVC방근필름층(101)과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100b)의 PVC방근측 또는 시트이음부(101a)가 일체화될 수 있게 한다.
방수방근시공할 영역 전반에 걸쳐 상기한 바와 같이 피브이씨방근시트(100)를 연접하여 시공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피브이씨방근시트(100)는 일체화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방수방근시공 후 그 상부에 도 4와 같이 토양(110)이 배토되고 식물(120)이 재배되어 뿌리(121)가 성장하게 되더라도 이 뿌리(121)가 피브이씨방근시트(100)의 이음부 즉, 피브이씨방근시트(100)와 피브이씨방근시트(100)의 시트이음부(101a)에 의한 접합부 또는 이음부가 완전히 일체로 융착된 상태이므로 피브이씨방근시트(100)의 하부로 통과되어 점착방수층(102)을 파괴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100 : 피브이씨방근시트 101 : PVC방근필름층
102 : 점착방수층 103 : 박리지
104 : 바탕면 110 : 토양
120 : 식물 121 : 뿌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25 중량% ~ 60 중량%의 PVC, 30 중량% ~ 60 중량%의 재생PVC, 5 중량% ~ 20 중량%의 노화방지제, 5 중량% ~ 20 중량%의 산화방지제로 조성된 PVC방근필름층과, 상기 PVC방근필름층 하부에 마련되며, 30 중량% ~ 64 중량%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 중량% ~ 10 중량%의 불론아스팔트, 5 중량% ~ 15중량%의 SBS고무, 5 중량% ~ 20 중량%의 석유화학수지, 5 중량% ~ 20 중량%의 송진, 5 중량% ~ 13 중량%의 나프텐오일, 2 중량% ~ 10 중량%의 파라핀오일, 2 중량% ~ 5 중량%의 아로마틱오일, 1 중량% ~ 4 중량%의 DOP, 2 중량% ~ 5 중량%의 폴리부텐, 5 중량% ~ 10 중량%의 중탄, 1 중량% ~ 3 중량%의 방향족 아민류 노화방지제로 조성된 점착방수층과, 상기 점착방수층 하부면에 탈부착가능토록 부착되는 박리지를 포함하는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와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 중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박리지를 제거한 후 이물질이 제거된 바탕면에 점착방수층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일측에 노출된 바탕면에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박리지를 제거한 후 점착방수층을 부착시키되,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PVC방근필름층 일측 상부에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시트이음부 하부에 인접한 점착방수층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PVC방근필름층에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점착방수층이 일부 부착되면,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시트이음부를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PVC방근필름층 상부면에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 및 방수방근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일측 PVC방근필름층에는 적어도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점착방수층이 30mm 이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 및 방수방근공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브이씨방근시트의 PVC방근필름층에 열융착되는 제2 피브이씨방근시트의 시트이음부는 적어도 3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 및 방수방근공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VC방근필름층은,
    160℃ ~ 170℃로 예열된 인텐시브 믹서에 25 중량% ~ 60 중량%의 PVC와 15 중량% ~ 30 중량%의 재생PVC를 투입하여 30분 ~ 40분 중합시킨 후, 15 중량% ~ 30 중량%의 재생PVC와 5 중량% ~ 20 중량%의 노화방지제, 5 중량% ~ 20 중량%의 산화방지제를 투입하여 40분 ~ 50분 동안 중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 및 방수방근공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방수층은,
    170℃ ~ 185℃ 예열된 자켓탱크에 21 중량% ~ 46 중량%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3 중량% ~ 10 중량%의 불론아스팔트, 5 중량% ~ 15중량%의 SBS고무를 투입하여 30분 ~ 40분 동안 교반 및 중합한 후, 자켓탱크를 160℃ ~ 170℃로 냉각하여 잘 녹지 않은 부타다이엔(Butadiene) 등은 트리고널 믹서를 40분 ~ 50분 동안 가동하여 미세하게 분쇄되면서 용융되게 하여 1차 화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자켓탱크에 1차 화합물과 9 중량% ~ 19 중량%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 중량% ~ 20 중량%의 석유화학수지, 5 중량% ~ 20 중량%의 송진을 투입하여 30분 ~ 40분 동안 중합시켜 2차 화합물을 조성한 후,
    상기 2차 화합물을 다른 자켓탱크에 투입하고, 5 중량% ~ 13 중량%의 나프텐오일, 2 중량% ~ 10 중량%의 파라핀오일, 2 중량% ~ 5 중량%의 아로마틱오일, 2 중량% ~ 5 중량%의 폴리부텐을 투입하여 40분 ~ 50분 동안 혼합하면서 130℃ ~ 140℃까지 냉각되면, 상기 자켓탱크에 5 중량% ~ 10 중량%의 중탄, 1 중량% ~ 3 중량%의 방향족 아민류 노화방지제를 투입하여 30분 ~ 40분 동안 혼합하면서 130℃ 이하로 냉각시킨 후, 1 중량% ~ 4 중량%의 DOP를 투입하여 20분 ~ 30분 동안 혼합하면서 115℃ ~ 120℃까지 냉각시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를 이용한 방근 및 방수방근공법.

KR1020110091572A 2011-09-09 2011-09-09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10116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572A KR101161119B1 (ko) 2011-09-09 2011-09-09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572A KR101161119B1 (ko) 2011-09-09 2011-09-09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119B1 true KR101161119B1 (ko) 2012-06-28

Family

ID=4668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572A KR101161119B1 (ko) 2011-09-09 2011-09-09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1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985A (ko) 2014-06-09 2015-12-17 박경연 방수방근공법
KR20160046348A (ko) * 2014-10-20 2016-04-29 박경연 방수, 방근 구조 및 공법
CN114368203A (zh) * 2022-01-17 2022-04-19 雨中情防水技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耐根穿刺pvc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638U (ja) * 1993-01-19 1994-08-09 宇部興産株式会社 防根性防水材シート
KR20020089881A (ko) * 2001-05-25 2002-11-30 (주)그린폴 재생수지를 이용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20090040615A (ko) * 2007-10-22 2009-04-27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 및 접착 쿠킹재와 pvc필름을이용한 복합방수방근층 구조와 그 복합방수방근공법 및여기에 사용되는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 및 접착 쿠킹재
KR20110057699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배수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638U (ja) * 1993-01-19 1994-08-09 宇部興産株式会社 防根性防水材シート
KR20020089881A (ko) * 2001-05-25 2002-11-30 (주)그린폴 재생수지를 이용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20090040615A (ko) * 2007-10-22 2009-04-27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 및 접착 쿠킹재와 pvc필름을이용한 복합방수방근층 구조와 그 복합방수방근공법 및여기에 사용되는 고무화 아스팔트 점착 및 접착 쿠킹재
KR20110057699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배수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985A (ko) 2014-06-09 2015-12-17 박경연 방수방근공법
KR102032707B1 (ko) 2014-06-09 2019-10-16 주식회사 지엔에스 방수방근공법
KR20160046348A (ko) * 2014-10-20 2016-04-29 박경연 방수, 방근 구조 및 공법
KR101976792B1 (ko) * 2014-10-20 2019-08-28 박경연 방수, 방근 구조 및 공법
CN114368203A (zh) * 2022-01-17 2022-04-19 雨中情防水技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耐根穿刺pvc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CN114368203B (zh) * 2022-01-17 2023-11-24 雨中情防水技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耐根穿刺pvc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90777A1 (en)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biobased materials
KR100872127B1 (ko) 방근시트와 이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EP2885361B1 (de) Wasserdichte membran mit guter haftung zu beton
KR100924114B1 (ko)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 및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와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EP3067393B1 (en) Void reducing asphalt membrane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asphalt paving applications
KR102006275B1 (ko) 아스팔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CN101100889A (zh) 防植物根刺的屋面种植防水卷材及其生产方法
KR101161119B1 (ko) 자착식 피브이씨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102006272B1 (ko) 부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101881318B1 (ko)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KR100711994B1 (ko) 옥상녹화용 방수방근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20120190776A1 (en)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biobased materials
KR100887404B1 (ko) 건축용 방수 및 방근 시공방법
KR101027655B1 (ko) 옥상 및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방근층을 겸비한 고무아스팔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CN105925244B (zh) 一种水性环氧沥青防水粘结层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20138496A (ko) 복합형 방수방근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시공 방법
KR20200000973A (ko) 복합 방수층
JP5413676B2 (ja) 防草シートを含む防草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90102024A (ko) 방근시트 및 방근시트 시공방법
KR102092819B1 (ko) 방근성이 강화된 복합방수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4591621B1 (ja) 防草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06245161U (zh) 一种适用于隧道用阻燃sbs沥青复合式路面结构
KR102032707B1 (ko) 방수방근공법
KR101345436B1 (ko)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겔상 도막 방수조성물이 포함된 이중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1544B1 (ko) 방근 시공용 실링제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방근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