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644B1 -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644B1
KR101160644B1 KR1020110059312A KR20110059312A KR101160644B1 KR 101160644 B1 KR101160644 B1 KR 101160644B1 KR 1020110059312 A KR1020110059312 A KR 1020110059312A KR 20110059312 A KR20110059312 A KR 20110059312A KR 101160644 B1 KR101160644 B1 KR 101160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hoistway
door
elevat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귀동
Original Assignee
전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귀동 filed Critical 전귀동
Priority to KR1020110059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2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4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직경과 높이를 갖는 원통형의 승강로를 형성하되,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는 외부 전원에 의해 소정의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공급관을 통해 소정의 공기를 승강로 하부로 주입시켜 상기 승강로에 설치된 케이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상기 승강로와 케이지가 실린더 역할을 수행하여 공압이 작용하는 면적이 매우 넓어 저압의 공압으로도 케이지에 탑승한 승객 또는 물건의 층간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구성부품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설치시 소요되는 비용 및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 에너지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안전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The elevator using air pressure}
본 발명은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로의 상부에는 외부 전원에 의해 소정의 공기압을 발생하는 콤프레서와 압축탱크를 설치하고, 상기 압축탱크에 압축되어 있는 공기를 컨트롤밸브에 의해 승강로의 제1연결부재에 형성된 공기유입로를 통해 승강로 하부로 유입시켜 승강로에 설치된 케이지를 일정 높이로 승/하강시켜 승객이나 물건 등을 용이하게 층간 이동시킬 수 있는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에 형성된 승강로에 설치되는 케이지에 승객이나 물건을 탑재하여 층간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운송수단으로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와 유압식 엘리베이터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모터를 구동하거나 유압실린더를 고압으로 신축시켜 상기 케이지를 층간 이동시키므로 전력 소비가 많아 에너지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성 부품 및 설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설치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어 공사비를 증가시키고, 소모성 부품이 많이 사용되어 엘리베이터 운행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부담으로 가중되었으며, 많은 수의 안전장치에 의한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고압의 유압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가 높아져 엘리베이터에 대한 이용자들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 직경과 높이를 갖는 원통형의 승강로를 형성하되,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는 외부 전원에 의해 소정의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공급관을 통해 소정의 공기를 승강로 하부로 주입시켜 상기 승강로에 설치된 케이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상기 승강로와 케이지가 실린더 역할을 수행하여 공압이 작용하는 면적이 매우 넓어 저압의 공압으로도 케이지에 탑승한 승객 또는 물건의 층간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구성부품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설치시 소요되는 비용 및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 에너지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안전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객이나 물건을 층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일정 높이를 갖는 다수의 패널을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패널 사이의 양측에는 공기유입로가 형성된 제1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패널의 전/후방에는 상부에 각각 도어작동용 센서장치가 장착된 제2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일정 높이 및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다수 적층시킨 후 다수의 연결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패널 중 어느 하나의 패널에는 도어가 일체로 설치된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소정의 공기를 배출하는 콤프레서와, 상기 콤프레서로부터 발생되는 공기가 충진되는 압축탱크와, 상기 압축탱크와 상기 공기유입로를 연결하는 공급관 상에 설치되어 압축탱크 내의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밸브로 이루어진 구동부와; 상기 승강로를 따라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 높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공기의 누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패킹이 설치되고, 상부 양측에는 가이드롤러가 일체로 장착된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가 건물의 각층에 정지하여 승객의 탑승 또는 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의 상부 전/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로의 제2연결부재에 설치된 도어작동용 센서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로에 설치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부와; 상기 승강로를 형성하는 하부 패널 일측에는 배출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승강로와 케이지 사이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케이지를 안전하게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패널은 90°로 형성된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판을 4개 1조로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에 형성된 연결홈에 각각 상기 패널의 양단을 삽입,고정시키고, 상기 패널의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요홈과 요철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패널을 상/하 연속적으로 적층시 요홈과 요철이 결합되어 소정의 높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승강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로드에 일단이 힌지 고정된 링크와, 상기 링크의 타단이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후크의 상부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톱퍼로 이루어져 각층 정지시 케이지가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과 고정시에 도어작동용 센서장치를 작동시켜 도어가 작동되게 하므로 케이지의 정지시에는 도어가 열리게 되고, 또한 케이지가 이동하기 위하여 록킹부가 원위치하면 도어작동용 센서장치 역시 원위치가 되고 상기 도어는 닫혀 상기 케이지 이동중에는 도어가 오픈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을 보장하는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와 케이지가 실린더 역할을 하여 공압 작용 면적이 매우 넓어 저압의 공압으로도 작동이 가능케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구성부품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설치시 소요되는 비용 및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경제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 에너지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안전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 예시도.
도 3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연결부재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연결상태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5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의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작동용 센서장치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와 도어작동용 센서장치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100)와, 구동부(200), 케이지(300), 록킹부(400) 및 배출구(5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로(100)는 상기 케이지(300)가 건물의 상/하부로 층간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정 높이를 갖는 다수의 패널(110)을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패널(110) 사이의 양측에는 공기유입로(124)가 형성된 제1연결부재(120)가 설치되고, 상기 패널(110)의 전/후방에는 상부에 각각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가 장착된 제2연결부재(130)를 설치하여 일정 높이 및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다수 적층시킨 후 다수의 연결대(15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패널(110) 중 어느 하나의 패널(110)에는 도어(160)가 일체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즉,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120)(13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홈(122)(132)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로(100)를 형성하는 다수의 패널(110)은 90°로 형성된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판을 4개 1조로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120)(130)에 형성된 연결홈(122)(132)에 각각 상기 패널(110)의 양단을 삽입,고정시키고, 상기 패널(110)의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요홈(112)과 요철(114)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패널(110)을 연속적으로 적층시 요홈(112)과 요철(114)이 결합되어 소정의 높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승강로(100)를 형성할 수가 있게 되는데, 상기 패널(110)은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핀(142)과, 상기 핀(142)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는 스프링(144)과, 상기 핀(142)의 하부와 접지되는 작동편(146)과 상기 작동편(146)의 눌림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승강로(100)의 패널(110)에 설치된 도어(16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48)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케이지(300)를 공기압에 의해 상기 승강로(100) 내부에서 승/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외부 전원에 의해 소정의 공기를 배출하는 콤프레서(210)와, 상기 콤프레서(210)로부터 발생되는 공기가 충진되는 압축탱크(220)와, 상기 압축탱크(220)와 상기 공기유입로(124)를 연결하는 공급관(222) 상에 설치되어 압축탱크(220) 내의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밸브(230)를 상기 승강로(100)의 상부에 일체로 설치하면 되나, 상기 승강로(100) 상부외 별도의 공간에 상기 구동부(200)를 설치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공급관(222)을 연장시켜 상기 공기유입로(124)와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지(300)는 승객이나 물건을 탑승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승강로(100)를 따라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 높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공기의 누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패킹(310)이 설치되고, 상부 양측에는 가이드롤러(320)를 일체로 설치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120)의 내측 돌출된 부분을 따라 상기 케이지(300)가 안전하게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로(100)와 케이지(300)가 실린더 튜브와 실린더 로드 기능을 수행하는 실린더 구조가 되게 하면 된다.
상기 록킹부(400)는 상기 케이지(300)가 이동하고자 하는 층까지 승/하강하면 상기 케이지(300)를 정지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승객의 승/하차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즉, 상기 케이지(300)가 건물의 각층에 정지하여 승객의 탑승 또는 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300)의 상부 전/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로(100)의 제2연결부재(130)에 설치된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로(100)에 설치된 도어(16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록킹부(400)는 상기 케이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410)와, 상기 솔레노이드(410)의 로드(412)에 일단이 힌지 고정된 링크(414)와, 상기 링크(414)의 타단이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후크(416)의 상부는 회전축(4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대(420) 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4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톱퍼(422)로 이루어져 각층 정지시 케이지(300)가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과 고정시에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를 작동시켜 도어(160)가 작동되게 하므로 케이지(300)의 정지시에는 도어(160)가 열리게 되고, 또한 케이지(300)가 이동하기 위하여 록킹부(400)가 원위치하면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 역시 원위치가 되고 상기 도어(160)는 닫혀 상기 케이지(300) 이동중에는 도어(160)가 오픈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밸브(500)는 상기 케이지(300)의 하강시 승강로(100)와 케이지(300) 사이에 주입된 공기가 적정한 속도 배출되게 하여 상기 케이지(300)가 안전하게 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승강로(100)의 하부 패널(110)에 일체로 설치하여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수의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작용은 먼저, 건물의 내부에 승강로(100)를 일정 높이로 조립 및 설치하고, 상기 승강로(100)의 상부나 별도의 공간에 구동부(200)를 설치하며, 상기 승강로(100)의 내부에 케이지(300)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지(300)의 상부에 록킹부(400)를 각각 설치한 다음 상기 구동부(200)의 콤프레서(210)를 외부 전원에 의해 작동시켜 압축탱크(130)에 공기를 압축 저장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해당층을 누르게 되면 상승시는 상기 구동부(200)의 컨트롤밸브(230)가 개방되어 상기 공급관(222)을 통해 압축된 공기가 승강로(100)를 이루는 패널(110)을 고정 및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120)의 공기유입로(124)를 거쳐 상기 케이지(300)의 하부로 신속하게 주입되면 상기 케이지(300)의 하부에 설치된 패킹(310)에 의해 케이지(300) 하부는 일정한 공기압이 유지되고, 케이지(300)의 상부는 대기압 상태가 되어 상기 케이지(300)의 상/하부에 압력차가 발생하여 탑승 하중과 케이지(300) 무게를 극복할 압력차가 생겨 케이지(300)는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지(300)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320)가 제1연결부재(120)의 공기유입로(124)에 의해 돌출된 부분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케이지(300)가 원하는 위치로 안전하고 정숙하게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지(300)의 하강시는 승강로(100) 하부에 형성된 배출밸브(500)를 작동시켜 상기 케이지(300) 하부의 공압을 배출시켜 압력을 낮추게 되면, 탑승 하중과 케이지(300) 무게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케이지(300)의 하강속도는 배출밸브(500)의 배출량을 조절하므로 가능하며 상기 배출밸브(5000는 일반적인 공압기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지(300)의 상승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유는 아래의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가능하게 된다.
1) 엘리베이터 적정기준
* 국내 검사기준 - 소형엘리베이터
- 용량 200Kg 이하
- 180Kg/m²
- 속도 0.15M/S(9M/Min) 이하
* 설치표준
- 외부 Cage 지름 (내경) : 1,230mm(t10)
- 내부 Cage 지름(내경) : 1,150mm(t10기준)-높이 2100
- 행정거리 (2층기준) : 4800
- 승강속도 : 0.15M/S(9M/Min)
2) 승강하중
2-1) 내부 케이지 무게
- 재질 : Polycarbonate(비중 1.2)
- 무게계산
(1) 순 Cage무게
π/4(1170² - 1150²)x2100x1.2x10 + π/4(1170²)x10tx2x1.2x10
= 116.9+45.5=162.4Kg
(2) Locking + Bracking 장치 : 약 25Kg
(3) 기타 : 약 10Kg
계 : 162.4+25+10=197.4Kg
2-2) 용량
- 면적 : π/4(1.15²) x 180 = 187Kg
적용하중 합계 : 무게 + 용량 = 197.4+187 = 373.7 Kg
2-3) 마찰력
- 내,외부 Cage에 패킹을 이용 공기압 누출 방지
- 내부 Cage 승강시 패킹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
- 마찰력
적용하중x마칠계수(약 0.3) = 373.7x0.3=112.11
* 승강하중 = 적용하중 + 마찰력 = 373.7+112.11=485.81Kg
여유고려 설계하중 500 Kg
3) 상승력 계산
3-1) 기본적 압력
- Cage 하부 : 공기압> 1Kg/Cm²(P)
- 내부 cage 상부 : 대기압 = 1Kg/Cm²(Po)
- 진공력 작용 수압부
. Cage 내부 단면적 : π/4(117 Cm² ) = 10,751Cm²
3-2) 공기압에 작용력 계산
- 공기압 누수율 30% 가정(효율 70%)
- 승강하중 작용시 압력차 P
10,751 x P x 효율 = 500
P = 500/(0.7x10,751) = 0.066
P = Po + P = 1.0+0.066=1.066=1.07
즉, 공기압이 1.07 이상일 경우 상승이 시작됨.
수압부가 넓으므로 적은 압력으로도 작동이 가능하므로 공기 누유가 어느 정도가 되어도 무방함(상기 식은 누수율 30%를 가정할 경우 1.07, 50%를 가정해도 공기압이 1.11 이상이 될 경우는 상승작동이 됨).
상기와 같은 조건에 의해 상기 케이지(300)가 해당층까지 상승하면 상기 구동부(200)의 컨트롤밸브(230)의 조절에 의해 일정량의 공기가 케이지(300) 하부와 승강로(100) 사이에 계속해서 유입되어 상기 케이지(300)가 정지층의 높이보다 일정 높이 더 상승하여 정지하면, 상기 록킹부(400)가 작동하여 케이지(300)가 정지하게 되는데, 상기 록킹부(400)의 작동은 먼저, 솔레노이드(410)의 작동에 의해 로드(412)가 신장되면 상기 로드(412)와 힌지 결합된 링크(414)가 회동하며 전진하게 되고, 상기 링크(414)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후크(416)가 회전축(418)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지지대(420)에 형성된 스톱퍼(422)와 접하여 수평상태가 되어 상기 승강로(100)의 패널(110)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130)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제2연결부(130)에 설치된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지 정지시에는 탑승 하중과 케이지 무게에 의하여 후크의 추가 회전은 스톱퍼(422)가 방지하게 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130)는 록킹부(400)의 후크(416)가 수평상태시 간섭이 방지되고,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도 8과 같이 적정길이가 커팅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는 상기 록킹부(400)의 후크(416) 저면에 스프링(144)의 탄성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핀(142)을 누르게 되고, 상기 핀(142)의 하부에 위치된 작동편(146)이 눌려지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48)의 작동에 의해 도어잠금장치(도시하지 않음)가 해제되어 상기 승강로(100)에 설치되는 도어(160)를 개방할 수 있게 되며, 개방된 도어(160)를 통해 승객 또는 물건의 승/하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지(300)의 하강시는 케이지를 먼저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록킹부(400)를 작동시켜 후크(416)를 원위치 되게 하는데, 상기 솔레노이드(410)의 작동에 의해 로드(412)가 압축되면 상기 로드(412)와 힌지 결합된 링크(414)가 회동하며 후진하게 되고, 상기 링크(414)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후크(416)가 회전축(418)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지지대(420)에 형성된 스톱퍼(422)와 접하여 원위치 상태가 되어 상기 승강로(100)의 패널(110)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130)의 컷팅된 부분을 벗어나게 한 후 상기 승강로(100) 하부에 형성된 배출밸브(500)를 개방하여 상기 승강로(100)와 케이지(300) 하부에 주입된 공압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배출시키면 상기 케이지(300)를 안전하게 하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는 상기 록킹부(400)의 후크(416) 저면에 스프링(144)에 탄성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핀(142)을 밀어 올리게 되고, 상기 핀(142)의 하부에 위치된 작동편(146)이 풀어지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48)의 작동에 의해 도어잠금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작동되어 상기 승강로(100)에 설치되는 도어(160)를 밀폐함과 동시 도어(160)를 록킹 고정하여 밀폐된 도어(160)는 케이지 작동시는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승강장 대기시 상기 도어(160) 개방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당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적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100 : 승강로 110 : 패널
120 : 제1연결부재 122, 132 : 연결홈
124 : 공기유입로 130 : 제2연결부재
140 : 도어작동용 센서장치 142 : 핀
144 : 스프링 146 : 작동편
148 : 마이크로스위치 150 : 연결대
160 : 도어 200 : 구동부
210 : 콤프레서 220 : 압축탱크
230 : 컨트롤밸브 240 : 공급관
300 : 케이지 310 : 패킹
320 : 가이드롤러 400 : 록킹부
410 : 솔레노이드 412 : 로드
414 : 링크 416 : 후크
418 : 회전축 420 : 지지대
422 : 스톱퍼

Claims (4)

  1.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객이나 물건을 층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일정 높이를 갖는 다수의 패널(110)을 수직으로 설치하되, 상기 패널(110) 사이의 양측에는 공기유입로(124)가 형성된 제1연결부재(120)가 설치되고, 상기 패널(110)의 전/후방에는 상부에 각각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가 장착된 제2연결부재(130)를 설치하여 일정 높이 및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다수 적층시킨 후 다수의 연결대(15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패널(110) 중 어느 하나의 패널(110)에는 도어(160)가 일체로 설치된 승강로(100)와;
    상기 승강로(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소정의 공기를 배출하는 콤프레서(210)와, 상기 콤프레서(210)로부터 발생되는 공기가 충진되는 압축탱크(220)와, 상기 압축탱크(220)와 상기 공기유입로(124)를 연결하는 공급관(222) 상에 설치되어 압축탱크(220) 내의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밸브(230)로 이루어진 구동부(200)와;
    상기 승강로(100)를 따라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 높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공기의 누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패킹(310)이 설치되고, 상부 양측에는 가이드롤러(320)가 일체로 장착된 케이지(300)와;
    상기 케이지(300)가 건물의 각층에 정지하여 승객의 탑승 또는 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300)의 상부 전/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로(100)의 제2연결부재(130)에 설치된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로(100)에 설치된 도어(16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부(400)와;
    상기 승강로(100)를 형성하는 하부 패널(110) 일측에는 배출밸브(500)를 설치하여 상기 승강로(100)와 케이지(300) 사이에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케이지(300)를 안전하게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120)(13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홈(122)(132)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로(100)를 형성하는 다수의 패널(110)은 90°로 형성된 일정 높이와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판을 4개 1조로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120)(130)에 형성된 연결홈(122)(132)에 각각 상기 패널(110)의 양단을 삽입,고정시키고, 상기 패널(110)의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요홈(112)과 요철(114)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패널(110)을 연속적으로 적층시 요홈(112)과 요철(114)이 결합되어 소정의 높이와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승강로(10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핀(142)과, 상기 핀(142)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는 스프링(144)과, 상기 핀(142)의 하부와 접지되는 작동편(146)과 상기 작동편(146)의 눌림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승강로(100)의 패널(110)에 설치된 도어(16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48)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400)는 상기 케이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410)와, 상기 솔레노이드(410)의 로드(412)에 일단이 힌지 고정된 링크(414)와, 상기 링크(414)의 타단이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후크(416)의 상부는 회전축(4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대(420) 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4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톱퍼(420)로 이루어져 각층 정지시 케이지(300)가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과 고정시에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를 작동시켜 도어(160)가 작동되게 하므로 케이지(300)의 정지시에는 도어(160)가 열리게 되고, 또한 케이지(300)가 이동하기 위하여 록킹부(400)가 원위치하면 도어작동용 센서장치(140) 역시 원위치가 되고 상기 도어(160)는 닫혀 상기 케이지(300) 이동중에는 도어(160)가 오픈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KR1020110059312A 2011-06-17 2011-06-17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KR10116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312A KR101160644B1 (ko) 2011-06-17 2011-06-17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312A KR101160644B1 (ko) 2011-06-17 2011-06-17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644B1 true KR101160644B1 (ko) 2012-06-28

Family

ID=4668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312A KR101160644B1 (ko) 2011-06-17 2011-06-17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6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31451A1 (it) * 2013-09-05 2015-03-06 Donzelli S R L Vano corsa di un ascensore comprendente almeno un pannello di tamponatura curvo in policarbonato
KR101922048B1 (ko) * 2016-12-22 2019-02-13 (주)신우 프론티어 진공식 엘리베이터
US20230202800A1 (en) * 2020-06-02 2023-06-29 Killakathu Ramanathan Babu A guide rail-pillar system of pneumatic vacuum elevator and a method to operate the same
US11807494B2 (en) 2020-06-02 2023-11-07 Killakathu Ramanathan Babu Landing lever assembly of a pneumatic vacuum elevator and method to operate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3439A (en) 1975-12-16 1977-06-20 Kikai Kouei Kk Method of constructing passageway for lift
JP2001026384A (ja) 1999-07-16 2001-01-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空気圧式昇降装置
JP2001151438A (ja) 1999-11-30 2001-06-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流体圧駆動式エレベータ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3439A (en) 1975-12-16 1977-06-20 Kikai Kouei Kk Method of constructing passageway for lift
JP2001026384A (ja) 1999-07-16 2001-01-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空気圧式昇降装置
JP2001151438A (ja) 1999-11-30 2001-06-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流体圧駆動式エレベータ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31451A1 (it) * 2013-09-05 2015-03-06 Donzelli S R L Vano corsa di un ascensore comprendente almeno un pannello di tamponatura curvo in policarbonato
WO2015033363A1 (en) * 2013-09-05 2015-03-12 Donzelli S.R.L. Elevator shaft for an elevator comprising at least one curved closure/filler panel made of polycarbonate
KR101922048B1 (ko) * 2016-12-22 2019-02-13 (주)신우 프론티어 진공식 엘리베이터
US20230202800A1 (en) * 2020-06-02 2023-06-29 Killakathu Ramanathan Babu A guide rail-pillar system of pneumatic vacuum elevator and a method to operate the same
US11807494B2 (en) 2020-06-02 2023-11-07 Killakathu Ramanathan Babu Landing lever assembly of a pneumatic vacuum elevator and method to operate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644B1 (ko)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EP0550904B1 (en) Pneumatic vacuum lift elevator
US20190135586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CZ298415B6 (cs) Výtah
CN110407060B (zh) 配重重量可调的无动力电梯
CN106276511B (zh) 套筒式单双层可切换电梯系统
WO2018011459A1 (en) Elevator arrangement for safe maintenance work
US2927661A (en) Elevator for lifting persons or loads
WO2011030325A1 (en) Safety devices for elevators with reduced clearances
KR101922048B1 (ko) 진공식 엘리베이터
CN107108168A (zh) 电梯系统
WO2012117006A1 (en) Lift system
JP5869849B2 (ja) エレベータ昇降装置
KR200458149Y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가이드장치
CN209601876U (zh) 一种无井道电梯
CN104743424B (zh) 步进式液压电梯
KR200416359Y1 (ko) 구동수단이 이중으로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브레이크장치
KR102001905B1 (ko)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KR100958262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CN206395669U (zh) 具有逃生功能的电梯
US3018850A (en) Elevating plant
KR100727523B1 (ko) 구동수단이 이중으로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브레이크장치
CN206829096U (zh) 闸门止锁装置
CN204342234U (zh) 一种一体化的电梯中的电力拖动装置
CN212076094U (zh) 一种小型液压家用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