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262B1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8262B1 KR100958262B1 KR1020100015405A KR20100015405A KR100958262B1 KR 100958262 B1 KR100958262 B1 KR 100958262B1 KR 1020100015405 A KR1020100015405 A KR 1020100015405A KR 20100015405 A KR20100015405 A KR 20100015405A KR 100958262 B1 KR100958262 B1 KR 1009582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elevator
- operating table
- teeth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카도어에 설치된 작동대와 승강장도어에 설치된 고정대가 서로 맞물리게 하여 승강카에 설치된 하나의 모터에 의해 승강카도어 및 승강장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되, 승강카도어와 승강장도어가 상승하여 오픈되면 맞물려 있던 작동대와 고정대가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카도어를 하강시키면 분리되었던 상기 작동대와 고정대가 치합되어 서로 맞물려 상기 승강장도어도 동시에 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카에 하중이 실릴 경우에도 승강카도어 및 승강장도어의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향상시키며, 엘리베이터 시공시 소요되는 비용 및 공기를 최소화하여 경제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카의 양측 상/하부에는 대응되게 각각 브라켓을 설치하고, 승강카도어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상기 브라켓과 접촉하는 롤러에 의해 좌/우 유동되는 작동대가 스프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며, 승강장도어의 하부 양측에는 각각 상기 작동대와 치합되어 맞물리는 고정대를 설치하여 승강카도어의 승/하강시 승강장도어의 승/하강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카에 하중이 실릴 경우에도 승강카도어 및 승강장도어의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향상시키며, 엘리베이터 시공시 소요되는 비용 및 공기를 최소화하여 경제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는 주로 화물을 운반하는 엘리베이터로서,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와 연결된 건물 각층의 승강장과 상기 승강로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로를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 하는 승강카로 크게 구성되며, 상기 승강장에는 안전을 위해 승강장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카에는 화물의 탑재 및 안전한 운반이 가능하게 승강카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장도어 및 승강카도어는 상/하부로 이동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바,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구동모터가 각층의 승강장과 승강카의 상부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장도어 및 승강카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승강장도어와 승강카도어를 개폐시키는 종래의 방식은 설치기간이 장기간 소요되어 시공비 상승을 초래하였고, 구동모터의 구동을 위해 많은 전력이 소모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특허등록 제10-0848516호와 제10-0930021호의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를 제안하였는바, 선등록된 발명은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승강장도어 및 승강카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킬 수 있어 종래의 각층 승강장에 설치되었던 다수의 구동모터가 소요되지 않아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는 있었으나, 많은 부품이 요구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됨에 따라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이 다소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특허출원 제 10-2009-0038597호의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용 개폐장치를 제공하였으나, 이 개폐장치는 승강카에 하중이 실릴 경우 그 하중만큼 승강카도어는 물론 승강장도어가 동시에 내려와 화물의 적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그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운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승강카도어에 설치된 작동대와 승강장도어에 설치된 고정대가 서로 맞물리게 하여 승강카에 설치된 하나의 모터에 의해 승강카도어 및 승강장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되, 승강카도어와 승강장도어가 상승하여 오픈되면 맞물려 있던 작동대와 고정대가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카도어를 하강시키면 분리되었던 상기 작동대와 고정대가 치합되어 서로 맞물려 상기 승강장도어도 동시에 하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카에 하중이 실릴 경우에도 승강카도어 및 승강장도어의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향상시키며, 엘리베이터 시공시 소요되는 비용 및 공기를 최소화하여 경제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물을 층간 이동시키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며, 상기 화물이 탑재되는 승강카의 상부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카 전방에 설치된 승강카도어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도어를 동시에 승/하강시켜 개폐시키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금속판을 일정 형태로 절곡시키되, 절곡된 일측에는 다수의 축공과 승강카도어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며, 중간부분에 수평으로 유동홈이 길게 형성된 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전방에 일체로 체결되어 중간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후면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좌/우 유동되며, 일측에는 다수의 축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며, 배면 중앙에는 유동축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후면프레임에 형성된 유동홈에 삽입되며, 상기 유동홈에 삽입된 유동축의 단부에는 롤러가 일체로 축설된 작동대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축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작동대에 형성된 축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에 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작동대의 좌/우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축볼트와; 상기 축볼트에 삽착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작동대를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대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와 치합될 수 있도록 타측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며, 일측은 다수의 삽입공을 형성하여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승강장도어의 하부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대와; 상기 승강카의 상/하부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카도어의 승/하강시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롤러가 접하여 상기 유동축을 좌/우로 유동시켜 상기 작동대의 톱니와 고정대의 톱니가 맞물리도록 하거나 이탈시키는 브라켓에 의해 상기 승강카도어 및 승강장도어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승강카에 하중이 실릴 경우에도 승강카도어 및 승강장도어의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향상시키며, 엘리베이터 시공시 소요되는 비용 및 공기를 최소화하여 경제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대기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작동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작동에 의해 승강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정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톱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평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대기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작동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장치의 작동에 의해 승강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정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톱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평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는 본체(100)와 작동대(200), 축볼트(300), 스프링(400), 고정대(500) 및 브라켓(6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다수의 부품을 장착시키기 위해 승강카도어(10)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 길이 및 두께로 제공되는 금속판을 단면이 ""형태가 되도록 절곡시켜 후면프레임(110)을 형성하되, 상기 후면프레임(110)의 절곡된 일측에는 다수의 축공(112)과 고정공(114)을 형성하고, 중간 부분에는 수평으로 길게 유동홈(116)을 형성하여 구비되며, 소정 길이 및 두께로 제공되는 전면프레임(120)을 상기 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체결시켜 그 사이 중간에 상기 작동대(200)가 삽입되어 좌/우 유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22)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대(200)는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가이드홈(122)에 삽입되어 좌/우 유동에 의해 상기 고정대(500)와 맞물리거나 이탈되어 상기 승강장도어(20)를 승/하강시키거나 승강카(1)의 층간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금속판을 단면이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하되, 절곡된 일측에는 다수의 축공(210)을 통공시키고, 타측에는 다수의 톱니(220)가 형성되며, 배면 중앙에는 유동축(230)을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의 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유동홈(116)에 삽입시키고, 상기 유동축(230)의 단부에는 롤러(240)를 일체로 축설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축볼트(300)는 상기 작동대(200)의 좌/우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다수의 축공(112)과 상기 작동대(200)의 일측에 형성된 다수의 축공(210)에 축볼트(300)의 일단을 관통되게 삽입시킨 다음 각각의 축볼트(300)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302)에 너트(N)를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400)은 탄성에 의해 상기 작동대(200)를 지지하여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축볼트(300) 상에 삽착되게 설치하면 된다.
상기 고정대(500)는 상기 승강장도어(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일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대(200)의 작동에 의해 맞물려 승강카도어(10)의 승/하강시 승강장도어(20)도 동시에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소정 길이 및 두께를 갖는 금속판의 일측에는 다수의 삽입공(510)을 형성하여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장도어(20)에 견고하게 체결되며, 타측에는 상기 작동대(200)의 타측에 형성된 톱니(220)와 치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톱니(520)를 일체로 형성하면 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대(200)의 타측과 고정대(500)의 타측에는 다수의 체결공(202)(502)을 각각 형성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각각의 톱니체(222)(522)에도 다수의 체결공(224)(524)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02)(224) (502)(524)들을 각각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상기 톱니체(222)(522)를 작동대(200)와 고정대(500)에 견고하게 체결시켜 상기 톱니체(222)(522)의 장기 사용에 따른 마모나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600)은 상기 작동대(200)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것으로서, 금속 재질을 직육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구비하되, 일측면의 상부나 하부 중 어느 한 부분은 폭이 넓거나 좁게 경사부(610)를 형성하여 상기 승강카(1)의 상/하부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설치함으로써, 상기 승강카도어(10)의 승/하강시 상기 브라켓(600)의 경사부(610)에 롤러(240)가 접하여 상기 유동축(230)을 좌/우로 유동시켜 상기 작동대(200)의 톱니(220)와 고정대(500)의 톱니(520)가 맞물리도록 하거나 이탈되게 하여 승강카도어(10)와 승강장도어(20)가 동시에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수의 구성이 승강카(1)와 승강카도어(10) 및 승강장도어(20)에 각각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개폐장치의 작용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엘리베이터 승강카(1)의 층간 이동이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작동대(200)의 톱니(220)와 고정대(500)의 톱니(520)가 서로 이탈된 상태로서, 상기 승강카(1)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된 브라켓(60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부(610)의 폭이 넓은 부분에 상기 롤러(240)가 위치하면 상기 유동축(230)이 본체(100)의 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유동홈(116) 내에서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대(200)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축볼트(300)에 축설된 스프링(400)이 압축되며, 상기 작동대(200)의 톱니(220)와 고정대(500)의 톱니(522)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이격되게 된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카(1)가 층간 이동을 한 후 승강카(1)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가 구동되어 상기 승강카도어(10) 및 승강장도어(20)를 동시에 상승시키는 상태로서, 상기 승강카도어(10)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강카(1)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된 브라켓(60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부(610)의 폭이 좁은 부분에 상기 롤러(240)가 위치하게 되고, 압축된 상기 스프링(40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작동대(200)를 타측으로 복귀시키며, 상기 작동대(200)에 일체로 형성된 유동축(230)도 상기 본체(100)의 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유동홈(116) 내에서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대(200)의 타측에 형성된 톱니(220)가 상기 고정대(500)의 타측에 형성된 톱니(520)와 맞물려 상기 승강카도어(10)와 승강장도어(20)가 일체가 되어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에 의해 동시에 상승하여 승강카(1)의 전방이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카(1)에 화물을 적재할 경우 그 하중이 승강카도어(10) 및 승강장도어(20)에 미치지않도록 하여 오작동을 예방하기 위한 상태로서, 상기 승강카도어(10) 및 승강장도어(20)의 상승이 완료되어 구동모터(3)의 구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카(1)의 상부 양측에 대응되게 설치된 브라켓(600)의 경사부(610)의 폭이 넓은 부분에 상기 롤러(240)가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유동축(230)이 본체(100)의 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유동홈(116) 내에서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대(200)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축볼트(300)에 축설된 스프링(400)이 다시 압축되며, 상기 작동대(200)의 톱니(220)와 고정대(500)의 톱니(520)가 이격되어 상기 승강카(1)의 하중이 승강장도어(20)에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승강카(1)에 화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에 의해 승강카도어(1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롤러(240)가 승강카(1) 상부 양측에 형성된 각각의 브라켓(600)에 형성된 경사부(610)의 폭이 좁은 부분에 위치되며, 압축된 상기 스프링(40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작동대(200)를 타측으로 복귀시키며, 상기 작동대(200)에 일체로 형성된 유동축(230)도 상기 본체(100)의 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유동홈(116) 내에서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작동대(200)의 타측에 형성된 톱니(220)가 상기 고정대(500)의 타측에 형성된 톱니(520)와 맞물려 상기 승강카도어(10)와 승강장도어(20)가 일체가 되어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에 의해 동시에 하강하여 승강카(1)의 전방이 폐쇄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후, 승강카도어(10) 및 승강장도어(20)의 하강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카(1)의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승강카(1) 하부 양측에 설치된 브라켓(600)의 경사부(610)와 롤러(24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작동대(200)의 톱니(220)와 고정대(500)의 톱니(52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승강카(1)의 운행 전 상태 또는 승강카도어(10)의 상승 전 대기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몇 가지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로써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이 갖는 많은 기능들의 조합 및 선택적 부가 등의 변경은 물론이고, 이하에서 기재되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기술사상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승강카 10 : 승강카도어 20 : 승강장도어
100 : 본체 110 : 후면프레임 112, 210 : 축공
114 : 고정공 116 : 유동홈 120 : 전면프레임
200 : 작동대 220, 520 : 톱니 222, 522 : 톱니체
230 : 유동축 240 : 롤러 300 : 축볼트
302 : 나사산 400 : 스프링 500 : 고정대
510 : 삽입공 600 : 브라켓 610 : 경사부
B : 볼트 N : 너트
100 : 본체 110 : 후면프레임 112, 210 : 축공
114 : 고정공 116 : 유동홈 120 : 전면프레임
200 : 작동대 220, 520 : 톱니 222, 522 : 톱니체
230 : 유동축 240 : 롤러 300 : 축볼트
302 : 나사산 400 : 스프링 500 : 고정대
510 : 삽입공 600 : 브라켓 610 : 경사부
B : 볼트 N : 너트
Claims (2)
- 화물을 층간 이동시키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며, 상기 화물이 탑재되는 승강카(1)의 상부에는 구동모터(3)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에 의해 승강카(1) 전방에 설치된 승강카도어(10)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도어(20)를 동시에 승/하강시켜 개폐시키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금속판을 일정 형태로 절곡시키되, 절곡된 일측에는 다수의 축공(112)과 승강카도어(10)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공(114)이 형성되며, 중간부분에 수평으로 유동홈(116)이 길게 형성된 후면프레임(110)과, 상기 후면프레임(110)의 전방에 일체로 체결되어 중간에 가이드홈(122)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면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전/후면프레임(110)(120)에 형성된 가이드홈(122)에 삽입되어 좌/우 유동되며, 일측에는 다수의 축공(2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수의 톱니(220)가 형성되며, 배면 중앙에는 유동축(230)을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의 후면프레임(110)에 형성된 유동홈(116)에 삽입되며, 상기 유동홈(116)에 삽입된 유동축(230)의 단부에는 롤러(240)가 일체로 축설된 작동대(200)와;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축공(11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작동대(200)에 형성된 축공(2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302)에 너트(N)가 체결되어 상기 작동대(200)의 좌/우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축볼트(300)와;
상기 축볼트(300)에 삽착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작동대(200)를 지지하는 스프링(400)과;
상기 작동대(200)에 형성된 다수의 톱니(220)와 치합될 수 있도록 타측에 다수의 톱니(520)가 형성되며, 일측은 다수의 삽입공(510)을 형성하여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승강장도어(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대(500)와;
상기 승강카(1)의 상/하부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카도어(10)의 승/하강시 일측면에 형성된 경사부(610)와 상기 롤러(240)가 접하여 상기 유동축(230)을 좌/우로 유동시켜 상기 작동대(200)의 톱니(220)와 고정대(500)의 톱니(520)가 맞물리도록 하거나 이탈시키는 브라켓(600)에 의해 상기 승강카도어(10) 및 승강장도어(20)를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에 의해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200)의 타측과 고정대(500)의 타측에는 다수의 체결공(202)(502)을 각각 형성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각각의 톱니체(222)(522)에도 다수의 체결공(224)(524)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202)(224)(502)(524)들을 각각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상기 톱니체(222)(522)를 작동대(200)와 고정대(500)에 견고하게 체결시켜 상기 톱니체(222)(522)의 장기 사용에 따른 마모나 파손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5405A KR100958262B1 (ko) | 2010-02-19 | 2010-02-19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5405A KR100958262B1 (ko) | 2010-02-19 | 2010-02-19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8262B1 true KR100958262B1 (ko) | 2010-05-19 |
Family
ID=4228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5405A KR100958262B1 (ko) | 2010-02-19 | 2010-02-19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5826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79148A (zh) * | 2018-10-29 | 2019-01-11 | 叶荣伟 | 一种滑轮以及包含该滑轮的电梯提升系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34241A (en) | 1976-09-11 | 1978-03-30 | Hitachi Ltd |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elevational door for elevator |
JPS5612290A (en) | 1979-07-10 | 1981-02-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Vertical sliding door for elevator |
KR100804068B1 (ko) | 2006-11-13 | 2008-02-18 | 주식회사 리프텍 | 도어 개폐제어구조를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
-
2010
- 2010-02-19 KR KR1020100015405A patent/KR1009582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34241A (en) | 1976-09-11 | 1978-03-30 | Hitachi Ltd |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elevational door for elevator |
JPS5612290A (en) | 1979-07-10 | 1981-02-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Vertical sliding door for elevator |
KR100804068B1 (ko) | 2006-11-13 | 2008-02-18 | 주식회사 리프텍 | 도어 개폐제어구조를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79148A (zh) * | 2018-10-29 | 2019-01-11 | 叶荣伟 | 一种滑轮以及包含该滑轮的电梯提升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135586A1 (en) |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 |
CN109132794B (zh) | 一种螺杆式垂直电梯及其工作方法 | |
CN102892701B (zh) | 带有滚轮-小齿轮驱动器的升降机 | |
CN110171761B (zh) | 一种具有防冲顶功能的升降装置及其使用方法 | |
KR20100003044A (ko) | 거푸집 승강장치 | |
KR102270800B1 (ko) | 엘리베이터용 처짐 방지시스템 | |
CN206751272U (zh) | 一种液压式升降平台 | |
JP5595788B2 (ja) | 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 |
CN104803252B (zh) | 一种电梯逃生装置 | |
KR101766914B1 (ko) |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 |
KR101039633B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수평 구동형 도어개폐장치 | |
KR20110114190A (ko) |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 |
KR101261586B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 |
KR101160644B1 (ko) | 공압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 |
KR100930021B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 |
KR100958262B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 |
JP2013010604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200458149Y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가이드장치 | |
JP3140819U (ja) | 油圧シリンダを使用した昇降装置 | |
KR100943659B1 (ko) |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용 개폐장치 | |
KR101143917B1 (ko) | 저층용 승강기 | |
CN207890858U (zh) | 一种新型别墅电梯 | |
CN206829096U (zh) | 闸门止锁装置 | |
CN205772651U (zh) | 立柱式无障碍垂直升降平台 | |
JP5631570B2 (ja) | エレベータ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