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304B1 -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304B1
KR101158304B1 KR1020100005669A KR20100005669A KR101158304B1 KR 101158304 B1 KR101158304 B1 KR 101158304B1 KR 1020100005669 A KR1020100005669 A KR 1020100005669A KR 20100005669 A KR20100005669 A KR 20100005669A KR 101158304 B1 KR101158304 B1 KR 101158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coupled
fusion
bloom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733A (ko
Inventor
강희현
공호록
Original Assignee
포스코특수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특수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특수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3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30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형 연주기를 통해 주조되는 브롬의 절단부에 형성된 용설인 융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는 냉각대의 측면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일 단부에 축 결합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각 단부가 상기 베이스와 장착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장착 플레이트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승강 구동부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전,후진 구동부와; 상기 전,후진 구동부에 장착되어 블룸 절단부 영역에 붙은 융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수직 연주기를 통해 주조된 블룸의 상단부 영역에 존재하는 융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수직 연주기를 통해 주조된 블룸으로부터 융착물을 제거시 제거되는 융착물이 이송장치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직 연주기를 통해 제거되는 융착물을 수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거장치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 STICKING MATERIAL ON CUTTING PORTION OF BOOLM}
본 발명은 수직형 연주기를 통해 주조되는 브롬의 절단부에 형성된 용설인 융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 연주기에 의해 주조되는 블룸은 주조물이 수직 상태에서 절단이 이루어지고, 수평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지면서 요구되는 블룸의 규격에 따른 제품의 규격으로 절단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직 상태의 절단은 주조물이 수직 연주기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주조될 때, 그 하중 등을 감안하여 안정적인 주조가 이루어지도록 일정 길이로 절단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주조물은 수직 상태에서 상부 영역이 절단되기 때문에 절단시 발생하는 용융물이 주조물의 일측 테두리 영역을 타로 흘러내리면서 융착된다.
그리고, 수직 연주과정은 설비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수직 연주기에서 절단된 주조물의 상부를 전방으로 넘어뜨러 수평상태로 배치한 후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단시 발생된 용융물 융착된 위치가 주조물의 전방 단부(테두리 영역)에 존재하게 된다.
종래에는 주조물인 블룸의 전방 상단부 영역에 존재하는 융착물의 제거를 위하여 작업자가 직접 투입되어 융착물의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경우, 블룸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융착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제거된 융착물이 이송장치로 낙하하는 문제로 인하여 이송장치의 고장이나 손상 유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융착물 제거를 위한 작업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수직 연주기를 통해 주조된 블룸의 상단부 영역에 존재하는 융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수직 연주기를 통해 주조된 블룸으로부터 융착물을 제거시 제거되는 융착물이 이송장치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수직 연주기를 통해 제거되는 융착물을 수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거장치가 요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수직 연주기를 통해 주조된 블룸에 형성된 융착물의 제거시 이송장치로 융착물이 낙하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는 냉각대의 이송장치 측면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 단부가 베이스의 일 단부에 축 결합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각 단부가 베이스와 장착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장착 플레이트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승강 구동부와; 장착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이송장치에서 이동되는 블룸의 절단부 영역 상부로 연장되어 전, 후진하는 전, 후진 구동부와; 전, 후진 구동부에 장착되어 블룸 절단부 영역에 붙은 융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크레퍼는 융착물의 제거를 위하여 탈부착 가능한 나이프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스크레퍼는 전,후진 구동부에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장착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암이 결합되며, 나이프가 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스크레퍼는 전,후진 구동부에 장착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스페이서에 의해 제2 장착 플레이트가 제1 장착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제2 장착 플레이트에는 나이프가 결합되는 복수의 암이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착 플레이트에는 스크레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전,후진 구동부와 승강 구동부는 감지부에 의해 융착물의 제거를 위한 작동이 연동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연주기를 통해 주조된 블룸의 상단부 영역에 존재하는 융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연주기를 통해 주조된 블룸으로부터 융착물을 제거시 제거되는 융착물이 이송장치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연주기를 통해 제거되는 융착물을 수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거장치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의 일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레퍼의 측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수직 연주기를 통해 주조된 블룸에 형성된 융착물의 제거시 이송장치로 융착물이 낙하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융착물 제거장치(100)는 베이스(110) 상에 전,후진 구동부(130)가 승강 구동부(150)에 의해 축(121)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후진 구동부(130)에는 스크레퍼(140)가 구비되어 블룸(20)의 단부에 존재하는 융착물(21)을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블룸(20)이 이송되는 구간 중 냉각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룸(20)은 냉각대의 이송장치(10)에서 폭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110)는 냉각대의 이송장치(10) 측면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바닥에 고정되는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전방 단부(즉, 냉각대의 이송장치와 인접한 단부) 위치에 상기 전,후진 구동부(130)가 축(12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후진 구동부(130)는 스크레퍼(140)의 전진시 융착물(21)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정도의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 상에서는 전,후진 구동부(130)의 일 단부 영역이 상기 베이스(110)와 축(12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축(121)에 의한 결합 위치는 단부 영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영역에 결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후진 구동부(13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승강 구동부(150)가 베이스(110)의 다른 단부와 전,후진 구동부(130)의 다른 단부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승강 구동부(150)의 일 단부가 베이스(110)의 다른 일 단부에 장착되고, 승강 구동부(150)의 다른 일 단부가 전,후진 구동부(130)의 다른 일 단부에 장착되어 전,후진 구동부(130)의 다른 일 단부가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장착 플레이트(120)가 구비되어 상기 전,후진 구동부(130)가 장착 플레이트(120)에 결합되고, 장착 플레이트(120)의 일 단부가 축(121)에 의해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장착 플레이트(120)의 다른 일 단부가 승강 구동부(150)가 결합되어 회전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후진 구동부(130)와 승강 구동부(150)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후진 구동부(130)가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경우, 실린더(131)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120)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작동로드(132)의 단부에는 스크레퍼(1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레퍼(140)는 결합부(141a)가 구비되어 작동로드(132)의 결합부(132a)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레퍼(14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16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160)는 가이드 커버(161)가 장착 플레이트(120)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커버(161)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가이드 로드(162)가 활주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로드(162)는 그 일 단부가 스크레퍼(140)에 구비된 결합부(141b)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크레퍼(140)는 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후진 구동부(130) 및 가이드(160)와 결합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141)와 블룸(20)의 융착물(21)을 긁어내기 위한 나이프(145)가 구비된 제2 장착 플레이트(142)가 복수의 스페이서(143)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142)에는 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암(144)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암(144)의 단부에 나이프(145)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나이프(145)는 암(144)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달리, 상기 장착 플레이트(141,142)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나이프(145)가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에 직접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상기와 같이 복수의 암(144)이 구비되어 나이프(145)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후진 구동부(130)와 승강 구동부(150)는 융착물(21)의 제거를 위한 작동이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해 상기 이송장치(10)에 구비되는 위치 검출부(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룸(20)의 이송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블룸(20)이 융착물 제거장치(100)의 위치로 이송되면, 승강 구동부(150)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융착물 제거장치(100)에는 전,후진 구동부(13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리미트 스위치 또는 위치 검출센서 등을 구비하여 전,후진 구동부(130)가 승강 구동부(150)에 의해 스프레퍼(140)가 장착된 단부가 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전,후진 구동부(130)에 의해 스크레퍼(140)가 전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크레퍼(140)의 전,후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또는 위치 검출센서 등을 구비하여 스크레퍼(140)의 전진 상태가 완료되면 승강 구동부(150)가 역으로 작동하여 전,후진 구동부가 승강 구동부(150)에 의해 스프레퍼(140)가 장착된 단부가 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융착물 제거장치(10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수직 연주기(미도시)에 의해 주조된 블룸(20)이 이송장치(10)에 의해 융착물 제거장치(100)가 구비된 냉각대로 이송되면 수동 또는 블룸(20)의 이송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미도시)에 의해 승강 구동부(150)가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승강 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구동부(130)의 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스크레퍼(140)가 융착물(21)과 충돌하지 않는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레퍼(140)가 전진하게 되고, 스프레퍼(140)가 전진한 후에는 다시 승강 구동부(150)가 상승하여 스크레퍼(140)의 나이프(145)가 블룸(20)의 상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전,후진 구동부(130)의 작동에 의해 스크레퍼(140)가 후진하면서 블룸(20)의 상부에 존재하는 융착물(21)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제거되는 융착물(21)은 이송장치(10)의 측면 영역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송장치(10)의 측면 위치에 배치되는 수거부(30)에 수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수거부(30)는 융착물 제거장치(100)의 일 측에 설치되는 바스켓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는 상기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위하여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100 ... 융착물 제거장치 110 ... 베이스
120 ... 장착 플레이트 130 ... 전,후진 구동부
140 ... 스크레퍼 141 ... 제1 장착 플레이트
142 ... 제2 장착 플레이트 143 ... 스페이서
144 ... 암 145 ... 나이프
150 ... 승강 구동부 160 ... 가이드
161 ... 가이드 커버 162 ... 가이드 로드
170 ... 케이스

Claims (6)

  1. 냉각대의 이송장치 측면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일 단부에 축 결합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각 단부가 상기 베이스와 장착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장착 플레이트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승강 구동부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장치에서 이동되는 블룸의 절단부 영역 상부로 연장되어 전, 후진하는 전, 후진 구동부와;
    상기 전, 후진 구동부에 장착되어 상기 블룸 절단부 영역에 붙은 융착물을 긁어내는 스크레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는 탈부착 가능한 나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는 전,후진 구동부에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는 복수의 암이 결합되며, 상기 나이프가 상기 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퍼는 전,후진 구동부에 장착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스페이서에 의해 제2 장착 플레이트가 제1 장착 플레이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는 나이프가 결합되는 복수의 암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는 스크레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구동부와 승강 구동부는 감지부에 의해 융착물의 제거를 위한 작동이 연동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KR1020100005669A 2010-01-21 2010-01-21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KR101158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69A KR101158304B1 (ko) 2010-01-21 2010-01-21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69A KR101158304B1 (ko) 2010-01-21 2010-01-21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733A KR20110085733A (ko) 2011-07-27
KR101158304B1 true KR101158304B1 (ko) 2012-06-19

Family

ID=4492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669A KR101158304B1 (ko) 2010-01-21 2010-01-21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3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9657U (ko) * 1981-05-26 1982-12-01
KR840002773Y1 (ko) * 1980-10-02 1984-12-24 닛뽄고오깐 가부시끼가이샤 연주(連鑄)슬래브(slab)의 절단 버어(burr) 제거장치
KR100709004B1 (ko) * 2001-06-15 2007-04-18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의 토오치 슬래그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773Y1 (ko) * 1980-10-02 1984-12-24 닛뽄고오깐 가부시끼가이샤 연주(連鑄)슬래브(slab)의 절단 버어(burr) 제거장치
JPS57189657U (ko) * 1981-05-26 1982-12-01
KR100709004B1 (ko) * 2001-06-15 2007-04-18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의 토오치 슬래그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733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191B1 (ko) 도로 포트 홀 자동 보수 차량 시스템
KR101654033B1 (ko) 도로 포트 홀 자동 보수 차량 시스템
CN109530672B (zh) 一种铸锭刮渣装置及机械手及铸锭刮渣方法
KR20130104449A (ko) 지게차용 포크장치
JP2007174921A (ja) 農作業機
KR101158304B1 (ko) 블룸 절단부 영역의 융착물 제거장치
JP2009247951A (ja) 破砕機
KR20150089258A (ko) 쇄빙장치
CN209291457U (zh) 中片裂片设备
KR101053080B1 (ko) 다기능 절단장치
CN109384035A (zh) 中片裂片设备
KR101256509B1 (ko) 전기로의 리멜트 샘플 자동 채취 장치
JP4811088B2 (ja) スラブ端面研削装置
KR101840633B1 (ko) 부착물 제거장치
WO2006083176A1 (en) Cleaning device
JP5377896B2 (ja) 鉄筋加工装置
CN214134509U (zh) 一种可防废渣散落的管材收集装置
KR101323294B1 (ko) 연주 설비
KR200301072Y1 (ko) 빌레트 이송장치용 비상 연결장치_
KR101702446B1 (ko) 금속 소재의 절단부 절삭 장치
CN219310640U (zh) 一种数控激光切割机设备
BE1022085B1 (nl) Laadinrichting en zelfladende voermengwagen omvattende deze laadinrichting
JP6553386B2 (ja) 除雪機のシャベル反転機構
CN108582230B (zh) 带自动清废功能的切纸机
KR100896581B1 (ko) 로에서 발생된 지금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