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411B1 -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이것을 이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침지 여과 장치, 및 침지 여과 방법 - Google Patents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이것을 이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침지 여과 장치, 및 침지 여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411B1
KR101156411B1 KR1020097010006A KR20097010006A KR101156411B1 KR 101156411 B1 KR101156411 B1 KR 101156411B1 KR 1020097010006 A KR1020097010006 A KR 1020097010006A KR 20097010006 A KR20097010006 A KR 20097010006A KR 101156411 B1 KR101156411 B1 KR 101156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filtration
immersion
immersion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643A (ko
Inventor
마나부 사사까와
나오야 간노
겐지 혼조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2Hollow fibre membran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b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14Press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01D2313/042Adhesives or g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33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외표면에 1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과, 이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의 복수를 하우징에 접착 고정하여 제작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은, 고농도의 현탁액 내에서의 막여과를 계속한 경우에도, 에어 버블링에 의한 물리적인 세정 효과를 높여, 막면에 과도한 부착물의 퇴적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여, 운전의 계속 중, 투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돌기부,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투영 면적 비율, 침지 여과 장치

Description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이것을 이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침지 여과 장치, 및 침지 여과 방법{HOLLOW-FIBER MEMBRANE FOR IMMERSION FILTRATION, HOLLOW-FIBER MEMBRANE MODULE FOR IMMERSION FILTRATION EMPLOYING THE SAME, APPARATUS FOR IMMERSION FILTRATION, AND METHOD OF IMMERSION FILTRATION}
본 발명은 오탁성(汚濁性)(특히 유기물의 오탁 물질(汚濁物質)에 의한)이 높은 액체의 침지 흡인 여과에 적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이것을 이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침지 여과 장치, 및 침지 여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6년 11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31324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들어, 상하수도 처리나 산업 배수 처리에 있어서, 피처리수 중에 중공사막을 침지하고, 피처리수로부터 불순물을 분리 제거하는 「중공사막 여과법」이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중공사막 여과법」은, 장시간의 운전에 의해서, 중공사막의 외표면에 피처리수 중의 현탁 물질 및 유기 물질 등의 부착층이 발생되어, 중공사막에 블로킹이나 고형물에 의한 유로 폐색(파울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있다. 파울링은 막간 압력의 상승이나 여과 유속의 저하 등을 초래하여, 수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전 효율에 악영향을 미친다.
파울링에 의한 수처리 시스템의 운전 효율의 저하는 중공사막의 물리 세정에 의해 해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시간의 여과 공정 후에 물리 세정을 실시하고, 여과 공정과 물리 세정을 반복하는 운전 사이클법을 도입함으로써, 파울링의 정도를 일정 범위 내로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리 세정에는 막여과수를 역류시키는 역류 세정; 중공사막의 일차측 표면, 즉 피처리수와 접촉하는 면에서의 수류(水流)에 의한 세정(flushing); 공기에 의해 중공사막을 진동시키는 에어 버블링 등이 있어, 물리적인 작용에 의해서 부착 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상기한 물리 세정 방법인 플러싱이나 에어 버블링은 파울링을 감소시키는 데에 있어서 유효한 수단이고, 여과 운전을 안정적인 것으로 하는 데에 있어서 빠뜨릴 수 없는 것이다. 피처리수 중의 현탁 물질 농도가 높은 경우,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물리 세정 강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물리 세정이 너무 강하면, 중공사막끼리가 접촉하거나, 피처리수 중의 현탁 물질이 스치거나 함으로써 중공사막 표면이 생채기를 받아, 경우에 따라서는 실 파편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공사막의 형상이나 강도의 개선이 검토되고 있다.
중공사막의 형상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는, 경사적으로 형상을 변화시킨 중공사막이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따르면, 중공사막의 형상을 경사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유동압 손실이 종래의 중공사막보다도 감소하여, 투과수 유속 분포가 평활화하고, 또한 막 국부에 걸리는 부하나 오염이 분산화하기 때문에, 막세정을 실시할 때의 버블링이나 역세척성이 향상하여, 여과 운전의 장기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중공사막의 강도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는, 특정한 점도 평균 분자량, 분자량 분포를 가짐과 동시에, 특정한 세공 구조를 갖는 폴리에틸렌 중공사상 다공막이 하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7-9615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955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중공사막에 있어서는, 경사 구조에 의한 투과수 유량의 향상은 기대할 수 있지만, 특허 문헌 1에는 운전 안정성 및 세정성의 향상에 관한 구체적인 개시가 없고, 장기간의 운전 안정성 측면에서는 과제가 남는다. 또한, 이러한 막을 얻기 위해서는, 중공사막 제조 공정의 복잡화를 피할 수 없어, 생산성이 낮고, 제조 비용이 높은 것으로 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중공사상 다공막에 있어서는, 피처리액 내의 현탁 성분에 대한 내찰상성에 대해서는 개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중공사상 다공막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모는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장기간 운전의 관점에서는 해결에 이르지 않는다. 또한, 막의 강도의 개선만으로는 물리 세정 강도의 감소는 곤란하여,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농도의 현탁액 내에서의 중공사막 여과를 계속한 경우에도 막면에 부착물이 퇴적되기 어렵고, 여과 운전을 투수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장기간 계속할 수가 있는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이것을 이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침지 여과 장치, 및 침지 여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 등은 예의 연구의 결과, 중공사막의 외표면에 돌기부를 설치함으로써, 중공사막을 오탁성이 높은 액체의 침지 여과에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중공사막 외표면의 세정성이 개선되는 것을 밝히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외표면에 1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의 복수가 하우징에 접착 고정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이 침지 수조 중에 설치된 침지 여과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침지 수조를 피처리수로 채우고, 복수의, 외표면에 1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침지용 중공사막이 하우징에 접착 고정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피처리수 중에 침지하고, 상기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의 중공부로부터 여과수를 얻는 침지 여과 방법이다.
[발명의 효과]
외표면에 1 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중공사막을 침지 여과에 이용함으로써 막 외표면의 물리적인 세정 효과가 향상된다. 이에 따라, 고농도의 현탁액 내에서의 막여과를 계속한 경우에도, 외표면에 부착물이 과도하게 퇴적되기 어려워져서 투수 성능이 저하하지 않고, 여과 운전을 장기간 계속할 수 있다.
도 1은 돌기부를 갖는 중공사막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침지 여과 시험의 처리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실험 결과의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2: 고정용 수지
3: 중공사막
4: 통수구
5: 돌기부
6: 스크린
7: 유량 조정조
8: 공급 펌프
9: 교반 모터
10: 교반 날개
11: 탈질용 수조
12: 순환 펌프
13: 막침지 수조
14: 순환수 유량계
15: 공급 배관
16: 산기관
17: 에어 유량계
18: 블로워
19: 중공사막 모듈
20: 역세척 펌프
21: 압력계
22: 여과 펌프
23: 막여과수 유량계
24: 막처리 수조
25: 탈질용 수조 드레인
26: 막침지 수조 드레인
27: 블로워 공급 밸브
28: 막여과 밸브
29: 역세척수 밸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원 발명에 대해서, 특히 그 바람직한 형태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외표면에 돌기부를 갖는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에 있어서는, 그 외표면에 돌기부 (5)를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돌기부 (5)를 갖는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제조 방법은 돌기 구조를 갖지 않는 중공사막에 대하여 뒤로부터 돌기부 (5)를 중합시킬 수도 있고,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 제조 시에 돌기부 (5)를 갖는 형상에 부형(賦形)할 수도 있는데, 제조 공정과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제조 시에 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 (5)의 형상은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외표면 상에 돌기부를 갖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량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을 안정적으로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외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형상을 갖는 돌기부 (5)를 1 이상 갖는, 도 1과 같은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형상을 갖는 돌기부 (5)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복수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이 배치되는 경우에, 주위에 인접하는 중공사막에 대한 세정 효과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8 이상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돌기부 (5)의 수가 너무 많으면,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유효 여 과 면적의 감소에 의한 여과 처리 능력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돌기부 (5)의 수는 돌기부 (5)를 제외한 경우에 있어서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외표면에 대한, 돌기부 (5)의 상기 외표면에의 투영 면적 비율이 1 내지 20%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투영 면적 비율을 1% 이상으로 함으로써, 돌기부 (5)에 의한 우수한 세정 효과가 발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또한, 투영 면적 비율을 20% 이하로 함으로써, 돌기부 (5)에 의한 세정 효과와 상술한 여과 처리 능력의 양립을 가능하게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또한 돌기부 (5)는 중공사막 (3)의 막 표면에 퇴적한 부착물이 물리 세정에 의해 박리, 배출되기 쉽도록, 돌기부 (5)의 근원부로부터 선단에 걸쳐서 평행한 형상, 혹은 근원부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폭이 감축되어 가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외주상에 설치된 돌기 구조는 그 외표면에 퇴적되는 부착물층을 불연속으로 함과 동시에, 인접하는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외표면에 과도하게 퇴적된 부착물에 접촉함으로써, 이것을 물리적으로 박리?제거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 때문에 돌기부 (5)에 있어서는, 부착물이 퇴적되지 않는 것이 좋기 때문에, 여과 기능을 현저히 저하시킨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여과 기능을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돌기부 (5)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μ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것은, 돌기부 (5)의 폭을 5 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여과 중에 있어서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요동이나 상호의 충돌에 의한 돌기부 (5)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공사막 제조 시에 있어서의 돌기부 (5)의 형상이 안정되어,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생산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μm 이상이다.
또한, 돌기부 (5)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 μ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50 μm 이하로 함으로써,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유효 여과 면적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막 표면의 세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μm 이하이다.
돌기부 (5)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가 있지만, 막 표면의 세정의 균일화를 고려하면,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외표면에 돌기부 (5)가 거의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 (5)의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우수한 막 표면의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외표면에 퇴적하는 부착물층보다도 충분히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외표면에 퇴적하는 부착물층 및 그 높이는, 피처리수의 수질에 따라서 다르지만, 특히, 비교적 피처리수 중의 입자 농도가 높은 하배수 용도에 있어서는, 돌기부 (5)의 높이를 5 μ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μm 이상이다.
또한, 돌기부 (5)의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근원 부분의 폭의 3 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3배 이하로 함으로써, 침지 중에 있어서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요동이나 상호의 충돌에 의한 돌기부 (5)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배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돌기부 (5)의 높이란 돌기부를 제외한 경우에서의 중공사막의 외표면부터 돌기부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본 발명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은 형상 안정성이나 취급성 면에서, 그 내경이 50 내지 1000 μ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돌기부 (5)가 없는 부분의 막 두께가 5 내지 300 μ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공경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역 침투막, 초여과막, 정밀 여과막 및 대공경막까지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초여과막, 정밀 여과막 및 대공경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0.005 내지 5 μm의 범위이다.
또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 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복합 소재도 사용할 수 있다.
돌기 구조를 갖지 않는 중공사막에 대하여 뒤로부터 돌기부 (5)를 중합시키 는 경우에는, 각각이 서로 다른 소재일 수도 있지만, 중공사막과 돌기부 (5)와의 밀착성 등을 고려하면, 각각 동일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을 이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19)는 복수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이 시트 형상으로 다발지어지고,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단부의 적어도 한쪽을 개구 상태로 유지한 채로, 통수구 (4)를 갖는 하우징 (1)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사막 다발을 상기 하우징 (1)에 접착 고정하는 고정용 수지 (2)로 포팅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하우징 (1)의 적어도 일단에는 하우징 (1)에 내포되는 처리액 통과를 위한 내부로에 연통하여, 외부로 개구한 배관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19)에 이용되는 중공사막 다발로서는,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을 단순히 당겨 정렬한 것일 수도 있지만, 중공사막 모듈 (19)의 가공성 면에서, 중공사막 다발이 실패체에 다조(多條)로 권취된 감김 형상물, 중공사막 (3)을 씨실로서 이용하여 편물지로 한 것, 또는 이 편물지를 수매 적층하여 적층체로 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공사막 다발의 형태는 이용되는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19)에 이용되는 하우징 (1)의 소재로서는,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올레핀, PVC(폴리염화비닐), 아크릴 수지, ABS 수지, 변성 PPE(폴리페 닐렌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후에 소각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연소에 의해 유독 가스를 내지 않고서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폴리올레핀 등의 탄화수소계의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은 하우징 (1) 내에 고정용 수지 (2)로 각각 개구면을 유지하면서, 개구면이 내부로에 연통한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이용되는 고정용 수지 (2)로서는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 실리콘 수지, 각종 핫멜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적절하게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고정 작업 시에 있어서의 고정용 수지 (2)의 점도(2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정용 수지 (2)가 복수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 사이에 함침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5000 mPa?s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mPa?s 이하이다.
상기한 중공사막 다발을 고정용 수지 (2)로 포팅하여 하우징 (1)에 접착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원심 접착법이나 정치 접착법 등의 공지된 방법이 이용된다. 고정용 수지 (2)의 경화 수축이나 강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고정용 수지 (2)에 유리 파이버, 카본 파이버 등의 섬유상물, 카본 블랙,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미분체를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19)을 침지 여과 장치에 설치하여 침지 여과를 실시할 때에는, 이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19)의 하부에 공기 확산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침지 여과에 의해 막면 근방에서 농축된 현탁 물질을, 에어 버블링으로 모듈 밖으로 배출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침지 여과가 장기간 안정되어, 중공사막의 물리 세정이 보다 확실하게 행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19)은 케이싱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끝의 하우징 (1) 사이의 거리가 양끝의 접착 고정부를 연결하는 지지체 등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19)에 있어서는, 용적당의 여과 능력을 높임과 동시에, 에어 버블링에 의한 세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충전율을 25 내지 7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에 적합한 요동성을 갖게 하여, 우수한 막 표면의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하우징 (1) 사이에서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이완율이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너무 이완하면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굴곡이나 손상이 침지 여과 중에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이완율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을 충분히 요동시켜 물리 세정 효과를 얻기 위해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19)의 하부에서 에어 버블링을 행하는 경우에는, 피처리수 중의 입자 농도가 비교적 높은 하배수 용도에 있어서는, 모듈의 투영 바닥 면적당의 에어 공급량을 50 m3/m2/h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과도한 에어 버블링은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굴곡이나 손상의 원인이 됨과 동시에, 에너지 소비량을 증대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에어 공급량은 200 m3/m2/h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버블링은, 침지 여과 중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침지 여과와 에어 버블링을 반복하여 행하는 사이클 운전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19)에 있어서는, 각각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외표면에 돌기부 (5)를 구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에어 버블링에 의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의 진동 요동에 의해, 이 돌기부 (5)가, 인접하는 중공사막 (3)의 외표면 상에 과도하게 퇴적된 부착물과 접촉하여, 이것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돌기부 (5)에 의해, 복수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3)이 요동할 때에, 인접하는 중공사막끼리의 유효 여과 부분이 직접 접촉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유효 여과 부분의 퇴적물이 과도하게 압밀되거나, 유효 여과 부분의 미세구멍으로 부착물이 견고하게 고착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막 표면의 퇴적물을 효과적으로 박리?제거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 (5)를 형성함으로써, 중공사막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유효 여과 부분을 불연속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효 여과 부분 상의 퇴적물도 중공사막 원주 방향으로 불연속이 되어, 퇴적물 사이의 응집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퇴적물을 에어 버블링 등에 의해서 박리?제거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침지 여과 방식에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침지 가압 여과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오탁성이 높은 액체를 대상으로 하는 침지 흡인 여과에 보다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상하수도 처리 용도나 산업 배수 처리 용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피처리수 중에 침지하고, 상기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의 중공부를 감압함으로써, 상기 중공부로부터 여과수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밀도 0.96 g/cm3, 멜트플로우레이트 1.0 g/10 분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노바텍 HD HY540(닛본 폴리에틸렌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토출 직경 25 mm, 내환 슬릿폭 4.0 mm의 이중관 구조를 갖고, 외주 근부에 12개소의 절결을 갖는 중공사 부형용 노즐을 이용하여 자흡식(自吸式)으로 공기를 도입하고, 방사 온도 165℃, 권취 속도 70 m/분으로 용융 방사를 행하여, 외주 상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12조의 돌기부를 갖는 미연신 중공사를 얻었다.
이 미연신 중공사에 대하여 80%의 냉연신을 행하고, 이어서 113℃로 가열한 슬릿히터 사이에서 총 연신량이 600%가 될때까지 열연신을 행하고, 또한 동일 온도로 가열한 슬릿히터로 다공질화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중공사막은 내경 354 μm, 돌기부가 없는 부분의 막 두께 100 μm, 공공률 72%, 돌기부의 높이 19 μm, 돌기부의 폭 20 μm였다.
이 때, 돌기부를 제외한 경우에 있어서의, 중공사막의 외표면에 대한, 상기 돌기부의 상기 외표면에 대한 투영 면적 비율은 14%였다.
이 침지용 중공사막을 4800개 다발지어서, 도 2에 도시하는, 막유효 길이 403 mm, 막면적 3 m2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제작하였다.
이 때 중공사막의 가장 빽빽한 장소에서의 충전율은 60%이고, 이완율은 1.5%였다.
(비교예 1)
토출 직경 25 mm, 내환 슬릿폭 4.0 mm의 이중관 구조를 갖는 중공사 부형용 노즐을 이용하고,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내경 354 μm, 막 두께 100 μm, 및 공공률 72%의 돌기부가 없는 중공사막을 얻었다.
이 중공사막을 다발지어,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으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을 제작하였다.
[침지 여과 시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중공사막 모듈을, 각각 간격 18 mm로 20매 열거하여 일체화시킨 유닛을 이용하고, 하수 처리 시설에서, 도 3에 도시하는 처리 플로우로 침지 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3에 있어서, 스크린 (6)에 유입된 원수는, 협잡물(夾雜物)이 제거된 후, 유량 조정조 (7)에 한시적으로 저류되고, 이어서 공급 펌프 (8)을 이용하여 탈질용 수조 (11)에 공급된다. 탈질용 수조 (11)에 공급된 원수는 공급 배관 (15)를 통해 막침지 수조 (13)에 들어가고, 순환 펌프 (12)에 의해 소정의 순환 배율로 순환된 다.
원수는, 탈질용 수조 (11) 및 막침지 수조 (13)에 있어서, 활성 오니(汚泥)에 의해 생물학적으로 정화된다. 원수 중의 질소 성분의 제거는, 탈질용 수조 (11) 및 막침지조 (13) 사이에서 오니를 순환시키는 것에 의한, 소위 초화탈질 반응(硝化脫窒 反應)에 의해서 행해진다. 원수 중의 유기물(BOD)은, 주로 막침지 수조 (13) 내에 배치된 산기관(散氣管) (16)의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호기적으로 산화되어 분해된다.
또한, 산기관 (16)에 의한 공기의 배출은 블로워 (18)에 의해 항상 행해지고, 중공사막 모듈 (19)의 물리 세정 수단으로서도 병용된다.
정화된 물은 중공사막 모듈 (19)에 의한 막여과에 의해, 활성 오니로부터 분리된다. 여과된 물은, 여과 펌프 (22)에 의해 막처리수조 (24)에 공급되고, 필요에 따라서 소독된 후, 처리수로서 방류된다.
본 시험에서는, 처리수의 회수측을 여과 펌프 (22)에 의해 간헐적으로 흡인하여 여과를 행한다, 간헐 흡인 여과를 채용하고, 여과 시간 7분 및 정지 시간 1분의 간헐 흡인 여과를 1사이클로 하여 운전을 실시하였다.
침지 여과 시험은, 실험에서의 활성 오니 농도 8000 mg/L, 막 면적당의 여과유량 0.23 m3/m2/d, 세정을 위한 에어 버블링은 투영바닥 면적당 120 m3/m2/h로 연속하여 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의 중공사막 모듈을 일체화시킨 유닛은, 양쪽의 유닛을 동시에, 동일 침지 수조에서, 동일 운전 조건 하에서 병렬운 전하고, 그 때의 막압력차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로부터, 돌기부를 갖는 중공사막 모듈(실시예 1)을 일체화시킨 유닛으로는, 돌기 구조를 갖지 않는 중공사막 모듈(비교예 1)을 일체화시킨 유닛과 비교하여, 동일 운전 조건 임에도 불구하고 막압력차의 상승이 억제되어 있고, 각각의 중공사막의 외표면에 돌기부를 갖는 중공 사막을 이용함으로써, 고농도의 현탁액 내에서의 막 여과를 계속한 경우에도, 에어 버블링에 의한 물리적인 세정 효과를 높여, 막면에 과도한 부착물의 퇴적을 발생시키기 어렵고, 투수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운전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 공업 용수, 하수, 분뇨, 산업 배수 등의 처리 및 합병 정화조 등에 있어서의 침지 여과에 있어서, 쓸데없는 세정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원수 중의 현탁 물질 및 유기 물질 등의 부착층, 블로킹, 고형물에 의한 막파울링을 감소시켜서 압력차 상승을 억제할 수가 있는,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이것을 이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침지 여과 장치, 및 침지 여과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침지 수조(13)를 피처리수로 채우고,
    외표면에 1 이상의 돌기부(5)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를 제외한 경우에서의, 중공사막의 외표면에 대한 상기 돌기부의 상기 외표면에의 투영 면적 비율이 1 내지 20%의 범위인 복수의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3)이 하우징(1)에 접착 고정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19)을 피처리수 중에 침지하고,
    공기 확산 장치로부터 에어 버블링을 하면서, 상기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을 이용한 여과를 행하고,
    상기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3)의 중공부로부터 여과수를 얻는 것인, 침지 여과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의 중공부를 감압함으로써, 상기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을 이용한 흡인 여과를 행하는, 침지 여과 방법.
  12. 삭제
KR1020097010006A 2006-11-20 2007-11-20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이것을 이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침지 여과 장치, 및 침지 여과 방법 KR101156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13248 2006-11-20
JP2006313248 2006-11-20
PCT/JP2007/072458 WO2008062788A1 (fr) 2006-11-20 2007-11-20 Membrane à fibre creuse pour la filtration par immersion, module de membrane à fibre creuse pour la filtration par immersion utilisant celle-ci, appareil pour la filtration par immersion, et procédé de filtration par immer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643A KR20090071643A (ko) 2009-07-01
KR101156411B1 true KR101156411B1 (ko) 2012-06-13

Family

ID=3942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006A KR101156411B1 (ko) 2006-11-20 2007-11-20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이것을 이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침지 여과 장치, 및 침지 여과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5795459B2 (ko)
KR (1) KR101156411B1 (ko)
CN (1) CN101541404B (ko)
WO (1) WO2008062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0961B2 (ja) * 2009-02-17 2014-11-2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中空糸多孔膜および水処理方法
US9511529B2 (en) 2010-04-16 2016-12-06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Deformed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production method of deformed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and module, filtration device, and water treatment method in which deformed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is used
CN101862598A (zh) * 2010-06-25 2010-10-20 苏州顶裕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改进外壳结构的中空纤维超滤膜组件
JP5626865B2 (ja) * 2010-08-13 2014-11-19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複合多孔性中空糸膜、膜モジュール、膜ろ過装置、水処理方法
WO2014047896A1 (en) * 2012-09-28 2014-04-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Washing maching including integral filter module and aerator
JP6607250B2 (ja) * 2016-01-22 2019-11-20 東レ株式会社 流体分離用炭素膜および流体分離用炭素膜モジュール
CN108499365B (zh) * 2018-03-26 2020-12-01 徐州云创物业服务有限公司 一种净水微孔滤膜管外壁自动清理装置
JP7462549B2 (ja) 2020-12-23 2024-04-05 株式会社クボタ 浸漬型膜分離装置の異常検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9510A (ja) 1981-11-27 1983-10-06 Asahi Medical Kk 異形中空糸及びそれを用いた中空糸モジユ−ル
JPS62225206A (ja) * 1986-03-25 1987-10-03 Mitsubishi Rayon Co Ltd 異形断面多孔質中空糸膜
JPH0366380A (ja) * 1989-08-04 1991-03-22 Toyobo Co Ltd 中空糸型血漿分離膜
JP2006305443A (ja) * 2005-04-27 2006-11-09 Maezawa Ind Inc 濾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2958A1 (de) * 1978-10-02 1980-04-10 Akzo Gmbh Dialysehohlfadenmembran mit laengswellen
JPS56148907A (en) * 1980-04-15 1981-11-18 Nippon Zeon Co Ltd Hollow fiber
JPS60143780U (ja) * 1984-03-06 1985-09-24 株式会社 ニツシヨ− 中空糸
JPS6321914A (ja) * 1986-07-08 1988-01-29 Mitsubishi Rayon Co Ltd 異形断面多孔質中空糸膜
JPH062721Y2 (ja) * 1988-02-05 1994-01-26 株式会社クラベ 脱気装置の液体流通路用シリコーンゴムチューブ集合体
JPH09266947A (ja) * 1996-04-02 1997-10-14 Teijin Ltd 透析用中空糸膜およびモジュール
WO2003063995A2 (en) * 2002-01-29 2003-08-07 Amersham Biosciences Membrane Separations Corp. Spiraled surface hollow fiber membra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9510A (ja) 1981-11-27 1983-10-06 Asahi Medical Kk 異形中空糸及びそれを用いた中空糸モジユ−ル
JPS62225206A (ja) * 1986-03-25 1987-10-03 Mitsubishi Rayon Co Ltd 異形断面多孔質中空糸膜
JPH0366380A (ja) * 1989-08-04 1991-03-22 Toyobo Co Ltd 中空糸型血漿分離膜
JP2006305443A (ja) * 2005-04-27 2006-11-09 Maezawa Ind Inc 濾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62788A1 (fr) 2008-05-29
JPWO2008062788A1 (ja) 2010-03-04
CN101541404A (zh) 2009-09-23
JP5795459B2 (ja) 2015-10-14
JP2014231059A (ja) 2014-12-11
CN101541404B (zh) 2012-06-27
KR20090071643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411B1 (ko)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이것을 이용한 침지 여과용 중공사막 모듈, 침지 여과 장치, 및 침지 여과 방법
EP1371409B1 (en) Separating film, separating film element, separating film module, sewage and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and separat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US8070947B2 (en) Permselective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55197B1 (ko)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
JP2006116495A (ja) 濾過装置
JP5581578B2 (ja) 膜洗浄装置、膜分離装置および排水処理装置
JP2010042329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2010253355A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
JP3131092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組立体
WO2014192433A1 (ja) 濾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浸漬式濾過方法
JP2014124579A (ja) 有機排水の処理装置
JP3381990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5126153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
JP2001205054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該中空糸膜モジュールを使用した中空糸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4437527B2 (ja) 膜ろ過モジュール
JP2013119042A (ja) 水処理方法
JP2011005361A (ja) 膜濾過装置
JP2005138103A (ja) 分離膜モジュールおよび膜分離装置
JP2010253358A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
IKEDA et al. Energy-and Space-Sav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nit for Water Treatment
JP5155940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5053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による濾過方法
JP2010119959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H05212370A (ja) 脱気膜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赤水防止方法
KR20120078204A (ko)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침지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