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260B1 - 파수공을 갖는 운반용 용기 및 파수공의 개폐부재 및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수공을 갖는 운반용 용기 및 파수공의 개폐부재 및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6260B1 KR101156260B1 KR1020080111639A KR20080111639A KR101156260B1 KR 101156260 B1 KR101156260 B1 KR 101156260B1 KR 1020080111639 A KR1020080111639 A KR 1020080111639A KR 20080111639 A KR20080111639 A KR 20080111639A KR 101156260 B1 KR101156260 B1 KR 1011562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sing member
- opening
- main body
- hole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6—Rod-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Articles with a cross-section var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corrugated pi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rge, e.g. for bulk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파수공(把手孔)을 이용하여 용기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동시에, 각별한 작업을 행하지 않고 이물이 파수공을 통해 용기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개폐부재(22)의 본체부(23)를 용기내측으로부터 파수공(20)을 막도록 배치하여 파수공(20)의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21)에 걸림부(25)를 걺으로써 개폐부재(22)을 용기에 장착한다. 작업자가 파수공(20)에 손을 끼워 본체부(23)을 누르면, 본체부(23)가 용기내측으로 향해 회동하여 파수공(20)이 개방된다.이에 의해, 작업자가 파수공(20)에 손을 끼워 용기를 들수 있다. 그후, 작업자가 파수공(20)으로부터 손을 빼면, 본체부(23)가 용기 외측으로 향해 회동하여 본체부(23)의 외주연이 파수공(20)의 주위의 제2 측벽(14) 내면에 접촉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옮으로써 파수공(20)을 용기내측으로부터 폐쇄한다. 이에 의해, 이물이 파수공(20)을 통해 용기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운반용 용기, 파수공, 손잡이구멍, 막이, 개폐부재, 격자, 보강리브, 탄성폴리머재료, 플랜지, 위치센서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자 모양의 용기 본체의 측벽에 파수공(把手孔)이 형성된 운반용 용기 및 그 운반용 용기에 장착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및 그 개폐부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에, 물품 등을 내부에 수용하여 운반 또는 보관하는 상자 모양의 용기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용기의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에 각각 파수공을 형성하고, 이 파수공에 작업자가 손(예를 들면, 엄지손가락 이외의 4개의 손가락)을 끼워 용기를 들수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파수공이 형성된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일본 공개특허2001-1897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골판지상자(용기)의 대향하는 한쌍의 측판에, 각각 파지편(把持片)을 타발(die-cutting)가공에 의해 꺾어굽히기 가능하게 형성하고, 이 파지편을 골판지상자의 내측으로 꺾어굽힘으로써, 골판지상자 의 각 측벽에 쥠구멍(파수공)을 형성하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공개특허2001-18979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파수공이 형성된 용기는, 물품 등을 수용하여 복수 단(段)으로 쌓은 상태로 운반 또는 보관할 경우에, 외부로부터 파수공을 통해 모래먼지, 먼지, 물방울 등의 이물이 용기내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이물이 용기내에 수용된 물품에 부착하면, 물품의 품질을 열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모래먼지이나 먼지가 물품의 표면에 부착하면, 물품의 표면이 더러워지거나 진동에 의해 물품의 표면에 긁힘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물방울이 물품의 표면에 부착하면, 흡수에 의한 성능변화나 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대책으로서 용기를 운반한 후에, 파수공을 막기 위해 접착테이프를 점착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방법은, 용기를 운반한 후에 접착테이프를 점착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될 뿐더러, 용기를 다시 운반할 때 접착테이프를 벗기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매우 번거럽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해서 안출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수공을 이용하여 용기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동시에, 각별한 작업을 행하지 않고 이물이 파수공을 통해 용기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에 따른 발명은, 상자형상의 용기 본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에 각각 파수공이 형성되는 동시에 각 파수공의 주위를 따라 각각 측벽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가 환(環)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운반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는, 파수공의 위치에, 외형치수가 파수공의 횡방향치수와 종방향치수 중 적어도 한쪽을 상회하는 크기로 형성된 판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어느 한 가장자리로부터 이 본체부의 외면(外面)측(용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파수공에 끼움 가능한 돌출부와, 돌출부의 선단(先端)측에 형성되어 플랜지에 걸리는 걸림부가 일체로 설치되는 동시에, 적어도 본체부와 돌출부의 연결부 및 걸림부가 탄성변형가능한 재료로 형성된 개폐부재(청구항5 참조)를 구비하고, 이 개폐부재는, 본체부가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파수공을 막도록 배치되어 걸림부가 플랜지에 끼워져서 걸림으로써 용기 본체에 장착되며, 용기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파수공을 통해 본체부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본체부가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 향해 탄성변위하여 파수공을 개방하고,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본체부가 용기 본체의 외측으로 향해 탄성복원하여 본체부의 외주연(外周緣)의 적어도 일부가 파수공의 주위의 측벽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파수공을 용기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용기 본체의 파수공의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에, 개폐부재의 걸림부를 걸리게 함으로써, 용기 본체에 개폐부재를 장착하므로, 기존의 용기(파수공의 주위에 플랜지가 형성된 용기)에 각별한 변경이나 후가공을 더하지 않고, 또한 용기제조장치에 변경을 가하거나 새로 제작하지 않고, 개폐부재를 용이하게 장 착 할 수 있는 동시에, 개폐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폐부재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용기 본체의 파수공에 손을 끼우면, 개폐부재의 본체부가 밀려 파수공이 개방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파수공에 손을 끼워 용기 본체를 들 수 있어, 용기 본체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가 용기 본체의 파수공으로부터 손을 빼면, 개폐부재의 본체부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와 파수공이 폐쇄되기 때문에, 각별한 조작이나 작업을 행하지 않고, 용기의 보관중이나 운송중에 이물(모래먼지, 먼지, 물방울 등)이 파수공을 통해 용기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의 본체부로 파수공을 폐쇄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파수공의 위치보다 위에까지 물품을 수용하여도 이동중 등에 물품이 파수공을 통해 용기 본체의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파수공의 위치보다 위에까지 물품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용기 한 개당의 수용량을 종래보다 많이 할 수 있어, 보관공간이나 운송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2와 같이, 파수공의 상연(上緣)을 따라 형성된 상연 플랜지부에 개폐부재의 걸림부를 걸어, 개폐부재의 본체부가 상기 상연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回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파수공의 상연을 보강하는 상연 플랜지부를 이용하여 개폐부재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혹은, 청구항3과 같이, 파수공의 하연(下緣)을 따라 형성된 하연 플랜지부에 개폐부재의 걸림부를 걸어, 개폐부재의 본체부가 상기 하연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 동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파수공의 하연을 보강하는 하연 플랜지부를 이용하여 개폐부재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혹은, 청구항4와 같이, 파수공의 측연(側緣)을 따라 형성된 측연 플랜지부에 개폐부재의 걸림부를 걸어, 개폐부재의 본체부가 상기 측연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파수공의 측연을 보강하는 측연 플랜지부를 이용하여 개폐부재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6과 같이, 돌출부를 본체부의 상연 또는 하연으로부터 이 본체부의 외면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돌출부의 선단측에 걸림부가, 플랜지를 감아넣을 수 있도록 대략 접힘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개폐부재의 걸림부를 플랜지에 확실하게 끼워맞추어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7과 같이, 본체부의 상연 또는 하연으로부터 이 본체부와 대략 평행방향으로 뻗는 연장부를 설치하여, 상기 연장부를 파수공 주위의 측벽 내면에 접촉가능하게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개폐부재의 연장부와 걸림부 사이에 플랜지를 끼워넣도록 하여 개폐부재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개폐부재를 정확한 위치에 장착 할 수 있는 동시에, 본체부가 외측으로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걸림부가 플랜지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8과 같이, 걸림부에는, 용기 본체의 측벽 외면의 플랜지와 교차하는 방향에 형성된 보강리브(rib)에 끼워맞춰질 수 있는 슬릿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보강리브에 방해받지 않고 걸림부를 플랜지에 걸리게 할 수 있고, 또한, 개폐부재의 횡방향(파수공의 횡방향)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또한, 청구항9와 같이, 적어도 연결부 및 걸림부를 유연하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폴리머재료로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개폐부재를 용이하게 개폐회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걸림부를 용이하게 플랜지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10과 같이, 개폐부재의 전체를 탄성폴리머재료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작업자가 파수공에 손을 끼워 개폐부재가 손에 닿았을 때의 감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고, 또한,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청구항11과 같이, 탄성폴리머재료는, 고무, 합성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하나를 사용하면 좋다. 이러한 재료는,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12와 같이, 연결부는, 돌출부의 기단부(基端部)를 따라 뻗는 오목홈을 형성하여 두께를 얇게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연결부 중 오목홈을 형성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되어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개폐부재를 용이하게 개(開)동작(내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개폐부재의 개폐시(회동시)에 다른 부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13과 같이, 돌출부를 본체부의 상연으로부터 이 본체부의 외면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고, 돌출부의 하면에 본체부와 대략 평행방향으로 뻗는 중공(中空)의 통 형상부를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작업자가 파수공에 손을 끼워 통 형상부를 손으로 들었을 때의 감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14와 같이, 통 형상부는, 본체부와 대략 평행방향으로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되는 대략 파상(波狀)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작업자가 파수공에 손을 끼워 통 형상부를 손으로 들었을 때에 손가락이 오목부에 끼워져 안정되게 들수 있다.
본 발명의 개폐부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청구항15와 같이, 판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연 또는 하연으로부터 이 본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플랜지에 끼워맞춰져 걸리는 걸림부가 일체로 설치되는 동시에, 적어도 본체부와 돌출부의 연결부 및 걸림부가 탄성변형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긴 개폐부재 연속체를 준비하는 연속체 준비공정과, 개폐부재 연속체의 본체부를 소정의 횡방향치수로 절단하는 처리와 개폐부재 연속체의 돌출부 및 걸림부를 파수공의 횡방향치수를 상회하지 않는 횡방향치수로 절단하는 처리를 동시에 또는 차례로 실시하는 절단공정을 실행하고, 본체부는, 외형 치수가 상기 파수공의 횡방향 치수와 종방향 치수 중 적어도 한쪽을 상회하는 크기로 형성하면 좋다. 또한, 본체부를 절단하는 처리와 돌출부 및 걸림부를 절단하는 처리를 차례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체부를 절단한 후에 돌출부 및 걸림부를 절단하여도 좋고, 돌출부 및 걸림부를 절단한 후에 본체부를 절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개폐부재 연속체를 절단하는 것만으로 개폐부재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개폐부재를 용이하면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16과 같이, 연속체 준비공정으로서 개폐부재 연속체를 폴리 머재료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공정을 실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압출성형에 의해 개폐부재 연속체를 연속해서 효율적이고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17과 같이, 압출성형공정에 있어서, 적어도 연결부 및 걸림부를 탄성변형가능한 폴리머재료로 성형하여도 좋다. 연결부 및 걸림부를 부분적으로 탄성변형가능한 폴리머재료로 성형하는 경우에도, 이종(異種)의 폴리머재료의 공압출성형에 의해 개폐부재 연속체를 간단히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18과 같이, 압출성형공정에 있어서, 개폐부재 연속체의 전체를 용기 본체보다 경도가 작고 탄성변형가능한 폴리머재료로 성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1종류의 폴리머재료의 통상적인 압출성형에 의해 개폐부재 연속체를 보다 간단히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19와 같이, 압출성형공정에 있어서, 돌출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뻗는 중공의 통 형상부를 일체로 성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압출성형에 의해 통 형상부를 간단히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20과 같이, 외주부에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연속해서 형성된 압압롤러를 사용하여, 압출성형공정 후에 통 형상부의 하면에 압압롤러의 외주부를 밀어붙인 상태에서 이 압압롤러를 압출성형 속도와 동기(同期)해서 회전시킴으로써 통 형상부를 길이방향으로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하는 대략 파상으로 성형하는 요철(凹凸)성형공정을 실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압압롤러에 의해 통 형상부를 간단히 대략 파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21과 같이, 압압롤러의 외주길이를 본체부의 횡방향치수의 정수배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압압롤러가 1회전할 때마다 개폐부재의 소정 개수분씩 통 형상부를 대략 파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22와 같이, 압압롤러에는, 다른 볼록부와 둘레길이가 다른 볼록부를 적어도 1개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개폐부재 연속체의 통 형상부에 다른 오목부와 길이가 다른 오목부를 성형할 수 있고, 그 부분을 절단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23과 같이, 압출성형공정에 있어서, 통 형상부의 내부 중 돌출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압출방향)으로 연속해서 뻗는 통기(通氣)홈을 성형하고, 요철성형공정에 있어서, 통 형상부의 각 볼록부내의 중공부가 통기홈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통 형상부를 대략 파상으로 성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통 형상부의 각 볼록부내의 중공부가 통기홈에 의해 연통하기 때문에, 공기압의 변동에 의한 볼록부의 급격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24과 같이, 상기 탄성변위 및 탄성복원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가 회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청구항25와 같이,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기단부를 따라 연속된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에 의해 상기 오목홈에 인접하는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26과 같이, 상기 본체부의 하연이 상연보다 상기 돌출부의 돌출방향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27과 같이, 상기 탄성변위 및 탄성복원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가 회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청구항28과 같이,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기단부를 따라 연속된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기단부는 상기 오목홈에 의해 상기 오목홈에 인접하는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24과 같이, 상기 탄성변위 및 탄성복원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가 회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청구항25와 같이,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기단부를 따라 연속된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에 의해 상기 오목홈에 인접하는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26과 같이, 상기 본체부의 하연이 상연보다 상기 돌출부의 돌출방향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27과 같이, 상기 탄성변위 및 탄성복원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가 회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청구항28과 같이,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기단부를 따라 연속된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기단부는 상기 오목홈에 의해 상기 오목홈에 인접하는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파수공을 이용하여 용기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동시에, 각별한 작업을 행하지 않고 이물이 파수공을 통해 용기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구체화한 몇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1을 도 1 내지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반용 용기의 용기본체(11)는, 폴리프로필린 등의 경질의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벽(底壁)(12)과, 이 저벽(12)의 단변(短邊)측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벽(13)과, 저벽(12)의 장변(長邊)측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측벽(14)이 용기본체(11)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용기본체(11)의 상단부의 외주연(外周緣)(각 측벽(13, 14)의 상단부의 외주연)에는, 상연(上緣) 플랜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측벽(13, 14)의 외면(外面)(용기본체(11)의 코너부도 포함한다)에는, 종방향으로 뻗는 복수 개(또는 1개)의 종(縱)보강리브(16)나 횡방향으로 뻗는 복수 개(또는 1개)의 횡(橫)보강리브(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벽(12)의 하면(下面)에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부(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1)를 복수 단(段)으로 겹쳐 쌓을 때에, 상단측의 용기본체(11)의 위치결정돌기부(18)가 하단측의 용기본체(11)(도 1의 이점쇄선 참조)의 개구부(開口部)에 끼운다. 각 위치결정돌기부(18)는, 격자(格子) 형상의 보강리브(19)(도 2 참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측벽(14)의 상부측에는, 각각 대략 사각형(본 실시예1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의 파수공(把手孔)(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 파수공(20)의 주위를 따라 각각 제2 측벽(14)으로부터 용기본체(1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21)가 파수공(20)의 형 태에 대응하여 환(環)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파수공(20)에 작업자가 손(예를 들면 엄지손가락 이외의 4개의 손가락)을 끼워 용기본체(11)를 들 수 있다. 플랜지(21)는, 파수공(20)의 상연을 따라 형성된 상연 플랜지부(21a)와, 파수공(20)의 하연을 따라 형성된 하연 플랜지부(21b)와, 파수공(20)의 측연을 따라 형성된 측연 플랜지부(21c, 21c)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용기본체(11)의 파수공(20)을 막도록 장착되는 개폐부재(2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22)는,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판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23)와, 이 본체부(23)의 상연으로부터 이 본체부(23)의 외면측(용기본체(11)의 측벽(13, 14)의 외측에서 본체부(23)와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4)와, 이 돌출부(24)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플랜지(21)(본 실시예1에서는 상연 플랜지부(21a))에 걸리는 걸림부(25)와, 본체부(23)의 상연으로부터 이 본체부(23)와 대략 평행방향(상방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뻗는 연장부(26)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4)의 하면에는, 본체부(23)와 대략 평행방향(용기본체(11)의 파수공(20)의 횡방향)으로 뻗는 중공(中空)의 통 형상부(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 형상부(27)는, 본체부(23)와 대략 평행방향으로 복수(예를 들면 4개)의 오목부(28)와 복수(예를 들면 5개)의 볼록부(29)가 교대로 연속하는 대략 파상(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3)는, 횡방향치수 E와 종방향치수 G 중 적어도 한쪽이 파수공(20)의 횡방향치수 X와 종방향치수 Y(도 4 참조) 중 적어도 한쪽을 상회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횡방향치수 E와 종방향치수 G가 각각 파수공(20)의 횡방향치수 X와 종방향치수 Y를 상회하는 치수로 형성되면, 파수공(20)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돌출부(24) 및 걸림부(25)는, 횡방향치수 F가 파수공(20)의 횡방향치수 X를 상회하지 않는 치수(거의 같거나 또는 조금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파수공(20)내를 통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4) 및 걸림부(25)는, 선단측의 양 각부가 모따기되어 테이퍼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3)와 연장부(26)는, 각각 외주연이 모따기되어 테이퍼부(31, 32)가 형성되어, 출납되는 물품이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25)는, 상연 플랜지부(21a)를 감아 끼워맞출 수 있도록 대략 접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연 플랜지부(21a)에 확실하게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22)는, 본체부(23)와 돌출부(24)의 연결부(33)(돌출부(24)의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 근방의 본체부(23)의 범위의 연결부(33)) 및 걸림부(25)가 탄성변형가능한 폴리머재료로 형성되고, 연결부(33) 및 걸림부(25) 이외의 부분이 다른 폴리머재료(연결부(33) 및 걸림부(25)보다 딱딱한 폴리머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3) 및 걸림부(25)를 형성하는 탄성변형가능한 폴리머재료는, 용기본체(11)보다 경도가 작으면서 유연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폴리머재료이며, 예를 들면, 가황처리된 고무, 합성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재료가 사용된다. 이러한 탄성폴리머재료로 연결부(33) 및 걸림부(25)를 형성함으로써, 접힘 형상의 걸림부(25)를 탄성변형시켜 확개(擴開)하여 상연 플랜지부(21a)를 감기도록 하여, 탄성복원으로 닫히게 하여 용이하게 플랜지(21)(상연 플랜지부(21a))에 걸리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개폐부재(22)를 연결부(33)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변형시켜 용이하게 개폐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23)는, 본체부(23)의 상연에 대해 하연이 소정 치수 A만큼 돌출부(24)측(용기본체(11)의 제2 측벽(14)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개폐부재(22)가 용기본체(11)에 장착되었을 때에 본체부(23)의 하연측이 용기본체(11)의 제2 측벽(14) 내면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연결부(33)에는, 돌출부(24)의 기단부를 따라 뻗는 연속된 오목홈(34)이 형성되어, 연결부(33) 중 오목홈(34)을 형성한 부분이 다른 인접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되어 구부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더욱이, 통 형상부(27)의 내부 중 돌출부(24)의 하면에는, 본체부(23)와 대략 평행방향(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뻗는 복수의 통기홈(35)이 형성되어, 통 형상부(27)의 각 볼록부(29)내의 중공부가 통기홈(35)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22)는, 본체부(23)가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부터 파수공(20)을 막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파수공(20)의 상연을 따라 형성된 상연 플랜지부(21a)에 걸림부(25)를 탄성변형시켜 확개하여, 상연 플랜지부(21a)를 감아 끼워맞춰, 걸림부(25)를 탄성복원으로 닫아서, 상연 플랜지부(21a)에 걸리게 한다. 이에 의해, 파수공(20)의 상연을 보강하는 상연 플랜지부(21a)를 이용하여 개폐부재(22)를 간단히 용기본체(11)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26)가 파수공(20) 상측의 제2 측벽(14)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연장부(26)와 걸림부(25) 사이에 상연 플랜지부(21a)를 끼워넣는다. 그리고, 개폐부재(22)를 떼어낼 때는,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용기본체(11)의 파수공(20)에 손(예를 들면, 엄지손가락 이외의 4개의 손가락)을 끼워넣어 개폐부재(22)의 본체부(23)를 누룸으로써 용기본체(11)의 외측으로부터 파수공(20)을 통해 본체부(23)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 도 10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3)가 연결부(33)(상연측)를 중심으로 하여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향해 탄성변위하여 회동해서 파수공(20)이 개방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파수공(20)에 손을 끼워넣어 용기본체(11)를 들 수 있다.
그후, 작업자가 용기본체(11)의 파수공(20)으로부터 손을 뺌으로써 개폐부재(22)에 작용하고 있던 외력이 해제된다. 이때에, 도 10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23)가 연결부(33)를 중심으로 하여 용기본체(11)의 외측으로 향해 탄성복원하여 회동해서 본체부(23)의 외주연이 파수공(20) 주위의 제2 측벽(14) 내면에 접촉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옮으로써 파수공(20)을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부터 폐쇄한다. 이에 의해, 이물(모래먼지, 먼지, 물방울 등)이 파수공(20)을 통해 용기본체(11)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이용하고, 개폐부재(22)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개폐부재(22)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먼저, 압출성형공정(연속체 준비공정)을 실행한다. 이 압출성형공정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출성형기(36)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일정 횡단면 형상의 긴 개폐부재 연속체(37)를 폴리머재료로 압출성형한다. 이 개폐부재 연속체(37)는, 본체부(23)와 돌출부(24)와 걸림부(25)와 연장부(26)와 통 형상부(27)가 일체로 성형되고, 통 형상부(27)의 내부 중 돌출부(24)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뻗는 통기홈(35)이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예1에서는, 공압출성형에 의해, 연결부(33) 및 걸림부(25)를 용기본체(11)보다 경도가 작으면서 유연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 폴리머재료로 성형하고, 연결부(33) 및 걸림부(25) 이외의 부분을 다른 폴리머재료(연결부(33) 및 걸림부(25)보다 딱딱한 폴리머재료)로 성형한다. 이에 의해, 개폐부재 연속체(37)를 연속해서 효율적이면서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압출성형공정의 실행 후, 요철성형공정을 실행한다. 이 요철성형공정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押壓)장치(38)를 사용한다. 이 압압장치(38)에는, 외주부에 볼록부(39)와 오목부(40)가 교대로 연속해서 형성된 압압롤러(41)가 설치되고, 이 압압롤러(41)의 회전축(42)이 베어링(43)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어된 모터 등(도시 안함)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이 압압롤러(41)의 상방에는, 압출성형기(36)로부터 소정의 일정 횡단면 형상으로 압출되는 개폐부재 연속체(37)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44)는, 횡단면이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된 돌출지지부(45)에, 개폐부재 연속체(37)의 걸림부(25)를 걸리게 함으로써, 개폐부재 연속체(37)를 매단 상태로 지지한다.
요철성형공정에서는, 압출성형기(36)로부터 압출되는 개폐부재 연속체(37)의 통 형상부(27)가 소성변형가능할 때에 통 형상부(27)의 하면에 압압롤러(41)의 외주부를 압착한 상태에서 이 압압롤러(41)를 압출성형속도와 동기하여 회전구동시킴으로써, 통 형상부(27)의 하면에 압압롤러(41)의 볼록부(39)와 오목부(40)를 교대로 압착하여 통 형상부(27)를 길이방향으로 오목부(28)와 볼록부(29)가 교대로 연속하는 대략 파상으로 성형한다. 이에 의해, 통 형상부(27)를 간단히 대략 파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때, 통 형상부(27)의 각 볼록부(29)내의 중공부가 통기홈(35)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통해서 통기(通氣)가능하게 통 형상부(27)를 대략 파상으로 성형한다.
압압롤러(41)는, 외주(外周) 길이가 개폐부재(22)의 본체부(23)의 횡방향치수 E의 정수배(예를 들면 1배)로 형성되어, 압압롤러(41)가 1회전할 때마다 개폐부재(22)의 소정 개수분(예를 들면 1개분)씩 통 형상부(27)를 대략 파상으로 성형한다. 더욱이, 압압롤러(41)에는, 다른 볼록부(39)보다 둘레길이가 긴 볼록부(39L)가 1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폐부재 연속체(37)의 통 형상부(27)에 다른 오목부(28)보다 긴 오목부(28L)를 성형할 수 있어, 그 부분을 절단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요철성형공정의 실행 후, 절단공정을 실행한다. 이 절단공정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부(27)가 대략 파상으로 성형된 개폐부재 연속체(37)를 인취기(hauling machine)(46)로 당기면서 절단장치(47)에 공급한다. 인취기(46)와 절단장치(47) 사이에는, 개폐부재 연속체(37)의 통 형상부(27)의 오목부(28)와 볼록부(29)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요철검지부(48)를 갖춘 요철센서(49)가 배치되 어, 이 요철센서(49)의 출력신호(펄스신호)가 제어장치(50)에 입력된다. 이 제어장치(50)는, 요철센서(49)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오목부(28) 및/또는 볼록부(29)의 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한 값이 소정치에 이르렀을 때에 절단장치(47)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절단장치(47)를 절단동작시킨다.
절단장치(47)에는, 개폐부재 연속체(37)의 본체부(23)를 절단하는 칼날과, 개폐부재 연속체(37)의 돌출부(24) 및 걸림부(25)를 본체부(23)와는 다른 위치에서 절단하는 칼날을 일체적으로 설치한 절단칼날(5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 연속체(37)의 본체부(23)를 절단하는 칼날과, 개폐부재 연속체(37)의 돌출부(24) 및 걸림부(25)를 본체부(23)와는 다른 위치에서 절단하는 칼날을 따로따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 절단장치(47)로, 개폐부재 연속체(37)의 본체부(23)를 소정의 횡방향치수 E(파수공(20)의 횡방향치수 X를 상회하는 횡방향치수)로 절단하는 처리와, 개폐부재 연속체(37)의 돌출부(24) 및 걸림부(25)를 소정의 횡방향치수 F(파수공(20)의 횡방향치수 X를 상회하지 않는 횡방향치수)로 절단하는 처리를 동시에 실시한다. 이에 의해, 개폐부재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압출성형된 개폐부재 연속체(37)를 절단하는 것만으로 개폐부재(22)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개폐부재(22)를 용이하면서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 연속체(37)의 통 형상부(27)에 오목부(28) 및 볼록부(29)를 성형하지 않는 경우에는, 절단장치(47)로부터 하류측에 소정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된 위치센서(52)(예를 들면, 발광(發光)소자(52a)와 수광(受光)소자(52b)로 이루어지는 광센서)로 개폐부재 연속체(37)의 선단부를 검출하였을 때, 제어장치(50)가 절단장치(47)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절단장치(47)를 절단동작시켜도 좋다.
또한, 본체부(23)를 절단하는 처리와 돌출부(24) 및 걸림부(25)를 절단하는 처리를 반드시 동시에 실시할 필요는 없고, 본체부(23)를 절단하는 처리와 돌출부(24) 및 걸림부(25)를 절단하는 처리를 차례로 실시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본체부(24)를 절단한 후에 돌출부(24) 및 걸림부(25)를 절단하여도 좋고, 돌출부(24) 및 걸림부(25)를 절단한 후에 본체부(23)를 절단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1에서는, 용기본체(11)의 파수공(20)의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21)(상연 플랜지부(21a))에, 개폐부재(22)의 걸림부(25)를 걸리게 함으로써, 용기본체(11)에 개폐부재(22)를 장착하므로, 기존의 용기본체(11)(파수공(20)의 주위에 플랜지(21)가 형성된 용기본체(11))에 각별한 형상의 변경이나 구멍뚫기 등의 후가공을 가하지 않고, 또한 용기제조장치에 변경을 가하거나, 신규로 제작하지 않고, 개폐부재(22)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개폐부재(22)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폐부재(22)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용기본체(11)의 파수공(20)에 손을 끼우면, 개폐부재(22)의 본체부(23)가 밀려 파수공(20)이 개방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파수공(20)에 손을 끼워 용기본체(11)를 들 수 있어, 용기본체(11)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후, 작업자가 용기본체(11)의 파수공(20)으로부터 손을 빼면, 개폐부재(22)의 본체부(23)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와 파수공(20)이 폐쇄되기 때문에, 각별한 조작이나 작업을 행하지 않고, 용기본체(11)의 보관중이나 운송중에 이물(모래먼지, 먼지, 물방울 등)이 파수공(20)을 통해 용기본체(11)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기본체(11)내에 수용된 물품 등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개폐부재(22)의 본체부(23)로 파수공(20)을 폐쇄함으로써, 용기본체(11)의 파수공(20)의 위치보다 상측까지 물품을 수용하여도 이동중 등에 물품이 파수공(20)을 통해 용기본체(11)의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용기본체(11)의 파수공(20)의 위치보다 상측까지 물건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용기 한 개당의 수용량을 종래보다 많이 할 수 있어, 보관공간이나 운송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1에서는, 개폐부재(22)의 연장부(26)와 걸림부(25) 사이에 플랜지(21)(상연 플랜지부(21a))를 끼워넣도록 하여 개폐부재(22)를 장착하므로, 개폐부재(22)를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걸림부(25)가 플랜지(21)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1에서는, 연결부(33)에 오목홈(34)을 형성함으로써, 연결부(33) 중 오목홈(34)을 형성한 부분이 두께가 얇아져서 구부러지기 쉽게 되므로,개폐부재(22)를 용이하게 개(開)동작(내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개폐부재(22)의 개폐시(회동시)에 다른 부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1에서는, 개폐부재(22)의 돌출부(24)의 하면에 중공의 통 형상부(27)를 형성하므로, 작업자가 파수공(20)에 손을 끼워 통 형상부(27)를 손으로 들었을 때의 감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통 형상부(27)를 오목부(28)와 볼록부(29)가 교대로 연속하는 대략 파상으로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작업자가 파수공(20)에 손을 끼워 통 형상부(27)를 손으로 들었을 때에 손가락이 오목부(28)에 끼워져 안정되게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1에서는, 압출성형공정에 있어서, 통 형상부(27)의 내부 중 돌출부(24)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뻗는 통기홈(35)을 성형하고, 요철성형공정에 있어서, 통 형상부(27)의 각 볼록부(29)내의 중공부가 통기홈(35)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통 형상부(27)를 대략 파상으로 성형하므로, 개폐부재(22)의 제조완료 후에도 통 형상부(27)의 각 볼록부(29)내의 중공부가 통기홈(35)에 의해 연통된 상태로 되어, 공기압의 변동에 의한 볼록부(29)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2]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2를 설명한다. 단, 상기 실시예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간략화하고, 주로 상기 실시예1과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2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1)는, 제2 측벽(14)의 외면 중앙부에도, 종(縱)보강리브(16)가 형성되고, 이 종보강리브(16)가 플랜지(21)의 상연 플랜지부(21a)의 중앙부 및 하연 플랜지부(21b)의 중앙부에, 각 플랜지부(21a, 21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22)는, 걸림부(25)의 중앙부(종보강리브(16)에 대응하는 위치)에, 종보강리브(16)에 끼워맞춤 가능한 슬릿(53)이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1과 같다.
이에 의해, 용기본체(11)의 제2 측벽(14)의 외면 중앙부에 종보강리브(16)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 종보강리브(16)에 방해받지 않고(간섭없이) 개폐부재(22)의 걸림부(25)를 플랜지(21)(상연 플랜지부(21a))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또한, 걸고난 후는, 횡방향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1, 2에서는, 파수공(20)의 상연을 따라 형성된 상연 플랜지부(21a)에 걸림부(25)를 걸고, 개폐부재(22)의 본체부(23)를 상연측을 중심으로하여 개폐회동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단,상기 구성을 대신하여 파수공(20)의 하연을 따라 형성된 하연 플랜지부(21b)에 걸림부(25)를 걸고, 개폐부재(22)의 본체부(23)를 하연측을 중심으로하여 개폐회동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혹은, 파수공(20)의 한쪽 측연을 따라 형성된 측연 플랜지부(21c)에 걸림부(25)를 걸고, 개폐부재(22)의 본체부(23)를 한쪽의 측연측을 중심으로하여 개폐회동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1, 2에서는, 개폐부재(22)의 연결부(33) 및 걸림부(25)만을 탄성폴리머재료로 형성하였지만, 개폐부재(22)의 연결부(33)로부터 걸림부(25)까지의 부분(연결부(33)와 돌출부(24)와 통 형상부(27)와 걸림부(25))만을 탄성폴리머재료로 형성하거나 혹은, 개폐부재(22)의 전체를 탄성폴리머재료로 형성하여도 좋다. 개폐부재(22)의 전체를 탄성폴리머재료로 형성하면, 탄성변형하는 범위가 상기 각 실시예1, 2의 경우보다 넓어져, 개폐부재(22)의 연결부(33) 등에 국부적인 크리프(creep)변형 등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1, 2에서는, 돌출부(24)의 하면에 설치하는 통 형상부(27)를 대략 파상으로 형성하였지만, 통 형상부(27)를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 하여도 좋다. 또한, 통 형상부(27)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3]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3을 설명한다. 단, 상기 실시예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간략화하며, 주로 상기 실시예1과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3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54)는, 탄성폴리머재료의 사출성형 또는 압축성형 등에 의해, 본체부(55)와, 이 본체부(55)의 상연 양 단부로부터 각각 이 본체부(55)의 외면측(본체부(55)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종(縱)돌출부(56)와 각 종돌출부(56)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플랜지(21)(본 실시예3에서는 측연 플랜지부(21c))에 걸리는 걸림부(57)와, 본체부(55)의 상연으로부터 이 본체부(55)와 대략 평행방향(상방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뻗는 연장부(5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각 종돌출부(56)는, 각각 본체부(55)의 측연을 따라 종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상단 각부만으로 본체부(55)의 상연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55)와 종돌출부(56)의 연결부(59)에는, 오목홈(60)이 형성되어, 연결부(59) 중 오목홈(60)을 형성한 부분이 두께가 얇아져 구부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이 개폐부재(54)는, 이 개폐부재(54)의 전체가 탄성폴리머재료(용기본체(11)보다 경도가 작으면서 유연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폴리머재료)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수공(20)에 손을 끼워 개폐부재(54)가 손에 닿았을 때의 감촉을 부드럽게 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부재(54)는, 본체부(55)가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부터 파수공(20)을 막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파수공(20)의 각 측연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측연 플랜지부(21c)에 각각 걸림부(57)를 걺으로써, 파수공(20)의 측연을 보강하는 측연 플랜지부(21c)를 이용하여 개폐부재(54)를 간단히 용기본체(11)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3에 있어서도, 용기본체(11)에 개폐부재(54)를 장착함으로써, 용기본체(11)의 파수공(20)을 이용하여 용기본체(11)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동시에, 각별한 작업을 행하지 않고 이물이 파수공(20)을 통해 용기본체(11)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3에서는, 개폐부재(54)의 전체를 탄성폴리머재료로 형성하였지만, 개폐부재(54)의 연결부(59) 및 걸림부(57)만을 탄성폴리머재료로 형성하거나 혹은, 개폐부재(54)의 연결부(59)로부터 걸림부(57)까지의 부분(연결부(59)와 종돌출부(56)와 걸림부(57))만을 탄성폴리머재료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1~3에서는, 용기본체(11)에 대략 사각형의 파수공(20)을 형성하였지만, 파수공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파수공의 형상을 대략 반원형이나 대략 장원(長圓)형이나 대략 타원형 등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성형 등에 의해 상자 형상으로 성형된 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평판 형상의 전개 형상을 접어서 상자 형상으로 조립한 용기에 적용하여도 좋다. 더욱이, 개폐부재(54)는, 압출성형을 대신하여 사출성형이나 압축성형으 로 성형할 수도 있는 등,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있어서의 용기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1의 용기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1의 용기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1의 용기본체의 파수공 및 그 주변부를 용기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1의 개폐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1의 개폐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1의 용기본체에 장착한 개폐부재 및 그 주변부를 용기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C-C 단면도이다.
도 11은 압출성형기 및 압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 단면도이다.
도 13은 절단장치 및 그 주변부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14는 실시예2의 용기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2의 개폐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3의 개폐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3의 개폐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3의 개폐부재의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용기본체 12: 저벽
13: 제1 측벽 14: 제2 측벽
20: 파수공 21: 플랜지
22: 개폐부재 23: 본체부
24: 돌출부 25: 걸림부
26: 연장부 27: 통 형상부
28: 오목부 29: 볼록부
33: 연결부 34: 오목홈
35: 통기홈 36: 압출성형기
37: 개폐부재 연속체 38: 압압장치
41: 압압롤러 47: 절단장치
53: 슬릿 54: 개폐부재
55: 본체부 56: 종돌출부
57: 걸림부 58: 연장부
59: 연결부 60: 오목홈
Claims (28)
- 상자 형상의 용기본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에 각각 파수공(把手孔)이 형성됨과 아울러 각 파수공의 주위를 따라 각각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가 환(環)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운반용 용기에 있어서,상기 용기는, 상기 파수공의 위치에, 외형치수가 상기 파수공의 횡방향치수와 종방향치수 중 적어도 한쪽을 상회하는 크기로 형성된 판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횡방향과 종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가장자리로부터 이 본체부의 외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파수공에 끼움 가능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걸리는 걸림부가 일체로 설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돌출부의 연결부 및 상기 걸림부가 탄성변형가능한 재료로 형성된 개폐부재를 구비하고,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파수공을 막도록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플랜지에 끼워맞춰져서 걸림으로써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파수공을 통해 상기 본체부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본체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향해 탄성변위해서 상기 파수공을 개방하고, 상기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본체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향해 탄성복원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外周緣)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수공 주위의 측벽 내면(內面)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파수공을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부터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을 갖는 운반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파수공의 상연(上緣)을 따라 형성된 상연 플랜지부에 상기 개폐부재의 걸림부가 걸려서, 상기 개폐부재의 본체부가 상기 상연측을 중심으로하여 회동(回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을 갖는 운반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파수공의 하연(下緣)을 따라 형성된 하연 플랜지부에 상기 개폐부재의 걸림부가 걸려서, 상기 개폐부재의 본체부가 상기 하연측을 중심으로하여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을 갖는 운반용 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파수공의 측연을 따라 형성된 측연 플랜지부에 상기 개폐부재의 걸림부가 걸려져서, 상기 개폐부재의 본체부가 상기 측연측을 중심으로하여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을 갖는 운반용 용기.
- 상자 형상의 용기본체의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에 각각 파수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각 파수공의 주위를 따라 각각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가 환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운반용 용기의 파수공에 장착가능한 개폐부재로서,상기 개폐부재는, 외형치수가 상기 파수공의 횡방향치수와 종방향치수 중 적어도 한쪽을 상회하는 크기로 형성된 판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횡방향과 종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가장자리로부터 이 본체부의 외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파수공에 끼움 가능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끼워맞춰져서 걸리는 걸림부가 일체로 설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돌출부의 연결부 및 상기 걸림부가 탄성변형가능한 재료로 형성되고,상기 본체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파수공을 막도록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플랜지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파수공을 통해 상기 본체부에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본체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향해 탄성변위하여 상기 파수공을 개방하며, 상기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본체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향해 탄성복원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수공 주위의 측벽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파수공을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부터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연 또는 하연으로부터 이 본체부의 외면측으 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의 선단측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플랜지를 감을 수 있게 접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부의 상연 또는 하연으로부터 이 본체부와 평행방향으로 뻗는 연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파수공 주위의 측벽 내면에 접촉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측벽 외면(外面)의 상기 플랜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리브(rib)에 끼워맞춤 가능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제5항에 있어서,적어도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걸림부가 유연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폴리머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제5항에 있어서,상기 개폐부재의 전체가 유연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폴리머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탄성폴리머재료는, 고무, 합성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는, 상기 돌출부의 기단부(基端部)를 따라 뻗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두께가 얇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돌출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연으로부터 이 본체부의 외면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下面)에 상기 본체부와 평행방향으로 뻗는 중공(中空)의 통 형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통 형상부는, 상기 본체부와 평행방향으로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하는 파상(波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상자 형상의 용기본체의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에 각각 파수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각 파수공의 주위를 따라 각각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가 환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운반용 용기의 파수공에 장착가능한 개폐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판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연 또는 하연으로부터 이 본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끼워맞춰져서 걸리는 걸림부가 일체로 설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돌출부의 연결부 및 상기 걸림부가 탄성변형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긴 개폐부재 연속체를 준비하는 연속체 준비공정과,상기 개폐부재 연속체의 본체부를 소정의 횡방향치수로 절단하는 처리와 상기 개폐부재 연속체의 돌출부 및 걸림부를 상기 파수공의 횡방향치수를 상회하지 않는 횡방향치수로 절단하는 처리를 동시에 또는 차례로 실시하는 절단공정을 포함하며,상기 본체부는, 외형치수가 상기 파수공의 횡방향 치수와 종방향 치수 중 적어도 한쪽을 상회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연속체 준비공정은, 상기 개폐부재 연속체를 폴리머재료로부터 일정 횡단면 형상으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적어도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걸림부를 탄성변형가능한 폴리머재료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상기 개폐부재 연속체의 전체를 상기 용기본체보다 경도가 작고 탄성변형가능한 폴리머재료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상기 돌출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뻗는 중공의 통 형상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제19항에 있어서,외주부(外周部)에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연속해서 형성된 압압(押壓)롤러를 사용하고,상기 압출성형공정 후에 상기 통 형상부의 하면에 상기 압압롤러의 외주부를 압착한 상태에서 이 압압롤러를 압출성형속도와 동기(同期)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통 형상부를 길이방향으로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하는 파상으로 성형하 는 요철(凹凸)성형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압압롤러는, 외주 길이가 상기 본체부의 횡방향치수의 정수배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압압롤러에는, 다른 볼록부와 둘레 길이가 다른 볼록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압출성형공정에서, 상기 통 형상부의 내부 중 상기 돌출부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뻗는 통기홈을 성형하고,상기 요철성형공정에서, 상기 통 형상부의 각 볼록부 내의 중공부가 상기 통기홈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도록 상기 통 형상부를 파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변위 및 탄성복원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가 회동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을 갖는 운반용 용기.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기단부를 따라 연속된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오목홈에 의해 상기 오목홈에 인접하는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을 갖는 운반용 용기.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부의 하연이 상연보다 상기 돌출부의 돌출방향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제5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변위 및 탄성복원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부가 회동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돌출부의 기단부를 따라 연속된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기단부는 상기 오목홈에 의해 상기 오목홈에 인접하는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수공의 개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335645 | 2007-12-27 | ||
JPJP-P-2007-335645 | 2007-12-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1361A KR20090071361A (ko) | 2009-07-01 |
KR101156260B1 true KR101156260B1 (ko) | 2012-06-13 |
Family
ID=4079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1639A KR101156260B1 (ko) | 2007-12-27 | 2008-11-11 | 파수공을 갖는 운반용 용기 및 파수공의 개폐부재 및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166366A1 (ko) |
JP (1) | JP5349039B2 (ko) |
KR (1) | KR101156260B1 (ko) |
CN (1) | CN10146873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2022974A1 (de) * | 2012-11-26 | 2014-05-28 | FEURER Porsiplast GmbH | Behälter |
EP3023303B1 (en) * | 2014-11-21 | 2017-06-14 | FCA Italy S.p.A. | Movable loading floor for a motor vehicle trunk |
KR200478505Y1 (ko) | 2015-07-07 | 2015-10-15 | (주)한스테크 |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
JP7177462B2 (ja) * | 2018-05-10 | 2022-11-24 |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 持ち手用の取付部材 |
JP7101945B2 (ja) * | 2018-05-10 | 2022-07-19 | 三甲株式会社 | 台車の台盤 |
JP7181575B2 (ja) * | 2018-06-15 | 2022-12-01 |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 持ち手用の取付部材 |
JP7321450B2 (ja) * | 2019-05-28 | 2023-08-07 | 三甲株式会社 | 容器 |
US11117500B2 (en) * | 2019-11-01 | 2021-09-14 | Ts Tech Co., Ltd. | Vehicle sea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986Y1 (ko) | 2002-11-06 | 2003-02-11 | 주식회사 동진포장 | 해체가 용이한 상자의 손잡이 커버판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79676A (en) * | 1964-03-09 | 1966-10-18 | Cornish Edward | Carton construction |
JPS4732740U (ko) * | 1971-04-30 | 1972-12-12 | ||
JPS5695849A (en) * | 1979-12-29 | 1981-08-03 | Sony Corp | Handle |
GB8811094D0 (en) * | 1988-05-11 | 1988-06-15 | Reed Packaging Ltd | Container |
US5133472A (en) * | 1990-10-31 | 1992-07-28 | Mobil Oil Corporation | Laundry basket and handle therefor |
NL9002485A (nl) * | 1990-11-14 | 1992-06-01 | Wavin Bv | Kunststof krat met gedeeltelijk holle handgreep. |
NL9101706A (nl) * | 1991-10-11 | 1993-05-03 | Wavin Bv | Kunststof krat of bak. |
US5727728A (en) * | 1995-06-26 | 1998-03-17 | Sainz; Raymond R. | Protective device for use with containers having handhold openings |
DE59507654D1 (de) * | 1995-10-26 | 2000-02-24 | Wilhelm Goetz | Kasten, insbesondere Flaschenkast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Kastens |
US5934502A (en) * | 1997-08-28 | 1999-08-10 | Menasha Corporation | Handle hole cover |
JP4531951B2 (ja) * | 2000-08-25 | 2010-08-25 |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 運搬容器 |
CN2680599Y (zh) * | 2004-02-17 | 2005-02-23 | 姜雪林 | 改善箱型构造物开孔部的机构 |
CN2844013Y (zh) * | 2005-09-05 | 2006-12-06 | 马崇清 | 包装箱防尘扣手 |
JP4921053B2 (ja) * | 2006-07-04 | 2012-04-18 | 三甲株式会社 | 運搬用容器 |
-
2008
- 2008-11-11 KR KR1020080111639A patent/KR10115626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12-18 CN CN2008101865041A patent/CN10146873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2-24 US US12/318,328 patent/US2009016636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12-25 JP JP2008331551A patent/JP534903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2986Y1 (ko) | 2002-11-06 | 2003-02-11 | 주식회사 동진포장 | 해체가 용이한 상자의 손잡이 커버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468732A (zh) | 2009-07-01 |
JP2009173344A (ja) | 2009-08-06 |
KR20090071361A (ko) | 2009-07-01 |
JP5349039B2 (ja) | 2013-11-20 |
US20090166366A1 (en) | 2009-07-02 |
CN101468732B (zh) | 2011-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6260B1 (ko) | 파수공을 갖는 운반용 용기 및 파수공의 개폐부재 및 개폐부재의 제조방법 | |
EP3438018B1 (en) | Container for accommodating hygienic thin paper | |
US9045256B2 (en) | Packaging case for a windshield wiper blade | |
CN111712445A (zh) | 家庭用薄页纸收纳容器 | |
JP2008206382A (ja) | 屈曲可能なケーブルダクト。 | |
JP5812772B2 (ja) | 巻き芯 | |
DK3215433T3 (en) | LOW LIFTING DEVICE FOR A TANK | |
JP2000227145A (ja) | ケーブルキャリア | |
JP6386705B2 (ja) |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 |
JP4980202B2 (ja) | 光学用梱包トレイ及びこれに収容された光学素子 | |
JP2007326626A (ja) |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巻回体 | |
JP2006069253A (ja) | トリミング部材およびその組付方法 | |
JP7084041B2 (ja) | 搬送容器 | |
US20240056025A1 (en) | Multifunction spacer-wire clips for solar panels and related methods | |
JP6240465B2 (ja) |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及び食品包装用装置 | |
JP4414796B2 (ja) | 合成樹脂製組み立て箱 | |
KR102039449B1 (ko) | 전지용 트레이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296616Y1 (ko) | 그리스 보관용기 | |
JP7157467B2 (ja) | 固定構造 | |
CN114466749B (zh) | 模制基板 | |
KR200462213Y1 (ko) | 용기 및 커버로 이루어진 용기조립체 | |
WO2009106807A1 (en) | A method of forming a rubbish bin insert, and a rubbish bin and insert therefor | |
JP2020011770A (ja) | 蓋付きコンテナおよびコンテナ用蓋 | |
JP5612901B2 (ja) | シート状物分断治具、シート状物ロール体の収納箱 | |
KR200256169Y1 (ko) | 손잡이가 포함된 포장용 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