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173B1 - 하이브리드 접합구조를 가지는 밀폐공간 형성을 위한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접합구조를 가지는 밀폐공간 형성을 위한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173B1
KR101156173B1 KR1020100040141A KR20100040141A KR101156173B1 KR 101156173 B1 KR101156173 B1 KR 101156173B1 KR 1020100040141 A KR1020100040141 A KR 1020100040141A KR 20100040141 A KR20100040141 A KR 20100040141A KR 101156173 B1 KR101156173 B1 KR 10115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bonding
coupling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644A (ko
Inventor
김준기
김정한
이창우
유세훈
김철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4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173B1/ko
Priority to PCT/KR2011/002970 priority patent/WO2011136511A2/ko
Priority to CN201180002707.0A priority patent/CN102939466B/zh
Publication of KR2011012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16B11/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by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는, 구리 재질의 상부 결합판 및 상기 상부 결합판에 결합되는 구리 재질의 하부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 사이에는 기능성 물질이 충진되는 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에는 상기 밀폐공간의 둘레를 따라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의 접착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접합구조를 가지는 밀폐공간 형성을 위한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COPPER MEMBER FOR SEALED CHAMBER HAVING HYBRID TYPE JOINING STRUCTURE AND ITS JOING METHOD}
본 발명은 밀폐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구리부재를 접합하는 방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리 재질로 만들어진 한 쌍의 결합판 사이에서 대기압 이상의 고압 또는 대기압 이하의 진공이 가해지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면서 적절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계적 체결과 접착을 동시에 적용하는 하이브리드 접합구조를 가지는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 전자 및 전기 장치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방열부재의 용도 및 활용도는 매우 다양하다. 기계장치, 전자기기 등이 구동되면서 필연적으로 발열현상이 부품 등에 발생하게 되고, 이를 방치하면 전체적으로 구동성능이 낮아지거나 멈추는 경우까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고, 이런 경우에 상기 방열부재가 많이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재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여러 제품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 중, 복수의 판을 서로 결합시켜 제작되는 방열부재에 있어서, 종래에는 각 판을 아크용접 또는 숄더링을 통하여 접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아크용접이란, 금속과 금속을 접합하는 데 아크방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고온의 환경에서 용접이 일어난다. 또한, 숄더링이란 납, 주석, 은 등의 부드러운 합금으로 금속과 금속을 직접 접합시키는 방법을 말하며, 숄더링 역시 고온의 환경에서 작업이 수행된다.
따라서 열전도도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복수 개의 구리판을 접촉하여 방열부재를 생산하는 경우 구리가 고온의 작업 환경에 노출되어 재료가 변성되거나 금속의 산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구리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경우 비교적 낮은 온도의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시간의 경과됨에 따라 구리판과 접착제 사이의 면에 산화가 진행되어 접착제와 구리판 간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구리판이 떨어진다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구리 결합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접착을 하고, 2차적으로 기계적으로 결합을 할 수 있는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는, 구리 재질의 상부 결합판 및 상기 상부 결합판에 결합되는 구리 재질의 하부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 사이에는 기능성 물질이 충진되는 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에는 상기 밀폐공간의 둘레를 따라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의 접착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 중 어느 하나는 함몰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결합판의 접합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결합홈, 상기 하부 결합판의 접합면에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되어 형성된 제2결합홈 및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홈에 끼워지면서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결합홈에 끼워지는 부분에는 상기 제1결합홈 방향으로 테이퍼진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에 끼워지는 부분에는 상기 제2결합홈 방향으로 테이퍼진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의 접착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접착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 접합방법은,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의 접착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형성단계, 상기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고정부로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을 상호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을 압착하여 접합하는 접합단계 및 상기 접착면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을 상호 고정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고정부로 기계적인 고정 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접착제가 더 사용되어 고정력의 상승효과를 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밀폐공간 내에 충진되는 기능성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효과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은 구리 재질로 형성되므로, 기판 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빠르게 전도되어 방열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 사이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므로, 밀폐공간 내에 다양한 조합의 기능성 물질을 충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산화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품 전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기계적인 고정 방법 및 접착제에 의한 고정 방법을 사용하므로, 용접 등의 기타 고정 방법과 달리 저온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재료의 변성 및 산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접합방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는 상부 결합판(10) 및 하부 결합판(20)을 포함하는 몸체부를 가진다.
상부 결합판(10)은 구리부재의 상부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면을 가지며, 외부와 열 교환하여 기판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반대 면에는 하부 결합판(20)과 직접 접촉되어 고정되는 상부 접착면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구리 재질로 형성된다.
하부 결합판(20)은 구리부재의 하부에 위치되어 기판에 직접 접촉되는 면을 가지며, 기판에서 발생된 열이 전도된다. 또한, 상부 결합판(10)과 마찬가지로, 반대 면에는 상부 결합판(10)과 직접 접촉되어 고정되는 하부 접착면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구리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결합판(10) 및 하부 결합판(20) 사이에는 밀폐공간(12)이 형성되며, 밀폐공간(12)에는 기능성 물질이 충진된다. 즉, 상부 결합판(10) 및 하부 결합판(20)은 적어도 어느 한 쪽이 함몰되도록 구비되어, 밀폐공간(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부 결합판(10) 및 하부 결합판(20) 모두가 함몰되어 결합 시 밀폐공간(12)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한 쪽만이 함몰되어 밀폐공간(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밀폐공간(12) 내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물질이 충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열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결합판(10) 및 하부 결합판(20)의 모양 및 밀폐공간(12)의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결합판(10)은 전체적으로 둘레가 사각형 모양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내측이 함몰되어 밀폐공간(12)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결합판(20)은 상부 결합판(20)과 서로 대응되도록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기판과 접촉되기 용이하도록 평판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결합판(10)만이 함몰된 형태를 가지며, 상부 결합판(10) 및 하부 결합판(20)이 결합 시 밀폐공간(12)은 구리부재의 위쪽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상부 결합판(10) 및 하부 결합판(2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결합판(10)이 하부 결합판(20)과 마주 보는 면에는 하부 결합판(20)과 직접 접촉되는 상부 접착면이 형성되며, 하부 결합판(20)이 상부 결합판(10)과 마주 보는 면에는 하부 접착면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접착면 및 하부 접착면은 밀폐공간(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이후 상부 결합판(10)이 하부 결합판(20)과 결합 시에 밀폐공간(12)을 밀폐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 접착면 및 하부 접착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부 결합판(10) 및 하부 결합판(20)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도 있으나, 경화 후 내측의 밀폐공간(12)을 완전히 밀폐하려는 목적을 동시에 가진다.
고정부는 상부 상부 접착면 및 하부 접착면 사이에 설치되며, 다양한 고정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부 결합판(10) 및 하부 결합판(20)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게 되며, 따라서 용접 등 고온이 발생되는 결합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재료의 변성 또는 산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는 상부 접착면 상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15), 하부 접착면 상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25) 및 고정핀(30)을 포함한다. 즉, 고정핀(30)이 제1결합홈(15) 및 제2결합홈(25)에 동시에 삽입되는 고정 방법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홈(15)은 상부 접착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며, 상부 결합판(10)을 관통하지 않도록 적절한 깊이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결합홈(25) 역시 하부 접착면을 따라 제1결합홈(15)과 같은 개수로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고정핀(30)은 제1결합홈(15) 및 제2결합홈(25)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상부 결합판(10) 및 하부 결합판(20)이 완전히 결합될 시 제1결합홈(15) 및 제2결합홈(25)의 깊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30)에는 상부 결합판(10) 및 하부 결합판(20)이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고정돌기(31) 및 제2고정돌기(3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돌기(31)는 고정핀(30)이 제1결합홈(15)에 삽입되는 부분의 측면에 복수 개 형성되며, 제2고정돌기(32)는 고정핀(30)이 제2결합홈(25)에 삽입되는 부분의 측면에 복수 개 형성된다.
특히, 제1고정돌기(31) 및 제2고정돌기(32)가 형성된 고정핀(30)의 전체 폭은 제1결합홈(15) 및 제2결합홈(25)의 지름보다 다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고정핀(30)이 제1결합홈(15) 및 제2결합홈(25)에 삽입될 경우 제1결합홈(15) 및 제2결합홈(25)의 측벽에 압력이 가해져 단단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돌기(31)는 제1결합홈(15)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고정돌기(32)는 제2결합홈(25)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고정돌기(31)는 위쪽 단면이 아래쪽 단면보다 좁게 형성되고, 제2고정돌기(32)는 아래쪽 단면이 위쪽 단면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핀(30)은 제1결합홈(15) 및 제2결합홈(25)에 삽입되기는 용이하나, 일단 결합 후에는 빠지기 힘든 구조를 가지므로 더욱 단단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는 고정부에 의한 기계적인 결합방법이 사용되므로 재료의 변성 및 손상이 없으며, 고정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내구도가 증가하고 수명이 길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110) 및 하부 결합판(120)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110) 및 하부 결합판(12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결합판(110)의 결합돌기(115) 및 하부 결합판(120)의 결합홈(125)에 의해 상부 결합판(110) 및 하부 결합판(120)이 결합되는 구조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결합판(110) 및 하부 결합판(120)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밀폐공간(112), 상부 접착면 및 하부 접착면 역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고정부의 기계적 결합 방법에 차이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부 접착면 또는 하부 접착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115)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결합홈(125)이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접착면에 결합돌기(115)가 형성되며, 하부 접착면에는 결합홈(125)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하에서는, 결합돌기(115) 및 결합홈(125)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결합돌기(115)는 상부 접착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점 넓게 형성되어, 위쪽 단면적보다 아래쪽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측면에서 바라볼 때 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진다.
결합홈(125)은 결합돌기(115)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결합돌기(115)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결합돌기(115)의 아래쪽 단면적은 결합홈(125)의 위쪽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결합판(110) 및 하부 결합판(120)에 상하 압력을 가하며 결합시키면, 결합돌기(115)가 결합홈(125)에 일순간 삽입되어 정확히 일치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경우, 빠지기 힘든 구조를 가지게 됨은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같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돌기(115)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었지만, 단면이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 결합판(110) 및 하부 결합판(120) 모두에 결합돌기(115) 및 결합홈(125)이 서로 대응되도록 교대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 역시 고정부에 의한 기계적인 결합방법이 사용되며, 고정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결합판(210) 및 하부 결합판(220)은 각각 함몰되어 상호 접합 시 내부에 밀폐공간(212)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결합판(210), 하부 결합판(220), 제1결합홈(215), 제2결합홈(225) 및 고정핀(230)은 모두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결합판(210) 및 하부 결합판(220)이 모두 함몰되어, 이들을 상호 접합할 경우 내부에 더욱 넓은 밀폐공간(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더 많은 양의 기능성 물질을 충진할 수 있으며, 상부 결합판(210) 및 하부 결합판(220)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하나의 부재만을 생산하여 서로 접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상부 결합판(210) 및 하부 결합판(220)을 서로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결합판(210) 및 하부 결합판(220)은 각각 함몰되어 상호 접합 시 내부에 밀폐공간(212)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결합판(310), 하부 결합판(320), 결합돌기(315) 및 결합홈(325)은 모두 상기 설명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부 결합판(310) 및 하부 결합판(320)이 모두 함몰되어, 이들을 상호 접합할 경우 내부에 더욱 넓은 밀폐공간(312)이 형성됨은 상기 설명한 제3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접합방법을 차례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접합방법을 순서대로 나열한 흐름도이다.
먼저,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의 접착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형성단계(S1)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등 몸체부의 모양을 구체화하고, 고정부의 고정 방식에 따라 해당되는 모양대로 고정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S2)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상부 결합판 또는 상기 하부 결합판의 접착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고정부로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을 상호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을 압착하여 접합하는 접합단계(S3)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도포단계(S2)에 의해 접착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을 서로 맞추어 압착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은 서로 접합되어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된 구리부재의 모양을 갖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면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을 상호 고정시키는 경화단계(S4)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도포단계(S2)에 의해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되며, 이에 따라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은 서로 고정된다.
한편, 이상의 과정을 수행하는 가운데, 상기 밀폐공간 내의 기능성 물질은 그 종류에 따라 충진 시점이 정해질 수 있다. 즉, 기능성 물질은 액체, 고체 또는 기체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종류가 다양하므로, 충진 시점은 각 물질의 특성에 맞추어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상부 결합판 12: 밀폐공간
15: 제1결합홈 20: 하부 결합판
25: 제2결합홈 30: 고정핀
31: 제1고정돌기 32: 제2고정돌기

Claims (6)

  1. 구리 재질의 상부 결합판 및 상기 상부 결합판에 결합되는 구리 재질의 하부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 사이에는 기능성 물질이 충진되는 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에는 상기 밀폐공간의 둘레를 따라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의 접착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을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구리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 중 어느 하나는 함몰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구리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결합판의 접합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결합홈;
    상기 하부 결합판의 접합면에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되어 형성된 제2결합홈; 및
    상기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홈에 끼워지면서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을 고정하는 고정핀;
    을 포함하는 구리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결합홈에 끼워지는 부분에는 상기 제1결합홈 방향으로 테이퍼진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홈에 끼워지는 부분에는 상기 제2결합홈 방향으로 테이퍼진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구리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의 접착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접착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구리부재.
  6.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상부 결합판 및 하부 결합판의 접착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형성단계;
    상기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고정부로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을 상호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을 압착하여 접합하는 접합단계; 및
    상기 접착면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상기 상부 결합판 및 상기 하부 결합판을 상호 고정시키는 경화단계;
    를 포함하는 구리부재 접합방법.
KR1020100040141A 2010-04-29 2010-04-29 하이브리드 접합구조를 가지는 밀폐공간 형성을 위한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 KR10115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41A KR101156173B1 (ko) 2010-04-29 2010-04-29 하이브리드 접합구조를 가지는 밀폐공간 형성을 위한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
PCT/KR2011/002970 WO2011136511A2 (ko) 2010-04-29 2011-04-22 하이브리드 접합구조를 가지는 밀폐공간 형성을 위한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
CN201180002707.0A CN102939466B (zh) 2010-04-29 2011-04-22 具有用于形成密闭空间的混合接合结构的铜部件及其接合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141A KR101156173B1 (ko) 2010-04-29 2010-04-29 하이브리드 접합구조를 가지는 밀폐공간 형성을 위한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644A KR20110120644A (ko) 2011-11-04
KR101156173B1 true KR101156173B1 (ko) 2012-06-18

Family

ID=4539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141A KR101156173B1 (ko) 2010-04-29 2010-04-29 하이브리드 접합구조를 가지는 밀폐공간 형성을 위한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1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422A (ja) * 1994-03-03 1995-09-19 Misawa Homes Co Ltd パネル接合構造及びパネル接合方法
JPH09158910A (ja) * 1995-12-05 1997-06-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2部材結合方法及び2部材からなる構造体
JPH10299731A (ja) * 1997-04-25 1998-11-10 Aisin Takaoka Ltd ダイカスト成形品の接合構造
JP2001193715A (ja) * 2000-01-12 2001-07-17 Nissan Motor Co Ltd ワーク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3422A (ja) * 1994-03-03 1995-09-19 Misawa Homes Co Ltd パネル接合構造及びパネル接合方法
JPH09158910A (ja) * 1995-12-05 1997-06-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2部材結合方法及び2部材からなる構造体
JPH10299731A (ja) * 1997-04-25 1998-11-10 Aisin Takaoka Ltd ダイカスト成形品の接合構造
JP2001193715A (ja) * 2000-01-12 2001-07-17 Nissan Motor Co Ltd ワーク接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644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834B1 (ko) 종합성능이 양호한 방열구조부재 및 그 제조 공정
JP5690308B2 (ja) パウチ型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52021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장치
US9368770B2 (en) Battery cooling module foot profile design for a jointless conductive FIN/foot compressed interface connection
JP5126219B2 (ja) 半導体部品および半導体部品の製造方法
WO2015097874A1 (ja) 半導体装置
JP2005191178A (ja) 半導体装置
US10012446B2 (en) Vapor chamber
KR101156173B1 (ko) 하이브리드 접합구조를 가지는 밀폐공간 형성을 위한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
JP2009072907A (ja) マイクロマシニング構成素子及びマイクロマシニング構成素子を製作するための方法
JP2013196930A (ja) 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封止方法
JP3214402U (ja) 総合的な性能に優れた放熱構造物及びその製造プロセス
US20130202927A1 (en) Prismatic battery having electrolyte injection-hole capable of providing excellent sealing ability
US7154070B2 (en) Heater pla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eater plate
KR20150063658A (ko) 실링 툴
KR101816333B1 (ko) 실링 장치
WO2014141399A1 (ja) 半導体装置
KR102348074B1 (ko) 파우치 실링 장치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0783423B1 (ko) 연료 전지용 금속 분리판
JP2020096009A (ja) 半導体装置
TW201432152A (zh) 具有防護結構之定子模組及其風扇與製造方法
KR101279949B1 (ko) 고에너지밀도용접에 의한 하이브리드 접합구조를 가지는 밀폐공간 형성을 위한 구리부재 및 그 접합방법
CN102939466B (zh) 具有用于形成密闭空间的混合接合结构的铜部件及其接合方法
KR101390139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7101795A (ja) シー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