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917B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917B1
KR101155917B1 KR1020100021799A KR20100021799A KR101155917B1 KR 101155917 B1 KR101155917 B1 KR 101155917B1 KR 1020100021799 A KR1020100021799 A KR 1020100021799A KR 20100021799 A KR20100021799 A KR 20100021799A KR 101155917 B1 KR101155917 B1 KR 101155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secondary battery
bonded
cas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667A (ko
Inventor
김준식
김태근
노세원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917B1/ko
Priority to US12/966,863 priority patent/US9190646B2/en
Publication of KR2011010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행하는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수납부와 수납부의 둘레를 따라 이어진 접합부를 포함하며 접합된 필름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필름이 접합된 제1 차단부와 상기 제1 차단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필름이 접합된 제2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필름이 접합되지 않은 완충부를 포함하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배출부의 구조를 개선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소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이나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대용량의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이차 전지는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차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대용량 고출력의 이차 전지 모듈로 구성된다.
이차 전지는 양극과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로 구성된 전극 어셈블리와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갖는다. 이차 전지의 케이스는 파우치형 케이스, 금속 케이스, 폴리머 케이스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중에서 파우치형 케이스는 필름재가 접합되고 접합된 필름재 사이에 전극 어셈블리가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파우치형 케이스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구조 변경의 여지가 적어서 안전 장치 등을 구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를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행하는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형성된 접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접합된 제1 차단부와 상기 제1 차단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접합된 제2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접합되지 않은 완충부를 포함하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부와 상기 제1 차단부, 상기 제2 차단부에서 이웃하는 필름이 접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차단부의 폭은 상기 제2 차단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에는 실링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 실링층으로 둘러 싸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제2 차단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접합된 제3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와 상기 제3 차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접합되지 않은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차단부의 폭은 상기 제2 차단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차단부의 폭은 상기 제3 차단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 및 상기 제3 차단부의 폭은 1mm 내지 6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접합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제2 차단부보다 이차 전지의 더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부에는 상기 수납부와 접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은 사다리꼴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합부의 폭은 6mm 내지 1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행하는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수납부와 수납부의 둘레에 형성된 접합부를 포함하며 접합된 필름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필름이 접합된 제1 차단부와 상기 제1 차단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필름이 접합된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차단부의 폭은 상기 제2 차단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제2 차단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접합된 제3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접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행하는 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수납부와 수납부의 둘레에 형성된 접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다중 차단 구조를 갖는 가스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하여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가스 배출부에 다중 차단 구조가 형성되므로 가스 배출 시의 급격한 압력 변화를 완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Ⅲ-Ⅲ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가스 배출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Ⅵ-Ⅵ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가스 배출부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케이스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가스 배출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Ⅲ-Ⅲ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양극(11)과 음극(12) 사이에 세퍼레이터(13)가 개재된 전극 어셈블리(10)와, 전극 어셈블리(10)가 삽입되는 케이스(25), 및 양극(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21)와 음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단자(22)를 포함한다.
양극(11)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와 양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지고, 음극(12)은 구리 등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진다. 전극 어셈블리(10)는 사각 시트(sheet)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양극(11)과 음극(12)이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 어셈블리는 띠 형상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개재된 후, 권취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극 어셈블리(10)에서 일측 단부에는 양극 무지부(11a)와 음극 무지부(12a)가 위치하며, 양극 무지부(11a)에는 양극 단자(21)가 용접으로 부착되고 음극 무지부(12a)에는 음극 단자(22)가 용접으로 부착된다.
양극(11), 음극(12) 및 세퍼레이터(13)는 사각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세퍼레이터(13)는 양극(11)과 음극(12) 사이에 개재되어 양극(11)과 음극(12)을 절연하면서 이온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케이스(25)는 라미네이팅 필름이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전극 어셈블리(10)가 위치하는 수납부(25a)와 수납부(25a)의 둘레를 따라 이어진 접합부(25b)를 포함한다.
접합부(25b)에는 실링층(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25)의 둘레를 따라 이어져 사각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접합부(25b)의 한쪽에는 가스 배출부(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 배출부(30)는 양극 단자(21)와 음극 단자(22) 사이에 위치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 배출부(30)는 이차 전지(100)가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여 내부 압력이 증가할 경우 이차 전지(10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가스 배출부(30)는 제1 차단부(31)와 제1 차단부(31)에서 이격 배치된 제2 차단부(32) 및 제1 차단부(31)와 제2 차단부(32) 사이에 위치하며 실링층으로 둘러싸인 완충부(35)를 포함한다.
제2 차단부(32)는 제1 차단부(31) 보다 더 외측에 배치되는 바, 이에 따라 이차 전지(100)의 중심으로부터 제1 차단부(31), 완충부(35), 제2 차단부(32)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 차단부(31)와 제2 차단부(32)에는 실링층(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완충부(35)에는 실링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마주하는 필름이 분리되어 있다.
제1 차단부(31)의 폭(W1)은 제2 차단부(32)의 폭(W2)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차 전지(100)의 내압이 상승하면, 다른 부분보다 접합된 폭이 더 작아서 상대적으로 접합 강도가 약한 제1 차단부(31)가 분리되어 이차 전지(100)의 내부와 완충부(35)를 연결한다. 완충부(35)로 가스가 유입되면 순간적으로 이차 전지(100)의 내압이 낮아지며 이차 전지(100)는 임시적으로 충전과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과 방전을 행하는 동안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더욱 상승하면 제2 차단부(32)가 개방되어 이차 전지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한다. 제2 차단부(32)의 폭(W2)이 제1 차단부(31)의 폭(W1)보다 더 작으므로 제2 차단부(32)는 제1 차단부(31)가 개방되는 압력보다 더 낮은 압력에서 개방된다. 제2 차단부(32)는 제1 차단부(31)보다 더 외측에 배치되고, 이차 전지(10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제1 차단부(31), 완충부(35), 제2 차단부(32)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차단부(31)가 개방된 후에 제2 차단부(32)에 압력이 작용하여 제2 차단부(32)는 제1 차단부(31)가 개방된 이후에만 개방될 수 있다.
가스 배출부(30)가 형성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접합부 중에서 강도가 취약한 부분이 파단되어 개방되므로 어느 방향으로 가스가 배출될지 예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가스의 배출 압력을 적정하게 설정하지 못하여 이차 전지가 폭발하거나 발화할 위험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배출부(30)를 형성하여 설정된 부분으로 가스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배출부(30)를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다단으로 파단되지 않고 한번에 파단되는 구조의 경우에는 가스가 배출될 때, 순간적으로 큰 압력이 작용하므로 케이스(25)가 과도하게 찢어지거나 가스의 배출과 동시에 전해액이 함께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해액이 가스와 함께 배출되면 전해액이 가스의 배출통로를 막거나 배출된 전해액으로 인하여 외부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배출된 전해액이 고온의 외부 구조와 맞닿아 발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의 경우에는 이차 전지가 개방되어 작동이 정지되는 순간을 포착하기 어려우므로 개방 전에 이차 전지를 미리 보수하지 못하고 작동 중에 갑자기 작동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이차 전지가 전기 자동차나 기타 장치에 적용된 경우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즉, 고속도로 등의 도로에서 전기 자동차가 주행하던 중 갑자기 멈추면 뒤에 주행하던 차와 추돌하여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차적으로 제1 차단부(31)가 개방될 때, 센서를 통해서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100)를 보수하거나 비상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해서 제1 차단부(31)에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27)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는 제1 차단부가 개방될 때 신호를 발생시켜서 이를 BMS(battery management system)(28)로 전달한다. BMS(28)는 제1 차단부(31)가 개방된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서 사용자가 적정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부(31)가 개방된 후에 이차 전지(1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진 후, 제2 차단부(32)가 개방되므로 개방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개방될 때의 압력이 낮으므로 케이스(25)가 과다하게 파손되거나 전해액이 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Ⅵ-Ⅵ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1)는 전극 어셈블리와, 전극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케이스(45), 및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41)와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단자(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케이스(45)와 단자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45)는 필름이 접합된 파우치 형태로 이루어지며, 케이스(45)의 한쪽 측단으로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41)가 돌출되고 케이스(45)의 한쪽 측단과 반대방향을 향하는 다른 쪽 측단으로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단자(42)가 돌출된다. 양극 단자(41)와 음극 단자(42)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케이스(45)는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수납부(45a)와 수납부(45a)의 둘레를 따라 이어진 접합부(45b)를 포함한다.
접합부(45b)에는 가스 배출부(46)가 형성되는 바, 가스 배출부(46)는 제1 차단부(46a)와 제2 차단부(46b), 및 제1 차단부(46a)와 제2 차단부(46b) 사이에 형성된 완충부(46c)를 포함한다. 제1 차단부(46a)와 제2 차단부(46b)에는 실링층이 형성되어 필름들이 접합되어 있으며, 완충부(46c)에는 실링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필름들이 분리되어 있다.
제1 차단부(46a)는 제2 차단부(46b) 보다 더 내측에 위치하는 바, 제1 차단부(46a)와 수납부(45a)가 맞닿는 부분에는 제1 차단부(46a)의 안쪽으로 오목하게 홈(46d)이 형성된다. 홈(46d)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홈(46d)에는 실링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마주하는 필름이 이격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제1 차단부(46a)가 개방되어 완충부(46c)와 수납부(45a)가 연통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부(46a)가 개방된 이후에 다시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제2 차단부(46b)가 개방되어 가스배출통로(47)가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케이스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가스 배출부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50)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수납부(50a)와 수납부(50a)의 둘레를 따라 이어져 헝성되며 필름들이 부착된 접합부(50b)를 갖는다. 접합부(50b)에는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 개방되는 가스 배출부(53)가 형성된다. 가스 배출부(53)는 제1 차단부(53a)와 제1 차단부(53a)에서 이격 형성된 제2 차단부(53b), 제1 차단부(53a)와 제2 차단부(53b) 사이에 형성된 제1 완충부(53d), 제2 차단부(53b)에서 이격 형성된 제3 차단부(53c), 및 제2 차단부(53b)와 제3 차단부(53c) 사이에 형성된 제2 완충부(53e)를 포함한다.
제1 차단부(53a)와 제2 차단부(53b), 및 제3 차단부(53c)에는 접착성을 갖는 실링층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필름들이 접합되어 있다. 제1 완충부(53d)와 제2 완충부(53e)에는 실링층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고, 제1 완충부(53d)와 제2 완충부(53e)는 실링층으로 둘러 싸여져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접합부(50b)의 폭(W0)은 6mm 내지 15mm로 이루어지며, 제1 차단부(53a)와 제2 차단부(53b) 및 제3 차단부(53c)의 폭은 1mm 내지 6mm로 이루어지다.
또한, 제1 차단부(53a)의 폭(W3)은 제2 차단부(53b)의 폭(W4)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차단부(53b)의 폭(W4)은 제3 차단부(53c)의 폭(W5)보다는 크고 제1 차단부의 폭(W3)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스 배출부(30)는 3개의 차단부(53a, 53b, 53c)와 2개의 완충부(53d, 53e)를 구비하므로 3단계로 개방된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 전지의 내압이 상승하면, 제1 차단부(53a)가 개방되어 수납부(50a)와 제1 완충부(53d)가 연통된다. 또한, 이차 전지의 내압이 다시 상승하면 제2 차단부(53b)가 개방되어 수납부(50a)와 제2 완충부(53e)가 연통된다. 또한, 이차 전지의 내압이 다시 상승하면 제3 차단부(53c)가 개방되어 가스배출 통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배출부(53)의 개방이 3차에 걸친 차단부(53a, 53b, 53c)의 개방으로 이루어지므로 가스 배출부(53)의 개방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스의 배출을 미연에 감지하여 보수 및 비상 조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차단부들(53a, 53b, 53c)의 개방은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바, 개방 시간의 차이는 다단 개방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비상 조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개방 시간의 차이가 크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개방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거의 동시에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개방 시간의 차이는 제2 차단부(53b)와 제3 차단부(53c)의 폭에 따라서 달라진다. 즉, 제2 차단부(53b)와 제3 차단부(53c)의 폭을 작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제1 차단부(53a)가 개방될 때, 제2 차단부(53b)와 제3 차단부(53c)도 매우 작은 시간 차이를 두고 개방된다. 이 때, 제2 차단부(53b)와 제3 차단부(53c)는 개방 충격을 감소시켜서 가스 이외의 내부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차단부(53b)와 제3 차단부(53c)의 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제1 차단부(53a)가 개방된 이후에도 제2 차단부(53b)와 제3 차단부(53c)가 일정 시간동안 개방되지 아니하므로 센서로 이를 감지하여 비상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101: 이차 전지 10: 전극 어셈블리
11: 양극 11a: 양극 무지부
12: 음극 12a: 음극 무지부
13: 세퍼레이터 21, 41: 양극 단자
22, 42: 음극 단자 25, 45, 50: 케이스
25a, 45a, 50a: 수납부 25b, 45b, 50b: 접합부
26: 실링층 27: 충격감지센서
28: BMS 30, 46, 53: 가스 배출부
31, 46a, 53a: 제1 차단부 32, 46b, 53b: 제2 차단부
35, 46c: 완충부 46d: 홈
47: 가스배출통로 53c: 제3 차단부
53d: 제1 완충부 53e: 제2 완충부

Claims (17)

  1. 충전과 방전을 행하는 전극 어셈블리;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형성된 접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접합된 제1 차단부와 상기 제1 차단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접합된 제2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접합되지 않은 완충부를 포함하는 가스 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부는 상기 제2 차단부보다 이차 전지의 더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차단부에는 상기 수납부와 접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된 이차 전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부와 상기 제1 차단부, 상기 제2 차단부에서 이웃하는 필름이 접합된 이차 전지.
  3. 충전과 방전을 행하는 전극 어셈블리;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형성된 접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접합된 제1 차단부와 상기 제1 차단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접합된 제2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접합되지 않은 완충부를 포함하는 가스 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부의 폭은 상기 제2 차단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이차 전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에는 실링층이 형성된 이차 전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 실링층으로 둘러 싸인 이차 전지.
  6. 충전과 방전을 행하는 전극 어셈블리;
    상기 전극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형성된 접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며 접합된 제1 차단부와 상기 제1 차단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접합된 제2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접합되지 않은 완충부를 포함하는 가스 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제2 차단부에서 이격 배치되며 접합된 제3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와 상기 제3 차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접합되지 않은 완충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의 폭은 상기 제2 차단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차단부의 폭은 상기 제3 차단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이차 전지.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부와 상기 제2 차단부 및 상기 제3 차단부의 폭은 1mm 내지 6mm인 이차 전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부는 상기 접합부에 형성된 이차 전지.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이차 전지.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폭은 6mm 내지 15mm인 이차 전지.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00021799A 2010-03-11 2010-03-11 이차 전지 KR101155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99A KR101155917B1 (ko) 2010-03-11 2010-03-11 이차 전지
US12/966,863 US9190646B2 (en) 2010-03-11 2010-12-13 Rechargeabl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99A KR101155917B1 (ko) 2010-03-11 2010-03-11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667A KR20110102667A (ko) 2011-09-19
KR101155917B1 true KR101155917B1 (ko) 2012-06-20

Family

ID=4456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799A KR101155917B1 (ko) 2010-03-11 2010-03-11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90646B2 (ko)
KR (1) KR101155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3828B1 (en) * 2000-01-03 2004-06-01 Harvey Katz Reduction in polystyrene foams with dibasic esters
KR101898292B1 (ko) * 2012-04-25 2018-09-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어셈블리
KR101641617B1 (ko) * 2013-04-30 2016-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배출관을 구비하는 배터리 셀
KR102477095B1 (ko) * 2015-11-17 2022-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화학셀
US20220021071A1 (en) * 2018-12-04 2022-01-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attery pack and power supply system
CN111341945B (zh) * 2018-12-18 2022-01-2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芯及电池
US11594779B2 (en) * 2021-06-16 2023-02-28 Beta Air, Llc Battery pack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EP4362196A1 (en) * 2021-10-14 2024-05-0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CN114709490A (zh) * 2022-03-24 2022-07-0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装置及用电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8752A (ja) 2005-05-12 2006-11-24 Nissan Motor Co Ltd 電池
JP2006332009A (ja) 2005-05-30 2006-12-07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池の外装体
JP2007087922A (ja) * 2005-03-04 2007-04-05 Toyota Motor Corp フィルムパッケージ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5792A (ja) 1996-08-12 1998-02-24 Yuasa Corp 薄形電池
TW396651B (en) 1997-03-19 2000-07-01 Asahi Chemical Ind Non-aqueous thin battery
JP2003132868A (ja) 2001-10-25 2003-05-09 Mitsubishi Cable Ind Ltd シート状電池
JP2004234899A (ja) 2003-01-28 2004-08-19 Nec Corp 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3859645B2 (ja) * 2004-01-16 2006-12-20 Necラミリオンエナジー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
KR100670438B1 (ko) 2005-11-2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719736B1 (ko) 2005-12-29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876455B1 (ko) 2006-07-31 2008-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실링 잉여부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123061B1 (ko) 2006-10-23 2012-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922A (ja) * 2005-03-04 2007-04-05 Toyota Motor Corp フィルムパッケージ蓄電装置
JP2006318752A (ja) 2005-05-12 2006-11-24 Nissan Motor Co Ltd 電池
JP2006332009A (ja) 2005-05-30 2006-12-07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池の外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23448A1 (en) 2011-09-15
KR20110102667A (ko) 2011-09-19
US9190646B2 (en)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917B1 (ko) 이차 전지
CN111033799B (zh) 具有气体排放构件的袋型二次电池
KR10125298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JP5219587B2 (ja) ラミネート式電池及びそのラミネート式電池を備えた電池モジュール
KR101029837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4990975B2 (ja) 非密封残留部分を有する小袋形二次バッテリー
JP4686399B2 (ja) 二次電池
KR10135931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508416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0525524A (ja) 安全性を改良したバッテリーセル
KR102292159B1 (ko) 전도성 폴리머를 이용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EP2827406B1 (en) Rechargeable battery
JP2020509553A (ja) ガスを排出可能な二次電池用パウチ型ケース
KR20130014252A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KR101273472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20180095982A (ko) 열팽창성 층을 도입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10700321B2 (en) Electrode lead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KR20140067246A (ko) 노즐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전지셀
KR20120028078A (ko) 이차전지
KR102188446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140091222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128664B1 (ko) 향상된 안전성의 이차전지
WO2008054080A1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safety against external impact
KR20160059776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20230155216A1 (en) Pouch-Shaped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