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319B1 -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 Google Patents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319B1
KR101154319B1 KR1020100062066A KR20100062066A KR101154319B1 KR 101154319 B1 KR101154319 B1 KR 101154319B1 KR 1020100062066 A KR1020100062066 A KR 1020100062066A KR 20100062066 A KR20100062066 A KR 20100062066A KR 101154319 B1 KR101154319 B1 KR 10115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or
sunroof
bodies
open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331A (ko
Inventor
김도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3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31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단부가 루프패널의 개구부 양측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전단부가 선루프 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전단부 양쪽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엇갈리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를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선루프 글라스를 완전히 개방하여 전후이동프레임을 최대로 후진시킨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펼침으로써, 공기유동방향을 상향경사지게 안내하여 루프패널 뒤로 넘기도록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의 면적을 증가시켜 저속/중속 주행시 드론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를 제공한다.
또한, 고속 주행시 선루프 글라스의 열림량을 줄여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의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속 주행시 풍절음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Divided type of sunroof deflector}
본 발명은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루프 장착차량에서 선루프의 열림량에 따라 디플렉터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루프 패널에 장착된 선루프는 차량 실내의 환기, 채광성 등을 위해 설치된 것으로서, 차량 실내의 개방감을 증대시키고,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선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패널(10)의 일부를 절개하여 개구부(10a)를 형성한 다음, 상기 개구부(10a)를 선루프 글라스(11)로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루프 패널(10)의 개구부(10a)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전후이동프레임(12)이 전후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루프 글라스(11)는 전후이동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루프 패널(10)의 개구부(10a)를 개폐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0a)의 전방 주변에는 선루프 글라스(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경우 개구부(10a)의 위치보다 상향 돌출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을 막아주는 선루프 디플렉터(10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선루프 디플렉터(100)는 개구부(10a)의 전방에 차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디플렉터몸체(100a)와, 디플렉터몸체(100a)의 양단에서 후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10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플렉터몸체(100a)의 하단부는 스프링(13)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디플렉터지지대(100b)의 후단부가 개구부(10a)의 안내홈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선루프 글라스(11)로 개구부(10a)를 폐쇄하는 경우에 선루프 디플렉터지지대(100b)가 선루프 글라스(11)를 지지하는 전후이동프레임(12)에 의해 가압되어, 선루프디플렉터가 선루프 프레임(14)의 내부에 수납된다.
그리고, 선루프 글라스(11)를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개구부(10a)를 개방하면 디플렉터지지대(100b)에서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선루프 디플렉터가 스프링(13)에 의해 개구부(10a)의 상측으로 상향 돌출되며, 루프패널을 지나는 공기가 디플렉터를 타고 개구부(10a)를 넘어가게 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을 막아줄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 실내의 개방감을 증대시키고자 선루프 글라스(11)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차량이 저속 혹은 중속으로 주행하게 되면, 상기 개구부(10a)의 후단 가장자리에 공기가 부딪치거나 상기 개구부(10a)를 통해 공기가 차실 내부로 빠르게 유입되면서 차체를 가진하여 공진 소음과 같은 저주파 소음(일명, 드론(drone) 노이즈 라고 함)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드론 노이즈는 저주파에서 40dB ~ 70dB 이상의 압력파로 탑승객의 고막을 강하게 압박하여 불쾌감을 준다.
여기서, 저속/중속 주행시 드론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 넓은 면적의 선루프 디플렉터가 요구되고 있으나, 선루프 프레임(14)에 구비되는 수납공간의 한계로 인해 현재 대형 선루프 디플렉터를 장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저속/중속 주행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소음을 개선하기 위해 디플렉터몸체(100a)의 각도를 상향조정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주행에서 공기가 디플렉터몸체(100a)와 부딪히면서 난류 소음과 같은 풍절음을 발생시키고, 고속 주행에서 공기가 디플렉터몸체(100a)와 부딪힘에 따라 디플렉터몸체(100a)가 다시 하방향으로 내려 앉으며, 이로 인해 급작스런 풍절음의 변화로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고, 감성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저속/중속 주행시 드론 노이즈와 고속주행시 풍절음을 개선하기 위해 선루프 글라스(11)가 1단(상대적으로 열림량이 2단보다 적음) 및 2단(full open)으로 열리도록 구성하고, 저속/중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선루프 글라스(11)를 1단으로 열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한 권장사항을 준수하지 않고 저속/중속 주행시 선루프 글라스(11)를 2단으로 완전히 개방하면, 상기 디플렉터에 의해 공기를 개구부(10a)의 후단 가장자리 넘어로 밀어내지 못하고 상기 개구부(10a)를 통해 공기가 차실 내부로 빠르게 유입되면서 드론 노이즈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저속 드론 노이즈와 고속 풍절음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수단이 못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기존의 디플렉터몸체의 각도를 상향조정하거나, 저속/중속 주행시 기존의 선루프 글라스의 열림량을 1단으로 놓고 주행하던 것 대신에, 기존의 디플렉터몸체를 2단으로 분할하여, 루프패널의 개구부의 개방시 디플렉터몸체의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저속/중속 주행시 드론 노이즈와 고속주행시 풍절음을 저감할 수 있는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단부가 루프패널의 개구부 양측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전단부가 선루프 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전단부 양쪽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엇갈리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면적가변형의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를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선루프 글라스를 완전히 개방하여 전후이동프레임을 최대로 후진시킨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펼침으로써,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의 면적을 증가시켜 저속/중속 주행시 드론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를 제공한다.
또한, 고속 주행시 선루프 글라스의 열림량을 줄여 공기와 부딪히는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의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속 주행시 풍절음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맞물리게 결합된 피니언기어;
상기 지지대의 양쪽 내측면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피니언기어가 양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심축;
일단이 상기 중심축에 감겨지게 장착되고, 타단이 전후이동프레임에 연결되어, 전후이동프레임에 의해 인출되는 와이어;
상기 중심축에서 인출된 와이어를 되감아주도록 중심축에 장착된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선루프 글라스를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전후이동프레임이 후진되면서 중심축에 감겨진 와이어를 인출시켜 중심축을 회전시키고, 중심축에 축설된 피니언기어가 회전하고, 피니언기어에 치합된 랙기어에 의해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를 서로 엇갈리게 경사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루프패널의 개구부의 열림량에 비례하여 겹쳐있던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를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선루프 글라스를 완전히 개방한 경우 디플렉터의 면적을 최대로 크게 하여 저속/고속 주행시 드론 노이즈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2. 고속 주행에서 선루프 글라스의 열림량을 줄이면, 최대로 펼쳐져 있던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의 일부를 서로 겹쳐지게 슬라이딩 시켜 디플렉터몸체의 면적을 감소킴으로써, 고속 주행시 발생했던 풍절음을 저감할 수 있다.
3.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의 각도는 기존의 개선방안처럼 디플렉터몸체의 각도를 더 세워지게 상향조정하는 것이 아니고, 선루프 글라스의 완전개방시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의 경사각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경사방향으로 더 연장시켜 공기의 유동을 끝까지 받쳐줌으로써, 공기가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와 부딛힘으로 인해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가 하방향으로 내려않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4.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는 전기 또는 전자식이 아닌 기계식 메카니즘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오작동 가능성이 낮고, 전기 또는 전자식 장치에 비해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구현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루프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선루프 개방시 디플렉터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선루프 폐쇄시 디플렉터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저속/중속 주행시 공기가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루프 디플렉터의 각도 상향조정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도 9는 도 6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완전 개방시 저속/중속 주행시 공기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서 고속주행시 선루프 디플렉터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닫힘시 선루프 디플렉터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선루프 디플렉터를 2단으로 분할하여 루프 패널(10)의 개구부(10a)의 열림량에 따라 공기의 유동을 변화시켜주는 디플렉터몸체의 면적을 넓게 증대시킴으로써, 공기가 개구부(10a)를 통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는 선루프가 적용되는 차량에서 루프 패널(10) 위를 지나는 공기가 개구부(10a)를 통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속/중속시 발생되는 드론 노이즈와 고속 주행시 발생된 풍절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는 폭방향 단면의 수직 중심선 상으로 분할되어, 서로 나란하게 접하면서 배치 조합된 형태이며, 서로 엇갈리면서 경사방향으로 상하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의 내측면 양쪽 단부에 각각 랙기어(23)가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 사이에는 피니언기어(25)가 상기 랙기어(23)와 맞물리게 장착된다.
상기 피니언기어(25)는 중심축(24)의 양단에 삽입 및 결합되어, 중심축(2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중심축(24)은 와이어(27)에 의해 전후이동프레임(12)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전후이동프레임(12)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와이어(27)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27)는 중심축(24)에 권취되어 있고, 선루프 글라스(11) 개방시 중심축(24)에 권취되어 있던 와이어(27)가 전후이동프레임(12)에 의해 후방향으로 당겨지면 중심축(24)에서 인출됨에 따라 중심축(2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중심축(24)에 토션스프링(26)이 장착되어 있고, 토션스프링(26)의 제1스프링암은 중심축(24)에 고정되고, 토션스프링(26)의 제2스프링암은 지지대(28)에 고정설치되어, 선루프 글라스(11) 폐쇄시 중심축(24)이 토션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27)를 감는다.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의 양측단부는 지지대(28)에 의해 각각 서로 엇갈리면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28)의 전단부는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의 양측단부를 지지하고, 지지대(28)의 후단부는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지지대(28)의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지지대(28)의 전단부의 양쪽 내측면에는 각각 두개의 가이드홈(29)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의 양측단부에 가이드돌기(30)가 상기 가이드홈(29)에 삽입가능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30)가 가이드홈(29)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상기 전후이동프레임(12)는 선루프 글라스(11)를 지지하고, 루프 패널(10)의 안내홈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선루프 글라스(1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루프 패널(10)의 개구부(10a)를 개폐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9는 도 6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완전 개방시 저속/중속 주행시 공기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고속주행시 선루프 디플렉터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닫힘시 선루프 디플렉터의 작동상태도이다.
1. 선루프 글라스(11) 완전 개방
선루프 장착차량에서 선루프개폐용 모터에 의해 전후이동프레임(12)을 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후이동프레임(12)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선루프 글라스(11)를 후방향으로 이동시켜 루프 패널(10)의 개구부(10a)를 개방한다.
상기 선루프 글라스(11)의 개방시, 상기 전후이동프레임(12)의 후방 이동에 의해 지지대(28)의 전단부가 상향 돌출되며, 이렇게 지지대(28)의 전단부가 상향 돌출되는 작동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후이동프레임(12)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선루프 디플렉터(100)의 전단부가 상향 돌출되는 작동과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전후이동프레임(12)이 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후이동프레임(12)의 전단부에 연결된 와이어(27)가 당겨지고, 지지대(28)의 양쪽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중심축(24)에서 와이어(27)가 인출되면서 중심축(24)이 회전한다.
계속해서, 상기 중심축(24)에 축설된 피니언기어(25)가 회전하고, 피니언기어(25)에 맞물리게 결합된 랙기어(23)가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이동하면서 제1디플렉터몸체(21)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하고, 제2디플렉터몸체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동한다.
여기서, 선루프 글라스(11)의 열림량에 따라 제1디플렉터몸체(21)와 제2디플렉터몸체(22)가 경사각도를 그대로 유지한 채 상하방향으로 엇갈리면서 펼쳐지는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선루프 글라스(11)의 완전 개방시 저속/중속 주행에서 드론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선루프 글라스(11)의 열림량이 커지면 커질수록 전후이동프레임(12)이 후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하고, 중심축(24)에서 인출되는 와이어(27)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피니언기어(25)의 회전량이 증가하고, 피니언기어(25)에 치합된 랙기어(23)의 이동거리가 증가하면서 제1디플렉터몸체(21)와 제2디플렉터몸체(22)의 펼쳐짐 면적이 최대로 된다.
따라서, 선루프 글라스(11)를 완전히 개방한 경우에 저속/중속주행에서 루프 패널(10) 위에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를 타고 올라가면서 개구부(10a)의 후단 가장자리를 넘어 루프 패널(10)을 지나감으로써, 공기가 개구부(10a)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고속주행시 선루프의 열림량을 줄여주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가 하방향으로 낮춰지면서 이의 펼쳐짐 면적이 감소됨으로써, 루프 패널(10)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와 부딪히는 면적이 감소되어 고속 주행시 발생되는 풍절음이 저감된다.
2. 선루프 글라스(11)의 폐쇄
선루프 개폐용 모터에 의해 전후이동프레임(12)을 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선루프 글라스(11)를 닫는다.
상기 선루프 글라스(11)의 폐쇄시, 상기 전후이동프레임(12)의 전방 이동에 의해 지지대(28)의 전단부가 선루프 프레임(14)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이렇게 지지대(28)의 전단부가 수납되는 작동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후이동프레임(12)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선루프 디플렉터(100)의 전단부가 선루프 프레임(14)의 내부에 수납되는 작동과 동일하다.
이때, 전후이동프레임(12)을 통해 와이어(27)에 가해진 후방향 당김력이 해제되고, 지지대(28)의 전단부 내측에서 와이어(27)가 토션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중심축(24)에 감겨지면서 중심축(24)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중심축(24)에 축설된 피니언기어(25)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랙기어(23)가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이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가 원래 위치로 겹쳐지고 공기유동을 상향경사지게 안내하는 면적이 최소로 된다.
본 발명의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에 의하면, 루프 패널(10)의 개구부(10a)의 열림량에 따라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를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선루프 글라스(11)를 완전히 개방한 경우 디플렉터의 면적(공기를 상향경사지게 안내하는 면적)를 최대로 크게 하여 저속/고속 주행시 드론 노이즈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고속 주행에서 선루프 글라스(11)의 열림량을 줄이면, 최대로 펼쳐져 있던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의 일부를 더욱 겹쳐지게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디플렉터의 면적을 감소시켜 고속 주행시 발생했던 풍절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의 각도는 기존의 개선방안처럼 디플렉터몸체의 각도를 더 세워지게 조정하는 것이 아니고, 선루프 글라스(11)의 완전개방시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의 경사각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하경사방향으로 더 연장시켜 공기의 유동을 끝까지 받쳐줌으로써, 공기가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와 부딛힘으로 인해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가 하방향으로 내려않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는 전기 또는 전자식이 아닌 기계식 메카니즘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오작동 가능성이 낮고, 전기 또는 전자식 장치에 비해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구현가능한 장점이 있다.
10 : 루프 패널 11 : 선루프 글라스
12 : 전후이동프레임 13 : 스프링
14 : 선루프 프레임 21 : 제1디플렉터몸체
22 : 제2디플렉터몸체 23 : 랙기어
24 : 중심축 25 : 피니언기어
26 : 토션스프링 27 : 와이어
28 : 지지대 29 : 가이드홈
30 : 가이드돌기

Claims (4)

  1. 지지대(28)의 전단부에 그 양측단부가 지지되며, 상하방향으로 엇갈리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면적가변형의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를 상하방향으로 엇갈리게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을 포함하고, 선루프 오픈시 디플렉터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랙기어(23)와 맞물리게 결합된 피니언기어(25);
    상기 지지대(28)의 양쪽 내측면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피니언기어(25)가 양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심축(24);
    일단이 중심축(24)에 감겨지게 장착되고, 타단이 전후이동프레임(12)에 연결되어, 상기 전후이동프레임(12)에 의해 중심축(24)에서 인출되는 와이어(27); 및
    상기 중심축(24)에서 인출된 와이어(27)를 되감아주도록 중심축(24)에 장착된 토션스프링(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는 양측단면에 가이드돌기(30)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대(28)의 양쪽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디플렉터몸체(21,22)는 폭방향 단면의 수직 중심선 상으로 분할되어, 서로 나란하게 접하면서 배치 조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KR1020100062066A 2010-06-29 2010-06-29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KR10115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066A KR101154319B1 (ko) 2010-06-29 2010-06-29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066A KR101154319B1 (ko) 2010-06-29 2010-06-29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31A KR20120001331A (ko) 2012-01-04
KR101154319B1 true KR101154319B1 (ko) 2012-06-13

Family

ID=4560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066A KR101154319B1 (ko) 2010-06-29 2010-06-29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3601B2 (en) 2013-10-22 2016-01-12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of sunroof defl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148B1 (ko) 2000-12-15 200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선 루프
JP2008247092A (ja) 2007-03-29 2008-10-16 Yachiyo Industry Co Ltd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のデフレクタ機構
JP2010030338A (ja) 2008-07-25 2010-02-12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のディフレ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148B1 (ko) 2000-12-15 200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선 루프
JP2008247092A (ja) 2007-03-29 2008-10-16 Yachiyo Industry Co Ltd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のデフレクタ機構
JP2010030338A (ja) 2008-07-25 2010-02-12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ルーフ装置のディフレ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3601B2 (en) 2013-10-22 2016-01-12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of sunroof def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31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5600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4485584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01301465A (ja) 透明ルーフ部分およびサンシェード装置を有する車両ルーフ
US20130285418A1 (en) Sunroof apparatus
KR20140013531A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파팅라인 조절 장치
KR101154319B1 (ko) 분할형 선루프 디플렉터
JP2004114923A (ja) 車両のサンルーフ構造
US8523277B2 (en) Sunroof mounting device
US9168817B2 (en) Structure of folding type sunroof deflector
JP2007276574A (ja) スライド式ディフレクタ
KR100967637B1 (ko) 차량용 썬루프 가변 디플렉터 시스템 구조
KR100527139B1 (ko) 자동차용 디플렉터의 지지구조
KR100364272B1 (ko) 자동차의 선루프
KR20090094542A (ko) 자동차의 선루프 디플렉터
KR100967636B1 (ko) 썬루프용 디플렉터 조립체
KR101280933B1 (ko) 선루프 작동장치
KR101488336B1 (ko) 롤 블라인드 샤프트 결합구조
KR20230099047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치
KR100494730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선루프의 디플렉터
KR20120069435A (ko) 광역 개방공간 타입 선루프장치
JP2006519129A (ja) 自動車スライディングルーフ用のウインドデフレクタ
JPH0834241A (ja) ルーフパネルアッセンブリ
JP2015021318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20180053892A (ko) 차량 도어 글래스의 글래스 런
KR20040040571A (ko) 선루프용 디플렉터의 개방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