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140B1 -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140B1
KR101153140B1 KR1020107001762A KR20107001762A KR101153140B1 KR 101153140 B1 KR101153140 B1 KR 101153140B1 KR 1020107001762 A KR1020107001762 A KR 1020107001762A KR 20107001762 A KR20107001762 A KR 20107001762A KR 101153140 B1 KR101153140 B1 KR 101153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ilver
composite semipermeable
semipermeable membrane
sal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510A (ko
Inventor
다카히사 고니시
나오키 구라타
고우지 마루야마
야스히로 우다
유우지 야마시로
치아키 하라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4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79Manufacture of membrane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79Manufacture of membrane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 B01D67/00791Different components in separ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01D69/148Organic/inorganic mixed matrix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8Polyalkenylalcohols; Polyalkenylesters; Polyalkenylethers; Polyalkenylaldehydes; Polyalkenylketones; Polyalkenylacetals; Polyalkenylketals
    • B01D71/381Polyvinyl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0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0Chemical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8Antimicrobi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8Polyalkenylalcohols; Polyalkenylesters; Polyalkenylethers; Polyalkenylaldehydes; Polyalkenylketones; Polyalkenylacetals; Polyalkenylk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오염 특성, 특히 내미생물 오염 특성이 우수한 복합 반투막을 저렴하면서 간편하게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복합 반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 할라이드 성분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스킨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은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머층 A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여 상기 폴리머층 A 중에 및/또는 표면에 금속 은을 석출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다.

Description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방법{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과 이것을 지지하는 다공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복합 반투막은, 초순수의 제조, 간수 또는 해수의 탈염 등에 적합하고, 또한 염색 배수(排水)나 전착 도료 배수 등의 공해 발생 원인인 오염 등으로부터, 그 속에 포함되는 오염원 또는 유효 물질을 제거?회수하여, 배수의 클로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식품 용도 등에서 유효 성분의 농축, 정수나 하수 용도 등에서의 유해 성분의 제거 등의 고도 처리에 사용할 수 있다.
복합 반투막을 사용한 수처리 공정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물 투과량이나 염 저지율과 같은 물 투과 특성이 저하되는 현상, 즉 파울링이 발생하고 있어, 수처리 시설의 운영 비용 중에서 가장 많은 비용이 이러한 파울링에 의한 손실 처리 및 파울링 방지에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파울링에 대한 근본적인 방지책이 요구되고 있다.
파울링을 야기하는 원인 물질은, 그 성상에 따라, 무기 결정질 파울링, 유기물 파울링, 입자 및 콜로이드 파울링, 미생물 파울링으로 나누어진다. 폴리아마이드계 복합 반투막의 경우는, 물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분리막의 표면에 흡착하여, 얇은 바이오 필름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미생물 파울링이 주원인 물질이다.
파울링을 줄이기 위해, 원수(原水)의 전처리, 분리막 표면의 전기적 성질 개질, 모듈 공정 조건 개질, 주기적 클리닝 등의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복합 반투막에서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미생물에 의한 파울링의 경우, 염소와 같은 살균제의 처리에 의해 미생물에 의한 파울링이 현저히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염소의 경우, 발암 물질 등의 부산물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음료수를 생산하는 공정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의 안티파울링 분리막의 연구는, 대개 표면의 전하적인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컨대, 역침투 복합막 상에, 비이온계 친수성기를 갖는 가교된 유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표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폴리아마이드 박막 상에, 에폭시 화합물을 가교시킨 비수용성 고분자로 친수성 코팅을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또한, TiO2를 나노 사이즈의 입상으로 분리막의 표면에 받아들인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형 역침투 분리막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또한, 분리 활성층 중에 나노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 또는 분리 활성층 상에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친수성층을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은, 표면을 전기적 중성으로 개질하고 있을 뿐이고, 일단 균 등이 부착하면, 그 균을 죽이거나, 번식을 억제하는 기능은 없기 때문에, 생물 유래의 오염, 또는 그것에 기인하는 부차적인 오염 등에 의한 막 특성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낮다.
특허문헌 2의 방법도, 부착된 균을 죽이거나, 번식을 억제하는 기능은 없기 때문에, 생물 유래의 오염에 대해서는 효과가 낮다.
특허문헌 3의 방법은, 나노 사이즈의 광 촉매를 사용하고 있지만, 광 촉매는 빛이 조사되지 않으면 유기물을 분해하는 작용은 발현하지 않는다. 따라서, 역침투 분리막이 실제의 수처리 공정에서 사용되도록 가공된 스파이럴 엘리먼트, 및 상기 스파이럴 엘리먼트를 수처리 장치에 격납하는 내압 용기의 안에서는, 빛이 닿지 않기 때문에 촉매 활성이 기능하지 않고, 막 면의 부착물을 분해할 수 없기 때문에 오염성에 대한 효과는 낮다.
특허문헌 4의 방법은, 분리 활성층은 분자 레벨에서의 매우 고도한 치밀성을 요구하지만, 나노 입자가 혼재한 상태로 제막하면, 분리 활성층의 치밀성이 손상되어 현저한 막 성능의 저하가 예상된다. 또한, 나노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기 위해 분산제 등을 첨가하고 있지만, 항균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나노 입자 농도를 높게 하면 응집하기 쉬워져서, 균일하게 분리 활성층 또는 친수성층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나노 입자를 응집시키지 않고 분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고도한 기술이 필요하고, 그 때문에 나노 입자의 가격은 매우 고액이어서 비용 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1999-22636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2004-2510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제2003-53163호 공보
특허문헌 4: 국제공개 제06/098872호 팜플렛
본 발명은 내오염 특성, 특히 내미생물 오염 특성이 우수한 복합 반투막을 저렴하면서 간편하게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복합 반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은,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 할라이드 성분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스킨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은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머층 A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여 상기 폴리머층 A 중에 및/또는 표면에 금속 은을 석출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강한 항균 작용 및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 금속 은이 응집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된 폴리머층 A를 스킨층 상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킨층 중에 금속 은을 분산시키지 않기 때문에, 스킨층의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물 투과 성능 및 염 저지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본 발명의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은,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 할라이드 성분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스킨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은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은염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는 것에 의해 금속 은을 석출시켜 금속 은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금속 은층 상에 폴리머층 B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강한 항균 작용 및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 금속 은이 응집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된 금속 은층을 스킨층 상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킨층 중에 금속 은을 분산시키지 않기 때문에, 스킨층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물 투과 성능 및 염 저지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균일하게 금속 은을 석출시킬 수 있고, 또한 간편하다는 이유에서, 은염 화합물을 활성 에너지선으로 환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은염 화합물은 수용액 중에서의 안정성 및 수용액으로의 용해성의 관점에서, 질산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머층 A 또는 B를 형성하는 폴리머는, 스킨층 및 다공성 지지체를 용해시키지 않고, 또한 수처리 조작시에 용출되지 않는 폴리머인 것이 필요하고, 특히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바이닐 알코올은, 비누화도가 99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화도가 99 내지 100%인 폴리바이닐 알코올은, 분자쇄간 수소 결합의 영향에 의해, 열수(80℃ 정도)에는 가용이지만 상온 부근(25℃ 정도)에서는 수불용성으로, 가령 가교도가 낮아도 수용액에 대한 용해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머층 표면에 하이드록실기를 많이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 반투막의 친수성 향상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비누화도가 90% 이상인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사용하여, 상기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상기 스킨층의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에 가교시키는 것에 의해, 수처리 조작시에 폴리머층의 수불용성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복합 반투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반투막은 내미생물 오염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 투과 성능 및 염 저지율도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은,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 할라이드 성분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스킨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은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머층 A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여 상기 폴리머층 A 중에 및/또는 표면에 금속 은을 석출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다른 본 발명의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은,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 할라이드 성분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스킨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은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은염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는 것에 의해 금속 은을 석출시켜 금속 은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금속 은층 상에 폴리머층 B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다작용 아민 성분이란, 2 이상의 반응성 아미노기를 갖는 다작용 아민으로서,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식 다작용 아민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다작용 아민으로는, 예컨대, m-페닐렌다이아민, p-페닐렌다이아민, o-페닐렌다이아민, 1,3,5-트라이아미노벤젠, 1,2,4-트라이아미노벤젠, 3,5-다이아미노벤조산, 2,4-다이아미노톨루엔, 2,6-다이아미노톨루엔, N,N'-다이메틸-m-페닐렌다이아민, 2,4-다이아미노아니솔, 아미돌, 자일릴렌다이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다작용 아민으로는, 예컨대, 에틸렌다이아민, 프로필렌다이아민,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n-페닐-에틸렌다이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다작용 아민으로는, 예컨대, 1,3-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세인, 1,2-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세인, 1,4-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세인, 피페라진, 2,5-다이메틸피페라진, 4-아미노메틸피페라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다작용 아민은 1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높은 염 저지 성능의 스킨층을 얻기 위해서는, 방향족 다작용 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작용 산 할라이드 성분이란, 반응성 카보닐기를 2개 이상 갖는 다작용 산 할라이드이다.
다작용 산 할라이드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식 다작용 산 할라이드를 들 수 있다.
방향족 다작용 산 할라이드로는, 예컨대, 트라이메신산 트라이클로라이드, 테레프탈산 다이클로라이드, 아이소프탈산 다이클로라이드, 바이페닐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벤젠트라이설폰산 트라이클로라이드, 벤젠다이설폰산 다이클로라이드, 클로로설폰일벤젠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다작용 산 할라이드로는, 예컨대, 프로페인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뷰테인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펜테인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프로페인트라이카복실산 트라이클로라이드, 뷰테인트라이카복실산 트라이클로라이드, 펜테인트라이카복실산 트라이클로라이드, 글루타릴할라이드, 아디포일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다작용 산 할라이드로는, 예컨대, 사이클로프로페인트라이카복실산 트라이클로라이드, 사이클로뷰테인테트라카복실산 테트라클로라이드, 사이클로펜테인트라이카복실산 트라이클로라이드, 사이클로펜테인테트라카복실산 테트라클로라이드, 사이클로헥세인트라이카복실산 트라이클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테트라카복실산 테트라클로라이드, 사이클로펜테인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사이클로뷰테인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다이카복실산 다이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다작용 산 할라이드는 1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높은 염 저지 성능의 스킨층을 얻기 위해서는, 방향족 다작용 산 할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작용 산 할라이드 성분의 적어도 일부에 3가 이상의 다작용 산 할라이드를 사용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바이닐 알코올, 폴리바이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등의 폴리머, 소르비톨,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공중합시킬 수도 있다.
스킨층을 지지하는 다공성 지지체는, 스킨층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보통 평균 공경 10 내지 500Å 정도의 미공을 갖는 한외 여과막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다공성 지지체의 형성 재료로는, 폴리설폰, 폴리에터설폰과 같은 폴리아릴에터설폰, 폴리이미드, 폴리불화바이닐리덴 등 여러가지의 것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화학적, 기계적, 열적으로 안정하다는 점에서 폴리설폰, 폴리아릴에터설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는, 보통 약 25 내지 125μm,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75μm이지만, 반드시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다공성 지지체는 직포, 부직포 등의 기재로 안을 대어 보강되어 있을 수도 있다.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모든 공지된 수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계면 축합법, 상 분리법, 박막 도포법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축합법이란, 구체적으로, 다작용 아민 성분을 함유하는 아민 수용액과, 다작용 산 할라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유기 용액을 접촉시켜 계면 중합시킴으로써 스킨층을 형성하여, 상기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 상에 탑재하는 방법이나, 다공성 지지체 상에서의 상기 계면 중합에 의해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 상에 직접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계면 축합법의 조건 등의 상세한 것은, 일본 특허공개 제1983-2430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1989-180208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고, 이러한 공지 기술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다공성 지지체 상에 형성한 스킨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통 0.05 내지 2μm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μm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한 후, 상기 스킨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은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머 막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은염 화합물로는, 예컨대, 할로젠화은(염화은, 브롬화은, 요오드화은); 질산은 및 황산은 등의 무기산은; 아세트산은, 락트산은 및 말론산은 등의 유기산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질산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막을 형성하는 폴리머는, 스킨층 및 다공성 지지체를 용해시키지 않고, 또한 수처리 조작시에 용출되지 않는 폴리머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바이닐 알코올, 폴리바이닐피롤, 폴리바이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및 비누화 폴리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비누화도가 99 내지 100%인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누화도 90% 이상의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사용하여, 상기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상기 스킨층의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에 가교시키는 것에 의해, 수처리 조작시의 폴리바이닐 알코올의 용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가교시키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폴리머층 A를 스킨층 상에 형성한 후에, 염산 산성의 다가 알데하이드 용액 중에 침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다가 알데하이드로는, 예컨대, 글루타르알데하이드 및 테레프탈알데하이드 등의 다이알데하이드를 들 수 있다. 또한, 가교제로서, 에폭시 화합물, 다가 카복실산 등의 유기 가교제, 붕소 화합물 등의 무기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 막은, 상기 은염 화합물 및 상기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스킨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예컨대, 친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 등)을 통해 도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한다. 도공 방법으로는, 예컨대, 분무, 도포, 샤워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로는, 물 이외에, 스킨층 등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유기 용매를 병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유기 용매로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뷰탄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 메톡시메탄올 및 메톡시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수용액 중의 은염 화합물의 농도는 0.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중량%이다. 은염 화합물의 농도가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머층 A 중의 금속 은의 양이 지나치게 적어지기 때문에 항균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한편 10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막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수용액 중의 폴리머의 농도는 0.01 내지 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중량%이다. 폴리머의 농도가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머층 A 표면의 금속 은이 탈락하기 쉬워지거나, 충분히 스킨층 등을 피복할 수 없다. 한편, 1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폴리머층 A가 너무 두꺼워져서 물 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수용액의 온도는, 상기 수용액이 액체로서 존재하는 온도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스킨층의 열화 방지의 관점 및 취급의 용이함 등에서 1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이다.
그 후, 폴리머 막을 건조시켜 폴리머층 A를 형성한다. 건조 처리를 할 때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30℃이다. 20℃ 미만인 경우에는, 건조 처리에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거나, 건조가 불충분해지고, 150℃를 넘는 경우에는, 열에 의한 막의 구조 변화에 의해 막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머층 A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통 0.01 내지 1μm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μm이다. 폴리머층 A의 두께가 0.01μm 미만인 경우에는, 항균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1μm를 넘는 경우에는, 물 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 후, 상기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여 상기 폴리머층 A 중에 및/또는 표면에 금속 은을 석출시킨다.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방법, 가열하는 방법 및 환원제로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머층 중에 및/또는 표면에 금속 은을 균일하게 석출시킬 수 있고, 또한 간편하다는 이유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예컨대, 제논 램프, 저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또는 초고압 수은 램프 등의 선원에서 발생하는 자외선(UV-A, UV-B, UV-C) 및 가시광선, 20 내지 2000kV 정도의 전자선 가속기로부터 방사되는 전자선 및 α선, β선, γ선 등의 방사선을 들 수 있다. 취급성 및 작업성을 고려하면,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 및/또는 가시광선을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 및/또는 가시광선의 조사량은, 폴리머층 A에 포함되는 은염 화합물의 양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지만, 보통 10 내지 2000mJ/cm2 정도이다.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여 석출하는 금속 은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나노 스케일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노 금속 은의 경우, 그 크기는 1 내지 100nm 정도이다.
한편, 다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스킨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은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은염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는 것에 의해 금속 은을 석출시켜 금속 은층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금속 은층 상에 폴리머층 B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은염 화합물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은염층은, 은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스킨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예컨대, 친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보호층 등)을 통해 도공하고, 그 후 건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도공 방법, 수용액 중의 은염 화합물의 농도 및 건조 온도 등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그 후,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는 것에 의해 금속 은을 석출시켜 금속 은층을 형성한다.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는 방법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그 후, 상기 금속 은층 상에 폴리머층 B를 형성한다. 폴리머층 B를 형성하는 폴리머 및 폴리머층 B의 형성 방법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비누화도 90% 이상의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사용하여, 상기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상기 스킨층의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에 가교시킬 수도 있다.
수용액 중의 폴리머 농도는 0.01 내지 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중량%이다. 폴리머의 농도가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금속 은층을 충분히 피복할 수 없기 때문에 금속 은이 탈락하기 쉬워진다. 한편, 1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폴리머층 B가 너무 두꺼워져서 물 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머층 B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통 0.01 내지 1μm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μm이다. 폴리머층 B의 두께가 0.01μm 미만인 경우에는, 금속 은층을 충분히 피복할 수 없고, 1μm를 넘는 경우에는, 폴리머층 B가 너무 두꺼워져서 물 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복합 반투막의 염 저지성, 투수성, 및 내산화제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 공지된 각종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및 측정방법]
(투과 유속 및 염 저지율의 측정)
평막상의 초저압 역침투 복합막(폴리머층 없음)을 소정의 형상, 크기로 절단하여, 평막 평가용 셀로 세팅한다. 약 1500mg/L의 NaCl을 포함하고, 또한 NaOH를 사용하여 pH 6.5 내지 7.5로 조정한 수용액을 25℃에서 막의 공급측과 투과측에 1.5MPa의 차압을 주어 막에 접촉시킨다. 이 조작에 의해 얻어진 투과물의 투과 속도 및 전도도를 측정하여, 투과 유속(m3/m2?d) 및 염 저지율(%)을 산출했다. 염 저지율은, NaCl 농도와 수용액 전도도의 상관(검량선)을 사전에 작성하여, 이를 사용하여 하기 식에 의해 산출했다. 또한, 제작된 평막상의 복합 반투막(폴리머층 있음)의 투과 유속(m3/m2?d) 및 염 저지율(%)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
로 산출했다.
염 저지율(%) = {1-(투과액 중의 NaCl 농도[mg/L])/(공급액 중의 NaCl 농도[mg/L])} × 100
(항균성의 평가)
JIS Z2801:2000에 준거하여 평가했다.
[실시예 1]
질산은 0.1중량% 및 비누화도 99%의 폴리바이닐 알코올 0.25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아이소프로판올:물 = 3:7)을, 초저압 역침투 복합막(닛토덴코제, 형식: ES20, 성능: 투과 유속 1.2(m3/m2?d), 염 저지율 99.6(%))의 스킨층 상에 도포하여 폴리머 막을 형성하고, 그 후 오븐으로 130℃에서 3분간 건조시켜 폴리머층 A(두께: 0.1μm)를 형성했다. 그리고, 폴리머층 A 표면에, 고압 수은 램프의 자외선(UV-A(320 내지 390nm):280mJ/cm2, UV-B(280 내지 320nm):200mJ/cm2, UV-C(250 내지 260nm):150mJ/cm2, UV-V:70mJ/cm2)을 조사하고, 질산은을 환원하여 폴리머층 A 중에 및/또는 표면에 금속 은을 석출시켜 복합 반투막을 제작했다. 제작된 복합 반투막의 투과 유속은 0.8(m3/m2?d), 염 저지율은 99.5(%)이었다. 또한, 제작된 복합 반투막은 항균성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2]
질산은 0.1중량% 및 비누화도 90%의 폴리바이닐 알코올 0.25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아이소프로판올:물 = 3:7)을, 초저압 역침투 복합막(닛토덴코제, 형식: ES20, 성능: 투과 유속 1.2(m3/m2?d), 염 저지율 99.6(%))의 스킨층 상에 도포하여 폴리머 막을 형성하고, 그 후 오븐으로 130℃에서 3분간 건조시켜 폴리머층 A(두께: 0.1μm)를 형성했다. 그리고, 폴리머층 A 표면에 고압 수은 램프의 자외선(UV-A(320 내지 390nm):280mJ/cm2, UV-B(280 내지 320nm):200mJ/cm2, UV-C(250 내지 260nm):50mJ/cm2, UV-V:70mJ/cm2)을 조사하고, 질산은을 환원하여 폴리머층 A 중에 및/또는 표면에 금속 은을 석출시켰다. 그 후, 얻어진 복합막을 0.24N 염산 산성의 글루타르알데하이드 0.001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 10초간 침지하고, 다시 130℃에서 5분간 건조하여 복합 반투막을 제작했다. 제작된 복합 반투막의 투과 유속은 0.78(m3/m2?d), 염 저지율은 99.6(%)이었다. 또한, 제작된 복합 반투막은 항균성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3]
질산은 0.1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아이소프로판올:물 = 3:7)을, 초저압 역침투 복합막(닛토덴코제, 형식: ES20, 성능: 투과 유속 1.2(m3/m2?d), 염 저지율 99.6(%))의 스킨층 상에 도포하고, 그 후 오븐으로 130℃에서 1분간 건조시켜 질산은층을 형성했다. 그리고, 질산은층 표면에, 고압 수은 램프의 자외선(UV-A(320 내지 390nm):280mJ/cm2, UV-B(280 내지 320nm):200mJ/cm2, UV-C(250 내지 260nm):150mJ/cm2, UV-V:70mJ/cm2)을 조사하고, 질산은을 환원하여 금속 은을 석출시켜 금속 은층을 형성했다. 그리고, 비누화도 99%의 폴리바이닐 알코올 0.25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아이소프로판올:물 = 3:7)을 상기 금속 은층 상에 도포하여 폴리머 막을 형성하고, 그 후 오븐으로 130℃에서 3분간 건조시켜 폴리머층 B(두께: 0.1μm)를 형성했다. 제작된 복합 반투막의 투과 유속은 0.78(m3/m2?d), 염 저지율은 98.8(%)이었다. 또한, 제작된 복합 반투막은 항균성을 갖고 있었다.
[비교예 1]
비누화도 99%의 폴리바이닐 알코올 0.25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아이소프로판올:물 = 3:7)을, 초저압 역침투 복합막(닛토덴코제, 형식: ES20, 성능: 투과 유속 1.2(m3/m2?d), 염 저지율 99.6(%))의 스킨층 상에 도포하여 폴리머 막을 형성하고, 그 후 오븐으로 130℃에서 3분간 건조시켜 폴리머층(두께: 0.1μm)을 형성하여 복합 반투막을 제작했다. 제작된 복합 반투막의 투과 유속은 0.8(m3/m2?d), 염 저지율은 99.5(%)이었다. 제작된 복합 반투막은 항균성을 갖고 있지 않았다.

Claims (8)

  1. 삭제
  2.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 할라이드 성분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스킨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은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은염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은염 화합물을 환원하는 것에 의해 금속 은을 석출시켜 금속 은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금속 은층 상에 폴리머층 B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은염 화합물을 활성 에너지선으로 환원하는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은염 화합물이 질산은인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머층 A 또는 B를 형성하는 폴리머가 폴리바이닐 알코올인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폴리바이닐 알코올은 비누화도가 99 내지 100%인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폴리바이닐 알코올은 비누화도가 90% 이상이고, 상기 폴리바이닐 알코올을 상기 스킨층의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에 가교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
  8. 제 2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복합 반투막.
KR1020107001762A 2007-06-28 2008-06-27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53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70800 2007-06-28
JP2007170800A JP2009006279A (ja) 2007-06-28 2007-06-28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510A KR20100024510A (ko) 2010-03-05
KR101153140B1 true KR101153140B1 (ko) 2012-06-04

Family

ID=4018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762A KR101153140B1 (ko) 2007-06-28 2008-06-27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320143A1 (ko)
EP (1) EP2172259A4 (ko)
JP (1) JP2009006279A (ko)
KR (1) KR101153140B1 (ko)
CN (1) CN101687151A (ko)
WO (1) WO20090019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1475B2 (ja) 2007-07-12 2015-04-15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合半透膜
KR101407445B1 (ko) 2011-12-08 2014-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은 나노 와이어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 및 그 제조 방법
JP6188731B2 (ja) 2012-03-02 2017-08-30 サウジ アラビアン オイル カンパニー 非芳香族から芳香族を分離するための促進輸送膜
WO2014014662A1 (en) * 2012-07-19 2014-01-2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derived from tetra-functional acyl halide monomer
WO2015103548A1 (en) 2014-01-03 2015-07-09 Quantumscape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s with an electric powertrain
WO2015061443A1 (en) 2013-10-25 2015-04-30 Quantumscape Corporation Thermal and electrical management of battery packs
US9834114B2 (en) 2014-08-27 2017-12-05 Quantumscape Corporation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of use
CN105833747A (zh) * 2015-01-12 2016-08-10 南京理工大学 季铵化壳聚糖htcc-银∕聚醚砜抗菌膜及其制备
JP6670206B2 (ja) * 2016-08-24 2020-03-18 オルガノ株式会社 超純水製造装置
US10874994B2 (en) 2016-08-29 2020-12-29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Membrane surface activation to eliminate fouling and concentration polarization in water purification systems
CN106823834A (zh) * 2017-03-29 2017-06-13 福州大学 一种具有持久抗菌性能的反渗透膜及其制备方法
US20210045252A1 (en) * 2019-04-12 2021-02-11 Averatek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JP2022544364A (ja) * 2019-08-12 2022-10-18 アクア メンブレイ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膜性能のための光硬化
KR20220125253A (ko) 2019-12-12 2022-09-14 아쿠아포린 에이에스 방오 반투막
CN115869779A (zh) * 2023-03-02 2023-03-31 湖南沁森高科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效抑菌的抗污染反渗透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074A (ja) 1999-02-26 2000-09-12 Toray Ind Inc 複合半透膜および造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605A (en) * 1973-06-29 1975-06-17 Ibm Magnetic domain systems using domain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JPS5824303A (ja) 1981-08-03 1983-02-14 Teijin Ltd 耐酸化性複合半透膜
JPH01180208A (ja) 1988-01-11 1989-07-18 Toray Ind Inc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膜
US5015268A (en) * 1988-10-13 1991-05-14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Polymeric membrane and process for separating aliphat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s
IL96313A (en) * 1989-11-14 1995-03-30 Sangi Kk Antibacterial ceramic
JPH05115760A (ja) * 1991-10-25 1993-05-14 Mitsubishi Rayon Co Ltd 抗菌性親水化多孔質膜及びその製法
JPH0881318A (ja) * 1994-09-12 1996-03-26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光硬化型抗菌防カビ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品
DE69736172T2 (de) * 1996-03-18 2007-04-26 Nitto Denko Corporation, Ibaraki Verbundmembran fur umkehrosmose und methode zur wasserbehandlung mit umkehrosmose mit hilfe derselben
US6413425B1 (en) * 1997-04-10 2002-07-02 Nitto Denko Corporation Reverse osmosis composite membrane and reverse osmosis treatment method for water using the same
JPH11226367A (ja) 1998-02-18 1999-08-24 Nitto Denko Corp 逆浸透複合膜
JP2000026220A (ja) * 1999-03-17 2000-01-25 Toto Ltd 抗菌性固形物
US6652751B1 (en) * 1999-04-27 2003-11-25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Intrinsically bacteriostatic membranes and systems for water purification
JP2001286741A (ja) * 2000-04-04 2001-10-16 Toray Ind Inc 逆浸透複合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283068A1 (en) 2001-07-30 2003-02-12 Saehan Industries, Inc. Reverse osmosis membrane having excellent anti-fouling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28148B4 (de) 2002-06-24 2006-08-24 Saehan Industries Inc. Selektive Membran mit hoher Fouling-Beständigkeit
CN101137427B (zh) * 2005-03-09 2011-08-03 加利福尼亚大学校务委员会 纳米复合材料膜及其制备和使用方法
JP5701475B2 (ja) * 2007-07-12 2015-04-15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合半透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074A (ja) 1999-02-26 2000-09-12 Toray Ind Inc 複合半透膜および造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06279A (ja) 2009-01-15
EP2172259A1 (en) 2010-04-07
CN101687151A (zh) 2010-03-31
US20100320143A1 (en) 2010-12-23
KR20100024510A (ko) 2010-03-05
WO2009001916A1 (ja) 2008-12-31
EP2172259A4 (en)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140B1 (ko)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85701B1 (ko) 복합 반투막
Zhu et al. Supramolecular-based regenerable coating layer of a thin-film composite nanofiltration membrane for simultaneously enhanced desalination and antifouling properties
Seyedpour et al. Facile in-situ assembly of silver-based MOFs to surface functionalization of TFC membrane: A novel approach toward long-lasting biofouling mitigation
Liu et al. Separation, anti-fouling, and chlorine resistance of the polyamide reverse osmosis membrane: From mechanisms to mitigation strategies
Esfahani et al. Nanocomposite membranes for water separation and purification: Fabrication, modification, and applications
US10456754B2 (en) High performance membranes for water reclamation using polymeric and nanomaterials
Mansourpanah et al. Formation of appropriate sites on nanofiltration membrane surface for binding TiO2 photo-catalyst: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and fouling-resistant capability
Xu et al.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polyamide thin film composite (PA-TFC) reverse osmosis (RO) membranes: Surface modifications and nanoparticles incorporations
Kim et al. The use of nanoparticles in polymeric and ceramic membrane structures: review of manufacturing procedure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for water treatment
Shahmirzadi et al. Nanocomposite membranes
Cruz-Tato et al. Metalized nanocellulose composites as a feasible material for membrane supports: design and applications for water treatment
Park et al. Desalination membranes from pH-controlled and thermally-crosslinked layer-by-layer assembled multilayers
Ji et al. Tailoring the asymmetric structure of polyamide reverse osmosis membrane with self-assembled aromatic nanoparticles for high-efficient removal of organic micropollutants
US20200261855A1 (en) Asymmetric composite membranes and uses thereof
Misdan et al. CuBTC metal organic framework incorporation for enhancing separation and antifouling properties of nanofiltration membrane
JP2012250192A (ja)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Xu et al. Enhancing the chlorine stability and antifouling properties of thin-film composite reverse osmosis membranes via surface grafting L-arginine-functionalized polyvinyl alcohol
Behrouz et al. Carboxymethyl cellulose/polyethersulfone thin-film composite membranes for low-pressure desalination
Mo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amide nanofiltration composite membranes with TiO2 layers chemically connected to the membrane surface
Anan et al. Titanium dioxide incorporated polyamide thin film composite photocatalytic membrane for bisphenol A removal
Liu et al. Influence of nanoparticle inclusions on the performance of reverse osmosis membranes
Yun et al. A regenerable antifouling membrane bearing a photoresponsive crosslinked polyethylenimine layer
JP2009195827A (ja)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Shabani et al. Nanomaterials for fouling-resistant RO membr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