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775B1 -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 Google Patents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775B1
KR101152775B1 KR1020100126918A KR20100126918A KR101152775B1 KR 101152775 B1 KR101152775 B1 KR 101152775B1 KR 1020100126918 A KR1020100126918 A KR 1020100126918A KR 20100126918 A KR20100126918 A KR 20100126918A KR 101152775 B1 KR101152775 B1 KR 101152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blanket cylinder
pressure
cylind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오
류병순
임규진
김동수
조정대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6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Apparatus for applying a liquid, a resin, an ink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46Leads on or in insulating or insulated substrates, e.g. metallisation
    • H01L21/4867Applying pastes or inks, e.g. screen pri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서 판실린더 표면의 인쇄화면이 매 회전시 블랑켓실린더 표면의 동일한 위치에 전이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은, 투루롤링 잉크를 준비하는 잉크준비단계(S110)와, 블랑켓실린더가 자유회전을 하도록 블랑켓실린더용 구동장치를 분리하는 단계(S120)와,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에 작용하는 인쇄압을 추정하여 추정세팅인쇄압을 컨트롤콘솔에 입력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초기준비단계(S100)와; 상기 초기준비단계(S100) 후 판실린더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추정세팅인쇄압으로 가압하는 단계(S210)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을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전이시키되, 적어도 판실린더가 2회전 이상 회전하여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인쇄화면을 중첩되게 전이시키는 단계(S220)와, 상기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을 판단하는 단계(S230)와, 상기 단계(S230)에서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의 인쇄압을 조정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는 조정단계(S200)와; 상기 단계(S230)에서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이 일치하는 경우의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의 인쇄압을 컨트롤콘솔에 입력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True rolling for Electronic element pro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서 판실린더 표면의 인쇄화면 잉크가 매 회전시 블랑켓실린더 표면의 동일한 위치에 전이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에 관한 것이다.
투루롤링(True rolling)이라 함은, 원래 오프셋인쇄기에서 새로운 브랑켓, 새로운 인쇄판, 새로운 인쇄용지로 작업하기 위하여 블랑켓실린더(롤)와 판실린더(롤)를 꾸밀 때 새로 판하지 두께를 조정하여 두 실린더가 맞물려 회전하면서 판실린더의 화면을 미끄러짐이 없이 똑같은 크기로 인쇄하도록 하는 통꾸밈의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인쇄전자 인쇄용으로 개발되어 블랑켓실린더를 사용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에서도 같은 이유 때문에 새로운 투루롤링의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공된 특허등록번호 제10-0634327호(등록일 2006.10.09.)의 롤-투-롤 윤전인쇄방식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특허문헌 1)와, 특허등록번호 제10-0911214호(등록일 2009.07.31.)의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인압제어장치(특허문헌 2)를 기초 배경기술로 한다.
상기 특허등록번호 제10-0634327호(등록일 2006.10.09.)의 롤-투-롤 윤전인쇄방식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특허문헌 1)에서는 플렉시블한 피인쇄체상에 롤-투-롤 윤전인쇄방식에 의해 전자회로를 인쇄함으로써 전자소자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방식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번호 제10-0911214호(등록일 2009.07.31.)의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그라비어오프셋 인쇄유니트에서 롤 간 인압제어장치(특허문헌 2)에서는 각 롤 간의 적정한 접촉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게 함에 따라 항상 일정한 인쇄압을 유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양질의 제품을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는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인압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즉, 포밍롤의 기능성 잉크를 인쇄롤로 전이시키는 단계와 상기 인쇄롤의 기능성 잉크를 피인쇄체에 전이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포밍롤과 인쇄롤이 접촉된 채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포밍롤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기능성 잉크가 인쇄롤로 양호하게 전이되도록 하는 제1 인압제어장치와, 또 인쇄롤이 피인쇄체를 사이에 두고 가압롤이 접촉될 때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가압롤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기능성 잉크가 피인쇄체로 양호하게 전이되도록 하는 제2 인압제어장치를 구비한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인압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제공되어 있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는 도 1과 같이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는 크게 피인쇄체(a)가 풀려져 나오는 언와인더(UW; Unwinder)와, 피인쇄체(a)의 인쇄면에 전자 기능성 잉크로서 전극회로패턴을 인쇄유닛(PU)에서 중첩 인쇄하고, 가늠 맞춤하기 위한 레지스터마크를 인쇄하며, 상기 레지스터마크를 촬영하여 가늠맞춤을 하도록 하는 카메라센서가 설치된 다수의 인쇄유닛(PU)과, 인쇄가 이루어진 피인쇄체(a)를 되감는 리와인더(RW; Rewinder)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기(컨트롤콘솔)가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다수의 인쇄유닛(PU)에는 각각에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와 가압실린더(13)가 순차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판실린더(11)와 가압실린더(13)의 축 양측에는 각각에 가압장치(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 일측에는 이를 회전을 시키는 구동장치(20)가 설치되고, 상기 판실린더(11)의 원주에는 판실린더(11)의 원주면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판실린더(11)의 표면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랑켓실린더(12)의 표면은 탄성을 가지는 고무(러버)재질로 이루어진 러버층을 가지며, 상기 가압실린더(13)의 표면은 금속재질 또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러버)재질로 이루어진 러버층을 가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인쇄유닛(PU)은 도 2와 같이 판실린더(11)와 가압실린더(13)의 축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가압장치(30)를 이용하여 인쇄압으로 가압하고,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의 각각의 구동장치(20)를 구동시켜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 잉크를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시키고, 상기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된 인쇄화면의 잉크는 블랑켓실린더(12)와 가압실린더(13) 사이로 공급되는 피인쇄체(a)에 전이로 인쇄를 한다.
상기와 같이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 잉크를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시키는 경우 1 회전에서 전이되는 인쇄화면과 2 회전에서 전이되는 인쇄화면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정밀 인쇄를 위해서는 이를 일치시켜야 한다.
즉,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 사이에는 인쇄압이 작용하고, 상기 인쇄압에 따라 러버층을 가지는 블랑켓실린더(12)은 인쇄압에 의하여 러버층이 압축됨으로써 인쇄압에 따라 블랑켓실린더(12)의 원둘레가 판실린더(11)의 원둘레 보다 커질 수도 있고 작아질 수도 있기 때문에 판실린더(11)로부터 전이되는 블랑켓실린더(12) 상의 인쇄화면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을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시킴에 있어 1 회전에서 전이되는 인쇄화면(P1)과 2 회전에서 전이되는 인쇄화면(P2)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수의 층으로 중첩인쇄를 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는 정밀한 맞춤인쇄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을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시킴에 있어 매회 회전시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이 블랑켓실린더(12) 표면의 동일한 위치에 전이되도록 하는 투루롤링은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를 이용한 중첩 전자회로인쇄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34327호(등록일 2006.10.09.)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11214호(등록일 2009.07.3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39645호(공개일 2009.04.2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되는 본 발명인,
정밀 중첩인쇄를 하도록 다수의 인쇄유닛을 가지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에서 각각의 인쇄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판실린더의 인쇄화면 잉크가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전이됨에 있어, 판실린더의 인쇄화면 잉크가 매 회전시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동일한 위치에 전이되도록 조정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판실린더의 1 회전시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제1 전이된 인쇄화면과, 판실린더의 2 회전시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제2 전이된 인쇄화면이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은,
전자회로를 중첩인쇄하도록 다수의 그라비어오프셋 인쇄유닛이 설치된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에 있어서,
투루롤링은 잉크를 준비하는 잉크준비단계(S110)와, 블랑켓실린더가 자유회전을 하도록 블랑켓실린더용 구동장치를 분리하는 단계(S120)와,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에 작용하는 인쇄압을 추정하여 추정세팅인쇄압을 컨트롤콘솔에 입력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초기준비단계(S100)와;
상기 초기준비단계(S100) 후 판실린더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추정세팅인쇄압으로 가압하는 단계(S210)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 잉크를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전이시키되, 적어도 판실린더가 2회전 이상 회전하여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인쇄화면을 중첩되게 전이시키는 단계(S220)와, 상기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의 맞춤정밀도를 판단하는 단계(S230)와, 상기 단계(S230)에서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의 인쇄압을 조정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는 조정단계(S200)와;
상기 단계(S230)에서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이 일치하는 경우의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의 인쇄압을 컨트롤콘솔에 입력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에 의하여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는 인쇄회전시 항상 동일한 크기의 전자회로 화면을 전이할 수 있게 되어 정밀하게 맞춤인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구성 개략도.
도 2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 설치된 실린더(롤)들 부분의 측면도.
도 3은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 설치된 실린더(롤)와 가압장치를 나타낸 부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서 투루롤링을 실행하는 순서도.
도 5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 설치된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전이되는 인쇄화면을 나타내기 위하여 블랑켓실린더를 전개한 것으로, (a)는 추정설정인쇄압이 높아 판실린더로부터 블랑켓실린더으로 전이되는 인쇄화면이 점점 늦어지는 경우이며, (b)는 추정설정인쇄압이 낮아 판실린더로부터 블랑켓실린더으로 전이되는 인쇄화면이 점점 빨라지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 설치된 블랑켓실린더에 판실린더가 가압되었을 때 표면 일부분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 설치된 블랑켓실린더에 대하여 알아보면,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 설치된 블랑켓실린더의 기능은 오프셋인쇄에서 블랑켓과 거의 같지만 특별히 몇 가지 추가기능을 요구한다. 그것은 될 수 있는 한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전이된 잉크 양을 피인쇄체에 100% 전이할 수 있어야 그라비어오프셋 인쇄유닛을 다수로 구성하여 양호한 품질의 인쇄전자 중첩인쇄를 구현시킬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블랑켓실린더(12)는 실리콘 고무(러버, rubber)와 같은 박리성 있는 러버층(12a)을 가진다.
또, 판실린더(11) 상의 정밀한 인쇄전자 패턴의 잉크를 놓치지 않고 그대로 접촉복사(전이)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고도의 표면평활도가 요구된다.
그리고 판실린더(11) 상의 정밀한 인쇄전자 패턴의 잉크를 가압접촉의 방법으로 그대로 전이(복사)시키기 위해서는 가압하는 압력을 최소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무(러버)의 경도가 가능한 낮아야 한다.
이들 조건은 일반 오프셋인쇄에서 평판의 화상을 70~80 쇼아경도의 블랑켓으로 2MPa 정도 이상의 강한 압으로 접촉인쇄하는데 반하여 그라비어오프셋 인쇄의 블랑켓실린더는 40 쇼아경도 이하의 낮은 경도를 가진 러버층(12a)을 가지며, 플렉소인쇄압 보다 낮은 0.1MPa 이하의 접촉압으로 인쇄하는 경우가 되기 때문에 오프셋인쇄의 블랑켓과는 큰 차이를 가진다.
도 4와 같이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은 크게 초기준비단계(S100)와, 상기 초기준비단계(S100) 후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 사이의 인쇄압을 구하는 조정단계(S200)와, 상기 조정단계(S200)에서 구해지는 인쇄압을 저장하는 단계(S300)와, 상기 단계(S300) 후 해당 인쇄유닛(PU)을 청소하고, 블랑켓실린더(12)의 구동장치(20)를 연결하는 단계(S400)로 구성된다.
상기 초기준비단계(S100)는 다시 투루롤링에 사용되는 투루롤링용 잉크를 판실린더(11) 표면에 공급되도록 투루롤링용 잉크를 준비하는 투루롤링 잉크준비단계(S110)와, 블랑켓실린더(12)가 자유회전을 하도록 구동장치(20)의 커플러(22)를 이용하여 구동서보모터(21)와 블랑켓실린더(12)를 분리하는 블랑켓실린더의 구동장치를 분리하는 단계(S120)와,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 사이에 작용하는 인쇄압을 추정하여 추정된 추정세팅인쇄압을 제어기인 컨트롤콘솔에 입력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기는 컨트롤콘솔, 디스플레이장치, 비전컨트롤시스템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잉크준비단계(S110)에서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에 이용하기 위하여 준비되는 투루롤링용 잉크는 일반인쇄에서 사용되는 10 포이즈 이하의 저점도 잉크를 사용하며 보통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미세한 안료입자로 제조된 카본블랙잉크를 사용한다.
상기 단계(S120)는 블랑켓실린더(12)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엔코더가 구비된 서보모터(21)와의 연결상태를 분리하여 블랑켓실린더(12)가 자유회전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동장치(20)의 커플링(22)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블랑켓실린더(12)를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추정설정인쇄압으로 가압되는 판실린더(11)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판실린더(11)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단계(S130)에서 컨트롤콘솔에 입력되는 추정세팅인쇄압은 블랑켓실린더(12)의 러버층(12a)의 경도와 직경에 따른 인쇄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되며, 보통 컨트롤콘솔에 입력되는 추정세팅인쇄압은 블랑켓실린더의 폭이 250㎜인 경우 판실린더의 축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가 각각 20~200N의 힘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40~400N/250㎜의 선압력이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조정단계(S200)는 다시 판실린더(11)의 축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30)를 이용하여 상기 단계(S130)에서 입력된 추정세팅인쇄압으로 가압하는 단계(S210)와, 상기 판실린더(11)의 구동장치(20)를 구동시켜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P)을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시키되, 적어도 판실린더(11)가 2회전 이상 회전하여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인쇄화면을 중첩되게 전이시키는 단계(S220)와, 상기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P1, P2, P3)을 판단하는 단계(S230)와, 상기 단계(S230)에서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P1, P2, P3)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 사이의 인쇄압을 조정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조정하는 단계(S240)에서는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된 인쇄화면(P1, P2, P3)이 일치 여부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된 인쇄화면(P1, P2, P3)을 직접보고 정확도를 판단하거나 또는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P1, P2, P3)을 광학카메라로 촬영하고, 이를 제어기의 구성 중 하나인 디스플레이장치에 이미지를 전송하고,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확인하여 판단을 한다.
도 5는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전이되는 인쇄화면을 나타내기 위하여 블랑켓실린더를 전개한 것이다.
상기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 사이에 추정설정인쇄압을 가압한 후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 잉크가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되도록 판실린더(11)를 구동(회전)시키면 3가지 형태가 나타난다.
첫째, 판실린더(11)로부터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되는 인쇄화면이 판실린더의 1회전 때 전이되는 제1 인쇄화면(P1)과 2회전 때 전이되는 제2 인쇄화면(P2)이 일치하는 경우 - 이때 작용되는 인쇄압을 제어기인 컨트롤콘솔에 저장한다.
둘째, 판실린더(11)로부터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되는 인쇄화면이 판실린더의 1회전 때 전이되는 제1 인쇄화면(P1)의 시작점보다 2회전 때 전이되는 제2 인쇄화면(P2)의 시작점이 늦은 경우(도 5의 (a)참조) - 이때에는 추정설정인쇄압이 강하여 블랑켓실린더(12) 러버층(12a)의 눌림경향이 큰 것으로 인쇄압을 낮춘다.
셋째, 판실린더(11)로부터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되는 인쇄화면이 판실린더의 1회전 때 전이되는 제1 인쇄화면(P1)의 시작점보다 2회전 때 전이되는 제2 인쇄화면(P2)의 시작점이 빠른 경우(도 5의 (b)참조) - 이때에는 추정설정인쇄압이 낮아 블랑켓실린더(12) 러버층(12a)의 눌림경향이 작은 것으로 인쇄압을 높인다.
상기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P1, P2, P3)이 일치하지 않아 인쇄압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판실린더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에서 가해지는 힘을 2~5N의 크기로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이하, 투루롤링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1. 기계가동전에 투루롤링용 잉크를 준비한다.
- 투루롤링용 잉크는 특정 인쇄전자 인쇄용 잉크와 달리 패턴의 화상만 관찰하는 것임으로 일반인쇄의 저점도 잉크로 준비한다.
- 일반 카본블랙잉크를 사용하면 카본블랙잉크의 미세한 입자로 레지스터마크의 뚜렷한 인쇄효과를 얻을 수 있어 확대 (광학)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아도 작업자의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2. 블랑켓실린더(12)와 구동서보모터(21)를 연결하고 있는 커플링(22)의 조임나사를 충분히 풀어 블랑켓실린더(12)가 아주 유연하게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3. 세팅할 인쇄유닛의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의 인쇄압을 추정하여 컨트롤콘솔에 입력한다.
- 과거에 실시한 블랑켓실린더의 러버층(12a)의 고무경도와 직경에 따른 인쇄압 데이터와 비교하여 추정한다.
참고적으로 투루롤링을 위한 인쇄기의 가동은 2명의 작업자가 실시하고, 한 작업자는 컨트롤콘솔에 있어 이를 조작구동하고, 나머지 작업자는 전이되는 블랑켓실린더를 확인한다.
4. 판실린더를 저속(1~2RPM)으로 회전시키고, 판실린더 표면에 투루롤링용 잉크를 올리고 독타링을 실시하며,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을 추정설정인쇄압으로 입력하고 블랑켓실린더는 판실린더와의 마찰력으로 구동한다.
5.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이 추정설정인쇄압에 근접하거나 일치할 때 블랑켓실린더 표면의 잉크를 깨끗이 닦아 추정설정인쇄압에서 판실린더의 인쇄화면 잉크가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전이되도록 한다.
6. 판실린더가 2회전하여 판실린더의 인쇄화면이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중첩 전이되면, 상기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P1, P2)를 작업자는 육안으로 확인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P1, P2)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에는 계속하여 판실린더를 다수번 회전시켜 다수의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P1, P2, P3…)을 이용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도 5의 (a)와 같이 판실린더(11)로부터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되는 인쇄화면이 판실린더의 1회전 때 전이되는 제1 인쇄화면(P1)의 시작점보다 2회전 때 전이되는 제2 인쇄화면(P2)의 시작점이 늦어지는 경우에는 점점 인쇄압을 낮춤으로써 일치를 시키고,
- 도 5의 (b)와 같이 판실린더(11)로부터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되는 인쇄화면이 판실린더의 1회전 때 전이되는 제1 인쇄화면(P1)의 시작점보다 2회전 때 전이되는 제2 인쇄화면(P2)의 시작점이 빨라지는 경우에는 점점 인쇄압을 높임으로써 일치를 시킨다.
7.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이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되는 인쇄화면이 동일한 위치에 중첩인쇄되면 이때의 압이 해당 인쇄유닛에서만 적용하는 인쇄압이 되며 이를 컨트롤콘솔에 입력(세팅)하고 이후 연속인쇄에서 적용한다.
8. 투루롤링이 끝난 인쇄유닛은 깨끗이 청소하고, 연결상태가 분리되어 있는 블랑켓실린더와 구동서보모터를 연결한다.
10 : 실린더 11 : 판실린더
12 : 블랑켓실린더 13 : 가압실린더
20 : 구동장치 30 : 가압장치
PU, PU1, PU2, PU3 : 인쇄유닛
a : 피인쇄물체

Claims (8)

  1. 전자회로를 중첩인쇄를 하도록 다수의 그라비어오프셋 인쇄유닛이 설치된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에 있어서,
    투루롤링 잉크를 준비하는 잉크준비단계(S110)와, 블랑켓실린더가 자유회전을 하도록 블랑켓실린더용 구동장치를 분리하는 단계(S120)와,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에 작용하는 인쇄압을 추정하여 추정세팅인쇄압을 컨트롤콘솔에 입력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초기준비단계(S100)와;
    상기 초기준비단계(S100) 후 판실린더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추정세팅인쇄압으로 가압하는 단계(S210)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을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전이시키되, 적어도 판실린더가 2회전 이상 회전하여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인쇄화면을 중첩되게 전이시키는 단계(S220)와, 상기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와, 상기 단계(S230)에서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의 인쇄압을 조정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는 조정단계(S200)와;
    상기 단계(S230)에서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이 일치하는 경우의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의 인쇄압을 컨트롤콘솔에 입력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S130)에서 컨트롤콘솔에 입력되는 추정세팅인쇄압은 블랑켓실린더의 러버층의 경도와 직경에 따른 인쇄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2. 전자회로를 중첩인쇄를 하도록 다수의 그라비어오프셋 인쇄유닛이 설치된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에 있어서,
    투루롤링 잉크를 준비하는 잉크준비단계(S110)와, 블랑켓실린더가 자유회전을 하도록 블랑켓실린더용 구동장치를 분리하는 단계(S120)와,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에 작용하는 인쇄압을 추정하여 추정세팅인쇄압을 컨트롤콘솔에 입력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는 초기준비단계(S100)와;
    상기 초기준비단계(S100) 후 판실린더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추정세팅인쇄압으로 가압하는 단계(S210)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을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전이시키되, 적어도 판실린더가 2회전 이상 회전하여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인쇄화면을 중첩되게 전이시키는 단계(S220)와, 상기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와, 상기 단계(S230)에서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의 인쇄압을 조정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는 조정단계(S200)와;
    상기 단계(S230)에서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이 일치하는 경우의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 사이의 인쇄압을 컨트롤콘솔에 입력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하는 단계(S240)에서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2차 전이되는 인쇄화면의 시작점이 1차 전이되는 인쇄화면의 시작점보다 늦은 경우에는 추정세팅인쇄압보다 압을 낮추고,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2차 전이되는 인쇄화면의 시작점이 1차 전이되는 인쇄화면의 시작점보다 빠른 경우에는 추정세팅인쇄압보다 압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에서는 카본블랙잉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30)에서 컨트롤콘솔에 입력되는 추정세팅인쇄압은 블랑켓실린더의 러버층의 경도와 직경에 따른 인쇄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30)에서 컨트롤콘솔에 입력되는 추정세팅인쇄압은 블랑켓실린더의 폭이 250㎜이 경우 판실린더의 축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가 각각 20~200N의 힘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40~400N/250㎜ 선압력으로 하며,
    상기 조정하는 단계(S240)에서는 판실린더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에서 가해지는 힘을 2~5N의 크기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30)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의 일치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30)는 블랑켓실린더 표면에 중첩 전이된 인쇄화면을 광학카메라로 촬영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이미지를 전송하고,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나타나는 이미지의 일치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S240)에서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에 사이에 작용하는 인쇄압을 추정세팅인쇄압보다 낮추거나 높이고자 할 때, 판실린더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에서 가해지는 힘을 2~5N의 크기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KR1020100126918A 2010-12-13 2010-12-13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KR101152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918A KR101152775B1 (ko) 2010-12-13 2010-12-13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918A KR101152775B1 (ko) 2010-12-13 2010-12-13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775B1 true KR101152775B1 (ko) 2012-06-12

Family

ID=4660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918A KR101152775B1 (ko) 2010-12-13 2010-12-13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7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337A (ja) * 1996-01-24 1997-07-29 Komori Corp 印刷機の接触圧調整装置
KR100911214B1 (ko) * 2007-10-10 2009-08-06 한국기계연구원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인압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3337A (ja) * 1996-01-24 1997-07-29 Komori Corp 印刷機の接触圧調整装置
KR100911214B1 (ko) * 2007-10-10 2009-08-06 한국기계연구원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인압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197B2 (en) Method of exchanging a printing unit at a running rotary printing press
EP1961565B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EP2303578B1 (en) Printing module for use in an offset printing apparatus and offset printing apparatus provided with such a printing module
US9789680B2 (en) Method for adjusting the print repeat length of a print image in a multicolor rotary printing machine
KR101152775B1 (ko)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JP6137541B2 (ja) 校正印刷機
JP5121617B2 (ja) 湿し水塗布が削減された状態での本刷り開始
WO2013161649A1 (ja) 液体転写装置及び液体転写方法
KR101393537B1 (ko)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JP2007131000A (ja) 印刷機及び印刷機を運転する方法
EP0993375B1 (en) Selective flexographic printing with movable anilox roll
JP2017105209A (ja) グラビアオフセット印刷機
JP2009132130A (ja) グラビア印刷機に於けるインキ塗布装置及びインキ塗布方法
JP6124053B2 (ja) 圧胴押圧機構、印刷ユニットおよび圧胴の押圧方法
JP2007118543A (ja) 印刷機および印刷機の運転方法
JP2007307905A (ja) 枚葉紙印刷機の運転方法
JP2009119636A (ja) 印刷機
JP2007038481A (ja) 印刷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800133B2 (ja) 枚葉紙材料用の加工機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2008132603A (ja) 輪転印刷機
JP6137749B2 (ja) 凹版印刷機及び凹版印刷機の運転方法
EP3581382B1 (en) Controlling longitudinal positioning of a foil web as used in a printing process
JP2005193515A (ja)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11889A (ja) 印刷機およびその色調管理方法
JP2002137526A (ja) 孔版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