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537B1 -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 Google Patents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537B1
KR101393537B1 KR1020120016317A KR20120016317A KR101393537B1 KR 101393537 B1 KR101393537 B1 KR 101393537B1 KR 1020120016317 A KR1020120016317 A KR 1020120016317A KR 20120016317 A KR20120016317 A KR 20120016317A KR 101393537 B1 KR101393537 B1 KR 10139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ressure
length
cylind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4983A (ko
Inventor
최병오
류병순
임규진
조정대
이택민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1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5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 H01L21/0228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printing, e.g. ink-jet pri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46Leads on or in insulating or insulated substrates, e.g. metallisation
    • H01L21/4867Applying pastes or inks, e.g. screen pri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Apparatus for applying a liquid, a resin, an ink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 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서 판실린더 인쇄화면이 크기와 형상에 변화없이 동일하게 블랑켓실린더를 거쳐 피인쇄체에 인쇄(전이)되도록 하는 인쇄압력을 구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투루롤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은,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의 추정세팅인쇄압을 추정하고, 이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기준비단계(S100)와; 상기 초기준비단계(S100) 후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인압장치를 이용하여 추정세팅인쇄압으로 가압하여 인쇄를 하고, 피인쇄체에 인쇄되어 전이된 인쇄화면(P1)의 길이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를 비교하고 일치시켜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의 적정 인쇄압을 결정하는 인쇄압 조정단계(S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True rolling by page length in Gravure-offset printing unit}
본 발명은 전자회로를 인쇄할 수 있는 그라비어 오프셋 윤전인쇄기 인쇄유닛에서 판실린더 인쇄화면이 크기와 형상에 변화없이 동일하게 블랑켓실린더를 거쳐 피인쇄체에 인쇄(전이)되도록 하는 인쇄압력을 구하는 그라비어 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투루롤링에 관한 것이다.
투루롤링(True rolling)이라 함은, 원래 오프셋인쇄유닛에서 새로운 브랑켓, 새로운 인쇄판, 새로운 인쇄용지로 작업하기 위하여 블랑켓실린더(롤)와 판실린더(롤)를 꾸밀 때 판하지 두께를 조정하여 두 실린더가 맞물려 회전하는 선속도를 같도록 하여 판실린더의 화면을 미끄러짐이 없이 똑같은 크기로 인쇄하도록 하는 통꾸밈의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인쇄전자 인쇄용으로 개발되어 블랑켓실린더를 사용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에서도 같은 이유 때문에 새로운 투루롤링의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공된 특허등록번호 제10-0634327호(등록일 2006.10.09.)의 롤-투-롤 윤전인쇄방식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특허문헌 1)와, 특허등록번호 제10-0911214호(등록일 2009.07.31.)의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인압제어장치(특허문헌 2)을 기초 배경기술로 한다.
상기 특허등록번호 제10-0634327호(등록일 2006.10.09.)의 롤-투-롤 윤전인쇄방식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특허문헌 1)에서는 플렉시블한 피인쇄체상에 롤-투-롤 윤전인쇄방식에 의해 전자회로를 인쇄함으로써 전자소자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방식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번호 제10-0911214호(등록일 2009.07.31.)의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인압제어장치(특허문헌 2)에서는 각 롤 간의 적정한 접촉압력이 자동으로 조절되게 함에 따라 항상 일정한 인쇄압을 유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양질의 제품을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는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인압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즉, 포밍롤의 기능성 잉크를 인쇄롤로 전이시키는 단계와 상기 인쇄롤의 기능성 잉크를 피인쇄체에 전이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포밍롤과 인쇄롤이 접촉된 채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포밍롤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기능성 잉크가 인쇄롤로 양호하게 전이되도록 하는 제1 인압제어장치와, 또 인쇄롤이 피인쇄체를 사이에 두고 가압롤이 접촉될 때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가압롤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기능성 잉크가 피인쇄체로 양호하게 전이되도록 하는 제2 인압제어장치를 구비한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인압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제공되어 있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는 도 1과 같이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 오프셋 윤전인쇄유닛들은 크게 피인쇄체(a)가 풀려져 나오는 언와인더(UW; Unwinder)와, 피인쇄체(a)의 인쇄면에 전자 기능성 잉크로서 전극회로패턴을 인쇄유닛(PU)에서 중첩 인쇄하고, 가늠 맞춤하기 위한 레지스터마크를 인쇄하며, 상기 레지스터마크를 촬영하여 가늠맞춤을 하도록 하는 카메라센서(31)가 설치된 다수의 인쇄유닛(PU)과, 인쇄가 이루어진 피인쇄체(a)를 되감는 리와인더(RW; Rewinder)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기(컨트롤콘솔)가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다수의 인쇄유닛(PU)에는 각각에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와 가압실린더(13)가 순차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판실린더(11)와 가압실린더(13)의 축 양측에는 각각에 가압장치(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 일측에는 이를 회전 시키는 구동장치(20)가 설치되고, 상기 판실린더(11)의 원주면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판실린더(11)의 표면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랑켓실린더(12)의 표면은 탄성을 가지는 고무(Rubber)재질로 이루어진 러버층을 가지며, 상기 가압실린더(13)의 표면은 금속재질 또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러버)재질로 이루어진 러버층을 가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인쇄유닛(PU)은 도 2와 같이 판실린더(11)와 가압실린더(13)의 축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가압장치(30)를 이용하여 인쇄압으로 가압하고,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의 각각의 구동장치(20)를 구동시켜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 잉크를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시키고, 상기 블랑켓실린더(12) 표면에 전이된 인쇄화면의 잉크는 블랑켓실린더(12)와 가압실린더(13) 사이로 공급되는 피인쇄체(a)에 전이로 인쇄를 한다.
상기와 같이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 잉크를 블랑켓실린더(12) 표면을 거쳐 피인쇄체(a)에 전이시키는 경우 인쇄압이 정확하지 않으면 망점이 이중인쇄(더블링)와 망점변형(슬러)과 같은 품질불량이 발생하고, 판실린더 화면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발생한다. 정밀인쇄를 위해서는 이 같은 품질불량이나 화면의 변형이 없이 똑같은 크기의 인쇄가 되어야 한다.
즉,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 사이에는 인쇄압이 작용하고, 상기 인쇄압에 따라 러버층을 가지는 블랑켓실린더(12)은 인쇄압에 의하여 러버층이 압축됨으로써 인쇄압에 따라 블랑켓실린더(12)의 원둘레가 판실린더(11)의 원둘레 보다 커질 수도 있고 작아질 수도 있기 때문에 판실린더(11)로부터 블랑켓실린더를 거쳐 피인쇄체에 전이되는 패턴형상이 똑같게 인쇄되지 않게 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을 블랑켓실린더(12)를 거쳐 피인쇄체(a)에 전이시킴에 있어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와 다르게 인쇄된 인쇄화면(P1)의 길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수의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들로 중첩인쇄를 하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는 정밀한 맞춤인쇄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P0)과 똑같은 길이로 피인쇄체(a)에 인쇄되도록 하는 투루롤링은 전자회로를 인쇄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을 이용한 중첩 전자회로인쇄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634327호(등록일 2006.10.09.)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11214호(등록일 2009.07.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정밀 중첩인쇄를 하도록 다수의 인쇄유닛을 가지는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에서 각각의 인쇄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판실린더의 인쇄화면 잉크가 피인쇄체에 인쇄(전이)됨에 있어, 판실린더의 인쇄화면 잉크가 인쇄화면에 따라 블랑켓실린더를 거쳐 피인쇄체에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인쇄(전이)되도록 조정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판실린더의 인쇄화면이 피인쇄체에 똑같은 크기로 인쇄(전이)되도록 하여 다수의 인쇄유닛에 의한 인쇄를 정밀 중첩인쇄함으로써 전자회로를 다수의인쇄유닛들에 의한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로 인쇄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된 본 발명인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은,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의 추정세팅인쇄압을 추정하고, 이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기준비단계(S100)와; 상기 초기준비단계(S100) 후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인압장치를 이용하여 추정세팅인쇄압으로 가압하여 인쇄를 하고, 피인쇄체에 인쇄되어 전이된 인쇄화면(P1)의 길이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를 비교하고 일치시켜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의 적정 인쇄압을 결정하는 인쇄압 조정단계(S2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압 조정단계(S200)는,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인압장치를 이용하여 추정세팅인쇄압으로 가압하여 인쇄하는 단계(S210)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와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를 비교하여 인쇄압을 판단하는 단계(S220)와; 상기 단계(S220)에서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과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가 불일치 하는 경우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인압장치를 이용하여 인쇄압을 조정하는 단계(S2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에 의하여 피인쇄체에 전이되어 인쇄된 인쇄화면(P1)의 길이(L1)를 직접이용하여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와 비교하여 인쇄압을 설정함으로써 쉽고 용이하면서 아주 효과적으로 인쇄압을 설정(구)할 수 있다.
또한, 광학렌즈를 이용한 기술을 적용하여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와 비교하여 일치시키는 경우에는 보다 정밀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인쇄압을 설정(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의 방법은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를 정밀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에 의하여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다수의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들로 중첩인쇄가 가능함으로써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를 구성하여 전자회로의 인쇄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그라비어 오프셋 윤전인쇄기의 구성 개략도.
도 2는 그라비어 오프셋 윤전인쇄유닛에 설치된 실린더(롤 혹은 드럼)들을 표현한 측면개략도.
도 3은 그라비어 오프셋 윤전인쇄유닛에 설치된 실린더(롤 혹은 드럼)와 가압장치의 구성을 표현한 평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에서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의 단계(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그라비어 오프셋 윤전인쇄유닛으로 인쇄되는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를 비교한 것으로, (a)는 인쇄압이 낮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인쇄압이 높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불완전한 투루롤링이 이루어져 적정하지 않은 인쇄압으로 중첩인쇄된 경우로, 레지스터 마크의 인쇄결과를 확대촬영한 것이다.
도 8과 도 9는 적정하게 투루롤링이 이루어져 적정 인쇄압으로 중첩인쇄된되 경우로, 레지스터 마크의 인쇄결과를 확대촬영한 것이다.
도 10은 그라비어 오프셋 윤전인쇄유닛에 설치된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를 나타낸 개략도로써, 판실린더의 가압으로 인한 블랑켓실린더의 표면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판실린더의 인쇄화면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된 게이지 지그를 이용하여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을 비교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 설치된 블랑켓실린더에 대하여 알아보면,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인쇄유닛에 설치된 블랑켓실린더의 기본기능은 오프셋인쇄의 블랑켓실린더와 같이 간접전이인쇄의 기능이지만 아래와 같이 특별히 몇 가지 추가기능을 요구한다.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블랑켓실린더는, 될 수 있는 한 표면에 전이된 잉크 양을 피인쇄체에 100% 전이할 수 있어야 하며, 그로 인하여 그라비어오프셋 인쇄유닛을 다수로 구성하여 양호한 품질의 인쇄전자 중첩인쇄를 구현시킬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도 10을 참조하면, 블랑켓실린더(12)는 실리콘 고무(러버, rubber)와 같은 박리성 있는 러버층(12a)을 가진다.
또, 판실린더(11) 상의 정밀한 인쇄전자 패턴의 잉크를 놓치지 않고 그대로 접촉복사(전이)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고도의 표면평활도가 요구된다.
그리고 판실린더(11) 상의 정밀한 인쇄전자 패턴의 잉크를 가압접촉의 방법으로 그대로 전이(복사)시키기 위해서는 가압하는 압력을 최소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무(러버)의 경도가 가능한 낮아야 한다.
이들 조건은 일반 오프셋인쇄에서 평판의 화상을 70~80 쇼아경도의 블랑켓실린더로 2MPa 정도 이상의 강한 압으로 접촉인쇄하는데 반하여 그라비어오프셋 인쇄의 블랑켓실린더는 40 쇼아경도 이하의 낮은 경도를 가진 러버층(12a)을 가지며, 플렉소인쇄압 보다 낮은 0.1MPa 이하의 접촉압으로 인쇄하는 경우가 되기 때문에 오프셋인쇄의 블랑켓실린더와는 큰 차이를 가진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에서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은 크게 초기준비단계(S100)와, 상기 초기준비단계(S100) 후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P0)와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을 비교하여 인쇄압을 구하는 인쇄압 조정단계(S200)와, 상기 인쇄압 조정단계(S200)에서 구해지는 인쇄압을 저장하는 단계(S300)로 구성된다.
상기 초기준비단계(S100)는 투루롤링 이전에 잉크를 준비하고, 건조장치를 가동하는 등 정상적인 인쇄조건을 준비하는 인쇄 준비단계(S110)와, 판실린더(11)와 가압실린더(13)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30)를 이용하여 가압되는 인쇄압을 추정하고, 추정된 인쇄압을 제어기의 컨트롤콘솔에 입력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컨트롤콘솔, 디스플레이장치, 비전컨트롤시스템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준비단계(S110)에서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에 이용하기 위하여 준비되는 투루롤링용 잉크는 일반인쇄에서 사용되는 10 포이즈 이하의 저점도 잉크를 사용하며 보통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미세한 안료입자로 제조된 카본블랙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120)에서 컨트롤콘솔에 입력되는 추정세팅인쇄압은 블랑켓실린더(12)의 러버층(12a)의 경도와 직경에 따른 인쇄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되며, 보통 컨트롤콘솔에 입력되는 추정세팅인쇄압은 블랑켓실린더의 폭이 250㎜인 경우 판실린더의 축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가 각각 20~200N의 힘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40~400N/250㎜의 선압력이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인쇄압 조정단계(S200)는 판실린더(11)와 가압실린더(13)의 각 축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30)를 이용하여 상기 단계(S120)에서 입력된 추정세팅인쇄압으로 가압한 후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P0)이 피인쇄체에 인쇄되도록 구동(인쇄)하는 인쇄단계(S210)와, 상기 단계(S210)에서 인쇄된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이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P0)과 비교하여 일치하는가를 판단하고 확인하는 단계(S220)과, 상기 단계(S220)에서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P0) (페이지) 길이(L0)와 피인쇄체(a)의 인쇄화면(P1) (페이지) 길이(L1)가 일치(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실린더(11)와 가압실린더(13)의 각 가압장치(30)를 조절하여 인쇄압을 조정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S220)는,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P0) 길이(L0)와 인쇄된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 길이(L1)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판단하는 단계로서,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를 버니어켈리퍼스, 마이크로미터 등과 같은 범용길이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측정값인 측정된 길이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단계(S220)는, 도 11과 같이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와 동일한 길이로 게이지 지그(G)를 제작하고, 게이지 지그(G)의 인쇄화면(PG)의 길이(LG)와 피인쇄체(a)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를 비교함으로써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과 피인쇄체(a)의 인쇄화면(P1)의 일치 여부를 확인(판단)한다.
상기 게이지 지그(G)의 인쇄화면(PG)와 피인쇄체(a)의 인쇄화면(P1)의 비교시에는 루뻬와 확대경을 이용하여 판단하거나, 또는 게이지 지그(G)의 인쇄화면(PG)와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을 광학카메라로 촬영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나타난 이미지를 비교/확인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판단)할 수도 있다.
이중인쇄와 망점변형의 인쇄품질은 루뻬와 확대경을 이용하여 판단하거나, 또는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을 광학카메라로 촬영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나타난 이미지를 확인하여 판단을 한다.
상기 조정하는 단계(S230)에서는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P0) (페이지) 길이(L0)와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 (페이지) 길이(L1)가 일치(동일)하지 않을 경우 판실린더(11)와 가압실린더(13)의 각 가압장치(30)를 조절하여 인쇄압을 조정함으로써 판실린더(11)의 인쇄화면(P0) (페이지) 길이(L0)와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 (페이지) 길이(L1)가 일치 또는 오차범위 안에 들어가도록 조정한다.
도 5는 피인쇄체(a)에 인쇄(전이)된 인쇄화면(P1)을 나타내기 위하여 1페이지의 인쇄를 전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판실린더(11)와 블랑켓실린더(12) 사이에 추정설정인쇄압을 세팅한 후 인쇄를 하면 3가지 형태가 나타난다.
첫째, 인쇄압이 적정하여 피인쇄체(a) 인쇄화면(P1)의 길이(L1)가 판실린더 인쇄화면(P0)의 길이(L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오차범위 안에 들어가는 경우.
이때에는 추정설정인쇄압이 적정 인쇄압으로써 제어기인 컨트롤콘솔에 저장한다.
둘째, 도 5의 (a)와 같이 인쇄압이 낮아 피인쇄체(a) 인쇄화면(P1)의 길이(L1)이 판실린더 인쇄화면(P0)의 길이(L0)보다 짧은 경우.
이때에는 추정설정인쇄압이 적정 인쇄압 보다 낮아 블랑켓실린더(12) 러버층(12a)의 눌림이 작은 상태로써 추정설정인쇄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한다(도 10참조). 즉, 인쇄압을 낮춘다.
셋째, 도 5의 (b)와 같이 인쇄압이 높아 피인쇄체(a) 인쇄화면(P1)의 길이(L1)이 판실린더 인쇄화면(P0)의 길이(L0)보다 긴 경우.
이때에는 추정설정인쇄압이 적정 인쇄압 보다 높아 블랑켓실린더(12) 러버층(12a)의 눌림이 큰 상태로써 추정설정인쇄압보다 높은 낮은 압력으로 가압한다(도 10참조). 즉, 인쇄압을 낮춘다.
상기 추정설정인쇄압이 적정 인쇄압과 동일하지 않아 피인쇄체 인쇄화면(P1)의 길이(L1)가 판실린더 인쇄화면(P0)의 길이(L0)의 길이와 동일하지 않거나 오차범위 안에 들어가지 않아 인쇄압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판실린더(11)와 가압실린더(1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30)에서 가해지는 힘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조절한다.
도 6 내지 도 9는 투루롤링으로 비전시스템에서 카메라(31)로 전송되어 모니터 상에 나타낸 인쇄결과의 사진이다. 카메라(31)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약 1,000배 정도로 확대시킨 것으로서 도 6과 도 7은 투루롤링 전에 인쇄된 상태로 이중인쇄를 보이고 있으며, 도 8과 도 9는 투루롤링 후 인쇄상태이다.
이하, 투루롤링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1. 기계가동전에 투루롤링용 잉크와 건조조건을 정상인쇄 조건에 맞춰 준비한다.
- 투루롤링용 잉크는 특정 인쇄전자 인쇄용 잉크와 달리 패턴의 화상만 관찰하는 것임으로 일반인쇄의 저점도 잉크로 준비한다.
- 일반 카본블랙잉크를 사용하면 카본블랙잉크의 미세한 입자로 레지스터마크의 뚜렷한 인쇄효과를 얻을 수 있어 확대(광학)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아도 작업자의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망점의 인쇄상태에서 확인하려면 확대경과 비전시스템 모니터를 통해 관찰하도록 한다.
2. 세팅할 인쇄유닛의 판실린더와 블랑켓실린더와 가압실린더 사이의 인쇄압을 추정하여 컨트롤콘솔에 입력한다.
- 과거에 실시한 블랑켓실린더의 러버층(12a)의 고무경도와 직경에 따른 인쇄압 데이터와 비교하여 추정한다.
3. 판실린더를 저속(1~2RPM)으로 회전시키고, 판실린더 표면에 투루롤링용 잉크를 올리고 독타링을 실시하며, 인쇄결과가 리와인더 부분에 도달하면, 상기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을 샘플링하고, 작업자는 상기 인쇄화면(P1)의 (페이지) 길이(L1)를 측정하고, 이중인쇄나 망점 변형은 루뻬 또는 확대경으로 확인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 도 5의 (a)와 같이 피인쇄체(a) 인쇄화면(P1)의 길이(L1)가 판실린더 인쇄화면(P0)의 길이(L0)보다 짧은 경우에는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추정설정인쇄압보다 인쇄압을 높인다.
- 도 5의 (b)와 같이 피인쇄체(a) 인쇄화면(P1)의 길이(L1)가 판실린더 인쇄화면(P0)의 길이(L0)보다 긴 경우에는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추정설정인쇄압보다 인쇄압을 낮춘다.
4. 피인쇄체(a) 인쇄화면(P1)의 길이(L1)가 판실린더 인쇄화면(P0)의 길이(L0)가 동일하게 일치하면 이때의 인쇄압을 해당 인쇄유닛에서만 적용하는 인쇄압이 되며 이를 제어기의 컨트롤콘솔에 입력(세팅)하고 이루 연속인쇄에서 적용한다.
10 : 실린더 11 : 판실린더
12 : 블랑켓실린더 13 : 가압실린더
20 : 구동장치 30 : 가압장치
PU, PU1, PU2, PU3 : 인쇄유닛
a : 피인쇄체

Claims (8)

  1. 잉크를 준비하고, 건조장치를 가동하여 인쇄조건을 준비하는 인쇄 준비단계(S110)와, 판실린더(11)와 가압실린더(13)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30)를 이용하여 가압되는 추정세팅인쇄압을 추정하고, 이를 제어기의 컨트롤콘솔에 입력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여,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의 추정세팅인쇄압을 추정하고, 이를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초기준비단계(S100)와;
    상기 초기준비단계(S100) 후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인압장치를 이용하여 추정세팅인쇄압으로 가압하여 인쇄를 하고, 피인쇄체에 인쇄되어 전이된 인쇄화면(P1)의 길이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를 비교하고 일치시켜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의 적정 인쇄압을 결정하는 인쇄압 조정단계(S200)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압 조정단계(S200)는,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인압장치를 이용하여 추정세팅인쇄압으로 가압하여 인쇄하는 단계(S210)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와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를 비교하여 인쇄압을 판단하는 단계(S220)와; 상기 단계(S220)에서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과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가 불일치 하는 경우 판실린더와 가압실린더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인압장치를 이용하여 인쇄압을 조정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20)에서 제어부에 입력되는 추정세팅인쇄압은 블랑켓실린더의 러버층의 경도와 직경에 따른 인쇄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20)에서 제어부에 입력되는 추정세팅인쇄압은 블랑켓실린더의 폭이 250㎜이 경우 판실린더의 축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장치가 각각 20~200N의 힘으로 가압하도록 하여 40~400N/250㎜ 선압력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20)는,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를 범용길이측정기구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길이를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와 비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20)는,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를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와 동일한 길이로 제작된 게이지 지그(G)와 비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20)는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과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된 게이지 지그(G)를 광학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로 길이를 비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30)는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와 일치되도록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보다 짧은 경우에는 인쇄압을 높이고, 피인쇄체의 인쇄화면(P1)의 길이(L1)가 판실린더의 인쇄화면(P0)의 길이(L0)보다 긴 경우에는 인쇄압을 낮추어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8. 삭제
KR1020120016317A 2012-02-17 2012-02-17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KR10139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317A KR101393537B1 (ko) 2012-02-17 2012-02-17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317A KR101393537B1 (ko) 2012-02-17 2012-02-17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983A KR20130094983A (ko) 2013-08-27
KR101393537B1 true KR101393537B1 (ko) 2014-05-09

Family

ID=4921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317A KR101393537B1 (ko) 2012-02-17 2012-02-17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5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214B1 (ko) * 2007-10-10 2009-08-06 한국기계연구원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인압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214B1 (ko) * 2007-10-10 2009-08-06 한국기계연구원 롤-투-롤 윤전인쇄시스템의 인압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983A (ko)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2964B2 (ja) 印刷機で色測定を行う方法
US71512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qualizing pressure between rollers in a printing press
CN109562618A (zh) 套准误差检测装置、套准误差检测方法以及印刷品
US20140083316A1 (en) Precision overprinting method of printed electronics rotary printing where location can be adjusted in real time
JP5859174B2 (ja) 温度調整システムを備える印刷機の胴上に刷版を見当に正しく配置する方法
JP5280598B2 (ja) 輪転印刷機における機械に起因する局所的な着色の不具合を修正する方法
EP2384889A1 (en) Method for adjusting and controlling a printing machine by employing minute marks
US9789680B2 (en) Method for adjusting the print repeat length of a print image in a multicolor rotary printing machine
KR101393537B1 (ko)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유닛의 인쇄화면 길이를 이용한 투루롤링 방법
US20140251169A1 (en) Method for adjusting the distances between cylinders of an inking unit and printing machine
JP2011110733A (ja) 印刷用ロールと版、印刷対象の平行度制御方法及び装置
JP4645194B2 (ja)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2008230177A (ja) 凸版印刷装置
JP2011037170A (ja) 印刷装置の印圧補正方法及び装置
JP6381320B2 (ja) 印刷機においてインキ調量を調整する方法
JP2007331219A (ja) 印刷機および印刷方法
US20060278108A1 (en) Method of supplying ink to ink rollers in a printing press
JP4962855B2 (ja) 印圧判定方法、凸版印刷機、凸版印刷用の刷版、および凸版印刷機の版胴の刷版の製造方法
KR101152775B1 (ko) 전자회로 인쇄용 그라비어오프셋 윤전인쇄기의 투루롤링
JP6430693B2 (ja) 静的に印刷された基体ウェブの動的印刷のためのデジタル印刷デバイスおよびリール供給式印刷機
CN102883886A (zh) 用于柔版印刷的成像装置
JP2008173888A (ja) ローラニップ管理装置およびローラニップ管理方法
JP6124053B2 (ja) 圧胴押圧機構、印刷ユニットおよび圧胴の押圧方法
JP2008132603A (ja) 輪転印刷機
TWI748696B (zh) 用於決定印刷機之印刷參數的方法及測試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