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584B1 - 휴대 통신 단말, 송신 전력 전환 방법 및 송신 전력 전환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단말, 송신 전력 전환 방법 및 송신 전력 전환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584B1
KR101151584B1 KR1020107006953A KR20107006953A KR101151584B1 KR 101151584 B1 KR101151584 B1 KR 101151584B1 KR 1020107006953 A KR1020107006953 A KR 1020107006953A KR 20107006953 A KR20107006953 A KR 20107006953A KR 101151584 B1 KR101151584 B1 KR 101151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ower
external device
connection
antenn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928A (ko
Inventor
가츠시게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에도 전파를 송신하기 위해서, 휴대 전화는, 안테나와,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FM 송신기와, 외부 장치와 각각 접속가능한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와, 외부 장치가 이어폰 단자, USB 단자 및 충전 단자 중 어느 것에 접속되는지를 검출하는 접속 검출부를 구비한다. FM 송신기는, 접속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외부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따라(S02에서 예 또는 아니오)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S05, S06).

Description

휴대 통신 단말, 송신 전력 전환 방법 및 송신 전력 전환 프로그램{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SSION POWER SWITCHING METHOD AND TRANSMISSION POWER SWITCHING PROGRAM}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 송신 전력 전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 그 휴대 통신 단말에서 실행되는 송신 전력 전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로부터 FM 전파를 송신하는 FM 송신기를 구비한 휴대 전화가 최근에 등장하였다. 휴대 전화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가 재생되고, 그 재생된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서 FM 송신기로부터 FM 전파로 송신되는 경우에, 무선 수신기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휴대 전화는, 이어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 퍼스널 컴퓨터 등의 USB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 배터리 충전기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휴대 전화는 이를 통해 이어폰, USB 장치 또는 배터리 충전기 등의 외부 장치와 접속된다. 그러나, 휴대 전화가 외부 장치와 접속되면, FM 송신기에 접속된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이 변하고, 이에 의해 FM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FM 전파의 전계 강도가 사전 결정된 값을 초과하게 될 수 있다. 종래에, 외부 장치가 휴대 전화에 접속되는 동안에는, FM 송신기는 FM 전파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무선 수신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하거나, 퍼스널 컴퓨터와 통신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도 전파를 송신할 수 있는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도 전파의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송신 전력 전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측면에 의하면, 휴대 통신 단말은, 안테나와,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외부 장치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수단과, 접속 수단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송신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외부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라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측면에 의하면,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에 안테나의 안테나 이득이 변하지만, 외부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송신된 전파의 전계 강도는 사전 결정된 값 이하로 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에도 전파를 송신할 수 있는 휴대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외부 장치의 접속이 검출되는 경우와, 검출 수단에 의해 외부 장치의 접속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사이에서,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 전력을 상이하게 한다.
상기 측면에 의하면, 외부 장치의 접속이 검출되는 경우에서의 송신 전력은, 외부 장치의 접속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서의 송신 전력과 상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송신된 전파의 전계 강도가 사전 결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속 수단은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휴대 통신 단말은, 복수의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 외부 장치와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는 접속 상태 검출 수단과, 외부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연관시켜서 송신 전력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송신 수단은,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속 상태에 연관시켜서 송신 전력 저장 수단에 저장된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한다.
상기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 외부 장치와의 접속 상태가 검출되고, 그 검출된 접속 상태에 연관시켜서 저장되는 송신 전력에 따라 안테나로부터 전파가 송신된다. 복수의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 외부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전파가 송신되고, 이에 의해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접속 단자의 조합에 따라 송신 전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속 수단은, 복수 종류의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휴대 통신 단말은, 접속 단자에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종류 검출 수단과, 외부 장치의 종류에 연관시켜서 송신 전력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송신 수단은, 종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외부 장치의 종류에 연관시켜서 송신 전력 저장 수단에 저장되는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한다.
상기 측면에 의하면, 접속 단자에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에 따라 안테나로부터 전파가 송신된다. 이는, 접속 단자에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송신 전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속 수단은, 복수 종류의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휴대 통신 단말은, 복수의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 외부 장치와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는 접속 상태 검출 수단과, 접속 단자에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종류 검출 수단과, 외부 장치와의 접속 상태 및 외부 장치의 종류에 연관시켜서 송신 전력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저장 수단을 더 구비하고, 송신 수단은,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속 상태 및 종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속 상태에 연관시켜서 송신 전력 저장 수단에 저장되는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한다.
상기 측면에 의하면,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속 상태와 종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속 상태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에 따라 안테나로부터 전파가 송신된다. 이는, 대응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외부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송신 전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전력 저장 수단에 저장되는 각각의 송신 전력은, 안테나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상기 측면에 의하면, 송신 전력이 안테나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이는, 송신되는 전파의 전계 강도를 확실히 사전 결정된 값 이하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 외부 장치와의 접속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사전 결정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측면에 의하면, 외부 장치와의 접속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전 결정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송신 전력을 전환하는 방법은, 안테나와,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수단을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방법은, 외부 장치가 접속 수단에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외부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라,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에 의하면,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에도, 전파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송신 전력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송신 전력을 전환하는 프로그램은, 안테나와,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수단을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외부 장치가 접속 수단에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외부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라,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휴대 통신 단말에 대해 실행시킨다.
상기 측면에 의하면,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에도, 전파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송신 전력 전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기능의 예시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휴대 전화에 포함된 제어부의 기능의 예시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전력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송신 전력을 전환하는 처리의 흐름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접속 상태와 송신 전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전력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전환 처리의 흐름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명칭 및 기능을 갖는 동일 부품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것들의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a)는 오픈 스타일(open style)의 상태에서의 휴대 전화(1)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반면에, 도 1(b)는 클로즈드 스타일(closed style)의 상태에서의 휴대 전화(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휴대 전화(1)는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를 포함한다.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는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힌지 기구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휴대 전화(1)를 접어서,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가 닫혀진 위치에 있는 상태는 클로즈드 스타일에 대응하는 반면에, 휴대 전화(1)를 열어서,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가 열린 위치에 있는 상태는 오픈 스타일이다.
조작측부(3)는, 전원키(14A), 텐키 및 통화키를 포함한 조작키(14)와, 안쪽면에 배치된 마이크(13)와, 우측에 배치된 이어폰 단자(17) 및 USB 단자(18)와, 바닥쪽에 배치된 2개의 충전 단자(19)를 갖는다.
표시측부(2)는, 액정 표시 장치(LCD)(15)와, 수신기를 구성하는 제 1 스피커(11)와, 안쪽면에 배치된 카메라(24)와, 바깥쪽면에 배치된 소형 LCD(15A) 및 제 2 스피커(12)를 갖는다. 본 예에서는 휴대 전화(1)가 LCD(15)를 갖지만, LCD(15)는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어폰 단자(17)에 대해, 외부 장치로서 이어폰이 접속된다. 범용 직렬 버스(UBS) 단자(18)에 대해, 외부 장치로서 퍼스널 컴퓨터 또는 배터리 충전기 등의 USB 장치가 접속된다. 이어폰 단자(17)에 접속되는 이어폰은 이어폰 마이크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1)가 배터리 충전기에 위치된 상태에서, 2개의 충전 단자(19)는 배터리 충전기에 포함된 2개의 단자와 각각 접촉하여, 배터리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휴대 전화(1)로 수신한다. 충전 단자(19)는 배터리 충전기의 커넥터가 삽입되는 형태일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의 기능의 예시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전화(1)는, 휴대 전화(1)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21)와, 안테나(22A)에 접속된 무선 회로(22)와, 안테나(23A)에 접속된 FM 송신기(23)와,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코덱부(28)와, 코덱부(28)의 입출력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부(29)와, 전환부(29)에 각각 접속된 마이크(13), 제 1 스피커(11), 제 2 스피커(12), 이어폰 단자(17)와, 카메라(24)와, 사용자의 조작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키(14)와, 진동부(26)와, LCD(15) 상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부(30)와, 제어부(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EEPROM(31)과, 제어부(21)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32)과, USB 단자(18)와, 충전 단자(19)를 포함한다.
무선 회로(22)는 안테나(22A)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얻어진 음성 신호를 코덱부(28)에 출력한다. 또한, 무선 회로(22)는 코덱부(28)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그 음성 신호를 변조함으로써 얻어진 무선 신호를 안테나(22A)에 출력한다.
코덱부(28)는 무선 회로(2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복호하고, 복호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그 신호를 증폭하여 전환부(29)에 출력한다. 또한, 코덱부(28)는 전환부(29)를 통해서 마이크(13)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그것을 부호화하며, 그 부호화한 음성 신호를 무선 회로(22)에 출력한다.
FM 송신기(23)는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된다. FM 송신기(23)는, 제어부(21)가 EEPROM(31)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얻어지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한 무선 신호에 근거하는 전파를 안테나(23A)로부터 송신한다. 여기서, FM 송신기(23)는 FM 전파를 안테나(23A)로부터 송신한다. 상기 송신되는 전파는 반드시 FM 전파일 필요는 없고, AM 전파일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FM 송신기(23)는 전파를 송신하기 위해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증폭기를 갖는다. FM 송신기(23)는 제어부(21)에 의해 지정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안테나(23A)로부터 전파를 송신한다.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는 전환부(29)는, 코덱부(28)에 대해서 음성 신호의 입출력을 전환한다. 전환부(29)는 코덱부(28)로부터 음성 신호를 접수하여, 이어폰 단자(17), 제 1 스피커(11) 및 제 2 스피커(12) 중 어느 하나에 출력한다. 이어폰 단자(17)에 이어폰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코덱부(28)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이어폰 단자(17)에 출력한다. 이어폰 단자(17)에 이어폰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 전화(1)가 핸즈프리 모드이면, 코덱부(28)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제 2 스피커(12)에 출력하고, 휴대 전화(1)가 핸즈프리 모드가 아니면, 코덱부(28)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제 1 스피커(11)에 출력한다. 조작키(14)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휴대 전화(1)는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된다. 통화가 오픈 스타일에서 이루어진 상태에서 휴대 전화(1)가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휴대 전화(1)가 클로즈드 스타일로 변경되면, 제어부(21)는 휴대 전화(1)를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한다. 따라서, 통화가 오픈 스타일에서 이루어지는 동안에 휴대 전화(1)가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전환부(29)는 코덱부(28)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제 1 스피커(11)로 출력하지만, 휴대 전화(1)의 상태가 클로즈드 스타일로 변경되면 전환부(29)는 코덱부(28)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제 2 스피커(12)로 출력한다.
전환부(29)는 마이크(1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코덱부(28)에 출력한다.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 마이크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전환부(29)는 이어폰 단자(17)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코덱부(28)에 출력하는 반면에, 이어폰 단자(17)에 이어폰 마이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전환부(29)는 마이크(13)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코덱부(28)에 출력한다.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는 표시 제어부(30)는, 제어부(21)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LCD(15)를 제어하여, LCD(15)에 화상을 표시시킨다. LCD(15) 상에 표시되는 화상은 동화상과 정지 화상을 포함한다.
카드 I/F(27)에는 착탈가능한 플래시 메모리(27A)가 장착된다. 제어부(21)는 카드 I/F(27)를 통해서 플래시 메모리(27A)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어부(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ROM(31)에 저장된다고 가정하지만, 프로그램은 플래시 메모리(27A)에 저장되고, 제어부(21)에 의해 실행되도록 플래시 메모리(27A)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는 플래시 메모리(27A)로 한정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디스크, 카세트 테이프, 광디스크(CD-ROM, 자기 광디스크(MO), 미니 디스크(MD), DVD), IC 카드(메모리 카드 포함), 광카드, 또는 마스크 ROM, EPROM, EEP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등일 수도 있다. 또 이와 달리, 휴대 전화(1)는 무선 회로(22)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고, 또한 제어부(21)에 의해 실행되도록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은, 제어부(21)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소스 프로그램 형태의 프로그램, 압축화된 프로그램, 암호화된 프로그램 등도 포함한다.
카메라(24)는 렌즈 및 CMOS 센서 등의 광전 변환 소자를 구비한다. 렌즈는 집광하여 CMOS 센서 상에 결상하고, CMOS 센서는 수신된 광의 광전 변환을 차례로 수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21)에 출력한다.
도 3은 휴대 전화에 포함된 제어부의 기능의 예시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1)는 FM 송신기(23)에서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부(51)와, 외부 장치의 접속을 검출하기 위한 접속 검출부(53)를 포함한다.
접속 검출부(53)는 이어폰, USB 케이블, 및 배터리 충전기의 각각의 접속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검출부(53)는 이어폰 단자(17)에 이어폰이 접속될 때에 이어폰의 접속을 검출한다. 이어폰 단자(17)에 포함된 사전 결정된 접속 단자에서의 전압 변화를 검출할 수 있거나, 이어폰의 접속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를 갖도록 이어폰 단자(17)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검출부(53)는 USB 단자(18)에 USB 케이블이 접속될 때에 USB 케이블의 접속을 검출한다. USB 단자(18)에 포함된 사전 결정된 접속 단자에서의 전압 변화를 검출할 수 있거나, USB 케이블의 접속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를 갖도록 USB 단자(18)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검출부(53)는 2개의 충전 단자(19)에 대해서 인가되는 사전 결정된 전압을 검출할 때에 배터리 충전기의 접속을 검출한다.
접속 검출부(53)가 이어폰, USB 케이블, 및 배터리 충전기의 접속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는 경우에, 접속 검출부(53)는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충전 단자(19) 중 어느 하나가 외부 장치와 접속된 것을 나타내는 접속 신호를 전력 제어부(51)에 출력한다. 접속 검출부(53)는, 이어폰이 접속된 경우에 이어폰 단자(17)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출력하고, USB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 USB 단자(18)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출력하고, 배터리 충전기가 접속된 경우에 충전 단자(19)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신호를 출력한다. 접속 검출부(53)가 상기한 접속 중 어느 것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속 검출부(53)는 이어폰, USB 케이블, 및 배터리 충전기 중 어느 것도 접속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접속 신호를 전력 제어부(51)에 출력한다.
전력 제어부(51)는, 접속 검출부(53)로부터 수신된 접속 신호에 근거하여, FM 송신기(23)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도 4는 전력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테이블은 복수의 접속 상태의 각각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정의한다. 이하, 이어폰, USB 케이블 및 배터리 충전기를 외부 장치라고 총칭한다. 각각의 접속 상태는, 대응 외부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어느 하나와의 조합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전력 테이블에서, 대응 외부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접속 단자(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조합 각각에 대하여 송신 전력이 연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이어폰 단자"는 이어폰 단자(17)에 대한 식별 정보이고, "USB 단자"는 USB 단자(18)에 대한 식별 정보이고, "충전 단자"는 충전 단자(19)에 대한 식별 정보이다. 도 4에서, "○"는 외부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는 외부 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접속 상태 1은, 이어폰 단자(17)에 이어폰이 접속되어 있지 않고, USB 단자(18)에 USB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고, 충전 단자(19)에 배터리 충전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송신 전력 P1은 접속 상태 1에 연관되어 있다. 접속 상태 2는, 이어폰 단자(17)에 이어폰이 접속되고, USB 단자(18)에 USB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고, 충전 단자(19)에 배터리 충전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송신 전력 P2는 접속 상태 2에 연관되어 있다.
송신 전력은, 복수의 접속 상태에 있어서,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 안테나(23A)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접속되는 외부 장치의 종류에 따라 안테나(23A)의 안테나 이득이 변하지만,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의 각각에 접속될 수 있는 외부 장치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다. 외부 장치의 종류가 결정되면, 그 종류의 외부 장치에 대응하는 안테나(23A)의 최대 안테나 이득이 결정된다. 따라서, 예컨대, 이어폰 단자(17)에 접속될 수 있는 복수 종류의 외부 장치 중에서, 휴대 전화(1)에 접속될 때에 안테나(23A)의 안테나 이득을 최대값에 도달시키는 외부 장치가 결정되고, 그 결과, 관련 외부 장치가 휴대 전화(1)에 접속된 경우에 안테나(23A)의 안테나 이득의 최대값이 결정된다. 송신 전력은, 복수의 접속 상태의 각각에 있어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 안테나(23A)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안테나(23A)로부터 송신되는 FM 전파의 전계 강도가 사전 결정된 값 이하로 되는 값으로 결정된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전력 제어부(51)는, 대응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접속 상태를 검출한다. 다음에, 전력 제어부(51)는 전력 테이블을 검색하여, 검출된 접속 상태에 연관된 송신 전력을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전력 제어부(51)는, EEPROM(31)에 미리 저장된 전력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신호에 포함되는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또는 충전 단자(19)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필드에서 "○"가 설정되고, 접속 신호에 포함되지 않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필드에서 "×"가 설정된 기록을 추출한다. 전력 제어부(51)는 그 기록에 포함되는 송신 전력을 FM 송신기(23)에 대한 송신 전력으로서 결정한다. 다음에, 결정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전파를 송신하도록 FM 송신기(23)를 제어한다.
도 5는 송신 전력 전환 처리의 흐름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송신 전력 전환 처리는, 제어부(21)가 EEPROM(31)에 저장된 송신 전력을 전환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21)에 의해 실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1)는 FM 송신기(23)가 온(on)될지 여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조작키(14)에 FM 송신기(23)를 기동시키기 위한 조작을 입력하면, 제어부(21)는 조작키(14)로부터 조작을 접수한다. 조작키(14)로부터 조작을 접수하면, 제어부(21)는 FM 송신기(23)가 온된 것이라고 결정하여, FM 송신기(23)를 기동시킨다. 제어부(21)는, FM 송신기(23)가 온될 때까지 스탠바이 모드에 있고(단계 S01에서 아니오), FM 송신기(23)가 온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S02로 진행한다. 즉, 송신 전력 전환 처리는 FM 송신기(23)를 온시키는 조작이 접수되면 실행된다.
단계 S02에서,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어폰, USB 케이블, 및 배터리 충전기의 접속 중 어느 하나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면, 프로세스는 단계 S03으로 진행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06에서, 사전 결정된 송신 전력 P1을 FM 송신기(23)에 대한 송신 전력으로서 설정하고, 프로세스는 단계 S07으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전 결정된 송신 전력 P1을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FM 송신기(23)를 제어한다.
한편, 단계 S03에서, 전력 테이블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EEPROM(31)에 저장된 전력 테이블을 검색하여, 단계 S02에서 접속이 검출되었던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접속 상태에 대응하는 기록을 결정한다.
결정된 기록에 포함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단계 S04). 다음에, 결정한 송신 전력을 FM 송신기(23)에 대한 송신 전력으로서 설정한다(단계 S05). 구체적으로, 결정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FM 송신기(23)를 제어한다.
다음의 단계 S07에서, FM 송신기(23)가 오프될지 여부를 결정한다. 조작키(14)로부터 FM 송신기(23)를 오프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면, 제어부(21)는 FM 송신기가 오프된 것으로 결정하여, FM 송신기(23)를 정지시킨다. FM 송신기(23)가 오프된 것이라고 결정하면 프로세스는 종료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S02로 되돌아간다.
도 6은 접속 상태와 송신 전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속 상태 1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 P1이 가장 높고, 접속 상태 8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 P8이 가장 낮다. 이는, 휴대 전화(1)에 외부 장치가 접속될수록 안테나(23A)의 안테나 이득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가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때에 안테나(23A)의 안테나 이득이 변화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1)는 외부 장치에 대한 접속 상태에 따라서 송신 전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일례에서,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하나에 대한 외부 장치의 접속이 검출되는 경우에서의 송신 전력은, 그것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외부 장치의 접속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서의 송신 전력과 상이하다. 이는, 송신되는 전파의 전계 강도가 사전 결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속 단자, 또는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접속 상태 각각에 송신 전력이 연관되어 있는 전력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대응 외부 장치의 접속이 검출되었던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접속 단자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접속 상태와 전력 테이블 내에서 연관되어 있는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FM 송신기(23)로부터 전파가 송신된다. 이는, 대응하는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의 조합마다 송신 전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전력 테이블에 표시된 각각의 송신 전력은, 사전 결정된 외부 장치가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대응하는 것에 접속된 경우에 있어서의 안테나(23A)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이는, 송신되는 전파의 전계 강도를 확실히 사전 결정된 값 이하로 되게 한다.
<변형예>
변형예에 따른 휴대 전화(1)는, 이어폰 단자(17) 및 USB 단자(18)에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에 따라 사전 결정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FM 송신기(23)가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접속 검출부(53)가 이어폰 단자(17)에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면, 접속된 외부 장치가 이어폰 또는 이어폰 마이크인지를 검출한다. 예컨대, 이어폰 단자(17)에 포함되는 사전 결정된 접속 단자에서의 전압 변화에 근거하여, 접속된 장치를 이어폰 또는 이어폰 마이크라고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음성의 입력이 검출되면 이어폰 마이크라고 결정하고, 음성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이어폰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접속 검출부(53)가 USB 단자(18)에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면, 접속된 외부 장치가 퍼스널 컴퓨터(PC) 또는 배터리 충전기인지를 검출한다. 예컨대, USB 단자(18)에 포함되는 사전 결정된 접속 단자에서의 전압값에 근거하여, 접속된 장치를 PC 또는 배터리 충전기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이어폰, USB 케이블, 및 배터리 충전기의 접속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하면, 접속 검출부(53)는 전력 제어부(51)에 접속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접속 신호는,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어느 하나가,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접속됨을 나타내고,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를 특정하는 종류 특정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어폰 또는 이어폰 마이크가 접속된 경우에, 접속 신호는, 이어폰 단자(17)에 대한 식별 정보와, 접속되는 이어폰 및 이어폰 마이크 중 하나를 특정하기 위한 종류 특정 정보를 포함한다. USB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 접속 신호는, USB 단자(18)에 대한 식별 정보와, 접속되는 PC 및 배터리 충전기 중 하나를 특정하기 위한 종류 특정 정보를 포함한다. 충전 단자(19)에 배터리 충전기가 접속된 경우에, 접속 신호는, 충전 단자(19)에 대한 식별 정보와, 배터리 충전기를 특정하기 위한 종류 특정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 제어부(51)는, 접속 검출부(53)로부터 수신되는 접속 신호에 근거하여, FM 송신기(23)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전력 테이블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있어서의 전력 테이블은,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충전 단자(19)의 필드가 외부 장치의 종류에 따라 더욱 나누어져 있는 점에서, 도 4에 나타낸 전력 테이블과 상이하다. 따라서, 접속 상태가 외부 장치의 종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낸 전력 테이블과 비교하여, 접속 상태의 수가 증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어폰 단자" 필드는, 이어폰에 대한 종류 특정 정보인 "이어폰"과, 이어폰 마이크에 대한 종류 특정 정보인 "이어폰 마이크"의 2개의 필드로 나누어져 있다. "USB 단자" 필드는, PC에 대한 종류 특정 정보인 "PC"와, 배터리 충전기에 대한 종류 특정 정보인 "배터리 충전기"의 2개의 필드로 나누어져 있다. 따라서, 변형예에 따른 전력 테이블에서, 복수 종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조합 각각에 대하여 송신 전력이 연관되어 있다.
예컨대, 접속 상태 2-1은, 이어폰 단자(17)에 이어폰이 접속되고,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에는 외부 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이 접속 상태 2-1에는 송신 전력 P2-1이 연관되어 있다. 또한, 접속 상태 2-2는, 이어폰 단자(17)에 이어폰 마이크가 접속되고,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에는 외부 단자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이 접속 상태 2-1에는 송신 전력 P2-2가 연관되어 있다.
송신 전력은, 복수의 접속 상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 있어서의 안테나(23A)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송신 전력은, 복수의 접속 상태마다,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 있어서의 안테나(23A)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안테나(23A)로부터 송신되는 FM 전파의 전계 강도가 사전 결정된 값 이하로 되는 값으로 되도록 결정된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전력 제어부(51)는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에 근거하여 접속 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EEPROM(31)에 미리 저장된 전력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신호에 포함되는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또는 충전 단자(19)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종류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필드에서 "○"가 설정되고, 접속 신호에 포함되지 않는 식별 정보 및 종류 특정 정보에 대응하는 필드에서 "×"가 설정되는 기록을 추출한다. 전력 제어부(51)는 그 기록에 포함되는 송신 전력을 FM 송신기(23)에 대한 송신 전력으로서 결정한다. 다음에, 결정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전파를 송신하도록 FM 송신기(23)를 제어한다.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송신 전력 전환 처리의 흐름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변형예에서의 송신 전력 전환 처리는, 단계 S02A가 단계 S02 다음에 추가되고, 단계 S03이 단계 S03A로 변형된다는 점에서, 도 5에 나타낸 송신 전력 전환 처리와 상이하다. 다른 처리는 도 5에 나타낸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단계 S02A에서, 스텝 S02에서 접속이 검출된 외부 장치의 종류를 검출한다.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2개 이상에서 접속이 검출된 경우에,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모든 외부 장치의 종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이어폰 단자(17)에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 접속된 외부 장치가 이어폰 또는 이어폰 마이크인지를 검출한다. USB 단자(18)에 외부 장치가 접속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 검출된 외부 장치가 PC 또는 배터리 충전기인지를 검출한다.
다음의 단계 S03A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EEPROM(31)에 저장된 전력 테이블을 검색하여, 단계 S02에서 접속이 검출된 이어폰 단자(17), USB 단자(18) 및 충전 단자(19)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와, 단계 S02A에서 검출된 외부 장치를 특정하는 종류 특정 정보에 근거해서 결정되는 접속 상태에 따른 기록을 결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휴대 전화(1)는, 이어폰 단자(17)에 접속가능한 이어폰 및 이어폰 마이크, USB 단자(18)에 접속가능한 PC 및 배터리 충전기, 및 충전 단자(19)에 접속가능한 배터리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접속 상태 각각에 대하여 송신 전력이 연관되어 있는 전력 테이블을 저장한다. 또한, 이어폰, 이어폰 마이크, PC 및 배터리 충전기 중에서 접속이 검출된 적어도 한 종류의 외부 장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접속 상태와 연관되어 있는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이어폰, 이어폰 마이크, PC 및 배터리 충전기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되는 접속 단말의 조합에 따라 송신 전력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폰, 이어폰 마이크, PC 및 배터리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조합 각각은, 이어폰, 이어폰 마이크, PC 및 배터리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접속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안테나(23A)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송신 전력에 연관되어 있다. 이는, 송신되는 전파의 전계 강도를 확실히 사전 결정된 값 이하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의 예시로서 휴대 전화(1)를 설명했지만, 휴대 통신 단말은 휴대 전화로 한정되지 않고, FM 송신기(23)를 구비한 장치이면, 송신기와 같은 소정의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물론 도 5 또는 도 8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전환 방법, 또는 그 송신 전력 전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송신 전력 전환 프로그램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항에 의해서 규정되고, 청구항과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부기>
(1) 청구항 1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복수의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휴대 통신 단말은,
복수의 접속 상태에 연관시켜 송신 전력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저장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대응 외부 장치와의 접속이 검출된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 중에서 소정의 접속 단자의 조합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접속 상태 중 하나가 확립된 것을 검출하는 접속 상태 검출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속 상태에 연관시켜 저장되는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한다.
(2) 청구항 1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복수 종류의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휴대 통신 단말은,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마다, 접속 단자에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종류 검출 수단과,
복수의 접속 상태에 연관시켜 송신 전력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저장 수단과,
상기 종류 검출 수단에 의해 접속이 검출된 상기 복수 종류의 외부 장치 중에서 외부 장치의 소정 종류의 조합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접속 상태 중 하나가 확립된 것을 검출하는 접속 상태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속 상태에 연관시켜 저장되는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한다.
(3) 청구항 1 내지 3,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송신 전력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접속 상태 중 대응하는 하나에서의 상기 안테나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1: 휴대 전화, 2: 표시측부, 3: 조작측부, 11: 제 1 스피커, 12: 제 2 스피커, 13: 마이크, 14: 조작키, 14A: 전원키, 17: 이어폰 단자, 18: USB 단자, 19: 충전 단자, 21: 제어부, 22: 무선 회로, 22A: 안테나, 23: 송신기, 23A: 안테나, 24: 카메라, 26: 진동부, 27A: 플래시 메모리, 28: 코덱부, 29: 전환부, 30: 표시 제어부, 51: 전력 제어부, 53: 접속 검출부, 27: 카드 I/F, 15A: 소형 LCD

Claims (9)

  1.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외부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라 변동하는, 상기 안테나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상기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휴대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외부 장치의 접속이 검출되는 경우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외부 장치의 접속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사이에서, 상기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 전력을 상이하게 하는 휴대 통신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은,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 외부 장치와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는 접속 상태 검출 수단과,
    외부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연관시켜서 송신 전력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저장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속 상태에 연관시켜서 상기 송신 전력 저장 수단에 저장되는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상기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휴대 통신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복수 종류의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은,
    상기 접속 단자에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종류 검출 수단과,
    외부 장치의 종류에 연관시켜서 송신 전력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저장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종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외부 장치의 종류에 연관시켜 상기 송신 전력 저장 수단에 저장되는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상기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휴대 통신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복수 종류의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통신 단말은,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 외부 장치와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는 접속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접속 단자에 접속된 외부 장치의 종류를 검출하는 종류 검출 수단과,
    외부 장치와의 접속 상태 및 외부 장치의 종류에 연관시켜 송신 전력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저장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접속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속 상태 및 상기 종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종류에 연관시켜서 상기 송신 전력 저장 수단에 저장되는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상기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휴대 통신 단말.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외부 장치와의 접속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사전 결정된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휴대 통신 단말.
  8.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수단을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에서 실행되는 송신 전력 전환 방법으로서,
    상기 접속 수단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외부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라 변동하는, 상기 안테나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전환 방법.
  9.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수단을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에서 실행되는 송신 전력 전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접속 수단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외부 장치의 접속 상태에 따라 변동하는, 상기 안테나의 최대 안테나 이득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
    를 상기 휴대 통신 단말에 실행시키는 송신 전력 전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7006953A 2007-08-31 2008-08-27 휴대 통신 단말, 송신 전력 전환 방법 및 송신 전력 전환 프로그램 KR101151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27172A JP4953993B2 (ja) 2007-08-31 2007-08-31 携帯通信端末、送信電力切換方法および送信電力切換プログラム
JPJP-P-2007-227172 2007-08-31
PCT/JP2008/065256 WO2009028529A1 (ja) 2007-08-31 2008-08-27 携帯通信端末、送信電力切換方法および送信電力切換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928A KR20100059928A (ko) 2010-06-04
KR101151584B1 true KR101151584B1 (ko) 2012-05-31

Family

ID=4038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953A KR101151584B1 (ko) 2007-08-31 2008-08-27 휴대 통신 단말, 송신 전력 전환 방법 및 송신 전력 전환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06201B2 (ko)
JP (1) JP4953993B2 (ko)
KR (1) KR101151584B1 (ko)
WO (1) WO2009028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0653A (ja) * 2008-02-20 2009-09-03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JP2009253479A (ja) * 2008-04-02 2009-10-29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送信特性制御方法
US8319506B2 (en) * 2010-06-28 2012-11-27 General Electric Company Detector state monitoring system and a portable detector including same
US9120132B2 (en) * 2011-11-09 2015-09-01 ZZ Ventures, LLC Pallet washing apparatus
CN103856620B (zh) * 2012-12-06 2016-09-28 华为终端有限公司 控制终端关机的方法及装置
DE102013002430B4 (de) * 2013-02-10 2015-04-02 tado GmbH Verfahren zum Ein-und Ausschalten eines Nachtmodus einer Heizungs-und/oder Klimaanlage
KR102112353B1 (ko) * 2014-04-11 2020-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방사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649A (ko) * 2004-08-25 200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KR20060052270A (ko) * 2004-11-01 2006-05-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모듈, 통신 단말, 및 임피던스 정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721A (ja) * 1995-06-24 1997-01-10 Nec Corp 衛星通信地球局及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式
JPH0946264A (ja) 1995-07-26 1997-02-14 Oki Electric Ind Co Ltd 線形変調無線送受信装置及びその電力制御方法
JP3134802B2 (ja) * 1997-03-24 2001-02-1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装置、移動体通信装置の電源供給装置および電源供給方法、および、移動体通信装置に接続可能なデータ端末接続モデムカード
JP3425073B2 (ja) * 1997-11-27 2003-07-0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WO2002029986A1 (fr) * 2000-10-04 2002-04-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communication sans fil
US7214182B2 (en) * 2003-04-25 2007-05-08 Olympus Corporation Wireless in-vivo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body-insertable device, and external device
JP3984941B2 (ja) * 2003-09-10 2007-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無線機用ホルダ
JP3915763B2 (ja) * 2003-09-19 2007-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端末
JP4684845B2 (ja) * 2004-11-30 2011-05-1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通信装置
JPWO2006109701A1 (ja) * 2005-04-07 2008-11-13 日本電気株式会社 Rfidシステム、電力供給装置及び電力供給方法
JP4727370B2 (ja) * 2005-09-29 2011-07-2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192564A (ja) 2006-01-17 2007-08-02 Nec Access Technica Ltd Fmトランスミッタを有する携帯装置とfm放送との混信回避機能を備えた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649A (ko) * 2004-08-25 2006-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KR20060052270A (ko) * 2004-11-01 2006-05-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모듈, 통신 단말, 및 임피던스 정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06201B2 (en) 2013-12-10
US20100297967A1 (en) 2010-11-25
JP4953993B2 (ja) 2012-06-13
JP2009060472A (ja) 2009-03-19
WO2009028529A1 (ja) 2009-03-05
KR20100059928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584B1 (ko) 휴대 통신 단말, 송신 전력 전환 방법 및 송신 전력 전환 프로그램
CN101753649B (zh) 移动终端
US8150485B2 (en) Casing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196130B1 (ko) 휴대 정보 단말
JP4791162B2 (ja) 携帯情報端末
JP5162187B2 (ja) 携帯端末および起動方法
CN105472706A (zh) 一种建立连接的方法及装置
JP2012244263A (ja) 無線装置
US200801535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9060717A (ja) 携帯通信端末、起動方法およびブートプログラム
JP201014774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94279B2 (ja) 通信装置
US20100062814A1 (en) Mobile terminal
CN104683903A (zh) 耳机控制方法及装置
KR20110066741A (ko) 와치형 휴대 단말기
KR101418284B1 (ko) 심-카드 소켓용 단자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10056971A (ja) 電子機器、送信電力切換方法および送信電力切換プログラム
KR100493517B1 (ko) 확장메모리를 장착한 이어폰 및 이를 구비한 메모리확장장치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JP4963029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125440B1 (ko) 컴퓨터 보조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기
JP5571054B2 (ja) 携帯情報端末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70090475A (ko) 휴대용 무선 데이터통신 장치
CN107801252B (zh) 一种通信连接的建立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