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836B1 -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 Google Patents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836B1
KR101149836B1 KR1020090107127A KR20090107127A KR101149836B1 KR 101149836 B1 KR101149836 B1 KR 101149836B1 KR 1020090107127 A KR1020090107127 A KR 1020090107127A KR 20090107127 A KR20090107127 A KR 20090107127A KR 101149836 B1 KR101149836 B1 KR 101149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urved plate
plate body
center
ra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235A (ko
Inventor
노경운
Original Assignee
성림산업(주)
유성산업 주식회사
그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림산업(주), 유성산업 주식회사, 그린산업(주) filed Critical 성림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10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8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07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the shield being provided with devices for lining the tunnel, e.g. shut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21Shield advanc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Abstract

지중에 관로를 구축하기 위한 관로 구축 공법으로써, 상기 관로의 적어도 일부구간 구축시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곡면판체 조립공법이 이용되고, 상기 조립관체는 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에 따른 공정의 반복으로 상기 굴착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되되, 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에서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방사형으로 신축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마련된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신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을 포함하는 관로 구축 공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high speed assembling method of curved panel using a radial shape assembling device and conduit lin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관로용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의 조립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굴착구 내에서의 조립관체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관로 구촉 공법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도나 전기 및 가스 등의 배관 시공을 위한 관로를 지면을 굴착하지 않고 지중에 구축하는 공법 중에는 추진공법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추진공법에서는 구축할 예상 관로의 2지점 상에 지하 쪽으로 발진구와 도달구를 형성한 상태에서 발진구 쪽으로부터 도달구 쪽으로 굴착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굴착과정 중에서 발진구 쪽에서 굴착구 내부로 추진관체를 밀어 넣어 추진시키는 방식으로 관로를 구축하게 된다.
이때 추진관체는 발진구 쪽에 설치되는 전방 추진기를 통해 굴착구 내부로 하나 씩 추진되는데, 이에 따라 굴착구에 미리 삽입되어 있던 전방 쪽 추진관체는 새로운 추진관체의 추진 동작시 후방 쪽 추진관체에 밀려 추진되고, 이에 따라 추진관체는 굴착구를 따라 연속적인 열을 이루며 추진된다.
그러나 이러한 추진공법은 추진관체의 열 길이가 길어지면서 후방추진기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굴착구 상에 급격한 곡선구간이 형성되어 있어 추진관체의 추진 작업이 어렵게 되는 경우 제도로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방식의 곡면판체 조립공법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곡면판체 조립공법에 있어서, 조립통은 굴착구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의 통형상으로 마련되고, 곡면판체는 발진구와 조립통 후방 쪽 굴착구를 통해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며, 조립통 내부에는 곡면판체의 조립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게 된다.
하나의 조립관체 조립이 완료되면, 굴착기가 동작됨과 동시에 조립통의 후방추진기가 조립이 완료된 조립관체를 밀어 조립통 내부 후방 쪽에 다시 공간을 확보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다시 조립통 내부로 다시 복수개의 곡면판체가 공급되어 기 설치된 조립관체 전방 쪽에 새로운 조립관체가 설치되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조립관체는 굴착구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곡면판체 조립공법에 따르면, 추진기에 과부하가 걸릴 우려가 없으며, 굴착구의 곡선구간에 이용되는 곡면판체를 직선구간에서 이용되는 곡면판체와 다른 형상으로 마련함으로써, 굴착구의 곡선구간에서도 관로를 원활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협소한 조립통 내부 공간에서 곡면관체를 조립하게 되는 곡면판체 조립공법의 경우 조립통 내부에서 작업자의 동작이 부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곡면판체의 조립에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만한 장비를 투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곡면판체의 조립작업이 힘들고 조립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는 바로 관로 구축 기간을 지연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관로용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의 조립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굴착구 내에서의 조립관체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관로 구촉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은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곡면판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상기 조립통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의 각 신축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곡면판체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진퇴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이송장비 선단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 선단에 진퇴 가능 마련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신축부재 중 일부 신축부재는 상기 제1몸체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신축부재 중 나머지 신축부재는 상기 제2몸체 둘레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이송장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판체는 금속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조립관체는 상기 굴착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되되, 상기 굴착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상기 조립관체 사이와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호 인접한 곡면판체 사이가 상기 곡면판체의 두께방향으로 상호 포개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곡면판체에는 외곽 쪽을 따라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호 인접한 곡면판체 사이에 있어서 상호 포개어지는 상기 단차부 사이에는 지수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접한 상기 곡면판체 사이는 상호 포개어진 상기 단차부 쪽에 상기 굴착구 중심 쪽에서 반경방향으로 상기 지수부재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되되, 상기 체결부재는 헤드부와 체결부를 포함하는 나사형태로 마련되고, 상호 포개어지는 상기 한 쌍의 단차부 중 상기 굴착구 중심에 인접한 단차부에는 상기 헤드부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홈이 마련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시 이용되는 툴의 삽입을 위한 툴삽입홈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홀에 일치되는 원형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호 포개어지는 상기 한 쌍의 단차부는 상기 굴착구 중심에 인접한 단차부의 두께보다 상기 굴착구 내벽에 인접한 단차부의 두께가 더 크게 마련된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추진기는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유압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곡면판체의 중심에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곡면판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 쪽 길이가 나머지 다른 곡면판체와 다르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면판체에는 상기 신축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곡면판체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체 외면과 상기 굴착구 내벽 사이에는 지수제가 충진되되,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신축부재와 상기 지수제의 충진을 위한 주입구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연결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을 포함하는 관로 구축 공법은 지중에 관로를 구축하기 위한 관로 구축 공법으로써, 상기 관로의 적어도 일부구간 구축시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곡면판체 조립공법이 이용되고, 상기 조립관체는 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에 따른 공정의 반복으로 상기 굴착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되되, 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에서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방사형으로 신축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마련된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신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을 포함하는 관로 구축 공법은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조립관체의 열에 의해 구성된 관로 내벽에 속관을 형성하기 위한 속관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속관은 연성튜브로 마련되고, 상기 속관설치단계는 에폭시 수지가 함침 된 연성튜브를 상기 관로 내부로 견인하는 튜브견인단계와, 상기 관로 내부로 견인된 연성튜브 내부로 유체를 충진하여 상기 연성튜브를 상기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튜브밀착단계와, 상기 관로 내벽에 밀착된 연성튜브를 경화시키는 튜브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관로 구촉 공법에 따르면,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가 이송장비에 설치된 방사형 조립장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립통 내부로 이송되고, 이 상태에서 각 곡면판체는 신축부재의 간단한 신장동작에 의해 조립관체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신속하게 정렬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을 이용하게 되면 협소한 조립통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곡면판체의 조립성과 조립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이를 이용한 관로 구축 공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구축 공법은 상하수도나 전기 및 가스 등의 배관 시공을 위한 관로 구축을 위한 것으로, 준비단계와, 통상의 추진공법을 이용하여 초기 구간의 관로를 구축하는 추진공법 적용단계와, 곡면판체 조립공법을 이용하여 초기 구간 이후의 관로를 구축하는 곡면판체 조립공법 적용단계와, 구축된 관로 내벽에 속관을 형성하는 속관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준비단계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축할 예상 관로의 시작위치와 중도위치 상에 지하 쪽으로 발진구(1)와 도달구(2)를 각각 형성하게 되고, 준비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추진공법 적용단계가 수행된다. 관로의 길이가 그리 길지 않을 경우 도달구(2)의 형성 위치는 예상 관로의 종착위치가 될 수 있다.
추진공법적용단계에서는 발진구(1) 내부에 전방추진기(1a)를 설치하게 된다. 이후 지상으로부터 발진구(1) 내부로는 굴착기(4)가 투입되어 굴착기(4)의 동작에 의해 굴착구(3)를 형성하게 되며, 소정길이의 굴착구(3)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 적용단계에서 이용될 조립통(5)을 굴착기(4) 후방 쪽으로 투입하여 굴착기(4)에 연결하게 된다.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때 굴착기(4)와 발진구(1) 쪽 지상 사이에는 굴착과정에서 발생하는 흙이나 암석을 지상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된 배출유로나 굴착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 등이 연결된다.
조립통(5)은 후방 쪽으로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조립통(5)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전방 쪽에서는 후방추진기(5a)가 설치되며, 조립통(5) 후방 끝단의 내경과 외경 쪽 둘레에는 후술하게 될 지수제(100)의 투입시 지수제(100)의 밀폐를 위한 실링(5b,5c)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추진기(5a)는 상하 방향으로 한 쌍식 4개가 설치되며, 이러한 후방추진기(5a)로는 유압잭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굴착기(4)를 재가동시켜 발진구(1) 쪽으로부터 도달구(2) 쪽으로 굴착구(3)를 연장되게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방추진기(1a)를 이용하여 발진구(1) 쪽에서 굴착구(3) 내부로 추진관체(10)를 밀어 넣어 추진시키게 된다.
이때 추진관체(10)는 굴착구(3) 내부로 하나 씩 추진되는데, 이에 따라 굴착 구(3)에 미리 삽입되어 있던 전방 쪽 추진관체(10)는 새로운 추진관체(10)의 추진 동작시 후방 쪽 추진관체(10)에 밀려 추진된다. 이에 따라 추진관체(10)는 굴착구(3)를 따라 연속적인 열을 이루며 추진된다. 관로의 방수를 위해 굴착구(3)와 추진관(10) 사이에는 지수제(100)가 충진된다. 이러한 지수제(100)는 새로운 추진관체(10)가 추진될 때 전방 쪽에 위치되는 추진관(10)과 굴착구(3) 사이로 충진된다.
이러한 추진공법 적용단계는 추진관체(10)의 열 길이가 길어지면서 후방추진기(1a)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굴착구(3) 상에 급격한 곡선구간이 형성되어 있어 추진관체(10)의 추진 작업이 어렵게 되는 시점까지 지속되며, 이후에는 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 적용단계가 수행된다.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전술한 추진공법 적용단계를 통해 구축된 구간의 관로를 ‘1차관로’라 하여 ‘A'로 기재하였으며, 후술하게 될 곡면판체 조립공법 적용단계를 통해 1차관로(A) 전방 쪽으로 구축되는 구간의 관로를 ‘2차관로’라 하여‘B'로 기재하겠다.
곡면판체 조립공법 적용단계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통(5)에 설치되는 상기 후방추진기(5a)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조립통(5)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20A,20B)를 상기 굴착구(3)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3)에 조립관체(30)를 하나 씩 차례대로 설치해 나가는 곡면판체 조립공법을 이용하여 상기 2차관로(B)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곡면판체 조립공법에 있어서, 곡면판체(20A,20B)는 발진구(1)와 1차관로(A) 내부를 통해 조립통(5) 후방 쪽 내부로 공급되며, 조립통(5) 내부에는 곡면판체(20A,20B)의 조립작업을 위한 작업자가 탑승하게 된다.
곡면판체(20A,20B)는 먼저 지상으로부터 발진구(1) 내부로 공급된 상태에서 이송장비(40)를 통해 조립통(5) 내부로 이송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비(40)의 이동을 위해 곡면판체 조립공법에서는 먼저 상기 전방추진기(1a)를 발진구(1) 외부로 제거 한 상태에서 1차관로(A)를 관통하여 조립통(5)과 발진구(1) 사이를 연결하는 레일(41)을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레일(41)은 하나의 조립관체(30) 조립이 완료되어 조립통(5)이 전진할 때마다 점차적으로 연장되도록 가설된다.
따라서 곡면판체 조립공법을 이용하여 1차관로(A) 전방에 최초의 조립관체(30)를 설치할 때는 후방추진기(5a)가 1차관로(A) 선단을 밀도록 신장되었다가 수축되면서 굴착기(4)와 조립통(5)을 전방으로 밀어 후방추진기(5a)와 1차관로 선단 사이의 조립통(5)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20A,20B)를 실은 이송장비(40)가 조립통(5) 내부로 레일(41)을 따라 이동된다. 그러면 조립통(5) 내부에 탑승하고 있던 작업자는 1차관로(A) 선단에 곡면판체(30)를 조립하여 조립관체(30)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조립관체(30)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번에는 후방추진기(5a)가 먼저 조립된 조립관체(30)를 밀어 후방추진기(5a)와 미리 조립된 조립관체(30) 사이에 다시 고정의 공간을 확보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조립된 조립관체(30)와 굴착구(3) 내벽 사이에 지수제(100)를 충진하게 되고, 이와 같이 하나의 조립관체(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조립통(5) 내부로는 새로운 곡면판체(20A,20B)들이 공급되고, 이러한 곡면판체(20)들을 가지고 기 설치된 조립관체(30) 전방에는 새로운 조립관체(30)가 더 조립되며, 이러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상기 조립관체(30)는 굴착구(3)를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면서 2차관로(B)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구축 공법과 같이, 추진공법과 곡면판체 조립공법을 병행하여 관로를 시공하게 되면, 추진공법과 곡면판체 조립공법의 장점을 동시에 살릴 수 있게 되어 길이가 과도하게 길거나 급격한 곡선 구간을 구비하는 관로를 원활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곡면판체(20A,20B)의 구조 및 곡면판체(20A,20B) 간의 조립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곡면판체(20A,20B)는 금형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하기 용이하도록 금속재질로 마련되는데, 금속재질의 경우 밀착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곡면판체(20A,20B)는 누수를 대비한 구조를 갖는다.
먼저 굴착구(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상기 조립관체(30) 사이와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호 인접한 곡면판체(20A,20B) 사이가 상기 곡면판체(20A,20B)의 두께방향으로 상호 포개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곡면판체(20A,20B)에는 외곽 쪽을 따라 단차부(21,22,23,24,25,26,27,2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판체(20A,20B)의 경우 조립관체(30)의 원주방향을 따라 곡률진 사각의 판체형태로 마련되므로, 단차부(21,22,23,24,25,26,27,28)는 곡면판체(20A,20B)의 사방 외곽 쪽에 모두 형성되며, 인접한 곡면판체(20A,20B) 사이에 있어서 상호 포개어지는 단차부 사이에는 지수부재(300)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곡면판체(20)의 경우 금속재질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인접한 곡면판체(20A,20B) 사이가 단차부를 통해 상호 포개지고, 상호 포개어진 단차부 사이가 토압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곡면판체(20) 사이를 통한 누수의 우려를 줄일 수 있게 되고, 곡면판체(20) 사이의 누수차단 효과는 단차부 사이에 배치되는 지수부재(300)를 통해 한 층 더 증대된다.
곡면판체(20A,20B)의 조립시간 단축을 고려했을 때, 상기 지수부재(300)는 곡면판체(20A,20B)의 생산 과정에서 접착제 등을 통해 상호 포개어지게 될 단차부 중 어느 한 쪽 단차부 표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호 포개어지는 한 쌍의 단차부 중에는 토압에 의해 직접적으로 힘을 받게 되는 굴착구(3) 내벽에 인접한 단차부(21,25,27,28)의 두께를 굴착구(3) 중심에 인접한 단차부(22,23,24,26)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조립관체(30) 사이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굴착구(3)의 길이방향이나 굴착구(3)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되는 곡면판체(20A,20B) 사이는 상호 포개어진 단차부 쪽에 체결부재(200)를 체결시킴으로써 서로 고정되는데, 조립통(5) 내부 작업자가 체결부재(200)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200)는 굴착구(3) 중심 쪽에서 반경방향 쪽으로 체결되고, 이때 체결부재(200)는 지수부재(300)를 관통하게 된다.
체결부재(200)는 헤드부(202)와 체결부(201)를 포함하는 나사형태로 마련되고, 체결부재(200)의 체결을 위해 상기 단차부에는 체결홈(29a,29b,29c)이 마련된다. 이중 상기 체결홈(29a,29b)에는 체결부(201)의 수나사와 나사결합 되도록 암나사가 가공되고, 상기 체결홈(29c)은 헤드부(202)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헤드부(202)는 상기 체결부재(200)의 체결시 이용되는 툴의 삽입을 위한 툴삽입홈(202a)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홈(29c)에 일치되는 원형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200)의 체결시에는 헤드부(202)를 통해 상기 체결홈(29c)이 밀폐되고 지수부재(300)가 체결부(201) 둘레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체결부재(200)의 체결부위를 통한 누수의 우려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협소한 조립통(5) 내부 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관체(20A,20B)를 가지고 조립관체(30)로 조립하게 되는 곡면판체 조립공법의 경우 조립통(5) 내부에서 작업자의 동작이 부자연스럽기 때문에, 곡면판체(20A,20B)의 조립작업이 힘들고 조립시간이 길어지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 적용단계에서는 조립통(5)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곡면판체(20A,20B)의 조립성과 조립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방사형 조립장치(50)가 이용된다.
도 4 내지 도 9을 참고하여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50)의 구조와 이를 이용한 곡면판체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사형 조립장치(50)는 이송장비(40)에 결합되는 몸체(51)와, 각각 신축가능하게 마련되어 몸체(51) 둘레에 굴착구(3)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신축부재(5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몸체(51)는 상기 이송장비(40) 선단에 그 중심이 상기 굴착구(3)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마련되며, 각 신축부재(52)는 끝단에 곡면판체(20A,20B)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4과 도 5에는 방사형 조립장치(50)에 고정된 복수개의 곡면판체(20A,20B)가 이송장비(40)를 통해 조립통(5) 내부로 이송된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통(5) 내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곡면판체(20A,20B)는 상기 하나의 신축부재(52)에 하나의 곡면판체(20A,20B)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하나의 조립관체(30)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가 상기 이송장비(40)에 함께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각 곡면판체(20A,20B)는 조립관체(30)를 이룰 때의 자세 그대로 신축부재(52) 끝단에 고정된다.
이때 이송장비(50)는 신축부재(52)의 신장동작을 통해 신축부재(52)에 고정된 곡면판체(20A,20B)를 바로 조립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신축부재(52)에 고정된 곡면관체(20A,20B)의 후방 쪽 단차부(22,26)가 기 설치되어 있는 조립관체(30)의 곡면판체(20A,20B)의 전방 쪽 단차부(21,25)에 일치될 수 있는 위치에서 정확히 정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장비(40)의 성능에 따라 이송장비(40)를 전술한 위치에 정확히 정지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몸체(51)는 전후방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2 및 도 3을 보면, 굴착구(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한 곡면판체(20A,20B) 사이는 곡면판체(20A,20B) 사이에 형성되는 틈이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매번의 곡면판체 조립과정에서 몸체(51)는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51)의 회전동작 및 진퇴동작을 위해 몸체(51) 후방의 이송장비(40) 내부에는 유압실린더와 회전모터가 내장 될 수 있다.
또한 구축하려는 관로의 직경 크기나 중량에 따라 방사형 조립장치(50)는 상기 몸체(51)나 신축부재(52)의 종류가 다른 것으로 교체되어야 할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방사형 조립장치(50)의 교체를 위해 상기 몸체(51)는 이송장비(40) 선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방사형 조립장치(40)는 신축부재(52)의 신축정도를 상황에 알맞게 정확히 조절함으로써 곡면판체(20A,20B)의 조립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송장비(40)에 의해 조립통(5) 쪽으로 이송되는 곡면판체(20A,20B)의 이송과정에서 방사형 조립장치(4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이송장비(40)가 기 설치된 관로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곡면판체(20A,20B)에 있어서 몸체(51)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몸체(51)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30)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도록 신축부재(52)의 신축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곡면판체(20A,20B)가 고정된 이송장비(40)는 추진관체(10)로 마련된 1차관로(A)도 통과해야 하므로, 상기 추진관체(10)의 내경은 조립관체(30)의 내경보다 크거나 조립관체(30)의 내경과 같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립통(5) 내부로 이송된 곡면판체(20A,20B)를 상기 신축부재(52)를 신장시켜 조립위치에 정렬하는 과정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곡면판체(20A,20B) 간의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복수개의 신축부재(52) 중 일부 신축부재(52)를 먼저 신장시키게 된다. 신축부재(52)의 신축동작을 위해 몸체(51) 선단 내부에는 신축부재(52)의 신축동작을 위한 유압실린더가 내장될 수 있다.
이후에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나머지 다른 신축부재(52)를 마저 신장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각 신축부재(52)의 신축길이는 상기 몸체(51)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20A,20B)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30)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된다. 따라서 신축부재(52)에 고정된 복수개의 곡면판체(20A,20B)는 비로소 조립관체(30)의 형태를 취하도록 정렬되고, 이 상태에서 굴착구(3)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인접하게 되는 곡면판체(20A,20B) 사이는 상기 체결부재(200)를 통해 고정된다. 이렇게 조립된 조립관체(30) 외면과 조립통(5) 내면 사이는 이후 수행될 방추진기(5a)에 의한 조립통의 전진동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소정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곡면판체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몸체(51)의 진퇴 동작 및 신축부재(52)의 신축 동작은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고, 유압실린더의 조작을 위해서는 조작부가 필요하게 되는데, 협소한 조립통 내부 작업공간의 크기를 고려했을 때, 이러한 조작부가 방사형 조립장치(50)나 이송장비(40) 쪽에 마련될 경우에는 조립통(5)에 탑승하고 있는 작업자와 별도로 이송장비(40) 쪽에도 조작부의 조작을 위한 작업자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통(5)에 탑승하고 있는 작업자가 작업공간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방사형 조립장치(50)의 동작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가 리모트컨트롤(미도시)로 마련된다.
상기 리모트컨트롤(미도시)은 무선타입이나 유선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유선타입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리모트컨트롤(미도시)에 연결되는 케이블(미도시)과 방사형 조립장치(50) 사이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구(42)를 이송장비(40)의 선단 쪽에 마련하여 조립통(5) 내부 작업자가 상기 케이블(미도시)을 접속구(42)에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구축 공법에서는 하나의 조립관체(30)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20A,20B)가 이송장비(40)에 설치된 방사형 조립장치(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립통(5) 내부로 이송되고, 이 상태에서 각 곡면판체(20A,20B)는 신축부재(52)의 간단한 신장동작에 의해 조립관체(3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신속하게 정렬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을 이용하게 되면 협소한 조립통(5)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곡면판체(20A,20B)의 조립성과 조립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 곡면판체(20A,20B)가 신축부재(52)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신축부재(52)는 곡면판체(20A,20B)의 중심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중에 신장되는 신축부재(52) 상의 곡면판체(20A,20B)가 미리 신장되어 있는 신축부재(52) 상의 곡면판체(20A,20B)에 걸릴 우려가 없도록 하나의 조립관체(30)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곡면판체(20A,20B) 중 적어도 일부 조립관체(20A)는 굴착구(3)의 원주방향 쪽 길이가 다른 곡면판체(20B)와 다르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200)의 체결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신축부재(52)는 곡면판체(20A,20B)로부터 분리되고, 이 상태의 방사형 조립장치(50)는 이송장비(40)와 함께 다시 발진구(1) 쪽으로 이송된다. 발진구(1)로 이송된 방사형 조립장치(50)의 각 신축부재(52)에는 지상으로부터 공급된 새로운 곡면판체(20A,20B)가 고정되어 다음번 조립관체(30) 조립을 준비를 하게 된다.
조립관체(30)로부터 신축부재(52)가 분리되면, 상기 후방추진기(5a)를 구동시켜 후방추진기(5a)와 조립이 완료된 조립관체(30) 사이의 조립통(5) 내부 공간에 다시 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조립관체(30)의 각 곡면판체(20A,20B)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수제(100)의 충진을 위한 주입구(510)가 연결된다. 각 주입구(510) 사이는 연결파이프(520)를 통해 연결되고, 연결파이프(520)의 일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지수제탱크와 연결파이프(520) 사이의 지수제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53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530)를 개방시킴에 따라 조립이 완료된 조립관체(30)의 외면과 이에 대응하는 굴착구(3)의 내벽 사이에는 지수제(100)가 충진되며, 이때 조립이 완료된 조립관체(30)의 선단 둘레는 상기 조립통(5)의 실링(5b,5c)에 의해 밀폐되어 지수제의 누출이 차단된다.
다시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곡면판체(20A,20B)에는 신축부재(52)와의 결합을 위해 곡면판체(20A,20B)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구(29d)가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구(29d)에는 신축부재(52)를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구(410,420)가 체결되는데, 상기 연결구(410,420)는 신축부재(52)는 물론 지수제(100)의 충진을 위한 상기 주입구(510)도 상기 결합구(29d)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연결구(410)는 지수제(100)의 통과를 위해 중공으로 마련되고 일단과 타단 외주에 각각 제1 및 제2나선을 구비하여 제1나선을 통해서는 결합구(29d)에 나사방 식으로 체결되고 이 상태에서 제2나선 쪽이 결합구(29d) 안쪽으로 돌출되는 제1연결구(410)와, 일단이 신축부재(52) 선단이나 주입구(510)에 걸려 고정된 상태로 타단을 통해 상기 제2나선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제2연결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결구(410,420)의 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관체 조립공법에서는 지수제(100)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 연결작업시 제1연결구(410)를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되어 편리하다. 상기 제2연결구(420)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신축부재(52)의 외면에는 걸림부(52a)가 마련되며, 연결구(410,420)를 공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구(510) 끝단에도 상기 걸림부(52a)와 동일한 구조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구(410,420)는 지수제(100)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결합구(29d)로부터 제거되며, 연결구(410,420)가 제거된 결합구(29d)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밀폐부재(500)를 통해 밀폐된다. 밀폐부재(500)는 결합구(29a)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밀폐부재(500)에는 밀폐부재(500)의 체결시 이용되는 툴이 삽입되도록 툴삽입홈(501)이 형성된다.
도 12에는 전술한 곡면판체 조립공법의 반복을 통해 2차관로(B)까지가 완성된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이와 같이 구축된 관로는 그 자체로 전선 케이블의 설치를 위한 전기배관 등으로는 이용될 수 있으나, 철저한 방수가 요구되는 상하수도 배관이나 가스공급배관 등으로 이용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에서는 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 적용단계가 완료된 이후 관로 내벽에 속관을 형성하는 상기 속관설치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되고, 이와 같이 내부에 속관이 설치된 관로는 바로 상하수도 배관 등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관로 내부에 속관을 설치할 때는 관로 내부에 속관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다른 단위관체들을 상기 관로 내부에 추진한 상태에서 관로 내벽과 속관 사이에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속관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는 단위관체의 추진작업으로 인해 속관의 형성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속관과 관로 내벽 사이에 충진되는 모르타르 충진층에 의해 속관의 내경을 크게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속관설치단계에서 속관(600)은 연성튜브로 마련되고, 이와 같이 연성튜브로 마련되는 속관(600)은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경이 관로 내벽의 직경과 큰 차이를 갖지 않게 되므로 직경 확보가 어렵지 않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속관설치단계는 에폭시 수지가 함침 된 연성튜브를 상기 관로 내부로 견인하는 튜브견인단계와, 관로 내부로 견인된 연성튜브 내부로 유체를 충진하여 상기 연성튜브를 상기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튜브밀착단계와, 관로 내벽에 밀착된 연성튜브를 경화시키는 튜브경화단계를 거쳐 간단히 설치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견인단계에서는 도달구(2) 쪽 지상에 설치되는 윈치(610)를 이용하여 발진구(1) 쪽 지상의 튜브공급기(620)로부터 발진구(1)로 공급된 연성튜브를 도달구(2) 쪽으로 견인하여 관로 상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튜브견인 과정 중 연성튜브에는 이후 수행될 튜브밀착단계에서 관로 내 벽으로 밀착되는 연성튜브가 관로 내벽에 부착되기 용이하도록 에폭시 수지가 함침된다.
상기 튜브밀착단계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구(1) 쪽 연성튜브의 단부를 통해 연성튜브 내부로 액체나 기체를 충진시켜 연성튜브 외면을 관로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부착시키게 되며, 튜브경화단계에서는 관로 내벽에 밀착된 연성튜브를 일정시간 열경화시켜 속관(600) 설치가 완료되도록 한다. 관로 외부로 연장된 속관(600)의 양단은 튜브경과단계 이후 적정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속관설치단계에 따르면, 단위관체의 추진작업이 삭제되어 속관(600)의 형성이 용이하며, 이와 같은 속관설치단계에 의해 설치되는 속관(600)은 외면이 관로 내벽에 밀착되면서 관로의 내경에 가까운 큰 내경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은 이러한 속관설치단계가 완료됨에 따라 종료된다.
한편,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50)를 이용한 곡면판체 조립과정에서는 굴착구(3)의 길이방향 쪽 곡면판체의 길이를 굴착구(3)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는 곡면판체에 의해 조립되는 조립관체(3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서 관로의 구축 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조립관체(30)를 길이를 길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후방추진기(5a)로는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유압잭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는 조립통(5)의 후방 내부 공간도 이 에 대응하는 길이로 확보되어야 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판체(20´)와 방사형 조립장치(50´)의 고정구조가 도시된 도 15와 같이, 곡면판체(20´)의 길이가 다소 길게 형성될 경우 신축부재(52´)는 몸체(51)에 신축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52b)와, 길이방향을 따라 곡면판체(20´) 상의 여러 부위에 동시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복수개의 고정부(52c)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조립장치(50´)는 길이가 길어진 곡면판체(2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판체(20˝) 및 방사형 조립장치(50˝)의 구조가 도시된 도 16 및 도 17과 같이, 방사형 조립장치(50˝)의 몸체(51´)는 이송장비(40) 선단에 회전 및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몸체(51a)와, 제1몸체(51a) 선단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몸체(51b)를 포함하여 다단의 진퇴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재(52)는 일부가 제1몸체(51a) 둘레에 마련되고 나머지 일부가 제2몸체(51b) 둘레에 마련되는 식으로 제1 및 제2몸체(51a,51b)에 나누어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몸체(51a)에 마련되는 신축부재(52)와 제2몸체(51b)에 마련되는 신축부재(52)는 상호 엇갈려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방사형 조립장치(50˝)는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20˝) 중 일부를 상기 제1몸체(51a) 둘레에 마련되는 신축부재(52)에 고정시키고, 나머지 곡면판체(20˝)를 제2몸체(51b) 둘레에 마련되는 신 축부재(52)에 고정시키게 될 경우 각 신축부재(52)의 신축과정에서 곡면판체(20˝) 간의 간섭이 발생될 우려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또 도 16 및 도 17과 같은 형태로 고정된 곡면판체(50˝)를 조립관체 형태로 정렬할 때는 제2몸체(51b)에 마련된 신축부재(52)를 신장시켜 제2몸체(51b)에 고정된 곡면판체(20˝)를 먼저 조립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1몸체(51a)에 고정된 곡면판체(20˝)가 제2몸체(51b)에 고정된 곡면판체(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몸체(51a)를 전진시킨 후 제1몸체(51a)에 마련된 신축부재(52)를 신장시켜 각각의 곡면판체(20˝)들이 조립관체의 위치로 정렬되도록 한다. 이후 이루어지는 체결부재의 체결작업은 전술한 첫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에 있어서, 추진공법적용단계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에 있어서, 곡면판체 조립공법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고구축공법에 있어서, 곡면 판체 조립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2차관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곡면판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에 있어서, 곡면판체 조립공법 중 이송장비를 통해 조립통 내부로 곡면판체가 이송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를 도 4와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일부 곡면판체가 고정된 신축부재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 상태에서 나머지 곡면판체가 고정된 신축부재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를 도 7과 다른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에 있어서, 곡면판체와 방사형 조립장치의 신축부재 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에 있어서, 곡면판체를 통해 조립된 조립관체와 굴착구 사이에 지수제가 주입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에 있어서, 조립관체와 굴착구 사이에 지수제가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곡면판체의 결합구가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에 있어서, 곡면 판체 조립공법이 완료된 상태의 관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에 있어서, 속관설치단계 중 튜브견인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축공법에 있어서, 속관설치단계 중 튜브밀착단계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판체와 방사형 조립장치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판체와 방사형 조립장치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판체와 방사형 조립장치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 16과 다른 방향에서 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발진구 2: 도달구
3: 굴착구 4: 굴착기
5: 조립통 10: 추진관체
20A,20B: 곡면판체 30: 조립관체
40: 이송장비 50: 방사형 조립장치

Claims (13)

  1.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상기 조립통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의 각 신축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곡면판체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몸체는 진퇴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이송장비 선단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 선단에 진퇴 가능 마련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신축부재 중 일부 신축부재는 상기 제1몸체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신축부재 중 나머지 신축부재는 상기 제2몸체 둘레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4.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상기 조립통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의 각 신축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곡면판체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몸체는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이송장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판체는 금속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조립관체는 상기 굴착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되되,
    상기 굴착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상기 조립관체 사이와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호 인접한 곡면판체 사이가 상기 곡면판체의 두께방향으로 상호 포개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곡면판체에는 외곽 쪽을 따라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곡면판체 사이에 있어서 상호 포개어지는 상기 단차부 사이에는 지수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곡면판체 사이는 상호 포개어진 상기 단차부 쪽에 상기 굴착구 중심 쪽에서 반경방향으로 상기 지수부재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되되,
    상기 체결부재는 헤드부와 체결부를 포함하는 나사형태로 마련되고,
    상호 포개어지는 상기 한 쌍의 단차부 중 상기 굴착구 중심에 인접한 단차부에는 상기 헤드부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홈이 마련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시 이용되는 툴의 삽입을 위한 툴삽입홈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홈에 일치되는 원형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호 포개어지는 상기 한 쌍의 단차부는 상기 굴착구 중심에 인접한 단차부의 두께보다 상기 굴착구 내벽에 인접한 단차부의 두께가 더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추진기는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유압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10.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상기 조립통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의 각 신축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곡면판체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곡면판체의 중심에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곡면판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 쪽 길이가 나머지 다른 곡면판체와 다르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11.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상기 조립통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의 각 신축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곡면판체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며,
    상기 곡면판체에는 상기 신축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곡면판체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관체 외면과 상기 굴착구 내벽 사이에는 지수제가 충진되되,
    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신축부재와 상기 지수제의 충진을 위한 주입구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연결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12. 지중에 관로를 구축하기 위한 관로 구축 공법으로써, 상기 관로의 적어도 일부구간 구축시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곡면판체 조립공법이 이용되고, 상기 조립관체는 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에 따른 공정의 반복으로 상기 굴착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되되,
    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에서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방사형으로 신축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마련된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신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며,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조립관체의 열에 의해 구성된 관로 내벽에 속관을 형성하기 위한 속관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속관은 연성튜브로 마련되고,
    상기 속관설치단계는 에폭시 수지가 함침 된 연성튜브를 상기 관로 내부로 견인하는 튜브견인단계와, 상기 관로 내부로 견인된 연성튜브 내부로 유체를 충진하여 상기 연성튜브를 상기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튜브밀착단계와, 상기 관로 내벽에 밀착된 연성튜브를 경화시키는 튜브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을 포함하는 관로 구축 공법
  13. 삭제
KR1020090107127A 2009-11-06 2009-11-06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KR101149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127A KR101149836B1 (ko) 2009-11-06 2009-11-06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127A KR101149836B1 (ko) 2009-11-06 2009-11-06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235A KR20110050235A (ko) 2011-05-13
KR101149836B1 true KR101149836B1 (ko) 2012-05-29

Family

ID=4436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127A KR101149836B1 (ko) 2009-11-06 2009-11-06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302B1 (ko) 2012-07-04 2013-02-14 조성식 압입공법용 선도관 조립체
CN106089223A (zh) * 2016-06-24 2016-11-09 中铁隧道集团二处有限公司 一种tbm快速空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8058A (zh) * 2020-06-30 2020-10-27 上海隧道工程有限公司 超大断面矩形顶管钢管节施工现场拼装平台及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095A (ja) 1999-05-27 2000-12-05 Kawasaki Heavy Ind Ltd 鋼管セグメン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095A (ja) 1999-05-27 2000-12-05 Kawasaki Heavy Ind Ltd 鋼管セグメン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302B1 (ko) 2012-07-04 2013-02-14 조성식 압입공법용 선도관 조립체
CN106089223A (zh) * 2016-06-24 2016-11-09 中铁隧道集团二处有限公司 一种tbm快速空推方法
CN106089223B (zh) * 2016-06-24 2019-04-19 中铁隧道集团二处有限公司 一种tbm快速空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235A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836B1 (ko)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CN102392653A (zh) 盾构对接地层弯管单侧冻结法及其冻结管打设装置
JP3647500B2 (ja) 掘進装置及び推進工法
KR101050756B1 (ko) 복합중압관을 이용한 세미쉴드 굴착장치 및 터널 굴착방법
EP2195509B1 (en) A way of constructing and renovating the pipeline especially an underground one, and a set of devices for using this method
JPH0797895A (ja) 曲線推進工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曲線推進用埋設管
JP2001140592A (ja) トンネル覆工用セグメン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495593B1 (ko) 굴착장치
JP7389698B2 (ja) 発進口の形成方法および発進口構造
WO2005075792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injected wet concrete during the formation of a concrete tunnel
JP2000248885A (ja) 推力伝達装置
JPH02144498A (ja) 埋設管の推進埋設方法および装置
KR101985360B1 (ko) 수밀성이 우수한 레진 콘크리트 추진관
JP5463049B2 (ja) 合成樹脂管曲進埋設装置
JP4952108B2 (ja) 地盤改良装置及び地盤改良方法
JP6230284B2 (ja) 既設管更新工法
JP3145345B2 (ja) 真空式下水管の敷設方法および真空式下水管用の複合管
JP2008280842A (ja) アーチ型先行支保工の構築方法
JP3897767B2 (ja) 既設構造物直下の地盤の液状化対策工法
RU2528465C1 (ru) Способ бестраншейной замены подзем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101648814B1 (ko) 역류방지용 분리형 강관구조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강용 강관 그라우팅 공법
JP6132672B2 (ja) 既設管更新工法
JPH01146097A (ja) 管推進装置
JPH05287726A (ja) 排水用管路の敷設工法
JPH0673725A (ja) 地盤改良体造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