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222B1 -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222B1
KR101149222B1 KR1020090091983A KR20090091983A KR101149222B1 KR 101149222 B1 KR101149222 B1 KR 101149222B1 KR 1020090091983 A KR1020090091983 A KR 1020090091983A KR 20090091983 A KR20090091983 A KR 20090091983A KR 101149222 B1 KR101149222 B1 KR 101149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e
shank
holder body
body member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453A (ko
Inventor
문봉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2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반 공구대 일 측에 돌출되며 선단부의 상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홀더 몸체부재와,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안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생크 지지부재와, 상기 생크 지지부재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단부의 상부면에 바이트가 안착 고정되는 생크부재를 포함하여 압연 롤의 가공 작업 중 손상이 자주 발생하는 부분 즉, 싱크 지지부재를 간단히 교체하여 정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Holder Device with Bite for Lathe}
본 발명은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작물의 외주면에 깊숙한 홈을 가공할 때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 롤은 외주면이 압연하는 형상에 대응되게 선반을 통해 가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주축대와 심압대 및 왕복대, 공구대를 포함하여 공작물의 외경 및 내경을 가공하며, 통상 주로 바이트의 작동을 수치 정보에 의한 신호로 제어되어 가공물의 내경 및 외경을 가공하는 NC 선반(Numerically Controlled Lathe)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선반 공구대는 공작물을 절삭하는 바이트를 고정하는 바이트용 홀더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압연 롤은 압연재의 돌출된 부분을 압연하기 위해 반대로 압연재의 돌출되는 부분과 대응되게 홈이 가공되며, 돌출된 부분의 높이에 대응되게 상기 선반을 사용하여 가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 작업 중에 손상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만 교체하여 정비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 작업 및 가공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 공구대 일 측에 돌출되며 선단부의 상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홀더 몸체부재와;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안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생크 지지부재와;
상기 생크 지지부재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단부의 상부면에 바이트가 안착 고정되는 생크부재를 포함한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안착홈 상부면에는 이격된 복수의 볼트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생크 지지부재 및 상기 생크부재는 상기 볼트 체결홈에 대응되는 볼트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체결홈에 체결되는 볼트부재를 통해 장착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생크 지지부재는 선단부의 하부에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선단부와 겹쳐지는 보조 고정부가 돌출되고, 상기 보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선단부로 보조 고정 볼트가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생크부재는 선단부의 상부면에 바이트가 안착되는 바이트 장착부가 파여져 형성되며,
상기 바이트의 저면에는 바이트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바이트 장착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가 결합하는 돌기 결합홈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는 바이트의 저면에 복수로 돌출되고, 상기 돌기 결합홈은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에 대응되게 바이트 장착부의 상부면에 복수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작물의 외주면에 깊숙한 홈을 가공할 경우 손상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부분만 교체하여 정비할 수 있어 정비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정비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구 홀더의 수명 연장을 통해 가공 작업 중 바이트의 떨림을 미연에 방지하고, 정밀 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연 롤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H형강을 압연하는 상, 하 압연 롤 중 어느 한 상, 하 압연 롤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 예인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생크부재와 홀더 몸체부재만 포함한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를 나타내고 있 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인 생크부재, 홀더 몸체부재, 생크 지지부재가 각각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생크부재 및 생크 지지부재, 홀더몸체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생크부재 및 생크 지지부를 하나의 볼트로 관통시켜 홀더 몸체부재에 체결 장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압연 롤(1)은 외주면에 압연 형상과 대응되는 홈부가 외주면에 파여지게 가공되고, 상, 하로 배치되어 압연재를 압연하게 된다.
일 예로 H형강용 압연 롤(1)은 웨브부를 압연하기 위한 웨브 압연부(1a)의 양 측에 플랜지부를 압연하기 위해 깊은 홈으로 형성된 플랜지 압연부(1b)가 구비된다.
상기한 플랜지 압연부(1b)와 같이 압연재의 돌출부분을 압연하기 위해 압연 롤(1)의 외주면에 파여지는 깊은 홈부는 선반으로 가공된다.
그리고 선반 공구대(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깊은 홈을 파기 위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의 상부면에 바이트(11)가 안착 고정되는 생크부재(10)를 포함한다. 또한, 선반 공구대(2) 일 측에 돌출되며 선단부의 상단부에 생크 지지부재(30)가 장착되는 안착홈(21)이 형성된 홀더 몸체부재(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 몸체부재(20) 및 생크부재(10)는 압연 롤(1)에 깊게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홈에 삽입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생크부재(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볼트부재(40)가 안착홈(21)의 상부면에 체결됨으로써 홀더 몸체부재(20)에 장착되는 것이다.
또 상기 생크부재(10)는 압연 롤(1)의 홈부를 깊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홀더 몸체부재(20)의 선단부로 앞부분이 일부 돌출되게 장착된다.
상기 생크부재(10)의 바이트(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압연 롤(1)의 깊은 홈부를 상기 홀더 몸체부재(20)의 고정점 즉, 선반 공구대(2)의 고정부와 상당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생크부재(10)는 바이트(11)가 압연 롤(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가공할 때 떨림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떨림 현상으로 상기 홀더 몸체부재(20)의 안착홈(21) 선단부가 빈번히 파손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선단부가 파손되는 경우 상기 홀더 몸체부재(20)를 전체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압연 롤(1)의 가공 시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파손된 상기 홀더 몸체부재(20)를 교체하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생크부재(10)에서 떨림이 더 심하게 발생하고, 이로써 생크부재(10) 또는 바이트(11)가 파손되고, 정밀한 가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몸체부재(20) 및 상기 생크부재(10)를 포함하고, 파손이 자주 발생하는 홀더 몸체부재(20)의 부분, 즉, 안착홈(21)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로 생크부재(1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생크 지지부재(30)를 더 포함한 것이다.
상기 홀더 몸체부재(20)의 안착홈(21) 상부면에는 이격된 복수의 볼트 체결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생크 지지부재(30) 및 상기 생크부재(10)는 상기 볼트 체결홈(21a)에 대응되는 볼트 관통공(50)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관통공(50)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체결홈(21a)에 체결되는 볼트부재(40)를 통해 장착 고정된다.
상기 생크 지지부재(30) 및 상기 생크부재(10)는 상기 볼트부재(40)에 의해 관통되어 동시에 체결되므로, 생크 지지부재(30)의 교체 작업 시 상기 볼트부재(40)만 분리하면 간단히 한번에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생크 지지부재(30)는 선단부의 하부에 상기 홀더 몸체부재(20)의 선단부와 겹쳐지는 보조 고정부(31)가 돌출되고, 상기 보조 고정부(31)를 관통하여 상기 홀더 몸체부재(20)의 선단부로 체결되는 보조 고정 볼트(32)에 의해 더 견고히 장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압연 롤(1)의 홈부 가공 시 발생하는 떨림에 의해 상기 생크 지지부재(30)에 손상이 발생하면 상기 볼트부재(40) 및 보조 고정 볼트(32)를 풀어 분리한 후 상기 생크 지지부재(30)만 교체하여 정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생크부재(10)는 선단부의 상부면에 바이트(11)가 안착되는 바이트 장착부(12)가 파여져 형성되며, 상기 바이트(11)의 저면에는 바이트 고정돌기(11a)가 돌출되고, 상기 바이트 장착부(12)의 상부면에는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11a)가 결합하는 돌기 결합홈(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11a)는 바이트(11)가 바이트 장착부(12)에 안착되면 돌기 결합홈(12a)에 결합하여 바이트(11)의 위치를 고정하여 가공 중 발생하는 하 중에 의해 바이트(11)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바이트(11)는 상기 생크부재(10)의 바이트 장착부(12) 상부면에서 안착시키면 바이트 고정돌기(11a)가 돌기 결합홈(12a)에 결합되면서 간단히 장착되고, 상부로 들어올리면 간단히 분리되므로 교체 작업이 단순한 것이다.
상기 바이트(11)는 선반의 공작물의 절삭 가공 시 공작물의 회전 방향이 상기 바이트(11)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되므로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11a)와 돌기 결합홈(12a)의 결합만으로도 충분히 위치가 고정되어 절삭 가공이 원활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이트(11)는 절삭 가공 중 발생한 열을 방열할 때 바이트 고정돌기(11a)를 포함한 몸체 전체로 고르게 방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생크부재(10) 및 상기 홀더 몸체부재(20)로 고르게 열을 전달하여 방열되는 것이다.
상기 바이트(11)는 몸체 전체로 고르게 방열하여 냉각되므로, 사용 중 가열과 냉각이 반복되는 중에 조직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특히, 압연 롤(1)과 같은 대형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 상기 바이트(11)의 고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11a)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이트(11)의 저면에 다수 돌출되고, 돌기 결합홈(12a)은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11a)에 대응되게 바이트 장착부(12)의 상부면에 다수 형성되어, 절삭 가공 중 발생하는 하중을 다수의 바이트 고정돌기(11a)에서 분산시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절삭 가공 중 하중에 의해 바 이트 고정돌기(11a)의 파손을 방지하고, 바이트 고정돌기(11a)의 파손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연 롤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 예인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생크부재 11 : 바이트
12 : 바이트 장착부 20 : 홀더 몸체부재
21 : 안착 홈 30 : 생크 지지부재
31 : 보조 고정부 32 : 보조 고정 볼트
40 : 볼트부재

Claims (5)

  1. 선반 공구대 일 측에 돌출되며 선단부의 상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홀더 몸체부재와;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안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생크 지지부재와;
    상기 생크 지지부재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단부의 상부면에 바이트가 안착 고정되는 생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생크 지지부재는 선단부의 하부에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선단부와 겹쳐지는 보조 고정부가 돌출되고, 상기 보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선단부로 보조 고정 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안착홈 상부면에는 이격된 복수의 볼트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생크 지지부재 및 상기 생크부재는 상기 볼트 체결홈에 대응되는 볼트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체결홈에 체결되는 볼트부재를 통해 장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3. 삭제
  4. 선반 공구대 일 측에 돌출되며 선단부의 상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홀더 몸체부재와;
    상기 홀더 몸체부재의 안착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생크 지지부재와;
    상기 생크 지지부재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선단부의 상부면에 바이트가 안착 고정되는 생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생크부재는 선단부의 상부면에 바이트가 안착되는 바이트 장착부가 파여져 형성되며,
    상기 바이트의 저면에는 바이트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바이트 장착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가 결합하는 돌기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는 바이트의 저면에 복수로 돌출되고, 상기 돌기 결합홈은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에 대응되게 바이트 장착부의 상부면에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KR1020090091983A 2009-09-28 2009-09-28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KR101149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983A KR101149222B1 (ko) 2009-09-28 2009-09-28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983A KR101149222B1 (ko) 2009-09-28 2009-09-28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453A KR20110034453A (ko) 2011-04-05
KR101149222B1 true KR101149222B1 (ko) 2012-05-25

Family

ID=4404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983A KR101149222B1 (ko) 2009-09-28 2009-09-28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643B1 (ko) * 2017-07-17 2019-01-02 주식회사 성우 센터모듈 교체형 심압대를 구비한 선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03U (ja) * 1992-09-11 1994-04-12 コスモ精工株式会社 タレット旋盤のバイト支持構造
JPH10503A (ja) 1996-06-12 1998-01-06 Yamada Seimitsu Seisakusho:Kk 切削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03U (ja) * 1992-09-11 1994-04-12 コスモ精工株式会社 タレット旋盤のバイト支持構造
JPH10503A (ja) 1996-06-12 1998-01-06 Yamada Seimitsu Seisakusho:Kk 切削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643B1 (ko) * 2017-07-17 2019-01-02 주식회사 성우 센터모듈 교체형 심압대를 구비한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453A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6189A (ko) 절삭공구 및 축방향 및 반경방향 스톱면을 구비한 헤드
KR101149222B1 (ko)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KR101326249B1 (ko) 공작물의 홀 가공장치
WO2000074884A1 (en) Drill- and thread guide
KR20090098474A (ko) 공작기계용 베드
KR101723511B1 (ko) 선반의 절삭공구 고정이 용이한 장치
KR100727431B1 (ko) 다축 와이드 탭핑기
KR101635462B1 (ko) 보링바용 연결대
KR20090002839U (ko)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KR100638245B1 (ko) 인덱서블 타입형 절삭공구
KR101051599B1 (ko) 슬로터 공구
KR102553333B1 (ko) 금속 가공 장치용 고정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금속 가공장치
KR100823030B1 (ko) 돔 노즐 내경가공용 장비
CN208530127U (zh) 一种改进移动机构的雕刻机
KR100903586B1 (ko) 밀링커터
KR100640227B1 (ko) 배관가공용 버어링머신의 버어링공구
CN110842258A (zh) 一种钻头切削直径的调节方法
CN211991884U (zh) 一种用于球头座切削的夹具
JP2015009298A (ja) 引きねじ加工機具と加工方法
US20240165777A1 (en) Tool head for a tool
KR101217810B1 (ko) 홀가공용 지그
KR101968383B1 (ko) 절삭툴 조립체
KR101741321B1 (ko) 백 커터 조립체
JP6383025B2 (ja) ネジ切り工具、チップ、及びホルダー
KR200231849Y1 (ko) 공작물가공용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