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321B1 - 백 커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백 커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321B1
KR101741321B1 KR1020150099980A KR20150099980A KR101741321B1 KR 101741321 B1 KR101741321 B1 KR 101741321B1 KR 1020150099980 A KR1020150099980 A KR 1020150099980A KR 20150099980 A KR20150099980 A KR 20150099980A KR 101741321 B1 KR101741321 B1 KR 10174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mounting surface
cutting portion
cutter assembly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604A (ko
Inventor
이희철
김민규
이형택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3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9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with removable cutting inserts
    • B23C5/2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3Curv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32Chip breaking or chip evac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백 커터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터 조립체는 가공 대상물에 대한 홀 가공을 위해 구비된 절삭부를 통해 안정적인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 커터 조립체{Back cutter assembly}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장착하여 가공대상물의 홀 가공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백 커터 조립체 및 바디부의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 장착하여 가공대상물을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공 툴은 상기 가공대상물의 가공 상태에 따라 다양한 가공 툴이 사용되는데, 상기 가공대상물의 외주면에 대한 가공을 실시하거나, 상기 가공대상물의 내주면에 대한 가공을 실시할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가공 툴을 장착하여 상기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공을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공대상물에 대해 홀 가공을 실시하기 위해 절삭날이 구비된 가공 툴을 공장기계에 장착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절삭날의 연마 상태가 서로 간에 상이하고 회전에 따른 떨림이 발생되어 작업 도중 절삭날이 파손되거나 신품의 절삭날로 교체해서 재 가공 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고속으로 회전되는 가공 툴의 특성으로 인해 떨림이 발생될 경우 상기 가공대상물의 표면 조조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불규칙하게 유지될 수 있어 품질불량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고, 가공시 발생되는 칩이 길게 연장되면서 상기 칩이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또한 가공 툴의 재료가 장기간 사용하기 어려워서 파손에 따른 재구매로 인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02604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백 커터 조립체에 장착되는 절삭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다량의 칩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공 도중에 떨림이 최소화될 수 있어 파손으로 인한 품질불량 발생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백 커터 조립체는 장착면이 외측에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장착면에 고정된 상태로 가공 대상물에 대한 홀 가공을 위해 구비된 절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삭부는 상기 가공대상물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측면의 폭 방향상에 칩(Chip)이 배출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삭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된 제1 절삭부; 상기 제1 절삭부의 반대편 위치에 위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된 제2 절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삭부는 상기 바디부의 장착면 중 제1 장착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절삭부는 상기 제1 장착면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제2 장착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장착면은 제1 절삭부와 면대면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장착면은 제2 절삭부와 면대면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제1,2 절삭부에 형성된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2 절삭부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1,2 절삭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폭 방향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절삭부와 제2 절삭부는 180도 각도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절삭부가 장착된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 제1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의 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된 제1 라운드 부; 상기 제2 절삭부가 장착된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 제3직선부; 상기 제2 직선부 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된 제2 라운드 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절삭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폭 방향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부는 상기 절삭부의 폭 방향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부는 상기 홈부의 개방된 단부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과 미 간섭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부는 삼각 단면 형태 또는 반원 단면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단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부에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을 경유하여 상기 삽입 홈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 커터 조립체에 대한 성형을 위해 초경합금을 원료로 하여 형태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초경합금을 원료로 하여 형태가 성형된 후 제1가열온도까지 가열되어 내부에 잔존하는 열이 하강되고 응력이 제거되기 위해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가열온도로 가열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백 커터 조립체에 장착되는 절삭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칩의 길이가 짧게 끊어진 상태로 일정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상기 절삭부에 칩이 부착되는 현상을 최소화 하고, 백 커터 조립체의 파손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백 커터 조립체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는 내구성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고속되는 경우에도 진동으로 인한 떨림이 최소화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터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터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터 조립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2 절삭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터 조립체를 또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터 조립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터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백 커터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백 커터 조립체(1)는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공작기계(미도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공작기계는 일 예로 보링머신이 해당되나 다른 공작기계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백 커터 조립체(1)는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데, 상기 가공대상물은 어퍼 샘플링 노즐에 해당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J-형 그루브 홀(J-Groove hole)의 가공을 위해 사용된다.
백 커터 조립체(1)는 바디부(100)와, 절삭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절삭부(200)는 상기 바디부(10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절삭부(200)의 마모 상태를 확인하고 손쉽게 상기 바디부(100)에서 장착 또는 부착 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상기 백 커터 조립체(1)의 전체적인 수명이 연장된다.
바디부(100)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절삭부(20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면(110)이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면(110)에 절삭부(200)가 후술할 고정부재(30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절삭부(200)가 고정될 경우 백 커터 조립체(1)가 공작기계에서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공을 하기 위해 고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절삭부(200)가 부분적으로 마모되거나 떨림으로 인한 편마모 현상도 최소화 된다.
절삭부(200)는 장착면(110)에 면대면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바디부(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된 제1 절삭부(210)와, 상기 제1 절삭부(210)의 반대편 위치에 위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된 제2 절삭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절삭부(210)와 제2 절삭부(220)의 배치 위치와 개수는 백 커터 조립체(1)가 고속으로 회전시에 발생되는 떨림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절삭부(200)의 수명 연장과 가공대상물에 대한 안정적인 가공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어 가공성 향상과 작업자의 작업성 또한 향상된다.
제1 절삭부(210)와 제2 절삭부(220)는 180도 각도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바디부(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데, 상기 제1 절삭부(210)는 상기 바디부(100)의 장착면 중 제1 장착면(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절삭부(220)는 상기 제1 장착면(111)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제2 장착면(112)에 장착된다.
제1 장착면(111)은 제1 절삭부(210)와 면대면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 경우 고정부재(300)에 의해 제1 절삭부(210)가 고정된 상태에서 바디부(100)가 회전될 경우 상기 제1 절삭부(210)에 가해지는 응력이 상기 제1 장착면(111)에 지지되고 고정부재(300)에 의해 상기 제1 절삭부(210)의 이탈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절삭 가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절삭부(210)에 가해지는 응력은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가해지는데, 상기 방향은 고정부재(300)가 상기 제1 절삭부(210)를 고정하는 방향과 일치되므로 상기 제1 절삭부(210)에 가해지는 응력으로 인한 파손 및 떨림 발생이 최소화되어 가공대상물에 대한 안정적인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제2 장착면(112)은 제2 절삭부(220)와 면대면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 경우 고정부재(300)에 의해 제2 절삭부(220)가 고정된 상태에서 바디부(100)가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절삭부(220)에 가해지는 응력이 상기 제2 장착면(112)에 지지되고 고정부재(300)에 의해 상기 제2 절삭부(220)의 이탈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절삭 가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절삭부(220)에 가해지는 응력은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가해지는데, 상기 방향은 고정부재(300)가 상기 제2 절삭부(220)를 고정하는 방향과 일치되므로 상기 제2 절삭부(220)에 가해지는 응력으로 인한 파손 및 떨림 발생이 최소화되어 가공대상물에 대한 안정적인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부(100)에 제1 절삭부(210)와 제2 절삭부(220)만을 이용하여 가공대상물에 대한 홀 가공을 실시할 경우 절삭부(200)에 가해지는 응력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어 가공 안전성이 향상된다.
홈부(202)는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공을 실시할 ?? 발생되는 칩이 배출되는 일종의 통로로써 상기 홈부(202)의 형태와 배치에 따라 발생된 칩이 길게 연장된 상태로 배출되지 않고 특정 길이로 짧게 잘린 상태로 상기 절삭부(20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가이드 한다.
이를 통해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발생된 칩의 배출 안전성이 향상되고 상기 칩이 절삭부(200)에 부착되는 구성인선이 최소화 될 수 있어 상기 절삭부(200)의 수명 연장과 가공대상물의 홀 내주면의 조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다.
특히 상기 가공대상물의 가공 정밀도는 가공에 따라 발생된 칩으로 인해 불규칙 하게 유지되지 않고 항시 일정하게 홈부(202)를 통해 칩이 배출될 수 있어 불필요한 저항 발생을 최소화 하고 다량의 칩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홈부(202)는 절삭부(200)의 폭 방향에 형성되는데 삼각 단면 형태 또는 반원 단면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단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단면 형태는 안정적인 절삭 성능을 위해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홈부(202)는 상기 절삭부의 폭 방향에서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절삭부(210)와 제2 절삭부(220)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절삭부(210)와 제2 절삭부(220)를 서로 간에 밀착시킨 상태로 각각 형성된 홈부(202)를 살펴보면 서로 간의 위치가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절삭부(210)와 제2 절삭부(220)에 형성된 홈부(202)의 위치를 상이하게 배치시키는 이유는 백 커터 조립체(1)가 고속 회전하면서 발생된 칩이 상기 홈부(202)를 통해 배출될 때 서로 간에 간섭으로 인해 엉키거나 길이가 길게 연장되는 현상을 예방하여 원활한 칩 배출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통해 다량 발생된 칩이 상기 바디부(100) 또는 절삭부(200)의 특정 위치에 집중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칩 자체가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홀 가공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백 커터 조립체(1)를 통해 작업하는 동안 작업자의 작업성 또한 동시에 향상되어 작업 도중 절삭부(200)를 교체하는 불필요한 작업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백 커터 조립체는 초경합금을 원료로 하여 형태를 성형하므로 강도가 증가되고 반복 사용으로 인한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 향상과 가공 대상물에 대한 정확한 가공을 실시할 수 있어 가공성이 동시에 향상된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홈부(202)는 상기 절삭부(20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생된 칩의 이동 방향을 특정 방향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어 다량의 칩 발생으로 인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삭부(210)와 제2 절삭부(220)에 형성된 홈부(202)의 경사 각을 서로 다르게 변경할 경우 발생된 칩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바디부의 구성과 전술한 절삭부가 상기 바디부에 안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바디부(100)는 제1 절삭부(210)가 장착된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 제1직선부(101)와, 상기 제1 장착면(111)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1 절삭부(210)의 하면이 안착되는 제1 안착면(102)과, 상기 제1 직선부(101)의 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된 제1 라운드 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안착면(102)은 제1 절삭부(210)의 하면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백 커터 조립체(1)가 고속 회전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응력을 지지 보강하여 안정적인 홀 가공을 도모한다.
제1 직선부(101)는 제1 절삭부(210)의 전방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켜 백 커터 조립체(1)의 회전에 따른 불필요한 마찰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고속 회전에 따른 저항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 라운드 부(103)는 제1 절삭부(210)가 바디부(100)에서 돌출된 상태로 장착된 것을 고려하여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되나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제2 절삭부(220)가 장착된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 제3직선부(104)와, 상기 제2 장착면(112)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절삭부(220)의 하면이 안착되는 제2 안착면(105)과, 상기 제2 직선부(104)의 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된 제2 라운드 부(10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직선부(104)와, 제2 안착면(105) 및 제2 라운드 부(106)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직선부(101)와, 제1 안착면(102) 및 제1 라운드 부(103)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2 절삭부(210, 220)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폭 방향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204)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204)은 홀 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대상물에서 고속 회전되는 작동 특성을 고려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회전에 따른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고속 회전으로 인해 절삭부(200)의 측면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응력 및 충격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절삭부(200)는 상기 홈부(202)의 개방된 단부가 상기 바디부(100)의 외주면과 미 간섭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칩이 홈부(20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바디부(100)와 직접적으로 간섭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다량의 칩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절삭부(200)에는 상기 바디부(10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 홈(10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 홀(200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200a)을 경유하여 상기 삽입 홈(101a)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0)가 설치된다.
고정부재(300)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는 바디부(100)를 향해 고정될 경우 제1 절삭부(210)와 제2 절삭부(2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고속 회전시 고정부재(300)의 고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절삭부(210)와 제2 절삭부(220)가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백 커터 조립체(1)가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공을 실시하는 도중에 제1 절삭부(210) 또는 제2 절삭부(220 중의 어느 하나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제1,2 절삭부(2120, 220)에 대한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300)의 고정 상태를 별도의 공구를 통해 해제한 후에 정상의 제1,2 절삭부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교체의 편리성 또한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백 커터 조립체는 공작기계의 장착부에 장착되는 바디부를 제작하기 위해 초경합금을 원료로 하여 형태를 성형한 후에 제1 가열온도까지 가열을 실시하고, 상기 제1 가열온도로 가열된 바디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열을 하강시키고 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 가열온도보다 낮은 제2 가열온도로 가열을 실시한다.
백 커터 조립체의 바디부의 경우 고속 회전에 따른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응력 및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초경합금을 원료로 하여 부식과 소성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데 유리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크롬과 몰리브덴강을 이용하여 920도에서 980도 까지의 제1 가열온도로 가열하는데(ST100), 상기 바디부가 제1 가열온도로 가열될 경우 내부는 상당한 온도가 유지되므로 이로 인한 조직 변화 및 열 응력 제거와 변형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제1 가열온도보다 낮은 800도에서 900도 사이의 온도로 어닐링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바디부의 강성 증가와 성형성이 향상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성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부에 대한 성형이 완료된 이후에는 절삭부를 설치하여 백 커터 조립체에 대한 조립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바디부
101 : 제1 직선부
102 : 제1 안착면
103 : 제1 라운드부
104 : 제2 직선부
105 : 제2 안착면
106 : 제2 라운드부
110 : 장착면
111 : 제1 장착면
112 : 제2 장착면
200 : 절삭부
204 : 홈부
210 : 제1 절삭부
220 : 제2 절삭부
300 : 고정부재

Claims (13)

  1. 장착면이 외측에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장착면에 고정된 상태로 가공 대상물에 대한 홀 가공을 위해 구비된 절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삭부는,
    상기 가공대상물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측면의 폭 방향상에 칩(Chip)이 배출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삭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된 제1 절삭부; 상기 제1 절삭부의 반대편 위치에 위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된 제2 절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삭부는 상기 바디부의 장착면 중 제1 장착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절삭부는 상기 제1 장착면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제2 장착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장착면은 제1 절삭부와 면대면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장착면은 제2 절삭부와 면대면으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제1,2 절삭부에 형성된 위치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2 절삭부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1,2 절삭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폭 방향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커터 조립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삭부와 제2 절삭부는 180도 각도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커터 조립체.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절삭부가 장착된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 제1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의 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된 제1 라운드 부;
    상기 제2 절삭부가 장착된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 제2직선부;
    상기 제2 직선부 단부에서 내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된 제2 라운드 부를 포함하는 백 커터 조립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절삭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폭 방향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커터 조립체.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절삭부의 폭 방향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커터 조립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상기 홈부의 개방된 단부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과 미 간섭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커터 조립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삼각 단면 형태 또는 반원 단면 형태 중의 어느 하나의 단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커터 조립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에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을 경유하여 상기 삽입 홈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커터 조립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터 조립체에 대한 성형을 위해 초경합금을 원료로 하여 형태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커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초경합금을 원료로 하여 형태가 성형된 후 제1가열온도까지 가열되어 내부에 잔존하는 열이 하강되고 응력이 제거되기 위해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가열온도로 가열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커터 조립체.
KR1020150099980A 2015-07-14 2015-07-14 백 커터 조립체 KR10174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980A KR101741321B1 (ko) 2015-07-14 2015-07-14 백 커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980A KR101741321B1 (ko) 2015-07-14 2015-07-14 백 커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604A KR20170008604A (ko) 2017-01-24
KR101741321B1 true KR101741321B1 (ko) 2017-05-29

Family

ID=5799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980A KR101741321B1 (ko) 2015-07-14 2015-07-14 백 커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3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788A (ja) 2005-01-13 2005-05-26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2007083381A (ja) * 2005-08-22 2007-04-05 Kyocera Corp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07625A (en) 2010-08-16 2015-03-31 Iscar Ltd mill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788A (ja) 2005-01-13 2005-05-26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式ボールエンドミル
JP2007083381A (ja) * 2005-08-22 2007-04-05 Kyocera Corp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604A (ko)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1276B2 (ja) 切り屑除去加工のための回転工具
KR101732790B1 (ko) 일회용 밀링 커터의 블레이드 위치결정 구조
JP5491505B2 (ja) フライスおよびそのための切削チップ
JP4051276B2 (ja) 工具
KR20110081218A (ko) 구멍 내면의 절삭 공구, 및 구멍 내면의 절삭 방법
US10442005B2 (en) Workpiece applied for use with a cutting machine
JP5098353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ローアウェイ式転削工具
KR101741321B1 (ko) 백 커터 조립체
US20240066615A1 (en) Stabilized Cutting Tool Assemblies
JP5050492B2 (ja) 刃振れ調整機構および刃振れ調整機構を備えた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CN114025901B (zh) 包括振动阻尼构件的金属切削刀具
JP4696583B2 (ja) 穴加工用工具
US20150258618A1 (en) Ring-shaped tool for processing a work piece
US9486862B1 (en) Fly cutter cutting tool
KR20190114980A (ko) 홈 가공 방법
KR101051599B1 (ko) 슬로터 공구
JP4248978B2 (ja) 穴加工工具
KR20090002839U (ko)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JP6959117B2 (ja) 加工用工具及び加工装置並びに加工方法
JP5904547B2 (ja) チップホルダ
KR100595409B1 (ko) 원형 인서트를 가지는 절삭공구
JP2018083280A (ja) 金属用チップソー
KR200425608Y1 (ko) 오피씨 드럼 가공용 알형 바이트
JP4212991B2 (ja) 穴加工工具
JP3111860U (ja) 多機能辺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