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839U -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 Google Patents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839U
KR20090002839U KR2020070015532U KR20070015532U KR20090002839U KR 20090002839 U KR20090002839 U KR 20090002839U KR 2020070015532 U KR2020070015532 U KR 2020070015532U KR 20070015532 U KR20070015532 U KR 20070015532U KR 20090002839 U KR20090002839 U KR 200900028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e
present
holder
seating portion
bi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남준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5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839U/ko
Publication of KR20090002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8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12Seats f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공구를 절삭하는 바이트부재(20)의 저면에 바이트 고정돌기(21)를 돌출시키고, 상기 바이트부재(20)가 결합하여 고정되는 홀더 블록부재(10)의 공구 안착부(11) 상면에는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21)가 결합하는 돌기 결합홈(12)을 형성하여, 바이트부재(11)를 공구 안착부(11)의 상부면에 안착시키면 바이트 고정돌기(21)가 돌기 결합홈(12)에 결합하여 바이트부재(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바이트부재(20)는 절삭 가공 중 발생한 열을 방열할 때 바이트 고정돌기(21)를 포함한 몸체 전체로 고르게 방열하여 사용 중 열에 의한 조직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본원 고안은 바이트 부재(2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공작물 가공 중 바이트부재(20)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여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공작물의 가공 불량률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바이트부재(20)의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하여 교체 작업에 따르는 수고 및 시간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Holder with Bite for Lathe}
본 고안은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작업 중 홀더와 바이트의 결합구조에서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주축대와 심압대 및 왕복대, 공구대를 포함하여 공작물의 외경 및 내경을 가공하며, 통상 주로 바이트의 작동을 수치 정보에 의한 신호로 제어되어 가공물의 내경 및 외경을 가공하는 NC 선반(Numerically Controlled Lathe)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선반의 공구대는 공작물을 절삭하는 바이트를 고정하는 바이트용 홀더가 구비되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트용 홀더(2)는 상부 일 측에 공구 안착부(11)가 파여져 형성된 홀더 블록부재(10)와, 일 측에 가공 날이 형성되고, 몸체에 결합구멍(20a)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 블록부재(10)의 공구 안착부(11)에 결합하는 바이트부재(20)와, 상기 바이트부재(20)의 결합구멍(20a)을 관통하여 공구 안착부(11)의 체결홈(11a)에 체결되는 볼트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트부재(20)는 홀더 블록부재(10)의 공구 안착부(11)에 결합하되, 상기 볼트부재(30)로 체결되어 홀더 블록부재(10)에서 분리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 중 가공 날의 마모로 인해 가공의 정밀도가 저하되면 볼트부재(30)를 풀어 마모되어 사용 불가능한 바이트부재(20)를 공구 안착부(11)에서 분리한 후 새 바이트부재(20)를 공구 안착부(11)에 결합한 후 볼트부재(30)를 다시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교체되는 것이다.
그러나 바이트부재는 절삭 중 공작물과의 마모로 인해 고열로 가열되고, 가공 후 냉각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사용되는데, 몸체에 뚫린 결합구멍과, 결합구멍을 통해 결합하는 재질이 다른 볼트부재와의 접촉 및 간섭으로 인해 냉각 시 고르게 방열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 바이트부재는 과열과, 냉각이 반복되는 중에 결합구멍의 주위로 쉽게 파손이 발생되어 가공 중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를 저하시키고, 작업 불량률을 증대시키며, 잦은 파손으로 자주 교체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바이트부재의 교체 작업이 반복될 경우 볼트부재와 체결홈의 마모로 유격이 발생하여 바이트 부재를 견고히 고정하지 못하고 공작물 가공 시 미세한 움직임으로 가공 정밀도를 저하시키며, 유격이 심한 경우 홀더 블록부재까지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 중 과열된 바이트부재의 방열을 고르게 함으로써 바이트부재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며 가공 시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과제는 상부 일 측에 공구 안착부가 파여져 형성된 홀더 블록부재, 일 측에 가공 날이 형성되고, 몸체에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 블록의 공구 안착부에 결합하는 바이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트부재의 저면에는 바이트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홀더 블록부재의 공구 안착부 상면에는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가 결합하는 돌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 중 바이트부재의 열에 의한 조직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바이트 부재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공작물 가공 중 바이트부재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여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공작물의 가공 불량률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바이트부재의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하여 교체 작업에 따르는 수고 및 시간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인 홀더 블록부재와, 바이트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인 홀더 블록부재와, 바이트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로써, 본 고안으로 회전되는 공작물의 외경을 가공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홀더 블록부재(10)는 상부 일 측에 후술될 바이트부재(20)가 안착되는 공구 안착부(11)가 파여져 형성된다.
상기 공구 안착부(11)는 바이트부재(20)의 몸체 형상에 대응되는 홈으로 파여지며, 공작물(3)을 향한 부분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공작물(3)의 절삭 가공 중에 바이트부재(20)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며, 바이트부재(20)의 절삭날을 공작물(3)을 향해 노출시켜 절삭 가공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바이트부재(20)는 일 측에 공작물(3)을 절삭하는 가공 날이 형성되며, 상기 공구 안착부(11)에 안착되어 결합한다.
상기 바이트부재(20)는 저면에 바이트 고정돌기(21)가 돌출되며, 공기 안착부의 상부면에는 이에 대응되는 돌기 결합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21)는 바이트부재(20)가 공구 안착부(11)에 안착되면 돌기 결합홈(12)에 결합하여 바이트부재(20)의 위치를 고정하여 가공 중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바이트부재(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바이트부재(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홀더 블록부재(10)의 상부에서 공구 안착부(11)에 결합하여 고정되고, 상부로 들어올리면 분리되므로 교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인 바이트용 홀더(2)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의 공구대(1)에 결합하여 사용되며, 이 때 공작물(3)의 절삭 가공 시 공작물(3)의 회전 방향은 상기 바이트용 홀더(2)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되므로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21)와 돌기 결합홈(12)의 결합만으로도 충분히 바이트부재(20)의 위 치가 고정되어 절삭 가공이 원활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이트부재(20)는 절삭 가공 중 발생한 열을 방열할 때 바이트 고정돌기(21)를 포함한 몸체 전체로 고르게 방열하게 되는 것이며, 홀더 블록부재(10)로 고르게 열을 전달하여 방열되는 것이다.
상기 바이트부재(20)는 몸체 전체로 고르게 방열하여 냉각되므로, 사용 중 가열과 냉각이 반복되는 중에 조직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특히, 압연 롤러와 같은 대형 공작물(3)을 가공할 경우 상기 바이트부재(20)의 고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21)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이트부재(20)의 저면에 다수 돌출되고, 돌기 결합홈(12)은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21)에 대응되게 공구 안착부(11)의 상부면에 다수 형성되어, 절삭 가공 중 발생하는 하중을 다수의 바이트 고정돌기(21)에서 분산시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절삭 가공 중 하중에 의해 바이트 고정돌기(21)의 파손을 방지하고, 바이트 고정돌기(21)의 파손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 1은 종래의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로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공구대 2 : 바이트용 홀더
3 : 공작물 10 : 홀더 블록부재
11 : 공구 안착부 12 : 돌기 결합홈
20 : 바이트부재 21 : 바이트 고정돌기

Claims (2)

  1. 상부 일 측에 공구 안착부가 파여져 형성된 홀더 블록부재와, 일 측에 가공 날이 형성되고, 몸체에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 블록부재의 공구 안착부에 결합하는 바이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트부재의 저면에는 바이트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홀더 블록부재의 공구 안착부 상면에는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가 결합하는 돌기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는 바이트부재의 저면에 다수 돌출되고, 돌기 결합홈은 상기 바이트 고정돌기에 대응되게 공구 안착부의 상부면에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KR2020070015532U 2007-09-18 2007-09-18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KR200900028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532U KR20090002839U (ko) 2007-09-18 2007-09-18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532U KR20090002839U (ko) 2007-09-18 2007-09-18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839U true KR20090002839U (ko) 2009-03-23

Family

ID=4365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532U KR20090002839U (ko) 2007-09-18 2007-09-18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83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239A (ko)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코스믹대영 절삭공구 장착용 홀더
KR20170052845A (ko) 2015-11-05 2017-05-15 김학진 분리 교체형 선반용 바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239A (ko)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코스믹대영 절삭공구 장착용 홀더
KR20170052845A (ko) 2015-11-05 2017-05-15 김학진 분리 교체형 선반용 바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081B1 (ko) 절삭 인서트, 절삭 인서트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절삭 인서트로 작업편을 기계가공 하는 방법
KR20070046189A (ko) 절삭공구 및 축방향 및 반경방향 스톱면을 구비한 헤드
US9364899B2 (en) Tool holder on which nonrotational tool of machining center is mounted
JP4436829B2 (ja) 割出し可能な切削工具
KR101324529B1 (ko) 선반척을 이용한 드릴용 공작물 고정베드
PT1943098E (pt) Ferramenta de fresar e/ou tornear
EP1574307B1 (en) Planing tool
KR20090002839U (ko)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CN205888111U (zh) 一种硬质合金复合刀杆
KR101149222B1 (ko) 선반의 바이트용 홀더 장치
JP2006150535A (ja) 切削工具
JP2006068831A (ja) 切削加工方法および切削加工工具
CN218799397U (zh) 可更换快拆刀具结构
KR101051599B1 (ko) 슬로터 공구
CN214922583U (zh) 刀具的定位结构及刀具
CN211162918U (zh) 一种刀座
CN220591676U (zh) 一种精铣长侧面刀具结构
CN217727372U (zh) 一种轴向向下浮动去毛刺刀柄
CN210548354U (zh) 一种内嵌式铝合金刀体
KR101968383B1 (ko) 절삭툴 조립체
KR101741321B1 (ko) 백 커터 조립체
KR200488957Y1 (ko) 방진구의 쉘 장치
KR200318435Y1 (ko) 오링 삽입홈 가공용 절삭공구
JP2009107062A (ja) 切削工具用ホルダ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方法
KR200399836Y1 (ko) 선반용 절삭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