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211B1 -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211B1
KR101148211B1 KR1020090129021A KR20090129021A KR101148211B1 KR 101148211 B1 KR101148211 B1 KR 101148211B1 KR 1020090129021 A KR1020090129021 A KR 1020090129021A KR 20090129021 A KR20090129021 A KR 20090129021A KR 101148211 B1 KR101148211 B1 KR 101148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car
base member
linin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185A (ko
Inventor
최광일
Original Assignee
(주)대명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명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대명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09012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2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8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pass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카 가이드 슈 및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슈와, 상기 카 가이드 슈들을 따라 승강는 카 및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슈를 따라 승강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와 카운터 웨이트를 연결하는 주로프를 이송시켜 카와 카운터 웨이터를 승강시키는 권상기를 구비하며,
상기 권상기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 지지되며 가이드 스슈들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주 로프를 이송시키기 위한 휠과, 상기 휠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휠의 구동축 또는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중공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와 베이스 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를 중공을 관통하여 제동축과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일측이 스플라인 결합되는 라이닝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닝을 가압하기 위한 아마추어와,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아마추어를 상기 베이스 부재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탄성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아마추어를 이송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를 구비하며,
상기 마그네트와 아마추어에 설치되어 마그네트로부터 자력의 제거 시 상기 아마추어에 의해 라이닝에 급 제동력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급제동 지연유닛을 구비한다.
브레이크, 라이닝, 마그네트, 완충

Description

엘리베이터{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더 상세하게는 급제동이 방지되어 제동에 따른 충격력을 줄일 수 있으며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감시 시스템을 가진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어, 사람을 수송하는 엘리베이터는 안전이 매우 중요시 되어야 하는 이동 수단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고장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엘리베이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 발생 유무를 판단한다.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동 작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운행정보를 고장정보 기록부로 전송하고, 엘리베이터에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운행정보와 함께 고장 유형에 따른 고장코드를 고장정보 기록부로 전송한다.
고장정보 기록부는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운행정보 및 고장코드를 저장한다. 또한, 고장정보 기록부는 제어부로부터 고장코드가 전달될 경우, 고장 발생 신호와 함께 고장코드를 원격감시 서버로 전달한다. 원격감시 서버는 고장발생 신호 및 고장코드를 관리자에게 전달하고,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복구명령을 보수 센터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은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관리자에게 운행정보는 전달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고장코드 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고장을 미리 예측할 수는 없다. 특히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윈치에 의한 로프의 감거나 푸는 시점에서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는 엘리베이터를 각 층에서 정확하게 정지시켜야하므로 브레이크 장치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층간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브레이크 장치(brake system)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동용 디스크, 드럼에 마찰계수가 높은 패드를 압박하거나 라이닝에 아마추어를 밀착하여 제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는 조작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동방식과 반복적으로 조작력을 제공하기 위한 마그네틱 또는 유압방식으로 구분된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01548호에는 마그네트 쓰러스터 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등록 제 0361029호에는 디스크와 마그네트를 이용한 모터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등록 실용신안 제 0361029호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브레이크 장치는 마그네트 작동으로 인한 제동 시 급제동이 이루어져 제동장치에 충격이 가하여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동 시 관성을 가지고 회전하는 구동부의 관성을 줄이면서 제동할 수 없으므로 제동되는 구동부 및 브레이크 장치에 충격이 가하여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는 승객들의 편위와 밀폐된 공간 내에서의 불안감 등을 해소시켜 주기 위하여 내부 다양한 내부 장식이 되어 있는데, 바닥면이 많은 승객의 출입으로 인하여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부의 관성력을 줄이면서 제동할 수 있어 제동에 따른 충격력을 줄일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와 이의 감시 시스템을 가진 엘리베이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동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브레이크 장치의 오동작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카 가이드 슈 및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슈와, 상기 카 가이드 슈들을 따라 승강는 카 및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슈를 따라 승강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와 카운터 웨이트를 연결하는 주로프를 이송시켜 카와 카운터 웨이터를 승강시키는 권상기를 구비하며,
상기 권상기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 지지되며 가이드 스슈들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주 로프를 이송시키기 위한 휠과, 상기 휠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휠의 구동축 또는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중공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와 베이스 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를 중공을 관통하여 제동축과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일측이 스플라인 결합되는 라이닝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닝을 가압하기 위한 아마추어와,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아마추어를 상기 베이스 부재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탄성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아마추어를 이송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를 구비하며,
상기 마그네트와 아마추어에 설치되어 마그네트로부터 자력의 제거 시 상기 아마추어에 의해 라이닝에 급 제동력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급제동 지연유닛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제동지연유닛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아마추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아마추어와 라이닝의 밀착을 지연시키는 완충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유닛은 마그네트에 전압 또는 전류의 인가여부를 감지하는 제 1센서와, 상기 브레이크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제 2센서와, 상기 제 1,2센서에 의해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작동감지유닛을 더 구비한다.
한편, 카의 내벽과 바닥면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며 강화유니의 내면에는 에칭 또는 실크인쇄 된 문양이 형성되고, 이의 하면에는 카의 급제동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층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충격 흡수층은 알루미늄 발포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각 층에서에서 브레이크 장치의 마그네트에 의한 자력의 제거 시 탄성수단에 의해 아마추어가 라이닝에 밀착되어 급제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동부에 충격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제동시 카 가이드 슈를 따라 이동하는 카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으며, 카의 급제동 시 승객에게 심한 충격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브레이크 감시 시스템을 구비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1)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카 가이드 슈(2) 및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슈(3)와, 상기 카 가이드 슈(2)들을 따라 승강는 카(100) 및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슈(3)를 따라 승강되는 카운터 웨이트(200)와, 상기 카(100)와 카운터 웨이트(200)를 연결하는 주 로프(4)를 이송시켜 카와 카운터 웨이터를 승강시키는 권상기(5)를 구비한다.
상기 권상기(5)는 프레임(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 지지되며 주로프(4)를 이송시키기 위한 휠(6)과, 상기 휠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7)와, 상기 휠의 구동축 또는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유닛(10)을 구비한다.
브레이크 유닛(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또는 구동부에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설치되어 구동부 또는 모터의 제동축(300)이 관통하는 중공(11)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12)와, 상기 베이스 부재(12)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마추어(16)와, 상기 아마추어(16)와 베이스 부재(12)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12)를 중공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동축(3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4)와 일부가 스플라인 결합되는 라이닝(15)을 구비한다. 상기 라이닝(15)과 대응되는 마아추어(16) 및 베이스부재(12)의 대응 면은 아마추어와 베이스부재(12)에 의한 라이닝(15)의 파지 시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의 조도를 가지는 평활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3)에 설치되어 아마추어(16)를 상기 베이스 부재(12)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켜 라이닝(15)에 밀착력을 제공하여 제동축(300)을 제동하는 탄성수단(20)과, 상기 지지부재(13)에 설치되어 상기 아마추어(16)에 의한 제동력을 해지하기 위한 마그네트(70)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수단(20)은 상기 각 지지부재(13)에 삽입되는 스프링(21)과, 지지부재(13)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아마추어(16)와 접촉되는 스프링(21)의 후단부측을 지지하는 갭 조정부재(22)를 구비한다. 상기 갭 조정부재(22)는 상기 지지부재(13)와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21)의 압축력 즉,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1)에 의한 제동력의 조정은 상기 지지부재(13)에 의한 갭 조정부재(22)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프링(21)의 탄성계수를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70)는 탄성수단(20)인 스프링(21)에 의해 아마추어(16)가 상기 베이스 부재(12)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라이닝에 제공된 동력을 해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자석이 이용된다.
한편, 상기 마그네트(70)와 아마추어(16)에 설치되어 마그네트(70)로부터 자력의 제거 시 상기 아마추어(16)에 의해 라이닝(15)에 급 제동력이 가하여지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급제동 지연 유닛(30)과, 상기 마그네트(70)에 가하여지는 전압 또는 전류와 아마추어 또는 라이닝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브레이크 장치(10)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작동감지수단(60)을 구비한다.
상기 아마추어(16)에 의해 라이닝(15)에 급 제동력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급제동 지연유닛(30)은 상기 베이스 부재(12)와 아마츄어(16)의 사이에 설치되어 아마츄어와 라이닝의 밀착을 지연시키는 완충부재(31)를 구비한다. 상기 완충 부재(31)은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한 쇽업쇼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제동 지연유닛(3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급제동 지연유닛(3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2)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1전자석(35)과, 상기 제1전자석(35)과 대응되는 측의 아마추어(16)에 별도의 브라켓(36a)에 의해 고정되는 제 2 전자석(36)과, 상기 제 1전자석(35)과 제 2전자석(3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유닛(37)을 구비한다. 상기 전원공급유닛(37)은 상기 제 1,2전자석(35)(36)이 동일한 자극을 형성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거나 서로다른 자극을 갖도록 형성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유닛(미도시)에 의해 제 1,2전자석(35)(36)에 공급되는 전류 공급량을 제어하여 자력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작동감지수단(60)은 운영자가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그네트(70)에 전압 또는 전류의 인가 여부를 검출하는 제 1센서(61)와, 상기 아마추어(16) 또는 라이닝(15), 제동축(300)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아마추어 또는 라이닝(15)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제 2센서(62)들과, 상기 제 1,2센서(61)(62)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감지하여 브레이크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63)와, 상기 제어부(63)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4)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63)는 급제동 지연유닛(30)의 제 1,2전자석에 전원의 공급을 단속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64)는 조작패널에 설치되는 램프, 또는 알람발생장치로 이루어지거나 주 조정실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는 송신 및 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카(100) 바닥면에는 강화 유리(80)가 설치되는데, 이 강화유리의 바닥면에는 강화 유리가 설치되는데, 이 강화유리(80)의 바닥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된 문양이 설치되거나 실크인쇄 된 패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강화 유리(80)의 하면과 카(100)의 바닥면 사이에는 충격 흡수층(81)이 설치된다. 이 충격흡수층(81)은 알루미늄 발포금속 내부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발포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가고자 하는 층의 홀 버튼을 누른다. 이와 같이 하면 신호가 제어부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구동시킴과 아울러 브레이크 유닛이 해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유닛은 제동축(300)의 구동 시 지지부재(13)에 고정되어 있는 마그네트(70)가 여자되어 상기 마그네트(70)와 라이닝(15)사이에 있는 아마추어(16)가 상기 마그네트(70)와 결합하면서 상기 라이닝(15)에 가해지던 밀착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제동축(300)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센서(61)는 마그네트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감지하고 제 2센서는 라이닝(15)이 회전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브레이크가 오픈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제동축(100)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마그네트(2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소자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지지부재(13)에 지지된 스프링(21)에 의해 아마추어(16)가 라이닝(15) 측으로 밀착되어 라이닝(15)에 제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2)와 상기 아마추어(16)의 사이에는 급제동 지연유닛(30)인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한 쇽업쇼바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아마추어(16)와 라이너가 급격히 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급제동 지연유닛(30)이 제 1,2전자석(35)(36)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 1, 2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유닛에 의해 동극을 이루도록 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대적으로 약한 제1,2전자석(35)(36)에 작용하는 반반력에 의해 아마추어(16)와 라이너(15)가 급격하게 접촉되어 급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나아가서는 회전하는 라이닝(15)의 관성력을 줄인 상태에서 제동할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작동감지수단의 상기 제 1센서(61)는 마그네트(7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감지하고 제 2센서는 라이닝(15) 또는 제동축이 정지된 상태를 감지하여 브레이크의 작동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엘리베이터의 바닥면에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지고 내면에 음각 또는 양각되거나 실크 인쇄된 문양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객들에 의해 카(100)의 바닥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급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강화 유리와 바닥면의 사이에는 충격흡수층(8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급격한 충격시 승객에게 가하여지는 충격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제동축의 엘이베이터 뿐만아니라 각종 크레이의 권양기 등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브레이크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브레이크 유닛의 다른 실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브레이크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카의 바닥면을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Claims (3)

  1. 수직으로 설치되는 카 가이드 슈 및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슈와, 상기 카 가이드 슈들을 따라 승강는 카 및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슈를 따라 승강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와 카운터 웨이트를 연결하는 주로프를 이송시켜 카와 카운터 웨이터를 승강시키는 권상기를 구비하며,
    상기 권상기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 지지되며 가이드 스슈들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주 로프를 이송시키기 위한 휠과, 상기 휠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휠의 구동축 또는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 유닛은 중공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와 베이스 부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를 중공을 관통하여 제동축과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일측이 스플라인 결합되는 라이닝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라이닝을 가압하기 위한 아마추어와,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아마추어를 상기 베이스 부재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탄성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아마추어를 이송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를 구비하며,
    상기 마그네트와 아마추어에 설치되어 마그네트로부터 자력의 제거 시 상기 아마추어에 의해 라이닝에 급 제동력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급제동 지연유닛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제동지연유닛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아마추어의 사이에 설치되어 아마추어와 라이닝의 밀착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베이스 부재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제 1전자석과, 상기 제1전자석과 대응되는 측의 아마추어에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제 2 전자석과, 상기 제 1전자석과 제 2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유닛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의 내벽과 바닥면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며 강화유니의 내면에는 에 칭 또는 실크인쇄 된 문양이 형성되고, 이의 하면에는 카의 급제동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20090129021A 2009-12-22 2009-12-22 엘리베이터 KR101148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21A KR101148211B1 (ko) 2009-12-22 2009-12-22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21A KR101148211B1 (ko) 2009-12-22 2009-12-22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185A KR20110072185A (ko) 2011-06-29
KR101148211B1 true KR101148211B1 (ko) 2012-05-24

Family

ID=4440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021A KR101148211B1 (ko) 2009-12-22 2009-12-22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78B1 (ko) * 2011-12-23 2013-07-05 현대위아 주식회사 모터의 브레이크장치
CN106744455B (zh) * 2016-12-22 2018-10-26 日立电梯(上海)有限公司 一种电梯辅助制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859A (ja) * 1994-03-23 1995-10-09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用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347041Y1 (ko) 2004-01-20 2004-04-08 김동석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JP2005090563A (ja) 2003-09-16 2005-04-07 Hitachi Ltd 電磁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これを備えた巻上機
KR100597523B1 (ko) 2005-12-30 2006-07-10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7859A (ja) * 1994-03-23 1995-10-09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5090563A (ja) 2003-09-16 2005-04-07 Hitachi Ltd 電磁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これを備えた巻上機
KR200347041Y1 (ko) 2004-01-20 2004-04-08 김동석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KR100597523B1 (ko) 2005-12-30 2006-07-10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185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44431B2 (en) Actuation of an intercepting apparatus
KR10161757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4564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7434664B2 (en) Elevator brake system method and control
JP472285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369616B2 (ja) エレベーター
KR101148211B1 (ko) 엘리베이터
JP200421042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73742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10062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救出装置
EP1724225B1 (en) Emergency brake device of elevator
JP5341400B2 (ja) 昇降機の停電時の手動降下装置
KR102022235B1 (ko) 엘리베이터 제동 장치
JP201516848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制御装置
KR200401410Y1 (ko)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라이닝 마모감지 장치
KR20040016974A (ko)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
WO2022249793A1 (ja) 非常止め装置、エレベーター及び非常止め装置の復帰方法
WO2005121006A1 (ja) エレベーター用の非常ブレーキ装置
JP6018998B2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JP2019077533A (ja) 非常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US2019027061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JP2011143978A (ja) 扉開走行保護装置
KR20060059870A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JPH01294189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