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974A -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974A
KR20040016974A KR10-2004-7000246A KR20047000246A KR20040016974A KR 20040016974 A KR20040016974 A KR 20040016974A KR 20047000246 A KR20047000246 A KR 20047000246A KR 20040016974 A KR20040016974 A KR 20040016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pulley
emergency brake
brake devic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145B1 (ko
Inventor
이토가즈마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실의 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했을 때에 작동해서 카실을 신속하게 감속ㆍ정지시키는 동시에 전용의 설치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값싼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를 얻는다.
이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는 활차내에 활차의 차축을 통하는 수직선에 대해 균형추측에 위치하는 이 차축과 평행한 제1축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또 반제1축측 선단에 브레이크슈를 구비하고, 이 브레이크슈가 활차의 외륜의 내주벽면에서 이반하는 대기위치와 이 브레이크슈가 이 외륜의 내주벽면에 접하는 제동위치를 취하는 제동기구부와 비제동시에 제동기구부를 대기위치에 유지시켜, 제동시에 이 제동기구부를 제동위치에 보존시키는 기동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권양기의 구동활차에 감긴 주로프의 한쪽에 카실이 다른쪽에 균형추가 각각 매달려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기에의 입력차단과 동시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도록 설계된 제동기가 권양기에 설치되고, 관성에 의한 권양기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제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는 권양기의 형식, 로퍼의 거는방법 등의 여하에 불구하고, 로프가 절단된 경우라던가 기타, 예측할 수 없는 원인으로 카실의 하강속도가 현저하게 증대한 경우, 보통의 안전장치의 능력을 초과할 염려가 있다.
그러므로, 카실의 하강속도가 일정비율의 과속이 된 경우, 그 하강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가이드레일을 강한 힘으로 잡는 비상정지장치를 카실측에 배치하고, 조속기가 하강속도의 과속을 검지하면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해 카실의하강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제동기로부터 독립적으로 기능하고, 또 비상정지장치보다도 그전에 기동하는 추가의 비상브레이크장치가 필요로 하고 있다.
이 추가의 비상브레이크장치는 특히 엘리베이터의 상승이동방향에서 제어된 재현가능한 제동효과를 발생시켜야만 된다.
즉, 이 종류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제동기의 고장이나 권양기의 제어의 폭주 등에 의하거나 카실이 돌연정격속도 이상에서 상승해 버릴 위험성이 있었다. 그리고, 카실이 정격속도 이상이라고 하면, 균형추가 설계속도 이상으로 완충기에 충돌하게 되어 카실내의 승객이 다칠 염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 가이드레일이나 주로프를 직접 잡는 기구를 구비한 추가의 비상브레이크장치를 균형추측에 설치하고, 카실이 정격속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 추가의 비상브레이크장치가 작동해서 가이드레일이나 주로프를 직접 잡아 카실의 상승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종래의 대책에서는 추가의 비상브레이크장치의 설치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가이드레일이나 주로프의 손상사고로 연결되어 나아가서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기기의 고가격화를 초래해 버린다는 좋지 않는 점이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 6-199483호 공보에는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압압체(3)가 구동활차(1)에 걸린 주로프(2)를 끼고 구동활차(1)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쐐기상태의 제동부재(4)가 구동활차(1)와 압압체(3)사이에 삽입가능하게 배치해서 된비상브레이크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이 종래의 비상브레이크장치는 제동시에 제동부재(4)가 구동활차(1)와 압압체(3)사이에 밀어넣어져 주로프(2)가 구동활차(1)와 제동부재(4)사이에 파지되고, 이로써 적절한 제동효과가 얻어진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비상브레이크장치에서는 장치의 설치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주로프(2)의 손상사고에 연결된다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또, 이 종래의 비상브레이크장치는 그 기동후에는 그 대기상태에 수작업으로 러셋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 5-193860호 공보에는 도 7 내지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에 고착된 구동활차(6)와 브레이크슈(8)를 구동활차(6)의 환상의 단면 (6a)에 접하도록 샤프트(5)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브레이크성형차(7)와, 브레이크성형차(7)를 구동활차(6)에 압압하는 스프링부재(9)와 솔레노이드(10)의 전자력에 의해 제동볼트(11)를 브레이크성형차(7)의 스포크(7a)간에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동기구(12)를 구비한 비상브레이크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의 비상브레이크장치에서는 통상시에는 스프링부재(9)에 의해 구동활차(6)에 압압된 브레이크성형활차(7)가 구동활차(7)와 함께 회전하고 있고, 제동시에는 제동볼트(11)가 브레이크성형활차(7)의 스포크(7)의 스포크(7a)간에 삽입하고, 브레이크성형활차(7)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로써, 브레이크성형활차(7)의 브레이크슈(8)와 구동활차(6)의 단면(6a)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활차(6)의 회전이 정지되고, 적절한 제동효과가 얻어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비상브레이크장치에서는 장치의 설치스페이스가 필요했었다는 약점이 있었다. 또, 이 종래의 비상브레이크장치는 제동볼트(11)가 스포크(7a)사이에 삽입되고, 스포크(7a)와 당접한 후 구동활차(6)의 제동이 개시되므로 기동후로부터 제어개시까지의 타임력이 구조적으로 생겨버려 그 시간적 지연분 카실이 종속해버린다는 좋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카실의 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했을 때에 작동해서 카실을 조속히 감속ㆍ정지시키는 동시에 전용의 설치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값싼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는 카실의 활차의 외륜에 감긴 주로프의 한쪽에 매달려 균형추가 이 주로프의 다른쪽에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동을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차내에 이 활차의 차축을 통하는 수선에 대해 상기 균형추측에 위치하는 이 차축과 평행한 제1축 주위에 회동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 반제1축선단에 제1브레이크슈를 구비하고, 이 제1브레이크슈가 상기 활차의 외륜의 내주벽면으로부터 이반하는 제1대기위치와 이 제1브레이크슈가 이 외륜의 내주벽면에 접하는 제1제동위치를 취하는 제1제동기구부와 비제동시에 상기 제1제동기구부를 상기 제1대기위치에 보존시켜 제동시에 이 제1제동기구부를 상기 제1제동위치에 보존시키는 제1기동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카실이 활차의 외륜에 감긴 주로프의 한쪽에 매달리고, 균형추가 이 주로프의 다른쪽에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동을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에서 상기 활차내에 이 활차의 차축을 통하는 수선에 대해 상기 카실측에 위치하는 이 차축과 평행인 제2축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또 반제2축측의 선단에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이 브레이크슈가 상기 활차의 외륜의 내주벽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대기위치와 이 브레이크슈가 이 외륜의 내주벽면에 접하는 제동위치를 취하는 제동기구부와 비제동시에 상기 제동기구부를 상기 대기위치에 보존시키고, 제동시에 이 제동기구부를 상기 제동위치로 보존하는 기동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활차에 감긴 주로프의 한족에 카실이 다른쪽에 균형추가 각각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고, 카실이 정격속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 카실의 상승을 정지하도록 가능하는 비상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비상브레이크장치를 탑재한 엘리베이터를 표시하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비상브레이크장치를 대기상태를 표시하는 요부확대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비상브레이크장치를 기동상태를 표시하는 요부확대측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비상브레이크장치의 대기상태를 표시하는 요부확대측면도.
도 6은 종래의 비상브레이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요부확대측면도.
도 7은 다른 종래의 비상브레이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다른 종래의 비상브레이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9는 다른 종래의 비상브레이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요부확대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적당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비상브레이크장치를 탑재한 엘리베이터를 표시하는 요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비상브렝크장치의 대기상태를 표시하는 요부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비상브레이크장치의 기동상태를 표시하는 요부확대측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 화살표방향 단면도, 도 1에서 권양기(22)가 승강로(20)의 상부의 기계실(21)에 설치되고, 카실(23)이 카용 가이드레일(24)에 안내되어 승강로(20)내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균형추(25)가 균형추용 가이드레일(26)에 안내되어 승강로(20)내에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주로프(27)가 권양기(22)의 구동활차(28)와 기계실(21)내에 설치된 편향활차(29)에 감겨져 있다. 그리고, 카실(23)이 주로프(27)의 일단에 균형추(25)가 주로프(27)의 타단에 매달려 있다. 또, 비상브레이크장치(100)가 구동활차(28)에 장착되어 있다.
또, 권양기(22)는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그 가대(18)를 기계실(2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서 기계실(21)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양기(22)의 구동활차(28)(활차)는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허브(28a)와 허브(28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뻗는 스포크(28b)와 허브(28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뻗는 스포크(28b)와 허브(28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뻗는 스포크(28b)와 허브(28a)에 스포크(28b)를 통해서 연결된 환상의 외륜(28c)으로 구성되고, 허브(28a)를 가대(18)에 차축(19)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외륜(28c)의 외주벽면에는 로프홈 (28d)이 형성되어 있다. 또, 편향활차(29)(활차)도 구동활차(28)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동기 및 비상정지장치가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비상브레이크장치(100)의 구성, 동작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비상브레이크장치(100)는 구동활차(28)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하기 위한 제동기구부(30)와 이 제동기구부(30)를 기동하는 기동기구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제동기구부(30)는 기부(31)와, 이 기부(31)에 서로 평행하게 세워서 설치된 가이드부재로서의 한쌍의 볼트(32)와 한쌍의 볼트(32)에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된 가동부(33)와, 이 가동부(33)의 선단에 부착된 브레이크슈(34)와 각 볼트(32)의 근원부에 각각 나착된 조정너트(35)와 각 조정너트(35)와 가동부(33)사이에 각각 축소설치된 스프링(3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슈(34)는 볼트(32)의 두부(32a)를 덮도록 가동부(3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부 (33)는 스프링(36)의 작동력에 의해 볼트(32)의 두부(32a)에 당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제동기구부(30)는 기부(31)를 가대(18)에 차축(19)과 평행한 축(38)주위에 회동이 자유스럽게 설치하고, 브레이크슈(34)가 구동활차(28)의 외륜(28c)의 내주벽면(28e)으로부터 이반하는 대기위치와 가대(18)로부터 세워서 설치된 스토퍼 (37)에 당접하고, 브레이크슈(34)가 구동활차(28)의 외륜(28c)의 내주벽면(28e)에 당접하는 제동위치를 취한다. 여기서 축(38)(제1축)은 도 2중 구동활차(28)내에서 차축(19)의 축심을 통하는 상하방향의 선(수선)에 대해 편향활차(29)측에서, 또 차축(19)의 축심을 통하는 좌우방향의 선(수평선)과 수선과의 사이의 영역에서 대기위치와 제동위치가 취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기동기구부(40)는 솔레노이드코일(41)과 자성재료로 된 플런저(42)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동기구부(40)는 플런저(42)의 진퇴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가대 (18)에 설치되고, 플런저(42)의 연출단이 축(38)과 평행인 축(44)주위에 회동가능하게 가동부(33)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상브레이크장치(100)는 솔레노이드코일(41)에 통전되면 플런저(42)는 자기흡인되어 퇴행하고(도 2중 상방으로 이동), 스토퍼(42a)가 솔레노이드코일(41)의 본체부에 당접해서 정지한다. 그리고, 이 플런저(42)의 퇴행력이 가동부(33)를 통해서 제동부재(30)에 전달되고, 제동부재(30)가 축(38)주위에 도 2중 반시계돌기로 회동한다. 이 제동부재(30)는 플런저(42)의 스토퍼(42a)가 솔레노이드코일(41)의 본체부에 당접해서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대기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계속해서 조속기 등에 의해 카실(23)의 상승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하는 상태가 검지되면 솔레노이드코일(41)에의 통전이 정지된다. 이로써, 플런저(42)에작용해 있던 자기흡인력이 없어저 제동기구부(30)는 자중에 의해 축(38)주위에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제동기구부(30)는 브레이크슈(34)가 구동활차(28)의 외륜(28c)의 내주벽면에 접촉할 때까지 회동한다. 그후, 제동기구부(30)는 구동활차 (28)의 회전(도 2중 시계방향회전)에 따라 가동부(33)가 볼트(32)에 안내되어 기부 (31)측으로 이동하고, 스프링(36)을 압축하면서 다시 회동하고, 스토퍼 (37)에 당접해서 정지해 도 3에 표시된 제동위치가 된다. 그리고, 스프링(36)의 압축에 기인하는 압압력이 브레이크슈(34)를 통해서 내주벽면(28e)에 작용하고, 브레이크슈 (34)와 내주벽면(28e)사이에 제동력이 발생해서 카실(23)이 감속 또는 정지된다.
또, 엘리베이터가 정상상태로 회복되면, 솔레노이드코일(41)에 통전된다. 이로써, 플런저(42)가 자기흡인되고, 제동기구부(30)가 축(38)주위에 도 3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해서 제동기구부(30)는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 1에 의한 비상브레이크장치(100)는 카실(23)의 상승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한 경우, 신속하게 동작해서 카실(23)의 감속ㆍ정지를 시킬 수 있는 상방안정장치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카실(23)의 정격속도 이상에서의 상승에 기인해서 균형추(25)가 설계속도 이상으로 완충기에 충돌함으로써 승객이 다치는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 비상브레이크장치(100)은 제동기구부(30) 및 기동기구부(40)가 구동활차(28)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장치의 설치스페이스의 생략화가 도모된다. 또, 브레이크슈(34)를 구동활차(28)의 외륜 (28c)의 내주벽면(28e)에 밀어부쳐서 제동력을 발휘시키고 있으므로 가이드레일 (24),(25)나 주로프(27)의 손상사고도 없어 극히 경제적이다.
또, 이 비상브레이크장치(100)는 제동기구부(30)의 대기위치에서 제동위치에서 회동량이 일정하게 되므로 스프링(36)의 압축량도 일정해지고, 상승하고 있던 카실(23)을 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제동력으로 감속 또는 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 조정너트(3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대기위치에서의 스프링(36)의 압축량이 커지도록 조정너트(35)를 조정하면 제동시의 브레이크슈(34)의 내주벽면(28e)에의 압부력을 크게 할 수가 있다. 즉, 제동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제동기구부(30)의 기동시의 회전방향이 구동활차(28)의 회전방향으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브레이크슈(34)는 쐐기효과로 내주벽면(28e)에 파고들게 되어 제동기능이 확실하게 발휘되고,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이 비상브레이크장치(100)에서는 솔레노이트코일(41)에의 통전을 정지함으로써 제동기구부(30)가 자중에 의해 조속히 제동위치를 취하므로 기동에서 제동개시까지의 시간이 단축화되고, 기동에서 제동개시까지의 시간에 기인하는 카실 (23)의 중속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이 비상브레이크장치(100)는 솔레노이트코일(41)내의 통전에 의해 제동기구부(30)를 제동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복귀시킬 수가 있으므로 수작업에 의한 비상브레이크장치의 리세트작업도 불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비상브레이크장치 (100)를 반복기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카실(23)이 착상하고 있을 때, 비상브레이크장치(100)를 기동시켜서 구동활차(28)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가 있다. 이로써, 승객의 승강시에 돌연히 카실(23)의 이상상승이 확실하게 저지되고, 보다 안전성이 높혀진다.
또, 비상브레이크장치(100)는 기부(31), 기부(31)에서 세워서 설치된 한쌍의 볼트(32), 볼트(32)에 안내되어 볼트(32)의 축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브레이크슈(34)가 선단에 일체로 부착된 가동부(33) 및 가동부(33)를 볼트(32)의 두부(32a)측에 작용하는 스프링(36)으로 된 제동기구부(30)와 솔레노이드코일(41)과 플런저(42)로 된 기동기구부(40)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치구조가 간소화되어 저가격화가 도모된다.
또,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비상브레이크장치(100)를 차축(19)을 통과하는 수선에 대해 편향활차(29)측에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비상브레이크장치(100)를 차축(19)을 통과하는 수선에 대해 편향활차(29)측에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비상브레이크장치(100)를 차축(19)을 통과하는 수선에 대해 반편향활차(29)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비상브레이크장치(100)는 하방안전장치로 기능하고, 카실(23)의 하방향의 이상속도가 검지되면 비상브레이크장치(100)가 신속하게 작동하고, 카실(23)이 감속ㆍ정지된다. 또, 카실(23)이 착상할 때, 비상브레이크장치 (100)를 작동시켜서 카실(23)의 하강을 초래하는 구동활차(23)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승객의 승강시의 돌연한 카의 하강이 저지된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비상브레이크장치의 대기상태를 표시하는 요부확대측면도이다.
이 실시예 2에서는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한쪽의 비상브레이크장치(100)는 축(38)(제1축)주위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제동기구부(30)가 차축(19)의 축심을 통하는 수선에 대해 편향활차(29)측에서, 또 차축(19)의 축심을 통하는 수평선과 수선과의 사이의 영역에서 대기위치와 제동위치를 취하도록 구동활차(28)내에 배치되고, 다른쪽의 비상브레이크장치(100)는 축(28)(제2축)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동기구부(30)가 차축(19)의 축심을 통과하는 수선에 대해 반평향활차(29)측에서, 또 차축(19)의 축심을 통하는 수평선과 수선사이의 영역에서 대기위치와 제동위치를 취하도록 구동활차(28)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비상브레이크장치(100)는 차축(19)를 통하는 수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 2에 의하면, 카실(23)의 정상시에는 양 비상브레이크장치(100)의 솔레노이드코일(41)에 통전되어 대기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속히 등에 의해 카실의 상승속도를 초과하는 상태가 검지되면, 한쪽의 비상브레이크장치(100)의 솔레노이드코일(41)에의 통전이 정지되고, 제동기구부(30)가 제동위치가 되고, 브레이크슈(34)와 내주벽면(28)사이에 제동력이 발생해서 카실(23)이 감속 또는 정지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가 정상상태로 회복되면, 솔레노이드코일(41)에 통전되고, 제동기구부(30)가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조속기 등에 의해 카실의 하강속도가 정격속도를 초과하는 상태가 검지되면, 다른쪽의 비상브레이크장치(100)의 솔레노이드코일(41)에의 통전이 정지되고, 제동기구부(30)가 제동위치가 되고, 브레이크슈(34)와 내주벽면(28e)사이에 제동력이 발생해서 카실(23)이 감속 또는 정지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가 정상상태로 회복되면 솔레노이드코일(41)에 통전되고, 제동기구부(30)가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또, 카실(23)이 착상하면 양 비상브레이크장치(100)의 솔레노이드코일(41)에의 통전이 정지되고, 양 비상브레이크장치(100)의 제동기구부(30)가 제동위치가 된다. 그리고, 승객의 승강이 끝나고 핸선방향단추가 눌러지면, 양 비상브레이크장치(100)의 솔레노이드코일(41)에 통전되고, 양 비상브레이크장치(100)의 제동기구부(30)가 대기위치가 된다. 그후, 카실(23)의 승강이 실시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 2에서는 2개의 비상브레이크장치(100)를 설치하고, 한쪽의 비상브레이크장치(100)를 상방 안전장치로 기능시켜 다른쪽의 브레이크장치 (100)를 아래쪽 안전장치로서 기능시키고 있으므로 카실(23)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의 이상속도가 검지되면 비상브레이크정지(100)가 신속하게 작동하고, 카실(23)이 감속ㆍ정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카실(23)의 착상시에 2개의 비상브레이크장치(100)를 작동시켜서 카실 (23)의 상승 및 하강을 초래하는 구동활차(23)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승객의 승강시에 돌연히 일어나는 카의 승강이 저지되고, 안전성이 높여져 있다.
또, 무부하시의 중간층 언밸런스상태에서 2개의 비상브레이크장치(100)를 작동시켜서 카실(23)의 상승 및 하강을 초래하는 구동활차(23)의 회전을 저지하면 권양기(22)의 제동기의 분해ㆍ보수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실시예 2에서는 2개의 비상브레이크장치(100)가 차축(19)을 통하는 수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2개의 비상브레이크장치 (100)는 반드시 차축(19)을 통하는 수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고, 각비상브레이크장치(100)의 제동기구부(30)가 제동위치와 대기위치를 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상브레이크장치(100)의 솔레노이드코일(41)에의 통전을 전지했을 때에 제동기구부(30)가 자중에 의해 축(38) 주위에 회동해서 제동위치에 세트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기동기구부(40)에 플런저(40)에 플런저(42)를 제동기구부(30)측에 작동하는 스프링을 장착시켜 솔레노이드코일(41)에의 통전을 정지했을 때에 플런저(42)를 스프링의 작동력에 의해 진행시켜 이로써 제동기구부 (30)가 축(38) 주위를 회동해서 제동위치에 세트되도록 해도 된다. 이경우, 기동에서 제동개시까지의 시간이 단축화되고, 기동에서 제동개시까지의 시간에 기인하는 카실(23)이 중속을 한층 더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플런저(42)와 가동부(33)가 축(44) 주위에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플런저(42)와 가동부(33)를 유니버설조인트로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이경우, 플런저(42)와 가동부(33)사이의 힘의 전달이 원활하고, 기동기구부(40)의 설치자세를 고정밀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고, 비상브레이크장치(100)의 설치가 쉬워진다.
또, 상기 즉 실시예에서는 비상브레이크장치(100)를 구동활차(28)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비상브레이크장치(100)를 편향활차(29)에 설치해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3)

  1. 카실이 활차의 외륜에 감긴 주로프의 한쪽에 매달리고, 균형추가 이 주로프의 다른쪽에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동을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차내에 이 활차의 차축을 통과하는 수선에 대해 상기 균형추측에 위치하는 이 차축과 평행한 제1축 주위에 회동이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 반 제1축측 선단에 제1브레이크슈를 구비하고, 이 제1브레이크슈가 상기 활차의 외륜의 내주벽면에서 이반하는 제1대기위치와 이 제1브레이크슈가 이 외륜의 내주벽면에 접하는 제1제동위치를 취하는 제1제동기구부와 비제동시에 상기 제1제동기구부를 상기 제1대기위치에 보존시켜 제동시에 이 제1제동기구부를 상기 제1제동위치에 보존시키는 제1기동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동기구부는 상기 제1축에 지지된 제1기부와 상기 제1기부에서 반제1축측에 연장설치된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안내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반제1축측에 상기 제1브레이크슈가 설치된 제1가동부와, 상기 제1가동부를 반제1축측에 작동하는 제1스프링을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
  3. 카실이 활차의 외륜에 감긴 주로프의 한쪽에 매달리고, 균형추가 이 주로프의 다른쪽에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동을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차내에 이 활차의 차축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해 상기 카실측에 위치하는 이 차축과 평행한 제2축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반제2축측의 선단에 브레이크슈를 구비하고, 이 브레이크슈가 상기 활차의 외륜의 내주벽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대기위치와 이 브레이크슈가 이 외륜의 내주벽면에 접하는 제동위치를 취하는 제동기구부와, 비제동시에 상기 제동기구부를 상기 대기위치에 유지시켜 제동시에 이 제동기구부를 상기 제동위치에 유지시키는 기동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
KR1020047000246A 2002-04-19 2002-04-19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 KR100614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3935 WO2003089354A1 (en) 2002-04-19 2002-04-19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974A true KR20040016974A (ko) 2004-02-25
KR100614145B1 KR100614145B1 (ko) 2006-08-21

Family

ID=2922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246A KR100614145B1 (ko) 2002-04-19 2002-04-19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98380A4 (ko)
JP (1) JP4115396B2 (ko)
KR (1) KR100614145B1 (ko)
CN (1) CN1305748C (ko)
WO (1) WO20030893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6663B2 (ja) * 2004-02-16 2010-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巻上機用ブレーキ装置
EP1724225B1 (en) * 2004-02-23 2013-01-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mergency brake device of elevator
JP4680188B2 (ja) * 2004-06-14 2011-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用の非常ブレーキ装置
CN100408460C (zh) * 2004-07-22 2008-08-06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上行超速保护装置
WO2006022016A1 (ja) * 2004-08-27 2006-03-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巻上機
JP4904012B2 (ja) * 2005-04-08 2012-03-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ロープブレーキ装置
KR101698833B1 (ko) 2015-06-20 2017-01-24 윤호원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수단을 갖는 플렛폼
CN105217402A (zh) * 2015-11-09 2016-01-06 苏州博量传动设备有限公司 防止电梯意外移动的制动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3469U (ja) * 1983-05-25 1984-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主索スリツプ低減装置
AU580453B2 (en) * 1985-11-04 1989-01-12 Johns Perry Industries Pty. Ltd. Lift sheave
JPH0745315B2 (ja) * 1988-08-26 1995-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巻上機
JPH082818A (ja) * 1994-06-13 1996-01-09 Murata Mach Ltd 風綿回収装置
JP3551983B2 (ja) * 1994-06-20 2004-08-11 清水建設株式会社 二連結ガバナ装置
FI109788B (fi) * 1998-06-08 2002-10-15 Kone Corp Vetopyörähissin pitojarru
JP3537348B2 (ja) * 1999-04-05 200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4191333B2 (ja) * 1999-08-26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巻上機
JP2001355659A (ja) * 2000-04-27 2001-12-26 Inventio Ag エレベーター駆動装置用ディスクブレーキ
CN1229273C (zh) * 2001-09-28 2005-11-3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制动器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15396B2 (ja) 2008-07-09
EP1498380A1 (en) 2005-01-19
CN1533355A (zh) 2004-09-29
EP1498380A4 (en) 2011-01-05
JPWO2003089354A1 (ja) 2005-08-25
CN1305748C (zh) 2007-03-21
KR100614145B1 (ko) 2006-08-21
WO2003089354A1 (en)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63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4564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012596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6360847B1 (en) Elevator system and speed governing apparatus
US8297413B2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using drive sheave acceleration
KR101371282B1 (ko)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JPH04333487A (ja) エレベーター並びに制動装置
JP6062009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14145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브레이크장치
KR1005118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4224492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73703B2 (ja) エレベーター
US20170050821A1 (en) Method for moving an elevator car
EP1724225B1 (en) Emergency brake device of elevator
EP1352869A1 (en) Emergency brake device of elevator
JP2001233563A (ja)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の救出運転装置及びその救出運転方法
JP7213847B2 (ja) エレベータの油入緩衝器
KR100665345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JP2022181743A (ja) 非常止め装置、エレベーター及び非常止め装置の復帰方法
JP2011026130A (ja) 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