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174B1 - 가스 백 유닛 - Google Patents

가스 백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174B1
KR101148174B1 KR1020067023324A KR20067023324A KR101148174B1 KR 101148174 B1 KR101148174 B1 KR 101148174B1 KR 1020067023324 A KR1020067023324 A KR 1020067023324A KR 20067023324 A KR20067023324 A KR 20067023324A KR 101148174 B1 KR101148174 B1 KR 10114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bag
conducting member
bag unit
unit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183A (ko
Inventor
브누와 샹
안데르스 팔로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70007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60R2021/2617Curtain bag nozzles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 가스 백(gas bag)(10), 및 배출구(33)를 구비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가스 백으로 신장하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스 발생기(30)를 포함하는 가스 백 유닛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백의 영역에는 개구부가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가스 발생기는, 상기 배출구(33)를 구비하고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가스 발생기(30)의 제1 단부(32)가 상기 가스 백 내부에 위치하도록 신장된다. 상기 가스 백(10)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의 영역 내에 가스 전도 부재(40)가 배치되며,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는 상기 개구부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직물을 상기 배출구(33)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가스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가스 백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가스 백을 간단히 조립하기 위해서,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레그부(legs)(42a, 42b)를 구비하는 U자 형태 또는 오메가(Ω)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전방의 단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에 꿰매어지거나, 용접되거나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 백 유닛{Gas bag unit}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가스 백 유닛에 관한 것이다.
측면충돌시 또는 차량의 전복시에도 차량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서, 커튼 가스 백(gas bag) 및 측면 가스 백이 사용된다. 상기 언급한 커튼 가스 백 및 측면 가스 백은 상기 차량의 지붕 부분에 배치되고, 펼쳐진 상태에서 측면판을 차폐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차량의 B-기둥을 차폐한다. 측면 가스 백은 일반적으로 차량 등받이에 배치되고 필요시 승객의 상체와 측면 차량 구조체 사이에서 팽창된다. 이러한 두 가지 가스 백 유형에서, 일반적으로 쿠션 형태로 형성된 전방의 가스 백과는 달리, 가장자리 영역을 지나 연결된 두 개의 측벽에 의해 편평하게 구성되는 점이 공통적이다. 이러한 종류의 가스 백에서의 가스 공급은 대부분,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가스 백 안으로 신장되는 가스 발생기에 의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발생기는 부분적으로 상기 가스 백 내부에 위치하고 부분적으로는 상기 가스 백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가스 발생기가 신장되며, 이러한 종류의 가스 백에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두 개의 측벽이 서로 연결되는 가장자리 영역 내에 위치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대개 상기 가스 발생기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위치하는 상기 가스 백의 영역은 L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발생기는 상기 가스 백의 세로신장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신장된다. 대개 원통형 내벽 내의 상기 가스 발생기의 배출구는 안전상의 이유로(추진 중립성) 일반적으로 회전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 근처의 가스 백 직물이 유출되는 에너지가 되는 가스에 의하여 심하게 부하받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국제특허출원 WO 02/079008 A1에는, 한편으로는 가스 발생기를 차량 구조체에 고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스 백의 개구부 안으로 신장되며 거기서 배출구의 영역을 부분적으로 에워싸므로 인접한 직물을 보호하는 강철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비싼 조립비용 외에도, 상기 가스 백 안으로 신장되는 강철부재는, 상기 가스 백이 상기 차량 내에 설치되고 진동이 발생되는 종종 긴 시간동안 상기 가스 백의 직물이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최악의 경우에는, 필요시 상기 가스 백 유닛이 결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스 백의 손상을 방지하는 가스 백 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가스 백 유닛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스 백 유닛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개별적인 가스 전도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가스 전도 부재는 개구부의 영역 내에서 상기 가스 백의 직물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 전도 부재는 U자 형태 또는 오메가( Ω) 형태의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의 레그부(legs)는 연결, 특히, 상기 가스 백의 직물에 꿰매어질 수 있는 데에 특히 적합한 영역이다.
상기 적합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를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긴 배치에서도 상기 가스 백 직물의 손상이 방지되며, 예를 들어, 0.5mm의 적합한 벽 강도 두께의 선택시 소정의 탄성(elasticity)도 발생된다.
특허청구범위 제10항 내지 제12항에서와 같은,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발생기 유닛은 특히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백 유닛의 또다른 장점은 차량 내의 최종설치시 가스 전도 부재의 결여가능성이 방지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또다른 장점은 또다른 종속항들 및 관련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발생된다. 이하, 본 발명은 커튼 가스 백을 구비한 가스 백 유닛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커튼 가스 백을 통과한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2의 가스 전도부재의 상세도이며,
도 3은 연결된 가스 발생기를 구비한 커튼 가스 백의 개구부 영역을 도시하며,
도 4는 가스 전도 부재가 삽입된 가스 발생기를 도시하며,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예의 변형을 도시하며,
도 5는 도 4의 A-A면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a는 가스 전도 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E로 표시된 도 6a의 가스 전도 부재를 통과한 단면도이다.
도 1은 커튼 가스 백(10)을 통과한 종단면을 도시한다. 상기 커튼 가스 백(10)은 두 개의 측벽(이로부터 측벽(12)이 도시된다)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들은 가장자리 영역(14) 내에 서로 연결되며, 예를 들어, 서로 꿰매어진다. 상부 모서리(14a)에서, 상기 가장자리 영역(14)은 가스 발생기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부(16) 및, 상기 커튼 가스 백(10)을 지붕 부분에 배치하기 위한 고정 플랩(flap)(18)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튼 가스 백(10)은 상기 커튼 가스 백(10)의 윤곽을 부여하기 위한 중간 접합부(22) 및, 상기 커튼 가스 백(10)을 정확히 배치하기 위한 인장 테이프(20)에 의하여 차량의 측면판 앞에 배치된다.
대략 상기 상부 모서리(14a)의 중앙에서 부분적으로 개구부(16)를 통해 상기 커튼 가스 백(10) 안으로 신장되는 세로방향의 가스 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도록 개구부 영역(24)은 L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가스 발생기는 상기 커튼 가스 백(10)의 세로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L자 형태의 개구부 영역(24)에는 가스 전도 부재(40)가 배치된다(도 1에는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 영역(24) 내에서 상기 커튼 가스 백(10)의 직물에 꿰매어진다. 이러한 꿰매는 작용에 의하여, 상기 커튼 가스 백(10) 내부의 가스 전도 부 재(40)의 위치는 상기 커튼 가스 백(10)을 고정할 때에 이미 최종적으로 고정되며 추후 최종설치에서도 더 이상 미끄러질 수 없다. 대부분의 경우,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의 접합은, 필요한 연결이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바람직한 연결방법이다.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는 전방의 단부(42) 및 후방의 단부(45)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의 단부(42)의 횡단면은, 상기 전방의 단부(42)가 두 개의 레그부(legs)를 포함할 수 있도록 U자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그부의 영역에서는,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가 상기 인접한 직물과 꿰매어진다.
도 2는 가스 전도 부재(40)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상기 후방의 단부(45), 및 U자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상기 전방의 단부(42)가 잘 도시되어 있다. 조립시, 상기 가스 발생기는 상기 후방의 단부(45)에 의하여 밀리고 멈춤 돌출부(46)에서 멈춘다. 이를 위해 필요한 탄성은 슬롯(47)에서 발생한다. 상기 두 개의 레그부(42a, 42b)에 의하여 상기 접합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도 2에서 잘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가스 발생기(30)가 상기 커튼 가스 백(10)의 개구부(16)로 도입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 발생기(30)는 전체적으로 세로방향으로 그리고 회전대칭적으로 구성된다. 제1 단부(32)가 상기 커튼 가스 백(10) 안으로 돌출하며 배출구(33)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의 전방의 단부(42)에 의해 부분적으로 에워싸여진다. 또한, 상기 제1 단부(32)는 홈(34)을 포함한다. 상기 홈(34)은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의 멈춤 돌출부(46)에 연결된다. 제2 단부(35)는 상기 커튼 가스 백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커튼 가스 백(10) 안으로 돌출하는 상기 제1 단부(32)가 실질적으로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각이 진 가스 발생기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a는 도 4a에 도시된 예의 변형을 나타낸다. 또다른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는 상기 커튼 가스 백(10)의 직물에 직접 연결되고, 즉, 꿰매어지고, 접착되거나 용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은 여기에서도 상기 레그부(42a, 42b)의 영역 내에서 수행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의 후방의 단부(45)는, 상기 가스 발생기(30) 부근에서 상기 커튼 가스 백(10)도 보호하는 브래킷(bracket)(50)에 의하여 상기 가스 발생기(30)의 제2 단부(35)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는 상기 커튼 가스 백(10)에 직접 연결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스 발생기(30)에도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 발생기(30)와 상기 커튼 가스 백(10) 사이의 충분히 안정적인 연결도 수행된다.
도 5는 도 4 내지 도 4a를 통과하여 A-A 절개면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의 U자 형태의 전방의 단부(42)가 상기 에워싸는 커튼 가스 백(10)의 직물을 상기 유출되는 가스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매우 잘 알 수 있다.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의 전방의 단부(42)는 상기 제1 단부(32)의 외벽의 소정의 영역을 에워싸므로, 거기에 위치하는 배출구로부터 흐르는 가스를 상 기 가스 전도 부재(40)에 의하여 방향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레그부(42a, 42b)는 상기 가스를 상기 커튼 가스 백(10)으로 향하게 한다. 상기 외벽의 하부 단부에 위치하는 배출구로부터 상기 가스가 직접 상기 커튼 가스 백(10) 안으로 도달한다.
또한, 상기 레그부(42a, 42b)가 상기 커튼 가스 백(10)의 직물에 꿰매어지는 접합영역(N)을 알 수 있다. 상기 접합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서,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의 전방의 단부(42)는 U자 형태 대신에 오메가(Ω) 형태의 횡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메가(Ω) 형태의 횡단면에서는 상기 오메가 형태의 이격된 말단이 상기 커튼 가스 백 직물의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가스 발생기를 상기 멈춤 돌출부(46)에 멈추게 함으로써, 축방향의 상기 가스 발생기(30)가 정확한 말단위치에 위치하도록 조립상의 피드백이 유지된다. 상기 가스 발생기(30)의 회전대칭적인 구조로 인해, 상기 커튼 가스 백(10)과 관련한 상기 가스 발생기(30)의 방사상의 바이어스(bias)가 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 발생기(30)를 상기 커튼 가스 백(10)에 매우 간단히 조립하거나 상기 커튼 가스 백(10)을 상기 가스 발생기(30)에 매우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가스 전도 부재(40)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가스 전도 부재(40)의 전방의 단부(42)를 통과한 E로 표시된 단면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가스 전도 부재(40)에서, 전방의 단부(42) 및 후방의 단부(45)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의 단부(42)는 세로 홀(48)을 포함하며, 상기 세로 홀(48)을 통해서 상기 가스 발생기(30)로부터 나오는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커튼 가스 백(10)으로 유입된다. 상기 세로 홀(48)의 평면에는 바닥판(49)이 위치하므로, 상기 전방의 단부(42)를 통과한 단면에서 두 개의 레그부(42a, 42b)를 구비한 오메가(Ω) 형태의 횡단면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지부(support)(50)가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여기서도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는 상기 레그부(42a, 42b)의 영역 내에서 상기 커튼 가스 백 직물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49)의 전체면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평면 가스 백(gas bag)(10), 및 배출구(33)를 구비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가스 백으로 신장하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가스 발생기(30)를 포함하는 가스 백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백(10)은, 가장자리 영역(14)을 지나 서로 연결되며 직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가장자리 영역(14)에는 개구부(16)가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가스 발생기(30)는, 상기 배출구(33)를 구비하고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가스 발생기(30)의 제1 단부(32)가 상기 가스 백 내부에 위치하도록 신장되며,
    상기 가스 백(10)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16)의 영역 내에 배치된 가스 전도 부재(40)는 상기 개구부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직물을 상기 배출구(33)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가스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레그부(legs)(42a, 42b)를 구비하는 U자 형태 또는 오메가(Ω)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전방의 단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직물에 꿰매어지거나, 용접되거나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전도 부재는 상기 전방의 단부(42)의 레그부(42a, 42b)에 의하여 상기 직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직물에 꿰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기의 제2 단부(35)는 상기 가스 백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전도 부재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후방의 단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전도 부재의 후방의 단부(45)는 브래킷(bracket)을 사용하여 상기 가스 발생기의 제2 단부(3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전도 부재(40)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8.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전도 부재의 벽 강도는 0.4mm 내지 0.8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9.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전도 부재의 벽 강도는 1.5mm 내지 2.5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10.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가스 발생기의 제1 단부(32)의 원통형 외벽에 회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의 단부(45)는 상기 가스 발생기(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멈춤 돌출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12.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백(10)은 상기 개구부의 영역 내에서 L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백 유닛.
KR1020067023324A 2004-05-07 2005-05-04 가스 백 유닛 KR101148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22740A DE102004022740A1 (de) 2004-05-07 2004-05-07 Gassack-Einheit
DE102004022740.3 2004-05-07
PCT/EP2005/004865 WO2005110820A1 (de) 2004-05-07 2005-05-04 Gassack-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183A KR20070007183A (ko) 2007-01-12
KR101148174B1 true KR101148174B1 (ko) 2012-05-24

Family

ID=3496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324A KR101148174B1 (ko) 2004-05-07 2005-05-04 가스 백 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00778B2 (ko)
EP (1) EP1742820B1 (ko)
JP (1) JP4908403B2 (ko)
KR (1) KR101148174B1 (ko)
CN (1) CN100434312C (ko)
AT (1) ATE384645T1 (ko)
DE (2) DE102004022740A1 (ko)
ES (1) ES2303680T3 (ko)
WO (1) WO2005110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19013U1 (de) * 2005-12-01 2006-04-20 Takata-Petri (Ulm) Gmbh Gasstromverteiler für ein Gassackmodul
DE202005019014U1 (de) * 2005-12-01 2006-04-20 Takata-Petri (Ulm) Gmbh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Rückhaltesystem
US7641226B2 (en) 2006-11-01 2010-01-05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module with an internal guide fin
JP2010089547A (ja) * 2008-10-03 2010-04-22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CN102030092A (zh) * 2009-09-30 2011-04-27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研究所 一种耐高温水下回收气囊
JP5843420B2 (ja) * 2009-10-05 2016-01-1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DE102009045739B4 (de) * 2009-10-15 2013-11-14 TAKATA Aktiengesellschaft Diffusor für eine Gassackvorrichtung eines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s und Gassackvorrichtung mit einem Diffusor
DE102009052565A1 (de) * 2009-11-10 2011-05-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etroit Airbagmodul für ein Fahrzeug
US8678440B1 (en) 2012-12-20 2014-03-25 Autoliv Asp, Inc. Retractor-lap pretensioner with single micro-gas generator
KR101673683B1 (ko) * 2014-10-27 2016-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체결 장치
JP6500274B2 (ja) * 2015-09-01 2019-04-1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
CN109955821A (zh) * 2017-12-25 2019-07-02 青岛市比亚迪汽车有限公司 汽车安全气囊装置及具有其的车辆
DE102018124250A1 (de) * 2018-10-01 2020-04-02 Trw Automotive Gmbh Gassackmodul
DE102019122990A1 (de) * 2019-08-27 2021-03-04 Zf Automotive Germany Gmbh Baugruppe aus einer Abdeckkappe eines Diffusors eines Rohrgasgenerators und einem Deflektorelement, Rohrgasgener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ohrgasgenerators
DE102019122989A1 (de) * 2019-08-27 2021-03-04 Zf Airbag Germany Gmbh Deflektor für einen Diffusor eines Gasgenerators, Diffusor-Deflektor Baugruppe mit einem solchen Deflektor, Gasgenerator mit einer solchen Diffusor-Deflektor Baugruppe, Herstellungsverfahren und Montageverfahren
CN113815560B (zh) * 2021-10-27 2022-11-11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气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6041A (en) 1994-05-31 1996-07-16 Trw Repa Gmbh Gas bag protective device
JP2595190B2 (ja) * 1992-12-18 1997-03-26 モート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膨張可能な拘束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フューザ装置及び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組立体
WO2002079008A1 (de) 2001-04-02 2002-10-10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2933A (en) * 1989-10-10 1992-12-22 Ford Motor Company Air bag diverter
JP3178069B2 (ja) * 1992-03-30 2001-06-18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取付構造
US6082761A (en) * 1997-01-24 2000-07-04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device
JP2000085510A (ja) * 1998-09-14 2000-03-28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とインフレータとの連結構造
US6106006A (en) * 1999-04-06 2000-08-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including an inflatable curtain and a housing containing the curtain
JP4005321B2 (ja) * 2001-02-05 2007-1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GB2378924B (en) * 2001-08-22 2004-10-20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GB2397806B (en) * 2003-01-31 2006-01-0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5190B2 (ja) * 1992-12-18 1997-03-26 モート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膨張可能な拘束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フューザ装置及び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組立体
US5536041A (en) 1994-05-31 1996-07-16 Trw Repa Gmbh Gas bag protective device
WO2002079008A1 (de) 2001-04-02 2002-10-10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Gassackmodul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22740A1 (de) 2005-12-01
KR20070007183A (ko) 2007-01-12
WO2005110820A1 (de) 2005-11-24
DE502005002669D1 (de) 2008-03-13
CN100434312C (zh) 2008-11-19
JP4908403B2 (ja) 2012-04-04
EP1742820A1 (de) 2007-01-17
JP2007536154A (ja) 2007-12-13
US20070216145A1 (en) 2007-09-20
EP1742820B1 (de) 2008-01-23
ATE384645T1 (de) 2008-02-15
CN1953890A (zh) 2007-04-25
ES2303680T3 (es) 2008-08-16
US7600778B2 (en) 200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174B1 (ko) 가스 백 유닛
US7185912B2 (en) Knee protection airbag device
JP2005082025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アッセンブリ
JP3782793B2 (ja) 改良型のカーテンエアバッグ組立体
JP3900051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WO2014057996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車両用シートへの組付方法
CN109591750B (zh) 气囊装置
JP446647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8167793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3034221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ディフューザ構造
JP2018167794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7008318A (ja) サイドエアバッグ
JP2006321334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9077279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3182504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7106215A (ja) 乗員拘束装置
JP2017065508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6068611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及びそれを備えるエアバッグ装置
JP2019026222A (ja) エアバッグ装置
JP5968292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のガスガイド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
JP2013071567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0033846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H10297410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4182144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5954083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