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626B1 -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626B1
KR101147626B1 KR1020060029571A KR20060029571A KR101147626B1 KR 101147626 B1 KR101147626 B1 KR 101147626B1 KR 1020060029571 A KR1020060029571 A KR 1020060029571A KR 20060029571 A KR20060029571 A KR 20060029571A KR 101147626 B1 KR101147626 B1 KR 10114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terminal
internal
lamin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653A (ko
Inventor
마사아키 도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3Thin- or thick-film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적층 콘덴서는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측면상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을 구비한다. 적층 콘덴서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콘덴서부와,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콘덴서부와 정전 용량이 다른 제 2 콘덴서부를 갖는다. 각 제 1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복수의 제 1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와, 각 제 2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복수의 제 2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3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3 단자 전극에, 제 4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4 단자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및 제 3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와, 제 2 및 제 4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가, 적층체의 측면을 따라 주회하는 방향에 관해서 교대로, 적층체의 측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적층체, 단자 전극, 콘덴서, 정전 용량

Description

적층 콘덴서{Multilayer Capacitor}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 회로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주파수에 관한 임피던스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08361호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적층 콘덴서로서,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전극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복수의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이들의 단자 전극과 내부 전극을 접속하는 인출 전극의 폭방향의 치수를 조절함으로써,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전원 회로의 고주파수화에 따라, 전원 회로에 적용되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 직렬 인덕턴스(ESL)의 저감화가 더 한층 요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직방체형인 적층체가 대향하는 2측면에 밖에 단자 전극이 배치되어 있지 않아,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저감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한편, 노이즈 제거를 위해서 전자기기의 전원 회로 등에 접속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노이즈 제거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이 종류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광대역에 걸쳐 저임피던스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광대역에 걸쳐 임피던스를 낮게 하기 위한 검토가 행하여지지 않았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광대역에 걸쳐 임피던스를 낮게 할 수 없고,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광대역에 걸쳐 저임피던스인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광대역에 걸쳐 저임피던스화하고자 하는 요구와 등가 직렬 인덕턴스를 저감하고자 하는 요구를 함께 만족시킬 수 있는 적층 콘덴서에 관해서 예의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 등은 2가지의 정전 용량이 다른 콘덴서부를 갖는 것으로 광대역화가 가능해지며, 또 극성이 다른 단자 전극을 교대로 배치할 수 있도록 적층체에 단자 전극을 형성하는 것으로 등가 직렬 인덕턴스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콘덴서는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전극군을 구비한 적층 콘덴서이며, 적층체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을 복수의 내부 전극으로서 포함하는 제 1 콘덴서부와,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을 복수의 내부 전극으로서 포함하는 제 2 콘덴서부를 갖고, 복수의 단자 전극군은 복수의 제 1 단자 전극과 제 3 단자 전극을 포함하는 제 1 단자 전극군과, 복수의 제 2 단자 전극과 제 4 단자 전극을 포함하는 제 2 단자 전극군을 갖고, 복수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은 각각, 인출 도체를 통해서 복수의 제 1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복수의 제 1 단자 전극은 각각,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은 각각, 인출 도체를 통해서 복수의 제 2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복수의 제 2 단자 전극은 각각,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3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4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4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3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와, 제 2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2 및 제 4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가 적층체의 측면을 따라 주회하는 방향에 관해서 교대로, 적층체의 측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콘덴서부의 정전 용량과, 제 2 콘덴서부의 정전 용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적층 콘덴서는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대략 직방체형의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전극을 구비한 적층 콘덴서이며, 복수의 단자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각각 4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을 포함하고, 대략 직방체형의 상기 적층체는 적층체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적층체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고, 제 1 측면상에는 제 4 측면으로부터 제 3 측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4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 중 각각 2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이, 이 순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제 2 측면상에는 제 4 측면으로부터 제 3 측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4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 중 제 1 측면에 배치된 2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 이외의 나머지의 각각 2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이, 이 순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제 3 측면상에는 제 3 단자 전극이 배치되고, 제 4 측면상에는 제 4 단자 전극이 배치되고, 적층체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을 복수의 내부 전극으로서 포함하는 제 1 콘덴서부와,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을 복수의 내부 전극으로서 포함하는 제 2 콘덴서부를 갖고,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은 각각, 인출 도체를 통해서 4개의 제 1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4개의 제 1 단자 전극은 각각,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은 각각, 인출 도체를 통해서 4개의 제 2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4개의 제 2 단자 전극은 각각,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3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3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4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제 4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콘덴서부의 정전 용량과, 상기 제 2 콘덴서부의 정전 용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적층 콘덴서는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및 제 2 콘덴서부를 갖기 때문에, 2개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다. 그 결과, 이 적층 콘덴서에서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친 저임피던스화가 가능해진다. 또, 이들의 적층 콘덴서와 같은 단자 전극의 배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 1 및 제 3 단자 전극을 플러스의 전극에 접속하고, 제 2 및 제 4 단자 전극을 마이너스의 전극에 접속한 경우, 적층체의 측면을 따라 주회하는 방향에서 보아, 다른 극성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 전극이 교대로 배치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적층체의 측면을 따라 주회하는 방향에 관해서 인접하는 인출 도체에는 서로 역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 결과, 이들의 전류에 기인 하여 발생하는 자계가 상쇄되고, 이 적층 콘덴서에서는 등가 직렬 인덕턴스가 저감되게 된다.
또, 제 2 콘덴서부의 정전 용량은 제 1 콘덴서부의 정전 용량과 비교하여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2 콘덴서부에 의해서,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저임피던스화가 실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광대역에 걸쳐 저임피던스인 적층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된 상세한 설명 및 예로서만 제공되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첨부 도면들로부터 더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적용성의 또 다른 범위는 하기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의 여러 변화들 및 변경들이 본원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면서 예로서만 제공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 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적층 콘덴서(C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을 한 적층체(1)와, 적층체(1)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군을 구비한다. 제 1 단자 전극군은 복수의 제 1 단자 전극(3A 내지 3D)과 제 3 단자 전극(5)을 포함한다. 제 2 단자 전극군은 복수의 제 2 단자 전극(5A 내지 5D)과 제 4 단자 전극(9)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A 내지 3D, 5A 내지 5D)은 후술하는 적층체(1)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적층체(1)의 제 1 및 제 2 측면(1a, 1b)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7, 9)은 적층체(1)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적층체(1)의 제 3 및 제 4 측면(1c, 1d)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3A, 3B)은 적층체(1)의 제 1 측면(1a)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3C, 3D)은 제 1 측면(1a)과 대향하는 적층체(1)의 제 2 측면(1b)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5A, 5B)은 적층체(1)의 제 1 측면(1a)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5C, 5D)은 제 1 측면(1a)과 대향하는 적층체(1)의 제 2 측면(1b)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측면(1a, 1b)상에서는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A 내지 3D, 5A 내지 5D)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측면(1a)상에는 제 4 측면(1d)으로부터 제 3 측면(1c)을 향하는 방향에서, 4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A 내지 3D, 5A 내지 5D) 중 각각 2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A, 3B, 5A, 5B)이 제 1 단자 전극, 제 2 단자 전극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 측면(1a)상에는 제 4 측면(1d)으로부터 제 3 측면(1c)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 1 단자 전극(3A), 제 2 단자 전극(5A), 제 1 단자 전극(3B), 제 2 단자 전극(5B)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측면(1b)상에는 제 4 측면(1d)으로부터 제 3 측면(1c)을 향하는 방향에서, 4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A 내지 3D, 5A 내지 5D) 중, 제 1 측면(1a)에 배치된 2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A, 3B, 5A, 5B) 이외의 나머지의 각각 2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C, 3D, 5C, 5D)이 제 1 내부 전극, 제 2 내부 전극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2 측면(1b)상에는 제 4 측면(1d)으로부터 제 3 측면(1c)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 1 단자 전극(3C), 제 2 단자 전극(5C), 제 1 단자 전극(3D), 제 2 단자 전극(5D)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3A 내지 3D)과 제 2 단자 전극(5A 내지 5D)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3 단자 전극(7)은 적층체(1)의 제 3 측면(1c)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4 단자 전극(9)은 제 3 측면(1c)과 대향하는 적층체(1)의 제 4 측면(1d)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단자 전극(7)과 제 4 단자 전극(9)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층체(1)의 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상에 있어 서는 적층체(1)의 적층 방향과 평행한 적층체(1)의 측면(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에 따라, 적층 방향과 교차하도록 주회하는 방향에 관해서, 제 1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3 단자 전극(3A 내지 3D, 7) 중 어느 하나와, 제 2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2 및 제 4 단자 전극(5A 내지 5D, 9) 중 어느 하나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적층체(1)의 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상에 있어서, 적층 방향과 교차하는 적층체(1)의 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 가장자리를 적층 방향과 교차하도록 주회하는 방향에 관해서, 제 1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3 단자 전극(3A 내지 3D, 7) 중 어느 하나와, 제 2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2 및 제 4 단자 전극(5A 내지 5D, 9) 중 어느 하나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적층체(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콘덴서부(11)와 제 2 콘덴서부(13)를 갖는다. 적층체(1)는 제 1 콘덴서부(11)와 제 2 콘덴서부(13)가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우선, 제 1 콘덴서부(1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1 콘덴서부(11)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0)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은 유전체층(10)을 통해서 적층되어 있다. 실제의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유전체층(10)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1)은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적층 방향(5C; 이하, 단순히 「적층 방향」이라고 한다)과 평행한 적층체(1)의 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위치하고 있다. 또, 각 유 전체층(10)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21)에는 각각, 인출 도체(31A 내지 31D) 중 어느 것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1A, 31B)는 적층체(1)의 제 1 측면(1a)으로 인출되도록 제 1 내부 전극(21)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인출 도체(31C, 31D)는 적층체(1)의 제 2 측면(1b)으로 인출되도록 제 1 내부 전극(21)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A 내지 31D)를 통해서 4개 있는 제 1 단자 전극(3A 내지 3D)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4개의 제 1 단자 전극(3A 내지 3D)은 각각,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21)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출 도체(31A)가 형성된 제 1 내부 전극(21)은 이 인출 도체(31A)를 통해서, 제 1 단자 전극(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출 도체(31B)가 형성된 제 1 내부 전극(21)은 이 인출 도체(31B)를 통해서 제 1 단자 전극(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출 도체(31C)가 형성된 제 1 내부 전극(21)은 이 인출 도체(31C)를 통해서 제 1 단자 전극(3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출 도체(31D)가 형성된 제 1 내부 전극(21)은 이 인출 도체(31D)를 통해서 제 1 단자 전극(3D)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제 2 내부 전극(2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23)은 적층 방향과 평행한 적층체(1)의 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위치하고 있다.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23)에는 각각, 인출 도체(33A 내지 33D)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3A, 33B)는 적층체(1)의 제 1 측면(1a)으로 인출되도록 제 2 내부 전극(23)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인출 도체(33C, 33D)는 적층체(1)의 제 2 측면(1b)으로 인출되도록 제 2 내부 전극(23)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23)은 인출 도체(33A 내지 33D)를 통해서 4개 있는 제 2 단자 전극(5A 내지 5D)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4개의 제 2 단자 전극(5A 내지 5D)은 각각,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23)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출 도체(33A)가 형성된 제 2 내부 전극(23)은 이 인출 도체(33A)를 통해서 제 2 단자 전극(5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출 도체(33B)가 형성된 제 2 내부 전극(23)은 이 인출 도체(33B)를 통해서 제 2 단자 전극(5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출 도체(33C)가 형성된 제 2 내부 전극(23)은 이 인출 도체(33C)를 통해서 제 2 단자 전극(5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출 도체(33D)가 형성된 제 2 내부 전극(23)은 이 인출 도체(33D)를 통해서 제 2 단자 전극(5D)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제 2 콘덴서부(13)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2 콘덴서부(13)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층)의 유전체층(10)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1층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을 포함한다. 실제의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유전체층(10)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의 적층수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적층수와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의 적층수는 각 1층이며,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적층수(각 4층)와 비교하여 적다.
제 3 내부 전극(2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내부 전극(25)은 적층 방향과 평행한 적층체(1)의 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위치하고 있다.
제 3 내부 전극(25)에는 인출 도체(35)가 하나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5)는 적층체(1)의 제 3 측면(1c)으로 인출되도록 제 3 내부 전극(25)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제 3 내부 전극(25)은 인출 도체(35)를 통해서 제 3 단자 전극(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27)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4 내부 전극(27)은 적층 방향과 평행한 적층체(1)의 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위치하고 있다.
제 4 내부 전극(27)에는 인출 도체(37)가 하나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7)는 적층체(1)의 제 4 측면(1d)으로 인출되도록 제 4 내부 전극(27)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각 제 4 내부 전극(27)은 인출 도체(37)를 통해서 제 4 단자 전극(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적층체(1)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또는 제 3 내부 전극(21, 25)과 제 2 또는 제 4 내부 전극(23, 27)이, 적층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 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 3 내부 전극(25)은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이 교대로 배치되고 있다고 한 경우의 제 1 내부 전극(21)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27)은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고 한 경우의 제 2 내부 전극(23)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콘덴서부(11)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은 각각,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A 내지 3D, 5A 내지 5D)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제 2 콘덴서부(13)에 포함되는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은 각각,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7, 9)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제 1 콘덴서부(11)와 제 2 콘덴서부(13)는 병렬로 접속되는 관계가 된다.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회로도를 도 3에 도시한다.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회로는 제 1 콘덴서부(11)와 제 2 콘덴서부(13)의 병렬회로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콘덴서에는 잔류 인덕턴스와 잔류저항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콘덴서부(11)의 등가 회로에는 정전 용량(C11) 외에, 인덕턴스(L11) 및 저항(R11)이 존재한다. 제 2 콘덴서부(13)의 등가 회로에는 정전 용량(C13) 외에, 인덕턴스(L13) 및 저항(R13)이 존재한다.
제 1 및 제 2 콘덴서부(11, 13)는 각각, 내부 전극의 적층수가 다르고, 정전 용량이 다르다. 즉,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콘덴서부(11)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적층수가 제 2 콘덴서부(13)에 포함되는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의 적층수보다 크다. 따라서, 제 1 콘덴서부(11)의 정전 용량(C11)은 제 2 콘덴서부(13)의 정전 용량(C13)보다 크다.
콘덴서의 인덕턴스를 L, 정전 용량을 C로 하면, 콘덴서의 공진 주파수(f)는 수학식 (1)에 의해서 표시된다. 수학식 (1)로부터, 제 1 콘덴서부(11)의 공진 주파수(f1)와, 제 2 콘덴서부(13)의 공진 주파수(f2)에서는 값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f=1/2π?sqrt(L?C) ???(1)
특히, 제 2 콘덴서부(13)에 포함되는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의 적층수가 제 1 콘덴서부(11)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적층수보다 작으면, 공진 주파수(f2)는 공진 주파수(f1)와 비교하여 커진다.
도 4에, 적층 콘덴서(C1)의 주파수에 관한 임피던스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그래프의 가로축은 주파수(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임피던스(Ω)를 나타낸다. 정전 용량이 큰 제 1 콘덴서부(11) 단체(單體)의 임피던스 특성은 그래프(G11, G12)로 표시되고, 공진 주파수(f1)에만 임피던스가 극소가 되는 점을 갖는다. 제 1 콘덴서부(11)로부터 정전 용량이 작은 제 2 콘덴서부(13) 단체의 임피던스 특성은 그래프(G13, G14)로 표시되고, 공진 주파수(f2)에만 임피던스가 극소가 되는 점을 갖는다. 한편,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및 제 2 콘덴서부(11, 13)를 병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콘덴서(C1)의 임피던스 특성은 그래프(G11, G14)로 표시되고, 공진 주파수(f1, f12)의 쌍방에 임피던스가 극소가 되는 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C1)는 정전 용량이 다른 제 1 및 제 2 콘덴서부(11, 13)를 갖고 있기 때문에, 1개의 정전 용량을 갖는 경우와 비교하여,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임피던스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2 콘덴서부(13)의 정전 용량(C13)이, 제 1 콘덴서부(11)의 정전 용량(C11)과 비교하여 작다. 그 때문에, 제 2 콘덴서부(13)의 공진 주파수(f2)는 제 1 콘덴서부(11)의 공진 주파수(f1)보다 커진다. 따라서, 제 2 콘덴서부(13)는 제 1 콘덴서부(11)만으로는 임피던스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없는 고주파수 대역에서, 저임피던스화를 담당하게 된다. 그 결과, 적층 콘덴서(C1)에서는 고주파수 대역에 있어서도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1, 23, 25, 27)은 인출 도체(31A 내지 31D, 33A 내지 33D, 35, 37)를 통해서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3A 내지 3D, 5A 내지 5D, 7, 9)에 각각 접속된다. 또, 제 1 및 제 2 측면(1a, 1b)상에서는 각각, 제 4 측면(1d)으로부터 제 3 측면(1c)을 향하는 방향에서,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A 내지 3D, 5A 내지 5D)이, 제 1 단자 전극, 제 2 단자 전극의 순서로 교대로 배치되고, 또 제 3 측면(1c)상에서는 제 3 단자 전극(7)이, 제 4 측면(1d)상에서는 제 4 단자 전극(9)이 배치되어 있다. 즉, 적층체(1)의 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상에 있어서는 적층체(1)의 적층 방향과 평행한 측면을 따라 적층 방향과 교차하도록 주회하는 방향에 관해서, 제 1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3 단자 전극(3A 내지 3D, 7) 중 어느 하나와, 제 2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2 및 제 4 단자 전극(5A 내지 5D, 9) 중 어느 하나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단자 전극군(제 1 및 제 3 단자 전극(3A 내지 3D, 7))과 제 2 단자 전극군(제 2 및 제 4 단자 전극(5A 내지 5D, 9))을 다른 극성에 접속한 경우, 적층체(1)의 측면을 따라 주회하는 방향에서 보아, 다른 극성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 전극이 교대로 배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적층체(1)의 측면을 따라 주회하는 방향에 관해서 인접하는 인출 도체에는 서로 역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 결과, 이들의 전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자계가 상쇄되고, 이 적층 콘덴서(C1)에서는 등가 직렬 인덕턴스가 저감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C1)에서는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광대역에 걸쳐 저임피던스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내부 전극(25)과 제 4 내부 전극(27)이, 적층체(1)의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 3 내부 전극(25)과 제 4 내부 전극(27)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쌍방 또는 어느 한쪽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2)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2)는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의 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1)와 상위한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적층 콘덴서(C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을 한 적층체(1)와, 적층체(1)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군을 구비한다. 제 1 단자 전극군은 복수의 제 1 단자 전극(3A, 3B)과 제 3 단자 전극(5)을 포함한다. 제 2 단자 전극군은 복수의 제 2 단자 전극(5A, 5B)과 제 4 단자 전극(9)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A, 3B, 5A, 5B)은 적층체(1)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적층체(1)의 제 1 및 제 2 측면(1a, 1b)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7, 9)은 적층체(1)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적층체(1)의 제 3 및 제 4 측면(1c, 1d)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3A)은 적층체(1)의 제 1 측면(1a)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3B)은 제 1 측면(1a)과 대향하는 적층체(1)의 제 2 측면(1b)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5A)은 적층체(1)의 제 1 측면(1a)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전극(5B)은 제 1 측면(1a)과 대향하는 적층체(1)의 제 2 측면(1b)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측면(1a)상에는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A, 5A)이, 제 4 측면(1d)으로부터 제 3 측면(1c)을 향하는 방향에 관해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측면(1b)상에는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3B, 5B)이 제 4 측면(1d)으로부터 제 3 측면(1c)을 향하는 방향에 관해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3A, 3B)과 제 2 단자 전극(5A, 5B)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 3 단자 전극(7)은 적층체(1)의 제 3 측면(1c)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4 단자 전극(9)은 제 3 측면(1c)과 대향하는 적층체(1)의 제 4 측면(1d)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단자 전극(7)과 제 4 단자 전극(9)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층체(1)의 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상에 있어 서는 적층체(1)의 적층 방향과 평행한 적층체(1)의 측면(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을 따라, 적층 방향과 교차하도록 주회하는 방향에 관해서, 제 1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3 단자 전극(3A, 3B, 7) 중 어느 하나와, 제 2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2 및 제 4 단자 전극(5A, 5B, 9) 중 어느 하나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적층체(1)의 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상에 있어서, 적층 방향과 교차하는 적층체(1)의 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 가장자리를 적층 방향과 교차하도록 주회하는 방향에 관해서, 제 1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3 단자 전극(3A, 3B, 7) 중 어느 하나와 제 2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2 및 제 4 단자 전극(5A, 5B, 9) 중 어느 하나가 교대로 배치되고 있다.
적층체(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콘덴서부(11)와 제 2 콘덴서부(13)를 갖는다. 적층체(1)는 제 1 콘덴서부(11)와 제 2 콘덴서부(13)가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우선, 제 1 콘덴서부(1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1 콘덴서부(11)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유전체층(10)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4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은 유전체층(10)을 통해서 적층되어 있다. 실제의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유전체층(10)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21)에는 각각, 인출 도체(31A, 31B) 중 어느 것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1A)는 적층체(1)의 제 1 측면(1a)으로 인출되도록 제 1 내부 전극(21)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인출 도체(31B)는 적층체(1)의 제 2 측면(1b)으로 인출되도록 제 1 내부 전극(21)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각 제 1 내부 전극(21)은 인출 도체(31A, 31B)를 통해서 2개 있는 제 1 단자 전극(3A, 3B)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2개의 제 1 단자 전극(3A, 3B)은 각각,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21)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다.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23)에는 각각, 인출 도체(33A, 33B) 중 어느 것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인출 도체(33A)는 적층체(1)의 제 1 측면(1a)으로 인출되도록 제 2 내부 전극(23)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인출 도체(33B)는 적층체(1)의 제 2 측면(1b)으로 인출되도록 제 2 내부 전극(23)으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23)은 인출 도체(33A, 33B)를 통해서 2개 있는 제 2 단자 전극(5A, 5B)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2개의 제 2 단자 전극(5A, 5B)은 각각,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23)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 2 콘덴서부(13)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콘덴서부(13)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층)의 유전체층(10)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2층)의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을 포함한다. 실제의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유전체층(10)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의 적층수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적층수와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의 적층수는 각 2층이고,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적층수(각 4층)와 비교하여 적다.
또한, 적층체(1)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또는 제 3 내부 전극(21, 25)과 제 2 또는 제 4 내부 전극(23, 27)이, 적층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 3 내부 전극(25)은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이 교대로 배치되고 있다고 한 경우의 제 1 내부 전극(21)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4 내부 전극(27)은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이 교대로 배치되고 있다고 한 경우의 제 2 내부 전극(23)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콘덴서부(11)와 제 2 콘덴서부(13)가 병렬로 접속되는 관계가 된다.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적층수와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의 적층수는 다르기 때문에, 제 1 콘덴서부(11)의 정전 용량(C11)과 제 2 콘덴서부(13)의 정전 용량(C13)이 다르다. 그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C1)와 같이,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친 저임피던스화가 가능해진다.
특히, 적층 콘덴서(C2)에서는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적층수와 비교하여,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의 적층수가 적다. 그 때문에, 제 2 콘덴서부(13)의 정전 용량(C13)은 제 1 콘덴서부(11)의 정전 용량(C11)과 비교하여 작아진다. 따라서, 제 2 콘덴서부(13)는 제 1 콘덴서부(11)만으로는 임피던스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없는 고주파수 대역에서, 저임피던스화를 담당하게 된다. 그 결과, 적층 콘덴서(C2)에서는 고주파수 대역에 있어서도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1, 23, 25, 27)은 인출 도체(31A, 31B, 33A, 33B, 35, 37)를 통해서 제 1 내지 제 4 단자 전극(3A, 3B, 5A, 5B, 7, 9)에 각각 접속된다. 또, 적층체(1)의 제 1 내지 제 4 측면(1a 내지 1d)상에 있어 서는 적층체(1)의 적층 방향과 평행한 측면을 따라 적층 방향과 교차하도록 주회하는 방향에 관해서, 제 1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3 단자 전극(3A, 3B, 7) 중 어느 하나와, 제 2 단자 전극군에 포함되는 제 2 및 제 4 단자 전극(5A, 5B, 9) 중 어느 하나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단자 전극군(제 1 및 제 3 단자 전극(3A, 3B, 7))과 제 2 단자 전극군(제 2 및 제 4 단자 전극(5A, 5B, 9))을 다른 극성에 접속한 경우, 적층체(1)의 측면을 따라 주회하는 방향에서 보아, 다른 극성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 전극이 교대로 배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적층체(1)의 측면을 따라 주회하는 방향에 관해서 인접하는 인출 도체에는 서로 역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 결과, 이들의 전류에 기인하여 발생기는 자계가 상쇄되고, 이 적층 콘덴서(C2)에서는 등가 직렬 인덕턴스가 저감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층 콘덴서(C2)에서는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광대역에 걸쳐 저임피던스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내부 전극(25)과 제 4 내부 전극(27)이, 적층체(1)의 적층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 3 내부 전극(25)과 제 4 내부 전극(27)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쌍방 또는 어느 한쪽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전체층(10)의 적층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1, 23)의 적층수, 및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5, 27)의 적층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단자 전극(3A 내지 3D, 5A 내지 5D, 7, 9)의 수도,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은 2개 이상이면 좋고,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은 1개 이상이면 좋다. 또, 제 1 콘덴서부(11) 및 제 2 콘덴서부(13)의 적층 방향에서의 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 1 콘덴서부(11)에 포함되는 제 1 내부 전극(21)의 수와 제 2 내부 전극(23)의 수는 반드시 같지 않아도 좋다. 또, 제 2 콘덴서부(13)에 포함되는 제 3 내부 전극(25)의 수와 제 4 내부 전극(27)의 수는 반드시 같지 않아도 좋다. 또, 적층체(1)의 형상은 직방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여러 방법들로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서 간주되서는 안될 것이고, 당업자에 자명한 이러한 변경들은 뒤따르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으로 인해,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광대역에 걸쳐 저임피던스인 적층 콘덴서가 제공된다.

Claims (3)

  1. 삭제
  2.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직방체형의 적층체와, 상기 적층체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전극을 구비한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각각 4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 3 및 제 4 단자 전극을 포함하고,
    직방체형의 상기 적층체에, 상기 적층체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상기 적층체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고,
    상기 제 1 측면상에는 상기 제 4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3 측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4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 중 각각 2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이, 이 순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측면상에는 상기 제 4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3 측면을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4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 중 상기 제 1 측면에 배치된 상기 2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 이외의 나머지의 각각 2개의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이, 이 순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3 측면상에는 상기 제 3 단자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 4 측면상에는 상기 제 4 단자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을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으로서 포함하는 제 1 콘덴서부와,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을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으로서 포함하는 제 2 콘덴서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은 각각,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4개의 제 1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4개의 제 1 단자 전극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은 각각,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4개의 제 2 단자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4개의 제 2 단자 전극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3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4 내부 전극은 인출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4 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콘덴서부의 정전 용량과, 상기 제 2 콘덴서부의 정전 용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덴서부의 정전 용량은 상기 제 1 콘덴서부의 정전 용량과 비교하여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KR1020060029571A 2005-03-31 2006-03-31 적층 콘덴서 KR101147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1740A JP2006286731A (ja) 2005-03-31 2005-03-31 積層コンデンサ
JPJP-P-2005-00101740 200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653A KR20060105653A (ko) 2006-10-11
KR101147626B1 true KR101147626B1 (ko) 2012-05-23

Family

ID=3703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571A KR101147626B1 (ko) 2005-03-31 2006-03-31 적층 콘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64184B2 (ko)
JP (1) JP2006286731A (ko)
KR (1) KR101147626B1 (ko)
CN (1) CN1841593B (ko)
TW (1) TWI4040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7674B2 (ja) * 2005-07-26 2011-02-23 京セラ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US7697262B2 (en) 2005-10-31 2010-04-13 Avx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with internal current cancellation and bottom terminals
US7388738B1 (en) * 2007-03-28 2008-06-17 Tdk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US8238116B2 (en) 2007-04-13 2012-08-07 Avx Corporation Land grid feedthrough low ESL technology
JP4370352B2 (ja) * 2007-10-31 2009-11-25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4475338B2 (ja) * 2008-02-14 2010-06-09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KR100983121B1 (ko) 2008-08-07 2010-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KR100983122B1 (ko) 2008-08-08 2010-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US8446705B2 (en) * 2008-08-18 2013-05-21 Avx Corporation Ultra broadband capacitor
KR100992286B1 (ko) 2008-10-10 2010-1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DE102008062023A1 (de) * 2008-12-12 2010-06-17 Epcos Ag Elektrisches Vielschichtbauelement und Schaltungsanordnung damit
US8813324B2 (en) 2010-03-24 2014-08-26 Western Digital (Fremont), Llc Method for providing a piezoelectric multilayer
WO2018198600A1 (ja) * 2017-04-28 2018-11-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CN112002551B (zh) * 2020-07-03 2022-09-13 成都宏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频率达40g+的结构稳定的超宽带电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726U (ko) * 1988-10-14 1990-04-23
JP2000223348A (ja) * 1998-11-26 2000-08-11 Tokin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1185449A (ja) 1999-12-27 2001-07-06 Tokin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1284171A (ja) 2000-03-30 2001-10-12 Tdk Corp 積層型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4195B2 (ja) * 1999-12-27 2004-03-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配線基板、デカップリング回路および高周波回路
JP3336954B2 (ja) * 1998-05-21 2002-10-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JP4000701B2 (ja) 1999-01-14 2007-10-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JP2001167969A (ja) * 1999-12-06 2001-06-22 Tdk Corp 三次元搭載用多端子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US6441459B1 (en) * 2000-01-28 2002-08-27 Tdk Corporation Multilay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4332634B2 (ja) * 2000-10-06 2009-09-16 Tdk株式会社 積層型電子部品
JP3988651B2 (ja) * 2003-01-31 2007-10-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配線基板、デカップリング回路および高周波回路
JP4299258B2 (ja) * 2005-03-18 2009-07-22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726U (ko) * 1988-10-14 1990-04-23
JP2000223348A (ja) * 1998-11-26 2000-08-11 Tokin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1185449A (ja) 1999-12-27 2001-07-06 Tokin Corp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1284171A (ja) 2000-03-30 2001-10-12 Tdk Corp 積層型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44008A (en) 2006-12-16
KR20060105653A (ko) 2006-10-11
TWI404091B (zh) 2013-08-01
JP2006286731A (ja) 2006-10-19
US20060221545A1 (en) 2006-10-05
US7164184B2 (en) 2007-01-16
CN1841593B (zh) 2010-10-27
CN1841593A (zh)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626B1 (ko) 적층 콘덴서
KR101148894B1 (ko) 적층 콘덴서
KR100761624B1 (ko) 적층 콘덴서
JP4374041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0560830B1 (ko) 적층 관통형 콘덴서
US9929710B2 (en) Laminated composit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il and capacitor
KR100884902B1 (ko) 적층 커패시터 및 그 실장구조
JP2991175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128274B1 (ko) 적층형 콘덴서
JP4086086B2 (ja)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
CN101009157A (zh) 积层电容器
KR101020528B1 (ko) 적층 콘덴서
JP5870674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KR101051620B1 (ko) 적층 콘덴서
US7652869B2 (en) Multilayer capacitor
JP2007235169A (ja)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
JP3727542B2 (ja)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
KR100877485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2018160658A (ja) コンデンサおよび基板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